KR20190092579A - 박막 패키징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패키징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579A
KR20190092579A KR1020197021219A KR20197021219A KR20190092579A KR 20190092579 A KR20190092579 A KR 20190092579A KR 1020197021219 A KR1020197021219 A KR 1020197021219A KR 20197021219 A KR20197021219 A KR 20197021219A KR 20190092579 A KR20190092579 A KR 2019009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layer
film layer
sublayer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856B1 (ko
Inventor
솅팡 리우
수에유안 리
핑 주
커 주
샤오펭 엘브이
양친 송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9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7/32
    • H01L51/5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80Composition varying spatially, e.g. having a spatial grad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 막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 막층을 포함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은 N매의 무기 막층을 포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무기 막층 내지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배열되며, N≥2; 여기서, 적어도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된 일부는 저온 또는 저 파워의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며, 증착 동안,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로에서 멀리 떨어진 제 N번째 층은 온도나 파워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착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높고, 결함이 적고, 밀도가 높은 무기 막층으로 형성하여, 패키징 구조체의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높이고, 패키징 제품의 저장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패키징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막 패키징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키징 기술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패키징하는 목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층을 물과 산소의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분말을 사용한 패키징, 커버 플레이트 상에 건식 시트를 부착하여 패키징 처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패키징하여 물과 산소로부터 차단시키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패키징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하드 스크린에서만 사용되며, 플렉시블 스크린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플렉시블 스크린 기술의 개발에 제한을 가져온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이러한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 막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 막층을 포함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은 N매의 무기 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N매의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무기 막층 내지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배열되며, N≥2;
여기서, 적어도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은 M매의 서브층을 포함하며; 상기 M매의 서브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서브층 내지 제 M번째 서브층으로 배열되며, M≥2; 상기 제 1 무기 막층에서 M매의 서브층의 각 서브층의 굴절률은 제 1 서브층에서 제 M번째 서브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상기 M매의 서브층의 각 서브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서브층에서 제 M번째 서브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의 각각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의 각각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제 1 무기 막층에서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상기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가까운 무기 막층은 제 1 무기 막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91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81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상기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 먼 무기 막층이 제 N번째 무기 막층이고, 상기 제 N번째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63~1.91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라, 기판,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전술한 바와 같은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교대로 적층된 무기 막층과 유기 막층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이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치되고,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된 일부는 온도나 파워가 보다 낮은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증착 동안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에서 멀리 떨어진 일부는 온도나 파워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착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높고, 결함이 적고, 밀도가 높은 무기 막층으로 형성되어, 패키징 구조체의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높이고 패키징 제품의 저장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에 사용된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당업자는 상기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에 대한 이해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디스플레이 소자(예를 들어, OLED 소자)와 같은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 막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 막층을 포함하며, 복수의 무기 막층은 N매의 무기 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N매의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배열되며, N≥2이다. 여기서, 적어도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굴절률은 무기 막층의 품질과 연관되며, 박막이 고밀도 일수록 굴절률이 높아지고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된 패키징된 소자 일측의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된 일부는 온도 또는 파워가 보다 낮은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증착 동안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에서 멀리 떨어진 일부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무기 막층의 이 부분은 더 높은 굴절률, 더 적은 결함, 더 높은 밀도를 갖게 됨으로써, 패키징 구조체의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높아져, 패키징 제품의 저장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무기 막층을 증착할 때, 증착 동안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패키징된 소자는 손상될 수 있으며,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증착된 원자단은 이동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갖지 못하고, 결함이 많다. 본 발명에서, 우선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무기 막층을 패키징된 소자 상에 증착시키고, 예를 들어 30℃ ~ 60℃의 보다 낮은 온도 조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장치 상태에 따라 보다 낮은 파워로 설정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시에, 패키징된 소자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1 무기 막층은 패키징된 소자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다음 단계에서 증착하게 될 무기 막층을 위해 보다 좋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며, 후속 단계에서 더 높은 온도로 증착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제 1 무기 막층의 제조에 유리하며, 굴절률이 보다 높은 제 1 무기 막층은 더 높은 밀도, 더 적은 결함을 갖게 되어,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증착에 의해 제 1 무기 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 원자층 증착법, 전자빔 증착법 또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증기증착법 등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무기 막층은 M매의 서브층을 포함하고, M매의 서브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서브층 내지 제 M번째 서브층으로 배열되며, M≥2이다.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제 1 서브층에서 제 M번째 서브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나머지 무기 막층들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징 프로세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제 1 서브층은 일반적으로 패키징된 소자에 대해 보다 적은 손상을 가져다 주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다. 제 1 서브층은 제 1 패키징 막으로서, 보다 낮은 파워 및 보다 낮은 온도 등의 파라미터를 갖은 낮은 데미지 프로세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굴절률이 증가된 제 2 서브층은 굴절률이 보다 낮은 균질 막층인 제 1 서브층 상에 적층된다. 제 2 서브층과 제 1 서브층은 균질 막층이기 때문에, 서로의 막층 구조는 보다 매치되어 보다 높은 결합력을 나타내며; 제 2 서브층은 보다 높은 파워 및 보다 높은 온도 등의 파라미터들을 사용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박막의 품질을 향상시켜, 굴절률이 보다 높은 제 2 서브층의 내부 결함을 줄임으로써, 제 2 서브층은 보다 높은 밀도를 갖고,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도 보다 향상된다. 제 2 서브층은 보다 높은 파워 및 보다 높은 온도에 의해 제조되지만, 제 1 서브층은 패키징된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 2 서브층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패키징된 소자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서브층 및 제 2 서브층의 결합에 의해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 3 서브층 내지 제 M번째 서브층은 순차적으로 교대로 적층되도록 증착되고, 증착 과정의 온도 및 파워는 보다 더 높아지도록 조절하여, 고품질의 막층을 얻고,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다단계 증착법에 의해, 제 1 서브층 내지 제 M번째 서브층은 점진적으로 굴절률이 증가하는 균질 박막으로 형성되어, 각 서브층의 결함의 확산 및 확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막층의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밀도도 높아지지만, 내부 응력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박막 패키징 과정에서, 다단계 증착법에 의해 무기 재료를 제공하고, 증착 조건을 점차적으로 변화시켜 동일 무기 재료의 굴절률을 점차 증가시킬 경우, 밀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내부 결함은 줄어듦으로써,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을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무기 재료는 SiOx, SiNx, TiO2, 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박막 패키징 과정에서, 먼저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화학기상성장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사용하여 무기 재료를 증착시키고, 버퍼층으로서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제 1 서브층을 형성한 후, 고굴절률의 제 2 서브층으로 굴절률이 보다 높은 균질 박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굴절률이 보다 낮은 제 1 막층은 저온 및 저파워 프로세스로서 50℃ 온도 및 300W 파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밑층에 위치한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킨다. 굴절률이 보다 높은 제2층의 막층은 고온 및 고파워 프로세스로서 80℃ 온도 및 800W 파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제 2 막층의 품질을 개선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브층부터 제 M번째 서브층까지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두께의 점진적인 증가에 의해 높은 굴절률, 고밀도를 갖는 막층이 두꺼워지는 것을 확보할 수 있고,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서 각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모두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박막 패키징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2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또한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제 2 무기 막층은 제 1 서브층 및 제 2 서브층을 포함하며, 제 1 서브층의 굴절률이 제 2 서브층의 굴절률보다 작다. 따라서, 제 1 서브층은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고, 제 1 유기 막층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또는 낮은 파워를 갖는 프로세스 조건하에서 증착될 수 있다. 제 2 서브층은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고, 보다 높은 온도 또는 높은 파워로 증착하여 형성되지만, 제 1 유기 막층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 2 서브층은 보다 높은 온도 및 높은 파워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서브층을 버퍼층으로 사용할 경우, 제 2 서브층은 적은 결함, 보다 높은 밀도를 갖게 되어,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더 향상된다. 또한, 제 2 서브층은 패키징 구조체의 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높은 굴절률, 고밀도 및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높은 박막층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모든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은, 다시 말해, 패키징 구조체 표면에 보다 가까운 막층의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이 높아져, 패키징 구조체의 수명 연장에 유리해 진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징 구조체의 굴절률은 제 1 무기 막층에서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무기 막층은 제 1 무기 막층이다.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의 굴절률이 낮으며, 일반적으로 낮은 데미지 프로세스로서 저파워 및 저온도 등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조되기에, 제 1 무기 막층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패키징된 소자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91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8이다. 선택적으로,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을 증착하는 온도의 범위는 30~60℃이고, 증착 파워는 장치의 실제 조건에 의해 결정되며, 보다 낮은 파워를 사용하여 증착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상기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 먼 무기 막층은 제 N번째 무기 막층이고, 제 N번째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63~1.90이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 디스플레이 소자(20) 및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은 패키징된 소자이다.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기판(10)에서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소자(20)의 일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소자(20)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된다.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디스플레이 소자(20)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110), 제 1 유기 막층(210), 제 2 무기 막층(120) 및 제 2 유기 막층(2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110), 제 1 유기 막층(210) 및 제 2 무기 막층(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110)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11), 및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12)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11), 및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12)의 굴절률은 각각 1.78, 1.85이고, 두께는 각각 200nm,8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120)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21), 및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22)로 구성되며,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21), 및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22)의 굴절률은 각각 1.79, 1.85이고, 두께는 각각 200nm,800n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으며, 저장 수명은 760h보다 길다.
실시예 2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110), 제 1 유기 막층(210) 및 제 2 무기 막층(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110)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11),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12), 제 1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113)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11),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12), 제 1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113)의 굴절률은 각각 1.76, 1.83, 1.85이고, 두께는 각각 100nm,400nm,5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120)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21),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22), 및 제 2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123)으로 구성되며,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121),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122), 제 2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123)의 굴절률은 각각 1.76, 1.83, 1.87이고, 두께는 각각 100nm,400nm,500n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870h보다 길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 및 제 1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 제 3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76, 1.83, 1.85이고, 두께는 각각 200nm,500nm,6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은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단일 굴절률의 서브층이고, 굴절률은 1.87이며 두께는 1000nm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760h보다 길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76, 1.80이고, 두께는 각각 500nm,6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3, 1.87이고, 두께는 각각 500nm,600n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760h보다 길다.
비교예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비교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110), 제 1 유기 막층(210) 및 제 2 무기 막층(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110)은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단일 굴절률의 무기 막층이고, 굴절률은 균일하게 1.78이고, 두께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무기 막층과 동일하며, 모두 10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120)은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단일 굴절률의 무기 층이고, 굴절률은 균일하게 1.78이고, 두께는 제 1 실시예의 제 2 무기 막층과 동일하고, 모두 1000nm이다.
본 비교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240h이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5, 1.78이고, 두께는 각각 200nm,8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5 및 1.79이고, 두께는 각각 200nm, 800nm이다.
본 비교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350h이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 및 제 1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3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5, 1.83, 1.76이고, 두께는 각각 200nm,500nm,6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은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단일 굴절률의 서브층이고, 굴절률은 1.87이고, 두께는 1000nm 이다.
본 비교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380h이다.
비교예 4
본 비교예의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무기 막층, 제 1 유기 막층 및 제 2 무기 막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과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1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0, 1.76이고, 두께는 각각 600nm, 500nm이다.
제 2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질화규소로 이루어진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으로 구성되며, 제 2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 제 2 무기 막층의 제 2 서브층의 굴절률은 각각 1.87, 1.83이고, 두께는 각각 600nm, 500n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에 의해 패키징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60℃의 고온 및 90H의 고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저장 수명은 380h이다.
상기 개시된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비교예의 저장 수명을 비교하며, 종래의 교대로 적층된 단일 굴절률의 무기 막층 및 유기 막층의 패키징 구조체와 비교하면, 패키징 두께가 동일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패키징 구조체는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서브층을 사용함으로써 무기 막층의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굴절률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서브층의 응력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제품의 물과 산소에 대한 차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표 1 실시예와 비교예의 응력 및 저장 수명의 비교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제 1' 및 '제 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그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0)

  1. 패키징된 소자의 일측에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 막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 막층을 포함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로서,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은 N매의 무기 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N매의 무기 막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무기 막층 내지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배열되며, N≥2이고;
    여기서, 적어도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은 M매의 서브층을 포함하며, 상기 M매의 서브층은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제 1 서브층 내지 제 M번째 서브층으로 배열되고, M≥2며,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M매의 서브층의 각 서브층의 굴절률은 제 1 서브층에서 제 M번째 서브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상기 M매의 서브층의 각 서브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서브층에서 제 M번째 서브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의 각각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내부에서 외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의 각각 무기 막층의 굴절률은 제 1 무기 막층에서 제 N번째 무기 막층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상기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무기 막층은 제 1 무기 막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막층의 제 1 서브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45~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패키징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무기 막층에서 상기 패키징된 소자로부터 가장 먼 무기 막층이 제 N번째 무기 막층이고, 상기 제 N번째 무기 막층의 굴절률의 범위는 1.63~1.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패키징 구조체.
  10.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기판,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막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7021219A 2017-08-28 2018-04-28 박막 패키징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752001.5A CN109427992B (zh) 2017-08-28 2017-08-28 薄膜封装结构及具有其的显示装置
CN201710752001.5 2017-08-28
PCT/CN2018/085172 WO2019041866A1 (zh) 2017-08-28 2018-04-28 薄膜封装结构及具有其的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579A true KR20190092579A (ko) 2019-08-07
KR102263856B1 KR102263856B1 (ko) 2021-06-11

Family

ID=6396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19A KR102263856B1 (ko) 2017-08-28 2018-04-28 박막 패키징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1402B2 (ko)
EP (1) EP3557645B1 (ko)
JP (1) JP6873249B2 (ko)
KR (1) KR102263856B1 (ko)
CN (1) CN109427992B (ko)
TW (1) TWI695462B (ko)
WO (1) WO2019041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3222A (zh) * 2018-08-20 2018-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1384282B (zh) * 2018-12-27 2021-10-01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薄膜及其制备方法和发光显示装置
KR20200097373A (ko) * 2019-02-07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색 변환 필터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0048019A (zh) * 2019-04-12 2019-07-2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0504382B (zh) * 2019-08-26 2021-09-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970572A (zh) * 2019-11-14 2020-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224016A (zh) * 2020-01-16 2020-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封装膜层、显示屏及电子设备
CN111785768A (zh) * 2020-08-25 2020-10-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制备方法和显示装置
CN112670331B (zh) * 2020-12-24 2022-08-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封装层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90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2864A (ko) * 2014-12-29 2016-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70244066A1 (en) * 2016-02-19 2017-08-2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027582A1 (ja) * 2003-09-10 2006-11-2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202504B2 (en) 2004-05-20 2007-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5124083B2 (ja) * 2004-06-09 2013-01-2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221B1 (ko) 2004-06-0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7259055B2 (en) * 2005-02-24 2007-08-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forming high-luminescence silicon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7297642B2 (en) 2005-02-14 2007-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putter-deposited rare earth element-doped silicon oxide film with silicon nanocrystals for electroluminescence applications
JP4887473B2 (ja) * 2005-06-30 2012-02-29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el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並びに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FR2936651B1 (fr) * 2008-09-30 2011-04-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optoelectronique organique et son procede d'encapsulation.
JP2010244697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CN101697343B (zh) * 2009-10-27 2011-06-15 苏州纳科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薄膜封装方法
JP2012216452A (ja) * 2011-04-01 2012-11-08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65213A1 (ja) * 2011-11-02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29526B (zh) 2011-12-15 2014-03-11 Ind Tech Res Inst 水氣阻障複合膜及封裝結構
KR20140022683A (ko) 2012-08-14 2014-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8926B1 (ko) 2012-11-19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0849B1 (ko) * 2012-12-26 2019-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US9843013B2 (en) * 2013-08-28 2017-12-12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750285B (zh) 2013-12-27 2019-01-1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TWI545827B (zh) 2014-05-23 2016-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
TWI565118B (zh) 2014-11-25 2017-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封裝膜材與電子元件封裝體
EP3034548A1 (en) 2014-12-18 2016-06-22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Barrier film laminate comprising submicron getter particle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ch a laminate
TWI570965B (zh) 2015-02-26 2017-0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和顯示器
CN106158905A (zh) 2015-04-21 2016-11-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发光器件结构及有机发光面板
KR102407115B1 (ko) * 2015-06-25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01296B1 (ko) * 2015-10-29 2021-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887530B (zh) 2017-01-20 2019-06-21 南京国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的薄膜封装结构及制备方法
CN106816462B (zh) * 2017-03-28 2019-08-0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90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2864A (ko) * 2014-12-29 2016-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70244066A1 (en) * 2016-02-19 2017-08-2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2017147191A (ja) *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7992A (zh) 2019-03-05
JP6873249B2 (ja) 2021-05-19
EP3557645B1 (en) 2022-12-07
TW201830611A (zh) 2018-08-16
TWI695462B (zh) 2020-06-01
CN109427992B (zh) 2019-10-18
EP3557645A4 (en) 2020-03-04
EP3557645A1 (en) 2019-10-23
JP2020505727A (ja) 2020-02-20
WO2019041866A1 (zh) 2019-03-07
KR102263856B1 (ko) 2021-06-11
US11251402B2 (en) 2022-02-15
US20210336217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856B1 (ko) 박막 패키징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55263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TWI384583B (zh) 擴散阻障層及製造擴散阻障層之方法
US20030224116A1 (en) Non-conformal overcoat for nonometer-sized surface structure
JP2020505727A5 (ko)
US20140124806A1 (en) Light Emitter with Coating Layers
CN109461832A (zh)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WO2019127677A1 (zh) 一种oled薄膜封装结构及封装方法
CN106158901B (zh) 一种混合型薄膜及其制备方法、以及柔性oled显示器
US20070248808A1 (en) Passivation fil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817817A (zh) 一种柔性oled器件及其制备方法
CN217009217U (zh) 量子点保护结构及光色转换结构
KR101596449B1 (ko) 박막봉지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410364B (zh) 一种微led及其制备方法
JP6223116B2 (ja) 無機光学素子
KR102236190B1 (ko) 유기광전자소자의 봉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477642B (zh) 阻氣基板
US11943954B2 (en) Encapsulation structure and encapsulation method for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KR102159993B1 (ko) 유기광전자소자의 봉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749B1 (ko) 다층무기봉지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33038B2 (en) LED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D module
KR102182199B1 (ko) 다층배리어박막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1069B1 (ko) 투습 방지 보호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7631A (ko) 투명 가스 배리어성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90419A (ko) 다층 비정질 실리콘 산화인듐아연막 구조를 이용한 열 방사 방지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