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890A -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890A
KR20190090890A KR1020197022032A KR20197022032A KR20190090890A KR 20190090890 A KR20190090890 A KR 20190090890A KR 1020197022032 A KR1020197022032 A KR 1020197022032A KR 20197022032 A KR20197022032 A KR 20197022032A KR 20190090890 A KR20190090890 A KR 2019009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chamber
compressed gas
gas cartridg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디 루소
헥터 루소
랸 에이치. 바로우
저스턴 씨. 세이무어
Original Assignee
루소,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313,761 external-priority patent/US1035044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704,820 external-priority patent/US9993673B2/en
Application filed by 루소,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루소,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9009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for the propulsion of extinguish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 A62C13/7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the pressure gas container being pierced or brok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선된 휴대 가능한 소화기가 개시된다. 상기의 개선사항은 빈번하고 단순화된 검사를 허용하며 전용 장비가 필요치 않고도 최소한의 훈련만으로 소화기를 유지보수하는 것이 허용된다. 상기의 개선사항은 소화분말을 액체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챔버 내부의 소화분말을 부풀게하고(fluff), 혼합시키고(mix), 휘저어(stir) 챔버의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는 안티브리징(anti-bridging)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개선사항은 챔버 내부의 소화분말을 보다 신속하게 채우고 검사하기 위해 더 큰 오프닝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개선사항은 비압축된 상황에서 챔버를 유지시키는 능력 뿐만아니라 CO2 카트리지의 보다 쉬운 점검 및 교체가 허용되도록 그리고 비유해성물질의 탑재가 허용되도록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는 CO2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준비된 상황에서 소화기를 유지하는 동안 점검주기를 증대시킬 것이다.

Description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본 출원은 2014년 6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4/313,761 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써 출원인이 함께 출원하고 있는 2015년 5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4/704,820 호의 일부계속출원이며, 이 건들의 전체적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적으로 함께 명확히 통합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휴대 가능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소화기 외부로 소화물질(fire extinguishing media)을 배출하기 위해 압축가스(propellant)를 제공하는 교체 가능한 가스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적 이용가능성은 소화기와 관련된다.
대부분의 휴대 가능한 소화기들은 소화분말(fire extinguishing powder)이 연속적인 기밀구조의 챔버 내에 저장되도록 유사한 디자인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소화기들은 각 국(state)의 방화책임자(fire marshal)가 인증한 공인되고 훈련받은 기술자들에 의해 주기적인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요구된다. 이러한 유지보수는 소화기의 분사(discharging), 청소 및 리필을 포함한다. 만약 주기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챔버 내의 분말은 (조밀해지도록) 압축되며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은 누출될 것이고 분사노즐 외부로 소화분말을 배출시키기가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유지보수가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면, 소화분말에 의해 습기가 흡수되어 분사노즐의 케이킹(caking)과 막힘이 야기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 상황들은 필요할 때 소화분말이 분사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소화기들은 일정한 압력 및 해체과정(tear down process) 때문에 마모 및 파손에 노출되었다. 수리될 때, 그 것들은 재활용 챔버(recycling chamber)로 옮겨지고 모든 부품들은 분해되어 청소되어야 한다. 모든 압력링들(pressure rings)은 교체되어야 하고, 모든 부품들은 챔버를 기밀화시키기 전에 챔버 내부에 위치하게 될 새로운 소화분말과 함께 재조립되어야 한다. 현재의 소화기들을 수리하는 것은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되는 경우보다 소화기 마모 및 파손을 더 자주 야기시킨다.
2001. 2. 20 자로 공고된 제임스(James)의 미국 특허 번호 6,189,624 호와 1997. 9. 2 자로 공고된 야마자키 토모키(Yamazaki Tomoki)의 일본 특허 번호 JP9,225,056 호에는 챔버가 연속적으로 기밀되지 않고 기밀된 카트리지는 챔버 내에서 분리된 독립체로 통합된 소화기 장치들을 공개하고 있다. 이 특허들에서는 분리된 기밀 카트리지를 공개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카트리지는 수리, 교체 또는 삽입이 쉬운 위치에 놓여있지 않다. 이는 기밀된 카트리지의 충전 수준(charge leve)을 결정하는 능력을 최소화시킨다.
1951. 2. 13 자로 공고된 씨 에이치 스미스(C H Smith)의 미국 특허 번호 2,541,554(US551) 호와 2002. 11. 2 자로 공고된 글라바츠키 지. 디. 등(Glavatski G. D. Et Al.)의 러시아 특허 번호 2,209,101(RU101) 호에서는 외부 CO2 가스 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를 공개하고 있다. US554 의 경우에서, CO2 가스 카트리지는 소화기 챔버의 최상단에 놓이나 소화기의 핸들 내에 통합되지는 않는다. RU101 의 경우에서, CO2 가스 카트리지는 소화기 외부에 놓이고 파이프나 호스로 소화기에 연결된다. 두 특허 모두는 챔버 외부에 배치된 CO2 가스 카트리지를 공개하고 있으나, 두 개 모두는 소화기의 구성이 검사 및 교체를 단순화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핸들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헥터 루소(Hector Rousseau)의 2016. 11. 21 자로 공고된 미국 특허 번호 7,128,163 호, 2008. 1. 15 자로 공고된 미국 특허 번호 7,318,484 호 및 2010. 9. 14 자로 공고된 미국 특허 번호 7,793,737 호 모두에는 핸들에 있는 가스 카트리지 및 플루핑 메커니즘(fluffing mechanism, 플루핑장치)을 갖는 소화기를 공개하고 있다. 이 특허들은 유사한 특징들을 갖는 반면에, 가스 카트리지는 수직 윗쪽에서 분출하게 향하여 있다. CO2 와 같은 압축된 액화가스가 내장된 카트리지에서부터 가스가 분출될 때, 카트리지의 열역학적 평형(thermodynamic equilibrium)이 유지되도록 내장된 액체의 증발이 반드시 발생한다. 증발이 발생할 때 열이 요구되며, 카트리지 주변에서 이용가능한 열이 충분치 않다면, 압축 액화가스의 온도와 압력은 떨어진다. CO2 의 경우, 75 psig 이하로 압력이 떨어지면, 액체 CO2 는 드라이 아이스로 고체화될 것이다. 카트리지 타입의 소화기는 보통 카트리지를 구멍낸 후에 즉시 사용되나, 형성된 드라이 아이스는 가스로 상변화되기 위한 충분한 열을 흡수할 시간을 갖지 못하므로, 소화기의 효율적인 분사가 이뤄지지 못한다.
저온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는 증가되며, 현존하는 상용 카트리지 형태의 소화기들은 -40° 인 상태에서 충진된 CO2 질량(mass)의 40% 가 버려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분출 동안 이러한 가스가 사용되지 않을 지라도, 소화기는 최적의 디자인들 보다 덜 생성되는 완전하게 압축된 가스 하중을 기초로 하여 구조적으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CO2 고유의 특성들을 근거로 소화기의 메인챔버와 카트리지 사이의 구불구불한 경로들(torturous paths)은 CO2 팽창시 온도가 저하됨에 기인하는 밸브의 동결(freezing) 이나 드라이 아이스의 통로 막힘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회피되어야 한다.
기밀된 소화기 내에 존재하는 압축되는 조건 때문에, 소화기 내에서 소화분말이 놓이는 곳의 오프닝(opening)은 항시 챔버 내에서 압력을 유지할 수 있기 위한 구조적인 요건을 이유로 제한된다. 제안된 (본 발명의) 출원은 외부 가스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필요성을 제거함에 따라 챔버에서 압축되지 않은 상태가 존재하는 것을 허용한다. 챔버가 압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소화기의 최상단 오프닝은 소화기에 소화분말을 더 쉽게 채우거나 챔버 내부의 소화분말 상태 및/또는 양을 파악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것은 교체 가능한 가스 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이며, 상기 가스 카트리지는 단지 액체 압축가스를 소화기 바디로 분사하기 위한 방향을 향하고, 상기 소화기는 외부 챔버에서 접근 가능한 플루퍼(fluffer)를 추가적으로 가지며, 상기 챔버는 소화기를 채우기 위한 최상단의 확장된 오프닝을 갖는다. 제안된 소화기는 아랫쪽으로 분출되는 방향의 외부 가스 카트리지, 내부 플루퍼를 작동시키 위한 외부 장치 및 큰 오프닝을 갖는 소화기를 제공함으로써 해결책을 제공한다. 압축된 액화 가스를 아랫쪽으로 분출함에 따라, 액체는 소화기 내부로 분출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윗쪽의 세 지점으로 카트리지 내에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증발이 이뤄지도록 충분한 열을 주변에서 흡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압축 가스의 응결은 방지된다. 압축 액화 CO2 의 경우, 이러한 개념은 -40°상황이 조성된 소화기에 조차도 카트리지에서 CO2 의 100% 가까이가 분출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됐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목적은 서비스 인원(service personnel)이 보안구역들(secure areas)로 진입하는 것이 요구될 필요성이 없게 하는 것이다. 상기 소화기는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자가-작동'식으로 자동적으로 또는 소유자나 최종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비고용인들(non-employees)이 사적인 사무공간 및 관리구역들로 진입할 필요성을 없앤다. 이러한 소화기는 전용 장비가 필요없이도 최소한의 교육만으로 작동되고, 유지되며, 리필되고, 충진될 수 있다.
소화기의 감소된 외부 서비스 및 유지관리는 보안구역들에서의 소화기들을 배치하기에 이상적이다. 이는 테러리스트들이 소화기를 무기로써 활용하거나 또는 비인가자가 소화기 점검자로써 보안구역들에 접근하는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목적은 외부 가스 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뒤집힌(inverted) 외부 가스 카트리지는 가스 카트리지 내의 액체가 소화기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CO2 또는 질소 카트리지들와 같이 다른 장치들에서 사용되도록 채택된 가스 카트리지들은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카트리지는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그 것은 소화기 전체의 교환 없이도 쉽게 교환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소화기들이 동시에 점검되어야 할 때 엄청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다른 목적은 선택적으로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플루핑 메커니즘(플루핑 장치)을 갖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크기, 구조 및 플루핑 메커니즘의 필요성은 소화기의 크기에 근거될 수 있다.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플루핑 메커니즘은 소화분말의 굳음을 방지하고 화염으로 적절한 분사를 보장하도록 소화분말을 액화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소화분말의 부풀은(fluffed), 움직여진(agitated), 휘저어진(stirred) 또는 불안정한(disturbed) 상태가 유지되게 챔버 내에서 소화분말의 안티브리징(anti-bridging)를 촉진한다. 플루핑은 패들들(paddles), 플랩퍼(flapper), 체인로드들(chains rods) 또는 챔버 내에 위치하는 다른 혼합된 메커니즘들과 함께 완성된다. 상기 혼합된 메커니즘은 챔버의 최상단, 바닥 또는 측면에서 진입되고, 수동적으로 조작되거나 또는 몇몇 종류의 장치와 함께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의 다른 목적은 확장된 필링오프닝(filling opening: 채우는 구멍)을 갖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된 필링오프닝은 보다 쉽고 빠르게 챔버를 채우거나 비우게 한다. 또한, 챔버 내의 소화분말 상태를 시각적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최상단부는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화기를 신속히 개방하고 리필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을 빠르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소방관이 화재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소화액을 충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 특징, 실시예, 장점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숫자로 표현된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 은 소화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소화기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3 은 디스펜싱밸브(dispensing valve)의 세부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 는 소화기 헤드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5a, 5b, 5c 는 소화기의 분사 전에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은 뚫기장치(puncturing mechanism)를 갖는 가압된 가스 카트리지의 세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7 은 구멍핀(puncture pin)의 세부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8 은 가압된 가스의 방향에 따라 생성되는 드라이아이스(dry ice)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 는 플루핑 및 사이폰 튜브(fluffing and siphon tube)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 은 다수 개의 사이폰 유입홀들(multiple siphon intake holes) 및 플루핑암(fluffing arm)의 세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에는 소화기(19)의 외부 모습이 도시되었다. 상기 소화기(19)는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30)을 가지며 대체로 원통형 모양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30)은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의 탄성재로 제조되지만 스틸, 황동,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다른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부하우징(20)은 소화기(19) 내부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은 하부하우징(20) 위로 나사결합되지만, 착검구조(bayonet mechanism)나 래칭구조(latching mechanism)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20)은 화재억제물질(fire suppressant materials)을 상기 하부하우징(20)에 쉽게 채울 수 있도록 확장된 오프닝(opening)을 갖는다. 벽걸이장치(wall hanging mechanism)가 소화기(19)의 상부하우징(30)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하부하우징(20)의 바디를 둘러쌀 수 있거나, 또는 소화기(19)의 상부하우징(30)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핸들(40)은 조작자가 그립부(41)에 손을 넣음으로써 소화기(19)를 잡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그것이 운반되거나 사용될 때,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러한 수직방향은 소화기(19)의 보관 또는 작동에 있어서 결정적인 사항은 아니다. 핸들(40)과 상부하우징(30) 내에서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한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핸들(40)의 투명부(transparent portion)(42)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투명부(42)는 소화기(19) 내에서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설치된 것을 보증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는 핸들(40)과 상부하우징(30)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위치들에도 고려될 수 있다.
교체가능한 압축가스 카트리지(50)는 기본적으로 CO2 압축가스 카트리지로 구성되지만,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다른 종류의 가스 카트리지들도 가능하다. 카트리지 내의 가스는 고압 상태이고 액체 상태로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진 가스의 작은 카트리지는 소화기(19)의 내부 화재억제물질(99) 분출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보다 더 큰 소화기에 채택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가스 카트리지들이 고려될 수 있다. 압축된 가스 카트리지들은 이용가능하며 대체되거나 또는 전체 소화기(19)를 점검할 필요 없이 점검될 수 있다. 상기 핸들(40)과 그것의 투명부(42)는 소화기(19)가 낙하되거나 거칠게 다뤄졌을 경우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트리거장치(trigger mechanism)(60)은 챔버(22)를 압축하도록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을 활성화시키고, 호스(81) 및 배출포트(90) 밖으로 화재억제물질(99)을 분출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 도면들은 휘어질 수 있는 호스(81)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고려되는 몇몇 실시예에서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기의 바디에서 노즐(97)의 외부로 소화물질이 흐르는 덕트(duct), 길다란 통로(hollow passage) 또는 노즐(97)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밸브 레버(92)는 배출포트(90)를 개폐시키고, 챔버가 가압될 때 소화기 밖으로 화재억제물질(99)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97)이 사용될 때, 컨트롤 밸브는 소화기 외부로 화재억제물질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노즐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가스 카트리지의 뚫기장치(puncturing mechanism)와 가스 카트리지(50)로부터 챔버(22)로 들어가는 통로는 도 2 에 도시되었다.
도 2 에는 소화기(19)의 단면 모습이 도시되었다. 조작하는 사람은 그의 손이나 장갑을 핸들(40)의 그립부(41)를 통해 위치시키고, 소화기(19)를 운반하거나 이동시키거나 다른 손으로 소화기(19)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재억제물질(99)은 상부하우징(30)이 하부하우징(20)에서 분리됐을 때 확장된 원통형 오프닝(70)을 통해 하부하우징(20) 내부의 챔버(22)에 저장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재억제물질(99)은 챔버(22)의 바닥으로 압축되며 굳어지게 될 것이다. 상기 화재억제물질(99)이 굳어졌을 때, 부적절한 분출의 위험성은 증가된다. 소화기(19) 내에서 다수 개의 플루핑암들(fluffing arms)(120)이 중앙 샤프트(110)에 배치된다. 플루핑휠(fluffing wheel)(100)은 소화기(19)의 밑바닥에서부터 접근 가능하다. 상기 플루핑휠(100)이 회전하는 것은 소화기(19)에서 화재억제물질(99)의 부적절한 분사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화재억제물질(99)을 다시 휘저을 것이다. 상기 플루핑휠(100)을 돌리는 것은 음식 믹서기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억제물질(99)을 유사하게 분해시킬 것이다(흩뜨려놓을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한 하부하우징(20)을 제공하기에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적인 후보이지만, ABC소화분말(ABC dry chemical)의 주요 구성성분인 암모니아 가스에 폴리카보네이트가 접촉할 때, 특히 상승한 온도에서 재질의 변질이 발생하여, 직접적인 노출에서부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고립시키거나 보호할 필요가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할 때, 하부하우징(20)의 내부는 실록산(siloxane)을 기본으로 하는 또는 그와 균등한 것을 갖는 투명보호코팅(21)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21)은 자외선을 차단시킬 뿐만아니라 화학적 그리고 마모 저항성(chemical and abrasion resistance)을 향상시킨다. 상기 코팅(21)은 인산이수소암모늄(monoammonium phosphate)과 분출된 특정 암모니아 가스로의 노출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고립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21)은 필수적인 화학적 저항성을 제공할 것인 반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하부하우징(20)은 필수적인 강도(strength) 및 충격 저항성을 제공할 것이다.
다른 고려할만한 실시예에서는 하부하우징(20)의 외부실린더(23) 내에 내부실린더(21)가 삽입된 두 개의 분리된 실린더들에서 투명한 실린더들로써 하부하우징(20)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트라이탄(tritan), 아크릴(acrylic), 산(san)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외부실린더(23)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는 다른 재질의 투명 내부실린더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외부실린더(23)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될 것이고, 필요한 강도 및 충격 저항성을 갖는 조립체를 제공할 것인 반면에 내부실린더(21)는 인산이수소암모늄에 대해 필요한 화학적 저항성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실린더(21)의 강도는 악조건 또는 충격으로부터 하부하우징(20)의 외부실린더(23)가 손상 받았을 경우라도 안전성을 보장하기 충분하다.
소화기(19) 내부에서부터 화재억제물질(99)을 분출시키기 위하여, 조작자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뚫어야 한다. 압축가스 카트리지(50)는 쓰레드들(나사산: threads)(52)에 의해 고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써 소화기(19)의 상부하우징 내에서 고정된다. 상기 상부하우징(30) 내에서 교체가능한 압축가스 카트리지(50)는 핸들(40)의 투명부(42)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핸들(40)과 그것의 투명부(42)는 소화기가 낙하됐을 지라도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보호하며, 소화기(19) 내부에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설치된 것을 보증(증명)하는 것을 허용한다.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뚫기 위해 조작자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로 구멍핀(62)를 밀어넣는 트리거장치(60)를 내리거나 회전시킨다. 상기 트리거장치(60)와 구멍핀(62)의 세부구성들은 도 6 과 7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뚫리면 가스 및/또는 액체는 챔버(22) 내부로 가압될 것이다.
액화가스가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서 분출될 때,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 내에서 열역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함유된 액체에서 증발이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열역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열은 증발이 이뤄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카트리지 주변환경에서 이용가능한 열이 불충분하다면, 압축된 액화가스의 온도와 압력은 떨어질 것이다. 액화된 CO2 의 경우, 압력이 75 psig 밑으로 떨어지면, 액체 CO2 는 드라이 아이스로 고체화될 것이다. 드라이 아이스가 형성되면, 상기 드라이 아이스는 드라이 아이스가 가스로 상변화되기 위해 가열시키는 주변열식질량(surrounding thermal mass)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을 갖지 못해 소화기(19)의 효과적인 분출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드라이 아이스의 형성은 낮은 온도를 악화시킨다. UL, CSA 와 같은 기관 및 소화기의 요구되는 다른 작동들이 - 40 ℃(-40°F) 이하에서 테스트될 때, CO2 를 갖는 압축가스 카트리지가 직립위치(upright position)에서 수직으로 (즉, 쓰레드들(52)에서 윗쪽 위치로) 배출구(discharge port)를 향하게 되면, 테스트에서는 소화기의 분사가 완료된 후에 CO2 의 40% 이상이 드라이 아이스 형태로 남겨질 수 있음을 보여줬다.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CO2 를 함유하고 역방향으로(즉, 쓰레드들(52)에서 아랫쪽 위치로) 향하게 될 때,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는 삼중점(triple point) 위에서의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서부터 액체 CO2 를 기화시키는 충분한 열을 가까이에서 흡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 내에서 드라이 아이스의 생성은 방지된다. 이러한 개념은 소화기가 - 40 ℃(-40°F)에 있을지라도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에서 거의 100% 의 CO2 가 분출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상기 CO2 가 챔버(22)로 들어가면, 그 곳에는 액체 CO2 를 기체 CO2 로 신속하게 변화시키는 충분한 열과 비교적 큰 부피의 표면적(surface are)이 있다.
화재억제물질(99)과 가스의 혼합물은 중앙 샤프트(110)를 지나게 밀려나고 그 후 상부하우징(30) 내의 플로우패스(flow path)(80)를 지나게 밀려나며, 그것들이 수동적으로 조작가능한 밸브(95)에 눌려 호스(81)를 지나도록 가압되고, 배출포트(90) 외부로 분출된다. 상기 중앙 샤프트(110)는 내장된 사이폰튜브(siphon tube)(112)를 갖되, 거기에서 화재억제물질(99)은 내장된 사이폰튜브(112)를 통해 중앙 샤프트(110)의 바닥에 위치한 다수 개의 홀들로 들어가도록 가압된다. 디스펜싱노즐(96)은 밸브(95)를 갖되, 상기 밸브는 밸브(95)를 개폐시키기 위한 컨트롤로드(94)와 함께 작동된다. 상기 컨트롤로드(94)는 스프링(93)과 함께 밸브(95)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킨다. 조작자가 스프링(93)을 극복하여 컨트롤밸브레버(92)를 누르면 밸브(95)는 열린다. 상기 디스펜싱노즐(96)은 다른 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도 3 에는 디스펜싱노즐(96)의 세부모습이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핸들(40)과 그립부(41)가 있는 부분이 나타난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은 소화기(19) 내부에서부터 연결되고 상부하우징(30)을 지나는 플로우패스(8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95)가 닫힌 위치에 있으면, 압축가스 카트리지(50)가 뚫린 후에 상기 소화기(19)는 가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모든 압력이 '준비된' 이러한 상태에서, 소화기(19) 내부의 화재억제물질(99)은 밸브(9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디스펜싱노즐(96)은 컨트롤로드(94)에 연결된 밸브(95)를 갖는다. 상기 컨트롤로드(94)는 호스(81)에서부터 배출포트(90)로 유동이 허용되도록 뒤로 당겨진다.
조작자는 소화기(19)의 디스펜싱노즐(96)을 한손으로 잡고 동일한 손으로 레버(92)를 조작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조작자는 디스펜싱노즐(96)이 불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92)가 눌렸을 때, 상기 레버는 스프링(93)을 누를 것이고, 상기 컨트롤로드(94)는 활주하여 밸브(95)는 열린다. 상기 밸브(95)가 열렸을 때, 화재억제물질(99)은 배출포트(90) 밖으로 분사될 것이다. 레버(92)에 힘이 해제되면, 상기 화재억제물질(99)의 추가적인 분사가 방지되도록 스프링(93)은 밸브(95)를 닫을 것이다. 이는 소화기(19)의 챔버(22) 내부의 압력을 유지시킬 것이다.
도 4 는 소화기(19)의 상부하우징(30)의 단면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핸들(40)은 조작자가 그립부(41)를 통하여 손을 위치시킴으로써 소화기(19)를 잡는 것을 허용한다. 트리거장치(60)는 핸들(40)의 투명부(42) 아래에 위치하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밀폐된 끝단으로 구멍핀(62)을 들어올리는 리프트플레이트(55)로 연결된다. 압축가스 카트리지(50)는 쓰레드들(52)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상부하우징(30) 내에서 고정된다. 상기 트리거장치(60)와 구멍핀(62)의 상세구조는 도 5 와 6 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었다. 카트리지(50)에 압축된 액체 CO2 가 채워졌을 때,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와 소화기(19) 내부 사이의 플로우패스는 상기 플로우패스를 막거나 제지할 수 있는 드라이 아이스가 형성되는 위험성을 제한할 수 있도록 가능한 평탄하게(smooth)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하우징(20)은 상부하우징(3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밸브(95)가 개방됐을 때,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서의 CO2 또는 압축된 가스에서의 정압(static pressure)은 화재억제물질(99)을 중앙 샤프트(110)의 오프닝들(구멍들)을 통해 아랫쪽을 향해 밀어내고 내장된 사이폰튜브(112)를 통해 윗쪽으로 밀어낸 다음에, 플로우패스(80)를 통해 호스(81)로 밀어낸다. 상부하우징(30)과 관련된 씰들(seals)(109)에 누출(leak)이 발생하면,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가스는 화재억제물질(99)을 우회하고(건너띄고) 플로우패스(80)로 직접 유입되어 결국엔 밸브(95)로 빠져나가 화재억제물질(99)의 사정거리 및 분출량의 감소를 초래할 것이다. 상부하우징(30)에 씰들(109)의 적절한 조립을 보증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30)에 하부하우징(20)을 설치하는 동안에 상부하우징(30)의 가이드형상들(guide features)은 중앙 샤프트(110)에 반영된다.
도 5a, 5b 및 5c 에는 소화기(19)의 분출 이전에 안전노브(safety knob)(72)를 재위치시키는 단계들이 도시되었다. 도 5a 의 초기 단계는 활성되기 이전에 소화기(19)가 어떻게 있는 지에 대한 것이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안전노브(72)는 트리거장치(6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상기 안전노브(72)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이에 따라서 특정 방향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장치(60)를 잠그거나 차단시키고, 안전노브(70)가 90 도 회전됐을 때 상기 안전노브(72)에 의해 트리거장치(60)의 양측변들이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상기 트리거장치(60)의 마주하는 수직 측변들은 안전노브(72)의 플랜지부들(flange portions)(76)에 의해 고정된다. 활성화가 허용되도록 상기 안전노브(72)는 도면번호 68 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안전노브(72)는 나머지 다른 손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b 에서, 상기 안전노브(72)는 트리거장치(60)가 안전노브(72)의 양측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을 향하게 도시되었다. 상기 안전노브(72)가 회전 됐을 때, 상기 회전은 내부 핀들(74)의 부러트림을 야기하고 탬퍼 인디케이터(열린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tamper indicator)(73)를 풀어내거나 꺼낸다. 상기 탬퍼인디케이터(73)를 풀어낸 것은 소화기(19)가 분사된 적이 있고 서비스 검사가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시킨다. 또한, 상기 안전노브(72)가 수직 방향에 있을 때, 핸들(40)의 투명부(42)를 개방시켜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 접근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트리거장치(60)가 세워진 상태 그리고 새로운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삽입할 때 뚫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겨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 없이는 새로운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삽입을 방지한다.
도 5c 에서, 조작자는 트리거장치(60)를 도면번호 69 방향과 같이 아랫쪽으로 당기거나 밀 수 있어서, 상기 트리거장치(60)는 (점선과 같이) 아랫쪽 위치(67)에 놓이도록 도시되었다. 상기 트리거장치(60)가 윗쪽에서 아랫쪽 위치(67)에 놓이도록 회전했을 때, 구멍핀(62)은 압축가스 카트리지(50)를 타공시키며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트리거장치(60)는 다른 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6 에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뚫기 장치가 도시되었다.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은 상부하우징(30) 내의 리테이너(retainer)(56) 내부에 쓰레드들(5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와 쓰레드가 형성된 리테이너(56)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끝단이 타공됐을 때도 움직이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도면에서, 잘 보일 수 있게 패스너들(fasteners)과 동종부품들(duplicate parts) 한 세트는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상기 트리거장치(60)는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끝부분을 타공하여 기계적인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축(58)을 통해 피벗회전한다. 상기 트리거장치(60)의 자유단들(free ends)은 리프트로드들(53); 및 구멍핀(62)이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끝단에 접촉하지 않는 평상시에 상기 트리거장치(60)를 유지시키는 리턴스프링들(43);로 연결된다. (단지 하나만 도시된) 리프트로드들(53)은 서로 연결되고, 선운동(linear motion)으로 구멍핀(62)을 들어올리기 위해 평행관계에 있는 리프트플레이트(55)를 들어올리도록 연동하여 작동한다.
도 7 에는 구멍핀(62)의 상세한 단면모습이 도시되었다. 상기 구멍핀(62)은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끝부분에 있는 씰을 뚫기 위한 뾰쪽한 끝단(61)을 갖는다. 구멍핀(62)이 압축가스 카트리지(50) 내부를 뚫은 상태가 유지되더라도 부분적으로 속이 빈 센터(65)는 가스 또는 액체 CO2 가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서부터 소화기(19)의 챔버(22)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구멍핀(62)은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 상기 핀이 삽입됨에 따라 홀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테이퍼(taper)(66)를 가지며, 상기 테이퍼(66)는 스프링들(54)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통해 압축가스 카트리지(50)에서부터 상기 핀이 즉시 빠져나오도록 기초(draft)를 제공한다. 상기 구멍핀(62)의 일단은 상기 구멍핀(62)이 리프트플레이트(55)에 고정되는 결합형상(assembly feature)(64)을 갖는다. 확장된 생크(enlarged shank)(63)는 상기 결합형상(64)과 부분적으로 속이 빈 센터(65) 사이에서 상기 구멍핀(62)을 지지한다. 상기 구멍핀(62)은 휘어지지 않게 지지되므로, 낙하 중이나 거친 사용 중에도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의 부적절한 뚫기는 회피된다.
소화기들은 일반적으로 Underwriters Laboratory(UL) 과 같이 규제력을 갖는 기관의 승인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소화기에 경우, 하우징은 가압 받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소화기는 분리되어 압축된 카트리지(50)를 사용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50)에서 배출되어 하부하우징(20)으로 확장되는 액화된 가스가 채워진다.
카트리지가 작동하는 소화기에 있어, 상기 매개체의 분사가 시작되기 이전에 압력이 높아지도록 카트리지가 뚫린 후에 5 초의 인터벌이 경과될 수 있다. 소화기는 8 초 보다 적은 분사 지속시간을 가질 것이거나 또는, 소화기의 등급 및 화재진압 테스트를 위한 기준에 요건을 갖춘 최소한의 지속시간을 가질 것이다.
충진된 소화기가 수직자세로 유지될 때, 분사노즐은 수평자세에 놓인다. 그 다음, 상기 소화기가 분사되고, 가스 분사가 지속되는 시간과 분사된 건조한 화학물질의 양이 기록된다.
주위 온도와 가스캐니스터(gas canister)의 방향에 따라, 수직방향 윗쪽으로 분사될 때 드라이 아이스(고체 CO2)의 다른 양들이 CO2 카트리지 내에 유지되고, 반대로 수직방향 아랫쪽으로 분사될 때는 최소량의 드라이 아이스가 유지된다.
도 8 에는 압축된 가스의 방향에 따라서 생성되는 드라이 아이스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었다. 상기 그래프에는 온도가 70°F(45)일 때와 -40°F(46)일 때에서의 드라이 아이스의 양이 나타난다. 70°F 일 때 모든 방향의 자세들에서는 매우 적은 양의 드라이 아이스가 생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40°F 에서 드라이 아이스의 양은 카트리지가 수직방향(47)에 있을 때 40% 넘는 수준으로 생성되었고, 카트리지가 수평방향(48)에 있을 때 대략 15% 정도 수준으로 생성되었으며, 카트리지가 뒤집힌방향(49)에 있을 때 거의 0% 수준으로 생성되었다. 상기 카트리지(50)가 소화기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50) 내에서 더 가벼운 기화된 가스가 더 무거운 액체 CO2 를 오프닝(입구) 외부로 밀어냄에 따라 뒤집힌 카트리지(50)는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 액체 CO2 를 밀어 낸다(밀어 내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결과는 압축된 액체 CO2 카트리지들이 70°F 나 -40°F 중 하나인 상황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될 때 측정되었다. 상기 카트리지들 내부에 남은 드라이 아이스는 카트리지가 뚫린 후에 30 초 있다가 측정되었다.
도 9 에는 플루핑암들(120) 및 내장된 사이폰튜브(112)가 도시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루핑암들(120)과 내장된 사이폰튜브(112)는 중앙 샤프트(110)의 주변에 위치한 단일 단위(single unit)으로써 제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루핑암들(120) 또는 블레이드들(플루핑블레이드)을 갖는(플루핑암들은 블레이드들로도 지칭됨) 사이폰튜브(112)가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루핑암들(120) 또는 블레이드들이 일체로 통합되지 않는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플루핑암들(120) 또는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소화기의 수용량(capacity) 및 등급매김(rating)에 의해 좌우된다. 중앙 샤프트(110)의 하부캡(bottom cap)(111)은 소화기(19)의 바닥면에 끼워진다. 상기 하부캡(111)의 씰들(seals)은 소화기(19)의 바닥에서 외부로 압축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중앙 샤프트(110)의 윗쪽 끝단에 있는 씰들(109)은 화재억제물질(99)의 분사량과 분사 범위의 축소를 초래하는 압축된 가스가 우회하여 플로우패스(80)로 흘러들어가 종국에 밸브(95)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씰들(109)과 하부캡(111)의 씰들은 중앙 샤프트(110)가 소화기(19)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허용된다. 제조시 도움이 되기 위해, 하부캡(111), 내장된 사이폰튜브(112) 및/또는 플루핑암들(120)은 효율적인 방식에 따라 개별 부품으로 분리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내장된 사이폰튜브(112)는 연장된 튜브에 형성된 블레이드들(플루핑암들: 120)을 갖는 연장된 튜브멤버(119)로 제조된다. 하부캡(111)은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 또는 유사한 방식에 의해 연장된 튜브(튜브멤버)(119)에 고정된다.
상기 압축가스 카트리지(50)은 뒤집혔기 때문에, 액화된 가스만 나가고 소화기(19) 내부로 가스가 확장되므로, 카트리지 내의 가스 모두는 분출된다. 액체/가스는 신속하게 분출되므로 음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압력파(pressure wave)(113)가 플루핑암들(120)의 윗쪽을 밀어낸다. 거싯(gusset)(116)은 상기 플루핑암(120)을 지지하고, 상기 플루핑암(120)이 압력파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짧은 기간 동안에 소화기(19) 내부의 압력은 안정된다. 밸브(95)가 열리면, 챔버(22) 내부의 정압은 여기에 첨부된 다른 도면들에서 도시된 중앙 샤프트(110)의 바닥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흡기홀(intake hole)(114)로 화재억제물질(99)을 밀게 된다.
도 10 에는 다수 개의 흡기홀(114) 및 플루핑암(들)(120)의 세부모습이 도시되었다. 상기 플루핑암들(120)은 봉입된 화재억제물질(99)의 혼합 및 분출되는 동안 가압된 화재억제물질(99)의 흐름을 최적화시키는 반면에 회전저항(turning resistance)을 최소화시키도록 폭이 좁고(narrow), (위쪽에 폭이 증가한 부분이) 씌워졌으며(crowned), 엇갈리게 형성되고(staggered), 테이퍼진(tapered) 부분(115)을 갖는다. 상기 플루핑암들(120)에 있는 홀들(117)은 화재억제물질(99)이 플루핑암들(120)과 지지용 거싯(116) 주변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액화된 가스의 압력파(113)은 상기 플루핑암(120)을 위에서 누르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중앙 샤프트(110)의 아랫부분에는 다수 개의 흡기홀(114)이 보이고, 거기에서 상기 화재억제물질(99)은 내장된 사이폰튜브(112)를 통해 흡기홀(114)로 밀려나거나 옮겨지며, 그것들(화재억제물질)은 홀(81)과 디스펜싱노즐(96)을 통해 소화기(19)를 빠져나갈 수 있다. 바닥 씰들(bottom seals)은 중앙 샤프트(110)의 하부캡(111)에 있는 홈들(recesses)에 존재한다. 상기 하부캡(111)의 하부(118)는 중앙 샤프트(110)가 외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허용되는 휠을 외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 모양을 가지나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모양들도 고려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휴대가능한 소화기의 특정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설명된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남 없이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개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내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3)

  1. 화재 억제 물질(99)이 채워지도록 구성된 챔버(22)와, 상기 챔버(22)로부터 상기 화재 억제 물질(99)을 방출시키는 플로우패스(80)를 포함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로서, 상기 챔버(22)는 상기 휴대 가능한 소화기의 사용 동안에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인, 상기 휴대 가능한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챔버(22)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연결되며, 그립부(grip area)(41) 및 투명부(transparent area)(42)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3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42)는 압축 가스 카트리지(50)가 상기 휴대 가능한 소화기에 설치될 때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42)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42)는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고, 상기 투명부(42)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에 대한 사용자 접근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42)의 개방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안전 노브(safety knob)(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노브(72)는 트리거 장치(trigger mechanism)(60)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억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리거 장치(60)는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용 구멍 핀(6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노브(72)가 상기 트리거 장치(60)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이동할 때 풀어내거나 꺼내어지도록 구성된 탬퍼 인디케이터(tamper indicator)(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쓰레드가 형성된 리테이너(threaded retainer)(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드가 형성된 리테이너(56)는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로부터 방출된 상기 화재 억제 물질(99)이 상기 하부 하우징(20)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를 뒤집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22) 안에 있는 상기 화재 억제 물질(99)을 휘젓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루핑 암(120)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플로우 패스(80)에 연결된 내장된 사이폰 튜브(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루핑 암(120)들은 상기 내장된 사이폰 튜브(112)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20) 내에서 상기 내장된 사이폰 튜브(112)를 떠나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된 사이폰 튜브(112)는 하부 캡(111)에 연결되는 연장된 튜브(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루핑 암(120)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인 지지용 거싯(116)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용 거싯(116)은 상기 화재 억제 물질(99)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홀(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2)를 압축시키기 위한 타공 장치(puncturing mechanism)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공 장치는,
    리프트 플레이트(55);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55)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로부터 상기 휴대용 소화기의 챔버(22)로 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를 타공시키도록 구성된 구멍 핀(62); 및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55)에 연결된 트리거 장치(60)로서, 상기 트리거 장치(6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55) 및 상기 구멍 핀(62)의 대응하는 이동을 야기시키며, 상기 구멍 핀(62)으로 하여금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를 파열시켜 상기 압축 가스 카트리지(50)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챔버(22)로 방출시키게끔 하는 것인, 상기 트리거 장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장치(60)의 이동은 상기 챔버(22)를 향한 상기 트리거 장치(60)의 하향 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22)를 떠나는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55) 및 상기 구멍 핀(62)의 상향 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소화기.
KR1020197022032A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201900908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3,761 2014-06-24
US14/313,761 US10350443B2 (en) 2005-11-04 2014-06-24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external gas cartridge
US14/704,820 2015-05-05
US14/704,820 US9993673B2 (en) 2014-06-24 2015-05-05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PCT/US2015/036895 WO2015200174A1 (en) 2014-06-24 2015-06-22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314A Division KR102465810B1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890A true KR20190090890A (ko) 2019-08-02

Family

ID=5768184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032A KR20190090890A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1020177000314A KR102465810B1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1020197022031A KR20190090889A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1020197022033A KR20190090891A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314A KR102465810B1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1020197022031A KR20190090889A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KR1020197022033A KR20190090891A (ko) 2014-06-24 2015-06-22 내부혼합물과 가스카트리지를 갖는 소화기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JP (4) JP6730269B2 (ko)
KR (4) KR20190090890A (ko)
CN (4) CN110613906B (ko)
AU (3) AU2015280284B9 (ko)
CA (1) CA2952648C (ko)
CL (1) CL2016003254A1 (ko)
CO (1) CO2017000556A2 (ko)
CR (3) CR20160588A (ko)
CU (1) CU24378B1 (ko)
DO (1) DOP2016000329A (ko)
EA (2) EA039145B1 (ko)
EC (3) ECSP16094932A (ko)
GE (1) GEP20196979B (ko)
GT (1) GT201600259A (ko)
IL (2) IL281678B (ko)
MA (1) MA40222A (ko)
MX (2) MX2016017027A (ko)
NZ (1) NZ757069A (ko)
PE (2) PE20170420A1 (ko)
PH (2) PH12016502533A1 (ko)
SG (1) SG11201610629TA (ko)
SV (1) SV20160053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653A1 (zh) * 2017-07-12 2019-01-17 顾建磊 一种新型消防灭火设备
CN111821620B (zh) * 2020-07-29 2022-11-25 马鑫 一种干粉灭火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65277A (en) * 1930-12-19 1932-01-21 Harold Ewart Mitchell Improvements relating to fire extinguishers
GB387051A (en) * 1931-10-24 1933-02-02 Ellis Smith Improvements in fire-extinguishing apparatus
US1976056A (en) * 1931-11-27 1934-10-09 Fyr Fyter Co Fire extinguisher
US2208490A (en) * 1938-10-24 1940-07-16 Fraseur Fire extinguisher
US2533685A (en) * 1949-06-09 1950-12-12 Stop Fire Inc Fire extinguisher
US2620038A (en) * 1950-05-16 1952-12-02 Fyr Fyter Co Fire extinguisher
US2610693A (en) * 1950-06-09 1952-09-16 C O Two Fire Equipment Co Fire extinguisher discharge head and carrying handle
GB696702A (en) * 1951-03-12 1953-09-09 Samuel Jones & Co Engineering Portable fire extinguishers
US2796135A (en) * 1955-01-17 1957-06-18 Stop Fire Inc Fire extinguisher
US3251420A (en) * 1964-04-20 1966-05-17 Fire Guard Corp Fire extinguisher with bottom mounted cartridge
FR2031786A5 (ko) * 1969-02-07 1970-11-20 Sachs Frederic
GB1199139A (en) * 1969-04-14 1970-07-15 Firewar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e Extinguishers
BE755065A (fr) * 1969-08-20 1971-02-01 Sicli Extincteur d'incendie a rechargement
DE2012142C3 (de) * 1970-03-14 1974-05-02 Eltro-Plastik Vertriebsgesellschaft Mbh, 5160 Dueren Feuerlöscher
JPS4952499A (ko) * 1972-09-25 1974-05-21
FR2290920A1 (fr) * 1974-11-18 1976-06-11 Sfeme Sarl Vanne d'extincteur
BE846754A (fr) * 1976-09-30 1977-01-17 Dispositif de percement et d'etancheite pour cartouches de gaz carbonique et similaires
JPS54106100U (ko) * 1978-01-11 1979-07-26
JPS571961Y2 (ko) * 1979-05-31 1982-01-13
JPS60104152U (ja) * 1983-12-22 1985-07-16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混合ガスを封入した耐圧容器を用いる消火器
US4650004A (en) * 1984-10-29 1987-03-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rtable dry chemical fire extinguisher
CH672257A5 (ko) * 1987-07-03 1989-11-15 Sicli Materiel Incendie Sa
CN2089820U (zh) * 1991-03-31 1991-12-04 孙桂珍 Co2贮气瓶外置式灭火器
US5623995A (en) * 1995-05-24 1997-04-29 Intelagard, Inc. Fire suppressant foam generation apparatus
FR2741811B1 (fr) * 1995-12-05 1998-01-16 Snc S2E Services Appareil extincteur et berceau pour la fixation de cet appareil, lorsqu'il est portable, a un support
JPH11299916A (ja) * 1998-04-17 1999-11-02 Morita:Kk 加圧式消火器
IT1309902B1 (it) * 1999-12-23 2002-02-05 Domenico Piatti Estintore automatico di incendio pirotecnico.
CN2503919Y (zh) * 2001-10-27 2002-08-07 张镇洋 花瓶式灭火器
JP2004130057A (ja) * 2002-08-14 2004-04-30 Toshiba Corp 消火薬剤および消火器
US7216721B2 (en) * 2004-08-16 2007-05-15 Emc Packaging, Inc. Fire extinguisher unit
US7128163B1 (en) * 2005-11-04 2006-10-31 Hector Rousseau Self servicing fire extinguisher with external operated internal mixing with wide mouth and external CO2 chamber
US7318484B2 (en) * 2005-11-04 2008-01-15 Hector Rousseau Self servicing fire extinguisher with external operated internal mixing with wide mouth and external pressurized canister
US7650948B2 (en) * 2005-11-04 2010-01-26 Hector Rousseau Self servicing fire extinguisher with wall mounting bracket and powder fluffing apparatus
US8757282B2 (en) * 2006-10-12 2014-06-24 Hector Rousseau Self servicing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external CO2 chamber
CN2841066Y (zh) * 2005-12-05 2006-11-29 倪军 消防泡沫液搅动器
JP2007232024A (ja) * 2006-02-28 2007-09-13 Asahi Seisakusho Co Ltd 小型圧力容器および加圧式消火器
JP4969300B2 (ja) * 2006-05-18 2012-07-04 英夫 吉田 消火ガス噴射器
BE1017476A3 (fr) * 2007-02-23 2008-10-07 Delta Extinctors Nv Appareil extincteur d'incendie et son utilisation.
US20090188681A1 (en) * 2008-01-30 2009-07-30 Ming Tung Chang Powder agitat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er
CN201603325U (zh) * 2010-01-22 2010-10-13 张明通 一种灭火器
US20130213675A1 (en) * 2012-02-21 2013-08-22 Randy Rousseau Self servicing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external co2 chamber
CN102979552B (zh) * 2012-12-05 2015-04-01 山东科技大学 煤矿井下防治煤炭自燃和快速灭火装置及其工作方法
CN203342694U (zh) * 2013-06-28 2013-12-18 普罗旺斯番茄制品(天津)有限公司 搅拌罐的搅拌机构
US9144699B1 (en) * 2014-05-31 2015-09-29 Chih-Chen Wang Gas inlet structure for a fire extingui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091494A3 (ru) 2020-11-30
JP2020006197A (ja) 2020-01-16
CN110613906B (zh) 2021-04-09
KR20190090891A (ko) 2019-08-02
PE20170420A1 (es) 2017-05-07
KR20190090889A (ko) 2019-08-02
SG11201610629TA (en) 2017-01-27
AU2020204190A1 (en) 2020-07-09
NZ757069A (en) 2021-07-30
CL2016003254A1 (es) 2017-05-26
CN110559581A (zh) 2019-12-13
MX2016017027A (es) 2017-08-10
AU2015280284B9 (en) 2020-09-10
PH12016502533A1 (en) 2017-04-10
GEP20196979B (en) 2019-06-10
AU2020202217B2 (en) 2021-08-19
SV2016005340A (es) 2017-07-19
EA201790084A1 (ru) 2017-05-31
AU2015280284A1 (en) 2017-02-16
JP6788715B2 (ja) 2020-11-25
CR20160588A (es) 2017-05-22
GT201600259A (es) 2018-10-19
JP2020006199A (ja) 2020-01-16
CA2952648C (en) 2023-05-09
CN110613906A (zh) 2019-12-27
CN110559581B (zh) 2021-09-28
CU24378B1 (es) 2019-01-04
ECSP19064710A (es) 2019-09-30
JP2017520383A (ja) 2017-07-27
MX2019001695A (es) 2019-06-10
AU2020202217A1 (en) 2020-04-16
ECSP16094932A (es) 2017-03-31
EA036118B1 (ru) 2020-09-30
CN106573159A (zh) 2017-04-19
CO2017000556A2 (es) 2017-06-20
CU20160191A7 (es) 2017-09-06
AU2020204190B2 (en) 2021-11-04
CR20190414A (es) 2019-12-19
JP2020006198A (ja) 2020-01-16
KR20170026454A (ko) 2017-03-08
IL281678A (en) 2021-05-31
IL249707B (en) 2021-05-31
CA2952648A1 (en) 2015-12-30
PH12019502045A1 (en) 2020-02-24
CN106573159B (zh) 2020-07-21
CN110721424B (zh) 2021-09-17
AU2015280284B2 (en) 2020-04-02
KR102465810B1 (ko) 2022-11-09
ECSP19010277A (es) 2019-02-28
JP6851444B2 (ja) 2021-03-31
DOP2016000329A (es) 2017-06-15
PE20191803A1 (es) 2019-12-26
JP6851445B2 (ja) 2021-03-31
CN110721424A (zh) 2020-01-24
JP6730269B2 (ja) 2020-07-29
EA202091494A2 (ru) 2020-09-30
CR20190097A (es) 2019-06-07
MA40222A (fr) 2017-05-03
IL249707A0 (en) 2017-02-28
NZ728200A (en) 2021-05-28
EA039145B1 (ru) 2021-12-10
IL281678B (en)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443B2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external gas cartridge
EP3160598B1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US11896858B2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AU2020204190B2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US11305140B1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NZ758094B2 (en) Optical acoustic sensing system and method
NZ728200B2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NZ75809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data mapping
OA18132A (en)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