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87A -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587A
KR20190090587A KR1020180009470A KR20180009470A KR20190090587A KR 20190090587 A KR20190090587 A KR 20190090587A KR 1020180009470 A KR1020180009470 A KR 1020180009470A KR 20180009470 A KR20180009470 A KR 20180009470A KR 20190090587 A KR20190090587 A KR 2019009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yer
adhesive
shap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수
서병국
유호준
황인섭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587A/ko
Publication of KR2019009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3/00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 B31D3/0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 B31D3/0223Making honeycomb cores, e.g. by piling a plurality of web section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두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평행하게 적층 결합 하고, 상기 결합의 각 층마다 접착부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완충 포장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의 구성과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buffe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완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두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평행하게 적층 결합 하고, 상기 결합의 각 층마다 접착부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완충 포장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깨지기 쉬운 제품을 포장할 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 포장재를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 후 재활용할 수 있는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깨지기 쉬운 제품 포장 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완충 포장재를 사용하여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서 포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저유가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를 재활용 하는 것보다 새로 만드는 것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연분해가 어려운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가 지속적으로 새로 생산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로 제작된 완충 포장재는 현재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보편적인 완충 포장재는 국내공개특허공보 특2000-0025173호에서 개시한 형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완충 포장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두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평행하게 적층 결합 하고, 상기 결합의 각 층마다 접착부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완충 포장재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는,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제작방법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의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가 롤에 감기는 준비단계(S510);, 상기 준비단계(S510) 후 시트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내는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형상을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포장대상 제품의 형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후 낱장의 플레이트(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530);,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는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접착제의 도포위치를 교번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 후 상기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결합하고, 다시 필요한 수량만큼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교번하여 둘 이상의 플레이트(100)를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S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에 의할 때,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두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평행하게 적층 결합 하고, 상기 결합의 각 층마다 접착부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완충 포장재를 사용하면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 포장재에 비해 포장비용을 감소시키고, 재생이 가능하며, 사용방법을 간편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허니콤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허니콤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충 포장재는, 깨지기 쉬운 제품 포장 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완충 포장재를 사용하여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서 포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저유가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를 재활용 하는 것보다 새로 만드는 것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연분해가 어려운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가 지속적으로 새로 생산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깨지기 쉬운 제품을 포장할 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 포장재를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완충 포장재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 후 재활용할 수 있는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완충 포장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두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평행하게 적층 결합 하고, 상기 결합의 각 층마다 접착부위를 달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완충 포장재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충격완화부(110)를 제외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완충 포장재로서 충격 흡수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원호 이외의 형상의 돌출부를 가진 실시예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완충 포장재의 특성상 취급의 안전성 및 편의성, 재생가능성을 위해서 원호형상의 돌출부가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실시예로, 높이가 낮은 "ㄷ"자형 플레이트(100)로 완충 포장재를 만들었을 경우, 내부에는 높이가 낮은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원형 접시와 같은 제품의 포장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도 2 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제1층(100') 플레이트(100)의 폭이 가장 좁은 면(101)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 플레이트(100)의 폭이 가장 넓은 면(10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접착제의 도포 위치를 변경하여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허니콤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구성 중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허니콤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도 1 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5 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와 같이, 결합된 플레이트를 접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펼쳐서 포장상자의 바닥면에 넣는 것으로, 포장상자 내부의 완충재로 사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포장재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한편, 완충 포장재의 제작방법은,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의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가 롤에 감기는 준비단계(S510);, 상기 준비단계(S510) 후 시트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내는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형상을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포장대상 제품의 형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후 낱장의 플레이트(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530);,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는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접착제의 도포위치를 교번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 후 상기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결합하고, 다시 필요한 수량만큼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교번하여 둘 이상의 플레이트(100)를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S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절단단계(S520)는,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된 시트를 레이저 가공으로 잘라내거나, 시트 여러장을 겹쳐서 펀칭으로 가공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에서 각 플레이트(100)마다 접착위치를 동일하게 하면서, 상기 결합단계(S540)에서 결합 위치를 각 접착제 도포위치의 거리의 절반의 길이만큼 각 플레이트(100)마다 이격시켜 교번하여 결합하는 것으로도 허니콤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플레이트
100'. 제1층 플레이트
100''. 제2층 플레이트
100'''. 허니콤 구조
101. 제1층 접착제 도포부
102. 제2층 접착제 도포부
110. 플레이트의 충격완화부

Claims (2)

  1.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2. 종이 또는 재생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를 절단하여 제작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 면 또는 두 면이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일정한 원호 형상의 반복적인 돌출부로 형성된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00);를 둘 이상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00)는, 포장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은,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교번해서 결합시키는 방식이고, 결합된 상기 플레이트(100)들을 접착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쳤을 때 허니콤 구조(100''')가 형성되며, 포장대상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100)들의 결합부를 펼치지 않고, 포장상태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종이 또는 재생 가능한 소재의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가 롤에 감기는 준비단계(S510);,
    상기 준비단계(S510) 후 시트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충격완화부(110)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내는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형상을 "1"자형, 원호형, "ㄷ"자형 또는 "ㅅ"자형으로 포장대상 제품의 형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0) 절단단계(S520) 후 낱장의 플레이트(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530);,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는 제1층(100')에는 상기 플레이트(100) 한 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한 간격(101)으로 반복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층(100'')에는 상기 제1층(100')의 접착제 도포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중간지점(102)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 플레이트(100)마다 접착제의 도포위치를 교번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30) 후 상기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결합하고, 다시 필요한 수량만큼 제1층(100')과 제2층(100'') 플레이트(100)를 교번하여 둘 이상의 플레이트(100)를 평행하게 적층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S540);를 포함하는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KR1020180009470A 2018-01-25 2018-01-25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KR20190090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70A KR20190090587A (ko) 2018-01-25 2018-01-25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70A KR20190090587A (ko) 2018-01-25 2018-01-25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87A true KR20190090587A (ko) 2019-08-02

Family

ID=6761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70A KR20190090587A (ko) 2018-01-25 2018-01-25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602A1 (ko) * 2022-04-01 2023-10-05 김범진 완충용 포장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602A1 (ko) * 2022-04-01 2023-10-05 김범진 완충용 포장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176B1 (ko) 제품포장재및그제조방법
US6186329B1 (en) Multiple-grade paper corner post
CA2535586C (en) I-beam wall corner post
US20010001446A1 (en) Protective wrap for protecting and packag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342388B2 (en) Crimping marks reducing wrapper for rolls
US20140050897A1 (en) Packaging structure
KR20190090587A (ko) 완충 포장재 및 완충 포장재 제작방법
US3883000A (en) Shipping package
JP5342762B2 (ja) 緩衝包装紙
JP6954734B2 (ja) 緩衝材
JP5026176B2 (ja) コーナー用緩衝体
JPH08252879A (ja) 段ボールの折り目構造及び積層体形成用の段ボール
JP2013199325A (ja) 緩衝包装紙
JP4042448B2 (ja) 緩衝パッド
JP4918290B2 (ja) パルプモールド緩衝材
KR100560620B1 (ko) 코러패드형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방법
JP2015054707A (ja) フィルムロールの端面保護具及び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
KR100539201B1 (ko) 포장용 종이 완충재
JP5286993B2 (ja) コーナーパッド
WO2019239637A1 (ja) 梱包体の製造方法
JPH1034774A (ja) 段ボール及びその製造装置
JP5633975B2 (ja) 梱包部材
JP4959681B2 (ja) ロール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9156454A (ja) ストッパ用の紙製シート、ストッパ、そのストッパを備えた紙製パレット、そのストッパを備えたキャップおよびそのキャップを備えた紙製パレット
WO2002002413A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