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73A -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573A
KR20190090573A KR1020180009434A KR20180009434A KR20190090573A KR 20190090573 A KR20190090573 A KR 20190090573A KR 1020180009434 A KR1020180009434 A KR 1020180009434A KR 20180009434 A KR20180009434 A KR 20180009434A KR 20190090573 A KR20190090573 A KR 2019009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vehicle
school
children
vehicle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570B1 (ko
Inventor
정선교
Original Assignee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레이더 센서; 및 상기 통학차량이 운행하면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를 통해 승하차 인원을 감지하여 승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이더 센서가 일정 시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승하차 감지 수단을 통해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되, 승하차 감지의 오류로 인하여 통학차량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2차적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of children school bus}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의 통학차량 탑승여부를 인식하여 경고하는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이나 보육시설, 학교, 학원 등과 같은 교육시설에서는 일정하게 정해진 코스를 이동하면서 약속된 장소마다 어린이들을 태운 후 해당 목적지까지 통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승합차 또는 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통학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어린이 통학 버스'라 함은 이러한 어린이를 교육 대상으로 하는 시설에서 어린이의 통학 등에 이용되는 자동차로서 도로 교통법에 의하여 신고된 자동차를 말한다. 어린이 통학 버스로는 유아 교육법에 의한 유치원, 초중등 교육법에 의한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 영유아 보육법에 의한 보육시설, 학원의 설립, 운영 및 과외 교습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학원,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체육시설 등에서 어린이 통학 등에 이용되는 차량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은 아직 의사표현과 움직임이 서툴고 충동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통학차량에 탑승한 이후뿐만 아니라 그 탑승 전후에도 인솔자나 운전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처럼 통학차량의 인솔자나 운전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사고발생을 방지하고자 노력함에도, 통학차량과 관련한 유아나 어린이들의 사고 소식이 각종 뉴스 매체를 통하여 심심치 않게 전해지고 있다.
특히, 탑승한 어린이 모두가 하차하고 않은 상태에서 통학차량이 주차되고, 관리자가 미처 남아있는 어린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통학차량에서 하차하게 되면, 어린 아이가 통학차량 내부에 장시간 방치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어린 아이가 통학차량 내부에 장시간 방치될 경우에는 차 안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호흡곤란 이나 질식 사고의 위험도 크게 증가하곤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아이들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새로운 수단이 요구되는 바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11837호 (발명의 명칭: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되, 승하차 감지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통학차량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2차적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레이더 센서; 및 상기 통학차량이 운행하면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를 통해 승하차 인원을 감지하여 승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이더 센서가 일정 시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어린이가 소지하며,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차 감시 스캐너의 일정 반경 내에 접근하면 상기 승하차 감시 스캐너와 근거리 통신하여 탑승이 인식되도록 하는 탑승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를 통해 상기 탑승자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는,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에 전방측, 중심측 및 후방측에 설치되어, 3곳에서 상기 탑승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지나면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학차량의 주차 시점 이후 기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상기 레이더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10분이 지나면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학차량의 주차 시점 이후 20분간 상기 레이더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더 센서는, 상기 통학차량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후면에 설치되는 반사판에 의해 상기 통학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통학을 관리하는 인솔자가 소지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어린이의 보호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연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레이더 센서에 의해 상기 통학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보호자 전화번호에 경고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되, 승하차 감지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통학차량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2차적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학차량에 설치되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 및 어린이가 소지하는 탑승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학차량에 설치되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 및 어린이가 소지하는 탑승자 단말(2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3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승하차 감지 수단을 통해 어린이(C)의 승하차를 감지하되, 승하차 감지의 오류로 인하여 통학차량(B)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2차적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 탑승자 단말(200), 레이더 센서(300), 제어부(400), 통신부(500) 및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어린이(C)의 통학차량(B) 승하차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탑승자 단말(200)의 접근을 감지하여 어린이의 승하차를 인식할 수 있다.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탑승자 단말(200)이 일정 반경 내로 접근하면 탑승자 단말(200)와 근거리 통신하여 탑승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탑승자 단말(200)을 소지한 상태로, 버스, 밴 등의 통학차량(B)에 탑승하면,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와 비콘 단말 등의 근거리 통신 가능한 탑승자 단말(200)에 의해, 해당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 단말(2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어린이가 통학차량(B)으로부터 하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어린이의 승하차를 인식함과 더불어,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함으로써, 탑승한 어린이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통학차량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중심측 및 후방측에 설치되어, 3곳에서 탑승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첨언하면,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는 모션 센서로 마련되어, 통학차량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실제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고, ID의 식별 없이 승하차 인원수만이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탑승자 단말(200)은 어린이(C)의 통학차량 탑승을 감지하고, 탑승한 어린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탑승자 단말(200)은 비콘 단말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 어린이(C)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C)가 소지하는 가방에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 단말(200)은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에 근접하면,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와 근거리 통신하여 ID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어린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 및 탑승자 단말(200)을 통해 어린이의 승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자 단말(600)에 전달하여 승하차 인원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에 의해 탑승자 단말(200)이 감지되면, 탑승자 단말(200)을 소지하는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탑승자 단말(2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해당 탑승자 단말(200)을 소지하는 어린이가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어린이 승차 인원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에 의해 인식되는 ID 정보를 수신하여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승하차 정보는 관리자 단말(600)에 전달되어, 관리자 또는 인솔자가 승하차 어린이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승하차 정보에는 어린이가 소지하는 비콘 단말의 ID 정보, 이름, 나이, 승차 시간, 하차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지나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더 센서(500)를 기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동작시켜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2차적으로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시동이 꺼지고 10분이 지나면,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의 동작을 중지하고, 레이더 센서(500)를 20분간 동작시켜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500)와 관련하여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400)는 관리자 단말(600)과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통신부(400)는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자 또는 인솔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6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통신부(400)를 통해 관리자 단말(600)에 승하차 정보를 전달하거나, 통학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포켓 와이파이(poket wifi)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500)는 승하차 감지의 오류로 인하여 통학차량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2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어린이가 탑승자 단말(200)을 소지하지 않은 채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탑승한 어린이 모두가 하차하고 않은 상태에서 통학차량이 주차되고, 관리자가 미처 남아있는 어린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통학차량에서 하차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어린이가 차량 운행 중 잠들게 되고, 하차하지 못하고 통학차량 내부에 장시간 방치될 경우에는 차 안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호흡곤란 이나 질식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대비하여, 레이더 센서(500)를 통학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레이더 센서(500)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 시트 뒤의 움직임 또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키가 작은 어린이가 차량 시트 뒤에 가려진 경우에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레이더 센서(500)는 에이사 레이더 등의 고감도 레이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센서(500)는 차량의 내부의 앞쪽 상단에 위치하되, 후방을 향하여 약 90도~120도의 간격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센서(500)는 차량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더 센서(500)의 후면, 즉 레이더 센서(500)와 차량 전방 사이에는, 은박지 등의 반사판을 설치하여 레이더 센서(500)가 통학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통학차량 후방의 탑승 좌석 시트 측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500)는 차량의 상단에 위치하여 후방을 향하여 감지하게 되므로,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어린이의 움직임은 감지하지 못하게 되나, 운전자 또는 관리자는 보통 차량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어린이의 움직임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학차량 내부의 중심이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통학차량의 모든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레이더 센서(500)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는 레이더 센서(500)를 약 3년간 동작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관리자 단말(600)은 승하차를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관리자 단말(6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스마트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통학차량의 운전자, 인솔자 또는 관리자 등이 소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600)에는 승하차하는 어린이의 식별 정보 등의 승하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600)은 제어부(300)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10분이 지나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20분간 레이더 센서(500)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600)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여, 관리자 또는 인솔자가 차량 내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600)을 통해 비상연락망이 설정되어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600)을 통해 어린이들의 보호자들의 연락처를 입력하여, 비상연락 망을 설정하고, 이를 제어부(300)에 전달하여 비상연락 정보로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내 움직임의 감지로 인해 경고 메시지가 발신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비상연락 정보에 포함되는 보호자의 전화번호에도 경고 메시지가 발송될 수 있다. SMS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승하차 감지 스캐너(100) 및 탑승자 단말(200)을 통해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되, 승하차 감지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통학차량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레이더 센서(500)를 통해 2차적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승하차 감지 스캐너
200: 탑승자 단말 300: 레이더 센서
400: 제어부 500: 통신부
600: 관리자 단말 B: 통학차량
C: 어린이

Claims (8)

  1.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승하차 감지 스캐너;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레이더 센서; 및
    상기 통학차량이 운행하면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를 통해 승하차 인원을 감지하여 승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이더 센서가 일정 시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어린이가 소지하며,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차 감시 스캐너의 일정 반경 내에 접근하면 상기 승하차 감시 스캐너와 근거리 통신하여 탑승이 인식되도록 하는 탑승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를 통해 상기 탑승자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차 감지 스캐너는, 상기 통학차량의 내부에 전방측, 중심측 및 후방측에 설치되어, 3곳에서 상기 탑승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지나면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학차량의 주차 시점 이후 기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상기 레이더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학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10분이 지나면 상기 통학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학차량의 주차 시점 이후 20분간 상기 레이더 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통학차량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센서는, 상기 통학차량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후면에 설치되는 반사판에 의해 상기 통학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통학을 관리하는 인솔자가 소지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어린이의 보호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연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레이더 센서에 의해 상기 통학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보호자 전화번호에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180009434A 2018-01-25 2018-01-25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1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34A KR102017570B1 (ko) 2018-01-25 2018-01-25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34A KR102017570B1 (ko) 2018-01-25 2018-01-25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73A true KR20190090573A (ko) 2019-08-02
KR102017570B1 KR102017570B1 (ko) 2019-09-05

Family

ID=6761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34A KR102017570B1 (ko) 2018-01-25 2018-01-25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02B1 (ko) 2020-07-09 2022-04-06 진영일 통학차량의 하차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차확인방법
KR102549382B1 (ko) 2021-02-25 2023-06-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07A (ko) * 2004-02-25 2005-08-30 (주)성진전자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910313B1 (ko) * 2009-02-05 2009-07-31 강종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20140142602A (ko) * 2013-06-04 2014-12-12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70020101A (ko) * 2015-08-13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11837A (ko) 2016-03-30 2017-10-12 강성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07A (ko) * 2004-02-25 2005-08-30 (주)성진전자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910313B1 (ko) * 2009-02-05 2009-07-31 강종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20140142602A (ko) * 2013-06-04 2014-12-12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70020101A (ko) * 2015-08-13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11837A (ko) 2016-03-30 2017-10-12 강성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570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88101B (zh) 确定和响应车辆的内部状态
KR101478053B1 (ko)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US20170092126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KR20210135367A (ko) 자율 주행 차량에서 정차 분석을 향상시키기 위해 승객들의 승하차 시간을 추정하기
CN106652558A (zh) 一种车路协同智能交通控制系统
KR101754603B1 (ko) 어린이를 위한 보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호방법
JP7067441B2 (ja) 運行支援装置、車載装置、運行支援システム、運行支援方法及び運行支援プログラム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1948249B1 (ko)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 차량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1837A (ko)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KR101906785B1 (ko)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102017570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190116778A (ko) 지능형 승하차 알림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101936954B1 (ko) 차량 내 잠자는 아이 확인 기능을 포함하는 통학버스 위치확인 및 안전등하교 관리 시스템
JP2014067125A (ja) 運転支援装置
KR102000554B1 (ko) 통학 차량의 원생 관리 시스템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US202002429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ransportation network
KR101931371B1 (ko) 차량 내 승객 미하차 방지 시스템
KR101826639B1 (ko)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CN107610490A (zh) 路面紧急避让系统及抢险车辆
KR102122816B1 (ko) 통학차량의 안전시스템
KR20200102285A (ko) 비콘을 이용한 유아동의 통학차량 승하차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