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723A -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723A
KR20190089723A KR1020187038021A KR20187038021A KR20190089723A KR 20190089723 A KR20190089723 A KR 20190089723A KR 1020187038021 A KR1020187038021 A KR 1020187038021A KR 20187038021 A KR20187038021 A KR 20187038021A KR 20190089723 A KR20190089723 A KR 2019008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utting edge
small diameter
groov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656B1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에스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9Stepped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24B3/24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of step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8Bits for countersinking having a centering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4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fluting drill sh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23B2251/082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B2251/202Three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5Having stepped cutting edges
    • Y10T408/906Axially spa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부의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홈(5)은, 스텝부(3)의 제2 절삭날(30)을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연삭부(50)와, 그 제1 연삭부(50)보다 스텝부(3)의 힐(7) 측의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연삭부(51)를 구비함으로써, 제1 연삭부(50)를 연삭하는 공정과, 제2 연삭부(51)를 연삭하는 공정과의 2회의 홈 연삭에 있어서, 제1 연삭부(50)와 제2 연삭부(51)를 교차시켜 연삭함으로써, 제1 절삭날(20)에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연삭부(50)의 연삭 시에 제2 절삭날(30)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2 연삭부(51)의 연삭 시에 지석이 제2 절삭날(30)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2 절삭날(30)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큰 마이너스의 각도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삭날(30)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스텝이 형성된 드릴(stepped drill)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텝부(段部)의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경부(小徑部)와 대경부(大徑部)를 접속하는 테이퍼형의 스텝부를 가지고, 그 스텝부에 절삭날이 형성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텝이 형성된 드릴에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경부로부터 스텝부에 걸쳐 일정한 리드(lead)의 홈을 한 번의 연삭(硏削)으로 형성하면, 스텝부의 절삭날이 드릴의 회전 방향 측을 향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스텝부의 절삭날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큰 마이너스의 각도로 되어, 스텝부의 절삭날의 절삭 성능이 저하된다.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05―053817호 공보(예를 들면, 단락 [0006], 도 5) 일본 공개특허 제2003―025125호 공보(예를 들면, 단락 [0017], 도 1)
여기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드릴의 선단부의 절삭날의 외주단 측에, 드릴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형 날부(blade)(볼록한 곡선형 커팅부)를 설치함으로써 절삭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만, 전술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소경부의 절삭날에 볼록형 날부를 설치하면, 스텝부의 절삭날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보다 큰 마이너스의 각도로 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201)에 홈(205)을 연삭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4의 (b)는, 종래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201)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경부(202)의 선단부의 절삭날에 볼록형 날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는 경우, 원하는 홈(205)의 토션각에 대하여, 지석(grindstone)(S)에 소정의 진동각(oscillation angle) θ를 갖도록 한 상태로 홈(205)의 연삭을 행한다. 이 진동각 θ를 가진 지석(S)과 소경부(202)와의 간섭에 의해, 소경부(202)의 절삭날의 외주단 측에 볼록형 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한편, 지석(S)이 진동각 θ를 가지는 것에 의해, 스텝부(203) 및 대경부(204)의 연삭에 있어서도 지석(S)과 스텝부(203)와의 간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부(203)의 절삭날(230)이 스텝이 형성된 드릴(201)의 회전 방향 측을 향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텝부(203)의 절삭날(230)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보다 큰 마이너스의 각도로 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절삭날(230)의 형상으로 접시형 구멍 가공[소경부(202)에 의해 가공된 구멍의 모따기(chamfering)]을 행하면, 모따기 부분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불량이나, 면의 플러킹(plucking)이 발생한다. 즉, 소경부(202)의 절삭날에 볼록형 날부를 구비하는 종래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201)에서는, 스텝부(203)의 절삭날(230)의 절삭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스텝부의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은, 선단부에 제1 절삭날을 가지는 소경부와, 그 소경부의 축 방향 후단(後端)에 접속 제2 절삭날을 가지는 테이퍼형의 스텝부와, 상기 소경부로부터 상기 스텝부에 걸쳐 일정한 리드로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절삭날은, 그 외주단 측에 형성 상기 소경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스텝부의 상기 제2 절삭날을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연삭부(硏削部)와, 그 제1 연삭부보다 상기 스텝부의 힐(heel) 측의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연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삭부와 상기 제2 연삭부와의 교차 부분에 의해 상기 볼록형 날부가 형성된다.
본원의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제3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절삭날은, 그 외주단 측에 형성 소경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절삭날의 절삭 성능(절단감)이 향상된다. 이 경우, 홈은, 스텝부의 제2 절삭날을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연삭부와, 그 제1 연삭부보다 스텝부의 힐 측의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연삭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연삭부를 연삭하는 공정(제1 공정)과, 제2 연삭부를 연삭하는 공정(제2 공정)과의 2회의 홈 연삭에 있어서, 제1 연삭부와 제2 연삭부를 교차시켜 연삭함으로써, 제1 절삭날에 볼록형 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연삭부의 연삭 시에(제1 공정에서) 제2 절삭날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2 연삭부의 연삭 시에(제2 공정에서) 지석이 제2 절삭날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2 절삭날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큰 마이너스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2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제4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제3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의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제2 절삭날은, 그 외주단을 향해 대략 직선형으로 형성되므로, 제2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대략 직선형」이란, 스텝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제2 절삭날이 형성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만곡 형상으로 제2 절삭날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절삭날의 외주단 측의 직경 방향 경사각을, 절삭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예를 들면, ―20°) 이상으로 설정하면 된다.
제5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의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제1 공정 후에 제2 공정이 행해지므로, 제2 절삭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공정을 먼저 행하면, 제1 공정에서 제2 절삭날을 형성하면서 랜드 폭(land width)[리딩 에지(leading edge)로부터 힐에 걸친 폭]의 치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공정을 먼저 행함으로써, 제2 절삭날을 형성하면서 랜드 폭의 치수를 조절하는 것을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삭날을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 절삭날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도 1의 (a)의 Ib―Ib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단면도(斷面圖)이며, (c)는, 도 1의 (a)의 Ic―Ic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의 IIa―IIa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단면도이며, (b)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1차 홈이 연삭된 상태를 나타낸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단면도이며, (b)는, 2차 홈을 연삭하는 방법을 나타낸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에 홈을 연삭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b)는, 종래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여,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은, 가공 기계(예를 들면, 머시닝 센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피가공물에 구멍내기 가공이나 모따기 가공(chamfered process)을 행하는 절삭 공구이며, 텅스텐 카바이트(WC) 등을 가압 소결한 초경합금(超硬合金)으로 형성된다.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은, 소경부(2)와, 그 소경부(2)의 후단[도 1의 (a)의 우측의 단부(端部)]에 접속되는 스텝부(3)와, 그 스텝부(3)의 후단에 접속 소경부(2)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는 대경부(4)와, 이들 소경부(2), 스텝부(3), 및 대경부(4)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홈(5)[도 1의 (b) 참조]을 구비한다.
소경부(2), 스텝부(3), 및 대경부(4)는, 이들의 축을 이루는 축 O의 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스텝부(3)는, 그 직경이 소경부(2)의 직경(본 실시형태에서는, 5㎜)으로부터 대경부(4)의 직경(본 실시형태에서는, 8㎜)로 연속하여 변화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소경부(2)는, 피가공물에 천공 가공을 행하는 부위이며, 그 선단각은 140°로 설정된다. 스텝부(3)는, 소경부(2)에 의해 형성된 구멍의 접시형 구멍 가공을 행하거나, 또는 소경부(2)보다 대경의 구멍을 가공하는 부위이며, 그 스텝각(stepped angle)이 60°로 설정된다. 대경부(4)는, 그 후단측의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홈(5)이 비형성으로 되고, 이러한 영역이 가공 기계에 유지되는 생크(shank)로서 구성된다.
홈(5)[도 1의 (b) 참조]은, 후술하는 제1 절삭날(20) 및 제2 절삭날(30)(도 2 참조)의 경사면을 구성하고, 또한 피가공물의 가공 시에 절삭칩을 배출하기 위한 부위이다. 홈(5)은, 소경부(2), 스텝부(3), 및 대경부(4)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 O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이며, 소경부(2)로부터 대경부(4)에 걸쳐 일정한 리드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도 1의 (b)를 참조하여, 소경부(2)의 제1 절삭날(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b―Ib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의 (b)는, 소경부(2)의 선단각(140°)과 동일한 각도를 따라 절단한 단면(斷面)(이하, 「140°단면」이라고 함)으로서, 제1 절삭날(20)의 능선(稜線)에 따른 단면을 평면으로 투영한 도면이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해칭을 생략하고 있고, 도 1의 (c) 이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경부(2)의 선단면[여유면(flank surface)]과 홈(5)이 교차하는 능선부(稜線部)에 3개의 제1 절삭날(20)이 형성되고, 이들 3개의 제1 절삭날(20)이 축 O을 중심으로 등각도(等角度)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제1 절삭날(20)은, 그 외주단 측에 형성 소경부(2)의 회전 방향(R)으로 볼록한 볼록형 날부(20a)를 구비한다. 제1 절삭날(20)에서의 볼록형 날부(20a)의 선단보다 내주측은, 소경부(2)의 회전 방향(R)의 후방측을 향해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 방향(R) 측을 향한 볼록형 날부(20a)의 선단으로부터 제1 절삭날(20)의 외주(外周) 코너(20b)에 걸친 영역[볼록형 날부(20a)의 외주측]의 직경 방향 경사각은, 마이너스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20°)로 설정된다. 즉, 볼록형 날부(20a)의 선단은, 축 O과 외주 코너(20b)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회전 방향(R) 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절삭날(20)에 의한 구멍 가공 시에 외주 코너(20b)에 결함이나 치핑(chipping)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제1 절삭날(20)의 절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의 (c)를 참조하여, 홈(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c)는, 도 1의 (a)의 Ic―Ic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의 (c)에서는, 스텝부(3)의 140°단면이 도시된다. 또한, 스텝부(3)에서의 홈(5)의 단면 형상은, 그 내주측의 일부의 영역이, 소경부(2)에서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고, 이러한 영역이 도 1의 (c)의 파선(破線)(D)에 상당하고, 도 2 이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즉, 소경부(2)의 140°단면에서의 홈(5)의 형상은, 도 1의 (c)의 파선(D)으로 에워싸이는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5)은, 스텝부(3)의 리딩 에지(6) 측의 영역을 구성하는 제1 연삭부(50)와, 그 제1 연삭부(50)보다 힐(7) 측의 영역을 구성하는 제2 연삭부(51)를 구비한다. 홈(5)은, 제1 연삭부(50)와 제2 연삭부(51)에 의해 축 O을 향해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제1 연삭부(50) 및 제2 연삭부(51)의 교점(交点)(P)은, 회전 방향(R)을 향해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교점(P)은, 파선(D)보다 약간 내주측에 형성되고, 이 교점(P)은, 홈(5)의 연삭 시에 제1 절삭날(20)의 볼록형 날부(20a)[도 1의 (b) 참조]를 형성했을 때 나타나는 부위이다.
즉, 140°단면에서의 교점(P)의 단면 형상(볼록 형상)은, 140°단면에서의 볼록형 날부(20a)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도 1의 (b) 및 도 1의 (c)의 확대 부분 참조]. 그리고, 「대략」동일한 형상이란, 홈(5)의 형성 후에 볼록형 날부(20a)에 챔퍼(chamfer) 가공이 행해지므로, 실제의 볼록형 날부(20a)의 형상과 교점(P)의 형상이 약간 상이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볼록형 날부(20a)와 대략 동일 형상의 교점(P)의 능선이 소경부(2)로부터 스텝부(3)에 걸쳐 홈(5)에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스텝부(3)의 제2 절삭날(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의 (a)의 IIa―IIa선에서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의 (a)는, 스텝부(3)의 스텝각 60°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하, 「60°단면」이라고 함)으로서, 제2 절삭날(30)의 능선을 따른 단면을 평면에 투영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부(3)의 선단면(여유면)과 홈(5)이 교차하는 능선부에 3개의 제2 절삭날(30)이 형성되고, 이들 3개의 제2 절삭날(30)이 축 O을 중심으로 등각도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제2 절삭날(30)은, 60°단면[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선단에서 봄]에 있어서, 그 내주측의 단부로부터 외주단을 향해[소경부(2) 측으로부터 대경부(4) 측에 걸쳐] 대략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 측의 일부는, 회전 방향(R)을 향해 볼록한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의 직경 방향 경사각 θ은, ―20°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텝부(203)의 절삭날(230)이 회전 방향 측을 향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절삭날(230)의 직경 방향 경사각이 큰 마이너스의 각도인] 종래의 스텝이 형성된 드릴(201)에 비해, 제2 절삭날(30)로 접시형 구멍 가공[제1 절삭날(20)과 가공된 구멍의 모따기]를 행한 경우에, 모따기 부분의 표면 거칠기 불량이나, 면의 플러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1차 홈(G1)이 연삭된 상태를 나타낸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2차 홈(G2)을 연삭하는 방법을 나타낸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140°단면에서의 홈(5)의 단면 형상이 도시된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2차 홈(G2)의 홈형상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이 형성된 드릴(1)의 제조 방법은, 1차 홈(G1)을 연삭하는 제1 공정[도 3의 (a) 참조]과, 2차 홈(G2)을 연삭하는 제2 공정[도 3의 (b) 참조]을 구비한다.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은, 지석에 의한 연삭에 의해 홈(5)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절삭날(20) 및 제2 절삭날(30)을 형성하는[홈(5)의 형상을 따라 절삭날 형상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공정은, 축 O을 향해 원하는 심 두께(core diameter)보다 얕게 1차 홈(G1)을 연삭하여, 홈(5)의 제1 연삭부(50)를 포함하는 영역을 연삭하는 공정이다. 즉, 1차 홈(G1)은, 제1 절삭날(20)의 볼록형 날부(20a)의 외주측의 부위[볼록형 날부(20a)의 선단으로부터 외주 코너(20b)까지의 영역]와, 제2 절삭날(30)의 전체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홈이며, 소경부(2)로부터 스텝부(3)[대경부(4)]에 걸쳐 일정한 리드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제1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제2 공정은, 1차 홈(G1)의 홈바닥보다 축 O을 향해 깊게 2차 홈(G2)을 연삭하여, 홈(5)의 제2 연삭부(51)를 연삭하는 공정이다. 즉, 2차 홈(G2)은, 볼록형 날부(20a)의 선단보다 내주측의 제1 절삭날(20)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홈이며, 소경부(2)로부터 스텝부(3)[대경부(4)]에 걸쳐 일정한 리드[1차 홈(G1)과 동일한 리드]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의 2회의 홈 연삭에 있어서, 파선(D)보다 약간 내주 측에서 1차 홈(G1)과 2차 홈(G2)을 교차시키는[회전 방향(R)의 후방측으로 오목한 만곡면끼리를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 방향(R)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20a)[교점(P)]를 제1 절삭날(20)의 외주단 측에 형성하면서, 볼록형 날부(20a)보다 내주측을, 소경부(2)의 회전 방향(R)의 후방측을 향해 오목한 만곡 형상[즉, 제1 절삭날(20)을 훅형(hook type)의 절삭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차 홈(G1)과 2차 홈(G2)을 교차시켜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함으로써, 2차 홈(G2)을 연삭할 때의 지석이 제1 연삭부(50)[1차 홈(G1)으로 형성한 것]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삭날(30)의 절삭날 형상이 원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60°단면에서의 제1 연삭부(50)[1차 홈(G1)]의 단면 형상을 설정하면, 제2 절삭날(30)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1 절삭날(20)에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절삭날(30)의 원하는 형상이란, 바람직하게는, 외주단을 향해 직선형의 형상이지만, 내주측의 일부의 영역만을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즉, 제2 절삭날(30)로 접시형 구멍 가공[제1 절삭날(20)로 형성한 구멍의 모따기]를 행하는 경우, 제2 절삭날(30)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적어도 접시형 구멍 가공을 행하는 영역보다 긴 치수로 제2 절삭날(30)을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직선형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완전한 직선형이 아니고, 회전 방향(R)으로 볼록한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제2 절삭날(30)을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만곡 형상으로 제2 절삭날(3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의 직경 방향 경사각을, 절삭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예를 들면, ―20°) 이상으로 설정하면 된다.
제1 절삭날(20)로 형성한 구멍보다 대경의 구멍을 제2 절삭날(30)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절삭날(30)의 전체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면 되지만, 완전한 직선형이 아니고, 회전 방향(R)으로 볼록한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제2 절삭날(30)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 측의 직경 방향 경사각을, 절삭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예를 들면, ―20°) 이상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2 절삭날(30)로 구멍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절삭날(20)과 마찬가지로,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에 볼록형 날부[회전 방향(R) 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날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2 절삭날(30)에 볼록형 날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 절삭날(30)에 의한 구멍 가공 시에,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에 결함이나 치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제2 절삭날(30)의 절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 절삭날(30)의 형상은, 목적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제2 절삭날(30)을 어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2회의 홈 연삭을 행하면, 제1 절삭날(20)에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하면서, 제2 절삭날(30)의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면, 1번의 홈 연삭으로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절삭날(30)의 직경 방향 경사각을 큰 각도(예를 들면, ―20°이상)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2번의 홈 연삭에 의해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하는 경우, 2차 홈(G2)을 먼저 연삭한 후, 1차 홈(G1)을 형성하는 공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에서는, 스텝부(3)의 랜드 폭[리딩 에지(6)로부터 힐(7)까지의 폭]을 조절하면서 제2 절삭날(30)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1차 홈(G1)을 연삭하여 제2 절삭날(30)을 형성하는 경우, 반드시 스텝부(3)의 랜드 폭이 변화한다]. 따라서, 1차 홈(G1)의 연삭[제2 절삭날(30)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높은 정밀도가 필요해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차 홈(G1)을 먼저 연삭하고 나서 2차 홈(G2)을 연삭하므로, 제2 절삭날(30)을 형성할 때 랜드 폭의 치수를 조절하는 것을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홈(G2)을 먼저 연삭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절삭날(30)을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 절삭날(30)의 절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 개량이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경부(2)의 직경이나 선단각, 스텝부(3)의 스텝각, 대경부(4)의 직경, 볼록형 날부(20a)의 외주측의 직경 방향 경사각, 및 제2 절삭날(30)의 외주단의 직경 방향 경사각의 수치는 예시이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차 홈(G1)의 후에 2차 홈(G2)을 연삭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차 홈(G2)의 후에 1차 홈(G1)을 연삭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2차 홈(G2) 및 1차 홈(G1)의 교차 부분에서 볼록형 날부(20a)를 형성하면서, 1차 홈(G1)과 제2 절삭날(30)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1: 스텝이 형성된 드릴
2: 소경부
20: 제1 절삭날
20a: 볼록형 날부
3: 스텝부
30: 제2 절삭날
5: 홈
50: 제1 연삭부
51: 제2 연삭부
O: 축

Claims (5)

  1. 선단부에 제1 절삭날을 구비하는 소경부(小徑部)와, 상기 소경부의 축 방향 후단(後端)에 접속되고 또한 제2 절삭날을 구비하는 테이퍼형의 스텝부(step portion)와, 상기 소경부로부터 상기 스텝부에 걸쳐 일정한 리드(lead)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경부의 축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stepped drill)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날은, 상기 제1 절삭날의 외주단 측에 형성 상기 소경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blade)를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스텝부의 상기 제2 절삭날을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연삭부(硏削部)와, 상기 제1 연삭부보다 상기 스텝부의 힐(heel) 측의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연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삭부와 상기 제2 연삭부와의 교차 부분에 의해 상기 볼록형 날부가 형성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삭날은, 상기 제2 절삭날의 외주단을 향해 대략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
  3. 선단에 제1 절삭날을 구비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축 방향 후단에 접속되고 또한 제2 절삭날을 구비하는 테이퍼형의 스텝부와, 상기 소경부로부터 상기 스텝부에 걸쳐 일정한 리드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경부의 축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과, 상기 제1 절삭날의 외주단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경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를 포함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을 연삭하는 단계로서 상기 소경부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형 날부를 상기 제1 절삭날의 외주단 측에 형성하는 홈 연삭(硏削)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연삭 단계는,
    상기 스텝부의 상기 제2 절삭날을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연삭부를 연삭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연삭부보다 상기 스텝부의 힐 측의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연삭부를 연삭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2회의 연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삭부와 상기 제2 연삭부를 교차시켜 연삭으로써 상기 볼록형 날부를 형성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외주단을 향해 대략 직선형으로 상기 제2 절삭날을 형성하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후에 상기 제2 단계가 행해지는,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KR1020187038021A 2018-01-22 2018-01-22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KR102178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1761 WO2019142355A1 (ja) 2018-01-22 2018-01-22 段付きドリル及び段付きドリ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23A true KR20190089723A (ko) 2019-07-31
KR102178656B1 KR102178656B1 (ko) 2020-11-13

Family

ID=673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021A KR102178656B1 (ko) 2018-01-22 2018-01-22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3933B2 (ko)
EP (1) EP3536432B1 (ko)
JP (1) JP6576573B1 (ko)
KR (1) KR102178656B1 (ko)
CN (1) CN110461515B (ko)
WO (1) WO2019142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0459B2 (en) * 2020-04-30 2022-03-01 The Boeing Company Tools and methods for forming aligned holes from near full-sized ho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817A (ja) 1991-08-26 1993-03-05 Mikuni Corp メンバーシツプ関数発生回路
JP2001105216A (ja) * 1999-10-01 2001-04-17 Akio Takewa 段付き回転切削工具
JP2003025125A (ja) 2001-07-10 2003-01-29 Mitsubishi Materials Corp ドリル
JP2010131736A (ja) * 2008-12-08 2010-06-17 Kyowa Seiko Kk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の加工方法
JP2014069246A (ja) * 2012-09-27 2014-04-21 Kuritakoki Co Ltd ドリル及び穴明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7117A (en) * 1927-04-01 1930-02-11 Dayton W Klein Method of making multiple diameter cut tools
JPH035371Y2 (ko) * 1986-09-03 1991-02-12
JPH0553817U (ja) * 1991-12-26 1993-07-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あけ工具
CN2231586Y (zh) * 1995-12-01 1996-07-24 郭显达 加工成型孔用螺旋槽钻头
JP2002200511A (ja) * 2000-12-28 2002-07-16 Nippon Choko Kk バニッシングドリル
JP2003334709A (ja) * 2002-05-13 2003-11-25 Nippon Choko Kk 段付ドリル
DE20318529U1 (de) * 2003-11-29 2005-04-07 Ruko Gmbh Praez Swerkzeuge Mehrstufenbohrer mit bestimmten Schneidkantenwinkeln in den Übergangsbereichen zwischen den zylinderähnlichen Abschnitten unterschiedlichen Durchmessers
JP4418408B2 (ja) * 2005-07-04 2010-02-17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段付ドリル
MX2009003706A (es) * 2006-10-13 2009-04-22 Kennametal Inc Punta para una broca.
CN201008996Y (zh) * 2007-03-22 2008-01-23 由光宇 多刃丝锥钻
JP2009184043A (ja) * 2008-02-05 2009-08-20 Tungaloy Corp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45283B2 (ja) * 2011-12-27 2016-07-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ドリル
DE102012012479A1 (de) * 2012-03-26 2013-09-26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Bohrer
WO2013179417A1 (ja) * 2012-05-30 2013-12-05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3枚刃ドリル
CN202606942U (zh) * 2012-07-04 2012-12-19 邱立华 能够形成柱锥形孔的钻头
JP6442421B2 (ja) * 2014-02-10 2018-12-19 栗田工機株式会社 ドリル及び穴明け方法
CN104439436A (zh) * 2014-12-04 2015-03-25 常州市仁达合金工具有限公司 一种钻孔攻丝一体刀
CN104816025A (zh) * 2015-05-27 2015-08-05 启东市吕四科技创业中心有限公司 一种钻头
DE112016002398B4 (de) * 2015-05-28 2023-12-21 Kyocera Corporation Bohrer und verfahren des herstellens eines bearbeiteten produkts
CN205147411U (zh) * 2015-11-10 2016-04-13 上海煤气第二管线工程有限公司 一种双级钻头
CN205967538U (zh) * 2016-08-27 2017-02-22 杭州比诺精密工具有限公司 整体hm阶梯麻花钻
CN107262786A (zh) * 2017-08-10 2017-10-20 扬州市实力五金工具工贸有限公司 一种带停止节阶梯钻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817A (ja) 1991-08-26 1993-03-05 Mikuni Corp メンバーシツプ関数発生回路
JP2001105216A (ja) * 1999-10-01 2001-04-17 Akio Takewa 段付き回転切削工具
JP2003025125A (ja) 2001-07-10 2003-01-29 Mitsubishi Materials Corp ドリル
JP2010131736A (ja) * 2008-12-08 2010-06-17 Kyowa Seiko Kk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の加工方法
JP2014069246A (ja) * 2012-09-27 2014-04-21 Kuritakoki Co Ltd ドリル及び穴明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6432A4 (en) 2020-11-04
KR102178656B1 (ko) 2020-11-13
CN110461515B (zh) 2020-09-25
US20210229189A1 (en) 2021-07-29
JP6576573B1 (ja) 2019-09-18
EP3536432A1 (en) 2019-09-11
CN110461515A (zh) 2019-11-15
EP3536432B1 (en) 2021-08-25
JPWO2019142355A1 (ja) 2020-01-23
US11103933B2 (en) 2021-08-31
WO2019142355A1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959B1 (ko) 연마드릴
US20180043441A1 (en) Drill
JP2008279547A (ja) 溝加工方法および総形回転切削工具
JP2007007831A (ja) 段付ドリル
WO1990008614A1 (fr) Meche
CN110446575B (zh) 球头立铣刀
JP3111276U (ja) 面取りエンドミル
KR20110109831A (ko) 리머
CN110167702B (zh) 模具加工用立铣刀
JP4677722B2 (ja) 3枚刃ボールエンドミル
KR101617972B1 (ko) 인덱서블식 드릴의 드릴 본체
JP2009184043A (ja)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9723A (ko) 스텝이 형성된 드릴 및 스텝이 형성된 드릴의 제조 방법
JP2009184044A (ja)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4477A (ja) ドリル
JP4941356B2 (ja) 穴あけ工具
JP2009050994A (ja) 穴加工工具
JP2022532123A (ja) ソリッドエンドミル
JP6962688B2 (ja) 段付きドリル
JP4346878B2 (ja) 二番取り型の切削工具
JP2007283467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4972967B2 (ja) 穴加工工具
KR200237201Y1 (ko) 인벌류트 형상 가공용 복합 엔드밀
JPH09272015A (ja) テーパリーマ
WO2022064595A1 (ja) 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