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05A -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05A
KR20190088805A KR1020180007326A KR20180007326A KR20190088805A KR 20190088805 A KR20190088805 A KR 20190088805A KR 1020180007326 A KR1020180007326 A KR 1020180007326A KR 20180007326 A KR20180007326 A KR 20180007326A KR 20190088805 A KR20190088805 A KR 20190088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rmulation
sodium
table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301B1 (ko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102018000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3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여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5 중량%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형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말제제의 원료 제형에 발포형 성분인 베이킹소다인 탄산수소나트륨과 말산(L-malic acid)을 첨가하여 제형 모양에 주조틀에서 타공하여 정제형으로 성형을 한 뒤 타정 정제의 제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일리톨 시럽을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물 없이 씹으면서 거품이 생성되어 발포로 인한 기포들이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미백, 치석 침착예방, 구취억제 등 심미적인 것과 잇몸질환의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oothpsate composites typed effervescent and that 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구강내의 청량감과 구강 위생제 유효성분의 전달이 용이한 구강 위생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액상이나 연고상의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이 아닌 타블렛에 천연 베이킹소다와 L-말산(L-malic acid)을 첨가하여 성형하고 타정한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말제제의 원료 제형에 발포형 성분인 베이킹소다인 탄산수소나트륨과 L-말산(L-malic acid)을 첨가하여 제형 모양에 주조틀에서 타공하여 정제형으로 성형을 한 뒤 타정 정제의 제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일리톨 시럽 혹은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물 없이 씹으면서 거품이 생성되어 발포로 인한 기포들이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미백, 치석 침착예방, 구취억제 등 심미적인 것과 잇몸질환의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치아를 청결하게 하고 연마할 목적으로 칫솔에 묻혀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로서, 분말, 크림, 액상 등으로 되어 있다. 소독작용, 치석용해작용, 냄새감퇴작용 및 충치나 치조농루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구성성분으로는 먼저 기제를 들 수 있다. 이것에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치아의 기계적 청소에 도움이 되는 것인데, 그 입자의 크기, 경도, 모양이 적당하지 않으면 치아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는 대략 1 내지 20㎛으로서 균일할 것, 형태는 너무 예민하지 않을 것, 굳기는 모스 굳기 3도 정도일 것 등이 기제의 조건으로 요구된다.
이 기제 외에 청정제, 향료, 색소, 살균소독제, 치석용해제, 중화제 등이 조금씩 혼입되어 있다. 크림 타입에는 이외에도 접합제, 안정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즉, 구강 및 치아의 세정을 위해 사용되는 치약으로는 페이스트 치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거나 튜브의 뚜껑을 열어둔 채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튜브의 앞 부분이 고화되어 쉽게 짜지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튜브 내부에 잔류되는 치약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없고, 치약이 주입되는 튜브는 일회용으로서 매번 버려야하므로 낭비가 심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치약을 알뜰히 사용할 수 있고, 용기의 재사용이 가능한 액상치약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상치약은 그 사용시에 액상의 치약 조성물이 쉽게 흘러내려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낭비가 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정제형 치약은 건식 타입으로 분말제제를 타정하기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정제형을 만드는 경우와 분말 제제에 결합제로 물 또는 겔화제를 넣어 과립형태로 제조한 뒤 저압 타공식으로 만드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인 제조형태는 정제형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분말제제 결합제의 경우 LG생활건강의 생산 및 판매는 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이 후자를 택하고 있다.
분말제제 타정의 경우 분말을 직접 타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품이 부서지기 쉽고, 또한 포장 후 운반 및 흔들림에 의해서도 부서지고, 더 치명적인 단점은 입에 넣고 씹을 때 분말이 말리고 이 사이에 끼이고 이물감이 많이 느끼는 단점이 있다,
과립형태의 타공식의 경우, 물 또는 겔화제를 넣어서 과립을 만든 뒤 저압타공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 쉽게 제형의 변화가 올 수 있고 또한 씹을 때 끈적이는 느낌과 함께 이물감을 많이 느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과립형태의 타공 및 저압타공을 통해 제조되는 단점을 보완한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젤리 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Jelly toothpas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특허등록번호 제10-1272225호)
2. 천연 치약 제조 방법(Method for making natural toothpaste)(특허등록번호 제10-1692232호)
3. 비수 발포성 치약 조성물(Water-free typed effervescent toothpaste composition)(특허등록번호 제10-10565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말제제의 원료 제형에 발포형 성분인 베이킹소다인 탄산수소나트륨과 말산(L-malic acid)을 첨가하여 제형 모양에 주조틀에서 타공하여 정제형으로 성형을 한 뒤 타정 정제의 제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일리톨 시럽 혹은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물 없이 씹으면서 거품이 생성되어 발포로 인한 기포들이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미백, 치석 침착예방, 구취억제 등 심미적인 것과 잇몸질환의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형의 형상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해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다음 공정으로 자일리톨을 이용한 시럽으로 코팅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정제형 치약을 한두번 씹은 후 치솟질에 의해 양치를 할 수 있도록 휴대 또는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여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5 중량%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형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은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자일리톨,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제제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 1 공정; 혼합된 치약 분말제제를 정제형 형상을 가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금속형 주조틀에 타공하여 정제형 제형을 형성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형을 자일리톨의 시럽으로 코팅처리하고 건조하는 제 3 공정; 및 상기 3 공정을 통해 건조된 타정 및 코팅되어 형성된 제형을 휴대시 부서짐을 방지하고 씹을때 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처리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은 정제형 치약 조성물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L-말산 10 중량% 및 자일리톨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분말제제의 원료 제형에 발포형 성분인 베이킹소다인 탄산수소나트륨과 말산(L-malic acid)을 첨가하여 제형 모양에 주조틀에서 타공하여 정제형으로 성형을 한 뒤 타정 정제의 제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일리톨 시럽을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물 없이 씹으면서 거품이 생성되어 발포로 인한 기포들이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미백, 치석 침착예방, 구취억제 등 심미적인 것과 잇몸질환의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정제형의 형상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해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다음 공정으로 자일리톨을 이용한 시럽으로 코팅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정제형 치약을 한두번 씹은 후 치솟질에 의해 양치를 할 수 있도록 휴대 또는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원료 분말 제형에 발포형 성분인 천연베이킹소다와 산을 첨가하여 물 없이 씹으면서 바로 발포거품이 생성되어 치약으로서의 효능을 발휘하고, 타정정제의 제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일리톨 시럽을 이용하는 코팅공정으로 제형의 치약을 입에 넣었을 때 씹으면서 발포가 이루어지면서 원료들의 용해가 잘 이루어지고 발포로 인한 기포가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해 치약으로서의 세정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자일리톨,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제제를 타공하여 정제형으로 성형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껌을 씹듯이 이물감을 없애고 미백, 치석 침착 예방, 구취억제 등 심미적인 것과 잇몸질환의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되는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자일리톨,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유효성분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솔비톨(sorbitol)은 포도당과 같은 육탄당을 환원하여 얻는 6가 알코올의 일종으로 설탕과 유사한 단맛을 낸다. 연소성과 흡습성을 지닌 흰색의 결정으로, 단맛이 있고 물이나 알코올에 잘 녹는다. 사과, 복숭아, 마가목 따위의 과즙에 함유되어 있다. 화장용 로션, 크림, 치약, 식품 첨가제, 비타민 시(C)의 합성 원료, 당뇨병 환자의 감미료, 이뇨제 따위에 쓴다. 녹는점은 93~97.5℃. 화학식은 CH2OH·(CHOH)4CH2OH이다. 솔비톨은 식품 첨가제로 습윤조정효과, 단백질 변성방지, 저칼로리, 저감미, 난충치성, 인슐린 빈의존성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제과, 식품, 수산물, 치약 및 화장품 공업, 의약품 공업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내열성 및 청량감이 우수한 저감미 보습제로서 충치균에 의해 발효가 되지 않기 때문에 치약과 무설탕 껌과 같은 식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단백질 변성방지 및 습윤조정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며 보향성이 우수하여 식품 및 음료의 향미를 오랫동안 지속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Silicon Dioxide(SiO2)라고 부르며, 물, 식물, 동물 및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며, 주로 식물과 곡류에서의 함량이 높은데, 지구 지각 59%는 실리카이며 지구상에서 알려진 암석의 95% 이상이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다. 식품첨가제로서 이산화규소는 고화방지제(Anticaking agent)로서 사용된다.
상기 불화나트륨은 불화 소다라고도 하는데, 수용성의 나트륨염. 수용성 불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물을 음료수로 상용하면 반상치(斑狀齒)가 되며 뼈도 부서지기 쉽게 된다. 그러나 현재 일부 국가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같이 수돗물에 적당량의 불소 나트륨을 첨가한 경우에는 충치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치질강화, 내산성 증강작용이 있으며, 발효와 산 생성을 하는 세균의 효소작용을 억제한다.
상가 염산피리독신(pyridoxine hydrochloride)은 흰 결정체의 가루로서 물에 잘 녹으나 알코올과 다른 유기 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효모, 곡물, 감자, 배추, 바나나, 콩, 고기, 물고기, 달걀, 우유에 그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피로인산나트륨은 무색∼백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무수물은 백색의 분말, 입상 또는 덩어리인 피로인산염류 품질개량제로서, 결정물(10수염) 및 무수물이 있고, 각각을 피로인산나트륨(결정) 및 피로인산나트륨(무수)이라 칭한다. 화학식은 Na4P2O7·nH2O 이다. 물에 용해되며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다. 수용액(1→100)의 pH는 9.9 ∼ 10.7 이다.
Fe+++, Cu++, Ca+++ 등의 금속이온과 가용성 착염을 만드는 힘이 강하여 금속이온에 대한 봉쇄작용이 크다. 풍화성이 있으며 무기산의 존재하에서 끓이면 Na2HPO4로 변화된다. 피로인산나트륨은 축합도가 적은 것이 열가수분해에 대해 강하고 pH가 높으면 축합 인산과 같은 특이성이 있으며, 분산 및 해교작용(解膠作用)이 있고 지방의 산화방지 작용을 위해 식품에 널리 사용한다.
어육연제품의 탄력증강제로 쓰이며, 어육소시지에 피로인산나트륨과 포도당 및 소르빈산을 첨가하면 세균에 의한 제품의 연화를 방지한다. 유제품에서는 치즈의 용융제, 유화제로 사용되며 치즈 중의 카제인이 칼슘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축합인산을 첨가하면 칼슘이 떨어져 카제인의 점도가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정인산염, 메타인산염 등과 섞어서 사용하면 치즈가 연하게 되어 신정성이 풍부해 진다. 간장의 변색 방지, 색조 및 광택의 증진, 점조성 증가, u효상태가 좋아진다. 청량음료, 과일, 빙과류에 산화방지, 점조성 증가에 효과가 있으며, 청량음료수는 보존 중 침전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스크림 오버런의 증진 및 지방의 유화분산에 효과가 있으며 피로인산염을 첨가하면 아이스크림의 카제인 점도가 증대된다.
상기 자일리톨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산을 형성하지 않는 천연 소재의 새로운 감미료로서 핀란드에서 발견한 것으로, 자작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수목에서 채취되는 성분을 원료로 하여 껌(gum) 등으로 만들어 치아에서 당을 분해할 때 생기는 산에 의해 에나멜질이 녹는 것을 억제한다. 이 감미료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데 인슐린작용을 개재하지 않고 세포에 들어가 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의료용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포도당 대용으로 에너지 보급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추출과정은 먼저 자작나무를 잘게 쪼개 물에 넣고 가열하면, 다당체인 자일란이 분해되어 자일로스로 바뀐다. 이 자일로스를 여러 공정을 거쳐 순도를 높인 뒤 환원시키면 자일리톨이 되는데, 자일리톨은 5탄당 구조를 가지므로 충치는 충치균인 뮤탄스균이나 소르비누스균이 음식물에 들어 있는 포도당·과당 등을 먹고 배출하는 젖산이 치아의 표면을 부식시키는데, 충치균은 6탄당은 쉽게 분해하지만 5탄당인 자일리톨은 분해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충치의 원인인 산(酸)이 발생하지 않고, 결국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한 충치균은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더욱이 자일리톨은 입 안을 시원하게 해 주는 청량 효과까지 있어 침 분비를 촉진하는 등 충치 예방에 적합해 충치 예방 식품의 첨가물로 이용된다.
상기 아스파탐(aspartame)은 아스파르테임이라고도 한다. 화학명은 N-L-α-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으로 성상은 흰색의 결정성 분말이며, 냄새는 없다. 감미도는 설탕의 200배 정도이지만, 식품의 특성과 사용 농도에 따라 150 ~ 200배를 나타내는데, 고감미 감미료 가운데 설탕과 가장 비슷한 맛이 나고, 인공감미료와 달리 쓴맛이 없다. 체내에서는 일반 단백질처럼 분해·소화·흡수되고, 포도·오렌지·레몬 등의 과일향을 높여주며, 의약품이나 커피 등의 쓴맛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1g당 열량은 설탕과 같은 4㎉이지만, 설탕의 200분의 1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저칼로리 감미료로 많이 사용되는데, 아스파탐(Aspartame)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인공감미료다. 사카린,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고감미 감미료와는 달리 쓴맛이 없어 깨끗하다. 오렌지, 포도와 같은 과일 향을 한층 더 강하게 느낄 수 있으며 커피의 쓴맛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은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로서 비타민 C라고도 한다. 화학식 C6H8O6 로서 괴혈병에 특효가 있는 물질로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소르보오스로부터 케토굴론산을 거쳐 공업적으로 합성되고 있다. 천연에는 녹차 ·레몬 ·시금치 ·양배추 등에 많이 들어 있고, 동물체 내에서는 부신피질 속에 특히 많이 들어 있다.
상기 애플민트(Apple mint)는 감기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식물로서, 내한성과 번식력이 강하며 주로 반그늘 상태에서 잘 자라는데, 유럽이 원산인 허브의 일종이다. 높이 30∼60cm로서 사과와 박하가 섞인 듯한 향기가 나며, 꺾꽂이 또는 포기나누기로 번식되는데 사과와 박하를 섞은 듯한 순한 향기가 나며, 잎은 달걀 모양으로 둥글며 연하게 느껴지고 흰털이 있는데, 민트의 변이종으로 사과에서 나는듯한 향기가 나며 각종 요리나 향기 보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감기, 콜레라, 위장병, 두통, 진통, 발한, 히스테리에 효과가 있고, 차, 과자, 기호음료, 화장품, 비누, 목욕제품, 포푸리로 이용 가능하다. 차로 마시면 소화불량이나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고, 고기, 생선, 계란요리의 향료로 사용된다.
잎으로 허브차를 만들어 마시면 소화불량이나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고기요리에 반드시 들어가는 향신료이며, 생선요리·달걀요리 등에도 사용된다. 약용하기도 하는데, 살균소독, 건위강장, 진정 및 진통작용에 좋으며 입냄새를 없애는 효과도 있어 치약에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페퍼민트(Peppermint)는 높이 90㎝ 정도로서 줄기는 뿌리에서 나와 곧추서거나 위로 올라가며, 땅에 뿌리를 내리며 퍼져 나가는데 잔털이 있는 잎은 마주보기로 뾰족하게 나며, 잎줄기가 있고,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에는 5~8쌍의 잎맥이 있다. 꽃은 보라색으로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수상꽃차례로 핀다. 종 모양의 꽃받침은 5편으로 갈라지며, 4편으로 갈라진 꽃부리는 꽃받침보다 길며, 생잎이나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바싹 말린 줄기는 요리 재료로도 사용된다.
페퍼민트 정유의 주요 성분인 멘톨은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식용과 약용, 방향제의 원료 사용된다.
페퍼민트는 멘톨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진통 효과를 통해 치통을 완화시켜줄 수 있고 인후염과 편도선염과 같은 호흡기 관련 질환 완화에 효능이 있어 치약에 포함될 경우 양치를 통해 염증 완화 효과가 있음은 물론, 페퍼민트 특유의 향으로 구취제거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아라비아검(Gum arabic)은 아카시아의 수액을 굳혀서 만든 천연검의 일종으로 Acacia nilotica로 부터 추출되어왔으나, 근래에는 대부분 Acacia senegal과 Vachellia (Acacia) seyal로부터 추출하는데, 상업적인 목적으로 야생수로부터 검(gum)을 채취하는데, 아라비아검은 당단백질과 다당류의 고분자 혼합물로서, 아라비아검에서 처음으로 추출되어 분리된 아라비노오스와 리보스를 얻는데에 사용되며, 식품산업에서 안정제(stabilizer)로서 주로 사용되며 잉크의 점성 조절, 인쇄, 화장품, 직물 산업에 사용된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Sodium hydrogen carbonate)은 탄산 수소 소듐, 베이킹 소다,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소다, 중조 등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백색의 결정덩어리 또는 결정성분말이다. 화학식은 NaHCO3이다. 물에 쉽게 녹아 가수분해되고, 알코올에 녹지 않는다. 탄화수소나트륨의 수용액은 조제 직후 약알칼리성을 나타내지만, 장시간 방치하거나 가온하면 pH가 증가된다. 약 65℃ 이상에서 서서히 탄산가스를 발생하며 300℃ 이상 가열하면 분해된다(2NaHCO3 → Na2CO3 + H2O + CO2). 단독 사용하는 경우 가스 발생량이 적어 팽창력이 저하되고, 제품이 누렇게 변색되며, 쓴맛이 나타나기 때문에 구연산, 주석산 등의 산제를 함께 사용되고, 주로 빵이나 비스킷 제조 시 팽창제로 사용되며 합성팽창제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특히, 단백질의 보수성을 향상시켜 식품의 조직세포를 연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외에 알칼리제, 완충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오염물질을 흡착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세제 대용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상기 L-말산(L-MALIC ACID)은 사과·포도 등 천연 과일에 함유되어 있고, 분자식은 HOOCCH(OH)CH2COOH이며, 화학식 C4H6O5이며 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이다. 조해성이고 무색의 침상결정으로 분자량 134.09, 비중 1.595, 녹는점 100℃, 끓는점 140℃로서 물과 에탄올에는 잘 녹으나 에테르에는 잘 녹지 않는다.
식품에 신맛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시트르산회로의 중간체, 푸마르산수화효소에 의한 푸마르산의 물 첨가를 통해 생성되며 말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옥살로아세트산이 되는데, 말산효소에 의해 가역적으로 피루브산과 CO2에서 생성한다. 발아종자의 글리옥시솜에서는 아세틸 CoA와 글리옥실산에서 생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제조방법은 크게 분말제제 혼합공정(S100), 정제공정(S200), 코팅공정(S300), 건조공정(S400), 표면그라인딩 공정(S500) 및 포장공정(S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제형 치약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해 각 단계별로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말제제 혼합공정(S100)
정제형 치약 제조를 위해 습윤제, 연마제, 점증제, 보존제, 감미제, 항산화제, 발포제, 약용성분에 해당하는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자일리톨,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제제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을 적량으로 청량하여 혼합기에 넣는다.
습윤제는 적당한 습도를 가지게 하여 습윤성을 높이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로서 솔비톨(sorbitol)이 사용된다.
연마제는 치아표면에 붙은 더러운 것을 제거하고 치아를 빛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산화규소를 사용하는데, 상기 이산화규소는 점증제 및 점도조절제의 역할하고,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산화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첨가물로서 사용되며,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구취를 제거하고 치통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약용성분인 불화나트륨은 충치 예방, 농루 예방, 치아 미백, 치석의 침착 방지, 구취 예방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불소 화합물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연마제는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 따위를 제거하여 치아면에 본래의 광택을 주는 작용을 하기 위함인데, 치아의 에나멜(Enamel)질의 경도는 6~7이므로, 연마제는 치아의 질을 상하지 않게 하는 경도 3 또는 그 이하에 있는 것을 사용하며, 연마제의 입경(粒徑)은 1~20㎛의 작은 것이다. 연마제들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한정하고 있는 것은 치아의 에나멜질(質)을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화나트륨은 프라그 제거제로서 구강내 세균을 억제하여 프라그를 제거해주고 구강 내 질환예방과 구취제거의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을 적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과 말산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정제형 타블렛을 씹을 때 발포가 이루어지면서 원료들의 용해가 더 잘 이루어지고 발포로 인한 기포들은 치아 사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해 치약으로서의 세정효과를 제공한다.
(2) 정제공정(S200)
상기 혼합된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를 위한 분말 제제를 정제형 형상을 가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금속형 주조틀에 타공하여 발포 정제형 제형을 형성한다.
(3) 코팅공정(S300)
상기 정제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형을 자일리톨 15 중량%의 시럽으로 코팅처리한다.
상기 자일리톨(xylitol)은 천연 감미제로서 단맛을 느끼게 하며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5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충치균인 뮤탄스균이나 소르비누스균이 음식물에 들어 있는 포도당·과당 등을 먹고 배출하는 젖산이 치아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현상을 말하는데, 충치균은 6탄당은 쉽게 분해하지만 5탄당인 자일리톨은 분해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충치의 원인인 산이 발생하지 않고, 결국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한 충치균은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4) 건조공정(S400)
상기 코팅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형을 건조공정을 진행한다.
(5) 표면그라인딩 공정(S500)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타정 및 코팅되어 형성된 제형을 휴대시 부서짐을 방지하고 씹을때 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처리 한다.
(6) 포장공정(S600)
상기 그라인딩 처리된 타블렛 형태의 발포 정제형 치약을 용도에 맞게 포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형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자일리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제제의 함량을 조정하고 정제, 코팅, 건조, 표면 그라인딩의 동일한 조건으로 생성된 발포 정제형 치약에 대하여 생체의 항균력 실험 및 그 효과 기호도를 실시예를 통해 비교 관찰하였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고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5 중량%을 이용하여 코팅 후, 건조하고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타블렛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비톨 18.23중량%, 이산화규소 11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고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3 중량%을 이용하여 코팅 후, 건조하고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타블렛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비톨 18.73중량%, 이산화규소 11.5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고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2 중량%을 이용하여 코팅 후, 건조하고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타블렛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비교표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3
솔비톨 17.23 18.23 18.73
이산화규소 10.00 11.00 11.50
불화나트륨 0.22 0.22 0.22
연삼피리독신 0.05 0.05 0.05
피로인산나트륨 1.00 1.00 1.00
자일리톨 15.00 13.00 12.00
아스파탐 1.20 1.20 1.20
아스코르브산 0.50 0.50 0.50
애플민트향파우더 1.00 1.00 1.00
캄파 1.50 1.50 1.50
페퍼민트향 가루 7.00 7.00 7.00
아라미아검 5.00 5.00 5.00
탄산수소나트륨 30.00 0.00 30.00
말산 10.00 0.00 10.00
[실험예 1]
이하의 실험예 1은 표 1의 각 정제형과 코팅미처리된 정제형과의 구강 유해균에 대한 생체 외 항균력을 실험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된 시료 4 g을 300 ㎖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살균 처리한 후, 희석된 균 배양액 1 ㎖와 인산버퍼(pH 7.0) 99 ㎖를 넣은 후, 37 ℃에서 24 시간 진탕배양(120 rpm)하였다. 그리고, 시험균주를 동결보관상태에서 꺼내어 누트리언트 브로스(Nutrient broth)에 접종한 후 37℃의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와 같이 전 배양된 각 시험균액을 100㎖의 누트리언트 브로스에 1%(v/v) 접종 후 배양기에서 다시 12-20 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에 초기 균수와 비교하여 각 균주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균주는 미생물들은 구강 내에서 충치를 유발시키는 균주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NCTC 10449)와, 치주질환 및 구취를 발생시키는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Fusobacterium nucleatum;ATCC 25586)를 사용하였다.
다시 12-20 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에 초기 균수와 2일 경과후 균주수(cells/ml) 및 감소율(%)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상기한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초기 접종농도에 대한 잔존 균수의 농도에 의해 백분율로 구해지는 감균율(%)로서 항균력(살균력)을 정리하면 하기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항균력 결과
시험균주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스트랩터카커스 뮤탄스 실험군 460±80 / 88 480±90 / 93 510±50 / 95
대조군 9280±100 (95%증가) 9480±100 (97%증가) 9650±100 (97%증가)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 실험군 830±70 / 80 850±90 / 80 870±70 / 95
대조군 8539±110 (93%증가) 8779±110 (93%증가) 8943±110 (93%증가)
실험예 1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일리톨 무첨가구인 대조군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주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험군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균주수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발포 정제형 치약조성물의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구강 내의 각종 유해한 충치균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치주질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험예 2]
이하의 실험예 2는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조성비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성인 남녀 10명씩을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구취제거, 프라그제거, 사용감을 5점 척도법에 따라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것이다.
관능검사 결과
검사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구취제거 4.7 4.5 4.5
치은염 억제 4.5 4.5 4.4
프라그 제거 4.6 4.4 4.5
사용감 4.4 4.3 4.2
아주좋다 5, 좋다 4, 보통 3, 나쁘다 2, 아주나쁘다 1
상기와 같은 실험예 2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일리톨 함량이 증가할수록 프라그제거 와 구취제거는 향상되지만 사용감은 점차적으로 좋아짐을 알 수 있고, 특히 자일리톨 함양이 치은염 억제 효과에 대응한 기호도가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제형 치약 조성물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자일리톨 1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로 구성된 발포 정제형 조성물이 구취제거, 치은염 제거, 프라그제거 및 사용감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특정하게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및 L-말산 10 중량%의 제제를 혼합하여 금속형 주조틀을 이용하여 제형을 만들고 자일리톨 15 중량%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형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2. 솔비톨, 이산화규소, 불화나트륨, 염산피리독신, 피로인산나트륨, 아스파탐, 아스코르브산, 애플민트향 파우더, 자일리톨, 캄파, 페퍼민트향 가루, 아라비아검, 탄산수소나트륨 및 말산의 제제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 1 공정;
    혼합된 치약 분말제제를 정제형 형상을 가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금속형 주조틀에 타공하여 정제형 제형을 형성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형을 자일리톨의 시럽으로 코팅처리하고 건조하는 제 3 공정; 및
    상기 3 공정을 통해 건조된 타정 및 코팅되어 형성된 제형을 휴대시 부서짐을 방지하고 씹을때 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그라인딩처리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정제형 치약 조성물은 솔비톨 17.53중량%, 이산화규소 10 중량%, 불화나트륨 0.22중량%, 염산피리독신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1 중량%, 아스파탐 1.20중량%, 아스코르브산 0.50중량%, 애플민트향 파우더 1 중량%, 캄파 1.50중량%, 페퍼민트향 가루 7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 L-말산 10 중량% 및 자일리톨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제조방법.
KR1020180007326A 2018-01-19 2018-01-19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26A KR102055301B1 (ko) 2018-01-19 2018-01-19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26A KR102055301B1 (ko) 2018-01-19 2018-01-19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05A true KR20190088805A (ko) 2019-07-29
KR102055301B1 KR102055301B1 (ko) 2019-12-12

Family

ID=6748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26A KR102055301B1 (ko) 2018-01-19 2018-01-19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3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614A (zh) * 2020-03-11 2020-06-09 陆天生 一种使用小苏打刷牙的方法
KR20210104455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킴스제약 저작성 및 내흡습성이 향상된 정제형 치약과 그 제조방법
KR20240030235A (ko) 2022-08-30 2024-03-07 (주)에이치투바이오헬스케어 하이드로 수소 치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515B1 (ko) * 1998-12-05 2001-07-12 양주환 구강청정용 발포성 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60003050A1 (en) * 2002-07-02 2006-01-05 Vibeke Nissen Compressed chewing gum tablet II
WO2016195153A1 (ko) * 2015-05-29 2016-12-0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약제학적 복합제제
WO201718851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수호천사엔젤 액상치약이 코팅된 일회용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515B1 (ko) * 1998-12-05 2001-07-12 양주환 구강청정용 발포성 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60003050A1 (en) * 2002-07-02 2006-01-05 Vibeke Nissen Compressed chewing gum tablet II
WO2016195153A1 (ko) * 2015-05-29 2016-12-0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약제학적 복합제제
WO201718851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수호천사엔젤 액상치약이 코팅된 일회용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55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킴스제약 저작성 및 내흡습성이 향상된 정제형 치약과 그 제조방법
CN111248614A (zh) * 2020-03-11 2020-06-09 陆天生 一种使用小苏打刷牙的方法
KR20240030235A (ko) 2022-08-30 2024-03-07 (주)에이치투바이오헬스케어 하이드로 수소 치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301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5B1 (ko) 구강청정용 발포성 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RU2388457C2 (ru) Продукт, освежающий дыхание,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й полость рта и содержащи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магнолии и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ое вещество
RU2396970C2 (ru) Кондитерский состав, освежающий дыхание
RU2398593C2 (ru) Жевательные составы с экстрактом коры магнолии быстр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CN101687105B (zh) 改善矿化/再矿化益处的包含缓冲系统的口腔护理产品
JPH01501472A (ja) 抗歯垢剤の作用を延長させるための組成物
US20100166812A1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CN101321537A (zh) 含厚朴提取物的糖食组合物
KR102055301B1 (ko)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241955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N106176376A (zh) 包裹茶叶提取物络合物的微球及在天然可食性牙膏的应用
CN105832614B (zh) 一种天然可食性儿童牙膏及制备方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4602922B2 (ja) 歯垢形成抑制剤
JP4763441B2 (ja) 歯垢形成抑制剤並びにそれを含む口腔剤組成物及び食品
KR102055667B1 (ko) 젤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063196B2 (ja) 歯垢形成抑制剤
KR20030089047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EP3383351B1 (en) Dental product
JPS5835484B2 (ja) 口腔組成物
JP5053624B2 (ja) 歯質強化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65265B1 (ko) 동물용 구강청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77153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метабол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