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142A -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142A
KR20190088142A KR1020180005982A KR20180005982A KR20190088142A KR 20190088142 A KR20190088142 A KR 20190088142A KR 1020180005982 A KR1020180005982 A KR 1020180005982A KR 20180005982 A KR20180005982 A KR 20180005982A KR 20190088142 A KR20190088142 A KR 2019008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wisted
organs
stent body
twis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135B1 (ko
Inventor
강성권
이상협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00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1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64Blood vessels with special features to facilitate anastomotic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1Three-dimensional shapes helically-coiled or spirally-coiled, i.e. having a 2-D spiral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장기에 관통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 주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술에 사용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양측 선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스텐트몸체; 및 상기 관통홀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스텐트몸체의 양측 선단부에 돼지꼬리 형상으로 꼬임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측꼬임선단부와 타측꼬임선단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스텐트몸체와 일측꼬임선단부 및 타측선단꼬임부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구비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쉽고,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이루어져 설치 위치의 이탈의 염려가 없으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와이어 교차 형태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내시경과 같은 외과용 기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 직경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Stent for connection between dissimilar organs with pigtail structute}
본 발명은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쉽고,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이루어져 설치 위치의 이탈의 염려가 없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섭취한 음식은 식도를 거쳐 위(stomach)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십이지장(duodenum), 공장(jejunum), 및 회장(ileum)으로 구분되는 소장(small intestine), 대장(large intestine) 등의 소화기관(digestive organ)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한편, 일부 소관기관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악성 종양과 같은 병변(lesion)이 발생하여 불가피하게 제거해야 하는 경우, 그 부분을 떼어내고 분리된 소화기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술을 수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십이지장에 염증이나 악성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하여, 위에 저장된 음식이 십이지장을 거치지 않도록 하거나, 아예 십이지장 부분이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위와 공장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위와 공장에 구멍을 내고, 구멍 주변을 꿰매는 외과 수술(surgical operation)을 통해서 이종(different kind)의 기관을 서로 연결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은 수술 시간이 길고, 수술 후 회복도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외과적 수술 없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이종의 장기를 연결할 수 있는 문합술용 스텐트가 제공된바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설치되는 각종 기관 및 내강의 크기 및 성질, 환경에 따라 그 용도에 맞게 형성됨으로써, 내강의 협착에 의한 물질의 흐름의 차단 혹은 저해를 해결하고, 내강의 충분한 직경 확보를 오랜 기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 외에도 최근에는 스텐트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사용 형태가 제시되고 있는데,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을 배액하기 위해서 내시경 시술을 통하여 위와 췌장의 가성낭종을 스텐트로 연결하여 배출하고 증상을 호전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간농양을 위로 배액을 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담도의 협착으로 인해 담낭에서 위 또는 십이지장으로 연결하여 담즙을 배출하거나, 담도에서 위로 배액을 할 수 있도록 우회술용으로 도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확장을 통한 물질 이동 통로의 직경 회복 외에도 다양한 외과용 기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거나, 외과용 기기의 추가적인 이동경로 생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를 협착 부위 확장 외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이종의 장기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홀 주변을 서로 문합하는 문합술에 사용되는 문합술용 스텐트에 있어서, 양쪽 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 상기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되, 상기 바디파트의 중심에서 단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면과 마주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래어파트; 및
상기 플래어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바디파트의 단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져, 상기 관통 홀 주변의 장기 내측을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 홀 주변이 서로 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플랩파트; 를 포함하여,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며, 상기 바디파트, 상기 플래어파트, 및 상기 플랩파트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술용 스텐트."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0413호로 개시된바,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통로를 형성하여 이종의 장기를 접합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기술은, 문합적이 목적으로 사용되어 이종의 장기를 밀착시켜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고 몸체 양단부로부터 확장된 플래어파트가 둔각으로 벌어져 형성됨으로써,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어려웠으며,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어려워 설치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와이어 교차 형태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져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내시경과 같은 외과용 기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 직경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04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쉽고,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이루어져 설치 위치의 이탈의 염려가 없으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와이어 교차 형태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내시경과 같은 외과용 기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 직경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종의 장기에 관통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 주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술에 사용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양측 선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스텐트몸체; 및
상기 관통홀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스텐트몸체의 양측 선단부에 돼지꼬리 형상으로 꼬임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측꼬임선단부와 타측꼬임선단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스텐트몸체와 일측꼬임선단부 및 타측선단꼬임부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꼬임선단부는 상기 스텐트몸체의 선단부의 일측에만 형성시킨 일측꼬임선단부인 특징이 있다.
상기 꼬임선단부는 상기 스텐트몸체의 선단부의 양측에 형성시킨 일측꼬임선단부와 타측꼬임선단부인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텐트몸체의 길이는 20~40mm이고, 지름은 6~12mm이며, 상기 스텐트몸체와 일측꼬임선단부 및 타측꼬임선단부를 포함하는 총길이는 130~150mm이고, 상기 커버필름의 두께는 4~8mm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과용 기기들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통로 직경의 확보 및 유지가 쉽고, 충분한 이탈방지성의 확보가 이루어져 설치 위치의 이탈의 염려가 없으며,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와이어 교차 형태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내시경과 같은 외과용 기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 직경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우측면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정면 모습으로 시술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우측면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10)는 이종의 장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이종 장기로서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와 십이지장(또는 위)(30)을 직접 연결하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10)는, 그물망 구조로 연결통로(11a)가 형성되는 스텐트몸체(11)와, 스텐트몸체(1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설치후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측꼬임선단부(12) 및 타측꼬임선단부(13)와, 그물망 구조를 감싸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필름(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텐트몸체(11)는,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에 각각 관통홀(21,3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21,31) 주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술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물망 구조로 길이는 20~40mm이고, 지름은 6~12mm이며, 와이어(15)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양측 선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홀(21,31)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11a)가 형성된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 및 타측꼬임선단부(13)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15)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관통홀(21,31)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의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스텐트몸체(11)의 양측 선단부에 돼지꼬리 형상으로 꼬임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1,31)에 각각 걸림고정된다.
상기 커버필름(14)은, 두께는 4~8mm이고 상기 연결통로(11a)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15)를 커버하는 실리콘 재질이다.
상기 스텐트몸체(11)와 일측꼬임선단부(12) 및 타측꼬임선단부(13)를 포함하는 스텐트(10)의 총길이는 130~150mm가 적당하고, 상기 와이어(15)는 형상기억합금이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는 0.1~0.2mm가 적당하다.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것이 풀림방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와 타측꼬임선단부(13)의 꼬임각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서 90 ~ 359°로 꼬여지도록 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일측꼬임선단부(12)와 타측꼬임선단부(13)의 꼬임각도가 너무 작을 경우 스텐트몸체(11)가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에서 빠져나올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상태를 최적의 실시예로 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한다.
이렇게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와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서로 같은 방향으로 꼬여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필요할 경우,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게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몸체(10) 일측에 일측꼬임선단부(12)만을 형성시킴으로써 미끄러짐없는 스텐트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의 정면 모습으로 시술시의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먼저,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시술 과정에서 먼저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에 각각 관통홀(21,31)을 만들어야 한다.
이후 시술자는 내시경(도시않음) 내에 연결술용 스텐트(10)를 넣어 놓고, 내시경 선단이 피시술자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의 관통홀(21,31)에 이르면, 시술자는 스텐트(10)를 후방에서 관통홀(21,31)로 밀어 넣어 이식하고, 순차적으로 내시경을 피시술자에게서 빼내면 된다.
이때,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이식된 스텐트(10)는 체온에 반응하거나 또는 자체 탄성으로 펼쳐지고, 스텐트(10) 양단은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의 관통홀(21,31)에서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EH는 위)(30)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텐트(10) 양단인 일측꼬임선단부(12)와 타측꼬임선단부(13)는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일측꼬임선단부(12)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13)는 스텐트몸체(11)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술용 스텐트(10)의 스텐트몸체(11)는 관통홀(21,31) 사이에 위치되어서 연결통로(11a)를 형성하고,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의 관통홀(21)에는 타측꼬임선단부(13)가 걸림고정되며, 십이지장(또는 위, 간농양, 담도등)(30)의 관통홀(31)에는 일측꼬임선단부(12)가 걸림고정되어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을 연결하도록 관통홀(21,31)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종의 장기인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20)과 십이지장(또는 위)(30)은 피술자의 복부를 절개하는 과정이나 장기를 꿰매는 수술없이도 시간이 경과하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 접합된다.
이에 피시술자는 시술후 회복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퇴원시기를 보다 앞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텐트
1 : 스텐트몸체
11a : 연결통로
12 : 일측꼬임선단부
13 : 타측꼬임선단부
14 : 커버필름
15 : 와이어
20 : 가성낭종(또는 담낭, 간농양, 담도 등)
21 : 관통홀
30 : 십이지장(또는 위)
31 : 관통홀

Claims (8)

  1. 이종의 장기에 관통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 주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술에 사용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양측 선단부가 상기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스텐트몸체; 및
    상기 관통홀 주변의 상기 이종의 장기 일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스텐트몸체의 선단부에 돼지꼬리 형상으로 꼬임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꼬임선단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스텐트몸체와 꼬임선단부는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를 얽어서 일체로 제공되되, 상기 연결통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얽힌 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선단부는 상기 스텐트몸체의 선단부의 일측에만 형성시킨 일측꼬임선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선단부는 상기 스텐트몸체의 선단부의 양측에 형성시킨 일측꼬임선단부와 타측꼬임선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우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하부에서 좌측상부로 360°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좌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360°꼬여지고, 상기 타측꼬임선단부는 스텐트몸체를 기준으로 우측하부에서 우측상부로 360°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몸체의 길이는 20~40mm이고, 지름은 6~12mm이며, 상기 스텐트몸체와 일측꼬임선단부 및 타측꼬임선단부를 포함하는 총길이는 130~150mm이고, 상기 커버필름의 두께는 4~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KR1020180005982A 2018-01-17 2018-01-17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KR10214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82A KR102149135B1 (ko) 2018-01-17 2018-01-17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82A KR102149135B1 (ko) 2018-01-17 2018-01-17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42A true KR20190088142A (ko) 2019-07-26
KR102149135B1 KR102149135B1 (ko) 2020-08-31

Family

ID=6746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82A KR102149135B1 (ko) 2018-01-17 2018-01-17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41B1 (ko) * 2019-09-27 2021-01-04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WO2021251650A1 (ko) * 2020-06-09 2021-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994B2 (ja) * 2010-03-26 2012-07-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ント
KR20130110413A (ko) 2012-03-29 2013-10-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합술용 스텐트
KR20150097283A (ko) * 2014-02-18 2015-08-26 심찬섭 스텐트
KR20160037487A (ko) * 2014-09-29 2016-04-06 (주) 태웅메디칼 플라스틱 스텐트
US20160199170A1 (en) * 2015-01-13 2016-07-1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Ureteral stent with sidepor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994B2 (ja) * 2010-03-26 2012-07-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ント
KR20130110413A (ko) 2012-03-29 2013-10-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합술용 스텐트
KR20150097283A (ko) * 2014-02-18 2015-08-26 심찬섭 스텐트
KR20160037487A (ko) * 2014-09-29 2016-04-06 (주) 태웅메디칼 플라스틱 스텐트
US20160199170A1 (en) * 2015-01-13 2016-07-1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Ureteral stent with sidepor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41B1 (ko) * 2019-09-27 2021-01-04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WO2021251650A1 (ko) * 2020-06-09 2021-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135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2690B2 (ja) 高めた抗遊走性を備える管腔内デバイス及び管腔内の方法
US11000396B2 (en) Transpyloric anchoring
AU2004305449B2 (en) Apparatus to be anchored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nchoring method
ES2317461T3 (es) Aparato para realizar endoscopicamente cirugia de reduccion gastrica.
US8801647B2 (en) Use of a gastrointestinal sleeve to treat bariatric surgery fistulas and leaks
US8617095B2 (e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diversion apparatus and method
ES2950893T3 (es) Dispositivo endoluminal
EP1704834A1 (en) Esophageal stent
KR101501614B1 (ko) 문합술용 스텐트
BRPI1014701B1 (pt) sistema modular para tratar distúrbios metabólicos como diabetes e obesidade
KR20190088142A (ko)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JP7242782B2 (ja) 吻合部を持つ漏斗形胃壁裏張り
JP2013508079A (ja) 反転可能スリーブを有する、バルーンが先端に付いた内視鏡システム
KR100942036B1 (ko) 스텐트
JP2017512610A (ja) 逆流防止ステント
US20080215075A1 (en) Implantable coil for insertion into a hollow body organ
JP6705025B2 (ja) ステント
KR101810056B1 (ko) 비대칭형 식도용 스텐트
JP2020189037A (ja) ピッグテール構造を有する異種臓器間の連結術用ステント
US20200368504A1 (en) Stent for connecting dissimilar organs with pigtail structure
JP5653511B2 (ja) 胆管挿入用チューブ
KR101753206B1 (ko) 연결용 스텐트
US20240189125A1 (en) Stent device and stent delivery system
KR102197641B1 (ko)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KR20220166392A (ko) 접촉 면적 감소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