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283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283A
KR20150097283A KR1020140018602A KR20140018602A KR20150097283A KR 20150097283 A KR20150097283 A KR 20150097283A KR 1020140018602 A KR1020140018602 A KR 1020140018602A KR 20140018602 A KR20140018602 A KR 20140018602A KR 20150097283 A KR20150097283 A KR 2015009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region
coating film
protrusions
org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990B1 (ko
Inventor
심찬섭
강성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심찬섭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찬섭,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심찬섭
Priority to KR102014001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9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며, 삽입된 장기에서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튜브 형태로 얽어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란 인체에 삽입되어서 체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거나 유체의 흐름 통로를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의료용 보형물이다. 스텐트는 용도, 재질,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는데, 용도에 따라서는 좁아진 혈관 내부에 삽입되어서 혈액이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혈관용 스텐트, 장기의 협착 부위를 개선하거나 인공 생체관을 형성하는 장기용 스텐트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의 재질에 따라 금속 스텐트 또는 플라스틱 스텐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피막의 형성 여부에 따라 피막형 또는 비피막형 스텐트로 구분될 수 있다.
장기용 스텐트는 좁아진 체액관 내부에 삽입되어서 체액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거나, 체액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할 이종의 장기 사이에 인위적인 통로를 형성하거나, 낭종 내부의 액체를 배출하는 일시적인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1은 인체의 주요 장기를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도와 연결된 위(102) 주변에는 간(101), 췌장(104), 담낭(105) 등이 위치하며, 위(102)에 연결된 십이지장(103)으로 담즙, 췌장액 등의 특정 기능을 가진 체액들이 이동한다. 여러 가지 이유로 체액의 이동을 위한 체액관이 막히거나, 장기의 내부에 형성된 낭종이 비대해져 다른 장기나 혈관을 압박할 수 있는데, 내시경 시술을 통하여 스텐트를 인체의 특정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화관 질환의 대표적인 예가 췌장 가성낭종이다. 췌장 가성낭종은 췌장염 또는 췌관의 손상에 의하여 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낭속에 췌장액 등의 액체가 고여 상복부의 통증을 일으키는 증세를 보이는 질환이다. 가성낭종의 덩어리가 커지면 담관, 위십이지장을 막아서 폐쇄에 의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 비장정맥이나 문맥 등의 혈관을 막아서 문맥압을 높일 수도 있고, 심한 경우에는 가성낭종이 복막 내부에서 터져 복막염을 일으키고 주위 장기와 누공을 형성하기도 한다. 가성낭종의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 비수술적 배액술 또는 외과적 수술방법 등이 이용되는데, 스텐트를 이용한 체액의 배출 방법이 그 중 하나이다.
담낭은 담액을 생성하여 십이지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데, 일정한 이유로 담낭과 십이지장을 연결하는 체액관이 막힐 수 있고, 이 경우에 담액이 십이지장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스텐트 삽입 시술을 통하여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에 인위적인 체액 통로를 형성하는 시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종 간의 장기에 체액의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110421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양쪽 단부가 이종의 장기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이종의 장기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바디파트와, 연결통로에 배치되어 이종의 장기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류방지 밸브 및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바디파트의 양쪽 단부가 관통 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래어파트를 포함하는 스텐트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텐트는 플래어 파트가 장기의 벽에 닿을 경우에 스텐트의 끝 쪽 입구가 막혀서 배출하고자 하는 체액의 스텐트 바디파트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고정되어 유체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고, 스텐트의 끝 부분 입구가 장기의 벽에 맞닿은 상태에서도 유체가 스텐트의 몸체 내부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일부 영역에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아서 스텐트의 끝 부분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로서,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며, 삽입된 장기에서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튜브 형태로 얽어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얽어지고, 몸체의 원통 중심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끝에서 장기에 형성시킨 홀을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 구조의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구조의 제2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의 내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며,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는 비율은 1:2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로서, 탄성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얽어진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킨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얽어지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몸체의 길이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벌어져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돌기의 내부에는 유체의 통과를 막는 코팅막이 형성되고,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스텐트의 몸체 양쪽 끝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서 스텐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2. 몸체의 양쪽 끝에 형성된 돌출부 중 몸체에 가까운 영역은 와이어 사이에 전체적으로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의 홀 부근에서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돌출부의 외곽 영역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를 구성하는 와이어 사이의 일부 영역에만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의 끝 부분이 장기의 벽에 닿은 상태에서도 체액이 스텐트의 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4. 스텐트의 끝 부분이 장기의 벽에 닿은 상태에서도 체액이 스텐트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정상 동작을 위한 스텐트 삽입 위치 범위가 넓어져서 스텐트 삽입 시술의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5. 간내담관과 위를 연결하는 스텐트의 경우 몸체의 일부분에만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내담관의 분기 영역에서 담즙이 효과적으로 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6. 간내담관과 위를 연결하는 스텐트는 몸체의 한쪽 끝에만 돌기가 형성되어서 돌기없는 부분이 간내담관에 유연하게 삽입될 수 있고, 간내담관에 삽입된 몸체 중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간내담관 벽과의 마찰이 작용하여 스텐트가 삽입 위치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인체의 주요 장기를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2는 가성낭종의 치료를 위하여 위와 췌장의 낭종 사이에 스텐트를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에 스텐트를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스텐트가 위와 췌장의 낭종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텐트가 장기의 벽에 맞닿은 경우에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가 간내담관과 위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며, 삽입된 장기에서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튜브 형태로 얽어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이종간의 장기 사이에 삽입되어서 장기 사이에 체액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일시적이란 삽입 시술 후 바로 제거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거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스텐트가 삽입되어 있는 기간은 수 시간, 수 일 또는 수 주일이 될 수 있고, 영구적이란 사람이 생존하는 기간 동안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텐트는 위와 췌장의 가성낭종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가성낭종 내부의 유체를 위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에 체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영구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내시경 시술을 통하여 인체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와이어와, 체액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형상기억 합금,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팅막은 실리콘 러버 등과 같은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인체에 삽입된 후에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라소(lasso)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의 제조는 1차 가공 틀에 와이어를 얽어서 감고 열처리하는 단계와, 2차 가공틀에서 세부 성형을 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와이어의 성형 단계 후에는 필요한 부분에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텐트의 성형 및 코팅막 형성에 관한 내용은 이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의 삽입 시술 내용, 스텐트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가성낭종의 치료를 위하여 위와 췌장의 가성낭종 사이에 스텐트를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췌장(104) 내부에 가성낭종(10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성낭종(104a)과 위(102) 사이에 스텐트(200)가 삽입되어 있다. 스텐트의 삽입과정은, 내시경을 통하여 위벽과 가성낭종(104a)에 홀을 형성하고, 홀 사이로 스텐트를 넣고 탄성변형시켜 위치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텐트와 홀 사이는 위의 벽과 췌장의 가성낭종 벽의 탄성에 의하여 밀폐되게 되며, 가성낭종 내부의 유체가 스텐트 내부를 통하여 위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성낭종 내부의 유체가 충분히 배출되면 스텐트는 시술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3은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에 스텐트를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담낭(105)과 십이지장(103) 사이에 스텐트(200)가 삽입되어 있다. 정상적인 인체의 장기에서 담낭은 담관을 통하여 십이지장과 연결되는데, 질병에 의하여 상기 체액관이 막힌 경우에는 인위적인 방법을 통하여 담낭(105)과 십이지장(103) 사이에 체액의 이동 경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스텐트가 이용된다. 스텐트의 삽입 과정은 내시경을 통하여 십이지장(103)의 막과 담낭(105)의 막에 홀을 형성하고, 홀을 통하여 스텐트를 삽입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담낭과 십이지장 사이의 거리가 위와 췌장 사이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가성낭종 치료용 스텐트의 길이가 도 3에 도시된 담관 형성 스텐트보다 짧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스텐트(200)는 몸체(210) 및 돌기(220)로 이루어진다. 몸체(21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와이어(212)가 원통형상으로 얽어지고, 와이어(212) 사이의 공간에 코팅막(230)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212)는 내시경 장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탄성변형에 의하여 직경이 커져 통로를 넓히는 기능을 하고, 코팅막(230)은 몸체(210) 내부로 체액이 누액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돌기(220)는 몸체(210)의 양 끝에서 길이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벌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장기의 막에 형성된 홀에 스텐트가 삽입된 후에 스텐트가 빠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돌기(220)는 와이어와 코팅막으로 이루어진다. 돌기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몸체의 와이어와 함께 얽어질 수 있고, 몸체의 원통 중심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돌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돌기는 몸체의 양쪽 끝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돌기를 형성하는 코팅막(230)은 개개의 돌기(220) 내부에도 형성되지만,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도 형성된다.
종래 기술의 스텐트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도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출부의 끝이 코팅막으로 둘러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텐트의 끝 부분이 장기의 벽면에 닿으면 장기의 벽과 돌출부 사이가 막혀 유체가 통과할 수 없는 밀폐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을 도 5의 가성낭종에 관한 시술예에서 설명한다.
도 5는 스텐트가 위와 췌장의 가성낭종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스텐트(200)가 위(102)와 췌장(104)에 발생한 가성낭종(104a)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스텐트(200)의 가성낭종(104a) 쪽 끝부분은 가성낭종(104a)의 막까지 다다르지 않았으므로 가성낭종(104a) 내부의 유체가 스텐트의 몸체를 통하여 위(102)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의 (나)를 참조하면, 스텐트가 가성낭종(104a)의 변두리 부분에 삽입되면, 스텐트(200)의 돌기(220)가 가성낭종(104a)의 막과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스텐트의 삽입 위치가 언제나 일정한 것이 아니고, 사람마다 장기의 위치 및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스텐트로 시술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스텐트의 돌기가 가성낭종의 막과 맞닿아 있는 경우에 돌기 부분은 가성낭종의 막을 일정한 힘으로 밀고 있으므로 탄성을 가지는 가성낭종의 막이 스텐트의 돌출부 입구를 막아버리게 된다. 따라서 배출하고자 하였던 가성낭종 내부의 유체가 스텐트의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스텐트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가성낭종에 관한 시술 뿐 아니라, 담낭과 십이지장을 연결하는 스텐트 시술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개개의 돌기 내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만,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 구조의 스텐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가)는 가성낭종 시술용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담관 형성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며, (다)는 돌출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가)를 참조하면, 스텐트(300)는 몸체(310) 및 돌기(320)로 이루어진다. 몸체(310)는 소정의 길이와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얽어진 와이어(312)와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311)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31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원통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코팅막(311)은 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돌기(320)는 몸체(310)의 양 끝에서 길이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벌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복수개의 돌기가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는 장기의 막에 형성된 홀에 스텐트가 삽입된 후에 스텐트가 빠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돌기(320)는 와이어와 코팅막으로 이루어진다. 돌기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몸체의 와이어와 함께 얽어질 수 있고, 몸체의 원통 중심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돌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돌기는 몸체의 양쪽 끝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돌기는 동일한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의 내부에는 유체의 통과를 막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6의 (나)는 담관 형성용 스텐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의 길이가 도 6의 (가)보다 긴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6의 (다)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돌기(320)들은 몸체 끝에서 벌어져 형성되며, 몸체의 지름(B)보다 넓은 폭(A)을 가져서 장기의 막에 형성시킨 홀에서 스텐트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복수개의 돌기(320)로 이루어진 돌출부(C 영역)는 상기 몸체의 끝에서 장기에 형성시킨 홀을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 구조의 제1영역(D 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구조의 제2영역(E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제1영역(D 영역)은 몸체의 끝에서 연장되기 시작한 부분으로서,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는 몸체의 단면 원주 방향으로 코팅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코팅막은 장기의 막에 형성된 홀과 돌출부를 밀폐시켜 체액이 서로 다른 장기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제1영역은 돌기가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너무 쉽게 탄성변형되어 장기의 막에 형성된 홀에서 돌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영역이 없다면 개개로 형성된 돌기가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너무 용이하지만, 제1영역에서는 개개의 돌기가 일정부분 중첩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돌기가 탄성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제2영역(E 영역)은 복수개의 돌기들이 중첩된 영역이 사라진 영역으로서, 몸체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돌기들이 바깥으로 벌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사이의 공간으로 체액과 같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의 비율(D 영역의 길이:E 영역의 길이)은 1:2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 비율이 1:2 미만이면 제1영역의 길이가 너무 짧아서 장기의 막에 형성된 홀과 스텐트 사이에서 체액이 유출되거나, 돌기의 탄성변형에 버티는 힘이 약하여 스텐트가 장기에서 이탈할 수 있고,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 비율이 2:1을 초과하면,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의 면적이 적어서 장기의 벽면과의 사이에 유체가 통과할 공간이 없어진다(돌기의 끝이 장기의 벽면에 접하는 경우). 도면에서는 스텐트의 정면도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를 표시하였지만,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 비율의 적정한 수치 범위는 돌기가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의 길이 비율을 의미한다.
몸체의 양쪽 끝에 형성된 돌기의 개수는 4개 내지 12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7개이다. 돌기의 개수가 4개 미만이면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기가 접히기 어렵고, 12개를 초과하면 돌기 사이의 빈 공간 면적이 작아져서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기 어렵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텐트가 장기의 벽에 맞닿은 경우에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돌기(320)이 가성낭종(104a)의 내부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가성낭종(104a) 내부에 찬 유체는 돌기들 사이에 형성된 넓은 공간과, 인접한 돌기들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스텐트의 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의 (나)는 본 발명의 스텐트 돌기(320)가 가성낭종(104a)의 막에 맞닿아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스텐트의 삽입 위치가 가성낭종의 중앙부에서 벗어나거나, 위와 췌장 사이의 거리가 짧은 특징의 장기를 가지는 피시술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320)들은 가성낭종(104a)의 벽면을 누르는 형태가 되며 돌기의 끝 부분은 벽면에 맞닿아 있다. 이때 인접한 돌기(320)들 사이의 공간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체가 통과할 공간이 확보되면서 가성낭종 내부의 유체가 스텐트의 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진이다. 도 8의 (가)는 스텐트를 정면에서 바라 본 사진이고, (나)는 비스듬한 각도로 본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텐트는 얽어진 와이어(212)와 코팅막(211)으로 이루어진 몸체(210) 및 돌기(220)로 이루어져 있다. 돌기(220)의 내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텐트(500)는 몸체(510) 및 상기 몸체의 한쪽 끝에 형성된 돌기(520)로 이루어진다. 몸체(510)는 와이어(512)와 코팅막(511)로 이루어지는데, 코팅막(511)은 몸체(510)의 일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코팅막이 형성된 몸체의 영역은 코팅막에 의하여 외부에서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구성되며,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영역은 와이어 사이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코팅막이 형성된 몸체의 영역과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영역은 소정의 비율로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코팅막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와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길이는 1:2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막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의 길이가 확보되지 못하고, 코팅막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간내담관의 분기된 부분에서 담즙이 몸체의 와이어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스텐트 몸체의 일부에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구성은 또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간내담관에 삽입된 몸체 중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간내담관 벽과의 마찰이 작용하여 스텐트가 삽입 위치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의 돌기에 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가 간내담관과 위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간내담관(106)과 위(102)가 스텐트(5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텐트의 삽입 시술은 담낭(105)의 담즙이 십이지장(103)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폐색된 경우에 인위적으로 담즙을 위(102)로 분비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도 10에서 확대된 부분은 전체 도면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인데, 스텐트의 삽입 위치를 알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각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텐트(500)는 위(102)와 간내담관(106)을 연결하고 있는데, 스텐트 몸체의 한쪽 끝에 형성된 돌기는 위의 홀에서 스텐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의 돌기쪽 부분의 일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데, 간내담관의 담즙을 위로 이송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몸체의 돌기쪽 반대 부분 일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간내담관의 분기 영역에서 담즙이 스텐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스텐트 몸체의 전부에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분기관에 있는 담즙은 스텐트의 몸체로 유입될 수 없고, 제2분기관의 담즙만이 몸체의 끝에 형성된 입구를 통하여 스텐트 몸체로 유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텐트는 몸체의 일부 영역에만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분기관의 담즙이 몸체의 간내담관 분기 영역에서도 스텐트 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간 102: 위
103: 십이지장 104: 췌장
104a: 가성낭종 105: 담낭
106: 간내담관 106a: 제1분기관
106b: 제2분기관
200: 스텐트 210: 몸체
211: 코팅막 212: 와이어
220: 돌기 230: 코팅막
300: 스텐트 310: 몸체
311: 코팅막 312: 와이어
320: 돌기
400: 스텐트 410: 몸체
411: 코팅막 412: 와이어
420: 돌기
500: 스텐트 510: 몸체
511: 코팅막 512: 와이어
520: 돌기

Claims (9)

  1.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며, 삽입된 장기에서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튜브 형태로 얽어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얽어지고, 몸체의 원통 중심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끝에서 장기에 형성시킨 홀을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 구조의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구조의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의 내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며,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는 비율은 1:2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얽어진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킨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얽어지며, 몸체의 양쪽 끝에서 몸체의 길이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벌어져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돌기의 내부에는 유체의 통과를 막는 코팅막이 형성되고,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장기에 형성시킨 홀에 삽입되어서 이종 간의 장기 또는 분비관 사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형성되며, 삽입된 장기에서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튜브 형태로 얽어진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코팅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막은 상기 몸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끝에서 장기에 형성시킨 홀을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 구조의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유체의 유입이 가능한 구조의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의 내부에는 코팅막이 형성되며, 인접한 서로 다른 돌기 사이에는 유체의 통과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140018602A 2014-02-18 2014-02-18 스텐트 KR10160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02A KR101604990B1 (ko) 2014-02-18 2014-02-18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02A KR101604990B1 (ko) 2014-02-18 2014-02-18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83A true KR20150097283A (ko) 2015-08-26
KR101604990B1 KR101604990B1 (ko) 2016-03-21

Family

ID=5405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02A KR101604990B1 (ko) 2014-02-18 2014-02-18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42A (ko) * 2018-01-17 2019-07-26 서울대학교병원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EP3741331A1 (en) * 2019-05-24 2020-11-25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tent for connecting dissimilar organs with pigtail structure
KR102197641B1 (ko) * 2019-09-27 2021-01-04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580A (ja) 2001-02-09 2002-08-20 Ichiro Hino ステントグラフト
KR101238719B1 (ko) 2011-09-29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비만 치료용 스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42A (ko) * 2018-01-17 2019-07-26 서울대학교병원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EP3741331A1 (en) * 2019-05-24 2020-11-25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tent for connecting dissimilar organs with pigtail structure
KR102197641B1 (ko) * 2019-09-27 2021-01-04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990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364B2 (ja) ステント
CN104284621B (zh) 用于结肠镜检查的辅助工具
KR101604987B1 (ko) 역류방지 스텐트
JP6936805B2 (ja) 体液を循環させるための導管における植込み用の弾性リングおよび関連する治療装置
US20220008230A1 (en) Bifurcated side-access intravascular stent graft
KR101604990B1 (ko) 스텐트
WO2011004925A1 (ko) 스텐트
JP2019516504A (ja) 消化器用マルチホールステント
US9585742B2 (en) Stent
KR20190132462A (ko) 이중 조직-벽 고정 특징부를 갖는 스텐트
US20170151051A1 (en) Stent having exterior path
RU2717211C2 (ru) Стент-графт
US20220378571A1 (en) Stent Graft
JP2019141599A (ja) 尿管ステント
CN106923943B (zh) 覆膜支架
KR101773370B1 (ko) 스텐트
CN107349037B (zh) 主副胰管联合支架
KR101968602B1 (ko) 배액용 카테터
EP0883386B1 (en) Voice prosthesis with biomedical sealing on the circumference
JP2019118789A (ja) 外部流路付き改良型ステント
US11612475B2 (en) Blood conduit with stent
KR102197641B1 (ko) 내강 접합용 플라스틱 스텐트
KR101590323B1 (ko)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JP6293853B1 (ja) 弁付ステント
KR102180756B1 (ko) 내시경적 유두부 확장용 풍선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