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23B1 -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23B1
KR101590323B1 KR1020140030812A KR20140030812A KR101590323B1 KR 101590323 B1 KR101590323 B1 KR 101590323B1 KR 1020140030812 A KR1020140030812 A KR 1020140030812A KR 20140030812 A KR20140030812 A KR 20140030812A KR 101590323 B1 KR101590323 B1 KR 10159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frame
wall
gastrointestinal
digestive 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087A (ko
Inventor
이영재
제갈승환
장의수
이보인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4003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2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22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deep in the body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소정의 둘레를 가지며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는 제1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제2구조체 및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Stent for Sealing of Gastrointesitnal Leaks}
본 발명은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용자의 소환기관 내부에 삽입되어 소화관의 벽에 발생된 천공을 차단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환자의 신체를 개복하지 않고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는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관에 스텐트 시술을 하여 혈관을 확장하거나,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특정부위를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시술이 행하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환자의 소화기관에 별도의 치료장치를 삽입함으로써 환자의 소과히관에 발생된 천공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위 천공이 크게 발생한 경우 위 내부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복강 내부로 유입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위 내부에 별도의 치료장치를 삽입하여 위 천공을 막는 장치들이 개발되어왔다. 종래에 개발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천공이 발생한 위 벽을 클리핑하는 형태로 환자의 위 천공을 차단하였다.
특히 위 천공이 큰 경우 복수 개를 위 내부에 삽입하여 천공을 클리핑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위 내부에서 클리핑하는 형태로 천공을 차단하는 경우 위의 움직임이나 음식물에 의해 위를 클리핑한 장치들이 이탈되어 천공이 다시 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은 환자의 신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위 내부에 복수 개의 장치를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며 추후 이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용자의 소화관 내 외면에 접촉하여 분리되지 않고 천공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소정의 둘레를 가지며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는 제1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제2구조체 및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가 상기 소화관의 벽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동일한 상호간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 사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1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2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1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2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함몰부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제1구조체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는 각각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제2구조체의 굴곡진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소화관의 벽의 내면 및 외면에 접촉하여 고정하는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각각 별도의 차단막을 구비하여 위 천공을 전후방에서 차단하여, 위 천공을 통해 내용물이 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구조체 또는 제2구조체가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둘레의 길이가 증가하여 소화관의 벽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소화관의 벽과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은 별도의 차단막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추후 위 벽이 재생하여 자체적으로 천공이 막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위 천공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가 별도의 삽입장치에 의해 형상을 갖추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가 삽입장치에 의해 형상을 갖추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별도의 삽입장치에 의해서 위 내부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가 위벽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가 위벽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위벽의 천공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실물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위벽의 천공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2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실물 도면; 및
도 15는 도 2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실물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피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특정부위를 고정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인 스텐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사용자가 별도의 삽입장치(10: 도 6참조)를 이용하여 피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삽입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상기 삽입장치를 통해 피사용자의 소화관(위, S: 도 8참조) 내부로 침투한 후 소화관 내부에 발생한 천공(H: 도 8참조)을 치료하는 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다양한 소화기관의 장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위 천공의 치료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개략적인 구성 및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상술한 상기 삽입장치(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S) 내부에서 천공(H)을 막는데 적용하였으며, 크게 제1구조체(100), 제2구조체(200) 및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제1구조체(1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하며 위벽(S)의 외부에서 천공(H)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구조체(100)는 크게 제1프레임(110) 및 제1차단막(12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10)은 소정의 둘레를 가지며 위벽(S) 외면(S1)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10)은 중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돌출부(112) 및 제1돌출부(112)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둘레를 이루며 중심으로 함몰된 제1함몰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돌출부(112)와 제1함몰부(114)가 연속적으로 둘레를 따라 반복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프레임(110)은 유연한 와이어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어 둘레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제1돌출부(112) 및 제1함몰부(114)를 형성하고 각각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110)가 제1돌출부(112) 및 제1함몰부(114)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위벽(S) 외면(S1)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제1차단막(120)은 제1프레임(110)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차단막(120)은 제1프레임(110)과 함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110)과 함께 위벽(S) 외면(S1)과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며 위(S) 내부의 내용물이 천공(H)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차단막(120)은 실리콘등 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에 대응하여 제1돌출부(112) 및 제1함몰부(11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구조체(100)는 제1프레임(110) 및 제1차단막(120)을 포함하며, 위벽(S)의 외면(S1)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상기 천공(H)의 외측을 차단한다.
제2구조체(200)는 상술한 제1구조체(100)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써, 유연하게 형성되며 상기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여 제1구조체(100)와 함께 위(S) 내부에서 상기 천공(H)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 제2구조체(200)도 상술한 제1구조체(100)와 마찬가지로 제2프레임(210) 및 제2차단막(220)을 포함한다.
제2프레임(210)은 제1구조체(1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위벽(S) 내면(S2)에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10)은 제1프레임(1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적층형태로 연결되며 소정의 둘레를 가지고 중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출부(212) 및 제2돌출부(21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둘레를 이루며 중심으로 함몰된 제2함몰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제2돌출부(212)와 제2함몰부(214)가 연속적으로 둘레를 따라 반복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프레임(210)은 상술한 제1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둘레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제2돌출부(212) 및 제2함몰부(214)를 형성하고 각각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2프레임(210)에 제2돌출부(212) 및 제2함몰부(21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둘레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위벽(S) 내면(S2)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제2차단막(220)은 제2프레임(210)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차단막(220)은 상술한 제1차단막(120)과 마찬가지로 제2프레임(210)과 함께 위벽(S) 내면(S2)과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며 위(S) 내부의 내용물이 천공(H)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차단막(220)은 실리콘등 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돌출부(212) 및 제2함몰부(21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구조체(200)는 제2프레임(210) 및 제2차단막(220)에 의해서 일정한 면을 형성하며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여 제1구조체(100)와 함께 위 천공(H)을 차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조체(200)는 제1구조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의 둘레에 따른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둘레를 가지며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300)은 얇은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한 둘레를 가지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는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즉, 연결프레임(300)의 길이가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의 이격간격이 된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연결되어 위벽(S)의 외면(S1) 및 내면(S2)에 각각 접촉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300)은 천공(H) 자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300)은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 사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는 각각 제1차단막(120)과 제2차단막(220)을 구비하여 위(S) 내부의 내용물이 천공(H)을 통해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연결프레임(300)은 천공(H)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써 별도의 차단막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는 추후 위벽(S)이 재생하며 천공(H)을 자체적으로 차단하여 치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생된 위벽(S)이 연결프레임(300) 내부까지 재생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 연결프레임(300)이 구비됨에 따라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시술 시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의 디플로이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스텐트 형태의 구조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는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위벽(S)의 내면(S2) 및 외면(S1)에 각각 접촉하며 천공(H)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둘레가 증가하여 상기 위(S) 내벽 및 외벽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며 안정적으로 위 천공(H)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 각각에 형성된 제1돌출부(112)와 제2돌출부(212)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달리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함몰부(114)와 제2함몰부(2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0)는 연결프레임(300)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구조체(200)는 이와 반대로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피사용자의 위벽(S) 내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피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형성됨에 따라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는 둘레에 따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위벽(S)의 내 외면(S1, S2)과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의 일부만 위벽(S)의 내 외면(S1, S2)에 접촉하여 위 천공(H)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별도의 삽입장치(10)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형체를 이루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100)가 별도의 삽입장치(10)에 의해 형상을 갖추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200)가 삽입장치(10)에 의해 형상을 갖추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삽입관(12) 및 삽입관(12) 내부에서 움직이며 상기 위(S)판막고정장치를 삽입관(12) 외부로 노출시키는 내부관(14)을 가지는 삽입장치(10)에 의해서 위(S) 내부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장치(10)의 삽입관(12) 내부에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끝단부로 삽입관(12) 내부에 구비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일부가 노출된다.
여기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삽입관(12) 우측을 통해서 제1구조체(100)가 노출된다. 이때,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내부관(14)의 이동에 의해서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되며 제1구조체(100) 부분만 노출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0)가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될 때,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제2구조체(200)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구조체(100)만 노출되며 접힌 상태로 삽입관(12) 내부에 구비되었던 제1구조체(100)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탄성에 의해서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110)은 복수의 제1함몰부(114)와 제1돌출부(112)가 연속적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1차단막(120)이 형성됨에 따라서, 삽입관 내부에서 제1구조체(100)가 접힌 상태로 있더라도 제1차단막(120)은 주름이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접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0)이 제1돌출부(112)와 제1함몰부(114)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됨에 따라 제1구조체(100)가 접힌 상태로 있더라도 제1차단막(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살펴보면 도 6에서의 과정과 연속적인 과정으로써, 제1구조체(100)가 외부로 노출된 후 이어서 제2구조체(200)가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조체(200)는 연결프레임(300)에 의해서 제1구조체(100)와 연결된 상태이며 제2구조체(200)가 삽입관(12)의 우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노출되는 제2구조체(200)는 유연한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관(12) 내부에서는 접힌 상태로 배치되지만, 내부관(14)의 이동에 의해서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되면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구조체(200)가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미 노출된 제1구조체(100)와 함께 적층형태로 배치된다.
즉,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는 서로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사이에 연결프레임(300)이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위 천공(H)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위벽(S) 내 외면(S1, S2)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위벽(S)의 천공(H)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삽입장치(10)에 의해서 피사용자에게 시술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별도의 삽입장치(10)에 의해서 위(S) 내부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2)이 피사용자의 위(S)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관(12)은 끝단부가 위(S) 내부의 천공(H)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이와 같이 삽입관(12)을 위(S)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삽입관(12) 내부에 구비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일부를 위(S) 외부에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1구조체(100)가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2)을 끝단부를 통해서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된 제1구조체(100)는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삽입관(12)에서 노출된 제1구조체(100)는 위벽(S)의 천공(H)을 관통하여 위벽(S)의 외면(S1)에서 고정되어야 할 지점에 노출된 제1구조체(100)를 접촉시킨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제1구조체(100)는 탄성에 의해서 펼쳐지게 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위벽(S)의 외면(S1)에 접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에서 제2구조체(200)가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삽입관(12) 외부로 노출된 제1구조체(100)를 외벽의 외면(S1)에 접촉시킨 후 다시 삽입관(12) 내부에 남아있는 제2구조체(20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때, 삽입관(12) 내부에 위치한 제2구조체(200)는 위(S) 내부에서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구조체(200)가 노출됨에 따라 제2구조체(200)는 위벽(S)의 내면(S2)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구조체(100)와 함께 위벽(S)의 내 외면(S1, S2)에 각각 접촉하며 천공(H)을 차단한다.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피사용자의 위(S)에 시술된 후의 상태를 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벽(S)의 내면(S2)에 제2구조체(200)가 접촉을 하고 위벽(S)의 외면(S1)에 제1구조체(100)가 접촉하게 되며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 사이에 연결프레임(300)이 구비되어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가 적층형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삽입장치(10)를 통해서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위벽(S)의 내 외면(S1, S2)에 접촉하여 천공(H)을 차단한 상태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3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벽(S)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동일한 상호간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의 길이(L2)가 위벽(S)의 두께(L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프레임(300)의 양단부가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에 연결됨으로써,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의 이격간격(L2)이 위벽(S)의 두께(L1)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의 이격간격(L2)이 위벽(S)의 두께(L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위벽(S)의 내 외면(S1, S2)에 밀착하여 접촉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위벽(S)의 천공(H)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된 형태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지만 제1구조체(100)와 제2구조체(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구조체(100)는 둘레에 따른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구조체(200)는 제2구조체(200)의 굴곡진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조체(200)가 중심에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경사 및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구조체(100)는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인 좌측으로 경사 및 굴곡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형성됨에 따라. 피사용자의 위(S)에 본 발명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위벽(S)의 굴곡에 대응하여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자체가 굴곡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는 위벽(S)의 굴곡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위벽(S)의 내면(S2) 및 외면(S1)에 접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의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를 나타낸 실물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의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이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피사용자의 위(S) 형상이나 크기 또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다. 특히 위(S)의 크기가 작은 어린 아이의 경우 돌출부(120, 220)와 함몰부(110, 210)의 크기가 작은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위(S)판막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가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연결되어 위벽(S)의 내 외면(S1, S2)에 접촉하며 천공(H)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태의 제1구조체(100) 또는 제2구조체(200)를 적용시킬 수 있다. 물론,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0) 및 제2구조체(200)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1구조체
110: 제1프레임
120: 제1차단막
200: 제2구조체
210: 제2프레임
220: 제2차단막
300: 연결프레임
S: 위, 위벽
H: 천공
10: 삽입장치
12: 삽입관
14: 내부관

Claims (9)

  1. 소정의 둘레를 가지며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1함몰부가 형성되고,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외면에 접촉하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는 제1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2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둘레에 대응하여 면을 형성하며 상기 소화관의 벽 내면에 접촉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제2구조체; 및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함몰부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는 각각의 둘레에 따른 중심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소화관 벽과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가 상기 소화관의 벽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동일한 상호간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구조체 및 상기 제2구조체 사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1함몰부가 형성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제2함몰부가 형성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제1구조체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둘레에 따른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제2구조체의 굴곡진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KR1020140030812A 2014-03-17 2014-03-17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KR10159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812A KR101590323B1 (ko) 2014-03-17 2014-03-17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812A KR101590323B1 (ko) 2014-03-17 2014-03-17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087A KR20150108087A (ko) 2015-09-25
KR101590323B1 true KR101590323B1 (ko) 2016-02-01

Family

ID=5424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812A KR101590323B1 (ko) 2014-03-17 2014-03-17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171A (ja) 2002-05-10 2005-08-25 コーディ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レーム基材型の一方向性の流れのプロテーゼ移植片
WO2012044453A1 (en) 2010-09-30 2012-04-0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oft crow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8216B (en) * 1998-07-29 2001-04-01 Tokyo Electron Ltd Substrate process method and substrate process apparatus
US6551344B2 (en) * 2000-04-26 2003-04-22 Ev3 Inc. Septal defect occlu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171A (ja) 2002-05-10 2005-08-25 コーディ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レーム基材型の一方向性の流れのプロテーゼ移植片
WO2012044453A1 (en) 2010-09-30 2012-04-0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oft crow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087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0889B (zh) 用于连接器官的邻近组织的支架
ES2209223T3 (es) Cierre universal para utilizar con canula endoscopica.
JP5231534B2 (ja) 手術用レトラクタ
CN102892455B (zh) 引入器护套及其止血阀
KR20080010398A (ko) 체내 유치 장치
KR101424201B1 (ko)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혈관
KR20090101955A (ko) 인체 이식가능한 조직 확장장치
PT1037580E (pt) Preservativo masculino com acção de mola
US20200093740A1 (en) Ingestible device with expandable enclosure
CN101014382A (zh) 可植入的医疗位点
JP2016524946A (ja) 腸開口瘻治療装置
JP7344277B2 (ja) 膨張可能な薬物送達ピル
KR101590323B1 (ko) 소화관 누출 폐쇄용 스텐트
WO2001032239A1 (ko) Colonic irrigator
JP2017534335A (ja) 拡張可能なイントロデューサシース
KR101604990B1 (ko) 스텐트
KR20150042917A (ko) 요도협착을 방지하는 도뇨관
JP2018530359A (ja) 滑り止め機能が向上したステント
KR101920694B1 (ko) 3d 프린팅 기반의 의료용 스텐트 제조방법
JP2004049479A (ja) 内視鏡用トレーニング装置
JP2013529488A (ja) 膀胱内腔を保護および洗浄するための器具
KR102328800B1 (ko) 약물 보충이 가능한 깁스 유닛
ES2823299T3 (es) Balón intragástrico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JP6838276B2 (ja) 防水カバー
JP200828984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