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70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70B1
KR101773370B1 KR1020150089645A KR20150089645A KR101773370B1 KR 101773370 B1 KR101773370 B1 KR 101773370B1 KR 1020150089645 A KR1020150089645 A KR 1020150089645A KR 20150089645 A KR20150089645 A KR 20150089645A KR 101773370 B1 KR101773370 B1 KR 10177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otruding portion
dividing line
protruding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74A (ko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정민영
문종필
장봉석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5008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스텐트는 분지된 복수의 내강 중 스텐트 삽입술이 요구되어지는 내강에만 스텐트를 설치하여 불필요하 스텐트의 추가설치를 방지함과 동시에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스텐트와 내강 사이이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내강 중 협착이 발생하지 않은 내강으로부터 주관으로 배출되어야할 분비액 또는 체액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해 제조되어지는 스텐트는 악성 종양 혹은 혈전 등의 인체 내강의 흐름저해요소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여 내강의 직경이 좁아진 경우, 내강의 직경을 회복시켜 내강을 통한 각종 물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의료기기로써, 혈관, 식도, 담도 또는 요도 등 다양한 인체 기관의 내강에서 각각의 목적에 맞는 크기 및 형태로 제조되어 스텐트 삽입술의 형태로 시술되어진다.
따라서, 병변이 발생한 인체 기관의 내강 형태에 적합한 스텐트 구조를 선택하여 스텐트 삽입술을 수행하게 되고, 하나의 관 형상의 내강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인체 기관과 달리 하나의 주관으로부터 분지되어진 복수개의 분지관을 가지는 Y자형 내강 구조의 인체 기관에 병변일 발생한 경우, 이와 같은 Y자형 내강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의 스텐트를 설치하거나 복수의 스텐트를 각각의 분지된 내강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스텐트 삽입술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분지된 Y자형 내강 구조에 설치되어 협착이 발생한 내강의 직경을 회복시키고, 협착부위에 발생한 악성 종양과 같은 병변의 성장을 저해시켜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에 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9725호의 "분지 혈관용 스텐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분지된 형태의 내강 구조를 가지는 인체 기관의 경우 분지되어진 모든 부위에서 암과 같은 병변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결과적으로 분지된 복수의 내강 중 하나의 내강에 대해서만 스텐트 삽입술이 이루어져야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 경우 협착이 발생한 하나의 내강과 스텐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어떠한 공간도 형성되지 않고 밀착되어져 확장이 이루어 짐에 따라 스텐트가 설치되지 않는 내강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체액 또는 분비물 등의 다양한 물질들은 주관으로의 이동 경로를 차단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분지된 내강 전체에 걸쳐 복수의 스텐트를 삽입하거나, 스텐트의 구조를 분기시켜 설치하는 경우, 시술 상의 각종 어려움이 따르고 스텐트의 설치가 불필요한 분지관에 스텐트 삽입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일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분지된 내강 구조에 대응되게 마련되어진 스텐트의 이탈방지성이 전체 내강 구조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그 수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내강 구조를 가진 기관 내에 스텐트 삽입술을 수행함에 있어서 복수의 내강 중 병변에 의한 협착이 이루어진 내강의 직경을 회복시키고 설치된 스텐트의 이탈방지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내강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각종 분비액 또는 체액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는,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금속와이어가 교차된 형태는, 상기 몸체의 하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와 상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가 엇갈리게 교차되어 형성되는 제1교차형태 및 상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가 엮여 걸리면서 형성되는 제2교차형태로 구분되고, 상기 제1돌출부분 내지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교차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스텐트는, 주관, 상기 주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제1분지관 및 제2분지관으로 마련되는 Y자형 내강 구조를 가진 신체 부위에서 상기 주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지관에 걸쳐 설치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중공의 통형상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돌출부분은 상기 스텐트가 설치된 관의 내강과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공간은 상기 제2분지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주관으로 이동되어지는 물질의 이동경로로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스텐트는,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와이어의 교차형태는, 상기 몸체의 하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와 상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가 엇갈리게 교차되어 형성되는 제1교차형태; 및 상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가 엮여 걸리면서 형성되는 제2교차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텐트의 확장을 통해 분지된 복수의 내강 중 병변에 의해 협착이 발생한 내강의 직경을 회복하고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분지된 복수의 내강 중 스텐트 삽입술이 요구되어지는 내강에만 스텐트를 설치하여 불필요한 스텐트의 추가설치를 방지함과 동시에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스텐트와 내강 사이이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내강 중 협착이 발생하지 않은 내강으로부터 주관으로 배출되어야할 분비액 또는 체액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스텐트의 몸체에 외측로 형성된 돌출부가 설치되는 내강에 대한 스텐트의 이탈방지성을 높임으로써, 스텐트의 설치 후 기간의 경과 및 내강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텐트 이탈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넷째, 몸체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와이어가 엮이면서 걸리는 형태로 교차된 부위에 위치함으로써, 스텐트의 팽창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종래의 스텐트 설치에 따른 담즙 배출 경로 차단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스텐트 설치에 따른 담즙 배출 경로 확보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스텐트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몸체(110); 및 피막(12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형상기억합금을 통해 마련된 금속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몸체(1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은 스텐트를 지그 및 지그의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연결된 핀을 이용해 엮어 나가는 과정에서 절곡되는 위치를 외측방향으로 좀 더 연장시켜 엮어나감으로써, 돌기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은 도5에 도시된 바와 인체의 내강과 스텐트(100)간에 소정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담즙과 같은 체내 분비액을 비롯한 각종 체액의 이동경로(ET)를 제공한다.
또한,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을 포함한 몸체(110) 전체는 스텐트(100)의 협착부위 상의 설치 후 확장과정에서 협착부위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내강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회복된 내강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의 형성 위치 및 패턴은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로 마련되어지는데, 이는 본 발명의 스텐트(100)가 체액 이동경로의 형성, 이탈방지성의 개선 및 스텐트 고유의 팽창력 및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형태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의 형성 위치 및 패턴에 대해서 설명하면, 몸체(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11); 제2돌출부(112); 제3돌출부(113); 및 제4돌출부(114)를 포함한다.
제1돌출부(11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111a)이 몸체(110)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다수개의 제1돌출부분(111a)은 몸체(110)의 원주를 기준으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고, 몸체(110)의 길이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 위치한다. 여기서 다수개의 제1돌출부분(111a)은 몸체(110)에 형성되어진 셀 하나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출부(112)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분(112a)이 몸체(110)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된다.
다만, 제2돌출부(112)는 몸체(110)의 원주를 기준으로 제1돌출부(111)와 대향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제2돌출부(112)를 이루는 제2돌출부분(112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112a)은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제1돌출부분(111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111a)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제2돌출부(112)를 이루는 다수의 제2돌출부분(112a)들은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다수의 제1돌출부분(111a)들이 이루는 상호 간격과 동일한 수준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제3돌출부(113)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분(113a)이 몸체(110)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된다.
다만, 제3돌출부(113)는 몸체(110)의 원주를 기준으로 제1돌출부(111)와 제2돌출부(112) 사이에 형성되어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돌출부(113)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제1돌출부(111)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제2돌출부(112)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제2돌출부(112)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3돌출부(113)를 이루는 제3돌출부분(113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113a)은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제1돌출부분(111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111a)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3돌출부(113)를 이루는 제3돌출부분(113a)의 수는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제1돌출부분(111a)의 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제3돌출부(113)를 이루는 다수의 제3돌출부분(113a)들은 제1돌출부(111)를 이루는 다수의 제1돌출부분(111a)들이 이루는 상호 간격과 동일한 수준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제4돌출부(114)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돌출부분(114a)이 몸체(110)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된다.
다만, 제4돌출부(114)는 몸체(110)의 원주를 기준으로 제3돌출부(113)와 대향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4돌출부(114)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제1돌출부(111)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제2돌출부(112)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제1돌출부(111)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4돌출부(114)를 이루는 제4돌출부분(114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114a)은 제2돌출부(112)를 이루는 제2돌출부분(112a) 중 몸체(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112a)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4돌출부(114)를 이루는 제4돌출부분(114a)의 수는 제2돌출부(112)를 이루는 제2돌출부분(112a)의 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제4돌출부(114)를 이루는 다수의 제4돌출부분(114a)들은 제2돌출부(112)를 이루는 다수의 제2돌출부분(112a)들이 이루는 상호 간격과 동일한 수준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몸체(11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몸체(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를 통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 구조가 주름진 굴곡을 가진 성상(星狀)의 형태를 나타나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10)는 금속와이어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엮어짐에 따라 교차되어 일정한 형태의 셀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지는 형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와 상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가 엇갈리게 교차되어 형성되는 제1교차형태(110a) 및 몸체(11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가 엮여 걸리면서 둘 사이의 일정 공간을 가지며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제2교차형태(110b)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몸체(110)를 구성하며 와이어 간의 교차에 의해 개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셀 구조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를 이루는 각각의 제1돌출부분(111a) 내지 제4돌출부분(114a)은 제2교차형태(110b)로 교차되어진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스텐트(100)가 가지는 스텐트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작용력(팽창력, Radial force) 및 유연성의 정도에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가 최소한의 영향을 주기 위함으로, 결과적으로 스텐트에 가해지는 금속피로도의 정도 및 내강의 구조에 쉽게 대응되어 설치 및 유지되어지는 성질에 대한 훼손이 적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스텐트 본연의 성질은 최대한 유지하되 인체의 내강과 스텐트(100)간에 소정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담즙과 같은 체내 분비액을 비롯한 각종 체액의 이동경로(ET)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를 이루는 각각의 제1돌출부분(111a) 내지 제4돌출부분(114a)은 본 발명의 스텐트(100)가 협착부위에 설치됨에 있어서, 일정한 고정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스텐트(100)의 설치 부위상에서의 이탈방지성을 개선시키는 효과 또한 제공한다.
피막(120)은 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피막(1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형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피막(120)이 형성된 스텐트(100)는 몸체(110)의 형상, 즉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111a 내지 114a)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을 그대로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피막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 없이 피막에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종래의 스텐트(10)에 비해 구조적인 차이를 가짐으로써, 주관(B3), 주관(B3)으로부터 분지되는 제1분지관(B1) 및 제2분지관(B2)으로 마련되는 Y자형 내강 구조를 가진 신체 부위에서 주관(B3)으로부터 제1분지관(B1)에 걸쳐 설치되는 종래의 스텐트(10)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도4에 도시된 종래의 담도용 스텐트(10)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담도용 스텐트(100)의 특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와이어형 스텐트(10) 경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부위(B)에 설치되어 확장되는 과정에서 협착부위(B)의 내강에 밀착되어 밀어냄으로써 원주방향을 따른 단면(A)을 기준으로 스텐트(10)와 협착부위(B) 간에는 어떠한 공간도 형성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담도계는 담낭으로부터의 담즙 이동 경로로 이용되는 담낭관(Cystic duct), 간의 다각 세포(Polygonal Cell)에서 분비된 담즙의 이동 경로로 이용되는 총간관(Common Hepatic duct) 및 담낭관과 총간관이 합쳐져 주관을 이루며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총담관(Common bile duct)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주관인 총담관으로부터 양쪽으로 분기되어진 2개의 분기관인 담낭관과 총간관에 의해 담도계는 Y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같은 Y자형 구조의 내강에 발생하는 암 등에 의한 병변의 협착은 일반적인 원통형 구조의 내강에 발생하는 병변의 협착에 비해 치료 상에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따른다.
여기서 말하는 제약이라 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담도용 스텐트(10)는 결과적으로 단일 내강 구조를 가지는 신체 부위가 아닌 분지되어 다수의 내강 구조를 가지는 신체 부위,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Y자형 담도 구조 중 일부(B1)만이 협착이 발생함에 따라 일측 제1분지관(B1)의 내강에만 설치되었을 경우 타측 제2분지관(B2)의 내강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비액 또는 체액 등(BL)이 아래의 주관(B3)의 내강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이동 경로가 차단되어 축척되어지는 점을 말한다.
다시 말해, Y자형 담도 구조 중 제1분지관(B1)인 총간관(B1, Common hepatic duct)에서 병변에 의한 협착이 발생한 경우 총간관(B1)의 내강 직경 회복을 위해 스텐트 삽입술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경우 제2분지관(B2)인 담낭관(B2, Cystic duct)을 통해 담낭으로부터 배출되는 담즙(BL)은 총간관의 내강에 밀착되어 설치된 담도용 스텐트(10)에 의해 차단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지관(B1)과 제2분지관(B2)이 합쳐지는 주관(B3)인 총담관(B3, Choledochal duct)으로 배출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담도용 스텐트(100)는 몸체(110)의 형상, 더 나아가서는 스텐트(100) 전체의 원통형 형상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분(111a 내지 114a)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 수,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단면의 측면(C)에서 보았을 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부위(B)에 접하며 내강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가 협착부위(B)와 스텐트(100) 간에 소정의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이 발생한 제1분지관(B1)의 내강 회복 및 재협착 방지 효과와 더불어 제2분지관(B2)로부터 주관(B1)으로 이동 또는 배출되는 분비액 또는 체액 등(BL)의 이동경로(ET)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이용해 협착이 발생한 총간관(B1)에 스텐트 삽입술을 수행한 경우, 담낭관(B2)을 통해 배출되는 담즙(BL)은 아무런 문제없이 몸체(110)의 제1돌출부(111) 내지 제4돌출부(114)가 내강과 스텐트 사이에 형성하는 분비물 또는 체액의 이동경로(ET)를 통해 총담관(B3)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시술 후에도 원활하고 정상적인 담즙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렇다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100)의 경우, Y자형 구조의 담도에만 그 용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지되어 다수의 내강을 가지는 신체 부위 상에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다수의 분지되어진 내강 중 협착이 발생한 일부 내강(B1)의 치료를 위해 스텐트 삽입술이 이루어진 뒤, 설치된 스텐트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내강(B2, B3)을 통해 이동되는 각종 물질의 이동이 제약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함에 그 목적 및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종래 담도용 스텐트
100 : 스텐트
110 : 몸체
111 : 제1돌출부 111a : 제1돌출부의 돌출부분
112 : 제2돌출부 112a : 제2돌출부의 돌출부분
113 : 제3돌출부 113a : 제3돌출부의 돌출부분
114 : 제4돌출부 114a : 제4돌출부의 돌출부분
110a : 제1교차형태 110b : 제2교차형태
120 : 피막
ET : 이동경로
B : 협착부위
B1 : 제1분지관
B2 : 제2분지관
B3 : 주관

Claims (14)

  1.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되,
    협착부위와 상기 몸체 사이에 소정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체액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4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삭제
  3. 주관, 상기 주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제1분지관 및 제2분지관으로 마련되는 Y자형 내강 구조를 가진 신체 부위에서 상기 주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지관에 걸쳐 설치되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중공의 통형상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돌출부분은 상기 스텐트가 설치된 관의 내강과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공간은 상기 제2분지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주관으로 이동되어지는 물질의 이동경로로 기능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4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9. 금속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와이어의 교차형태는,
    상기 몸체의 하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와 상측방향 대각선으로 이동된 금속와이어가 엇갈리게 교차되어 형성되는 제1교차형태; 및
    상기 몸체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금속와이어가 엮여 걸리면서 형성되는 제2교차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3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제2교차형태로 교차되어진 금속와이어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4돌출부분이 상기 몸체의 동일 원주분할선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3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협착부위와 상기 몸체 사이에 소정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체액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4돌출부가 형성되는 원주분할선의 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 사이 중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원주분할선에 좀 더 치우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돌출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분 및 동일한 수준의 돌출부분간 간격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돌출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2돌출부분과 상기 몸체의 동일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150089645A 2015-06-24 2015-06-24 스텐트 KR10177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45A KR101773370B1 (ko) 2015-06-24 2015-06-24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45A KR101773370B1 (ko) 2015-06-24 2015-06-24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74A KR20170000574A (ko) 2017-01-03
KR101773370B1 true KR101773370B1 (ko) 2017-08-31

Family

ID=5779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645A KR101773370B1 (ko) 2015-06-24 2015-06-24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63A1 (ko) * 2019-04-29 2020-11-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KR102264476B1 (ko) * 2020-11-30 2021-06-11 제성호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3306A1 (en) 2003-12-16 2012-06-07 Cully Edward H Removable Stent-Gra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3306A1 (en) 2003-12-16 2012-06-07 Cully Edward H Removable Stent-Gra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63A1 (ko) * 2019-04-29 2020-11-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KR102264476B1 (ko) * 2020-11-30 2021-06-11 제성호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74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6720A1 (en) Stents with improved fixation
US6331189B1 (en) Flexible medical stent
EP1885288B1 (en) Drainage stent and associated method
BR112014028242B1 (pt) Prótese intraluminal
JP6616911B2 (ja) 消化器用マルチホールステント
US11678970B2 (en) Device for anastomotic bypass
US11850172B2 (en) High retention drainage device
US20090240318A1 (en) Stent expansion column, strut and connector slit design
EP2967936B1 (en) Oblique stent
KR101773370B1 (ko) 스텐트
RU2717211C2 (ru) Стент-графт
US20220218461A1 (en) Stent with atraumatic spacer
US20070233233A1 (en) Tethered expansion columns for controlled stent expansion
US9320628B2 (en) Endoprosthesis devices including biostable and bioabsorable regions
KR101650516B1 (ko) 식도용 스텐트
KR20230158348A (ko) 동물의 담도용 스텐트
CN116367797A (zh) 用于治疗闭塞部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