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442A - 피리딘 화합물 - Google Patents

피리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442A
KR20190086442A KR1020197012323A KR20197012323A KR20190086442A KR 20190086442 A KR20190086442 A KR 20190086442A KR 1020197012323 A KR1020197012323 A KR 1020197012323A KR 20197012323 A KR20197012323 A KR 20197012323A KR 20190086442 A KR20190086442 A KR 2019008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ncer
reaction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543B1 (ko
Inventor
히로아키 이나가키
요시히로 시바타
히데노리 나미키
히데아키 가게지
기요시 나카야마
야스유키 가네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RET 키나제 억제 작용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리딘 화합물
본 발명은 RET 키나제, PDGFR 키나제, KIT 키나제, NTRK 키나제, FLT3 키나제 등에 대해 선택적 억제 활성을 가지며 암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언급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결장암, 육종, 백혈병 등에 대한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상기 언급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 언급된 화합물의 용도, 또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상기 언급된 화합물을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RET 키나제, PDGFR (혈소판-유래된 성장 인자 수용체) 키나제, KIT (줄기 세포 인자 수용체) 키나제, NTRK (신경영양 인자 수용체) 키나제, FLT3 키나제 등은 모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이다. 이들 키나제는 세포막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세포 외부에 성장 인자-결합 부위 및 세포 내부에 티로신 키나제 활성 부위를 갖는다. 이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는 세포의 외부로부터 성장 인자에 의한 자극 (= 성장 인자-결합 부위에의 결합)을 세포 내로의 신호 (= 하류 단백질의 인산화)로 전환시키며, 세포의 성장, 분열, 분화 및 형태형성에 역할을 한다. 이들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점 돌연변이, 결실 돌연변이, 삽입 돌연변이, 융합 돌연변이 등을 포함함) 또는 증가된 발현은 다수의 암, 육종, 백혈병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이들 키나제에 대한 억제제는 암, 육종, 백혈병 등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비특허문헌 1 내지 5 및 특허문헌 1).
특히, RET 키나제에 관하여, 그의 활성화 돌연변이는 일부 폐암 환자, 갑상선암 환자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비특허문헌 6 내지 8), 이들 환자는 다른 돌연변이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돌연변이된 RET 키나제는 이들 암에 대한 유도자 돌연변이인 것으로 간주된다. 즉, RET 키나제 돌연변이를 갖는 환자가 정확하게 검출되고, 그 후 충분한 억제 활성을 갖는 RET 키나제 억제제가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우, 암은 높은 확률로 치료될 수 있다고 간주된다. 최근,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는 폐암 및 갑상선암에서 뿐만 아니라, 유방암 및 결장암의 몇몇 유형에서도 암 성장을 유발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비특허문헌 9 내지 11).
지금까지, RET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작용제, 예컨대 카보잔티닙, 반데타닙 및 렌바티닙은 RET-돌연변이된 암 환자에 대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작용제의 치료 효과는 약하고 제한적이었다 (비특허문헌 12). 이들 작용제의 이러한 낮은 치료 효과는 이들 화합물의 낮은 RET 키나제 억제 활성, 및 독성 (비특허문헌 13), 예컨대 KDR 키나제 (일명: VEGFR2 키나제)의 억제에 기초한 고혈압 (비특허문헌 14)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더욱이, 상기 언급된 기존의 작용제를 비롯한 이전에 보고된 RET 키나제 억제성 화합물은 키나제 억제제에 저항성인 대표적인 돌연변이된 키나제인 게이트키퍼 돌연변이된 키나제에 대한 약한 억제 활성을 가지며 (비특허문헌 15),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이 치료에 사용되더라도, 암은 초기 단계에서 화합물에 대한 저항성을 얻으므로, 암은 비치료가능하게 된다.
몇몇 RET 억제제가 지금까지 보고되었다 (특허문헌 1 및 2). 그러나, 이들 RET 억제제는 낮은 RET 키나제 억제 활성, 높은 KDR 키나제 억제 활성, RET 게이트키퍼 돌연변이체에 대한 비적용가능성 등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국제 공개 제WO 2015/031613호 국제 공개 제WO 2015/079251호
Levitzki, A. Cytokine & Growth Factor Reviews, 2004, 15 (4), pp. 229-235. George, D.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2003, 532, pp. 141-151. Ashman, L. K. and Griffith, R.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2013, 22 (1), pp. 103-115. Wang, T. et al. Expert Opinion on Therapeutic Patents, 20 09, 19 (3), pp 305-319. Heinrich, M. C. Mini-Reviews in Medicinal Chemistry, 2004, 4 (3), pp. 255-271. Kohno, T. et al. Nature Medicine, 2012, 18 (3), pp. 375-377. Matsubara, D. et al.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2012, 7 (12), pp. 1872-1876. Agrawal, N.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 98 (2), E364-E369. Mulligan, L. M. Nature Reviews Cancer, 2014, 14 (3), pp. 173-186. Le Rolle, A. F. et al. Oncotarget, 2015, 6 (30), pp. 28929-28937. Medico, E. et al. Nature Communications, 2015, 6, Article No. 7002. Phay, J. E. and Shah, M. H. Clinical Cancer Research, 2010, 16(24), pp. 5936-5941. Hayman, S. R. et al. Current Oncology Reports, 2012, 14 (4), pp. 285-294. Sherman, S. I. Oral Oncology, 2013, 49, pp. 707-710. Kodama, T. et al.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2014, 13, pp. 2910-2918.
본 발명은 치료제, 예를 들어,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유형의 암, 육종, 백혈병 등을 위한 항암제를 제공하며, 여기서, 이들 질환은 RET 키나제에 의해 유발되고, 기존의 억제제는 이들 질환에 대한 불충분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약물보다 훨씬 더 강하고 더 높은 키나제 선택성을 갖는 작용제가 개발되고/거나, 그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이 다양한 유형의 암, 육종, 백혈병 등을 유발하는 키나제 중에서 기존의 억제제가 불충분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키나제, 예컨대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작용제는 상기 질환에 대해 높은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작용제를 발견하기 위해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이하-언급된 화합물이 키나제, 예컨대 RET, PDGFR, KIT, NTRK, 및 FLT3에 대해 강한 선택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그들의 게이트키퍼 돌연변이체에 대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밝혀내었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 화합물이 그것이 억제되는 경우 독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보이는 KDR 키나제에 대해 약한 억제 활성을 가지며, 우수한 키나제 선택성을 갖기 때문에, 이 화합물은 제약 생성물로서 유용함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키나제, 예컨대 RET, PDGFR, KIT, NTRK 및 FLT3의 활성화 돌연변이를 갖거나, 이들 키나제의 증가된 발현과 수반되는 암, 또는 이러한 암-관련된 병리학적 상태 또는 질환에 대한 안전하고 유용한 예방제/치료제인 의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들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RET 키나제에 대해 매우 강하고 선택적인 억제 활성을 가지며, 암 (특히, 폐암, 갑상선암 등)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의 구조에 약염기성을 나타내는 방향족 고리 질소 원자(들)를 갖기 때문에, 이는 중성 화합물, 예컨대 국제 공개 제WO 2015/031613호에 개시된 화합물과 비교할 경우, 특히 산성 영역에서 높은 수용해도를 갖는다. 또한, 매우 수용성 염은 상기 언급된 화합물의 방향족 고리 질소 원자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은 높은 경구 흡수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될 수 있으며, 제약 생성물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17)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하기 화학식 (Ia) 내지 (Id)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내며: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 기를 나타낸다.
(2) 하기 구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Figure pct00003
(3)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3-1) 하기 구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4
(4)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4-1) 하기 구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5
(5)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5-1) 하기 구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6
(6)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1-메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6-1) 하기 구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7
(7)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메탄술포네이트 염.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RET 키나제 억제제.
(1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
(11)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와 연관된 질환, 또는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와 수반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10항에 따른 의약.
(12)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10)에 따른 의약.
(12-1)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10)에 따른 의약.
(13)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10)에 따른 의약.
(14)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또는 결장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10)에 따른 의약.
(15)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6)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온혈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7)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본 발명에서, "C1-C3 알킬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의미하며, C1-C3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기를 들 수 있다. R1 및 R2에서, C1-C3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기이다. P2에서, C1-C3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기 또는 에틸 기이다.
본 발명에서, "할로겐 원자"는 플루오린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또는 아이오딘 원자를 의미한다. X1, X2, X3 및 X4에서, 할로겐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 또는 브로민 원자이다.
본 발명에서, "1가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본 발명에서, 본 화합물이 염기성 기, 예컨대 아미노 기를 갖는 경우, 이는 산과 반응함으로써 염으로 전환될 수 있거나, 본 화합물이 산성 기, 예컨대 카르복실 기를 갖는 경우, 이는 염기와 반응함으로써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렇게 형성된 염을 의미한다.
염기성 기에 기재한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히드로할라이드, 예컨대 히드로플루오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및 히드로아이오다이드, 무기산 염, 예컨대 니트레이트, 퍼클로레이트, 술페이트 및 포스페이트; 저급 알칸술포네이트, 예컨대 메탄술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및 에탄술포네이트, 아릴술포네이트, 예컨대 벤젠술포네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 유기산 염, 예컨대 아세테이트, 말레이트,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및 말레에이트; 및 아미노산 염, 예컨대 글리신 염, 리신 염, 아르기닌 염, 오르니틴 염, 글루타메이트 및 아스파르테이트를 들 수 있다. 염기성 기에 기재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로할라이드 또는 무기산 염이다.
한편, 산성 기에 기재한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염, 칼륨 염 및 리튬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칼슘 염 및 마그네슘 염, 금속 염, 예컨대 알루미늄 염 및 철 염; 무기 염을 포함하는 아민 염, 예컨대 암모늄 염, 및 유기 염을 포함하는 아민 염, 예컨대 tert-부틸아민 염, t-옥틸아민 염, 디이소프로필아민 염, 디벤질아민 염, 모르폴린 염, 글루코스아민 염, 페닐글리신 알킬 에스테르 염, 에틸렌디아민 염, N-메틸글루카민 염, 구아니딘 염, 디에틸아민 염, 트리에틸아민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염, 클로로프로카인 염, 프로카인 염, 디에탄올아민 염, N-벤질페네틸아민 염, 피페라진 염, 테트라메틸암모늄 염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염; 및 아미노산 염, 예컨대 글리신 염, 리신 염, 아르기닌 염, 오르니틴 염, 글루타메이트 및 아스파르테이트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마그네슘 염, 칼슘 염, 디이소프로필아민 염 및 tert-부틸아민 염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예는 tert-부틸아민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모든 이성질체 (케토-에놀 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그이 분자에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갖는 경우, 이는 다양한 이성질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화합물의 경우, 이들 이성질체 및 이들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모두 단일 화학식, 즉,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이들 이성질체, 및 이들 이성질체를 임의의 주어진 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입체이성질체는 바람직한 경우, 통상적인 광학 분할 방법 또는 분리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합성된 화합물을 단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원자에 비-자연적 비의 원자 동위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원자 동위원소의 예로는 중수소 (2H), 삼중수소 (3H), 아이오딘-125 (125I), 탄소-13 (13C) 및 탄소-14 (14C)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 예컨대 삼중수소 (3H), 아이오딘-125 (125I) 또는 탄소-14 (14C)로 방사성표지될 수 있다. 방사성표지된 화합물은 치료제 또는 예방제, 연구 시약, 예컨대 검정 시약, 및 진단제, 예컨대 생체내 진단 영상화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동위원소 돌연변이체는 그들이 방사성인지 아닌지 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공기 중에 방치되거나 재결정화되는 경우, 이는 물을 흡수하거나, 흡수된 물이 그에 부착되거나, 이는 일부의 경우 수화물이 된다. 이러한 수화물은 또한 본 발명의 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때때로 또다른 특정 유형의 용매를 흡수하고, 그에 의해 용매화물이 된다. 이러한 용매화물은 또한 본 발명의 염에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대사되고,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재된 피리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전환되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하기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하기 제조 방법은 단지 본 제조 방법의 예로서 주어지며, 본 발명은 이들 제조 방법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반응 시, 치환기는 필요에 따라 적합한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기의 유형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판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달리 구체화되지 않는다면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방법 A: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재된 화합물은 아민 화합물 (1)과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A는 상기 정의되어 있다.
(A-1) 아민 화합물 (1)
본 반응에 사용되는 아민 화합물 (1)로서, 하기 화합물 (1a) 내지 (1d)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1a) 및 (1b)는 문헌 [J. Med. Chem., 2012, 55, 1082-110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아민 화합물 (1c) 및 (1d)는 WO 2014/141187의 섹션 155, 실시예 42의 제2 단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상기 정의되어 있다.
(A-2) 카르복실산 화합물 (2)
(A-2-1)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의 제조 방법 1
<반응식 2>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P1은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실산 보호기를 나타내고, B1은 보론산, 보론산 에스테르, 보론산 피나콜레이트, 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칼륨 염, 시클릭 트리올보레이트, 또는 MIDA 보로네이트를 나타내고,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할로피리딘 아세트산 유도체 (3) 및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를 사용하여 스즈키 커플링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P1이 카르복실산 보호기인 경우, 스즈키 커플링 반응의 완결 후, 생성물을 탈보호 반응, 예컨대 가수분해 반응으로 처리하여 반응 생성물이 카르복실산 화합물 (2)로 초래될 수 있도록 한다.
카르복실산 보호기에 관하여, 적합한 보호기는 문헌 [Peter G. M. Wuts, Theodora W. Greene, Greene'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ition, Wiley-Interscience, 2006] 등을 참고로 결정될 수 있다. 보호기 P1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기, 에틸 기 또는 t-부틸 기이다. 탈보호 반응에 관하여, 적합한 반응 조건은 문헌 [Peter G. M. Wuts, Theodora W. Greene, Greene'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ition, Wiley-Interscience, 2006] 등을 참고로, 사용되는 보호기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A-2-1-1) 2-할로피리딘 아세트산 유도체 (3)의 제조 방법
본 반응에서 사용된 출발 물질로서의 2-할로피리딘 유도체 (3)에 관하여, 시판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거나, 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할로피리딘 유도체 (3) 대신, 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또는 2-(치환된 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예컨대 2-(p-톨루엔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및 2-(메탄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2-할로피리딘 유도체 (3)의 바람직한 예로는 2-클로로피리딘-5-일아세트산, 메틸 2-클로로피리딘-5-일 아세테이트, 에틸 2-클로로피리딘-5-일 아세테이트, 및 t-부틸 2-클로로피리딘-5-일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A-2-1-2)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의 제조 방법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 (4a) 내지 (4f)를 들 수 있지만,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P2는 C1-C3 알킬 기를 나타내고,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M은 1가 금속을 나타낸다.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a), (4b) 및 (4c)는 상기 화학식 3에 나타낸 3-할로퀴놀린 (5)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부틸리튬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는 3-할로퀴놀린 (5)에 대해 작용시켜 3-리티오퀴놀린 유도체를 얻고, 그 후, 트리알킬 보레이트, 예컨대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를 3-리티오퀴놀린 유도체에 대해 작용시켜 퀴놀린-3-보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4a)를 합성한다. 더욱이, 퀴놀린-3-보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4a)는 가수분해되고, 따라서 이는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c)로 초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비스(피나콜레이토)디붕소를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서 3-할로퀴놀린 (5)에 대해 작용시키고, 따라서 3-할로퀴놀린 (5)은 퀴놀린-3-보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4b)로 초래될 수 있다.
더욱이,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c) 또는 퀴놀린-3-보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4a) 및 (4b) 대신, 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칼륨 염 (4d), 시클릭 트리올보레이트 (4e), 또는 MIDA 보로네이트 (4f)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칼륨 염 (4d), 시클릭 트리올보레이트 (4e), 및 MIDA 보로네이트 (4f)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원료로서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c) 또는 퀴놀린-3-보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4a) 및 (4b)를 사용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합성의 완결 후,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a) 내지 (4f)는 단리될 수 있거나, 단리 및 정제를 수행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스즈키 커플링 반응으로 처리될 수 있다.
(A-2-1-3) 2-할로피리딘 아세트산 유도체 (3)와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의 스즈키 커플링 반응
본 반응에서, 팔라듐을 함유하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촉매의 예로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tert-부틸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디클로로비스(트리-o-톨릴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로비스(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로[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II), 디클로로[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크산텐]팔라듐(II), [1,3-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이미다졸-2-일리덴](3-클로로피리딜)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PEPSI (등록 상표)-IPr 촉매),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1,1'-비페닐)[2-(2-아미노에틸)페닐]팔라듐(II) (SPhos Pd G1),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에틸)페닐]팔라듐(II) (XPhos Pd G1), 클로로(트리페닐포스핀)[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클로로[트리(o-톨릴)포스핀][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클로로[(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PCy3 Pd G2), 클로로[(트리 t-부틸포스핀)-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P(tBu)3 Pd G2),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SPhos Pd G2),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XPhos Pd G2),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메탄술포네이트 (rac-BINAP Pd G3),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메탄술포네이트 (SPhos Pd G3),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메탄술포네이트 (XantPhos Pd G3),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메탄술포네이트 (XPhos Pd G3), 팔라듐(II) 아세테이트,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및 팔라듐 탄소 촉매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팔라듐 촉매와 함께, 리간드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고 사용될 수 있다. 리간드의 예로는 트리페닐포스핀, 트리(o-톨릴)포스핀, 트리(t-부틸)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PPF),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DPPE),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탈렌 (rac-BINAP),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XantPhos),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SPhos),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XPhos)을 들 수 있다.
염기는 필요에 따라 본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예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탈륨, 인산칼륨, 플루오르화세슘, 칼륨 t-부톡시드,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들 수 있지만,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을 가속화시키거나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첨가제가 적절할 경우 반응계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플레이트 체가 원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염화리튬이 첨가될 수 있고, 또한 부산물의 생성의 억제를 위해, 포름산칼륨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수성 용매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반응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반응은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용매의 예로는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및 1-부탄올,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디옥산, 다른 용매,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 술폭시드, 톨루엔, 벤젠,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 및 상기 언급된 용매 및 물의 혼합된 용매를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의 유형은 상기 언급된 용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 온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실온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A-2-2)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의 제조 방법 2.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은 또한 하기 화학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리딘-2-보론산 유도체 (6)와 3-할로퀴놀린 (5)의 스즈키 커플링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B2는 보론산, 보론산 에스테르, 보론산 피나콜레이트, 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칼륨 염, 시클릭 트리올보레이트, 또는 MIDA 보로네이트를 나타내고, P3은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실산 보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반응에서, 피리딘-2-보론산 유도체 (6)의 보론산 부분은 상기 기재된 (A-2-1)에서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와 같이, 보론산, 보론산 에스테르, 보론산 피나콜레이트, 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칼륨 염, 시클릭 트리올보레이트, 또는 MIDA 보로네이트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재된 (A-2-1)에 사용된 것들과 동일한 반응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론산 유도체는 예를 들어, 상기 (A-2-1)에 기재된 퀴놀린-3-보론산 유도체 (4)에 관한 방법에 따라 시판되는 2-할로피리딘 유도체 (3)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보호기 P3에 관하여, 보호 및 탈보호는 상기 기재된 (A-2-1)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피리딘-2-보론산 유도체 (6)와 3-할로퀴놀린 (5)의 커플링 반응은 상기 기재된 스즈키 커플링 반응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교차-커플링 반응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론산 유도체 대신 유기 아연 화합물을 사용한 교차-커플링 반응 (네기쉬 반응) 또는 유기 주석을 사용한 교차-커플링 반응 (스틸 반응)이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보호기의 탈보호 반응은 상기 기재된 (A-2-1)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A-2-3)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의 제조 방법 3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은 또한 하기 화학식 5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은 아미노 알데히드 유도체 (8) 및 아세틸렌 유도체 (9) 사이의 반응에 따라 퀴놀린 고리를 구축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P1은 상기 정의되어 있다.
카르복실산 보호기 P1에 관하여, 보호 및 탈보호는 상기 기재된 (A-2-1)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A-2-3-1) 아미노 알데히드 유도체 (8)의 합성
아미노 알데히드 유도체 (8)는 예를 들어,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니트로 알데히드 유도체 (7) 등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니트로 알데히드 유도체 (7)로부터, 아미노 알데히드 유도체 (8)는 니트로 기의 환원에 사용되는 공개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환원 방법의 예로는 촉매적 수소화 환원, 산, 예컨대 염산 또는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서 철 분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염화주석(II)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2-3-2) 아세틸렌 유도체 (9)의 합성
아세틸렌 유도체 (9)는 2-할로피리딘 유도체 (3) 등 및 모노-실릴 보호된 아세틸렌 사이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반응을 수행한 후, 반응 생성물로부터 실릴 기를 제거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구리(I) 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반응에서 촉매로서 사용된다. 구리(I) 염의 예로는 구리 할라이드, 예컨대 아이오드화구리(I) 및 브로민화구리(I)을 들 수 있지만, 사용되는 구리 촉매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반응에서, 일반적으로, 팔라듐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팔라듐 촉매의 예로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지만, 사용되는 팔라듐 촉매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반응에서, 염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기의 예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및 tert-부틸아민을 들 수 있지만, 사용되는 염기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반응에서,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용매의 유형은, 그것이 반응에 유해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의 예로는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디옥산, 및 다양한 용매,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 술폭시드, 톨루엔, 벤젠,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지만, 사용되는 용매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반응은 또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온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실온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2-할로피리딘 유도체 (3)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2-할로피리딘 유도체 (3) 대신, 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또는 2-(치환된 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예컨대 2-(p-톨루엔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 및 2-(메탄술포닐옥시)피리딘 유도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반응에 사용될 있는 모노-실릴 보호된 아세틸렌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트리에틸실릴아세틸렌, 트리이소프로필실릴아세틸렌, tert-부틸디메틸실릴아세틸렌 및 tert-부틸디페닐실릴아세틸렌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모노-실릴 보호된 아세틸렌 대신, 적절하게 보호된 모노 보호된 아세틸렌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노가시라 반응의 완결 후, 사용된 모노 보호된 아세틸렌은 다른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탈보호될 수 있으며, 그 후 후속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후속 탈보호 반응에서, 공개적으로 공지된 반응 조건은 사용되는 모노-실릴 보호된 아세틸렌 또는 다른 모노 보호된 아세틸렌의 유형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Peter G. M. Wuts, Theodora W. Greene, Greene'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ition, Wiley-Interscience, 2006] 등에 기재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모노-실릴 보호된 아세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테트라-n-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로서, 예를 들어,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예컨대 물 또는 아세트산은 또한 반응계에 첨가될 수 있다.
(A-2-3-3) 아미노 알데히드 유도체 (8) 및 아세틸렌 유도체 (9)를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반응은 예를 들어, 은(I) 트리플레이트 및 아닐린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시약 및 그의 조합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포름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 온도에 관하여, 반응은 실온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카르복실 보호기의 탈보호 반응은 상기 (A-2-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3) 아민 화합물 (1)과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의 축합 반응
본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축합 시약의 예로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yBOP),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산 클로라이드 (BOP-Cl),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포늄 클로라이드 (DMT-MM),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시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4-모르폴리노메틸렌}디메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OMU),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T3P),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CDI)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DPPA)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축합 시약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T3P)이다.
축합 시약,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 또는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OAt)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2,6-디-tert-부틸피리딘, 2,6-루티딘, 콜리딘, 2,6-디-tert-부틸-4-메틸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이미다졸을 첨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사용되는 염기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반응 용매의 예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및 톨루엔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이다.
반응 온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20℃ 내지 120℃의 온도에서,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에 관하여, 반응은 사용되는 반응 기질 및 시약에 따라 적합한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A-4)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을 산 할라이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얻어진 중간체를 사용하여 화합물 (I)을 합성하는 방법
화합물 (I)은 또한 카르복실산 화합물 (2)을 산 할라이드로 초래한 후, 산 할라이드를 아민 (1)과 축합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산 할라이드는 필요에 따라 단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산 할로겐화 시약의 예로는 산 플루오라이드, 산 클로라이드, 및 산 브로마이드를 들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I)은 또한 카르복실산 (2)을 대칭 산 무수물 또는 혼합산 무수물로 초래한 후, 이를 아민 (1)과 축합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대칭 산 무수물 또는 혼합산 무수물은 필요에 따라 단리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산 무수물로서, 카르복실산 (2)을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tert-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피발산 클로라이드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혼합산 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B
(B-1) 화합물 (I)은 또한 아민 화합물 (1)과 카르복실산 화합물 (3B)의 축합 반응에 따라 아미드 결합을 형성한 후, 교차-커플링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X4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축합 반응 및 교차-커플링 반응에서, 상기 (A-2)에 사용된 것들과 동일한 반응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가 각각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피라졸 고리 상의 질소 원자가 보호된 원료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학식 1에 나타낸 축합 반응의 완결 후, 보호기가 탈보호되고, 따라서 반응 생성물은 화합물 (I)로 초래될 수 있다. 보호기 및 그의 첨가 및 제거 반응은 문헌 [Peter G. M. Wuts, Theodora W. Greene, Greene'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ition, Wiley-Interscience, 2006] 등에 따라 수행될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각각의 단계에서의 반응의 완결 후, 관심의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집한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적절할 경우 중화시키거나, 불용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물 및 비혼합성 유기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를 그 후 잔류물에 첨가하여, 관심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층을 분리한다. 그 후, 유기 층을 물 등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등 상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관심의 화합물을 얻는다. 더욱이, 관심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 용액에 생성된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수집함으로써, 또는 물 또는 유기 용매를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생성된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수집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관심의 얻어진 생성물은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재결정 또는 재침전, 또는 유기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예를 들어, 합성 흡착제, 예컨대 흡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분배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방법,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실리카 겔 또는 알킬화 실리카 겔을 사용한 정상 상/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방법을 적절하게 조합한 후, 적적한 용리액으로 용리함으로써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더욱이, 광학 활성체는 필요에 따라 키랄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되고/거나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RET 키나제 활성 억제 효과 및 RET 키나제 게이트키퍼 돌연변이체 활성 억제 효과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나제 활성 평가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예를 들어, 이동성 변화 검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효과는 또한 알파-LISA 시스템, 웨스턴 블롯 방법, 또는 ELISA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RET 키나제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 선택성과 연관된 다른 키나제, 예컨대 PDGFR, KIT, NTRK 및 FLT3에 대한 본 화합물의 억제 효과, 및 KDR 키나제에 대한 본 화합물의 억제 효과는 또한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키나제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선택성은 또한 상기 기재된 이동성 변화 검정 방법 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나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Carna Biosciences, Inc.)에 의해 제공된 이동성 변화 검정 방법 또는 디스커버X(DiscoverX)에 의해 제공된 키놈스캔(KinomeScan) 방법에 기재한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키나제로 이루어진 키나제 패널에 적용되고,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키나제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활성이 측정될 수 있으며, 키나제 선택성이 확인될 수 있다.
세포에서 나타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RET 키나제 활성 억제 효과, RET 키나제 게이트키퍼 돌연변이체 활성 억제 효과, 및 KDR 키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나제 활성 평가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과는 알파-LISA 시스템, 웨스턴 블롯 방법, 또는 ELISA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RET 및 KDR 키나제에 대한 본 화합물의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 다른 키나제, 예컨대 PDGFR, KIT, NTRK 및 FLt3에 대한 억제 효과는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 및 갑상선암 세포주 TT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성장 억제 활성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장 억제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은 ATP-글로 검정 또는 MTT 검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세포주에 대한 본 화합물의 성장 억제 활성은 또한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내 항종양 활성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종양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방법의 경우에서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종양 세포를 마우스, 래트 등 내로 이식하고, 이식과 동시에, 또는 이식된 세포의 부착이 확인된 후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구 투여, 정맥내 투여 등을 통해 대상체에게 투여한다. 투여 후 수 일 내지 수 주에, 약물 비-투여 그룹에서의 종양 성장을 화합물 투여 그룹에서의 종양 성장과 비교하여, 본 화합물의 생체내 항종양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용해도는 예를 들어, 본 화합물을 조사되는 배지에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진탕하고, 반응 혼합물을 잠시 동안 방치하고, 이를 여과하고, 여액 중의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배지로서, 다양한 pH 값을 갖는 완충제 용액 및 포만 또는 절식 장 주스를 모방하는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조직 및/또는 기관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침투 특성, 예컨대 뇌 침투, 중추 침투, 및 피부 침투는 화합물을 다양한 유형의 동물에게 투여하고, 미리 결정된 기간이 경과한 후에 동물로부터 조직 또는 기관을 절제하고, 그들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그에 함유된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한 후, 화합물의 측정된 농도를 그의 혈액 농도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침투 특성은 형광-표지된 또는 방사성표지된 화합물을 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거나, 비침습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재된 피리딘 화합물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를 함유하는 의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항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질환의 예로는 암, 예컨대 부신 피질암, 항문암, 담관암, 방광암, 유방암, 자궁 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유잉 육종, 담낭암, 하인두암, 인두암, 입술 구강암, 간암, 비-소세포 폐암, 흑색종, 중피종, 다발 골수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위암, 고환암, 및 갑상선암; 백혈병, 예컨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림프종, 예컨대 호지킨 림프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암, 육종 및 백혈병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재된 피리딘 화합물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다양한 형태로 투여된다. 그의 투여 형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제제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다른 상태,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시럽, 액체, 현탁액, 에멀젼 또는 캡슐의 투여 형태인 경우, 이는 경구로 투여된다. 한편,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주사의 형태인 경우, 이는 단독으로 또는 통상적인 유체 대체물,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아미노산과 혼합됨으로써 정맥내로 투여된다. 더욱이, 이러한 주사는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근육내로, 진피내로, 피하로, 또는 복강내로 투여된다. 좌제의 경우, 이는 직장으로 투여된다. 투여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다양한 유형의 이들 제제는 제약 제제의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보조제, 예컨대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활제, 용해제, 교정제 및 코팅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 약물에 첨가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정제로 성형되는 경우,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담체가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담체의 예로는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사카로스,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우레아,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질 셀룰로스, 및 실릭산; 결합제, 예컨대 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순 시럽, 글루코스 용액, 전분 용액, 젤라틴 용액,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셸락, 메틸 셀룰로스, 인산칼륨,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붕괴제, 예컨대 건조 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 분말, 라미나린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스테아레이트, 전분, 및 락토스; 붕괴 억제제, 예컨대 사카로스, 스테아린, 카카오 버터, 및 수소화유; 흡수 촉진제, 예컨대 4급 암모늄 염기 및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린 및 전분; 흡착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카올린, 벤토나이트, 및 콜로이드성 실릭산; 및 윤활제, 예컨대 정제된 활석, 스테아레이트, 붕사 분말,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제는 필요에 따라 일반 코팅 필름으로 코팅된 정제, 예컨대 당-코팅된 정제, 젤라틴-코팅된 정제, 장용-코팅된 정제, 필름-코팅된 정제, 또는 추가로 이중 코팅된 정제 또는 다중층 정제로 더 가공될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환제로 성형되는 경우,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담체가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담체의 예로는 부형제, 예컨대 글루코스, 락토스, 전분, 카카오 버터, 수소화 식물성유, 카올린, 및 활석; 결합제, 예컨대 아라비아 고무 분말, 트라가칸트 분말, 젤라틴, 및 에탄올; 및 붕괴제, 예컨대 라미나린 분말을 들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좌제로 성형되는 경우,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을 공지된 담체가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담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카오 버터, 고급 알콜, 고급 알콜 에스테르, 젤라틴, 및 반-합성 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주사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액체 작용제 및 현탁액 작용제는 멸균되고, 혈액 등과 등장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이러한 액체 작용제, 에멀젼, 또는 현탁액 작용제로 성형되는 경우,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모든 희석제가 사용될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물, 에틸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약 제제는 통상적인 염, 글루코스 또는 글리세린을 등장성 용액의 제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적인 가용화제, 완충제, 슈딩제 등이 또한 제약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제약 제제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보존제, 방향제, 향미제, 감미제 등, 및 다른 제약 생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제약 제제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화합물의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적절할 경우 폭넓은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7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적당하다.
용량은 증상, 연령, 체중, 투여 방법, 투여 형태 등에 따라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성인에의 1일 용량의 하한은 0.001 mg/kg (바람직하게는 0.01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g/kg)이고, 그의 상한은 200 mg/kg (바람직하게는 2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용량으로 1일당 1회 또는 수 시간으로 분할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상기 언급된 질환에 대한 다양한 치료제 또는 예방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소위 암 화학치료제, 예컨대 알킬화제 (시클로포스파미드, 벤다무스틴, 테모졸로미드, 미토마이신 C 등), 백금 제제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등), 항대사물 (페메트렉시드, 5-FU, 카페시타빈 등), 튜불린 억제제 (빈크리스틴, 탁솔, 에리불린 등) 및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등), 및 다양한 형태를 갖는 그의 제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항체 제제, 예컨대 트라스투주맙, 베바시주맙 및 비볼루맙, 항체-약물 복합체, 예컨대 T-DM1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소위 생물제약 생성물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화합물은 또한 다양한 유형의 소위 저분자량 분자-표적화제, 예컨대 키나제 억제제 (이마티닙, 닐로티닙, 에를로티닙, 게피티닙, 아파티닙, 오시머티닙, 수니티닙, 다사티닙, 이브루티닙, 소라페닙, 베무라페닙, 트라메티닙, 및 팔보시클립), 프로테아솜 억제제 (보르테조밉 등), HDAC 억제제 (보리노스타트 등), 및 PARP 억제제 (올라파립 등)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작용제 외에도, 본 화합물은 또한 면역조정제, 예컨대 탈리도미드, 인터페론, 및 호르몬 요법 약물 (타목시펜, 아나스트로졸 등)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작용제는 서로 조합되고, 따라서 본 화합물은 3종 이상의 작용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RET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상기 기재된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과 연관된 질환, 및/또는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과 수반되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예를 들어, 항암제로서 유용하다.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이들 실시예는 어떠한 의미에서도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약, 용매 및 출발 물질은 달리 구체화되지 않는다면 시판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양성자 NMR은 JEOL에 의해 제조된 400 MHz NMR 분광계 또는 배리안(Varian)에 의해 제조된 400 MHz NMR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성자 NMR 스펙트럼 데이터는 유의한 피크를 나타내며, 데이터는 화학적 이동 (이는 테트라메틸실란 피크로부터의 상대적 ppm (δ)으로서 나타내어짐), 양성자의 수, 및 피크 분할의 다중도 (이는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m: 다중선; br s: 넓은 단일선; dd: 이중 이중선 등으로서 나타내어짐)로 나타내어지며, 또한, 커플링 상수는 그것이 명백하게 기재될 수 있는 경우 J 값 (단위: Hz)으로서 지시된다. 저-분할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는 전기분사 이온화 방법 (ESI) 또는 대기압 화학 이온화 방법 (APCI)을 적용하여,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애질런트(Agilent) 시스템; 칼럼: 데벨로실 콤비(Develosil Combi)-RP-5, 2.0 x 50mm, 카덴자(Cadenza) CD-18, 3.0 x 75mm, 또는 ZORBAXSB-C18, 2.1 x 50 mm; 용매: 0.1% 포름산-함유 아세토니트릴/물계, 또는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함유 아세토니트릴/물계)을 통해 통과한 후 얻어진 최대 이온화 피크 (거의 모든 경우 최대 UV 흡수 피크에 상응함)에 관하여 나타내어진다.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시판되는 패킹된 칼럼 및 자동 시스템 (예를 들어, 바이오티지(Biotage) SP1 시스템 등)을 사용한 방법, 또는 머크(Merck)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겔 60을 갖는 유리제 칼럼 (입경: 0.063 내지 0.200 mm)을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사용된 다중 유형의 용매만을 기재하였다. 사용된 용매의 양, 용매의 비, 용매를 또다른 용매로 전환시키는 시기, 및 구배 방법은 본원에 기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원에 적용되는 정제 및/또는 분리 방법은 화학 합성의 분야의 통상의 지식 및/또는 기술로 용이하게 재현될 수 있다고 간주된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약어는 하기 의미를 가짐이 주목되어야 한다.
mg: 밀리그램, g: 그램, mL: 밀리리터, 및 MHz: 메가헤르츠.
[도 1] 도 1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로 확립된 이종이식편 모델을 사용한 항종양 활성 시험에 있어서의 종양 퇴행 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도 2는 RET 키나제 활성의 지시제로서 사용된 위치 905에서의 티로신의 RET 인산화에 대한 감소 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실시예 1>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1-1> (6,7-디메톡시퀴놀린-3-일)보론산
질소 분위기 하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70 mL) 중 3-브로모-6,7-디메톡시퀴놀린 (17.03 g, 63.5 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 (19.0 mL, 82.3 mmol)의 용액을 -78℃로 냉각시키고, n-부틸리튬 헥산 용액 (1.60 mol/L, 58.0 mL, 92.8 mmol)을 상기 용액에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후, 혼합된 용액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의 온도를 -30℃ 내지 -40℃로 증가시키고, 1 mol/L 염산 (170 mL)을 반응 용액에 서서히 첨가한 후,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증가시켰다. 1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9 : 1)의 혼합된 용매를 잔류물에 첨가한 후,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 층을 물을 함유하는 얻어진 여액으로부터 분리한 후, 물 층을 염화나트륨으로 포화시키고, 이이서 클로로포름/메탄올 (9 : 1)의 혼합된 용매로 3회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 층을 합하고, 합한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표적 화합물 (13.74 g, 59.0 mmol, 수율: 72%)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m/z: 234 (M+H)+.
<1-2> 메틸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딜-3-일]아세테이트
물 (18 mL) 중 탄산나트륨 (5.96 g, 56.2 mmol)의 용액을 1,4-디옥산 (72 mL) 중 (6,7-디메톡시퀴놀린-3-일)보론산 (4.37 g, 18.75 mmol), 메틸 2-(6-클로로피리딜-3-일)아세테이트 (3.47 g, 18.70 mmol)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895 mg, 1.88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질소 치환하였다. 그 후,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849 mg, 0.93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후, 질소 치환을 다시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3회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20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합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NH 실리카 겔,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4.04 g, 12.46 mmol, 수율: 67%)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3.71 (2H, s), 3.74 (3H, s), 4.03 (3H, s), 4.06 (3H, s), 7.14 (1H, s), 7.46 (1H, s), 7.77 (1H, dd, J = 8.2, 2.1 Hz), 7.84 (1H, d, J = 7.3 Hz), 8.62 (1H, d, J = 1.8 Hz), 8.64 (1H, d, J = 1.8 Hz), 9.31 (1H, d, J = 2.4 Hz).
MS m/z: 339 (M+H)+.
<1-3>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딜-3-일]아세트산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메탄올 (20 mL), 및 1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 mL, 20.0 mmol)을 메틸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테이트 (2.24 g, 6.91 mmol)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1 mol/L 염산 (2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혼합된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클로로포름/메탄올 (9 : 1)의 혼합된 용매를 얻어진 잔류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의 대략 정제된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대략 정제된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그 후 에탄올/디에틸 에테르 (1 : 1)의 혼합된 용매로 세척하여 표적 화합물 (1.57 g, 4.83 mmol, 수율: 70%)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DMSO-d6) :3.69 (2H, s), 3.91 (3H, s), 3.93 (3H, s), 7.40 (1H, s), 7.45 (1H, s), 7.81 (1H, dd, J = 8.2, 2.1 Hz), 8.06 (1H, d, J = 8.5 Hz), 8.58 (1H, d, J = 1.8 Hz), 8.81 (1H, d, J = 1.8 Hz), 9.35 (1H, d, J = 1.8 Hz).
MS m/z: 325 (M+H)+.
<1-4>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0%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대략 1.7 mol/L, 1.80 mL, 3.0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 mL) 중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 (486 mg, 1.495 mmol), 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아민 (320 mg, 1.648 mmol, 문헌 [J. Med. Chem., 2012, 55, 1082-1105]에 기재됨) 및 피리딘 (0.483 mL, 5.97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 (90 mL)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60 mL)의 혼합물에 부은 후, 얻어진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물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얻어진 고체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654 mg, 1.308 mmol, 수율: 87%)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2>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2.0 mol/L 메탄술폰산 수용액 (0.821 mL, 1.642 mmol)을 이소프로필 알콜 (12.6 mL) 중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632 mg, 1.261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이소프로필 알콜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734 mg, 1.230 mmol, 수율: 98%)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3>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0%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대략 1.7 mol/L, 1.80 mL, 3.0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 mL) 중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 (486 mg, 1.495 mmol),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아민 (320 mg, 1.648 mmol, 문헌 [J. Med. Chem., 2012, 55, 1082-1105]에 기재됨) 및 피리딘 (0.483 mL, 5.97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 (80 mL)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80 mL)의 혼합물에 부은 후, 얻어진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그 후, 디클로로메탄, 물,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얻어진 고체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683 mg, 1.366 mmol, 수율: 91%)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4>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2.0 mol/L 메탄술폰산 수용액 (0.883 mL, 1.766 mmol)을 이소프로필 알콜 (20.4 mL) 중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680 mg, 1.360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이소프로필 알콜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626 mg, 1.050 mmol, 수율: 77%)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5>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5-1> tert-부틸 5-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물 (15 mL)에 용해된 수산화칼륨 (7.0 g, 125 mmol)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아민 (2.6 g, 13.5 mmol, WO 2014/141187 섹션 155에서의 실시예 42의 제2 단계에 의해 합성된 화합물)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집중적으로 교반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0 g, 13.8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된 유기 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 g, 7.5 mmol, 수율: 56%)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1.49 (6H, s), 1.64 (9H, s), 5.15 (2H, brs), 5.46-5.47 (1H, m).
MS m/z: 194 (M+H-Boc)+.
<5-2> tert-부틸 5-({[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0%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대략 1.7 mol/L, 46.0 mL, 78.2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80 mL) 중 tert-부틸 5-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8.10 g, 27.6 mmol),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 (8.5 g, 26.2 mmol), 및 피리딘 (21 mL, 26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00 mL)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0 mL)의 혼합물에 부은 후,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로, 및 그 후 헥산으로 세척한 후, 감압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00 mL)에 현탁시킨 후,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표적 화합물 (15.21 g, 25.4 mmol, 수율: 97%)을 거의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1.51 (6H, s), 1.61 (9H, s), 3.83 (2H, s), 4.04 (3H, s), 4.07 (3H, s), 6.91 (1H, s), 7.16 (1H, s), 7.47 (1H, s), 7.83-7.90 (2H, m), 8.63 (1H, d, J = 2.4 Hz), 8.70 (1H, d, J = 1.8 Hz), 9.32 (1H, d, J = 1.8 Hz), 10.34 (1H, s).
MS m/z: 600 (M+H)+.
<5-3>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 mL)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5-({[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81 g, 1.351 mmol)의 용액에 얼음 상의 냉각 하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증가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휘발성 성분을 감압 하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NH 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및 그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혼합된 용매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0.64 g, 1.283 mmol, 수율: 95%)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6>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2.0 mol/L 메탄술폰산 수용액 (6.00 mL, 12.00 mmol)을 이소프로필 알콜 (80 mL) 중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4.00 g, 8.02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60℃에서 반응 용액이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반응 용액을 침전된 고체와 함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4.14 g, 6.95 mmol, 수율: 87%)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7>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1-메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0%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대략 1.7 mol/L, 0.18 mL, 0.30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 1-메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아민 (48 mg, 0.313 mmol, WO 2014/141187의 섹션 153에서의 실시예 41의 제2 단계에 의해 합성된 화합물),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 (68 mg, 0.208 mmol), 및 피리딘 (0.050 mL, 0.618 mmol)의 용액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밤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피리딘 (0.017 mL, 0.210 mmol) 및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0%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대략 1.7 mol/L, 0.061 mL, 및 0.104 mmol)을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 mL)을 그에 첨가하였다. 혼합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을 합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의해, 및 그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NH 실리카 겔,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현탁시킨 후,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표적 화합물 (48.9 mg, 0.095 mmol, 수율: 46%)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8>
메틸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딜-3-일]아세테이트를 합성하는 대안적 방법
<8-1> 2-아미노-4,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에탄올 (70 mL) 중 4,5-디메톡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 (5.00 g, 23.7 mmol), 0.1 mol/L 염산 (10 mL), 및 150 μm의 철 분말 (5.17 g, 92.6 mmol)의 현탁액을 8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셀라이트(Celite) (간토 가가쿠(KANTO KAGAKU), 셀라이트 545)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잔류물에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3.96 g, 21.9 mmol, 수율: 92%)을 적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3.85 (3H, s), 3.89 (3H, s), 6.00-6.17 (3H, m), 6.88 (1H, s), 9.69 (1H, s).
MS m/z: 182 (M+H)+.
<8-2> 메틸 (6-{[트리(프로판-2-일)실릴]에티닐}피리딘-3-일)아세테이트
질소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 아이오드화구리(I) (15.1 mg, 0.079 mmol),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58.0 mg, 0.083 mmol), 메틸 2-(6-클로로피리딘-3-일)아세테이트 (517 mg, 2.79 mmol), 트리에틸아민 (1.20 mL, 8.61 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아세틸렌 (1.20 mL, 5.35 mol)의 현탁액 내로 버블링하였다. 그 후, 반응계를 질소로 치환환 후, 현탁액을 80℃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및 포화 염수를 그에 첨가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888 mg, 2.55 mmol, 수율: 92%)을 밝은 황색 오일성 물질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1.06-1.18 (21H, m), 3.62 (2H, s), 3.69 (3H, s), 7.40-7.45(1H, m), 7.54-7.61 (1H, m), 8.44-8.48 (1H, m).
MS m/z: 332 (M+H)+.
<8-3> 메틸 (6-에티닐피리딘-3-일)아세테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 mol/L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7 m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8.5 mL) 중 메틸 (6-{[트리(프로판-2-일)실릴]에티닐}피리딘-3-일)아세테이트 (3.76 g, 10.82 mmol) 및 아세트산 (1 mL)의 용액에 0℃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증가시킨 후,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3 mol/L 염산 (12 mL)을 농축물에 첨가하였다. 수상을 헥산으로 세척한 후, 5 mol/L 수산화나트륨 (7 mL)을 그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합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잔류물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NH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표적 화합물 (1.83 g, 9.57 mmol, 수율: 88%)을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3.15 (1H, s), 3.65 (2H, s), 3.72 (3H, s), 7.43-7.49 (1H, m), 7.60-7.66 (1H, m), 8.47-8.52 (1H, m).
MS m/z: 176 (M+H)+.
<8-4> 메틸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딜-3-일]아세테이트
아닐린 (0.110 mL, 1.207 mmol)을 디클로로에탄 (1 mL) 중 메틸 (6-에티닐피리딘-3-일)아세테이트 (103 mg, 0.539 mmol), 2-아미노-4,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130 mg, 0.715 mmol) 및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29.4 mg, 0.114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였다. 클로로포름을 얻어진 대략 정제된 생성물에 첨가한 후,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표적 화합물 (135 mg, 0.398 mmol, 수율: 74%)을 녹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CDCl3) δ: 3.72 (2H, s), 3.75 (3H, s), 4.04 (3H, s), 4.07 (3H, s), 7.16 (1H, s), 7.47 (1H, s), 7.75-7.82 (1H, m), 7.82-7.89 (1H, m), 8.59-8.68 (2H, m), 9.29-9.35 (1H, m).
MS m/z: 339 (M+H)+.
실시예 1 내지 7에 기재된 화합물의 물리적 데이터 및 상응하는 유리 형태 화합물의 구조를 하기에 나타낼 것이다.
[표 1]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참고예 1>
Figure pct00017
<단계 1> 에틸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테이트
1,4-디옥산 (36 mL) 중 3-브로모-6,7-디메톡시-퀴놀린 (2.0 g, 7.5 mmol), 4-(에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 (2.6 g, 9.0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첨가생성물 (0.61 g, 0.75 mmol)의 용액에 물 (4.0 mL) 중 탄산나트륨 (2.4 g, 22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0.15 L) 및 디클로로메탄 (2 x 0.15 L) 사이에 분배시켰다. 합한 유기 층을 물 (80 ml)로, 이어서 염수 용액 (3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한 정제로 에틸 2-[4-(6,7-디메톡시-3-퀴놀릴)페닐]아세테이트 (2.5 g, 7.0 mmol, 94% 수율)를 밝은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29 (3H, t, J = 7.2 Hz), 3.69 (2H, s), 4.04 (3H, s), 4.06 (3H, s), 4.19 (2H, q, J = 7.2 Hz), 7.11 (1H, s), 7.43-7.44 (3H, m), 7.66 (2H, d, J = 7.8 Hz), 8.15 (1H, d, J = 2.0 Hz), 8.97 (1H, d, J = 2.0 Hz).
MS m/z: 352 (M+H)+.
<단계 2>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트산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트산을, <실시예 1-3>에 사용된 메틸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테이트를 에틸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테이트로 치환하여, <실시예 1-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3.65 (2H, s), 3.93 (3H, s), 3.95 (3H, s), 7.41-7.42 (4H, m), 7.77 (2H, d, J = 8.3 Hz), 8.44 (1H, d, J = 2.0 Hz), 9.01 (1H, d, J = 2.0 Hz), 12.38 (1H, s). MS m/z: 324 (M+H)+.
<단계 3>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 N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3>에 사용된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을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트산으로 치환하여, <실시예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54 (6H, s), 3.86 (2H, s), 4.05 (3H, s), 4.07 (3H, s), 6.49 (1H, s), 7.12 (1H, s), 7.44-7.46 (3H, m), 7.72-7.74 (2H, m), 8.11 (1H, s), 8.17 (1H, d, J = 2.4 Hz), 8.95 (1H, d, J = 2.4 Hz). MS m/z: 500 (M+H)+.
<단계 4>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 N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메실레이트를, <실시예 4>에 사용된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를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 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로 치환하여, <실시예 4>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H-NMR (CDCl3) δ: 1.49 (6H, s), 3.05 (3H, s), 3.88 (2H, s), 4.11 (3H, s), 4.16 (3H, s), 6.41 (1H, s), 7.35 (1H, s), 7.49 (2H, d, J = 7.8 Hz), 7.55 (2H, d, J = 7.8 Hz), 7.90 (1H, s), 8.71 (1H, s), 8.92 (1H, s), 9.78 (1H, s). MS m/z: 500 (M+H-96)+.
<참고예 2>
Figure pct00018
<단계 1> tert -부틸 5-({[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 H -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5-({[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를, <실시예 5-2>에 사용된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을 [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트산으로 치환하여, <실시예 5-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51 (6H, s), 1.59 (9H, s), 3.83 (2H, s), 4.05 (3H, s), 4.07 (3H, s), 6.92 (1H, s), 7.11 (1H, s), 7.46-7.49 (3H, m), 7.70-7.72 (2H, m), 8.16 (1H, d, J = 1.8 Hz), 8.97 (1H, d, J = 2.4 Hz), 10.23 (1H, s). MS m/z: 599 (M+H)+.
<단계 2>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 N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 H -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5-3>에 사용된 tert-부틸 5-({[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를 tert-부틸 5-({[4-(6,7-디메톡시퀴놀린-3-일)페닐]아세틸}아미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로 치환하여, <실시예 5-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무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1H-NMR (CDCl3) δ: 1.53 (6H, s), 3.81 (2H, s), 4.05 (3H, s), 4.06 (3H, s), 6.47 (1H, br s), 7.12 (1H, s), 7.25-7.29 (1H, m), 7.43-7.46 (3H, m), 7.69 (2H, d, J = 7.9 Hz), 7.93 (1H, s), 8.15 (1H, s), 8.94 (1H, s). MS m/z: 499 (M+H)+.
<참고예 3>
Figure pct00019
<단계 1> 메틸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중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2.5 g, 11 mmol) 및 탄산칼륨 (4.5 g, 32 mmol)의 교반 용액에 아이오도메탄 (0.80 mL, 13 mmol)을 0℃에서 참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방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을 추가의 1시간 동안 재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1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 (60 ml)로, 이어서 염수 용액 (3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켜 메틸 (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 (2.5 g, 10 mmol, 96% 수율)를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3.63 (2H, s), 3.71 (3H, s), 7.14-7.15 (1H, m), 7.24-7.25 (1H, m), 7.27-7.27 (1H, m).
<단계 2> 메틸 [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
1,4-디옥산 (8.0 mL) 중 메틸 2-(4-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 (0.58 g, 2.3 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붕소 (0.65 g, 2.6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첨가생성물 (0.19 g, 0.23 mmol) 및 아세트산칼륨 (0.69 g, 7.0 mmol)의 용액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생성된 혼합물에 물 (2.0 mL)에 용해된 3-브로모-6,7-디메톡시-퀴놀린 (0.50 g., 1.9 mmol) 및 탄산나트륨 (0.74 g, 7.0 mmol)을 첨가하고, 100℃에서 교반을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70 mL) 및 디클로로메탄 (2 x 7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합한 유기 층을 물 (40 mL)로, 이어서 염수 용액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에 의한 정제로 메틸 2-[4-(6,7-디메톡시-3-퀴놀릴)-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 (0.64 g, 1.8 mmol)를 밝은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3.74-3.76 (5H, m), 4.05 (3H, s), 4.06 (3H, s), 7.11 (1H, s), 7.40-7.44 (4H, m), 8.14 (1H, d, J = 2.0 Hz), 8.95 (1H, d, J = 2.0 Hz). MS m/z: 356 (M+H)+.
<단계 3> [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을, <실시예 1-3>에 사용된 메틸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테이트를 메틸 [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로 치환하여, <실시예 1-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3.70 (2H, s), 3.93 (3H, s), 3.96 (3H, s), 7.40-7.41 (2H, m), 7.49 (1H, t, J = 8.1 Hz), 7.64-7.65 (1H, m), 7.68-7.70 (1H, m), 8.51 (1H, s), 9.04 (1H, d, J = 2.0 Hz), 12.52 (1H, s). MS m/z: 342 (M+H)+.
<단계 4>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 N -[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2-[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3>에 사용된 [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아세트산을 [4-(6,7-디메톡시퀴놀린-3-일)-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으로 치환하여, <실시예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1H-NMR (CDCl3) δ: 1.54 (6H, s), 3.87 (2H, s), 4.05 (3H, s), 4.07 (3H, s), 6.49 (1H, s), 7.12 (1H, s), 7.46-7.47 (3H, m), 7.51-7.52 (1H, m), 8.15 (1H, d, J = 2.4 Hz), 8.34 (1H, s), 8.93 (1H, d, J = 2.4 Hz). MS m/z: 518 (M+H)+.
<시험예>
<시험예 1> RET 키나제 억제 활성의 평가 (무세포계)
반응 완충제 (100 mM HEPES (pH 7.4), 10 mM MgCl2, 0.003% 브리즈(Brij)-35, 0.004% 트윈-20, 및 1 mM DTT)를 RET 재조합 단백질 (RET - 야생형; 인비트로젠(Invitrogen) #PV3819, 최종 농도: 80 pg/ul, 또는 RET - 게이트키퍼 돌연변이 (V804L); 인비트로젠 #PV4397, 최종 농도: 80 pg/ul)과 혼합하여 RET 키나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로 4000 nm의 최종 농도를 갖도록 제조하고, 또한 12가지 상이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샘플을 √10의 희석 배율로 제조하였다. RET 키나제 용액 19 uL를 384-웰 플레이트의 라인 A 내지 P의 각각에 첨가하고, 그 후, 각각의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라인 C 내지 N에 첨가하고, 또한, 디메틸 술폭시드 (이하 DMSO로 지칭됨) 1 uL를 라인 A, B, O 및 P의 각각에 첨가하였다.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각각 실온에서 20분 동안 예비인큐베이션하였다. 더욱이, 둘 다 반응 완충제 및 FL-펩티드 22 (퍼킨엘머(PerkinElmer), #760366, 최종 농도: 1.5 uM) 외에도, ATP를 함유하는 기질 용액 A (최종 농도: 1 mM) 및 ATP를 함유하지 않는 기질 용액 B를 제조하였다. 기질 용액 A는 5 uL의 양으로 라인 B 내지 O에 첨가한 반면, 기질 용액 B는 5 uL의 양으로 라인 A 및 P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각각 28℃에서 4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 종결 용액 (100 mM HEPES (pH 7.4), 0.015% 브리즈-35, 40 mM EDTA, 및 0.1% 코팅 시약 3)을 40 ul의 양으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EZ 리더 II (퍼킨 엘머)를 사용하여, 기질 펩티드를 반응 용액 중 인산화 펩티드로부터 분리하고, 기질 펩티드의 피크 (S) 및 인산화 펩티드의 피크 (P)로부터 계산된 생성물 비 (P / (P + S))를 평가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농도를 갖는 시험 화합물의 억제를 하기 식 (EZ 리더 II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계산됨)에 의해 얻었다.
억제 (%) = 100 x (1 - Ci / Co) (a)
Ci: 기질 용액 A를 갖는 시험 화합물의 반응의 전환율 - 기질 용액 B를 갖는 DMSO의 반응의 전환율
Co: 기질 용액 A를 갖는 DMSO의 반응의 전환율 - 기질 용액 B를 갖는 DMSO의 반응의 전환율
식 (a)에 따른 12가지 상이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억제율에 기초하여, 4-파라미터 지수 회귀 곡선을 그렸다. 이 때, 4-파라미터 지수 회귀 방정식은 하기와 같이 표현된다.
억제 (%) = 하부 + (상부-하부) / (1 + (X / IC50) ^기울기) (b)
상부: 상향 점근선
기울기: 기울기 파라미터
IC50: (상부 + 하부)의 값 X / 2
하부: 하향 점근선
X: 시험 화합물의 농도
먼저, 임의의 주어진 초기 값을 상부, 기울기, IC50, 하부 (상부 = 100, 기울기 = -1, IC50 = 대략 IC50, 및 하부 = 0) 내로 투입하여, 회귀 곡선을 그렸다. 이어서, 최소-제곱 방법을 측정된 값 및 식 (b)로부터 얻어진 추정된 값 사이의 차의 제곱의 합계로 실행하여 4-파라미터 지수 회귀 방정식의 계수를 계산하여, IC50을 계산하였다.
[표 2]
Figure pct00020
*) 알렉티닙: 9-에틸-6,6-디메틸-8-[4-(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11-옥소-6,11-디히드로-5H-벤조[b]카르바졸-3-카르보니트릴
<시험예 2> KDR 키나제 억제 활성의 평가 (세포계)
HUVEC 세포를 웰당 1500 세포의 세포 밀도로 플레이트 상에 시딩한 후, 밤새 배양하였다. 시험 화합물 (10 uM, 2.5 uM, 625 nM, 156 nM, 50 nM, 10 nM, 2.5 nM, 또는 0.6 nM)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VEGF165 (페프로테크(Peprotech), #100-20)를 50 ng/ml의 최종 농도로 배양물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37℃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생성된 세포를 알파LISA 슈어파이어 울트라(AlphaLISA SureFire Ultra) (퍼킨 엘머, #ALSU-PVGFR-A500)에 포함된 용해 완충제 50 ul로 용해시킨 후, 수용자 비드 및 공여자 비드를 세포 용해물 10 ul에 상기 언급된 키트와 함께 포함된 지시 매뉴얼에 따라 첨가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키고, 그 후, KDR 키나제 억제 활성률을 엔비젼(Envision) (퍼킨 엘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지 용해 완충제만이 첨가된 웰에 대한 값을 배경으로서 모든 값으로부터 빼었다. 그 후, VEGFR이 첨가되고, 시험 화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웰에 대한 값을 100%의 KDR 키나제 활성으로서 정의하고, 얻어진 값을 교정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Microsoft Excel) 2010의 Growth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50% 억제 값을 추정하고, 이를 IC50의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3]
Figure pct00021
<시험예 3> RET 키나제 억제 활성의 평가 (세포계)
Myc 태그부착된 RET 유전자 또는 RET (V804L) 돌연변이체 유전자가 과발현된 Ba/F3 세포를 웰당 500,000 세포의 세포 밀도로 플레이트 상에 시딩한 후, 시험 화합물 (10 uM, 2.5 uM, 625 nM, 156 nM, 50 nM, 10 nM, 2.5 nM, 또는 0.6 nM)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이이서 얻어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 mL의 세포 용해 완충제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 #9803), 포스파타제 억제제의 단일 정제 (로슈(Roche), #04906837001),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단일 정제 (로슈, #0469312400)를 밀리Q(MilliQ) 9 mL에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 20 ul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얼음 상에 20분 동안 정치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5-ul 분취액을 세포 용해물로부터 취하고, 그 후, 알파 스크린 포스포티로신(Alpha Screen Phosphotyrosine) (P-Tyr-100) 검정 키트 (퍼킨 엘머, #6760620C)에 포함된 64 nl의 Myc 항체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3946) 및 102 nl의 P-Tyr-100 수용자 비드의 동량으로 스트렙타비딘 공여자 비드를 분취액에 상기 언급된 검정 키트와 함께 포함된 지시 매뉴얼에 따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킨 후, RET 키나제 억제 활성률을 엔비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값으로부터, 단지 용해 완충제가 첨가된 웰의 값을 배경 값으로서 빼고, 그 후, 얻어진 값을, 시험 화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웰의 값을 100%의 RET 키나제 활성으로서 정의하면서, 교정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2010의 Growth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50% 억제 값을 추정하고, 이를 IC50의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4]
Figure pct00022
*) 알렉티닙: 9-에틸-6,6-디메틸-8-[4-(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11-옥소-6,11-디히드로-5H-벤조[b]카르바졸-3-카르보니트릴
<시험예 4>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를 사용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의 측정
CCDC6-RET 융합 유전자를 갖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 (RIKEN, J Thorac Oncol. 2012 Dec, 7(12), 1872-6)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LC-2/ad 세포를 웰당 5,000 세포의 세포 밀도로 96-웰 플레이트 상에 시딩한 후, 37℃에서 5% CO2의 존재 하에서 밤새 15% FBS 및 25mM HEPES를 함유하는 RPMI-1640을 햄 F12 혼합물과 1 : 1의 혼합비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시험 화합물을 희석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디메틸 술폭시드 (이하 DMSO로 지칭됨)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37℃에서 5% CO2의 존재 하에서 9일 동안 배양하고, 그 후, 세포 카운트 측정 시약 셀타이터-글로(CellTiter-Glo)(R) 발광 세포 생존력 검정 (프로메가(Promega), #G7571)을 배양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그 후, 발광 측정 장치 엔비젼을 사용하여, 발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단지 배지만이 첨가된 웰의 측정 값을 0%의 생존율로서 정의하고, DMSO가 첨가된 웰의 측정 값을 100%의 생존율로서 정의하였다. 각각의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LC-2/ad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2010의 Growth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50% 억제 값을 추정하고, 이를 IC50의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5]
Figure pct00023
*) 알렉티닙: 9-에틸-6,6-디메틸-8-[4-(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11-옥소-6,11-디히드로-5H-벤조[b]카르바졸-3-카르보니트릴
<시험예 5> 갑상선암 세포주 TT를 사용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의 측정
RET 활성화 돌연변이 (C634W)를 갖는 갑상선암 세포주 TT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995 Feb 27 (207), 1022-1028)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TT 세포를 웰당 5,000 세포의 세포 밀도로 96-웰 플레이트 상에 시딩한 후, 37℃에서 5% CO2의 존재 하에서 밤새 10% FBS를 함유하는 F-12K 영양소 혼합물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화합물을 희석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디메틸 술폭시드 (이하 DMSO로 지칭됨)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37℃에서 5% CO2의 존재 하에서 9일 동안 배양하고, 그 후, 세포 카운트 측정 시약 셀타이터-글로(R) 발광 세포 생존력 검정을 배양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그 후, 발광 측정 장치 엔비젼 (퍼킨 엘머)을 사용하여, 발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단지 배지만이 첨가된 웰의 측정 값을 0%의 생존율로서 정의하고, DMSO가 첨가된 웰의 측정 값을 100%의 생존율로서 정의하였다. 각각의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TT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2010의 Growth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50% 억제 값을 추정하고, 이를 IC50의 값으로서 사용하였다.
[표 6]
Figure pct00024
*) 알렉티닙: 9-에틸-6,6-디메틸-8-[4-(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11-옥소-6,11-디히드로-5H-벤조[b]카르바졸-3-카르보니트릴
<시험예 6>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로 확립된 이종이식 모델을 사용한 항종양 활성의 평가
DPBS (지브코(Gibco), #14190)에 현탁된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LC-2/ad (RIKEN, J Thorac Oncol. 2012 Dec, 7(12), 1872-6)의 세포를 동량의 코닝 마트리겔 베이스먼트 멤브레인 매트릭스(Corning Matrigel Basement Membrane Matrix) (코닝(Corning), #354234)와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NOG 마우스 내로 피하로 이식하여 종양을 형성하였다. (NOG 마우스는 그들을 인 비보 사이언스 인크.(In Vivo Science Inc.)로부터 받은 후 적응시키고, 그 후, 세포를 마우스가 9주령이었을 때 마우스 내로 이식하였다. 사료로서 FR-2 (후나바시 팜 캄파니, 리미티드(Funabashi Farm Co., Ltd.)로부터 제조됨)를 사용하였다. 종양이 100 내지 200 mm3의 크기에 도달한 후, 마우스를 종양 직경을 기준으로 무작위화한 후, 실시예 4의 화합물 (이하 화합물 A로 지칭됨)의 경구 투여를 개시하였다. 화합물 A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1%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를 사용하였다. 1일 3회 마우스의 체중당 3 mg/kg 또는 1 mg/kg의 용량으로의 화합물 A의 경구 투여를 9일 동안 계속하였다 [여기서, 3 mg/kg 화합물 A를 1일 3회 투여한 그룹을 투여 그룹 a (■)로 지칭하고, 1 mg/kg 화합물 A를 1일 3회 투여한 그룹을 투여 그룹 b (▲)로 지칭하고, 단지 용매만이 투여된 그룹을 비히클 그룹 (◆)으로 지칭한다]. 그 결과, 용량-의존적 종양 퇴행이 관찰되었다 (도 1). 이 시험 동안, 비히클 그룹에 비해 화합물 A 투여 그룹에서 체중의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종양을 화합물 A의 최종 투여 후 2시간 내지 6시간에 수집한 후 (비히클 그룹에 대해서는 투여가 수행되지 않았음), RET 키나제 활성의 지시제로서 사용된 위치 905에서의 티로신의 RET 인산화 (pRET(Y905), Nature Medicine, 18, 375-377 (2012))를 웨스턴 블롯팅 방법에 의해 검출하였다. 그 결과, Y905의 인산화의 용량-의존적 억제가 확인되었다 (도 2).
[비교 데이터 1]
본 발명의 화합물 (표 7) 및 비교자 화합물 (표 8)의 RET IC50 및 KDR IC50 값 (세포계)을 하기에 제공한다. 표 8로부터, 비교자 화합물은 RET 및 KDR에서 등효력임이 명백하다. 대조적으로, 표 7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KDR에 비해 RET에 대해 선택적임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025
[표 8]
Figure pct00026
[비교 데이터 2] 원 샷 PKPD 분석
ets 변이체 6 (ETV)-RET 및 ETV-RET-V804L의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뮤린 프로-B 세포, Ba/F3을 다이이찌 산쿄 RD 노베어 가부시키가이샤(Daiichi Sankyo RD Novare Co., Ltd.)에 의해 구축하고, 5% CO2 분위기로 37℃에서 설정된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v/v) 열-불활성화된 소 태아 혈청 (FBS, GE 헬스케어(GE Healthcare)) 및 1.5 μg/mL 푸로마이신으로 보충된 RPMI1640 배지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Thermo Fisher Scientific K.K.))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DPBS에 현탁시키고, 마우스당 1.0 × 107 세포로 마우스 내로 피하로 접종하였다. 종양이 100 내지 200 mm3의 크기에 도달한 후, 마우스를 종양 직경을 기준으로 무작위화하고, 1% (w/v)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용액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 (10 mg/kg, 화합물 229 또는 실시예 3)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군 그룹은 1% (w/v)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용액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후 6시간에, 종양을 수확하고, 액체 질소에 의해 즉시 동결시켰다. 동결된 샘플을 용해 완충제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인크.) 및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 (로슈 디아그노스틱스 게엠베하(Roche Diagnostics GmbH))을 갖는 비드 밀 균질화기 (바이오메디칼 사이언스 캄파니, 리미티드(Biomedical Science Co., Ltd.), 및 야스이 기카이 코포레이션(Yasui Kikai Corporation))에 의해 균질화시켰다. 종양 용해물의 단백질 농도를 비색 시약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정량화하고, 모두를 용해 완충제에 의해 동일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종양 용해물을 환원 시약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을 갖는 샘플 완충제에 첨가하고, 열 (70℃, 10분)에 의해 변성시켰다. 30 μg, 15 μg 및 15 μg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각각 포스포-RET, RET 및 액틴의 발현을 검출하였다. 단백질을 5% 내지 20% 트리스 HCl 겔 (DRC 캄파니, 리미티드(DRC Co., Ltd.)) 상에서 분해하고, 니트로셀룰로스 막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으로 옮겼다. 막을 항-RET 토끼 모노클로날 항체 (1:1000 희석, 카탈로그 번호 14698,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인크.), 항-포스포 RET (Y905)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 (1:250 희석, 카탈로그 번호 3221,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인크.), 및 항-액틴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 (1:4000 희석, 카탈로그 번호 sc-1616R,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 인크.(Santa Cruz Biotechnology, Inc.)) 1차 항체, 이이서 항-토끼 IgG 염소 항체 HRP-접합된 2차 항체 (1:2000 희석, 카탈로그 번호 7074,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인크.)로 블롯팅하였다. HRP 및 기질 (피어스 ECL 플러스 웨스턴 블롯팅 서브스트레이트(Pierce ECL Plus Western Blotting Substrate), 카탈로그 번호 32132,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의 화학발광 반응을 영상 스캐너 타이푼(Typhoon) 9400 (GE 헬스케어)에 의해 검출하였다. 인산화 RET (pRET) 및 RET의 신호 강도를 정량화하고, 하기 방법과 같이 계산하였다.
RET의 인산화 비: (pRET의 신호 강도) / (RET의 신호 강도)
RET의 상대 인산화 (%): [(시험 화합물 처리된 샘플에서의 RET의 평균 인산화 비) / (비히클 처리된 샘플에서의 RET의 평균 인산화 비)] X 100
[표 9]
Figure pct00027
NT: 시험되지 않음
*화합물 229는 하기 구조를 가지며, WO2015/031613에 실시예 번호 229로서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28
화합물 229는 종양에서의 빈약한 노출로 인해 Ba/F3-RET-V804M 종양에서 인산화 RET (pRET)를 억제하지 않았지만, 화합물 229는 시험관내에서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빈약한 노출은 화합물 229의 생체내에서의 약한 효능의 주요 원인일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3의 화합물은 명백하게 Ba/F3-RET 종양에서 pRET를 억제하였다.
<제형예>
<제형예 1> 캡슐제
실시예 4 또는 6의 화합물 50 mg
락토스 128 mg
옥수수 전분 7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mg
--------------------------------------------------
250 mg
상기 처방을 갖는 분말을 혼합한 후, 60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통과시켰다. 그 후, 이 분말을 젤라틴 캡슐 250 mg에 정치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4 또는 6의 화합물 50 mg
락토스 126 mg
옥수수 전분 23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 mg
--------------------------------------------------
200 mg
상기 처방을 갖는 분말을 혼합하고, 그 후, 혼합물을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과립화한 후, 건조시켰다. 정제-제조기를 사용하여, 정제를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하였다 (단일 정제: 200 mg). 이들 정제를 필요에 따라 당으로 코팅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상기 기재된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신규한 피리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은 우수한 RET 키나제 억제 작용을 가지며,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2)

  1. 하기 일반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29

    상기 식에서, A는 하기 화학식 (Ia) 내지 (Id)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내며:
    Figure pct00030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 기를 나타낸다.
  2. 하기 구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Figure pct00031
  3.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5-(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3-일]아세트아미드.
  4.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2-옥사졸-5-일]아세트아미드.
  5.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6. 2-[6-(6,7-디메톡시퀴놀린-3-일)피리딘-3-일]-N-[1-메틸-3-(1,1,1-트리플루오로-2-메틸프로판-2-일)-1H-피라졸-5-일]아세트아미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메탄술포네이트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RET 키나제 억제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
  11. 제10항에 있어서,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와 연관된 질환, 또는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와 수반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12. 제10항에 있어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13. 제10항에 있어서, RET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증가된 발현에 의해 유발되는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14. 제10항에 있어서,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또는 결장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15.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온혈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1.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22.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KR1020197012323A 2016-09-29 2017-09-28 피리딘 화합물 KR102520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1725 2016-09-29
JP2016191725A JP2018052878A (ja) 2016-09-29 2016-09-29 ピリジン化合物
PCT/GB2017/052913 WO2018060714A1 (en) 2016-09-29 2017-09-28 Pyridine comp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42A true KR20190086442A (ko) 2019-07-22
KR102520543B1 KR102520543B1 (ko) 2023-04-10

Family

ID=6002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323A KR102520543B1 (ko) 2016-09-29 2017-09-28 피리딘 화합물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2) US10851092B2 (ko)
EP (2) EP3519398B1 (ko)
JP (2) JP2018052878A (ko)
KR (1) KR102520543B1 (ko)
CN (2) CN113788824A (ko)
AU (2) AU2017335242C1 (ko)
BR (1) BR112019006047A2 (ko)
CA (1) CA3035860A1 (ko)
CL (1) CL2019000844A1 (ko)
CO (1) CO2019004034A2 (ko)
CY (1) CY1123988T1 (ko)
DK (1) DK3519398T3 (ko)
EA (1) EA037103B1 (ko)
EC (1) ECSP19030134A (ko)
ES (1) ES2868748T3 (ko)
HR (1) HRP20210447T1 (ko)
HU (1) HUE054824T2 (ko)
IL (1) IL265630B (ko)
LT (1) LT3519398T (ko)
MA (2) MA54910A (ko)
MD (1) MD3519398T2 (ko)
MX (1) MX2019003747A (ko)
PE (1) PE20190805A1 (ko)
PH (1) PH12019500480A1 (ko)
PL (1) PL3519398T3 (ko)
PT (1) PT3519398T (ko)
RS (1) RS61640B1 (ko)
SG (1) SG11201901937WA (ko)
SI (1) SI3519398T1 (ko)
UA (1) UA123964C2 (ko)
WO (1) WO2018060714A1 (ko)
ZA (1) ZA201902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RP20231681T1 (hr) 2015-11-02 2024-04-12 Blueprint Medicines Corporation Inhibitori za ret
JP2018052878A (ja) * 2016-09-29 2018-04-05 第一三共株式会社 ピリジン化合物
WO2019143977A1 (en) 2018-01-18 2019-07-25 Array Biopharma Inc. Substituted pyrrolo[2,3-d]pyrimidines compounds as ret kinase inhibitors
CA3087972C (en) 2018-01-18 2023-01-10 Array Biopharma Inc. Substituted pyrazolyl[4,3-c]pyridinecompounds as ret kinase inhibitors
SI3773589T1 (sl) 2018-04-03 2024-03-29 Blueprint Medicines Corporation Inhibitor RET za uporabo pri zdravljenju raka, ki ima RET spremembo
BR112021018168B1 (pt) 2019-03-21 2023-11-28 Onxeo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binação e kit compreendendo uma molécula dbait e um inibidor de quinase para o tratamento de câncer
KR20220098759A (ko) 2019-11-08 2022-07-12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키나제 억제제에 대해 내성을 획득한 암의 치료 방법
CN115087463A (zh) * 2019-11-18 2022-09-20 中外制药株式会社 并用药物
CN113121524B (zh) 2019-12-31 2023-04-25 南京创济生物医药有限公司 杂环亚砜亚胺化合物及其中间体、制备方法和应用
WO2021148581A1 (en) 2020-01-22 2021-07-29 Onxeo Novel dbait molecule and its use
US20230312504A1 (en) * 2020-02-20 2023-10-05 Guangzhou Baiyunshan Pharmaceutical Holdings Co., Ltd. Baiyunshan Pharmaceutical General Factory Quinoline compounds
WO2021164741A1 (zh) * 2020-02-20 2021-08-26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苯基双酰胺类化合物
WO2022238706A1 (en) 2021-05-14 2022-11-17 Bp Asset Viii, Inc. Ret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ret altered medullary thyroid cancer or ret altered non-small cell lung cancer
CA3234317A1 (en) 2021-10-22 2023-12-14 Wa Xi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hronic inflammatory injury, metaplasia, dysplasia and cancers of epithelial tissues
CN115090331B (zh) * 2022-07-21 2023-05-16 扬州大学 超分子手性催化剂、其制备方法及其催化d-a反应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1613A1 (en) 2013-08-30 2015-03-05 Ambit Biosciences Corporation Biaryl acetamid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5079251A1 (en) 2013-11-29 2015-06-04 Cancer Research Technology Limited Quinazolin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4639B (en) 2000-01-24 2007-08-01 Shionogi & Co A compound having thrombopoietin receptor agonistic effect
BRPI0414313A (pt) 2003-09-11 2006-11-07 Kemia Inc inibidores de citocinas
JP2009528335A (ja) 2006-03-02 2009-08-06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キナゾリン誘導体
EP1994024A2 (en) 2006-03-02 2008-11-26 AstraZeneca AB Quinoline derivatives
WO2007113548A1 (en) 2006-04-06 2007-10-11 Astrazeneca Ab Naphthyridine derivatives
WO2007113565A1 (en) 2006-04-06 2007-10-11 Astrazeneca Ab Naphthyridine derivatives as anti-cancer agents
FR2933700B1 (fr) 2008-07-08 2010-07-30 Sanofi Aventis Derives de pyridino-pyridinon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EP2754658A1 (en) * 2009-02-27 2014-07-16 Teijin Pharma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henyl-substituted heterocyclic derivative through coupling using transition metal catalyst
KR20120059558A (ko) 2009-08-19 2012-06-08 암비트 바이오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바이아릴 화합물 및 이의 사용 방법
PL2470173T3 (pl) 2009-08-25 2016-11-30 Leczenie skojarzone nanocząstkowymi kompozycjami taksanu i inhibitorów hedgehog
WO2011133728A2 (en) 2010-04-23 2011-10-27 Kineta, Inc. Anti-viral compounds
WO2012082817A1 (en) 2010-12-16 2012-06-2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Biarylamide inhibitors of leukotriene production
WO2014012050A2 (en) 2012-07-13 2014-01-16 Indiana University Research & Technology Corporation Compounds for treatment of spinal muscular atrophy
WO2014141187A1 (en) * 2013-03-15 2014-09-18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Pyridine derivatives as 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 (ret) kinase inhibitors
EP3135667A4 (en) * 2014-04-24 2017-11-0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Novel 2-amino-pyridine and 2-amino-pyrimidine derivatives and medicinal use thereof
MY187169A (en) * 2014-09-10 2021-09-07 Glaxosmithkline Ip Dev Ltd Novel compounds as 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 (ret) inhibitors
UA122213C2 (uk) * 2014-09-10 2020-10-12 Глаксосмітклайн Інтеллектьюел Проперті Девелопмент Лімітед Сполуки як інгібітори кінази, реаранжованої під час трансфекції (ret)
US10626094B2 (en) 2014-10-14 2020-04-21 Sanford Burnham Prebys Medical Discovery Institute Inhibitors of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and uses thereof
CN104844589B (zh) 2014-12-26 2018-04-2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pi3k激酶抑制剂
US10202365B2 (en) * 2015-02-06 2019-02-12 Blueprint Medicines Corporation 2-(pyridin-3-yl)-pyrimidine derivatives as RET inhibitors
HUE053067T2 (hu) 2015-07-16 2021-06-28 Array Biopharma Inc Helyettesített pirazolo[1,5-A]piridin vegyületek, mint RET kináz inhibitorok
JP2018052878A (ja) * 2016-09-29 2018-04-05 第一三共株式会社 ピリジン化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1613A1 (en) 2013-08-30 2015-03-05 Ambit Biosciences Corporation Biaryl acetamid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5079251A1 (en) 2013-11-29 2015-06-04 Cancer Research Technology Limited Quinazoline compounds

Non-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grawal, N.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 98 (2), E364-E369.
Ashman, L. K. and Griffith, R.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2013, 22 (1), pp. 103-115.
George, D.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2003, 532, pp. 141-151.
Hayman, S. R. et al. Current Oncology Reports, 2012, 14 (4), pp. 285-294.
Heinrich, M. C. Mini-Reviews in Medicinal Chemistry, 2004, 4 (3), pp. 255-271.
Kodama, T. et al.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2014, 13, pp. 2910-2918.
Kohno, T. et al. Nature Medicine, 2012, 18 (3), pp. 375-377.
Le Rolle, A. F. et al. Oncotarget, 2015, 6 (30), pp. 28929-28937.
Levitzki, A. Cytokine & Growth Factor Reviews, 2004, 15 (4), pp. 229-235.
Matsubara, D. et al.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2012, 7 (12), pp. 1872-1876.
Medico, E. et al. Nature Communications, 2015, 6, Article No. 7002.
Mulligan, L. M. Nature Reviews Cancer, 2014, 14 (3), pp. 173-186.
Phay, J. E. and Shah, M. H. Clinical Cancer Research, 2010, 16(24), pp. 5936-5941.
Sherman, S. I. Oral Oncology, 2013, 49, pp. 707-710.
Wang, T. et al. Expert Opinion on Therapeutic Patents, 20 09, 19 (3), pp 305-3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4871A (ja) 2019-12-05
DK3519398T3 (da) 2021-03-29
HRP20210447T1 (hr) 2021-07-23
SI3519398T1 (sl) 2021-07-30
WO2018060714A1 (en) 2018-04-05
CY1123988T1 (el) 2022-05-27
CN110036007A (zh) 2019-07-19
AU2017335242B2 (en) 2021-08-19
MA46337A (fr) 2019-08-07
UA123964C2 (uk) 2021-06-30
HUE054824T2 (hu) 2021-10-28
MX2019003747A (es) 2019-09-19
PT3519398T (pt) 2021-03-24
EP3828178A1 (en) 2021-06-02
PL3519398T3 (pl) 2021-06-28
LT3519398T (lt) 2021-05-10
MA46337B1 (fr) 2021-04-30
US10851092B2 (en) 2020-12-01
CN113788824A (zh) 2021-12-14
US20210163464A1 (en) 2021-06-03
CO2019004034A2 (es) 2019-07-10
MA54910A (fr) 2022-04-13
AU2017335242C1 (en) 2021-12-09
US20200039974A1 (en) 2020-02-06
ES2868748T3 (es) 2021-10-21
IL265630A (en) 2019-05-30
CA3035860A1 (en) 2018-04-05
KR102520543B1 (ko) 2023-04-10
SG11201901937WA (en) 2019-04-29
EA037103B1 (ru) 2021-02-05
ECSP19030134A (es) 2019-08-30
EP3519398B1 (en) 2021-02-24
PH12019500480A1 (en) 2019-08-05
ZA201902232B (en) 2022-12-21
JP2018052878A (ja) 2018-04-05
JP7098609B2 (ja) 2022-07-11
AU2021261899A1 (en) 2021-12-02
AU2017335242A1 (en) 2019-05-02
EP3519398A1 (en) 2019-08-07
CN110036007B (zh) 2021-10-15
MD3519398T2 (ro) 2021-05-31
CL2019000844A1 (es) 2019-06-07
EA201990833A1 (ru) 2019-10-31
PE20190805A1 (es) 2019-06-10
RS61640B1 (sr) 2021-04-29
IL265630B (en) 2021-10-31
BR112019006047A2 (pt)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543B1 (ko) 피리딘 화합물
JP7383652B2 (ja) B-rafキナーゼのマレイン酸塩、結晶形、調整方法、及びその使用
EP2953941A1 (en)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180028456A (ko) 1,4-디치환 이미다졸 유도체
CA3142088C (en) Compound used as kinase inhibitor and application thereof
JP7251841B2 (ja) 芳香環結合ジオキシノ-キナゾリンまたはジオキシノ-キノリン系化合物、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2655595B1 (ko) 지모의 사르사사포게닌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유도체, 약물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08699030B (zh) 一类取代的氨基六元氮杂环类化合物及其制备和用途
US20240083844A1 (en) K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7110335B2 (ja)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ピリドキナゾリン誘導体
EA045833B1 (ru) Соединение, используемое как ингибитор киназ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