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65A -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65A
KR20190080165A KR1020170182442A KR20170182442A KR20190080165A KR 20190080165 A KR20190080165 A KR 20190080165A KR 1020170182442 A KR1020170182442 A KR 1020170182442A KR 20170182442 A KR20170182442 A KR 20170182442A KR 20190080165 A KR20190080165 A KR 2019008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derivative
cellulose
particles
bloo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854B1 (ko
Inventor
박수희
이준수
장용성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8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05Crosslinking of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e.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Abstract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제와 반응시켜 알칼리화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 (2) 상기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라 함)를 얻는 단계; (3) 상기 CMC를 코어 가교제와 반응시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1차 가교단계; (4) 상기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여과한 후,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5) 상기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및 (6) 상기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표면 가교제와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는 2차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분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액 젖음성이 우수하여 흡수성 물품, 특히 혈액 흡수용 여성용품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Method of manufacturing cellulose derivative particles, cellulose derivative particle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 가교단계를 거쳐 코어-쉘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혈액 젖음성이 향상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uper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 함)는 자기 중량 대비 수백 배 내지 수천 배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어린이용 종이 기저귀, 여성용 생리대나 성인용 요실금 제품 등의 위생용품, 배변패드 등의 애견용품, 의료용 흡수제, 토목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및 식품유통 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SAP는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저렴해야 하며, 수성액체를 포함하는 기질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는 흡입력, 통액성, 팽윤된 겔의 강도 등의 물성이 중요시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SAP로서 아크릴산 및/또는 이의 염으로부터 수득되는 아크릴계 흡수성 수지가 높은 수분 흡수성 및 저렴한 공정비용으로 인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계 흡수성 수지는 석유산업에서 얻어지는 물질로 독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아크릴계 흡수성 수지를 적용한 기저귀나 위생용품 등을 장시간 착용하였을 때 접촉한 신체부위에 홍반이나 가려움증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천연 식물성 물질인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고흡수성 입자로 제조하여 흡수성 제품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5311호)은 (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산성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를 가교제로 가교 결합시켜 겔을 생성시키는 단계, (b) 필요한 경우, 폴리사카라이드의 pH를 3.5 내지 5.5의 수치로 조정하는 단계, (c) 산성화된 폴리사카라이드 겔을 분쇄하는 단계, 및 (d) 분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고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상기 고흡수성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가 다양한 염 및 비이온성 물질을 함유하는 체액으로 이루어진 액체를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기저귀, 위생 냅킨 등과 같은 흡수성 위생 물품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고흡수성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는 소변 흡수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흡수성 소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혈액에 대한 흡수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혈액 흡수용 여성용품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소변과 생리혈의 물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생리혈에는 물, 염, 단백질, 세포 등이 포함되어 있어 소변에 비해 고점도이며 확산 속도가 매우 느리다. 또한, 혈액에 포함된 입자가 큰 세포 덩어리 등은 상기 고흡수성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기존의 SAP에 흡수되지 못하고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혈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에, 여성용 생리대에 사용 가능하도록 혈액의 특수성을 감안한 SAP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10105311 A
본 발명은 2차 가교단계를 거쳐 코어-쉘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혈액 젖음성이 향상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제와 반응시켜 알칼리화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 (2) 상기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라 함)를 얻는 단계; (3) 상기 CMC를 코어 가교제와 반응시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1차 가교단계; (4) 상기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여과한 후,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5) 상기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및 (6) 상기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표면 가교제와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는 2차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단계에 따라 제조된 CMC의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는 0.7 ~ 2.0 일 수 있으며, 상기 CMC의 중합도(DP)는 800 ~ 4,000 일 수 있다.
상기 (3)단계를 거치기 전에,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진 CMC를 중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가교제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알루미늄 설페이트(aluminum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1)단계에 투입된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단계는 6 ~ 8의 pH 및 50 ~ 120℃의 반응온도 범위에서 30 ~ 360분동안 실시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물의 혼합량은 상기 여과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 1,2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벌크 밀도(bulk density)가 0.5 ~ 0.8g/ml일 수 있다.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체질(sieving)하여 150 ~ 85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granule type)의 입자를 수득하는 분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는 에폭시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하기 계산식에 따라 얻어지는 혈액 젖음성은 95 ~ 280mg일 수 있다.
계산식
혈액 젖음성(mg) = Wb - Wa
단, 상기 계산식에서 Wa는 내부 직경이 3cm인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고, Wb는 1.0 g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상기 페트리 접시에 고르게 뿌린 후 혈액 0.1 ml를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담긴 접시 중앙에 한 방울씩 연속적으로 떨어뜨리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상기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상기 혈액이 닿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입자를 모두 털어내고 측정한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MC에 코어 가교 및 쉘 가교를 적용하는 2차 가교과정을 통해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분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액 젖음성이 우수하여 흡수성 물품, 특히 혈액 흡수용 여성용품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먼저,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조방법은 (1)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제와 반응시켜 알칼리화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 (2) 상기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라 함)를 얻는 단계; (3) 상기 CMC를 코어 가교제와 반응시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1차 가교단계; (4) 상기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여과한 후,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5) 상기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및 (6) 상기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표면 가교제와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는 2차 가교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본다.
(1)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
이 단계는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제와 반응시켜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는 이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한없이 진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를 반응용매에 투입한 후, 여기에 알칼리화제를 투입하여 상기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룰로오스는 원료 펄프를 잘게 분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반응용매는 물, 아세톤(acetone),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삼차부틸 알코올(tert-butyl alcohol) 및 디메틸 에테르(di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는 알칼리 메탈 히드록사이드(alkali metal hydr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칼리화제는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및 수산화리튬(lithium hydrox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의 투입량은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 6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의 투입량이 상기 범위 이내면 후술하는 (2) 단계에서 카르복시메틸기가 상기 셀룰로오스 전체에 균일하게 치환되며, 카르복시메틸화제의 반응성이 증가하여 원하는 치환도의 CMC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를 투입하는 목적은, 셀룰로오스의 결정 구조를 약화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카르복시메틸화제와 상기 셀룰로오스가 쉽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알칼리화제는 상기 셀룰로오스와 상기 카르복시메틸화제가 반응하는 것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는 상온(20 ~ 30℃) 상태에서 일정시간 교반되어야 그 결정 구조가 균일하게 약화될 수 있다.
(2) CMC를 얻는 단계
이 단계는 상기 (1)단계에 따라 얻어진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켜 CMC를 얻는 단계이다.
이 단계도 (1)단계와 마찬가지로 이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한없이 진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에 카르복시메틸화제를 투입한 후 승온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르복시메틸화제는 일염화초산(chloroacetic acid), 일염화초산나트륨(chloroacetic acid sodium salt)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반응용매에 용해된 혼합용액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용매는 물, 아세톤(acetone),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삼차부틸 알코올(tert-butyl alcohol) 및 디메틸 에테르(di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 따라 제조된 CMC의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는 0.7 ~ 2.0일 수 있고, 상기 CMC의 중합도(DP)는 800 ~ 4,00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는 셀룰로오스 분자 중의 무수글루코오스 단위당 카르복시메틸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물에 녹아 안정된 겔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MC의 중합도는 CMC의 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중합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벌크 밀도를 갖는 CMC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CMC 입자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2) CMC를 얻는 단계」와 후술할 (3)단계 사이에,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진 CMC를 중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단계는 이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한없이 진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MC에 중화제를 투입하여 중화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중화제로는 모든 산화제가 사용 가능하며, 예컨대 질산, 초산, 염산 등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은 40 내지 99중량%의 희석된 수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3) 1차 가교단계
이 단계는 상기 (2) 단계에 얻어진 CMC를 코어 가교제와 반응시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CMC와 코어 가교제의 1차 가교과정을 통해 상기 CMC의 주쇄(backbone)에 코어 가교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얻어진다. 이렇게 코어 가교가 적용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0.9% 염수에 대한 분산성 및 흡수성을 확보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1차 가교단계'를 통해 CMC의 주쇄에 형성되는 가교와 후술할 '2차 가교단계'를 통해 셀룰로오스 유도체 표면에 형성되는 가교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를 코어(core) 가교라 하고, 후자를 쉘(shell) 가교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코어 가교에 사용되는 가교제를 코어 가교제, 쉘 가교에 사용되는 가교제를 표면 가교제라 명명하였다.
상기 코어 가교제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알루미늄 설페이트(aluminum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1)단계에 투입된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코어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가교반응 효율이 우수하고 적당한 가교밀도를 나타내므로 양호한 겔 강도 및 원심분리 보수능(centrifuge retention capacity, CRC)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1차 가교단계에서는 pH,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가교제 함량 등과 같은 가교반응 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는 6 ~ 8의 pH 및 50 ~ 120℃의 반응온도 범위에서 30 ~ 360분동안 실시될 수 있다. 상기 pH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가교반응 제어가 용이하고 우수한 가교반응 효율을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온도 또는 상기 반응시간이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가교반응 효율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에너지 대비 가교반응 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다.
(4) 셀룰로오스 유도체 반죽을 얻는 단계
이 단계는 상기 (3) 단계에 따라 얻어진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여과한 후,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방식, 예컨대 상기 슬러리를 여과한 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방식과 달리, 상기 슬러리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고 이후 후술할 (5) 건조 및 분쇄단계를 거침으로써 분산성이 더욱 향상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분산성은 통액성을 판단하는 척도이며, 동시에 겔 블로킹 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물성이다. 구체적으로, 분산성이 떨어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경우, 상기 흡수성 물품에 액체가 흡수될 때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흡수성 물품의 상층부로 떠올라 밀집하는 특징을 나타내는데, 이때 상층부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빠르게 물을 흡수하면서 겔화되어 흡수층의 표층부에 겔 막을 형성하는 겔 블로킹 문제를 야기한다. 이후, 흡수성 물품에 액체가 다시 흡수될 경우 상기 겔 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즉 통액성이 떨어지므로 흡수성 물품 내부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액체의 흡수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고, 겔 막 형성 이후로는 흡수성이 제로에 가깝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겔 블로킹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장시간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물의 혼합량은 상기 여과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 1,2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물의 혼합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적절한 점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반죽이 얻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과립화가 용이하여 분산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얻어질 수 있으며, 건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5) 건조 및 분쇄 단계
이 단계는 상기 (4)단계에 따라 얻어진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반죽은 필요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성형된 후 건조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반죽의 크기를 줄여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예컨대 구(sphere) 형태, 펠렛(pallet) 형태, 시트(sheet) 형태 등 자유로운 형태로 성형된 후 건조될 수 있다. 상기 반죽이 구 또는 펠렛 형태로 성형될 경우에는 2 ~ 3cm 크기가 이상적이며, 압출기, 브리케팅 머신 등 통상의 공지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반죽이 시트 형태로 성형될 경우에는 롤러가 장착된 컨베이어벨트 등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이후, 분쇄과정을 거쳐 과립 형태(granule type)의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제조되는데, 이때 컷팅 밀(cutting mill), 해머 밀(hammer mill), 핀 밀(pin mill), 스크류 밀(screw mill), 롤 밀(roll mill), 또는 디스크 밀(disc mill) 등 통상의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과정을 거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벌크 밀도는 0.5 ~ 0.8g/ml일 수 있고, 이 경우 분산성이 우수한 입자가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크 밀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액체가 흡수될 때, 상기 입자들이 흡수성 물품의 상층부로 떠오름에 따라 야기되는 겔 블로킹 현상이나 상기 입자들이 흡수성 물품의 하층부에 밀집함에 따라 야기되는 초기 흡수성 저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5) 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체질(sieving)하여 150 ~ 85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granule type)의 입자를 수득하는 분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립상의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입자의 크기가 작아 발생되는 분산성 저하로 인한 겔 블로킹 현상 및 입자의 크기가 커서 발생되는 과도한 통액성으로 인한 흡수성 저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분산성과 흡수성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크기는 250 ~ 500㎛일 수 있다.
(6) 2차 가교단계
이 단계는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표면 가교제와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3)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경우, 다양한 염 및 비이온성 물질을 함유하는 체액으로 이루어진 액체, 특히 0.9% 염수에 대한 분산성 및 흡수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도 일회용 기저귀 등과 같은 소변 흡수용 물품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수성 물품의 경우 혈액 젖음성이 떨어져 여성용 생리대 용도로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코어 가교가 적용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표면에 쉘 가교를 적용하는 2차 가교단계를 거쳐 코어-쉘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가압 흡수능(absorbency under load, AUL) 및 혈액 젖음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표면 가교제는 에폭시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di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tri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글리시돌(glycidol)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테트라에틸렌 글리콜(tetra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가교반응 효율이 우수하고 양호한 혈액 젖음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하기 계산식에 따라 얻어지는 혈액 젖음성은 95 ~ 280mg일 수 있다.
계산식
혈액 젖음성(mg) = Wb - Wa
단, 상기 계산식에서 Wa는 내부 직경이 3cm인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고, Wb는 1.0g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상기 페트리 접시에 고르게 뿌린 후 혈액 0.1 ml를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담긴 접시 중앙에 한 방울씩 연속적으로 떨어뜨리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상기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상기 혈액이 닿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입자를 모두 털어내고 측정한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다. 이때, 상기 혈액은 말, 면양 등과 같은 동물의 혈액 또는 사람의 혈액과 유사한 점도를 갖도록 제조된 유체일 수 있으며 37℃, 전단속도 21sec-1의 조건에서 4.8 ~ 9.4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생리혈의 경우 정맥혈 점도의 4배 이상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혈액은 물과 염 이외에도 단백질, 세포 등이 포함되어 있어 높은 점성을 나타내므로, 분산성이나 흡수성 테스트의 경우와 달리 실제 혈액과 유사한 유체를 대상으로 테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분산성 및 흡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뛰어난 혈액 젖음성을 가지므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이용하여 혈액 흡수용 여성용품인 여성용 생리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밖에도 일회용 기저귀, 성인용 요실금 제품 등의 위생용품 및 배변패드 등의 애견용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의료용 흡수제, 토목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및 식품유통 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등의 재료로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압력 반응기(Lodige社, Druvatherm series)에 셀룰로오스 100kg을 투입하고, 반응용매인 아이소프로필알코올/물의 혼합용매(무게비=6.7:1)를 800kg 투입한 후에, 알칼리화제인 5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kg을 투입하고, 20℃에서 6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이어서, 물 200kg에 일염화초산나트륨 200kg을 녹인 용액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상기 반응기의 온도는 20℃를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70℃로 승온하고 120분간 카르복시메틸화 반응을 수행하여 CMC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반응기 내의 온도를 30℃로 유지하면서, 중화제인 99중량% 초산(acetic acid) 용액 20kg을 투입하여 중화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CMC의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는 1.3이고, 중합도(DP)는 1,400이었다.
이어서, 상기 중화가 완료된 반응기에 초산을 넣어 pH를 7로 조절하고, 여기에 코어 가교제인 시트르산 2.7kg을 투입하고, 처리온도를 70℃까지 승온한 뒤, 70℃에서 60분간 1차 가교반응을 진행하여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슬러리를 아세톤/물의 혼합용매(무게비=70:30)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상기 슬러리에 물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셀룰로오스 유도체 반죽을 얻었다. 이때, 상기 물의 투입량은 상기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0중량부이다.
이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반죽을 직경 2cm의 구 형태로 성형하고, 오븐에서 100℃로 240분간 건조한 후, 컷팅 밀(Fritsch社, pulverisette 19)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250 ~ 500㎛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과립상 입자이다. 그리고, 상기 과립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는, 60mesh(250㎛) 표준체로 체질하여 2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수득한 후, 35mesh(500㎛) 표준체로 체질하여 500㎛를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는 배제하는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과립상 입자는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다.
이어서, 상기 과립상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50kg을 다시 압력반응기(Lodige社, Druvatherm series)로 이송하고, 여기에 표면 가교제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0.5kg을 에탄올 500kg에 혼합하여 투입한 후, 처리온도를 80℃까지 승온한 뒤, 80℃에서 120분간 2차 가교반응을 진행하여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하, '입자 1'이라 칭함)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함량은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중량부에 해당된다.
실시예 2 내지 6
상기 표면 가교제의 투입량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하, 실시예 2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각각 '입자 2' 내지 '입자 6'이라 칭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가 1.3이고, 중합도(DP)는 1,400인 CMC를 제조한 후, 중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중화가 완료된 CMC를 아세톤/물의 혼합용매(무게비=70:30)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탈수하여 오븐에서 100℃로 240분간 건조한 후, 컷팅 밀(Fritsch社, pulverisette 19)로 분쇄하여 CMC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CMC 입자를 체질(sieving)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250 ~ 50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granule type)의 CMC 입자(이하, '입자 7'이라 칭함)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슬러리를 아세톤/물의 혼합용매(무게비=70:30)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탈수하여 오븐에서 100℃로 240분간 건조한 후, 컷팅 밀(Fritsch社, pulverisette 19)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50 ~ 50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granule type)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하, '입자 8'이라 칭함)를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과립상 입자는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다.
비교예 3
2차 가교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250 ~ 500㎛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하, '입자 9'라 칭함)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과립상 입자는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이다.
< 평가방법 >
1. 분산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각각 얻어진 입자 1 내지 9의 분산성은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인 생리 식염수 20g을 9개 준비하고, 상기 각 식염수 위에 입자 1 내지 9 1g씩을 수저를 이용하여 가볍게 안착시킨 후, 5분동안 분산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에 "○"은 특별한 교반 없이도 입자가 용해되어 분산성이 우수한 상태를 나타내고, "△"은 분산성은 좋지 않지만 교반을 가하면 용해되는(soluble)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는 분산성이 매우 열위하여 입자가 식염수 상층부에 떠올라 밀집한 상태로 교반을 해도 럼프가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분산성은 겔 블로킹 현상의 판단기준이 되는 것으로, 상기 분산성이 "×"인 경우, 발생된 럼프가 겔 블로킹 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2. 흡수성
상기 입자 1 내지 9의 흡수성은 원심분리 보수능(centrifuge retention capacity, CRC) 및 가압 흡수능(absorbency under load, AUL)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① CRC
상기 각 입자 0.2g(W1)을 티백에 균일하게 넣고 밀봉한 후, 상온에서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인 생리 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였다. 이어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50G로 3분간 상기 밀봉된 티백에서 물기를 제거한 후, 상기 밀봉된 티백의 무게(W2)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입자를 넣지 않은 티백에 대해서도 상기 침지 및 원심분리 조작을 동일하게 시행한 후, 그 무게(W3)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1)에 따라 CRC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CRC(g/g) = (W2 - W3 - W1) / W1 … (1)
상기 식(1)에서, W1는 초기 입자의 무게(0.2g), W2는 원심분리 후의 밀봉된 티백(입자 포함)의 무게, W3는 입자를 넣지 않은 티백의 상기 침지 및 원심 분리 후의 무게를 나타낸다.
② AUL
상기 각 입자 0.9g(W4)을 실린더에 균일하게 넣고, 0.7 psi의 추를 올렸다. 이어서, 0.9중량%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인 생리 식염수가 담긴 접시에 상기 실린더를 올리고 60분간 팽윤시킨 후, 상기 실린더 내의 입자의 무게(W5)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2)에 따라 AUL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AUL(g/g) = (W5 - W4) / W4 … (2)
상기 식(2)에서, W4는 초기 입자의 무게(0.9g), W5는 생리 식염수에서 60분 간 팽윤시킨 후의 입자의 무게를 나타낸다.
3. 혈액 젖음성
상기 입자 1 내지 9의 혈액 젖음성은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내부 직경이 3cm인 페트리 접시의 무게(Wa)를 측정하고, 상기 접시에 0.1g의 입자를 뿌린 후 바닥을 살살 두드려 상기 입자가 접시 표면에 고르게 퍼지도록 한다. 이어서, 혈액 0.1ml를 1ml 플라스틱 주사기에 담고 21G 바늘(needle)을 꽂은 후, 상기 페트리 접시에 담긴 입자의 중앙에 한 방울씩 연속적으로 천천히 떨어뜨린다. 이때, 상기 혈액으로는 말피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상기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혈액이 닿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입자를 모두 털어내고, 응고된 혈액과 이에 엉겨있는 입자가 담겨있는 페트리 접시의 무게(Wb)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3)에 따라 혈액 젖음성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혈액 젖음성(mg) = Wb - Wa … (3)
상기 식 (3)에서 Wa는 비어있는 페트리 접시의 무게, Wb는 응고된 혈액과 이에 엉겨있는 입자가 담겨있는 페트리 접시의 무게를 나타낸다.
코어 가교제
(중량부)

(중량부)
표면 가교제
(중량부)
분산성 CRC
(g/g)
AUL
(g/g)
혈액 젖음성
(mg)
실시예1 2.7 1000 1 28.12 8.47 95.01
실시예2 2.7 1000 5 24.66 8.63 104.28
실시예3 2.7 1000 10 22.82 9.05 128.32
실시예4 2.7 1000 20 22.04 9.44 173.14
실시예5 2.7 1000 30 19.37 9.48 274.49
실시예6 2.7 1000 40 19.12 10.57 280.92
비교예1 0 0 0 14.98 3.92 50.56
비교예2 2.7 0 0 27.13 6.02 55.14
비교예3 2.7 1000 0 32.92 7.51 57.32
상기 표 1에 기재된 코어 가교제의 함량은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고, 물의 함량은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은 코어 가교만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다.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입자 1 내지 6(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경우, 분산성, CRC, AUL 및 혈액 젖음성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입자 7 내지 9의 경우, 입자 1 내지 6에 비하여 AUL 및 혈액 젖음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입자 8의 경우 CRC가 양호하게 나타났고, 입자 9(코어가교만 적용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경우 분산성 및 CRC는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이들 모두 AUL 및 혈액 젖음성이 떨어지는바, 여성용 생리대의 용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1) 셀룰로오스를 알칼리화제와 반응시켜 알칼리화 셀룰로오스를 얻는 단계;
    (2) 상기 알칼리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라 함)를 얻는 단계;
    (3) 상기 CMC를 코어 가교제와 반응시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1차 가교단계;
    (4) 상기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여과한 후, 물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5) 상기 반죽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얻는 단계; 및
    (6) 상기 입자상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표면 가교제와 반응시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얻는 2차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 따라 제조된 CMC의 카르복시메틸기 치환도(DS)는 0.7 ~ 2.0 이고, 상기 CMC의 중합도(DP)는 800 ~ 4,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를 거치기 전에,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진 CMC를 중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가교제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알루미늄 설페이트(aluminum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1)단계에 투입된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6 ~ 8의 pH 및 50 ~ 120℃의 반응온도 범위에서 30 ~ 360분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물의 혼합량은 상기 여과된 슬러리 상태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 1,2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벌크 밀도(bulk density)가 0.5 ~ 0.8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체질(sieving)하여 150 ~ 85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상(granule type)의 입자를 수득하는 분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가교제는 에폭시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5)단계에 따라 얻어진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하기 계산식에 따라 얻어지는 혈액 젖음성은 95 ~ 280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계산식
    혈액 젖음성(mg) = Wb - Wa
    단, 상기 계산식에서 Wa는 내부 직경이 3cm인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고, Wb는 1.0 g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상기 페트리 접시에 고르게 뿌린 후 혈액 0.1 ml를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가 담긴 접시 중앙에 한 방울씩 연속적으로 떨어뜨리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상기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상기 혈액이 닿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입자를 모두 털어내고 측정한 페트리 접시의 무게이다.
  14. 제12항에 따른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70182442A 2017-12-28 2017-12-28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60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42A KR102600854B1 (ko) 2017-12-28 2017-12-28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42A KR102600854B1 (ko) 2017-12-28 2017-12-28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65A true KR20190080165A (ko) 2019-07-08
KR102600854B1 KR102600854B1 (ko) 2023-11-10

Family

ID=6725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442A KR102600854B1 (ko) 2017-12-28 2017-12-28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58A (ko) * 2019-03-04 2020-09-14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311A (ko) 1998-12-16 2001-11-28 추후기재 초흡수성의 산성 폴리사카라이드
KR20030094924A (ko) * 2002-06-10 2003-12-18 박흥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JP2005263858A (ja) * 2004-03-16 2005-09-29 Research Institute Of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Earth 吸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物品
KR20060076243A (ko) * 2004-12-29 2006-07-04 웨이어해유저 컴파니 카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KR20070039050A (ko) * 2004-07-20 2007-04-1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표면 가교 결합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5426A (ko) * 2011-06-07 2014-09-01 젤레시스 엘엘씨 하이드로겔 생성 방법
KR101564526B1 (ko) * 2015-01-30 2015-10-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311A (ko) 1998-12-16 2001-11-28 추후기재 초흡수성의 산성 폴리사카라이드
KR20030094924A (ko) * 2002-06-10 2003-12-18 박흥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JP2005263858A (ja) * 2004-03-16 2005-09-29 Research Institute Of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Earth 吸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物品
KR20070039050A (ko) * 2004-07-20 2007-04-1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표면 가교 결합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76243A (ko) * 2004-12-29 2006-07-04 웨이어해유저 컴파니 카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KR20140105426A (ko) * 2011-06-07 2014-09-01 젤레시스 엘엘씨 하이드로겔 생성 방법
KR101564526B1 (ko) * 2015-01-30 2015-10-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58A (ko) * 2019-03-04 2020-09-14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854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2016B2 (en) Preparation of superabsorbent polymers
US5409771A (en) Aqueous-liquid and blood-absorbing powdery reticulated polym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ir use as absorbents in sanitary articles
JP5507254B2 (ja)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樹脂並びにそれらの利用
EP1694372B1 (en)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ncreased rate of water absorption
JP2847113B2 (ja) 水性液吸収性粉末状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材としての用途
TW448190B (en) The water-absorbing agent and processes therefor
EP2944376B1 (en) Agglomer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A2423712A1 (en) Crosslinked amylopectin by reactive extrusion and its use as an absorbent or superabsorbent material
WO2007098932A2 (de) Biologisch abbaubare superabsorbierende polymerzusammensetzung mit guten absorptions- und retentionseigenschaften
KR20070012623A (ko) 부정형 분쇄상의 입자상 흡수제
EP3381972A1 (en)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80066723A (ko)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20200132929A (ko) 고흡수성 폴리머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KR102600854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유도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US2022012626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xymethyl cellulose particles, carboxymethyl cellulose particles manufactured thereby,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me
KR102639479B1 (ko)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CN110734553A (zh) 一种可降解高吸水树脂的制备方法
JP2012077157A (ja) 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06359A (ko)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EP4180467A1 (en) Water absorbing a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2058841A2 (de) Wasserabsorbierendes 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20210316274A1 (en) All-cellulose super absorbent hydrogel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2647785B1 (ko) 고흡수성 입자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49573A1 (ja) 吸水性樹脂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