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869A -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869A
KR20190079869A KR1020170181927A KR20170181927A KR20190079869A KR 20190079869 A KR20190079869 A KR 20190079869A KR 1020170181927 A KR1020170181927 A KR 1020170181927A KR 20170181927 A KR20170181927 A KR 20170181927A KR 20190079869 A KR20190079869 A KR 2019007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group
medical device
poly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798B1 (ko
Inventor
이원석
김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7018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7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0Solid-state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23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polylactones or polylac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예컨대, 혈관 결찰 클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Biodegradable surgical device for implant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예컨대, 혈관 결찰 클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조직이나 골격들은 대부분 생분해성이며, 이와 유사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들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최근에 의료용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들은 치료를 위한 약물방출 조절용 매트릭스, 흡수성 봉합사나 골접합재, 조직공학용 3차원 지지체 등의 사용 목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와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로 분류한다.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는 뛰어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반면, 물성이 취약하고, 분해특성의 조절이 어려우며, 가공성 및 대량생산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교적 물성이 뛰어나고, 분해특성의 조절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인 지방족 폴리에스터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소재는 제품으로 가공 시 제조 방법에 따라 목표하는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없어 용도가 제한적이다. 이는 압출, 사출 등 고분자 소재를 가열하여 용융 가공을 진행할 경우, 가공 중 소재가 열분해되어 고분자 사슬의 절단(Back-biting)이 일어나는 현상에 기인한다. 즉, 열분해에 의해 고분자 소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감소하고, 이러한 분자량 감소는 가공 공정 후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하락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Pierre et al,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110, 353, (2014)). 이와 관련하여, 지방족 폴리에스터 중합 시 열분해가 촉진되어 고분자 가열 가공 시 소재의 분자량이 크게 감소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D. Cam et al, Polymer, 38(8), 1879-1884 (199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76826호는 폴리에스터 중합 시 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인 화합물을 첨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터 수지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인 화합물이 인체에 유독하여 해당 소재를 의료분야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1073호는 γ-폴리 글루타믹산, 폴리라이신 등과 같은 폴리펩타이드를 고분자에 첨가하여 열안정성이 향상된 의료용 고분자 소재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첨가물을 고분자 중합 초기 혹은 말기에 첨가하거나, 고분자 소재를 펠렛 형태로 가공한 후 압출 과정을 통해 혼합해야 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9628호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무수물 또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첨가제가 용해된 용액으로 코팅한 후, 고상혼합 압출 과정을 진행하여 고분자 말단의 작용기를 치환하여 고분자 소재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분자 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추가 압출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첨가제의 인체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00249호는 진공 압축 성형 및 고상압출법의 2단계 공정을 진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열분해에 따른 분자량 감소를 대폭 줄인 소재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산 공정이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1205호는 고분자 사출 성형기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사출기 내 고분자 소재의 체류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폴리에스터를 용융하는 스크루식 익스트루더와 인젝션 플런져식 사출기가 분리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투스테이지 스크루-플렌져 형식의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고분자 소재의 사출기 내 체류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해당 디자인의 사출성형기 추가 제작이 필요하여 금전적 및 시간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예컨대, 혈관 결찰 클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중량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로 245℃에서 30분간 열안정성 시험 결과 최초 중량 대비 90 % 이상의 중량 유지율을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티드(Lactide), 글리콜리드(Glycolide), 파라디옥산온(p-dioxanone) 및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하나 이상의 개시제 및 하나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 고상 중합하여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이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내지 40 ppm 미만, 예를 들어 5 ppm 내지 35 ppm인,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예컨대,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은 열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활용하여 가공한 것으로서,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사출 전 대비 사출 후 고분자 소재의 분자량 하락폭을 억제하여 제품의 원하는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의 일 구체예인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는 열중량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로 245℃에서 30분간 열안정성 시험 결과 최초 중량 대비 90 % 이상의 중량 유지율을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는, 예컨대,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결찰 장치(surgical ligature device)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의료용 혈관 결찰 클립(surgical vessel ligature cli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열중량분석기로 245℃에서 30분간 열안정성 시험 결과 최초 중량 대비 90 % 이상의 중량 유지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의 중량 유지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건 하에서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량 유지율이 90% 미만이면 사출 성형 시 가열로 인해 열분해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중량 유지율의 상한은 예컨대, 10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고상 중합 방식을 통한 개환 중합(Ring Opening Polymerization)을 통해 생산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터로, 바람직하게는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DO(Polydioxanone), PLDLLA(Poly-L,DL-lactide), PDLLA(Poly-D,L-lactide), PDLA(Poly-D-lactide), PLLA(Poly-L-lactide), PCL(Poly-ε-caprolactone) 및 폴리글리코네이트(Polygly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LLA(Poly-L-lactide)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락티드(Lactide), 글리콜리드(Glycolide), 파라디옥산온(p-dioxanone) 및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하나 이상의 개시제 및 하나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 고상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내지 40 ppm 미만, 예를 들어 5 ppm 내지 35 ppm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락티드(Lactide)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알코올(R-OH)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수 1개 내지 12개의 알코올,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Methanol), 1-옥탄올(1-octanol), 1-도데카놀(1-dodecanol) 및 디에틸렌 글라이콜(Di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도데카놀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고상 중합시 상기 개시제의 사용량은, 반응물인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200 ppm 내지 1500 pp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400 ppm 내지 800 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지나치게 벗어날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를 활용한 제품 생산시 가공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촉매는 금속 기반 촉매(Metal Based Catalyst)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금속 기반 촉매를 하나 혹은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1]
M(R)n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보다 구체적으로 M은 아연(Zn(II)), 주석(Sn(II)), 납(Pb(II)), 티타늄(Ti(II)), 티타늄(Ti(IV)), 안티모니(Sb(III)) 또는 비스무트(Bi(III))를 나타내며; R은 화학작용기를 나타내고,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알킬기, 옥소기, 알콕시기, 알콕시카르보닐, 하이드록시카르보닐기, 할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며; n은 M의 금속 이온가수(valency)에 대응하는 정수값으로, 예컨대, 2 내지 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C1- 16알킬기, 옥소기, C1- 16알콕시기, C1- 16알콕시카르보닐기, 하이드록시카르보닐기, 할로기 또는 C1- 16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에 해당하는 촉매 물질로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Tetrabutyl Titanate) 또는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 등의 티타늄 화합물, 디에틸 징크(Diethyl zinc) 등의 아연 화합물,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Sn(Oct)2)와 같은 주석 화합물 등을 하나 혹은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n(Oct)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상 중합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반응물인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내지 40 ppm 미만, 예를 들어 5 ppm 내지 35 ppm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7 ppm 내지 30 ppm,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7 ppm 내지 20 ppm일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촉매 사용량이다. 촉매 사용량이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40 ppm 이상일 경우에는 잔류 촉매 물질 내 금속 원소로 인해 고분자 가열 시 열분해가 촉진되어 고분자의 분자량이 크게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촉매 사용량이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보다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반응 속도를 나타내지 못하고 중합 속도가 매우 느려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서술한 개시제와 촉매는 고상 중합을 통한 개환 중합 시작 시기에 관계없이 투입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개환 중합 개시 전에 투입하는 것이 좋다.
고상 중합을 통한 개환 중합은 질소 환경에서 진행하며, 그 온도 조건은 130℃ 내지 180℃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0℃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중합시 온도 조건이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개환 중합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가 황변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고상 중합을 통한 개환 중합 시 고상 중합 반응기 내의 고분자 점도가 충분히 상승한 후, 추가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추가 열처리는, 예컨대, 130℃ 내지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열처리는, 예컨대, 약 0.5 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열처리는, 고상 반응의 고분자 점도 상승이 종료된 후 임펠러 등의 교반을 멈추고 바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열처리는 반응기의 해체 및 타 부품 추가 조립 등의 별도 공정 없이 바로 진행할 수 있으며, 반응기 내의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추가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면, 개환 중합 반응의 전환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잔류 모노머/올리고머의 값을 낮출 수 있으며, 고상체 부위별 분자량 분포도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사출 성형하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사출 전 대비 사출 후 고분자 소재의 분자량 하락폭을 억제하여 제품의 원하는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티드(Lactide), 글리콜리드(Glycolide), 파라디옥산온(p-dioxanone) 및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하나 이상의 개시제 및 하나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 고상 중합하여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이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내지 40 ppm 미만, 예를 들어 5 ppm 내지 35 ppm인,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사출 성형 시, 노즐 온도는 210℃ 내지 260℃ 범위 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50℃ 범위 내일 수 있다. 사출 성형 시, 보압은 1200 kgf/cm2 내지 2400 kgf/cm2 범위 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0 kgf/cm2 내지 2200 kgf/cm2 범위 내일 수 있다. 사출 성형 시, 냉각 시간은 20초 내지 70초 범위 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60초 범위 내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열안정성은 열중량측정분석(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을 통해 중량 유지율(%)의 형태로 분석하였다.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사출 전후 분자량 감소폭(%)은 25℃에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IV(Inherent Viscosity) 계산을 통해 분석하였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출 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IV와 사출 후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IV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표 1에 제시된 수치(%)는, 사출 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분자량을 100%로 하였을 때, 사출 후 클립을 구성하는 고분자 소재의 분자량 감소폭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모노머 발생량(%, 중량 기준)은 Chloroform-d 용액을 이용하여 핵자기 공명(NMR, Nuclear Magnetic Reasonance)을 통해 분석하였다(표 1에 제시된 수치(%)는, 사출 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분자량을 100%로 하였을 때, 사출 후 클립을 구성하는 고분자 소재로부터의 모노머 발생량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기계적 물성 유지율(%)은 클립의 사출 직후 및 인비트로(37℃, PBS 용액 내 조건) 6주 분해 후 Pull-off Force(N)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표 1에 제시된 수치(%)는, 클립의 사출 직후 Pull-off Force를 100%로 하였을 때, 6주 분해 후 Pull-off Force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L-락타이드(L-lactide)를 모노머로 선택하여 고상 중합 반응기에 5000g를 투입하고, 약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촉매로서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Sn(Oct)2) 0.6 ml(10 ppm) 및 개시제로서 1-도데카놀(1-dodecanol) 4.0 ml(550 ppm)를 투입하고, 120℃에서 모노머를 용융시켰다. 이후, 15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3시간 동안 추가 열처리를 거쳐 폴리(L-락타이드)(Poly (L-lactide))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 소재의 열중량측정분석(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을 통한 열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TGA Onset(%, 중량 유지율)의 형태로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와 비교하면, 실시예 1의 폴리(L-락타이드)가 보다 향상된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를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금형온도 40℃, 노즐온도 240℃, 실린더온도 240℃, 호퍼온도 180℃, 보압 2200 kgf/cm2, 사출압 2200 kgf/cm2, 냉각시간 35 초 조건에서 사출하여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을 제조하였다.
사출 전 고분자 소재 대비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분자량 감소폭(%), 사출 후 클립 내 모노머 발생량 및 기계적 물성 유지율(%)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클립을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클립과 비교하면, 실시예 2의 클립이 보다 향상된 결과들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촉매(스태너스 옥토에이트, Sn(Oct)2)를 2.4 ml(40ppm)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L-락타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 소재의 열중량측정분석을 통한 열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TGA Onset(%, 중량 유지율)의 형태로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L-락타이드)를 소재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을 제조하였다. 사출 전 고분자 소재 대비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의 분자량 감소폭(%), 사출 후 클립 내 모노머 발생량 및 기계적 물성 유지율(%)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Claims (10)

  1. 열중량분석기로 245℃에서 30분간 열안정성 시험 결과 최초 중량 대비 90 % 이상의 중량 유지율을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혈관 결찰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DO(Polydioxanone), PLDLLA(Poly-L,DL-lactide), PDLLA(Poly-D,L-lactide), PDLA(Poly-D-lactide), PLLA(Poly-L-lactide), PCL(Poly-ε-caprolactone) 및 폴리글리코네이트(Polygly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락티드, 글리콜리드, 파라디옥산온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개시제 및 촉매의 존재하에 고상 중합하여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이 상기 모노머 총량 기준으로 5 ppm 내지 40 pp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개시제로서 탄소수 1개 내지 12개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개시제로서 메탄올, 1-옥탄올, 1-도데카놀 및 디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촉매로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금속 기반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일반식 1]
    M(R)n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C1- 16알킬기, 옥소기, C1- 16알콕시기, C1- 16알콕시카르보닐기, 하이드록시카르보닐기, 할로기 또는 C1- 16아릴기를 나타내며; n은 M의 금속 이온가수(valency)에 대응하는 정수값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M이 아연(Zn(II)), 주석(Sn(II)), 납(Pb(II)), 티타늄(Ti(II)), 티타늄(Ti(IV)), 안티모니(Sb(III)) 또는 비스무트(Bi(III))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고상 중합 시 고분자 점도 상승이 종료된 후, 추가 열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추가 열처리는 130℃ 내지 180℃의 온도 범위에서 0.5 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KR1020170181927A 2017-12-28 2017-12-28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27A KR102549798B1 (ko) 2017-12-28 2017-12-28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27A KR102549798B1 (ko) 2017-12-28 2017-12-28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69A true KR20190079869A (ko) 2019-07-08
KR102549798B1 KR102549798B1 (ko) 2023-07-03

Family

ID=6725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27A KR102549798B1 (ko) 2017-12-28 2017-12-28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7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1359B1 (en) * 1994-07-05 2002-10-09 Ethicon, Inc. Medical devices containing high inherent viscosity poly(p-dioxanone)
WO2003064531A1 (en) * 2002-01-31 2003-08-07 Smith & Nephew Plc High strength bioresorbables containing poly-glycolic acid
JP2016006141A (ja) * 2014-06-20 2016-01-14 グンゼ株式会社 生分解性分岐状ポリマー
JP2017524405A (ja) * 2014-06-10 2017-08-31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エルエルシーEthicon Endo−Surgery, LLC ステープル線を補強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501532A (zh) * 2017-08-09 2017-12-22 成都美益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外科植入级聚l乳酸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1359B1 (en) * 1994-07-05 2002-10-09 Ethicon, Inc. Medical devices containing high inherent viscosity poly(p-dioxanone)
WO2003064531A1 (en) * 2002-01-31 2003-08-07 Smith & Nephew Plc High strength bioresorbables containing poly-glycolic acid
US20040106734A1 (en) * 2002-01-31 2004-06-03 John Rose High strength bioresorbables containing poly-glycolic acid
JP2017524405A (ja) * 2014-06-10 2017-08-31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エルエルシーEthicon Endo−Surgery, LLC ステープル線を補強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6006141A (ja) * 2014-06-20 2016-01-14 グンゼ株式会社 生分解性分岐状ポリマー
CN107501532A (zh) * 2017-08-09 2017-12-22 成都美益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外科植入级聚l乳酸的制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 J. FERNANDES et al.. Development of 70/30 Poly-L-DL-Lactic Acid Filaments for 3D Printers (Part 1). JOM. The Minerals, Metals & Materials Society. 2016.11.09., pp 71-7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798B1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71727B2 (en) Resorbable polyether esters for producing medical implants
CN104448261B (zh) 高性能高分子量聚l-乳酸合成工艺
NL9400519A (nl) Intravasculaire polymere stent.
CN107602834A (zh) 丙交酯‑乙交酯嵌段共聚物的制备方法
JP2986498B2 (ja) 生体吸収性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05882B2 (en)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biodegradable polylmer, modified biodegradable polymer prepared therefrom, and biodegradable stent using the same
US20090176943A1 (en) Novel Biodegradable Polymer
KR102442226B1 (ko) 락타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제조방법
Monsalve et al. Ring-opening copolymerization of (R, S)-β-butyrolactone and ε-caprolactone using sodium hydride as initiator
JP5150074B2 (ja) ポリ乳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6169B2 (ja) 乳酸-グリコール酸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23866A (ko) 폴리락트산 조성물
KR102549798B1 (ko) 체내 삽입용 생분해성 의료용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376363A1 (en) Porous material,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serial producing apparatus thereof
KR102198945B1 (ko) 표면이 개질된 염기성 세라믹 입자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체 이식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taro et al. Poly (L-Lactide-co-Glycolide)(PLLGA)–fast synthesis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JP3287425B2 (ja) 水酸基末端をエステル封鎖したポリ乳酸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90079860A (ko) 열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JPH10158370A (ja) ポリ乳酸の製造法
JP2000159865A (ja) 生体吸収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16519169A (ja) 2つ又は3つ以上のカルボン酸基を有するモノール及びジオール重合開始剤から調製されるポリラクトンポリマー
JPH09151243A (ja) ポリ乳酸の製造法
KR100817905B1 (ko)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9151242A (ja) ポリ乳酸の製造法
Dobrzynski et al. Synthetic biodegradable medical polyesters: Poly (trimethylene carb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