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904A -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904A
KR20190077904A KR1020170179468A KR20170179468A KR20190077904A KR 20190077904 A KR20190077904 A KR 20190077904A KR 1020170179468 A KR1020170179468 A KR 1020170179468A KR 20170179468 A KR20170179468 A KR 20170179468A KR 20190077904 A KR20190077904 A KR 20190077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uide tube
gas
guide
guid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열
장석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904A/ko
Publication of KR2019007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 내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한 안내관을 팬장치 하단에 고정 설치하고, 이 안내관 상단에 댐퍼를 삽입 결합하여, 이 댐퍼의 링부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걸림홈에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댐퍼의 걸림돌부가 안내관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댐퍼를 안내관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켜, 안내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및 가스의 압력에 의해 댐퍼가 안내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를 안내관의 상단에 삽입하는 단순 동작 또는 안내관 상단에 삽입된 댐퍼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댐퍼의 걸림돌부가 안내관의 걸림홈에 손쉽게 체결되고, 이 안내관에 걸림돌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댐퍼가 안내관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댐퍼를 통해 팬장치로 토출되는 혼합가스 압력에 의해 댐퍼가 안내관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댐퍼를 안내관에 손쉽게 체결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Venturi equipment for gas boilers}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를 안내관 상단에 삽입하여, 이 댐퍼의 걸림돌부가 안내관의 걸림홈에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그 설치형태에 따라 벽걸이형과 바닥설치형으로 구분되고, 온수공급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몸체의 열교환기가 온수용 열교환기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과 별도의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며, 아울러 난방수 순환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내의 난방순환회로가 대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대기차단식과 보일러 내의 난방회로가 개방된 방식의 대기 개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외부의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고, 이 혼합된 혼합가스를 버너부로 공급함으로써, 버너부 내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점화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난방배관 및 관체에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펌프에 의해 난방배관 및 급탕배관으로 공급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거나 급탕수로 공급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스보일러용 연료 혼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전단이 개방되어 있고, 후단에 공기유입로를 형성하여 송풍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전단에 삽입 체결되고, 그 전단에 공기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송풍부재 방향으로 토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한 배출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는 공기유입로를 통해 그 내부로 공기를 공급받되, 연결관에 체결되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한 후, 이 혼합된 혼합가스를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배출부로 이동하는 혼합가스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송풍부재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본체의 전단에 배출부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 고정되어, 공기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본체와 배출부 사이 틈새가 유격되고, 지속적인 공기 압력 및 혼합가스 이동압력에 의해 본체가 배출부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본체의 끼움 상태가 헐거워지면서 본체가 유동되어 잦은 소음이 발생되며, 이에따라, 본체와 배출부 사이 틈새에 공기가 마찰 되면서 공명음이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57226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 내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한 안내관을 팬장치 하단에 고정 설치하고, 이 안내관 상단에 댐퍼를 삽입 결합하여, 이 댐퍼의 링부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걸림홈에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댐퍼의 걸림돌부가 안내관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댐퍼를 안내관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켜, 안내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및 가스의 압력에 의해 댐퍼가 안내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는, 보일러 내부에 설치된 팬장치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팬장치 하단에 설치되고, 외면에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유입구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어 혼합가스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형성하여,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관; 및 상기 혼합관 상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팬장치로 이동하는 혼합가스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댐퍼;로 구성된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은 상기 안내관 상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부를 형성한 링부와, 상기 링부 내에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면에 복수개의 통과공을 형성한 판부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관의 안내관 상단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은, 상기 안내관 하단에 상기 안내관에 감싸지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연장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상기 안내관으로 공급하는 틈새를 형성하되, 상기 안내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안내관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의 안내관은 상단 내주면 테두리에 상광하협 구조를 이루도록,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 조립유도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링부의 걸림돌부를 상기 조립유도부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상광하협 구조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걸림홈은 상단 내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되고, 상기 링부의 걸림돌부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판부는, 그 상면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상기 통과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통과공은, 그 상면 중앙부에 제1통과공을 형성하고, 이 제1통과공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제2통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2통과공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통과공 직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3통과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를 안내관의 상단에 삽입하는 단순 동작 또는 안내관 상단에 삽입된 댐퍼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댐퍼의 걸림돌부가 안내관의 걸림홈에 손쉽게 체결되고, 이 안내관에 걸림돌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댐퍼가 안내관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댐퍼를 통해 팬장치로 토출되는 혼합가스 압력에 의해 댐퍼가 안내관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댐퍼를 안내관에 손쉽게 체결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의 혼합관에서 댐퍼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의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팬장치(100)는 보일러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팬장치(100)는 보일러 내부에 설치된 연소실 일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가스와 공기를 강제 흡입한다.
상기 팬장치(100)는 상기 혼합관(200) 내에 흡입압을 형성한다.
혼합관(200)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팬장치(100) 하단에 설치되고, 외면에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유입구(201)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어 혼합가스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02)을 형성하여,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한다.
상기 혼합관(200)은 하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고, 외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서 공기와 가스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관(200)의 하단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이고, 상단은 상기 혼합관(200)내에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이다.
상기 가스유입구(201)는 외부의 가스공급관(10)과 연결된다.
상기 혼합관(200)은 상부를 통해 상기 팬장치(100) 방향으로 혼합가스를 토출한다.
상기 혼합관(200)은 상기 안내관(202) 하단에 상기 안내관(202)에 감싸지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연장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상기 안내관(202)으로 공급하는 틈새(203a)를 형성하되, 상기 안내관(202)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안내관(203)을 더 형성한다.
상기 공기안내관(203)은 상기 안내관(202) 하단의 테두리를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의 연장돌기(미부호)에 의해 상기 안내관(202) 하단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안내관(202)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안내관(202)과 상기 공기안내관(203) 사이의 틈새(203a)를 통해 상기 안내관(202) 내로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상기 공기안내관(203)은 상기 안내관(2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중앙부로 집결시켜, 상기 안내관(202)으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안내관(203)의 상단부 직경은 상기 안내관(202)의 하단부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혼합관(200)은 상기 안내관(202) 내로 유입된 가스와 공기를 고르게 혼합하여, 상기 댐퍼(300)의 통과공(302a)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한다.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은 상단 내주면 테두리에 상광하협 구조를 이루도록,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 조립유도부(202b)를 더 형성한다.
상기 조립유도부(202b)는 상기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가 눌림되면서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내로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조립유도부(202b)의 경사각은 상기 걸림돌부(301a)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은 상단 내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된다.
댐퍼(300)는 상기 혼합관(200) 상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팬장치(100)로 이동하는 혼합가스를 고르게 분산시킨다.
상기 댐퍼(3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202a)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부(301a)를 형성한 링부(301)와, 상기 링부(301) 내에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면에 복수개의 통과공(302a)을 형성한 판부(30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상단을 마감한다.
상기 댐퍼(300)는 상기 혼합관(200) 내로 공급된 가스와 공기가 상기 혼합관(200)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지연시켜, 상기 혼합관(200) 내에서 가스와 공기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댐퍼(300)의 통과공(302a)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댐퍼(300)는 상기 링부(301)의 걸림돌부(301a)를 상기 조립유도부(202b)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상광하협 구조로 테이퍼지게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부(301a)는 상기 링부(301)의 조립유도부(202b)에 마찰되어 압축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202) 내로 진입한 후, 상기 걸림홈(202a)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202a)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링부(301)의 걸림돌부(301a)는 상기 걸림홈(202a)에 대응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된다.
상기 댐퍼(300)의 판부(302)는 그 상면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상기 통과공(302a)을 형성한다.
상기 댐퍼(300)의 통과공(302a)은 그 상면 중앙부에 제1통과공(302a-1)을 형성하고, 이 제1통과공(302a-1)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제2통과공(302a-2)을 형성하며, 상기 제2통과공(302a-2)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통과공(302a-2) 직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3통과공(302a-3)을 형성한다.
상기 제1통과공(302a-1) 및 제2통과공(302a-2)은 상기 혼합관(200) 상방으로 치솟아 오르는 혼합가스 중 일부를 상방으로 배출하면서 다른 혼합가스를 상기 제3통과공(302a-3) 방향으로 우회시킨다.
상기 제3통과공(302a-3)은 상기 판부(30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혼합관(200) 내에서 혼합된 혼합가스 및 상기 제1통과공(302a-1) 및 제2통과공(302a-2)에서 우회된 혼합가스를 상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1통과공(302a-1) 및 제2통과공(302a-2)으로 배출되는 혼합가스량은 상기 제3통과공(302a-3)으로 배출되는 혼합가스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혼합관(200) 내의 안내관(202) 상단에 상기 댐퍼(300)를 삽입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혼합관(200)을 상기 팬장치(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상단으로 상기 댐퍼(300)를 진입시키게 되면, 이 댐퍼(300)의 링부(301)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부(301a)가 상기 안내관(202)의 조립유도부(202b)를 타고 상기 안내관(202) 상단으로 진입되고, 이때, 상기 걸림돌부(301a)가 상기 조립유도부(202b)에 점차적으로 눌리면서 상기 안내관(202)으로 진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202) 내로 진입된 상기 걸림돌부(301a)가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202a)에 걸림되어 상기 안내관(202) 내에 상기 댐퍼(3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202) 내로 진입된 상기 걸림돌부(301a)가 상기 걸림홈(202a)과 동일선 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관(202) 내로 진입된 상기 댐퍼(300)의 링부(30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가 상기 안내관(202)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걸림홈(202a)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돌부(301a)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202a)에 걸림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댐퍼(300)의 링부(301)가 상기 안내관(202)의 상단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벤츄리장치의 팬장치(10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가스공급관(10)을 통해 상기 가스유입구(201)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안내관(202) 내로 공기와 가스가 동시에 공급되어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내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다.
즉, 상기 팬장치(100)에 의해 상기 판부(302)에 형성된 복수의 통과공(302a)을 통해 공기가 강제 흡입되고, 이에따라, 상기 혼합관(200)에 흡입압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혼합관(200)의 하단을 통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때, 상기 혼합관(2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관(203) 상방으로 치솟아 올라간다.
그리고, 상기 공기안내관(203) 상단에 도달한 공기는 상협하광 구조의 공기안내관(203)에 안내되어 중앙부로 집결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공기안내관(203) 상단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안내관(202) 내로 유입된다.
특히, 상기 공기안내관(203)에 안내되어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내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안내관(203)과 상기 안내관(202) 사이의 틈새(203a)에 음압이 형성되고, 이 음압에 의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공기안내관(203)과 상기 안내관(202) 사이의 틈새(203a)로 빨려들어가 상기 안내관(202) 내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안내관(202) 내로 유입된 가스와 공기는 서로 고르게 혼합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댐퍼(300)에 도달한 혼합가스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상기 통과공(302a)에 의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된 후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는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통과공(302a)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압에 의해 상기 댐퍼(300)가 상기 안내관(20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댐퍼(300)의 판부(302)에 제1, 제2, 제3통과공(302a-1, 302a-2, 302a-3)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댐퍼(300)에 도달한 혼합가스 중 일부는 상기 댐퍼(300)의 제1통과공(302a-1) 및 제2통과공(302a-2)을 통해 배출되되, 나머지 혼합가스는 상기 제3통과공(302a-3) 방향을 향해 우회하여, 상기 제3통과공(302a-3)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통과공(302a-1) 및 제2통과공(302a-2)을 우회하는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200) 상방으로 배출되는 시간이 지연됨으로써,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내에서 혼합가스가 고르게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통과공(302a-3)은 상기 제2통과공(302a-2)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1, 제2통과공(302a-1, 302a-2)으로 토출되는 혼합가스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혼합가스를 배출한다.
만약, 상기 댐퍼(300)를 교체하는 유지보수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관(200)을 상기 팬장치(100)로 부터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가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서 이탈되도록 하되, 이후, 다른 상기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가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 걸림되도록 체결하여, 상기 댐퍼(30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댐퍼(300)의 링부(301) 외면에 복수개의 걸림돌부(301a)를 형성하되, 이 걸림돌부(301a)를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댐퍼(300)를 안내관(202)에 체결 고정하는 구조는, 댐퍼(300)를 안내관(202)의 상단에 삽입하는 단순 동작 또는 안내관(202) 상단에 삽입된 댐퍼(3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댐퍼(300)의 걸림돌부(301a)가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에 손쉽게 체결되고, 이 안내관(202)에 걸림돌부(301a)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댐퍼(300)가 안내관(202)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댐퍼(300)를 통해 팬장치(100)로 토출되는 혼합가스 압력에 의해 댐퍼(300)가 안내관(202)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댐퍼(300)를 안내관(202)에 손쉽게 체결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가스공급관 100 : 팬장치
200 : 혼합관 201 : 가스유입구
202 : 안내관 202a : 걸림홈
202b : 조립유도부 203 : 공기안내관
203a : 틈새 300 : 댐퍼
301 : 링부 301a : 걸림돌부
302 : 판부 302a : 통과공
302a-1 : 제1통과공 302a-2 : 제2통과공
302a-3 : 제3통과공

Claims (6)

  1. 보일러 내부에 설치된 팬장치(100)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팬장치(100) 하단에 설치되고, 외면에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유입구(201)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어 혼합가스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02)을 형성하여,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관(200); 및
    상기 혼합관(200) 상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팬장치(100)로 이동하는 혼합가스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댐퍼(300);
    로 구성된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200)은 상기 안내관(202) 상단 내주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홈(202a)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3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202a)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부(301a)를 형성한 링부(301)와, 상기 링부(301) 내에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면에 복수개의 통과공(302a)을 형성한 판부(30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 상단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200)은,
    상기 안내관(202) 하단에 상기 안내관(202)에 감싸지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연장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상기 안내관(202)으로 공급하는 틈새(203a)를 형성하되, 상기 안내관(202)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안내관(20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2)은 상단 내주면 테두리에 상광하협 구조를 이루도록,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 조립유도부(202b)를 더 형성하고,
    상기 댐퍼(300)는 상기 링부(301)의 걸림돌부(301a)를 상기 조립유도부(202b)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상광하협 구조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202)의 걸림홈(202a)은 상단 내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되고,
    상기 링부(301)의 걸림돌부(301a)는 상기 걸림홈(202a)에 대응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3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300)의 판부(302)는,
    그 상면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상기 통과공(30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300)의 통과공(302a)은,
    그 상면 중앙부에 제1통과공(302a-1)을 형성하고, 이 제1통과공(302a-1)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제2통과공(302a-2)을 형성하며, 상기 제2통과공(302a-2) 주변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통과공(302a-2) 직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3통과공(302a-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20170179468A 2017-12-26 2017-12-26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20190077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68A KR20190077904A (ko) 2017-12-26 2017-12-26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468A KR20190077904A (ko) 2017-12-26 2017-12-26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04A true KR20190077904A (ko) 2019-07-04

Family

ID=6725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468A KR20190077904A (ko) 2017-12-26 2017-12-26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9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486A (ko) 2020-11-30 2022-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20230001721A (ko) 2021-06-29 2023-01-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2532015B1 (ko) * 2022-12-16 2023-05-12 최진민 보일러용 가스 혼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26B1 (ko) 2007-10-04 2008-09-05 주식회사 롯데기공 가스보일러용 연료 혼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26B1 (ko) 2007-10-04 2008-09-05 주식회사 롯데기공 가스보일러용 연료 혼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486A (ko) 2020-11-30 2022-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20230001721A (ko) 2021-06-29 2023-01-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2532015B1 (ko) * 2022-12-16 2023-05-12 최진민 보일러용 가스 혼합기
US11879637B1 (en) 2022-12-16 2024-01-23 Jin Min Choi Gas mixing apparatus for bo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093B2 (en) Fuel/air mixture and combus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e in a fuel-fired heating apparatus
KR20190077904A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1606264B1 (ko) 순환 가이드를 구비한 열교환기
KR20190023452A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1895966B1 (ko) 역화현상 방지 구조가 구비된 표면연소식 버너
KR102428969B1 (ko) 조리기구용 버너
KR20050033605A (ko) 보일러 배기관용 배기장치
KR101908318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20220075486A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US11543122B2 (en) Gas burner and domestic cooking appliance
KR101307764B1 (ko) 다단 공기 혼합식 가스 버너 장치
KR20170064612A (ko) 벤튜리장치
KR102214169B1 (ko) 벤츄리 장치
JP3971976B2 (ja) コンロ
AU2019294047A1 (en) Gas burner assembly and gas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t least one gas burner assembly
KR102387283B1 (ko)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JP7425672B2 (ja) 加熱装置
KR102288622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JP2023035740A (ja) 燃焼装置
JP6826932B2 (ja) 中和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燃焼装置
JP4338195B2 (ja) コンロ
KR20010057003A (ko) 난방기용 급배기관
KR20230001721A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JPH09210312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