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533A -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533A
KR20190077533A KR1020197016810A KR20197016810A KR20190077533A KR 20190077533 A KR20190077533 A KR 20190077533A KR 1020197016810 A KR1020197016810 A KR 1020197016810A KR 20197016810 A KR20197016810 A KR 20197016810A KR 20190077533 A KR20190077533 A KR 2019007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valve
hydraulic fluid
port
pedal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430B1 (ko
Inventor
폴커 에델만
안드레이 가르트
발렌틴 슈비췌브
크리스토프 아이젤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7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86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driver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1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not being fixed to the valve body
    • F16K15/14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not being fixed to the valve body the closure elements being shaped as solids of revolution, e.g. toroidal or cylindrical r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0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uxiliary non-electric power combined with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제1 제어 밸브(1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는 제2 제어 밸브(14)가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제2 제어 밸브(14)는, 제2 관류 방향(R2)에서와 상이한 제1 관류 방향(R1)으로의 유압액(F)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제공된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과도 관련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제어 밸브는, 가스 또는 액체의 입구 또는 출구를 제어하거나 흐름 방향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된 자동차의 통합된 전자-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제어 밸브는,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전자 밸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 밸브는 예비 단계 양정 및 메인 단계 양정을 갖는다. 메인 단계 양정은 예비 단계 양정만큼 유동에 의해 감소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진 방향으로, 즉 페달 시뮬레이터로부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로 더 큰 관류가 나타나게 된다.
DE 10 2007 016 867 A1호는,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된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있고 제동력 증폭을 위해 구동 요소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및 관련 외력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압액에 의해서 제1 관류 방향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으로 관류될 수 있는 제1 제어 밸브, 및 제1 제어 밸브와 결합된 제2 제어 밸브를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소개하며, 제2 제어 밸브가 제1 제어 밸브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제2 제어 밸브가, 제1 관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으로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각각 형성된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스톤을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유체 연결된 페달 시뮬레이터, 및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된 밸브 어셈블리를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을 소개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유압액에 의해서 제1 관류 방향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으로 관류되는 제1 제어 밸브를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1 제어 밸브와 결합된 제2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제2 제어 밸브는 제1 제어 밸브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이 방법은 제1 관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통과하는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제1 관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으로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2 제어 밸브의 제1 및 제2 수단의 제공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의 개선된 페달감을 야기하려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 들어 역방향으로의, 즉 제2 관류 방향으로의 관류 용적이 페달 시뮬레이터에 의해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방향으로 제한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페달의 지나치게 신속한 역동작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2 제어 밸브가 제1 제어 밸브의 페달 시뮬레이터 측 포트에 배열되어 있거나 제1 제어 밸브의 하우징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콤팩트한 밸브 어셈블리에 도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효과들이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1 관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으로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의 제1 및 제2 수단을 통과하는 관류 용적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1 관류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제2 관류 방향으로도 바람직하게는 상호 독립적으로 또는 시스템적인 그리고/또는 구조적인 개별 요구 조건에 상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이, 스프링 장치에 의해서 복원력이 가해지는 밀봉 요소를 구비하는 체크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 경우 체크 밸브는, 스프링 장치가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를 향해 밀봉 요소를 가압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액의 제어된 용적이 제1 관류 방향으로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로부터 페달 시뮬레이터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한편, 유압액의 관류가 제2 관류 방향으로는 페달 시뮬레이터로부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방향으로 체크 밸브에 의해서 방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체크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임계 값 위에 놓여 있는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이 제1 관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를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페달 시뮬레이터로부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을 통과하는 유압액의 역류가 바람직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2 제어 밸브의 제2 수단이 스로틀 장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때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이 스로틀 장치를 통과하여 제1 관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를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이 스로틀 장치를 통과하여 제2 관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를 통과해서 흐른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의 스로틀 장치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유압액의 관류가 제1 관류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제2 관류 방향으로도, 규정된 직경의 스로틀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규정된 압력 매체 용적이 제1 관류 방향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2 제어 밸브의 스로틀 장치가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내에 형성된 리세스와 연통하거나,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내에 형성된 보어와 연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체크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유압액이 밀봉 요소를 스쳐서 밸브 시트 내에 형성된 리세스에 의해 또는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내에 형성된 보어를 통해 제1 또는 제2 관류 방향으로 흐르는 상황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2 제어 밸브의 스로틀 장치가 제2 제어 밸브의 하우징 내벽과 제2 제어 밸브의 밀봉 요소의 외부 표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용적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기능을 위하여, 즉 체크 밸브가 폐쇄된 경우에 또는 마찬가지로 체크 밸브가 개방된 경우에도 유압액의 추가 용적이 규정된 관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제어 밸브에서 구조적인 변경을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의 규정 가능한 제1 관류 용적이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을 통과해서 흐르고, 유압액의 규정 가능한 제2 관류 용적이 제2 제어 밸브의 제2 수단을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와 제1 제어 밸브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의 포트 사이에, 유압액의 양의 차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의 규정 가능한 관류 용적이 오로지 제2 제어 밸브의 제2 수단을 통과해서만 흐르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로써,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을 통과하는 용적 흐름 대 제2 제어 밸브의 제2 수단을 통과하는 용적 흐름의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어셈블리는, 규정된 개별 방향으로의 유압액의 원하는 관류량과 관련하여 상응하는 구조적인 그리고/또는 시스템적인 요구 조건에 매칭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제1 제어 밸브가 전자 밸브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예비 단계 및 메인 단계를 갖는 직접 제어 방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의 제공에 의해서는, 이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제어 밸브를 특히 역방향으로, 즉 페달 시뮬레이터로부터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방향으로 통과하는 관류 용적이 규정된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전술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 개선예들 및 구현예들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또는 이후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특징부들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들까지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이해를 중재해야만 한다. 이들 도면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컨셉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다른 실시예들 및 언급된 장점들 중 다수가 도면과 관련하여 나타난다.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은 반드시 서로 척도에 맞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부의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들, 부품들 또는 구성 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를 보여준다.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은, 피스톤(4)을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5)을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유체 연결된 페달 시뮬레이터(3)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브레이크 시스템(1)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배열된 밸브 어셈블리(10)를 구비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유압 라인(6)에 의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 및 페달 시뮬레이터(3)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제1 제어 밸브(12) 및 제2 제어 밸브(14)를 구비한다.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관류 방향(R1)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R2)으로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각각 형성된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을 구비한다. 더 나아가,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포트(14c) 및 페달 시뮬레이터 쪽을 향하는 포트(14d)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0)는, 제1 제어 밸브(12) 및 제2 제어 밸브(14)를 구비한다.
제1 제어 밸브(12)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제어 밸브(12)는, 또한 유압액(F)에 의해서 제1 관류 방향(R1)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R2)으로 관류될 수 있다.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와 결합되어 있다.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제어 밸브(14)는, 각각 제1 관류 방향(R1)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R2)으로 유압액(F)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을 구비한다.
제2 제어 밸브(14)는 바람직하게 제1 제어 밸브(12)의 페달 시뮬레이터 측 포트(12a)에 배열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제어 밸브(14)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밸브(12)의 하우징(13)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관류 방향(R1)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R2)으로 유압액(F)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은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체크 밸브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장치(15)에 의해서 복원력이 가해지는 밀봉 요소(16)를 구비하며, 이 경우 체크 밸브는, 스프링 장치(15)가 밀봉 요소(16)를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를 향해 가압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밀봉 요소(16)는 볼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이 경우 차압(P)은 체크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임계 값 위에 놓여 있음] 유압액(F)이 제1 관류 방향(R1)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른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가 폐쇄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은 스로틀 장치(19)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이 스로틀 장치(19)를 통과하여 제1 관류 방향(R1)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른다.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이 스로틀 장치(19)를 통과하여 제2 관류 방향(R2)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른다.
제2 제어 밸브(14)의 스로틀 장치(19)는, 제2 제어 밸브(14)의 하우징 내벽(22)과 제2 제어 밸브(14)의 밀봉 요소(16)의 외부 표면(16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제1 관류 용적은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을 통과해서 흐르고,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제2 관류 용적은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을 통과해서 흐른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관류 용적이 오로지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을 통과해서만 흐른다.
제1 제어 밸브(12)는, 직접 제어 방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전자 밸브는, 예비 단계(24) 및 메인 단계(25)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1 제어 밸브(12)는 예를 들어 간접 제어 방식의 전자 밸브 또는 강제 제어 방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제어 밸브(14)의 스로틀 장치(19)는, 바람직하게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 내에 형성된 리세스(20)와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제어 밸브(14)가 개방된 경우에 뿐만 아니라 폐쇄된 경우에도, 유압액(F)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에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지 아니면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에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제1 관류 방향(R1)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R2)으로 스로틀 장치(19)를 통과해서 흐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제어 밸브(14)의 스로틀 장치(19)는,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 내에 형성된 리세스(20) 대신에,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 내에 형성된 보어(21)와 연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이 방법은, 제1 관류 방향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으로 유압액에 의해서 관류되는 제1 제어 밸브를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제공하는 단계 "S1"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1 제어 밸브와 결합된 제2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 "S2"를 포함하며, 이 경우 제2 제어 밸브는 제1 제어 밸브와 페달 시뮬레이터 사이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이 방법은, 제1 관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으로 제2 제어 밸브의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통과하는 유압액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 "S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다양한 유형 및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어셈블리에 사용된 구성 요소들의 배열 상태, 특유의 형상 및/또는 기하학적인 형상은 상응하는 구조적 또는 시스템적 요구 조건에 매칭될 수 있다.
본 출원서에서, 제어 밸브(14)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 사이에 인가되는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은, 상기 제어 밸브(14)의 제1 포트에서의 압력 레벨이 제2 포트에서의 압력 레벨보다 높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어 밸브(14)의 포트에서는,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포트(14d)가 구분된다.

Claims (14)

  1.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압액(F)에 의해서 제1 관류 방향(R1)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R2)으로 관류될 수 있는 제1 제어 밸브(12)를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제1 관류 방향(R1)으로, 제2 관류 방향(R2)에서와 상이한 크기의 유압액(F) 관류 용적을 제어하도록 제공된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을 구비하는 제2 제어 밸브(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의 페달 시뮬레이터 측 포트(12a)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의 하우징(13)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관류 방향(R1)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R2)으로 유압액(F)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은, 스프링 장치(15)에 의해서 복원력이 가해지는 밀봉 요소(16)를 구비하는 체크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는, 스프링 장치(15)가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를 향해 밀봉 요소(16)를 가압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체크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임계 값 위에 놓여 있는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이 제1 관류 방향(R1)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이 스로틀 장치(19)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이 스로틀 장치(19)를 통과하여 제1 관류 방향(R1)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이 스로틀 장치(19)를 통과하여 제2 관류 방향(R2)으로 제2 제어 밸브(14)를 통과해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의 스로틀 장치(19)는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 내에 형성된 리세스(20)와 연통하거나, 제2 제어 밸브(14)의 밸브 시트(18) 내에 형성된 보어(21)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의 스로틀 장치(19)는 제2 제어 밸브(14)의 하우징 내벽(22)과 제2 제어 밸브(14)의 밀봉 요소(16)의 외부 표면(16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와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제1 관류 용적이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을 통과해서 흐르고,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제2 관류 용적이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을 통과해서 흐르며, 그리고 페달 시뮬레이터(3)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d)와 제1 제어 밸브(12) 쪽을 향하는 제2 제어 밸브(14)의 포트(14c) 사이에, 유압액(F)의 양의 차압(P)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압액(F)의 규정 가능한 관류 용적이 오로지 제2 제어 밸브(14)의 제2 수단(14b)을 통과해서만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밸브(12)는 전자 밸브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예비 단계(24) 및 메인 단계(25)를 갖는 직접 제어 방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3. 피스톤(4)을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5);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유체 연결된 페달 시뮬레이터(3); 및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를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
  14. 유압액(F)에 의해서 제1 관류 방향(R1)으로 또는 제2 관류 방향(R2)으로 관류되는 제1 제어 밸브(12)를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제공하는 단계(S1)와;
    제1 제어 밸브(12)와 결합된 제2 제어 밸브(14)를 제공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14)는 제1 제어 밸브(12)와 페달 시뮬레이터(3)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은
    제1 관류 방향(R1)으로 그리고 제2 관류 방향(R2)으로 제2 제어 밸브(14)의 제1 수단(14a) 및 제2 수단(14b)을 통과하는 유압액(F)의 관류 용적을 제어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
KR1020197016810A 2016-11-16 2017-10-05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KR102380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2576.6 2016-11-16
DE102016222576.6A DE102016222576A1 (de) 2016-11-16 2016-11-16 Ventilanordnung, Brem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ntilanordnung
PCT/EP2017/075301 WO2018091198A1 (de) 2016-11-16 2017-10-05 Ventilanordnung, brem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ntil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33A true KR20190077533A (ko) 2019-07-03
KR102380430B1 KR102380430B1 (ko) 2022-03-31

Family

ID=6005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10A KR102380430B1 (ko) 2016-11-16 2017-10-05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1490B2 (ko)
EP (1) EP3541671A1 (ko)
KR (1) KR102380430B1 (ko)
CN (1) CN109923010B (ko)
DE (1) DE102016222576A1 (ko)
WO (1) WO2018091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6882A (zh) * 2018-12-27 2020-07-07 上海军创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刹车辅助系统力感模拟装置
DE102019209270A1 (de) * 2019-06-26 2020-12-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19A (ko) * 1996-09-18 2000-06-26 안네트 제랄드 아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제동장치용 동작 장치
KR20140056049A (ko) * 2012-10-30 2014-05-09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용 실린더, 피스톤 펌프를 구비한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및 피스톤 펌프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927B2 (ja) * 1988-10-07 1995-08-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用流量制御弁
US5941608A (en) * 1996-03-07 1999-08-24 Kelsey-Hayes Company Electronic brake management system with manual fail safe
US6135572A (en) * 1996-05-31 2000-10-24 Varity Gmbh Actuation unit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brake system
DE19950862C5 (de) * 1999-10-21 2004-02-26 Lucas Varity Gmbh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elektronisch gesteuerte Fahrzeugbremsanlage
FR2828463B1 (fr) * 2001-08-08 2004-02-27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commande de frein a clape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314979B3 (de) * 2003-04-02 2004-12-02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CN101065276A (zh) * 2004-11-26 2007-10-31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可电磁控制的调节装置及其制造和/或校准方法
KR100826808B1 (ko) * 2007-03-27 2008-05-02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DE102007016867A1 (de) 2007-04-10 2008-10-16 Robert Bosch Gmbh Bremskraftverstärker und Fremdkraft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US7444990B1 (en) 2007-12-12 2008-11-04 Robert Bosch Gmbh Fuel line check valve
US20100326778A1 (en) * 2009-05-29 2010-12-30 Magna Powertrain Ag & Co Kg Brake pedal simulator and brake system
JP5704629B2 (ja) * 2010-05-18 2015-04-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吸振器を備えた比例ポペット型二段式高速電磁弁
DE102010042189A1 (de) * 2010-10-08 2012-04-1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hydraulischen Speichers eines Hydrauliksystems
DE102010063322A1 (de) * 2010-12-17 2012-07-05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mit einer Halterung
DE102012203099A1 (de) * 2011-05-02 2012-11-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edalwegsimulator,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hydraulische Bremsanlage sowie Bremsanlage
DE102012203258A1 (de) * 2012-03-01 2013-09-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102088A1 (de) * 2012-03-13 2013-09-19 Prominent Dosiertechnik Gmbh Verdrängerpumpe mit Zwangsentlüftung
DE102012213761A1 (de) * 2012-08-03 2014-02-06 Robert Bosch Gmbh Ventilkörper für ein Stellventil und korrespondierendes Magnetventil
DE102013225470A1 (de) * 2013-12-10 2015-06-11 Robert Bosch Gmbh Zweistufiges Magnetventil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KR102190039B1 (ko) * 2014-04-30 2020-12-14 주식회사 만도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DE102014110300A1 (de) * 2014-07-22 2016-01-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edalkraftsimulator und Brems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19A (ko) * 1996-09-18 2000-06-26 안네트 제랄드 아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제동장치용 동작 장치
KR20140056049A (ko) * 2012-10-30 2014-05-09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용 실린더, 피스톤 펌프를 구비한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및 피스톤 펌프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30B1 (ko) 2022-03-31
EP3541671A1 (de) 2019-09-25
US20190263370A1 (en) 2019-08-29
CN109923010B (zh) 2021-12-03
CN109923010A (zh) 2019-06-21
DE102016222576A1 (de) 2018-05-17
WO2018091198A1 (de) 2018-05-24
US11161490B2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744B2 (ja) 複動形流体流れ方向制御弁
US5335983A (en) Hydraulic regulator for a brake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8840199B2 (en) Slave cylinder
JP2007519558A (ja) ロール安定化装置
US20170328380A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KR20190077533A (ko) 밸브 어셈블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 방법
JP2000516885A (ja) 電気油圧式の制御装置
KR100540231B1 (ko) 하이드로릭 부스터 브레이크 시스템
US20080087345A1 (en) Direct operated cartridge valve assembly
US7686039B2 (en) Cartridge valve assembly
JP2008534887A (ja) 方向制御弁および方向制御弁を備えた制御装置
JPH05213212A (ja) 負荷感知油圧装置に使用するブレーキ弁
JP2006123767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535900Y2 (ko)
US3937127A (en) Hydraulic brake booster with shut-off means
CN112455225B (zh) 液控气阀门和汽车制动操控系统
JPH0661631U (ja) アンチロック用モジュレータ
CN108050121B (zh) 一种插装式控制阀及卷扬制动器的液压控制系统
JP3534324B2 (ja) 圧力補償弁
CN113738728B (zh) 一种制动充液阀
CN108884947A (zh) 具有压力放大装置的比例顺序阀
JP2538161Y2 (ja) 両方向作動リリーフ弁
US6024423A (en) Flow regulated braking system
JPS5917727Y2 (ja) 流体ブレキ装置
JP3839101B2 (ja) 流量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