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44A -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544A
KR20190075544A KR1020170177215A KR20170177215A KR20190075544A KR 20190075544 A KR20190075544 A KR 20190075544A KR 1020170177215 A KR1020170177215 A KR 1020170177215A KR 20170177215 A KR20170177215 A KR 20170177215A KR 20190075544 A KR20190075544 A KR 2019007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acid
jasmonic acid
germinated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928B1 (ko
Inventor
박창하
여현지
박예은
강상민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Priority to KR102017017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within the same carbon skeleton a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arbon atom having only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keto-carboxylic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 및 발아 메밀의 페놀 화합물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Method of cultivation of buckwheat sprout with enhanced phenolic compound content by treating jasmonic acid}
본 발명은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스몬산을 처리하여 재배한 발아 메밀은 기능성 물질인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고품질 발아 메밀은 부가가치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메밀은 식물분류학적으로 대부분의 곡식과 달리 마디풀과(Polygonaceae)의 메밀속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이다. 생약으로 쓰이는 하수오, 소리쟁이, 대황, 수영 등과 같은 과에 속해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메밀의 종류는 크게 재배종과 야생종으로 구분된다. 재배종은 보통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단메밀)과 달단메밀(Fagopyrum tartaricum Gaertn, 쓴메밀 또는 타타리메밀) 등 두 종이 주류를 이룬다. 한반도에서는 그 중 보통메밀이 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메밀의 주요 생산국은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슬로베니아 등이다. 그 중에서도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의 넓은 지역의 척박한 땅 또는 비교적 해발이 높은 산지에 적합한 작물로 재배되어 왔다.
메밀에는 루틴(Rutin) 성분이 주로 많이 들어있다. 루틴은 플라보노이드에 당이 붙은 배당체로 갈색을 띄는 성분이다. 혈관을 강하게 하여 고혈압 환자에게 특히 좋으며, 예로부터 머리에 열이 몰린 경우 메밀 베개를 베고 자면 머리가 맑아지고 어지러움을 예방할 수 있다 믿어 베갯속에 메밀을 넣었다. 또한, 메밀은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고, 음식을 먹고 나서 속이 울렁거릴 때 속을 개운하게 하며, 설사, 딸꾹질, 장이 자주 뭉칠 때 효과가 있다.
메밀은 주로 제분하여 국수나 떡, 묵으로 만들어 먹는다. 메밀가루에는 단백질이 12.5% 함유되어 있고, 라이신, 시스틴 그리고 트립토판 등 곡물에 부족한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한다. 비타민 B군 특히 비타민 B2가 많이 들어 있어 쌀이나 보리보다 영양가가 높은 편이다.
최근 성인병 및 노인성 질환의 증가가 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당뇨에 루틴이 효과적임이 알려지면서 메밀싹이 주목받고 있다. 메밀싹은 메밀보다 루틴의 함량이 높고, 메밀 종자보다 약 27배 많은 양의 루틴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메밀을 발아시킨 발아 메밀은 루틴 이외에도 기능성 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샐러드, 나물, 메밀싹즙, 메밀싹 가루차 등 다양한 상품의 형태로 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발아기술로는 메밀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증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발아 메밀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화학적 처리 및 효소적 처리 등의 제조공정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들거나, 안전한 먹거리에 따른 불감증으로 인해, 더욱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기능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발아 메밀의 재배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730514호에는 다량의 루틴을 함유하는 발아 메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04478호에는 메밀싹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을 재배하기 위해, 자스몬산 처리 농도 및 처리 조건 등을 최적화하여, 자스몬산을 처리하여 재배된 발아 메밀은 자스몬산을 처리하지 않은 발아 메밀에 비해 특정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메밀의 페놀 화합물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재배된 발아 메밀은 유용한 페놀 화합물인 갈산, 클로로겐산, 카페산, 에피카테킨, 루틴, 카테킨 및 벤조산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발아 메밀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고품질 발아 메밀은 부가가치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 처리 시간에 따른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의 함량(㎍/g dry weight)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1)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메밀 종자를 60~80%(v/v) 에탄올에 1~5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1~5%(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5~2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1~5회 세척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밀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메밀 종자를 전처리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자에 오염되어 있는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은 바람직하게는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일 수 있다. 자스몬산을 상기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발아 메밀의 페놀 화합물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나, 자스몬산 처리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히려 페놀 화합물 함량이 감소하거나 증진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페놀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루틴(rutin),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페놀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페놀 화합물 중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루틴(rutin)의 페놀 화합물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60~80%(v/v) 에탄올에 1~5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1~5%(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5~2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1~5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66~7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4:5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5℃의 암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 화합물 중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의 페놀 화합물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60~80%(v/v) 에탄올에 1~5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1~5%(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5~2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1~5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42~54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4:5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5℃의 암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 메밀 종자를 60~80%(v/v) 에탄올에 1~5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1~5%(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5~2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1~5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66~7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메밀의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루틴(rutin)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아 메밀의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루틴(rutin)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4:5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5℃의 암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메밀 종자를 60~80%(v/v) 에탄올에 1~5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1~5%(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5~2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1~5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42~54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메밀의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아 메밀의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메밀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4:5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5℃의 암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재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재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재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예 1.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발아 메밀 재배
(1) 메밀(Fagopyrum esculentum) 종자를 70%(v/v) 에탄올에 1분간 1차 침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4%(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분간 2차 침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름 용액을 제거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 4 g(약 200개)을 거름종이(지름: 150 mm, Whatman®)가 놓인 페트리디쉬에 치상한 후,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 50 mL를 처리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5℃의 생장 챔버(growth chamber)에서 암조건으로 발아시켰다.
실험예 1.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분석
(1) 표준품 및 시약 준비
카테킨(catechin),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벤조산(benzoic acid), 루틴(rutin)의 표준품은 씨그마알드리치코리아로부터 구매하였으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99%, EP) 및 HPLC 전용 메탄올(methanol)은 대정화금으로부터 구매하였다.
(2) HPLC 분석
동결건조된 시료를 막자와 사발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하고 200 mg씩 정량한 후 2 mL의 80% 메탄올(v/v)을 가하여 볼텍스(vortex)를 수행하였다. 60℃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한 후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통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남은 시료를 대상으로 동일한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여 획득한 상층액을 모두 합하여 회전 감압하고 2 mL의 메탄올을 넣고 재희석하였다. 개별의 추출액을 HPLC 전용 갈색 바이알(vial)에 0.45 ㎛ PTFE 필터를 통하여 여과처리한 후 투입하여 HPLC 분석을 준비하였다. HPLC 분석은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고, 총 7가지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들을 5가지의 농도로 희석한 후 HPLC 분석을 통하여 area 값을 획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였다(표 2).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HPLC 분석
HPLC 시스템 NS4000, Futecs
(Daejeon, Korea)
컬럼 OptimaPak C1851002546
(250mm × 4.6mm I.d., particle size 5 ㎛)
검출기(Wavelength) 280 ㎚
오븐 온도 30℃
이동상 Solvent (A): 0.2 % Trifluoroacetic acid(TFA)
Solvent (B): Methanol(MeOH)
유속 1 ml/min
주입 용량 20 ㎕
시간 98 min
구배 프로그램(Gradient program) 0-1.0 min, 95% A
1.1-4.0 min, 95%-85% A
4.1-9.0 min, 85% A
9.1-14.0 min, 85%-80% A;
14.1-24.0 min, 80% A
24.1-54.0 min, 80%-70% A
54.1-55.0 min, 70%-55% A
55.1-65.0 min, 55% A
65.1-75.0 min, 55%-44% A
75.1-77.0 min, 44%-40% A
77.1-79.0 min, 40% A
79.1-80.0 min, 40%-20% A
80.1-90.0 min, 20% A
90.1-91.0 min, 20%-95% A
91.1-98.0 min, 95% A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표준품을 이용한 검정곡선
No 화합물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
검량선
(Calibration curve)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1 갈산 7.413 y = 32.55772328x + 0.160117794 R2 = 0.999964255
3 카테킨 15.37 y = 7.889742787x - 40.24235366 R2 = 0.999881991
3 클로로겐산 17.343 y = 17.79533436x - 70.35135552 R2 = 0.99992958
4 카페산 20.943 y = 39.98286487x - 65.70752695 R2 = 0.999891287
5 (-)-에피카테킨 23.113 y = 8.521761941x + 4.57165651 R2 = 0.999975384
6 벤조산 42 y = 7.525240872x - 37.38700057 R2 = 0.999702659
7 루틴 60.45 y = 8.09714215x - 105.546569 R2 = 0.999542863
(3) 통계분석
HPLC를 이용한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분석 데이터는 SAS 소프트웨어(version 9.4, 201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를 수행하였고, 알파벳(a,b,c)을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자스몬산 처리를 통한 발아 메밀의 기능성 물질 함량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농도별(50, 100, 150 μM) 처리 72시간 후 수확한 발아 메밀을 대상으로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들을 HPLC 분석하였다. 대조구는 자스몬산 대신 3차 증류수 처리한 후 발아시킨 발아 메밀을 의미한다. 대조구와 자스몬산 농도별 처리구들에서 갈산(gallic acid), 카테킨(catech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벤조산(benzoic acid), 루틴(rutin) 7개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들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자스몬산 처리구들에서 농도 의존적인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들의 함량의 증가 경향을 확인하였다(표 3). 특히, 자스몬산 150 μM 처리 시 총 페놀의 함량이 최소값을 나타내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2.47배 증가하였고(p<0.05), 7개의 페놀성 물질들 중에 루틴(rutin)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2.38배 증가하였으며(p<0.05), 카테킨(catech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은 각각 약 1.76배, 2.81배, 7.95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p<0.05).
자스몬산 처리한 후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분석(㎍/g dry weight)
화합물 대조구(Control) 자스몬산 50 μM 자스몬산 100 μM 자스몬산 150 μM
갈산 6.09±0.19 b 10.8±2.00 a 10.5±1.68 a 7.23±0.18 b
카테킨 56.18±2.37 b 104.71±10.35 a 136.12±32.75 a 98.8±23.94 a
클로로겐산 58.92±1.52 b 150.7±23.68 a 155.34±8.87 a 165.33±22.43 a
카페산 77.99±1.54 b 96.61±7.19 ab 104.76±17.15 a 115.63±11.79 a
(-)-에피카테킨 44.44±8.55 b 297.41±53.66 a 299.5±25.82 a 353.28±13.17 a
벤조산 74.48±5.27 a 59.49±2.84 bc 58.06±6.47 c 68.17±3.74 ab
루틴 424.42±0.96 c 494.99±65.45 c 764.39±39.19 b 1011.3±3.11 a
합계 736.43±11.35 d 1214.71±153.05 c 1528.66±108.41 b 1819.75±72.13 a
실시예 2. 자스몬산 150 μM 처리 시간대 별 기능성 물질 고함유 발아 메밀 생산 최적화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 150 μM를 6, 12, 24, 48, 72시간 처리한 결과, 시간 의존적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특히, 48시간 및 72시간 처리 후 총 페닐프로파노이드 물질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72시간 처리 후 최대치를 나타내었다(도 1).
150 μM 농도의 자스몬산 처리 시간대 별 페닐프로파노이드 계통물질 HPLC 분석(㎍/g dry weight)
구분 6시간 처리 12시간 처리 24시간 처리 48시간 처리 72시간 처리
대조구 자스몬산 대조구 자스몬산 대조구 자스몬산 대조구 자스몬산 대조구 자스몬산
갈산 6.78
±0.86
bc
7.58
±0.09
bc
8.03
±0.45
bc
8.04
±0.26
bc
6.98
±0.36
bc
7.69
±0.42
bc
7.91
±1.56
b
9.79
±0.35
bc
6.09
±1.56
c
12.17
±0.85
a
카테킨 57.21
±2.11c
55.06
±0.83
c
66.30
±3.85
c
56.20
±0.54
bc
65.97
±2.04
bc
62.54
±2.92
bc
99.05
±15.37
abc
165.89
±51.97
a
56.18
±15.37
ab
98.80
±23.94
c
클로로겐산 55.72
±2.24
c
60.78
±0.41
c
59.91
±3.24
c
69.99
±1.64
c
61.52
±0.97
c
70.34
±0.60
c
105.81
±32.67
b
109.62
±20.75
c
58.92
±32.67
b
165.33
±22.43
a
카페산 74.93
±2.37
c
76.42
±4.33
c
74.29
±2.57
c
74.11
±1.01
c
76.44
±3.48
c
80.45
±2.57
bc
84.56
±8.24
bc
91.14
±5.84
b
77.99
±8.24
c
115.63
±11.79
a
(-)-에피카테킨 43.13
±5.89
cd
39.81
±6.70
cd
39.60
±1.00
cd
40.19
±0.48
cd
34.10
±1.41
d
38.88
±6.56
d
135.74
±95.97
b
202.38
±89.88
bc
44.44
±95.97
cd
3538
±13.17
a
벤조산 81.96
±4.98
b
77.14
±2.18
b
83.82
±3.10
a
76.13
±2.83
bc
83.27
±1.96
a
74.63
±2.15
bc
71.64
±9.63
cd
84.85
±3.43
a
74.48
±9.63
bc
68.17
±3.74
d
루틴 371.84
±81.94
bcd
408.23
±16.91
cd
428.66
±6.33
bc
418.48
±18.94
bc
418.00
±16.50
bc
395.77
±18.89
bcd
291.20
±100.31
d
541.76
±68.57
b
424.42
±100.31
bc
1011.3
±3.11
a
합계 691.57
±97.47
c
725.03
±29.48
c
760.60
±6.96
c
743.15
±20.99
c
746.28
±23.56
c
730.30
±22.81
c
795.91
±95.38
c
1205.45
±240.79
b
742.53
±95.38
c
1824.69±72.80
a
또한, 페닐프로파노이드 종류 및 자스몬산 처리 시간별로 분석한 결과,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루틴(rutin)은 자스몬산 150 μM 처리 72시간 후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벤조산(benzoic acid)은 대조구에 비해 자스몬산 처리구가 대체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48시간 처리구에서만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카테킨(catechin) 함량도 벤조산과 마찬가지로 48시간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표 4).

Claims (7)

  1.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자스몬산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은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66~7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루틴(rutin)의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42~54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의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재배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
  6.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66~78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메밀의 갈산(gall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루틴(rutin)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7. (1) 메밀 종자를 소독한 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세척한 메밀 종자에 130~170 μM 농도의 자스몬산을 3~5:40~60(w:v) 비율로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자스몬산 처리한 메밀 종자를 22~28℃의 암조건에서 42~54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메밀의 카테킨(catechin) 및 벤조산(benzoic acid)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20170177215A 2017-12-21 2017-12-21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KR10200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15A KR102002928B1 (ko) 2017-12-21 2017-12-21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15A KR102002928B1 (ko) 2017-12-21 2017-12-21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44A true KR20190075544A (ko) 2019-07-01
KR102002928B1 KR102002928B1 (ko) 2019-07-23

Family

ID=6725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15A KR102002928B1 (ko) 2017-12-21 2017-12-21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5185A (zh) * 2021-02-02 2021-04-30 成都大学 一种荞麦的嫁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68A (ko) * 2010-04-15 2011-10-21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의 재배방법
KR20130013856A (ko) * 2011-07-29 2013-02-06 한국식품연구원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68A (ko) * 2010-04-15 2011-10-21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의 재배방법
KR20130013856A (ko) * 2011-07-29 2013-02-06 한국식품연구원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5185A (zh) * 2021-02-02 2021-04-30 成都大学 一种荞麦的嫁接方法
CN112715185B (zh) * 2021-02-02 2022-11-04 成都大学 一种荞麦的嫁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928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meida et 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orinda citrifolia (noni): A review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ucelova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black mulberry-derived food products (Morus nigra L.)
KR101961905B1 (ko) 루틴 또는 카페산의 함량이 증진된 메밀싹의 재배방법
KR102002928B1 (ko)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Lee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s
KR101966669B1 (ko) 키토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KR101919325B1 (ko)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20110066269A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KR20160071824A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Ozola et al.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s on Bioactive Compound Concentrations in Pumpkin–Guelder Rose () Sauces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8246B1 (ko) 어성초와 삼백초 추출액을 함유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745180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장류 제조방법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KR102080489B1 (ko) 펙틴 처리를 이용한 특정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메밀 새싹의 생산 방법
KR101914196B1 (ko) 황칠간장의 제조방법
KR102009412B1 (ko) 작두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작두콩나물을 이용한 장아찌
KR20170014239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7282A (ko) 인삼 전초를 이용한 인삼 식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2513550B1 (ko)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 방법
KR101935538B1 (ko) 부추를 이용한 추출 또는 발효 혼합액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168435A (ja) 葉類加工食品及びその製法
KR100955300B1 (ko) 어성초와 삼백초 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1002589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고기능성 녹차 잎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