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437A -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437A
KR20190075437A KR1020170177032A KR20170177032A KR20190075437A KR 20190075437 A KR20190075437 A KR 20190075437A KR 1020170177032 A KR1020170177032 A KR 1020170177032A KR 20170177032 A KR20170177032 A KR 20170177032A KR 20190075437 A KR20190075437 A KR 2019007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arrier
pipe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974B1 (ko
Inventor
최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즈
Priority to KR102017017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은 샘플운반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과, 상기 기송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를 가진 발사트랩유닛과. 상기 기송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공기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트랩유닛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of sample carrier}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한 샘플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샘풀이 내장 된 운반캐리어를 관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는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공장, 병원, 제철소 등에서는 시료를 샘플링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거나 검사한 결과를 제공받음으로써 전체 공정을 제어하고 보다 우수한 품질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시료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그 신속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시료가 채취되는 현장과 그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실 사이에는 시료를 전송하는 공압 이송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압이송 시스템은 시료운반케리어를 상대적으로 높은 공압을 이용하여 압송하는 것으로, 이송관에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시료운반 케리어가 이송되는 구조를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11-083808호에는 피그발사를 위한 자흡공법 및 피그 발사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공고 제 1993-007166호에는 피그전송 표시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24499호에는 샘플 트랜스퍼 퍼깅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샘플 트랜스퍼 퍼깅 시스템은 소정의 배관; 분리 및 조립 체결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소정 샘플을 내장하여 밀봉 조립 체결되는 소정 형상의 피그(PIG); 상기 피그를 탑재하여 상기 배관으로 발사하기 위한 피그발사부; 상기 배관쪽 전단에는 에어 또는 유체 배출구(AIR/FLUID RELEASE)를 구비하여 상기 배관으로부터 도착되는 피그를 수신하기 위한 피크 수신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샘플 트랜스퍼 퍼깅 시스템은 샘플의 내장된 피그 발사부와 피그 수신부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샘풀이 내장된 피그가 수신되는 피그 수신부에서의 완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샘플이 내장된 피크 즉, 샘플케이어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11-083808호 실용신안 공고 제 1993-0071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02449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샘플이 내장된 샘플케리어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샘플케리어 발신부와 샘플케리어 수신부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착지점에서의 충격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샘플케리어의 발사와 동작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는 샘플운반캐리어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과, 상기 기송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를 가진 발사트랩유닛과 .
상기 기송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랜딩속도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트랩유닛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사트랩유닛은 상기 기송관과 연결되는 발사관과, 상기 발사관의 단부측에 상기 발사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과, 발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킥커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샘플운반캐리어의 발사상태를 검출하는 발사검출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개폐유닛은 상기 발사관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가장자리와 개폐프레임의 외주면을 감싸는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프레임을 감싸는 제 1,2부재와, 상기 제 1,2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부재의 단부를 개폐하는 토글클램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트랩유닛은 기송관과 연결되는 수신관과, 상기 수신관의 단부 측에 설치되는 제 2개폐유닛과, 상기 수신관에 설치되어 샘플운반캐리어의 도착여부를 확인하는 도착검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2개폐유닛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신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힌지부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에 대해 회동커버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장치는 샘플운반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과, 상기 기송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를 가진 발사트랩유닛과,
상기 기송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제1랜딩속도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수신트랩유닛과
상기 기송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기송관과, 상기 분기기송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분기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분기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제 2랜딩속도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수신트랩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는 샘플이송캐리어를 이용하여 분석 또는 검사를 위한 샘플을 검사 또는 분석장소로 짧은 시간 내에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에 따른 트러블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이송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샘플운반캐리어의 발사와 수신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로 제 1,2개폐유닛의 개폐에 따른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발사유닛은 발사트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트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신트랩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는 산업현장, 병원 등에서 샘플운반캐리어를 공압과 기송관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에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10)은 샘플운반캐리(100)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100)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30)를 가진 발사트랩유닛(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송관(2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유닛(40)에 의해 발상되어 상기 기송관(20)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100)을 수신하며, 기송관(20) 내의 공기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랜딩속도제어부(50)를 포함하는 수신트랩유닛(6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10)을 구성요소별로 보다 사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사트랩유닛(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송관(20)과 연결되는 발사관(41)을 구비한다. 상기 발사관(41)의 직경은 기송관(2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발사관(41)의 단부측에 상기 발사관(41)을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42)이 설치되고, 상기 발사관(41)의 외주면에는 킥커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발사상태를 걸출하는 발사검출유닛(45)이 설치된다.
상기 제1개폐유닛(42)은 상기 발사관(31)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제1개폐프레임(42a)과, 상기 제1개폐프레임(4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42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도어(42b)의 가장자리와 제1개폐프레임(42a)의 외주면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밀유지부(43)를 구비한다. 상기 기밀유지부(43)는 상기 제1개폐프레임(42a)의 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개폐도어(42b)와 프레임을 감싸는 제 1,2부재(43a)(43b)와, 상기 제 1,2부재(43a)(43b)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부재(43a)(43b)의 단부를 개폐하는 토글클램프(43c)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부재(43a)(43b)의 일측의 대응되는 단부는 상기 개폐프레임(42a)에 회가능하게 설치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킥커부(30)는 발사관(41)에 샘플운반캐리어(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공압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샘플운반캐리어(100)를 기송관(20)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발사관(41)의 단부에 설치된 제 1개폐유닛(42)와 인접되는 측의 발사관(41)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1공압공급관(31)이 설치되고, 이 제 1공압공급관(31)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속적인 공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 또는 공압공급탱크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에는 공압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밸브의 작동은 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관(41)에는 샘플운반캐리어(100)을 압송하기 위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사관(41)은 내부에 장착되어 발사되는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발사여부(압송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발사검출유닛(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사검출유닛(45)는 발사관(41)의 양측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또는 수광센서와 발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 또는 수발광센서는 발사관(41)의 양측에 내측과 연통되며 밀폐를 위해 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접속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사검출유닛을 이루는 센서 즉, 근접센서와 수발광센서는 상기 발사관(41)의 양측면과 상하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들은 발사관(41)의 길의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트랩유닛(6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송관(20)의 타측단부에 기송관(20)을 따라 이송된 샘풀운반캐리어(100)을 받기 위한 것으로,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수신관(61)과, 이 수직한 수신관(61)의 하단부측에 설치되는 제 2개폐유닛(6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개폐유닛(62)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신관(6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고정프레임(63a)과 상기 제 2고정프레임(63a)에 힌지부(63c)에 의해 상하방향 즉, 상기 수신관(41)의 단부를 밀폐 또는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커버(63b)와, 상기 힌지부(63c)와 대응되는 제2고정프레임(63a)에 설치되어 회동커버(63b)를 의해 회동커버를 결합하는 결합부(64)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고정프레임(63a)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64a)과, 상기 지지브라켓(64a)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커버(63b)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제 2고정프레임(63a)과 회동커버(63b)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지지고정부재(64b)와, 상기 지지고정부재(64b)의 타측에 설치되어 지지브라켓(64a)과 나사결합 된 지지고정부재(64b)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64c)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고정부재(64b)는 단부에 테이퍼부(64c)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회동커버(63b)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결합되는 테이퍼진 결합홈(64d)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제 2고정프레임(63a)에 대해 회동커버(63b)의 결합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관(61)의 외주면에는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도착을 확인할 수 있는 주면에는 상기 캐리어도착확인유닛(65)과, 기송관(20) 내의 공기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랜딩속도제어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도착확인유닛(65)은 발사검출유닛과 같이 수신관(6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근접센서 또는 수발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딩속도제어부(50)는 상기 수신관(61)에 설치되는 배기관(51)을 구비하고, 이 배기관(51)에는 배출되는 에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52)가 설치되고, 이 배기관(51)의 단부측에는 공기의 배출에 따른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기(5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밸브는 유량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관(61)의 하부측에는 상기 수신관(61)의 하단부측에는 설치되는 제 2개폐유닛(62)로부터 도착되는 샘플운반캐리어(100)를 받기 위한 캐리어유도받이(66)를 구비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발사트랩유닛(40)으로부터 발상되는 샘플운반캐리어(100)를 도착영역을 다변화 시키기 위하여 기송관(20)을 분기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기된 기송관의 단부에는 수신트랩유닛(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송관(20)의 분기부위에는 샘플운반캐리어(100)가 선택된 분기관을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변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내부공간에 운반을 위한 샘플 또는 운반물을 장착한다. 상기 샘플운반캐리어(100)에 운반을 위한 샘플의 장착은 샘플운반캐리어로부터 캡을 분리하고, 내부공간에 샘플을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샘플이 장착된 샘플운반캐리어(100)를 발사트랩유닛(40)의 제 1개폐유닛(42)을 분리한 후 발사관(41)의 내부에 삽입한다. 즉, 상기 제 1개폐유닛(42)의 토글클램프(43)를 분리한 후 개폐도어(42b)를 열고, 샘플운반캐리어(100)을을 삽입한 후, 개폐도어(42b)를 닫고, 토글클램프(43)를 이용하여 개폐도어(42b)를 개폐프레임(42a)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킥커부(30)을 통하여 샘플운반캐리어(100)의 이송을 위한 압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하면, 샘플운반캐리어(100)는 킥커부(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기송관(20)으로 발사되어 이송된다. 발사관(41)으로부터 샘플윤반캐리어(100)가 발사되면, 발사검출유닛(45)에 의해 상기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발사가검출되고, 이 검출결과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에 송신되고, 이 제어부에 의해 인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사관(41)으로부터 발사된 샘플운반캐리어(100)는 기송관(20)을 따라 이송되어 수시트랩유닛(60)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기송관(20)을 통하여 이송되는 샘플운반캐리어(100)가 수신트랩유닛(60)에 근접되면, 상기 랜딩속도제어부(5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또는 가스의 양을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100)의 속도를 늦추게 된다. 이때에 상기 랜딩속저제어부(50)의 배기관(51) 측에는 소음기(52)가 설치되어 공기 또는 가스의 배출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샘플운반캐리어(100)의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수신관(61)에 도착하면, 캐리어도착확인유닛(65)인 수신관(61)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또는 수발광센서에 의해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도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샘플운반캐리어(100)의 도착이 확인되면, 상기 제 2개폐유닛(62)의 핸들(64c)을 회전시켜 지지고정부재(64b)가 후퇴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커버(63b)를 수신관(61)의 하단부로부터 회전시켜 수신관(61)의 단부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수신관(61)에 도착한 샘플운반캐리어(100)는 수신관(61)로부터 이탈되어 캐리어유도받이(66)로 배출됨으로써 샘플운반캐리어(100)의 이송을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는 샘플운반캐리어에 샘플을 장착한 상태에서 공압과 이송관을 이용하여 이소시킬 수 있으므로 샘플의 이송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샘플운반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과, 상기 기송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를 가진 발사트랩유닛과 .
    상기 기송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공기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트랩유닛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트랩유닛은 상기 기송관과 연결되는 발사관과, 상기 발사관의 단부측에 상기 발사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과, 발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킥커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샘플운반캐리어의 발사상태를 검출하는 발사검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은 상기 발사관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가장자리와 개폐프레임의 외주면을 감싸는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프레임을 감싸는 제 1,2부재와, 상기 제 1,2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부재의 단부를 개폐하는 토글클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트랩유닛은 기송관과 연결되는 수신관과, 상기 수신관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제 2개폐유닛과,
    상기 수신관의 수신과에 설치되어 샘플운반캐리어의 도착여부를 확인하는 도착검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2개폐유닛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신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힌지부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에 대해 회동커버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버에는 공기 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6. 샘플운반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송관과, 상기 기송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운반캐리어를 발사하기 위한 공압을 공급하는 킥커부를 가진 발사트랩유닛과 .
    상기 기송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제1공기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수신트랩유닛과
    상기 기송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기송관과, 상기 분기기송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트랩부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분기기송관을 따라 이송된 샘플운반캐리어를 수신하며, 분기기송관 내의 공기를 배출속도를 제어하여 샘플운반캐리어의 랜딩속도를 제어하는 제 2공기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수신트랩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 시스템.










KR1020170177032A 2017-12-21 2017-12-21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KR10200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032A KR102001974B1 (ko) 2017-12-21 2017-12-21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032A KR102001974B1 (ko) 2017-12-21 2017-12-21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37A true KR20190075437A (ko) 2019-07-01
KR102001974B1 KR102001974B1 (ko) 2019-07-19

Family

ID=6725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032A KR102001974B1 (ko) 2017-12-21 2017-12-21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70A1 (ko) * 2019-07-19 2021-01-28 (주)파즈코리아 혈액 샘플 이송 장치
CN116620793A (zh) * 2023-06-02 2023-08-22 肇庆高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磁芯装管机及其工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166A (ko) 1991-09-16 1993-04-22 정용문 국설 교환기의 도수등산 과금 처리 방법
KR20050024499A (ko) 2005-02-07 2005-03-10 (주) 피유시스 샘플 트랜스퍼 피깅 시스템
KR20110083808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피그 발사를 위한 자흡공법 및 피그 발사장치
KR20120066235A (ko) * 2010-12-14 2012-06-22 박길석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KR20150068576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포스코 캐리어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166A (ko) 1991-09-16 1993-04-22 정용문 국설 교환기의 도수등산 과금 처리 방법
KR20050024499A (ko) 2005-02-07 2005-03-10 (주) 피유시스 샘플 트랜스퍼 피깅 시스템
KR20110083808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피그 발사를 위한 자흡공법 및 피그 발사장치
KR20120066235A (ko) * 2010-12-14 2012-06-22 박길석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KR20150068576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포스코 캐리어 이송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70A1 (ko) * 2019-07-19 2021-01-28 (주)파즈코리아 혈액 샘플 이송 장치
CN116620793A (zh) * 2023-06-02 2023-08-22 肇庆高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磁芯装管机及其工作方法
CN116620793B (zh) * 2023-06-02 2023-12-29 肇庆高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磁芯装管机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74B1 (ko)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6395C (en) Pneumatic transport system
KR102001974B1 (ko) 공압을 이용한 샘플운반캐리어 이송장치
JP5386319B2 (ja) 漏洩検知システム
US11422070B2 (en) Sampling probe, automatic sampling device, and container detection system
JP2017193444A5 (ko)
KR101605233B1 (ko) 캐리어 이송시스템
CN113291815A (zh) 输送对象分配装置、气动发送系统及带样本容器发送方法
JPH09287700A (ja) 受入パイプラインのピグ・システム
CN113371464A (zh) 管道传输设备和传输方法
JPS6216893B2 (ko)
CN107054976B (zh) 一种烟支输送线
CN217492015U (zh) 一种可回收管内物料的回收装置
KR101942561B1 (ko) 기송자 이송 시스템
JP2639773B2 (ja) 気送搬送試料停止装置のゴミ除去装置
CN215946013U (zh) 样品管输送系统
CN114023466B (zh) 一种样品自动转运装置
KR200193054Y1 (ko) 용선 시료 이송 장치
JPH03147623A (ja) 空気搬送装置
US20050220545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flowable material
JPS5940341Y2 (ja) 往復共通管方式気送系統の中間送受装置
JP2010112440A (ja) ロータリバルブ装置
CN113548448A (zh) 样品管输送系统和输送方法
KR101695755B1 (ko)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CN116626319A (zh) 物品收发终端、物品输送系统及物品输送方法
CN102833993A (zh) 一种工件传送方法及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