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755B1 -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 Google Patents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755B1
KR101695755B1 KR1020140182195A KR20140182195A KR101695755B1 KR 101695755 B1 KR101695755 B1 KR 101695755B1 KR 1020140182195 A KR1020140182195 A KR 1020140182195A KR 20140182195 A KR20140182195 A KR 20140182195A KR 101695755 B1 KR101695755 B1 KR 10169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ipe
blower
electromagnet
fe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643A (ko
Inventor
류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7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1/1409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adapted for sampling molten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5Metals in liquid state, e.g. molten m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는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는 투입기 및 토출기와, 투입기와 토출기를 연결하는 기송배관과, 기송배관에 기체를 토출하거나 기송배관의 기체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기송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송자가 토출기에 도착할 때 기송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고, 충격완화장치는 토출기 전방의 기송배관에서 분기되어 다시 기송배관으로 합류하는 바이패스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PNEUMATIC CARRIER RETURNING APPARATUS AND PNEUMATIC CARRIER RETURNING METHOD}
본 발명은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는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또는 원료 등을 용광로에서 용해하여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에서는 용선 또는 슬래그(slag) 등의 시료 샘플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 샘플을 채취한 후, 기송자(Pneumatic carrier)에 담아 공기압력을 이용하는 기송설비(또는 기송자 회송장치)를 통하여 시료 샘플을 분석실로 보낸다.
일반적으로 기송자 회송장치는 고로가 설치되는 공간인 작업실과 고로에 의해 생산되는 시료 샘플 등의 성분, 조성비 등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장치를 갖춘 분석실 사이를 연결하며, 공기와 함께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제공되는 설비이다. 이를 위해, 작업실과 분석실 사이에는 공기와 함께 이송물이 이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기송배관이 제공된다.
작업실에 위치하는 기송배관의 일측에는 시료 샘플이 저장된 캐리어 등을 투입하기 위한 터미널이 제공된다. 터미널에 캐리어를 투입한 후 기송배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의 압력 등에 의해 캐리어가 기송배관을 따라 이동하여 분석실 등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분석실에 위치하는 기송배관(12)의 타측에는 이송된 캐리어를 취출하기 위한 배출기가 제공된다.
한편, 터미널 또는 배출기에는 기송배관으로 공기를 송풍하거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송풍 펌프 또는 흡입 펌프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송자 회송장치는 분석실에서 시료 샘플이 적출된 빈 캐리어를 다시 작업실로 전송한다. 이 때, 기송자 회송장치는 공기의 송풍 또는 흡입 방향을 반대반향으로 순환시키며, 이에 따라 기송자 회송장치의 터미널과 배출기는 각각 그 기능이 반대로 작용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1879호는 기송설비의 배관막힘위치 측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1879호(2013. 05. 3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송자가 토출기에 도착할 때 기송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입기 및 토출기와, 상기 투입기와 상기 토출기를 연결하는 기송배관과, 상기 기송배관에 기체를 토출하거나 상기 기송배관의 기체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상기 기송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송자가 상기 토출기에 도착할 때 상기 기송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토출기 전방의 상기 기송배관에서 분기되어 다시 기송배관으로 합류하는 바이패스배관을 포함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배관은 상기 토출기 전방의 상기 기송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토출기 후방의 상기 기송배관으로 합류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토출기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기송배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기 후방과 상기 블로어 사이에 설치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기송배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기 후방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상기 기송배관에 합류하는 지점과 상기 블로어 사이에 설치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기송자에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기송자의 하강 속력을 낮출 수 있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토출기 전방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상기 기송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과 상기 토출기 사이에 설치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기송자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토출기 전방의 상기 기송배관에 설치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분기되는 지점 후방에 설치되는 기송자 회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로어를 동작하여 기송자를 투입기에서 토출기로 이동시키고, 상기 토출기 측 기송배관에 설치되는 검출센서가 기송자를 검출하고, 상기 토출기 측 밸브를 닫고, 상기 토출기 측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흐르는 공기가 상기 토출기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송자의 전방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기송자의 속력을 감소시키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가 기송자를 검출한 후에 블로어를 정지하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기송자가 상기 기송배관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을 지난 후에 상기 기송자를 검출하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기송자가 상기 기송배관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을 지난 후에 닫히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기 측 전자석을 동작하여 상기 기송자에 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기송자의 속력을 감소시키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밸브를 닫은 후에 동작하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기송자가 상기 전자석이 장착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지난 후에 동작하는 기송자 회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은 기송자가 도착(안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완화)하여 시료(sample)의 변형을 방지하고, 토출기 및 기송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료의 분석오류를 방지하여 품질관리의 정확성이 증대한다. 또한, 기송자 및 토출기의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송자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기송자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기송자 회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검출센서가 기송자를 검출하는 모습을, 도 5는 압력이 기송자 하부에 작용하는 모습을, 도 6은 전자석이 기송자에 인력을 작용하는 모습을, 도 7은 기송자가 안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기송자의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는 투입기(100-1) 및 토출기(110-2)와, 상기 투입기(100-1)와 상기 토출기(110-2)를 연결하는 기송배관(130)과, 상기 기송배관(130)에 기체를 토출하거나 상기 기송배관(130)의 기체를 흡입하는 블로어(140)를 포함한다.
투입기(100-1)는 기송자(120)를 투입하는 장치를, 토출기(110-2)는 투입기(100-1)에 투입되어 기송배관(130)을 따라 이송된 기송자(120)를 인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투입기(100-1)는 작업실(10) 또는 현장에 설치될 수 있고, 토출기(110-2)는 분석실(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작업실(10) 또는 현장의 시료를 기송자(120)에 저장하여 분석장치를 갖춘 분석실(20)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분석실(20)에서 작업실(10) 또는 현장으로 기송자(120)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분석실(20)에 설치되어 기송자(120)가 투입되는 장치를 투입기(100-1)라 부르고, 작업실(10) 또는 현장에 설치되어 기송자(120)가 토출되는 장치를 토출기(110-2)라 부를 수 있다. 이처럼 투입기(100-1) 및 토출기(110-2)는 어느 하나의 장치를 고정하여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장치라도 기송자(120)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투입기(100-1)라 부르고, 기송자(120)가 토출되는 경우에는 토출기(110-2)라 부를 수 있다.
투입기(100-1)와 토출기(110-2)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기송자(120)를 투입하거나 인출하고,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기송자(120)를 이송한다. 또한, 투입기(100-1)와 토출기(110-2)는 바닥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1)는 기송자(120)가 기송배관(130)의 직선부(131)에서 낙하하는 경우에 기송자(120)가 투입기(100-1) 또는 토출기(110-2)의 바닥과 충격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송배관(130)은 투입기(100-1)와 토출기(110-2)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투입기(100-1)와 연결되는 제1직선부(131), 제1직선부(131)와 연결되고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1곡선부(132), 제1곡선부(132)와 연결되고 직선으로 마련되는 연결부(133), 연결부(133)와 연결되고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부러지는 제2곡선부(132), 및 제2곡선부(132)와 토출기(110-2)를 연결하는 제2직선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송배관(130)은 곡선부(132)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송배관(130)의 내경과 기송자(120)의 외경 사이에는 틈이 생길 수 있다. 다만, 기송배관(130)의 내경과 기송자(120)의 외경 차이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블로어(140)에 의한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기송배관(130)은 투입기(100-1) 또는 토출기(110-2)의 하부로 연장되어 대기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기송배관(130)의 양 측 단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로어(140)는 투입기(100-1) 측의 기송배관(130)에 설치되거나 토출기(110-2) 측의 기송배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기송배관(130)의 양 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출기(110-2) 측에 블로어(140)가 설치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블로어(140)는 임펠러(141)를 회전시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어(140)는 송풍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투입기(100-1)에서 토출기(110-2)로 기송자(120)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블로어(140)가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한다. 일 예로, 임펠러(141)의 회전에 의해 토출기(110-2) 측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토출기(110-2) 측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투입기(100-1) 측 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투입기(100-1)에서 토출기(110-2)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기송자(120)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투입기(100-1)에서 토출기(110-2)로 이동될 수 있다.
만일, 토출기(110-2)에서 투입기(100-1)로 기송자(120)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블로어(140)가 공기를 불어내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임펠러(141)의 회전에 의해 토출기(110-2)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토출기(110-2) 측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고, 투입기(100-1) 측 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토출기(110-2)에서 투입기(100-1)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기송자(120)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토출기(110-2)에서 투입기(100-1)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기송자(1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기송자(12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기송자(120)는 내측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121)와 케이스(121)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부(122)를 포함한다. 탄성부(122)는 고무 등으로 마련되어 기송자(120)가 투입기(100-1) 또는 토출기(110-2)와 충돌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기송자(120)는 시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일 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단에 마개 형태의 결합부(123)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12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케이스(1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골과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충격완화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는 기송배관(130)을 따라 이동하는 기송자(120)가 토출기(110-2)에 도착할 때 기송자(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격완화장치(200)는 투입기(100-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기(110-2)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투입기(100-1)에 적용되는 충격완화장치(200)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기송자 회송장치(100)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기(100-1)에 기송자(120)를 투입한 상태에서 블로어(140)의 임펠러(141)를 동작한다. 임펠러(141)는 기송배관(130) 내부의 공기를 토출기(110-2) 측 기송배관(13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토출기(110-2) 측 기송배관(130)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투입기(100-1) 측 기송배관(130)의 개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투입기(100-1)에서 토출기(110-2)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기송자(120)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1직선부(131), 제1곡선부(132), 연결부(133), 제2곡선부(132), 및 제2직선부(131)를 차례로 지나가게 된다. 기송자(120)가 제2곡선부(132)를 지나는 때에 블로어(140)는 정지될 수 있다. 블로어(140)가 정지되어도 기송자(120)의 관성 및 기송자(120)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기송자(120)가 토출기(110-2)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이 때 낙하하는 기송자(120)의 속력(약 16 내지 20 m/sec)가 상당하기 때문에 기송자(120)가 토출기(110-2)의 바닥과 충돌하면서 충격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시료가 변형되거나, 투입기(100-1) 또는 토출기(110-2)가 파손되거나, 기송자(120)의 단부에 부착되는 탄성부(122)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투입기(100-1)와 토출기(110-2)는 하부에 탄성부재(111)를 포함하여 기송자(120)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탄성부재(111)는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부재(111)를 이용하여 기송자(120)의 충격을 완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111)에 의해 기송자(120)가 튀면서 2차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위와 같이 기송자(120)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시료의 분석결과에 오류가 발생하고 기송자 회송장치(100)의 수리 비용이 계속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는 기송자(12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완화장치(200)를 포함한다.
충격완화장치(200)는 토출기(110-2) 전방의 기송배관(130)에서 분기되어(221 참고) 다시 기송배관(130)으로 합류하는(222 참고) 바이패스배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바이패스배관(220)은 토출기(110-2) 후방의 기송배관(130)으로 합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배관(220)은 기송자(120)가 이동하는 관이 아니라 유체(일 예로, 공기)가 흐르는 관이다. 한편, 위에서 토출기(110-2) 전방은 투입기(110-1)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며, 상방으로 표현하는 것과 동일하고, 토출기(110-2) 후방은 투입기(110-1)와 먼 방향을 의미하며, 하방으로 표현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충격완화장치(200)는 바이패스배관(220)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230)는 토출기(110-2)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밸브(230)는 일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만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은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체크밸브(2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충격완화장치(200)는 기송배관(130)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240)는 토출기(110-2) 하방과 블로어(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240)는 토출기(110-2) 하방에서 바이패스배관(220)이 기송배관(130)에 합류하는 지점(222)과 블로어(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충격완화장치(200)는 기송자(120)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센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센서(210)는 토출기(110-2) 상방의 기송배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센서(210)는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 하방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검출센서(210)가 장착되는 위치는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 또는 그 상방일 수도 있다. 검출센서(210)에서 제어부(150)로 신호가 전송되고, 제어부(150) 내에서 연산과정 등이 일어나고, 제어부(150)에서 블로어(140) 또는 밸브(240)에 동작신호를 송출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검출센서(210)의 위치 보다는 검출센서(210)가 기송자(120)를 검출한 후에 블로어(140) 또는 밸브(240)가 동작하는 시점이 기송자(120)가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 또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때일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충격완화장치(200)는 기송자(120)에 자력을 제공하여 기송자(120)의 하강 속력을 낮출 수 있는 전자석(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250)은 토출기(110-2) 상방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220)이 상기 기송배관(130)에서 분기되는 지점(221)과 토출기(11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전자석(250)이 장착되는 위치는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 또는 그 상방일 수도 있다. 전자석(250)의 위치 보다는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의 위치에 있거나 전자석(250)을 지나간 후에 동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을 지나간 후에 전자석이 동작하는 경우 기송자(120)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여 기송자의 진행에 저항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을 지나가기 전에 전자석(250)이 동작하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석(250)이 미리 동작하는 경우에도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의 위치에 올 때를 대비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기송자(120)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기송자 회송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는 검출센서(210)로부터 기송자(120)를 검출했다는 입력신호를 받고, 블로어(140), 밸브(240), 및 전자석(250) 중 하나 이상에 출력신호를 보내어 기송자(120)의 하강 속력을 줄일 수 있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장치(200)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검출센서(210)가 기송자(120)를 검출하는 모습을, 도 5는 압력이 기송자(120) 하부에 작용하는 모습을, 도 6은 전자석(250)이 기송자(120)에 인력을 작용하는 모습을, 도 7은 기송자(120)가 안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송자(120)는 기송배관(130) 내의 공기 흐름과 함께 기송배관(130)의 토출기(110-2) 측 직선부(131-2)를 통해 하강한다. 기송자(120)의 이동원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블로어(140)가 기송배관(13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기송자(120) 전방의 압력이 후방의 압력보다 낮아 지게 되고, 두 압력의 차이만큼 기송자(120)에 전진력이 작용하게 된다. 다만 위의 원리는 기송자(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위와 다른 원리에 의해 기송자(12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검출센서(210)는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보다 아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송자(120)가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을 지난 후에 검출하여 제어부(150)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출센서(2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후 블로어(140)를 정지하고, 기송배관(130)의 토출기(110-2) 측에 마련되는 밸브(240)를 닫는다.
블로어(140)를 정지하여도 기송자(120)가 빠른 속력으로 토출기(110-2)와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기송자(120)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로 인하여 빠른 속력(약 16 내지 20 m/sec)으로 낙하하면서 바이패스배관(220)이 분기되는 지점(221)을 지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바이패스배관(220)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기송자(120)의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로어(140) 상방에 위치하는 밸브(240)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바이패스배관(220)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기(110-2)를 향해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는 공기는 토출기(110-2)를 지나 기송자(120)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기송자(120)에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기송자(120)의 하강 속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송자(120)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바이패스배관(220)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에서 기송자(120)의 전방(도면에서 하방) 측 압력이 후방(도면에서 상방) 측 압력보다 더 낮은 것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공기는 기송관이 지나는 기송배관(130)을 통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를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배관(220)으로 분기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른다. 밸브(240)가 닫힌 상태에서도 기송자(120)의 전방 측 압력이 후방 측 압력보다 낮은 데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에, 공기는 바이패스배관(220)을 통과하여 기송자(120)의 전방을 향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기송자(120)의 전방에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기송자(120)의 진행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기송자(120)의 속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체크밸브(230)는 기송자(120) 전방의 기송배관(130)에서 바이패스배관(220)으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기송자(120) 충격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부(150)는 검출센서(210)로부터 기송자(120)를 검출하였다는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전자석(250)을 동작한다. 기송배관(130)과 바이패스배관(220)은 비금속으로 형성되는 반면, 기송자(120)는 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자석(250)의 자력은 기송자(120)를 끌어당기는 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자석(250)은 기송자(120)의 위치에 따라 기송자(120)의 속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석(250)이 기송자(120)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석(250)은 기송자(120)의 진행방향으로 인력을 작용하여 진행자의 속력을 증가시킨다. 반면에, 전자석(250)이 기송자(120)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석(250)은 기송자(120)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인력을 작용하여 기송자(120)의 속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송자 회송장치(100)는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을 지나는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전자석(250)이 동작한다.
도 6은 전자석(250)의 인력과 바이패스배관(220)을 통과한 기류의 저항이 모두 작용함으로써 기송자(120)의 속력이 감소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전자석(250)만을 이용하거나, 바이패스배관(220)만을 이용하여 기송자(120)의 속력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고하면, 충격완화장치(200)에 의해 속력이 감소된 기송자(120)는 토출기(110-2)에 안착된다. 이 때, 토출기(110-2)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11)에 의해 한 번 더 충격량이 저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기송자 회송장치(100)의 기송자(120) 충격완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는 기송자(120)의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송자(120) 충격완화방법은 검출센서(210)가 기송자(120)를 검출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310). 검출센서(210)는 기송자(120)가 바이패스배관(220)의 분기지점(221)을 지나는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기송자(120)를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입력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블로어(140)를 정지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출한다(320). 블로어(140)를 정지하여 기송자(120)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지만, 기송자(120)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로 인하여 여전히 기송자(120)가 기송배관(130)을 낙하하는 속력은 빠르다.
제어부(150)는 밸브(240)를 닫도록 동작신호를 송출한다(320). 밸브(240)가 닫히면 바이패스배관(220)을 지난 공기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토출기(110-2) 측으로 상승하여 기송자(120)의 전방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즉, 바이패스배관(220)을 통과한 공기는 기송자(120)의 진행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기송자(120)의 속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이 때 체크밸브(230)는 기송배관(130)에서 바이패스배관(220)으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블로어(140)가 정지되기 전에 밸브(240)가 닫히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블로어(140)의 정지와 밸브(240)의 닫힘동작이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기송자(120)의 속력을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150)는 전자석(250)을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블로어(140)와 밸브(240)의 동작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전자석(250)이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340). 이 때, 기송자(120)가 전자석(250)의 위치에 있거나 전자석(250)을 지나간 후에 전자석(250)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250)은 금속을 포함하는 기송자(120)에 인력을 미치기 때문에 기송자(120)가 전자석(250)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때에 기송자(120)를 잡아 당김으로써 속력을 줄일 수 있다.
기송자(120)의 속력이 목표한 만큼 줄어드는 경우 전자석(250)을 정지할 수 있다(350). 다만, 전자석(250)의 정지는 기송자(120)가 안착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기송자(120) 충격완화시스템이 동작하여 기송자(120)의 속력이 충분히 줄어든 상태에서 기송자(120)는 토출기(110-2)에 안착하게 된다. 기송자(120)의 속력이 줄어든 만큼 기송자(120) 또는 토출기(110-2)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작업실, 20: 분석실,
100: 기송자 회송장치, 110-1: 투입기,
110-2: 토출기, 111: 탄성부재,
120: 기송자, 121: 케이스,
122: 탄성부, 123: 결합부,
130: 기송배관, 131: 직선부,
132: 곡선부, 133: 연결부,
140: 블로어, 141: 임펠러,
150: 제어부, 200: 충격완화장치,
210: 검출센서, 220: 바이패스배관,
230: 체크밸브, 240: 밸브,
250: 전자석.

Claims (16)

  1. 투입기 및 토출기와, 상기 투입기와 상기 토출기를 연결하는 기송배관과, 상기 기송배관에 기체를 토출하거나 상기 기송배관의 기체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상기 기송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송자가 상기 토출기에 도착할 때 상기 기송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와, 상기 충격완화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토출기 전방의 상기 기송배관에서 분기되어 다시 상기 토출기 후방의 상기 기송배관으로 합류하는 바이패스배관과,
    상기 바이패스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기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토출기 후방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상기 기송배관에 합류하는 지점과 상기 블로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송배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와,
    상기 토출기 전방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상기 기송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과 상기 토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송자에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기송자의 하강 속력을 낮추는 전자석, 및
    상기 기송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배관이 분기되는 지점과 상기 토출기 사이에서 상기 기송자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에서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블로어 또는 상기 밸브 또는 상기 전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력신호를 보내어 상기 기송자의 하강 속력을 조절하는 기송자 회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블로어를 동작하여 기송자를 투입기에서 토출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토출기 측 기송배관에 설치되는 검출센서가 기송자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가 상기 블로어 또는 상기 토출기 측 밸브 또는 상기 토출기 측에 마련된 전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토출기 측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흐르는 공기가 상기 토출기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송자의 전방에 압력을 가하거나, 상기 전자석이 상기 기송자에 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기송자의 속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송자 회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가 기송자를 검출한 후에 블로어를 정지하는 기송자 회송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기송자가 상기 기송배관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을 지난 후에 상기 기송자를 검출하는 기송자 회송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기송자가 상기 기송배관에서 상기 바이패스배관으로 분기되는 지점을 지난 후에 닫히는 기송자 회송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밸브를 닫은 후에 동작하는 기송자 회송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기송자가 상기 전자석이 장착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지난 후에 동작하는 기송자 회송방법.
KR1020140182195A 2014-12-17 2014-12-17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KR10169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95A KR101695755B1 (ko) 2014-12-17 2014-12-17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95A KR101695755B1 (ko) 2014-12-17 2014-12-17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43A KR20160073643A (ko) 2016-06-27
KR101695755B1 true KR101695755B1 (ko) 2017-01-23

Family

ID=5634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95A KR101695755B1 (ko) 2014-12-17 2014-12-17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952B2 (ja) * 1989-12-20 1998-06-04 株式会社日本シューター 空気搬送装置
JP2012153491A (ja) * 2011-01-26 2012-08-16 Jfe Steel Corp 気送配管湾曲部の内壁面摩耗防止方法および内壁面摩耗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713A (ja) * 1982-03-06 1983-09-10 Nippon Air Shiyuutaa Kk サンプルの空気搬送システム
JPH1179393A (ja) * 1997-09-11 1999-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気送設備
KR101271879B1 (ko) 2011-08-1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기송설비의 배관막힘위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952B2 (ja) * 1989-12-20 1998-06-04 株式会社日本シューター 空気搬送装置
JP2012153491A (ja) * 2011-01-26 2012-08-16 Jfe Steel Corp 気送配管湾曲部の内壁面摩耗防止方法および内壁面摩耗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43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5858B1 (en) Pig trap fluid injector assembly and method
CN102548877B (zh) 气力输送系统
WO2012038502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gged refuse
RU201610676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и обращения с отходами
CN203545064U (zh) 料件回吹分离装置
KR100884453B1 (ko) 쓰레기 처리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부상 장치
US10870145B2 (en) Device for attaching a joining element to a component section, and tool
KR101695755B1 (ko) 기송자 회송장치 및 기송자 회송방법
US20120067701A1 (en) Apparatus
US4948302A (en) Discharge apparatus for broken-off fastener parts
KR101605233B1 (ko) 캐리어 이송시스템
CN105492344A (zh) 对在物料输送通道中待输送的物料起作用的设备
CN101195444A (zh) 一种气动物流传送的接收方法及装置
CN104097951A (zh) 一种自动脉冲进气的气力输送用补气阀
CN106391975B (zh) 一种铆压机铆钉自动送料机构
JP2015127252A (ja) ワーク整列方法及びワーク整列システム
CN209582823U (zh) 钢珠分选输送装置
CN101759019B (zh) 一种气动管道传输的减缓速度的方法及装置
CN115709895B (zh) 一种轴套供料装置及其方法
TWM474732U (zh) 送料軌道之料件分離裝置
GB2215253A (en) Discharging mandrel stems
CN217947007U (zh) 一种防尘缓存送料仓
CN104401728A (zh) 一种管道式气动输料机构
JP4015220B2 (ja) 気送設備における受信方法
CN214003341U (zh) 自动送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