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117A -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117A
KR20190073117A KR1020170174452A KR20170174452A KR20190073117A KR 20190073117 A KR20190073117 A KR 20190073117A KR 1020170174452 A KR1020170174452 A KR 1020170174452A KR 20170174452 A KR20170174452 A KR 20170174452A KR 20190073117 A KR20190073117 A KR 2019007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ne
independently
based polymer
structural formula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332B1 (ko
KR102377332B9 (ko
Inventor
김백진
한세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3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32B1/ko
Publication of KR10237733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3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7Non-metals or inter-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유래 가능한 발리로 락톤계 화합물을 활용하여 내후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락톤계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톤계 중합체는 분체도료화에 적용하여 액체도료에 비해 작업성, 내칩성(chipping)이 좋고, 가격 및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전제품, 배관, 자동차 코팅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LACTONE-BASED POLYMER THROUGH RING OPENING REAC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매스에서 유래 가능한 발리로 락톤(valerolactone)계 화합물을 활용하여 내후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계 분체용 고분자 소재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및 가정에서 심미적 효과와 제품의 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도료는 액상으로 각종 용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적으로 상기 용제 및 희석제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유독성을 가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규제가 법규화되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분체도료는 일반도료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 반응성 단량체 및 물 등의 용매를 함유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안료, 경화제 등을 배합하여 균일하게 용융 및 혼합시킨 분사체를 냉각한 다음 일정한 범위의 입도로 분쇄시켜 규정된 범위의 입도만으로 구성된 분말상의 도료를 의미한다.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도료인 분체도료는 건축, 가전 및 자동차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해외시장을 중심으로 바이오 수지를 사용한 분체도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는 기술 개발이 초기단계이며 사용되는 바이오 수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DSM과 Roquette사는 공동연구체제를 구축하고 전분으로부터 출발하여 소비톨을 거쳐 아이소소바이드로 가는 공정과 글루코스를 거쳐 숙신산과 부탄다이올로 가는 제조 공정을 확보하여 Polybutylene succinate(PBS)와 Polyisosorbide succinate(PIS) 생산기술을 확보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Biovision, Lyon, 8 March 2009, DSM) 특히, PIS는 분체도료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원료 개발 및 응용 연구가 선진국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국내도 시급히 기술 개발 및 조기 사업화를 통해 기술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개발이 미흡한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바이오매스에서 유래 가능한 발리로 락톤(valerolactone)계 화합물을 활용하여 내후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계 분체용 고분자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가 제공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구조식 1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또는
Figure pat00005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또는
Figure pat00008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다.
또한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5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계 중합체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락톤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이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또는
Figure pat00015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락톤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구조식 2로 표시되는 락톤과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디올을 반응시켜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Figure pat00016
반응식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또는
Figure pat00020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또는
Figure pat00023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다.
또한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촉매가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촉매가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dialkylaminopyridine (DMA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HOTf), methyl triflate (MeOTf), diphenylammonium triflate (DPAT),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 가능한 발리로 락톤계 화합물을 활용하여 내후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락톤계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톤계 중합체는 분체도료화에 적용하여 액체도료에 비해 작업성, 내칩성(chipping)이 좋고, 가격 및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전제품, 배관, 자동차 코팅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반응 (a) 전 후 NMR 데이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반응 (a) 후 수 평균 분자량 (Mn)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반응 (a) 후 Tm 을 포함한 열적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또는 "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24
구조식 1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또는
Figure pat00028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 또는
Figure pat00031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500,000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200,000일 수 있다.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할 수 있다.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락톤계 중합체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락톤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락톤이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또는
Figure pat00038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igure pat00039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톤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를 제공한다.
이하, 하기 반응식을 통해 본 발명의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조식 2로 표시되는 락톤과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디올을 반응시켜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단계 a).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를 제조한다(단계 b).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dialkylaminopyridine (DMA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HOTf), methyl triflate (MeOTf), diphenylammonium triflate (DPAT),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반응식]
Figure pat00040
반응식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 또는
Figure pat00044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45
,
Figure pat00046
, 또는
Figure pat00047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다.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할 수 있다.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Figure pat00048
X R1 R2 Y Z R3
실시예1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실시예2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실시예3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실시예4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실시예5 none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실시예 1: 발리로 락톤을 이용한 락톤계 중합체 제조
상기 반응식과 표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발리로 락톤을 이용한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2구 50ml 둥근 플라스크에 델타-발리로락톤(δ-Valerolactone)(2)과 TBD 촉매(cat 1)를 넣고, 질소(N2) 풍선을 연결하였다. 교반하면서 천천히 1,3-프로판디올(1,3-Propandiol)(3)을 넣어주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락톤계 화합물 (4)을 제조하였다(반응 (a)).
락톤계 화합물(4)에 succinic acid(5)와 TBD 촉매(cat 2)를 첨가하여 락톤계 중합체(1)을 제조하였다(반응 (b)).
하기 표 2는 반응 (a)의 조건 및 평균 분자량을 나타냈으며, 도 2는 반응 (a) 후 수 평균 분자량(Mn)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δ-VL
(mmol)
Diol
(mmol)
TBD
(mol%)
Mn
(No.)
Mw
(No.)
PDI
락톤계 화합물
(PDO)
25 0.2 0.75 14,265 30,244 2.12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표 1과 같은 합성원료와 조건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5의 락톤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NMR 데이터 분석
도 1은 실시예 1의 반응 (a) 전 후 NMR 데이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락톤계 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열적 거동 분석
도 3은 실시예 1의 반응 (a) 후 녹는점(Tm)을 포함한 열적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락톤계 화합물이 결정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
    [구조식 1]
    Figure pat00078

    구조식 1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79
    ,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 또는
    Figure pat00082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83
    ,
    Figure pat00084
    , 또는
    Figure pat00085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계 중합체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락톤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이
    Figure pat00086
    ,
    Figure pat00087
    ,
    Figure pat00088
    ,
    Figure pat00089
    ,
    Figure pat00090
    ,
    Figure pat00091
    또는
    Figure pat0009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
  8. 제1항의 락톤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9. (a) 구조식 2로 표시되는 락톤과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디올을 반응시켜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락톤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Figure pat00093

    반응식에서,
    Y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94
    ,
    Figure pat00095
    ,
    Figure pat00096
    , 또는
    Figure pat00097
    이고,
    q는 1 내지 6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렌기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9의 알킬기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3의 알킬기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98
    ,
    Figure pat00099
    , 또는
    Figure pat00100
    이고,
    n1, n2, m1, 및 m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단위의 반복수이고,
    상기 락톤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00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n1의 반복단위와 n2의 반복단위는 서로 교대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n2의 반복단위는 디올로 결합된 이중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촉매가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촉매가 1,5,7-Triazabicyclo[4.4.0]dec-5-ene(TBD), 1,8-diazabicycloundec7-ene(DBU), 2-tert-butylimino-2-diethylamino-1,3-dimethyl perhydro-1,3,2-diazaphosphorine (BEMP), dialkylaminopyridine (DMAP), N'-tert-butylN,N,N′',N',N'',N''-hexamethylphosphorimidic triamide (P1-tBu),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HOTf), methyl triflate (MeOTf), diphenylammonium triflate (DPAT) 및 N-methyl TBD (MTB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톤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70174452A 2017-12-18 2017-12-18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52A KR102377332B1 (ko) 2017-12-18 2017-12-18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52A KR102377332B1 (ko) 2017-12-18 2017-12-18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117A true KR20190073117A (ko) 2019-06-26
KR102377332B1 KR102377332B1 (ko) 2022-03-22
KR102377332B9 KR102377332B9 (ko) 2022-12-27

Family

ID=6710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452A KR102377332B1 (ko) 2017-12-18 2017-12-18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33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57A (ja) * 1993-06-02 1994-12-20 Kuraray Co Ltd ラクトン系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JP2002030246A (ja) * 2000-07-18 2002-01-31 Nippon Ester Co Ltd 粉体塗料用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20080054278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방족과 방향족 화합물이 혼재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합성방법
JP2008291243A (ja) * 2007-04-24 2008-12-04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ラン構造を含む熱可塑性樹脂
JP2009227717A (ja) * 2008-03-19 2009-10-08 Nec Corp ポリ乳酸系共重合体
JP2013159737A (ja) * 2012-02-07 2013-08-19 Kao Corp トナー用結着樹脂
JP2013231148A (ja) * 2012-05-01 2013-11-14 Kao Corp トナー用結着樹脂
JP2017019732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ダイセル ε−カプロラクト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57A (ja) * 1993-06-02 1994-12-20 Kuraray Co Ltd ラクトン系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JP2002030246A (ja) * 2000-07-18 2002-01-31 Nippon Ester Co Ltd 粉体塗料用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20080054278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방족과 방향족 화합물이 혼재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합성방법
JP2008291243A (ja) * 2007-04-24 2008-12-04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ラン構造を含む熱可塑性樹脂
JP2009227717A (ja) * 2008-03-19 2009-10-08 Nec Corp ポリ乳酸系共重合体
JP2013159737A (ja) * 2012-02-07 2013-08-19 Kao Corp トナー用結着樹脂
JP2013231148A (ja) * 2012-05-01 2013-11-14 Kao Corp トナー用結着樹脂
JP2017019732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ダイセル ε−カプロラクト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332B1 (ko) 2022-03-22
KR102377332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0349C (zh) 一种改性水性聚氨酯胶粘剂的制备方法
CN1130428C (zh) 脂肪族热塑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Gustini et al. Enzymatic synthesis and preliminary evaluation as coating of sorbitol-based, hydroxy-functional polyesters with controlled molecular weights
KR101716380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Gubbels et al. Bio-based semi-aromatic polyesters for coating applications
CN108341937B (zh) 一种生物基含碳酸酯结构的聚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517029A (zh) 一种软质合成革用不黄变型无溶剂聚氨酯中间层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377971A (zh) 可固化组合物以及用于制造环氧热固性材料的方法
CN103865059B (zh) 一种基于聚酯缩聚路线合成聚氨酯的制备方法
CN108003313A (zh) 一种嵌段型聚碳化二亚胺水性交联剂及其制备方法
CN105482762A (zh) 反向食品包装用复合粘合剂的制备方法
Shi et al. Synthesis of polyurea thermoplastics through a nonisocyanate route using CO2 and aliphatic diamines
WO2016041666A1 (en) A curable organic 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acylurea unit, its preparation and use
KR20190073117A (ko) 개환반응을 통한 락톤계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009152A (ja) 修飾アミノ樹脂
CN113045968B (zh) 聚合物、方法、组合物和用途
CN101945913B (zh) 敷层形成减少的热塑性聚氨酯
CN105722887A (zh) 丙交酯共聚物以及包含该丙交酯共聚物的树脂组合物和膜
KR102032410B1 (ko) 다이머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와 에폭시화 식물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CN100344666C (zh) 用于生产聚氨酯的新型扩链剂和相应的聚氨酯
KR101821447B1 (ko) 킬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 촉매
KR20140091727A (ko)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JP6621722B2 (ja) ポリヒドロキシウレタンウレア樹脂およびポリヒドロキシウレタンウレア樹脂の製造方法
CN101503592A (zh) 一种有机脲类低温固化剂及其合成方法以及使用该有机脲类低温固化剂的环氧粉末涂料组合物
JPH04227713A (ja) 粉体塗料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