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092A - 고기 훈연 숙성 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훈연 숙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092A
KR20190073092A KR1020170174404A KR20170174404A KR20190073092A KR 20190073092 A KR20190073092 A KR 20190073092A KR 1020170174404 A KR1020170174404 A KR 1020170174404A KR 20170174404 A KR20170174404 A KR 20170174404A KR 20190073092 A KR20190073092 A KR 2019007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unit
chamber
mea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신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대원 filed Critical (주)신대원
Priority to KR102017017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3092A/ko
Publication of KR2019007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23B4/052Smoke generators ; Smoking apparatus
    • A23B4/0523Smoke generators using wood-pyrolysis or wood-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기를 내재하여 훈연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훈연
챔버, 훈연 챔버 외부에 설치되고, 숯 또는 칩을 연소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소부, 연소부의 상단에 연소부에
상기 숯 또는 칩의 완전연소를 방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물저장부, 연소부와 물저장부 사이에서 분기되
어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기를 포집하는 연기 포집부, 연기포집부에서 훈연 챔버로 연기를 공급하도록 설치
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공급부, 연기 공급부의 끝단과 연결되며 훈연 챔버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 및 훈연 챔버 내에 설치되어 훈연 챔버 내부를 온도를 유지시키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는 고기 훈연 및 숙성 장
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훈연 숙성 장치{DEVICE FOR SMOKED AND AGING MEAT}
일반적으로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연소열과 연기를 통해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는
본체 하부에 설치된 연소실에서 참나무 장작이나 숯을 태우고, 그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과 연기가 본체 상부에
설치된 구이실의 고기가 올려진 선반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이실에 넣어둔 고기를 익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
이다. 이때, 훈연용 나무 중에서 참나무는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어떤 고기에도 독특한 향을 심어주고, 맛나
는 향이 스며들어 느끼하지 않고 식욕을 돋구며, 또한 화력이 좋아서 고온을 유지하여 골고루 맛이 들 때까지
익혀주고, 참나무가 연소하면서 원적외선이 나오므로 인체에 이로운 점이 있으며, 또한 다른 잡목과 달리 불꽃이 튀는 현상이 없으므로 태우면 화력이 오래가서 연료비가 절약되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훈연 방식의 훈제기는 연소실의 상부에 구이실이 마련되어 [0004] 넣어둔 고기에 연소열이 직접
작용하므로 고기의 바깥부위는 타고 안쪽 부위는 익지 않으며, 연소열에 의해 육즙이 모두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000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29178호(훈제기)는 참나무 숯과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연
소열과 참나무 톱밥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가 본체 상부의 구이실로 상승하여 구이실의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진
고기가 간접적인 연소열에 의하여 고기 내부의 기름기가 적당히 빠지도록 구울 수 있는 훈제기가 개시되어
있다.
[0006] 한국등록특허 제10-1229178호의 경우에도 연소실이 구이실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열이 구이실로 공급되며, 연소
열에 의해 고기 내부의 육즙이 빠져나가는 문제와, 연기가 구이실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
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훈연 챔버 외부에서 연기를 발생시켜 훈연 챔버 내부로 연기를 공급하여 훈
연 챔버 내부의 고기를 훈연 또는 숙성시킬 수 있는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외부에 연소부를 마련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시 연소
부의 고장, 연료 부족에 따른 잦은 도어 개폐를 방지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21]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연소부 상부에 물저장부를 마련하여 발화온도 이상
일 경우 물을 공급하여 숯이 완전연소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0022]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훈연 챔버 내부에 순환팬과 열공급부를 구비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2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연소부에서 생성된 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시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27]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0028]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0029]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30]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0032]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훈연 챔버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003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훈연 챔버(700), 연소부(100), 물저장부(900),
연기 포집부(800), 연기공급부(810), 열공급부(760), 온도 측정부(120), 제1 밸브(200), 제1 내지 제3 필터
(310, 410, 210), 순환팬(750) 및 연기배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0034] 구체적으로, 훈연 챔버(700)는 내부에 고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훈연 챔버(700)는 전면에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도어(720)가 구비되어, 훈연 작업 시 관리자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0035] 훈연 챔버(700)의 내부에는 고기를 걸 수 있도록 고기가 걸리 봉(775) 등이 거치되도록 양측 내벽에 거치부(77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720)의 전면에는 제어부(10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훈연 챔버([0036] 700) 내부의 온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5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훈연 시간을 설정하거나, 연기공급
시간을 설정하도록 타이머(600)가 구비될 수 있다.
[0037] 연소부(100)는 훈연 챔버(700)로 공급될 연기를 생성한다. 연소부(100)는 숯 또는 칩(chip)을 연소시키고,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를 훈연 챔버(700)측으로 제공한다. 연소부(100)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더 자세히 하기로
한다.
[0038] 물저장부(900)는 연소부(100)에서 숯 또는 칩(chip)의 발화 이후 연소부(10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연소부(10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물저장부(900)는 연소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소부(100)에서 연기가 발생되는 온도는 약 60도 정도이며, 이 온도 이상일 경우 숯의
완전발화가 일어나 연기가 잘 발생되지 않으며, 연기 포집부(800)측으로 불꽃이 옮겨가 화재발생 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물저장부(900)는 연소부(100)의 숯이 완전발화가 되지 않도록 물을 연소부(100)에 공급할 수 있
다.
[0039] 연기 포집부(800)는 물저장부(900)와 연소부(100)에서 분기된 라인에 형성되며, 연소부(100)에서 공급되는 연기
를 일시 저장한다. 연기 포집부(800)는 저장된 연기를 연기 공급부(810)에 공급한다.
[0040] 연기 공급부(810)는 연기 포집부(800)에서 공급되는 연기를 훈연 챔버(700) 내부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라인(812)과 제1 및 제2 연기 공급관(814, 186)으로 구성된다.
[0041] 제1 연기 공급관(814)과 제2 연기 공급관(816)에는 밸브들(300, 400)이 설치되어 있으며, 밸브들(300, 400)의
동작에 따라 훈연 챔버(700)로 공급되는 연기의 양이 조절된다.
[0042] 온도 측정부(120)는 연소부(100)에 설치되어 연소부(100)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부(120)는 연소
부(10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거나, 물저장부(900)와 연결된 제1 밸브(20
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0043] 제1 밸브(200)는 물저장부(900)의 하단에 설치되어 물저장부(900)에서 연소부(10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
다. 제1 밸브(200)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유압식 엑츄에이터가 구비된 모터로 동작되는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이 가능한 푸쉬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0044] 열공급부(7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 챔버(700) 내측에 형성되며, 훈연 챔버(700) 내부를 설정된 범
위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열을 공급한다. 열공급부(760)는 발열봉 등이 사용되거나, 열풍기 등이 사용될 수도 있
다.
[0045] 제3 필터(210)는 연기 포집부(800)의 전단에 구비된다. 제3 필터(210)는 연소부(100)에서 공급되는 연기에 포함
된 불순물을 1차로 걸러 연기 포집부(800)로 공급한다.
[0046] 여기서, 제3 필터(210)는 연기 포집부(800)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0047] 제1 필터(310)는 훈연 챔버(700) 내부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기 공급관(814)의 끝단에
구비된다. 이때, 제1 필터(310)는 훈연 챔버(7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0048] 제2 필터(410)는 훈연 챔버(700) 내부에 설치되며, 제2 연기 공급관(816)의 끝단에 구비된다. 이때, 제2 필터
(410)는 훈연 챔버(7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0049] 제1 및 제2 필터(310, 410)는 연기 포집부(800)에서 공급되는 연기에 유해성분이 포함될 경우 훈연 챔버(700)
내의 고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0050] 순환팬(750)은 훈연 챔버(700) 내에 설치되어 내부의 연기를 순환시키도록 동작한다. 순환팬(750)이 없을 경우
훈연 챔버(700) 내부의 연기 분포가 균일하지 못해 내부의 고기 맛 또는 훈연의 균일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
서, 순환팬(750)은 주기적으로 동작되어 훈연 챔버(700) 내부의 연기를 순환시켜 연기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
써 고기 훈연 및 숙성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0051] 연기배출부(730)는 훈연 챔버(700) 내의 연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설치된다. 연기배출부(730)는 공기배출팬(미
도시)의 동작에 따라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훈연 챔버(700)에서 훈연이 끝단 고기를
꺼낼 때, 내부의 연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720) 개방 전에 연기배출부(730)를 통해 훈연 챔버(70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0053] 연소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0054] 도 3을 참조하면, 연소부(100)는 수용부(110), 발화홀(130), 공기공급홀(115), 개폐부(150) 및 받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0055] 구체적으로, 수용부(110)는 숯(C)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수용부(110)는 내부에서 발화된 숯
(C)의 온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화상 방지를 위하여 외부에 세라믹 등의 화상방지를 위한 코팅제 또는 열차단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0056] 발화홀(130)은 수용부(110) 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수용부(110)에 내재된 숯을 발화시키기 위한 불
씨 등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0057] 공기공급홀(115)은 수용부(110)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수용부(11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공
기공급홀(115)은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공급홀(115)의 크기는 숯(C)이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
는 크기로 형성된다.
[0058] 개폐부(150)는 숯(C)을 수용부(110)에 넣기 위하여 설치된다. 개폐부(150)는 수용부(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힌지, 경첩 등을 통해 구성된다.
[0059] 받침부(160)는 수용부(110)를 지지하는 구조로, 삼발이 구조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0060] 또한, 수용부(110)의 상부에는 연기가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덮개(170)가 마련되며, 덮개(170)는
관과 연결되어 연기는 관을 타고 연기 포집부(800)로 이동할 수 있다.
[0062]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제어부를 통해 연기공급, 온도유지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0)는 디스플레이(500), 타이머(600), 온도
측정부(120), 내부 온도계(740), 제1 내지 제3 밸브(200, 300, 400)를 제어할 수 있다.
[0063] 구체적으로, 제어부(1000)는 디스플레이(500)에 훈연 챔버(700) 내부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1000)는 훈연 챔버(700) 내에 설치된 내부 온도계(740)에서 수신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500)에 제공한다.
[0064] 또한, 제어부(1000)는 내부 온도계(740)에서 수신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훈연 챔버(700) 내에 설치된 열공급부
(76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0)는 훈연 챔버(700) 내부에 설치된 내부 온도계(740)를 통해
온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값과 대비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열공급부
(760)를 제어할 수 있다.
[0065] 제어부(1000)는 타이머(600)를 통해 제2 및 제3 밸브(300, 400)와 순환팬(75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훈연 챔버
(700) 내부로 공급되는 연기의 양과 순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에 버튼에 의해 타이머(600)에서 가동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000)는 제2 및 제3 밸브(300, 400)를 동작시켜 연기를 공급하고, 이후 순환팬(750)을
동작시켜 훈연 챔버(700) 내부에서 연기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타이머(600)에서 설정된 시간이 종료
되면, 제2 및 제3 밸브(300, 400)를 닫고, 순환팬(750)의 가동을 중지한다. 이때, 제어부(1000)는 연기배출부
(730)와 연결된 팬을 가동시켜 훈연 챔버(700) 내부의 연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0066] 또한, 제어부(1000)는 온도 측정부(120)에서 입력되는 연소부(100)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값
과 비교한 이후, 설정된 온도값에 비해 연소부(100)의 온도가 높을 경우 제1 밸브(200)를 구동시켜 연소부(10
0)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6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외부에 연소부를 마련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시 연소부의 고장, 연료 부족에 따른 잦은 도어 개폐를 방지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0069]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연소부 상부에 물저장부를 마련하여 발화온도 이상
일 경우 물을 공급하여 숯이 완전 연소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는 훈연 챔버 [0070] 내부에 순환팬과 열공급부를 구비하여
고기의 훈연 또는 숙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고기를 내재하여 훈연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훈연 챔버;
    상기 훈연 챔버 외부에 설치되고, 숯 또는 칩을 연소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의 상단에 상기 연소부에 상기 숯 또는 칩의 완전연소를 방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물저장부;
    상기 연소부와 상기 물저장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기를 포집하는 연기 포집부;
    상기 연기포집부에서 상기 훈연 챔버로 연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공급부;
    상기 연기 공급부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훈연 챔버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및
    상기 훈연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훈연 챔버 내부를 온도를 유지시키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는 고기 훈연 및 숙
    성 장치.
KR1020170174404A 2017-12-18 2017-12-18 고기 훈연 숙성 장치 KR20190073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04A KR20190073092A (ko) 2017-12-18 2017-12-18 고기 훈연 숙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04A KR20190073092A (ko) 2017-12-18 2017-12-18 고기 훈연 숙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92A true KR20190073092A (ko) 2019-06-26

Family

ID=6710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404A KR20190073092A (ko) 2017-12-18 2017-12-18 고기 훈연 숙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3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36A (en) Smoking and baking apparatus
CN110312454B (zh) 利用烟道的烤具
CA2911721C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KR200445472Y1 (ko) 초벌 훈연구이기
US4232597A (en) Apparatus for smoking foods and smoke producing material therefor
US20190320669A1 (en) Smoker with smoke on demand system
US10729148B2 (en) Vertical food smoker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CN114286639A (zh) 多用途烹饪装置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190073092A (ko) 고기 훈연 숙성 장치
EP3104085A1 (en) Flavoring device for use in a cooking chamber
KR0140408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20010078431A (ko) 육류구이장치 및 방법
KR20100062366A (ko) 훈연고기구이기
KR200432372Y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KR101979811B1 (ko)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100875556B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0324762Y1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