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854A -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854A
KR20190071854A KR1020170172413A KR20170172413A KR20190071854A KR 20190071854 A KR20190071854 A KR 20190071854A KR 1020170172413 A KR1020170172413 A KR 1020170172413A KR 20170172413 A KR20170172413 A KR 20170172413A KR 20190071854 A KR20190071854 A KR 20190071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ver glass
curved
curved surface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107B1 (ko
Inventor
최범규
빈윤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107B1/ko
Priority to US16/043,248 priority patent/US11347266B2/en
Priority to CN201811441102.1A priority patent/CN109961690B/zh
Publication of KR2019007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포함하는 하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커버 글래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으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나머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Cover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90도 이상으로 구부러진 곡면부를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부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커버 글래스 또한 구부린 구조로 성형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들은 가장자리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휘어진 커버 글래스 및 이러한 커버 글래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이고, 상기 평면부의 배면은 상기 곡면부의 일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포함하는 하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커버 글래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으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나머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되는 커버 글래스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은 제1 금형, 제2 금형 및 제3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 사이에 제2 금형이 위치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금형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수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커버 글래스를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가장자리에 구부러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의 곡면이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복수의 부분 금형과 정합되는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면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복수의 부분 금형 및 이를 수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마주보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은 제1 금형, 제2 금형 및 제3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 사이에 상기 제2 금형이 위치한다.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3 금형이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복수의 부분 금형과 정합되는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면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장자리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휘어진 커버 글래스 및 이러한 커버 글래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이러한 커버 글래스가 적용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맞물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하부 금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가장자리가 90도 이상으로 휘어진 커버 글래스 및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에 대한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는 평면부(1100), 및 평면부(1100)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1100)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1200)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θ1)는 90도 내지 180도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는 곡면부(1200)가 구부러진 각도가 90도 이상의 둔각이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1000)를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표시 영역이 넓어진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커버 글래스(1000)의 배면, 즉 곡면부(1200)가 구부러지는 안쪽 면에는 곡면부의 끝단과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13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홈으로, 커버 글래스(1000)가 표시 패널 위에 부착되기 전에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홈(1300)은 도 1과 같이 둔각으로 구부러진 곡면부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커버 글래스(1000)가 이후 설명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다. 다만 홈(1300)은 표면 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 글래스(1000)가 적용된 표시 장치에서는 커버 글래스(1000)의 홈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커버 글래스(1000)가 적용된 표시 장치(3000)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장치(3000)는 표시 패널(2000) 및 표시 패널(2000) 상부의 커버 글래스(1000)를 포함한다. 커버 글래스(1000)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동일하다. 즉 커버 글래스는 평면부(1100) 및 평면부(1100)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1200)를 포함하고, 평면부(1100)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1200)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θ1)는 90도 내지 180도이다. 이 경우 표시 영역이 넓어져 대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200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2000)은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발광층으로 유기물이 아닌 무기물이나 양자점을 사용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 1과 같이 곡면부가 90도 이상으로 휘어진 커버 글래스(10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곡면부(1200)가 90도 이상으로 휘어진 커버 글래스(1000)의 경우 통상의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하기가 어렵다. 이는 커버 글래스의 곡면부(1200)가 90도 이상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하부 금형의 측면 및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성형되고, 하부 금형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곡면부(1200)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의 제조 방법은 분리된 구조의 하부 금형을 사용하여 곡면부가 둔각으로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10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먼저 하부 금형(4000) 및 상부 금형(5000)을 준비하고, 하부 금형(4000)위에 커버 글래스(1000)를 위치시킨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하부 금형(4000)은 고정부(4200) 및 금형부(4100)를 포함한다. 고정부(42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부(4200)의 빈 공간 내부에 금형부(4100)가 수납되어 있다.
금형부(4100)는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을 포함한다. 도 4에는 금형부(4100)가 3개의 금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금형부(4100)는 3개 이상의 금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3개 미만인 경우 성형된 커버 글래스(1000)를 효과적으로 취출할 수 없는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 사이에 제2 금형(4002)이 위치한다.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곡면부는 최종 성형되는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와 대응한다.
즉,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의 상부는 커버 글래스(1000)의 평면부(1100)와 대응하고,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의 가장자리는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와 대응한다.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의 가장자리는 평면에 대하여 90도 구부러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의 곡면의 구부러짐은 90도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90도를 초과하지 않는 곡면을 갖는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으로도, 90도 이상으로 구부러진 곡면을 갖는 커버 글래스를 성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이후 도 5를 참고로 하여 별도로 후술한다.
상부 금형(5000)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와 정합되는 정합면(510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5000)의 정합면(5100)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다. 상부 금형(5000)과 하부 금형(4000)을 맞물리게 하는 경우, 하부 금형(4000)의 고정부(4200)와 금형부(4100) 사이의 빈 공간은 상부 금형(5000)의 정합면(5100)에 의하여 채워진다. 따라서 압축 과정에서 금형부(4100)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하부 금형(4000)과 상부 금형(5000) 사이에 커버 글래스(10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준비되는 커버 글래스(1000)는 평면일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글래스(1000)는 가장자리에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의 최대 각도는 90도이다. 이는 곡면의 각도가 90도 이상인 경우 상부 금형(5000)과 하부 금형(4000)이 맞물리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고, 상기 영역에서 커버 글래스(1000)의 가장자리를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하부 금형(4000)의 가장자리 곡면이 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90도를 초과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하부 금형(4000)에 대하여 평면의 커버 글래스(1000)를 적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성형된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의 최대 각도 또한 90도를 초과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커버 글래스(1000)에 미리 일정 곡면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은 구조의 상부 금형(5000) 및 하부 금형(4000)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기 형성된 곡면부(1200)가 하부 금형(4000)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90도 이상의 각도로 휘어질 수 있다.
도 5는 미리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를 성형하였을 때와 평평한 커버 글래스를 성형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평평한 커버 글래스(1000)를 금형부(4100)에 의해 성형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5의 (a)를 참고로 하면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가 휘어진 각도가 최대 90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b)를 참고로 하면 커버 글래스(1000)가 미리 형성된 곡면부(1200)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곡면부(1200)가 금형부(4100)의 곡면에 의해 한번 더 구부러지면서 90도 이상의 각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즉, 도 4의 커버 글래스(1000)는 도 5의 (a)와 같은 평평한 커버 글래스(1000)일 수도 있고, 도 5의 (b)와 같이 미리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1000)일 수도 있다. 도 5의 (a)와 같이 평평한 커버 글래스(1000)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조되는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의 끝단이 평면부(1100)와 이루는 각도는 90도이다. 그러나 도 5의 (b)와 같이 미리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1000)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조되는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의 끝단이 평면부(1100)와 이루는 각도는 90도를 초과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고로 하면, 하부 금형(4000)위에 상부 금형(5000)을 압축한다. 이때 하부 금형(4000) 및 상부 금형(5000)을 통해 커버 글래스(1000)에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이렇게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커버 글래스(1000)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의 모양을 따라 성형된다.
이때,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글래스(1000)가 미리 구부러져있기 때문에, 금형부(4100)가 구부러진 각도 이상으로 커버 글래스(1000)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글래스(1000)의 가장자리는 금형부(4100)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90도 이상의 둔각을 갖도록 구부러진다.
다음, 도 7을 참고로 하면 상부 금형(5000)을 제거한다. 상부 금형(5000)과 하부 금형(4000)의 압력 및 고온에 의해, 커버 글래스(1000)는 평면부(1100) 및 곡면부(12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성형되었다.
다음, 도 8을 참고로 하면 하부 금형(4000)에서 금형부(4100)를 취출한다. 앞선 단계에서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는 고정부(4200)에 의해 수납되어 있었으나 본 단계를 통해 금형부(4100)의 하부가 노출된다.
다음, 도 9를 참고로 하면 금형(4100)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2 금형(4002)을 취출한다. 제2 금형(4002)는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와 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취출이 가능하다.
다음, 도 10을 참고로 하면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을 취출한다. 이때 앞선 단계에서의 제2 금형(4002)의 취출에 의해 중앙에 빈 공간이 생겼기 때문에, 제1 금형(4001)을 중앙으로 이동시켜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와 떨어지게 한 후 하부로 취출할 수 있다. 이는 제3 금형(4003)을 취출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가 90도 이상의 둔각을 가지기 때문에, 금형부(4100)가 단일 구조인 경우 이를 취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는 금형부(4100)의 가장자리가 곡면부(1200)에 의해 감싸지게 되고, 금형부(4100)를 하부로 취출하는 과정에서 곡면부(1200)의 손상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1000)의 제조 방법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를 3개 이상의 금형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금형을 단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커버 글래스(1000)의 곡면부(1200)가 둔각을 갖는 경우에도 곡면부(1200)의 손상 없이 금형부(4100)를 제거할 수 있다.
다만, 금형부(4100)가 단일 구조가 아니라 3개 이상의 금형의 조합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의 경계부분에서 커버 글래스(1000)의 홈이 시인될 수 있다. 즉, 공정 과정에서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의 높이 차이에 의해 영역별로 커버 글래스(1000)의 두께가 달라지거나 경계부근에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부 금형(4000)을 취출한 후 커버 글래스(1000)를 표면처리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과정에 의해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되며, 금형부(4100)와 접하였던 커버 글래스(1000) 배면의 불균일이 해소되고 평탄해진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하부 금형(4000) 및 상부 금형(5000)을 포함한다.
하부 금형(4000)은 고정부(4200) 및 금형부 (4100)를 포함한다. 고정부(42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부(4200)의 빈 공간 내부에 금형부(4100)가 수납되어 있다.
금형부(4100)는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을 포함한다.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 사이에 제2 금형(4002)이 위치한다. 제1 금형(4001) 및 제3 금형(4003)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금형(4001)의 곡면부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금형(4003)의 곡면부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부 금형(5000)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와 정합되는 정합면(510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5000)의 정합면(5100)은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다. 즉 정합면(5100)의 가장자리는 제1 금형(4001)의 가장자리 및 제2 금형(4002)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각도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맞물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 금형(5000)과 하부 금형(4000)을 맞물리게 하는 경우, 하부 금형(4000)의 고정부(4200)와 금형부(4100) 사이의 빈 공간은 상부 금형(5000)의 정합면(5100)에 의하여 채워진다. 따라서 압축 과정에서 금형부(4100)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하부 금형(4000)의 금형부(4100)의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은 단일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하부 금형(4000)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고로 하면 고정부(4200)에 제1 부분(4010), 제2 부분(4020), 제3 부분(4030)을 위치시키고 고정부(4200)과 각 부분을 볼트(4500)로 고정시킨다. 도 13과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부분(4010), 제2 부분(4020) 및 제3 부분(4030)을 동시에 가공하여 금형부(4100)의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을 한번에 형성한다,
도 14를 이렇게 형성된 하부 금형(4000)을 도시한 것이다. 즉 각각의 제1 금형(4001), 제2 금형(4002) 및 제3 금형(4003)을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부(4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일 공정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균일한 높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최종 성형된 커버 글래스(1000)의 배면 단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포함하는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커버 글래스를 성형함으로써 90도 이상으로 구부러진 곡면을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의 성형 과정에 사용되는 금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포함함으로써 성형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취출할 수 있고, 성형된 커버 글래스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커버 글래스 1100: 평면부
1200: 곡면부 1300: 홈
2000: 표시 패널 3000: 표시 장치
4000: 하부 금형 4100: 금형부
4200: 고정부 4500: 볼트
5000: 상부 금형 5100: 정합면

Claims (14)

  1.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이고,
    상기 평면부의 배면은 상기 곡면부의 일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
  2. 복수의 부분 금형을 포함하는 하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커버 글래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으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나머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조되는 커버 글래스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와 수직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곡면부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인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은 제1 금형, 제2 금형 및 제3 금형을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 사이에 제2 금형이 위치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금형이 제거되는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7. 제2항에서,
    상기 하부 금형은 복수의 부분 금형을 수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8. 제2항에서,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커버 글래스를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가장자리에 구부러진 곡면을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곡면이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인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10. 제2항에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복수의 부분 금형과 정합되는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면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진 커버 글래스의 제조 방법.
  11. 복수의 부분 금형 및 이를 수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마주보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금형은 제1 금형, 제2 금형 및 제3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 사이에 상기 제2 금형이 위치하는 금형.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3 금형의 일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진 금형.
  13.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3 금형이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구부러진 각도는 90도 이하인 금형.
  14. 제11항에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복수의 부분 금형과 정합되는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면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진 금형.
KR1020170172413A 2017-12-14 2017-12-14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13A KR102461107B1 (ko) 2017-12-14 2017-12-14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6/043,248 US11347266B2 (en) 2017-12-14 2018-07-24 Cover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811441102.1A CN109961690B (zh) 2017-12-14 2018-11-29 盖玻璃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13A KR102461107B1 (ko) 2017-12-14 2017-12-14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54A true KR20190071854A (ko) 2019-06-25
KR102461107B1 KR102461107B1 (ko) 2022-10-31

Family

ID=668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13A KR102461107B1 (ko) 2017-12-14 2017-12-14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7266B2 (ko)
KR (1) KR102461107B1 (ko)
CN (1) CN109961690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4961A (zh) * 2020-01-17 2020-05-29 维达力实业(赤壁)有限公司 双曲折弯模具装置、双曲折弯玻璃及其制作方法
CN112624582A (zh) * 2020-12-25 2021-04-09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玻璃曲面>90°内扣热弯工艺
KR20220146121A (ko) * 2021-04-23 2022-11-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2196A (zh) * 2019-07-03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玻璃壳体、制备方法和电子设备
KR20210010722A (ko) * 2019-07-18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트레이
CN110610660B (zh) * 2019-08-27 2021-11-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179777B (zh) * 2020-02-24 2022-02-2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衬底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终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20140059488A (ko) * 2012-11-08 2014-05-16 (주)대호테크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KR20150001964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CN106132141A (zh) * 2016-08-03 2016-11-16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电子产品、玻璃外壳及其制造设备和方法
KR20170035406A (ko) * 2015-09-22 2017-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장치 및 윈도우 성형방법
KR20170106552A (ko) * 2016-03-10 2017-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9796A (ko) * 2016-04-19 2017-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이의 성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3902A1 (en) * 2009-04-07 2010-10-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35896B1 (ko) 2011-01-24 2013-02-22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금형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금형장치
US20150153594A1 (en) * 2012-06-05 2015-06-04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unit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435166B1 (ja) * 2012-06-14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
JP5472521B1 (ja) * 2012-10-10 2014-04-1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CN104870384A (zh) * 2012-10-17 2015-08-26 康宁股份有限公司 玻璃管和制备基本上成矩形的玻璃盖板元件的方法
JP5510693B1 (ja) 2012-12-07 2014-06-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屈曲部を有する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強化ガラス板
KR20160006719A (ko) 2013-05-07 2016-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형성된 유리 물품 성형 공정 및 그 기기
KR102124047B1 (ko) * 2013-06-04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KR102116418B1 (ko) * 2013-09-30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102210004B1 (ko) * 2013-10-02 2021-02-01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성형틀
KR102251131B1 (ko) 2014-08-27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KR101662584B1 (ko) * 2015-05-27 2016-10-05 주식회사 인터벡스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용 커버글라스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2541450B1 (ko) 2015-10-29 2023-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06313425A (zh) 2016-08-31 2017-01-1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玻璃盖板组件的制造方法、玻璃盖板组件及移动终端
CN106631048B (zh) * 2016-09-20 2019-07-30 东莞华晶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陶瓷背板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CN106746540A (zh) 2017-01-05 2017-05-31 东莞华清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复杂曲面外壳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20140059488A (ko) * 2012-11-08 2014-05-16 (주)대호테크 휴대단말기 커버글라스 성형용 금형
KR20150001964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KR20170035406A (ko) * 2015-09-22 2017-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장치 및 윈도우 성형방법
KR20170106552A (ko) * 2016-03-10 2017-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9796A (ko) * 2016-04-19 2017-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이의 성형 방법
CN106132141A (zh) * 2016-08-03 2016-11-16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电子产品、玻璃外壳及其制造设备和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4961A (zh) * 2020-01-17 2020-05-29 维达力实业(赤壁)有限公司 双曲折弯模具装置、双曲折弯玻璃及其制作方法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CN112624582A (zh) * 2020-12-25 2021-04-09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玻璃曲面>90°内扣热弯工艺
KR20220146121A (ko) * 2021-04-23 2022-11-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61690A (zh) 2019-07-02
KR102461107B1 (ko) 2022-10-31
US20190187757A1 (en) 2019-06-20
CN109961690B (zh) 2023-03-21
US11347266B2 (en)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1854A (ko)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12440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lic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US10245776B2 (en)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TWI683425B (zh) 玻璃基板以及包含彼之顯示裝置
KR102315835B1 (ko) 표시장치
US20210206154A1 (en) Laminating apparatus, flexible display pane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746717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1129086A (zh)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2016509965A (ja) 段付きフランジを有する透明レンズを含むデバイスハウジングとその製造方法
US20180014400A1 (en) Computing device bonding assemblies
US9658383B2 (en) Display device
US9874788B2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N112447097A (zh)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US20160207104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lic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JP2021504284A5 (ko)
EP4080274A1 (en) Display module preparation metho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O2014153804A1 (zh) 显示装置
CN112565485A (zh)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WO2018103229A1 (zh) 玻璃盖板、玻璃盖板的制作方法及3d显示装置
CN103472599B (zh) 显示装置
CN109445196B (zh) 一种2d-3d显示切换光学模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1013412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듈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9609A (ko) 실리콘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합착 방법
CN112585097B (zh) 3d玻璃盖成型用模具及使用其的3d玻璃盖的制造方法
KR101603885B1 (ko) 유리기판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