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515A -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515A
KR20190071515A KR1020170172620A KR20170172620A KR20190071515A KR 20190071515 A KR20190071515 A KR 20190071515A KR 1020170172620 A KR1020170172620 A KR 1020170172620A KR 20170172620 A KR20170172620 A KR 20170172620A KR 20190071515 A KR20190071515 A KR 2019007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surface
light
lens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김원빈
김동석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to KR102017017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515A/ko
Publication of KR2019007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광원체; 상기 광원체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 니켈이 60 ~ 70%, 크롬이 30 ~ 40% 비율로 하프 증착된 증착면을 포함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된 빛의 일부가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가 반사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증착면에서 반사된 빛이 재반사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증착면은, 제1 증착면 및 제2 증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증착면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증착되되, 상기 제2 증착면은 상기 제1 증착면의 일부분에 증착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 된 빛의 일부는 상기 제2 증착면 및 상기 제1 증착면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재반사된 빛은 상기 제1 증착면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Lamp for Outside Mirr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의 점등 이미지를 균일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램프는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 또는 외부에 신호를 알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자인 측면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즉, 종래 램프의 기본적인 역할인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통해 안전운행을 돕는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 향상을 통해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적 측면 또한 차량 구매 결정 여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점등 이미지의 밝기가 불균일하게 점등되는 문제가 있었는 바, 소비자의 구매 욕구 상승, 점등 이미지 밝기의 통일성을 위해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832호
본 발명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광원체; 상기 광원체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 니켈이 60 ~ 70%, 크롬이 30 ~ 40% 비율로 하프 증착된 증착면을 포함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된 빛의 일부가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가 반사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증착면에서 반사된 빛이 재반사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증착면은, 제1 증착면 및 제2 증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증착면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증착되되, 상기 제2 증착면은 상기 제1 증착면의 일부분에 증착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 된 빛의 일부는 상기 제2 증착면 및 상기 제1 증착면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재반사된 빛은 상기 제1 증착면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착면의 두께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까운 부분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먼 부분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착면의 두께는 상기 제1 증착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착면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 인접한 부분에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착면의 빛 투과율이 상기 제2 증착면의 빛 투과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의 증착면에서 반사된 빛이 전반사되도록 증착된 반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외측면에는 상기 증착면으로 투과된 빛들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어 점등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등 이미지는 상기 렌즈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밝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의 밝기가 균일하게 점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가 적용된 아웃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의 특정면을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빛이 이동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렌즈의 내측면을 하프 증착한 경우에 증착 두께에 따른 점등 이미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의 점등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가 적용된 아웃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10)가 적용된 아웃 사이드 미러(1)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아웃 사이드 미러(1)의 일측에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10)가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램프, 리어램프, 턴시그널램프, 포지션램프 등 다양한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10)는 광원체(11), 라이트 가이드(13), 렌즈(15) 및 하우징(18)을 포함한다.
광원체(11)는 특정 색채의 빛을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광원체(11)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은 라이트 가이드(13)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특정 색채의 빛을 방출한다. 이때, 광원체(11)는 LED(Light emitting diode:발광 다이오드)로 된 광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광원체(11)는 레이저 광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라이트 가이드(13)는 광원체(11)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라이트 가이드(13)는 광원체(11)에서 방출된 빛이 입사되어 내부 전반사를 통해 빛을 렌즈(15)의 내측면쪽으로 가이드한다.
렌즈(15)는 광원체(11)에서 방출된 빛을 차량 외부로 출사시켜 점등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렌즈(15)는 차량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 렌즈(Outer Lens)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점등 이미지를 렌즈(15)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밝기를 갖도록 표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하우징(18)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10)의 나머지 구성들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8)은 광원체(11), 베젤(12) 및 라이트 가이드(13)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하우징(18)은 라이트 가이드(13)를 사이에 두고 렌즈(15)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의 특정면을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을 A-A면에서 절단한 뒤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15)는 내측면에 하프 증착된 증착면(16, 17)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프 증착된 증착면(16, 17)은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도록 구성된 구조로서, 표면에 금속 코팅층 예를 들어 크롬 코팅, 알루미늄 코팅 또는 금속 산화물 층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크롬 또는 알루미늄 입자를 렌즈 또는 거울에 증착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코팅층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퍼터링 증착, 진공증착, 플라즈마 증착 등의 기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증착면(16, 17)은 니켈이 60 ~ 70%, 크롬이 30 ~ 40% 비율로 하프 증착된다.
증착면(16, 17)은 제1 증착면(16) 및 제2 증착면(17)을 포함한다.
제1 증착면(16)은 렌즈(15)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증착되고, 제2 증착면(17)은 제1 증착면(16)의 일부분에 증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착면(16)은 렌즈(15)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먼저 증착되고, 그 후 제2 증착면(17)은 제1 증착면(16)의 상측에 일부분에 걸쳐 증착된다.
이때, 제2 증착면(17)의 두께가 제1 증착면(16)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증착된다. 즉, 제2 증착면(17)을 증착하는 시간이 제1 증착면(16)을 증착하는 시간보다 길다. 일 예로, 제1 증착면(16)을 증착하는 시간은 18초이고, 제2 증착면(17)을 증착하는 시간은 42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증착면(16)의 빛 투과율이 제2 증착면(17)의 빛 투과율보다 크게 된다. 일 예로, 제1 증착면(16)의 빛 투과율은 36.77(%)이고, 제2 증착면(17)의 빛 투과율은 9.45(%)일 수 있다.
또한, 제2 증착면(17)은 제1 증착면(16)의 전체 면적 중 라이트 가이드(13)에 인접한 부분에 증착된다. 이는, 라이트 가이드(13)에서 가이드 된 빛은 상대적으로 휘도가 크므로 차량 외부에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가 균등한 점등 이미지를 갖기 위해서는 라이트 가이드(13)에서 가이드 된 빛의 투과율을 낮출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8)은 반사면(19)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사면(19)은 렌즈(15)의 증착면(16, 17)에서 반사된 빛이 전반사되도록 증착된다. 따라서, 반사면(19)으로 입사한 빛은 반사면(19)을 투과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빛이 이동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4에서 도시된 예는 빛의 이동 경로 중 일 예를 표시한 것에 불과하고, 라이트 가이드(13)에서 가이드된 빛의 이동 경로를 도 4에 도시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라이트 가이드(13)에서 가이드 된 빛(a)이 제2 증착면(17)으로 입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a의 일부인 b1은 제2 증착면(17) 및 제1 증착면(16)을 순차적으로 투과하나, a의 나머지 일부인 b2는 제2 증착면(17)에서 반사되어 반사면(19)으로 향하게 된다. 이후, b2는 반사면(19)으로 입사하여 전반사된다. 전반사되는 빛은 c가 된다. 즉, 반사면(19)으로 투과되는 빛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c는 제1 증착면(16)으로 입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c의 일부인 d1은 제1 증착면(16)을 투과하나, c의 나머지 일부인 d2는 제1 증착면(16)에서 반사된다.
이때, 라이트 가이드(13)에서 직접 가이드된 빛인 a는 상대적으로 c보다 빛의 세기 또는 휘도가 크다. 따라서, a와 c 모두가 제1 증착면(16)만을 투과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되는 경우, 차량 외부에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의 밝기는 불균일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a가 제2 증착면(17) 및 제1 증착면(16)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차량 외부로 b1이 출사되도록 하고, c는 제1 증착면(16)만 투과하여 차량 외부로 d1이 출사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제2 증착면(17)의 증착시 두께를 b1과 d1이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1 증착면(16)의 증착 시간을 18초, 제2 증착면(17)의 증착 시간을 42초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15)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밝기를 갖는 점등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렌즈의 내측면을 하프 증착한 경우에 증착 두께에 따른 점등 이미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5는 렌즈(15) 내측면 전체에 단일의 증착면만을 증착한 경우의 점등 이미지를 나타낸 것임을 전제한다.
도 5 (a)는 증착 시간이 18초인 경우, 도 5 (b)는 증착 시간이 30초인 경우, 도 5 (c)는 증착 시간이 60초인 경우, 도 5 (d)는 증착 시간이 100초인 경우이다. 따라서, 증착 두께는 도 5 (d) > 도 5 (c) > 도 5 (b) > 도 5 (a) 가 된다.
이때, 도 5 (a)의 경우 빛 투과율이 36.77(%), 도 5 (b)의 경우 빛 투과율이 21.65(%), 도 5 (c)의 경우 빛 투과율이 6.44(%), 도 5 (d)의 경우 빛 투과율이 1.97(%)이다. 즉, 증착 두께가 두꺼울수록 빛 투과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도 5 (a) 내지 (d)를 참조하면, 증착 시간이 길어져 증착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투과율 감소에 의해 점등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 (a) 내지 (d)는 렌즈(15) 내측면 전체에 단일의 증착면만을 증착한 경우의 점등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므로, 렌즈(15) 외측면에 표시된 점등 이미지의 밝기가 불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5) 외측면의 최하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와 렌즈(15) 외측면의 최상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불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서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a)는 렌즈(15)의 내측면에 제1 증착면(16)만 증착된 경우에 점등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 (b)는 본 발명의 점등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 (a)의 경우, 렌즈(15)의 내측면에 동일한 두께의 증착면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15) 외측면에 표시된 점등 이미지의 밝기가 불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5) 외측면의 최하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와 렌즈(15) 외측면의 최상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불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 (b)의 경우, 렌즈(15) 외측면에 표시된 점등 이미지의 밝기가 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5) 외측면의 최하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와 렌즈(15) 외측면의 최상단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의 점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의 점등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10)의 점등이 시작되면 광원체(11)로부터 빛이 방출된다(S101).
이후, 광원체(11)에서 방출된 빛이 라이트 가이드(13)를 통해 가이드 된다(S103).
이후, 라이트 가이드(13)를 통해 가이드된 빛이 하프 증착된 렌즈(15)의 증착면(16, 17)을 통해 일부 투과되고, 일부는 반사된다(S105). 이때, 라이트 가이드(13)를 통해 가이드 된 빛 중 증착면(16, 17)을 통해 일부 투과되는 빛은 제2 증착면(17) 및 제1 증착면(16)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차량의 외부로 출사된다.
이후, S105 단계에서 반사된 빛이 하우징(18)의 반사면(19)을 통해 재반사된다(S107). 이때, 반사면(19)을 통해 재반사된 빛은 제1 증착면(16)만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된다.
이후, S105 단계에서 제2 증착면(17) 및 제1 증착면(16)을 순차적으로 투과한 빛과 S107 단계에서 재반사되어 제1 증착면(16)만을 투과한 빛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어 렌즈(15)에 점등 이미지가 표시된다(S109). 이때, 본 발명에서는 S105 단계에서 제2 증착면(17) 및 제1 증착면(16)을 순차적으로 투과한 빛의 휘도와 S107 단계에서 재반사되어 제1 증착면(16)만을 투과한 빛의 휘도가 균일한 값을 갖도록 증착면(16, 17)의 두께를 조절하여 상기 점등 이미지가 균일한 밝기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아웃 사이드 미러
10 :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11 : 광원체
13 : 라이트 가이드
15 : 렌즈
16, 17 : 증착면
18 : 하우징
19 : 반사면

Claims (9)

  1.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광원체;
    상기 광원체에서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
    니켈이 60 ~ 70%, 크롬이 30 ~ 40% 비율로 하프 증착된 증착면을 포함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된 빛의 일부가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가 반사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증착면에서 반사된 빛이 재반사되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증착면은,
    제1 증착면 및 제2 증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증착면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증착되되, 상기 제2 증착면은 상기 제1 증착면의 일부분에 증착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이드 된 빛의 일부는 상기 제2 증착면 및 상기 제1 증착면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반사면에서 재반사된 빛은 상기 제1 증착면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면의 두께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가까운 부분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먼 부분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착면의 두께는 상기 제1 증착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착면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 인접한 부분에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착면의 빛 투과율이 상기 제2 증착면의 빛 투과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외측면에는 상기 증착면으로 투과된 빛들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출사되어 점등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이미지는 상기 렌즈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밝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KR1020170172620A 2017-12-14 2017-12-14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KR20190071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20A KR20190071515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20A KR20190071515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15A true KR20190071515A (ko) 2019-06-24

Family

ID=6705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620A KR20190071515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5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7658B2 (en) 2019-07-10 2021-06-08 Sl Mirrortech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32A (ko) 2008-06-25 201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32A (ko) 2008-06-25 201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7658B2 (en) 2019-07-10 2021-06-08 Sl Mirrortech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861B1 (ko) 차량용 램프
KR101453936B1 (ko) 차량용 램프
US8523413B2 (en) LED collimator element for a vehicle headlight with a low-beam function
KR10136109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15149157A (ja) 車両用灯具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71515A (ko)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램프
CN209558256U (zh) 灯具以及车辆用灯具
JP2007505475A (ja) 自動車に用いられるヘッドライトまたはランプ
US6601981B2 (en) Headlight assembly
KR20150053573A (ko) 차량용 램프
KR101472965B1 (ko) 차량용 램프
CN109595526B (zh) 车辆用灯具
CN210179385U (zh) 一种遮阳板化妆镜灯发光模块
JP2014116198A (ja) 車両用灯具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2417A (ko) 차량용 램프
KR10137577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KR102031833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959Y1 (ko) 차량용 램프
JP2014175231A (ja) 車両用灯具
KR101937977B1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