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294A -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294A
KR20190070294A KR1020180158824A KR20180158824A KR20190070294A KR 20190070294 A KR20190070294 A KR 20190070294A KR 1020180158824 A KR1020180158824 A KR 1020180158824A KR 20180158824 A KR20180158824 A KR 20180158824A KR 20190070294 A KR20190070294 A KR 2019007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ad
delivery
vehic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103B1 (ko
Inventor
게이 가나오카
? 마에다
요시히로 무로자키
히로코 즈지무라
다이키 가네이치
구니아키 진나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cargo, freight or shipping containers and applications therefor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짐 관리 시스템(1)은, 차량(10)에 설치되고, 짐을 배송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도록 구성된 시해정 장치(300)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고, 상기 짐의 배송 장소로서 이용되는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11)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였을 때에 상기 촬영 장치에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한 화상을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304)와,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LUGGAGE MANAGEMENT SYSTEM AND LUGGAG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배송 서비스의 이용자와 배송자의 짐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수단으로서, 이용자가 지정하는 차량의 화물실을 짐의 전달 장소로서 이용하는, 배송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6225호에는, 배송자가 짐의 배송을 행할 때, 당해 배송자의 배송 유저 단말기와 지정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통신 장치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게 하고, 그 인증에 성공하면, 지정 차량의 시해정이 가능해지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배송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배송자에 의해 짐의 배송이 시간차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화물실 내에 이미 짐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나중에 온 배송자가 짐을 화물실 내에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짐이 반출될 우려가 있다. 이때, 짐을 화물실 내에 배치하지 않고 화물실 도어의 개폐만을 행하여 짐을 반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실을 짐의 전달 장소로 한 경우에 있어서, 시큐리티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짐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고, 짐을 배송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도록 구성된 시해정 장치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고, 상기 짐의 배송 장소로서 이용되는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였을 때에 상기 촬영 장치에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한 화상을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와,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기준 화상과, 상기 차량이 시정되었을 때의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비교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시해정 장치에 의해 차량이 해정됨으로써, 유저는 소정 영역으로 액세스가 가능해지고, 시해정 장치에 의해 차량이 시정됨으로써, 유저는 소정 영역으로 액세스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짐을 배치하기 전과, 짐을 배치한 후에는, 소정 영역 내의 상태가 변화되고, 이 변화는, 촬영 장치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 영역의 내부에 짐이 배치되었는지, 또는 소정 영역의 내부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 내의 짐이 증가한 것을 화상으로부터 판별 가능하면, 소정 영역에 짐이 배치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영역 내의 짐이 감소한 것을 화상으로부터 판별 가능하면,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영역 내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화상으로부터 판별 가능하면, 소정 영역 내에 짐이 새롭게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배송해야 할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 가능하다. 촬영 장치가 화상의 특징량(색이나 사이즈) 등으로부터 짐을 식별 가능하면, 짐의 바꿔치기 등도 판별 가능하다.
여기서, 짐의 반출은,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액세스 가능한 기간에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차량이 해정되고 나서 시정될 때까지 동안에, 소정 영역 내의 상황이 변화된 것, 또는 변화되지 않은 것을 판별 가능한 시기에, 제어부가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한다. 이 시기에 제어부가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하는 것은, 시해정 장치가 차량을 시해정한 것에 수반하여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하는 것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촬영된 화상을 제어부가 기억시켜 두면, 이 기억된 화상에 기초하여,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 가능하기 때문에, 시큐리티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시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의 제1 화상을 상기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함으로써, 상기 비교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시정 관련 타이밍은, 차량이 시정되었을 때의 소정 영역의 내부의 상태와 상관이 있는 상태를 촬영 가능한 타이밍이기도 하다. 이것은,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짐을 배치한 후, 또는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을 반출한 후의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다. 차량이 시정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어, 배송 유저에 의해서는 소정 영역 내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 내에 액세스한 후의 소정 영역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남겨 둘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이 행해진 후에 상기 비교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준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해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의 제2 화상을 상기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함으로써, 상기 기준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해정 관련 타이밍은, 차량이 해정되었을 때의 소정 영역의 내부의 상태와 상관이 있는 상태를 촬영 가능한 타이밍이기도 하다. 이것은,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짐을 배치하기 전, 또는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을 반출하기 전의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다. 차량이 시정되고 나서 다음에 해정될 때까지는, 배송 유저는 소정 영역에 액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기간에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을 반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차량이 해정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액세스 가능해져, 소정 영역 내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 내에 액세스 가능해진 시점의 소정 영역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남겨 둘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까지 동화상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언제 어떻게 짐이 반출되었는지를 증거로서 남겨 둘 수 있다. 또한, 동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동화상을 촬영해 두면, 나중에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의 정지 화상 및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의 정지 화상도 생성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소정 영역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소정 영역이 개방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여도 된다.
소정 영역의 개폐는, 차량이 해정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차량이 해정되고 나서 소정 영역이 개방될 때까지는, 배송 유저는 소정 영역에 액세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정 영역 내의 상태는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정 영역이 개방되었을 때의 소정 영역 내를 촬영한 화상은, 차량이 해정되기 전의 소정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실제로 액세스 가능해진 시점을 해정 관련 타이밍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동화상을 촬영할 때의 촬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을 기억할 때의 기억 용량이 적어도 되고, 또한 배터리의 소비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소정 영역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소정 영역이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여도 된다.
여기서, 차량이 시정되기 전이라도, 소정 영역이 폐쇄되어 버리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정 영역이 폐쇄되었을 때의 소정 영역 내를 촬영한 화상은, 차량이 시정된 후의 소정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실제로 액세스 가능했던 종점을 시정 관련 타이밍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동화상을 촬영할 때의 촬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을 기억할 때의 기억 용량이 적어도 되고, 또한 배터리의 소비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해정하였을 때여도 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시정하였을 때여도 된다.
시해정 장치가 차량을 시해정하는 타이밍은 시해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소정 영역의 개폐를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해정 관련 타이밍 및 시정 관련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2 화상과,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1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판별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해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과 시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을 비교하여 상위점을 검출하고, 해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에 존재하고 있던 짐이 시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그 짐은 배송 유저에게 반출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해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짐이 시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짐이 배송 유저에 의해 배치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해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과 시정 관련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에 변화가 없으면, 배송되어야 할 짐이 배송되지 않고 반출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하고,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비교 화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회의 시정 관련 타이밍으로부터 금회의 해정 관련 타이밍에 상당하는 타이밍까지는,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에 액세스할 수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 기간에는 소정 영역 내에 변화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금회의 해정 관련 타이밍에 상당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화상으로서, 전회의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의 화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을 취득하는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템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전회의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전회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하고, 금회의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금회 화상을 상기 비교 화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소정 영역에 배송되는 상기 짐의 취득 질량을 상기 짐의 배송 전에 취득하도록 구성된 질량 취득부와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짐의 검출 질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질량 검출부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짐에 대해, 상기 취득 질량과, 상기 검출 질량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 영역에 짐이 복수 배치된 경우에는, 촬영 장치로부터 보아 다른 짐의 사각에 배치된 짐이, 촬영된 화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배송 유저가 소정 영역 내에 짐의 외부 상자만을 배치하고 내용물을 빼내는 것도 생각된다. 촬영된 화상으로부터는 내용물을 빼낸 것을 검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촬영된 화상만으로는, 짐의 반출에 대한 판별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짐의 반출에 대한 판별에 있어서, 짐의 질량을 또한 고려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소정 영역 내에 짐이 배치된 경우에는, 소정 영역 내의 짐의 총 질량이, 배치된 짐의 질량분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화상에 짐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라도, 소정 영역 내의 질량이 배송되어야 할 짐의 질량분만큼 증가한 경우에는, 짐이 배치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짐의 내용물을 빼내고, 외부 상자만을 배치한 경우에는, 소정 영역 내의 짐의 총 질량이, 배송되어야 할 짐의 질량분만큼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짐이 배치되지 않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소정 영역 내의 화상뿐만 아니라, 짐의 질량도 고려하여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오판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짐을 수취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에 대해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 의뢰 유저 단말기를 구비해도 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한 경우에,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별부로부터의 문의에 대해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가 상기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한 경우에, 상기 전회 화상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짐을 수취하는 유저(이하, 의뢰 유저라고도 함)가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을 반출한 경우에는, 정당한 유저에 의한 짐의 반출이므로 문제는 없다. 그러나 그 후에 배송 유저가 짐을 배송할 때에는, 소정 영역 내의 상태가, 전회의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과는 상이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화상을 짐의 반출에 관한 판별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는 의뢰 유저 단말기가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한 경우에, 전회의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이 짐의 반출에 관한 판별에 사용되지 않도록 이 화상을 리셋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새롭게 기억된 화상을 사용하여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오판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짐 관리 시스템은, 상기 판별부가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짐의 배송을 의뢰한 유저 등이 짐의 반출을 즉시 알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짐을 수취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에 대해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 의뢰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다는 회답이 돌아온 경우에, 전회 화상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짐 관리 방법은, 차량 내에 존재하는 소정 영역을 짐의 배송 장소로서 이용하는 것과, 상기 짐을 배송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는 것과,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이 시해정된 것에 수반하여 촬영 장치에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는 것과, 상기 촬영한 화상을 기억시키는 것과,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기준 화상과, 상기 차량이 시정되었을 때의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비교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화물실을 짐의 전달 장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큐리티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차량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보디 ECU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배송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차량 관리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한 동화상을 촬영 및 기억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변화 판별 처리의 플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변화 판별 처리부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변화 판별 처리부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화물실 도어의 화물실 내측에 촬영 장치를 설치하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짐의 반출을 판별할 때의 센터 서버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변화 판별 처리부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의뢰 유저에 의해,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이 있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배송 관리 유저 또는 의뢰 유저가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의뢰 유저 단말기가 의뢰 유저에 대해 통지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배송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배송 유저 단말기가 배송 유저에 대해 통지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시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한 짐의 질량을 검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변화 판별 처리의 플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짐 관리 시스템(1)은, 짐의 배송 작업을 의뢰하는 사람과 짐의 배송 작업을 의뢰받은 사람 사이에서 당해 의뢰자가 지정하는 차량(10)의 화물실(트렁크 룸)을 공유(셰어)함으로써, 당해 화물실을 전달 장소로 하는 배송 서비스에 있어서 짐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짐의 배송 작업을 의뢰하는 자」 및 「짐의 배송 작업을 의뢰받은 자」는, 각각 차량(10)의 화물실을 이용하는 유저이지만, 양자를 구별하기 위해, 전자를 「의뢰 유저」라고 칭하고, 후자를 「배송 유저」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화물실은, 배송되는 짐을 배치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장치(10A)에 의해 시해정되도록 구성되는, 차량(10) 내의 소정 영역이다. 소정 영역의 일례로서는, 차량의 트렁크나, 조수석 등의 차실 공간이어도 된다. 당해 화물실은, 차량(10)의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차실과는, 서로 액세스가 불가능해지도록 구획된 영역이다.
도 1의 예에서는, 짐 관리 시스템(1)은, 차량(10)에 설치되는 차량 탑재 장치(10A), 배송 유저 단말기(200), 의뢰 유저 단말기(50), 센터 서버(400), 배송 관리 서버(500A, 500B)를 포함한다. 차량 탑재 장치(10A), 배송 유저 단말기(200), 의뢰 유저 단말기(50), 센터 서버(400) 및 배송 관리 서버(500A, 500B)는, 네트워크(N1)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네트워크(N1)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 통신망이며 WAN(Wide Area Network)이나 그 밖의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N1)는, 휴대 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차량 탑재 장치(10A)는,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2)를 통해, 배송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인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접속된다. 또한, 짐 관리 시스템(1)에는, 예시적으로 2개의 배송 관리 서버(500A, 500B)가 포함되어 있지만, 배송 관리 서버는 3대 이상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송 관리 서버에 대해 총괄적으로 언급하는 경우에는, 그 참조 번호를 500으로 한다.
배송 관리 서버(500)는, 의뢰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인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배송 대상이 되는 물품(이하, 짐이라고도 말함)의 등록을 접수한다. 의뢰 유저는, 예를 들어 전자 상거래 사업자에 의해 개설된 상품 구입 사이트에서 구입한 물품을 짐으로서 배송 유저에게 배송하게 하는 경우에,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인스톨된 짐 관리 시스템(1)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말함)에 의해, 그 짐에 관한 배송 정보를, 배송 관리 서버(500)에 등록할 수 있다. 배송 정보는,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나, 배송의 스케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는, 배송 관리 서버(500)에 있어서는, 의뢰 유저와 관련되어 있는 차량(10)에도 미리 대응되어 있고, 차량(10)을 포함하는, 자기(의뢰 유저)와 관련된 배송 장소의 후보로부터 의뢰 유저는 이용할 배송 장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그것도 배송 정보에 포함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의뢰 유저의 배송 장소를 차량(10)으로 하여 그 설명을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배송 정보에는, 짐의 스테이터스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당해 스테이터스 정보로서는, 짐의 배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의 정보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배송 관리 서버(500A)와 배송 관리 서버(500B)는, 상이한 배송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배송 관리 서버(500A)로 관리되고 있는 배송 정보에 따른 짐의 배송은, 배송 관리 서버(500B)로 관리되고 있는 배송 정보에 따른 짐의 배송을 행하는 배송 사업자와는 상이한 배송 사업자에 의해 행해진다. 배송 관리 서버(500A, 500B)를 관리하는 각 배송 사업자에 속하는 배송 유저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후, 각각 배송 유저 A, 배송 유저 B와 같이 첨자를 붙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배송 관리 서버(500)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짐의 배송의 의뢰를 접수하면, 그 배송 장소가 차량(10)인 경우, 짐을 수용하는 차량(10)을 시해정하기(「짐을 수용하는 차량(10)의 화물실을 시해정함」이라고도 함) 위한 인증 정보를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하도록, 센터 서버(400)에 요구한다. 당해 요구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를 기점으로 하여 행해진다. 센터 서버(400)는, 배송 정보에 포함되는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된 차량(10)의 인증 정보를,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배송 유저는, 그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10)의 화물실을 시해정함으로써, 짐을 배송하기 위해 차량(10)의 화물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 탑재 장치(10A)에 전송되고, 차량 탑재 장치(10A)에 의한 인증 처리를 받음으로써, 차량 탑재 장치(10A)에 차량(10)의 화물실의 시해정 처리를 실행시키는 디지털 정보이다. 또한, 차량(10)의 화물실의 시해정 처리라 함은, 짐을 수용하는 차량(10)의 화물실의 도어를, 상세를 후술하는 차량 탑재 장치(10A)에 의해 시해정하는 처리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10A), 배송 유저 단말기(200), 의뢰 유저 단말기(50), 배송 관리 서버(500), 센터 서버(400)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장치(10A), 배송 유저 단말기(200), 의뢰 유저 단말기(50), 배송 관리 서버(500), 센터 서버(4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탑재 장치(10A)는, 키 유닛(100), 시해정 장치(300), 촬영 장치(11), 화상 기억부(12), 통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유닛(100)은, 스마트 키의 전자 키(이하, 휴대기)와 마찬가지인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고, 차량 탑재 장치(10A)가 갖는 시해정 장치(300)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물리적인 키를 사용하는 일 없이 차량(10)의 화물실이나 차실의 시해정(이하, 화물실과 차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차량(10)의 시해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키 유닛(100)은,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의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인증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이 차량(10)의 전자 키로서 기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짐의 배송을 위해 차량(10)의 화물실에 액세스할 때, 당해 화물실의 시해정을 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센터 서버(400)에 발행하게 한다. 그리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키 유닛(100)으로 송신된 인증 정보는, 키 유닛(100)에 미리 기억된 인증 정보와 대조된다. 그 인증 처리가 성공하면,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차량 탑재 장치(10A)를 정당하게 작동시키는 단말기로서 인증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인증되면, 키 유닛(100)은, 키 유닛(100)에 미리 기억되어, 인증 정보와 대응된 차량(10)의 키 ID를, 시정 신호 또는 해정 신호와 함께 시해정 장치(300)로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정 신호와 해정 신호를 시해정 신호라고 총칭한다. 시해정 신호라고 하는 용어는, 시정 신호와 해정 신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낸다. 시해정 장치(300)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한 키 ID가, 시해정 장치(300)에 미리 저장되는 키 ID와 일치하는 경우에 차량(10)을 시해정한다. 키 유닛(100) 및 시해정 장치(300)는, 차량(10)에 탑재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키 유닛(100)에 미리 기억되는 키 ID는, 인증 정보에 의해 암호화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00)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인증 처리가 성공하면, 키 ID를 인증 정보에 의해 복호하고 나서 시해정 장치(300)로 송신하면 된다.
여기서, 시해정 장치(30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시해정 장치(300)는, 차량(10)의 차실이나 화물실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량(10)에 대응하는 휴대기로부터, 고주파(Radio Frequency, 이하, RF라고 칭함)대의 전파를 통해 송신되는 시정 신호 및 해정 신호에 따라서, 차량(10)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한다. 또한, 휴대기를 검색하기 위한, 저주파(Low Frequency, 이하, LF라고 칭함)대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휴대기 대신에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RF대 및 LF대의 전파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10)의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한다. 이후, 언급이 없는 한, 시해정 장치(300)의 통신처를 키 유닛(100)으로 한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시해정 장치(300)는, LF 송신기(301), RF 수신기(302), 대조 ECU(303), 보디 ECU(304), 도어록 액추에이터(305), 도어 스위치(3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F 송신기(301)는, 키 유닛(100)을 검색(폴링)하기 위한 저주파수대(예를 들어, 100㎑ 내지 300㎑)의 전파를 송신하는 수단이다. LF 송신기(301)는, 예를 들어 차실 내의 센터 콘솔이나 핸들의 근방에 내장된다. RF 수신기(302)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고주파수대(예를 들어, 100㎒ 내지 1㎓)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RF 수신기(302)는, 차실 내의 어느 장소에 내장된다.
대조 ECU(303)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RF대의 전파를 통해 송신된 신호(시정 신호 또는 해정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차실이나 화물실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대조 ECU(30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대조 ECU(303)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시해정 신호가, 정당한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 것을 인증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해정 신호에 포함되는 키 ID가, 대조 ECU(303)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키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대조 ECU(303)는, 이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보디 ECU(304)에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이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차내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다.
도 3은, 차량(10)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는, 차량(10)의 도어(승차 공간인 차실에의 승하차 시에 개폐되는 차실 도어나, 화물실(15)에의 짐의 하역 시에 개폐되는 화물실 도어(16))를 시정 및 해정하는 액추에이터이다.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는, 보디 ECU(304)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또한,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는, 차량(10)에 있어서의 차실 도어와 화물실 도어(16)를 독립적으로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3에는, 화물실 도어(16)를 시정 및 해정하는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의 해칭의 범위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범위이다.
도어 스위치(306)는, 차량(10)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ON 되는 한편, 당해 차량(10)의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OFF 되는 스위치이다. 도 3에는, 화물실 도어(16)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스위치(306)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어 스위치(306)의 ON/OFF 신호는, 보디 ECU(304)에 입력된다. 또한, 도어 스위치(306)는, 본 발명에 관한 「검지부」로서 기능해도 된다.
보디 ECU(304)는, 차량(10)의 보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도 4는, 보디 ECU(304)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보디 ECU(304)는, 시해정 처리부(3041)와, 변화 판별 처리부(3042)와, 촬영 처리부(3043)와, 통지 처리부(3044)를 구비한다. 시해정 처리부(3041)는, 대조 ECU(303)로부터 수신한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에 기초하여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의 차실 도어나 화물실 도어(16)의 해정 및 시정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대조 ECU(303)와 보디 ECU(304)는 일체의 것이어도 된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 촬영 처리부(3043), 통지 처리부(304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키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키 유닛(100)은, 차량(10)의 차실 내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글로브 박스 내)에 배치된 장치이다. 키 유닛(100)은,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여 당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인증하는 기능과, 이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RF대의 전파를 사용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키 유닛(100)은, LF 수신기(101), RF 송신기(102), 근거리 통신부(103), 제어부(104)를 갖고 구성된다.
LF 수신기(101)는,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LF대의 전파를 통해 송신된 폴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LF 수신기(101)는, LF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하, LF 안테나)를 갖고 있다. RF 송신기(102)는, RF대의 전파를 통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해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103)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와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103)는, 소정의 무선 통신 규격을 사용하여, 근거리(차실 내와 차실 밖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도)에 있어서의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03)는 Bluetooth(등록상표) LowEnergy 규격(이하, BLE)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BLE라 함은, Bluetooth에 의한 저전력 통신 규격이며, 기기끼리의 페어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대를 검지함으로써 바로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BLE를 예시하지만, 다른 무선 통신 규격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 band), WiFi(등록상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04)는, 근거리 통신부(103)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인증하는 제어와,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04)는, 기억부(1041) 및 인증부(1042)를 갖고 있다. 기억부(1041)에는, 키 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104)는, 기억부(104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도시하지 않은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인증부(1042)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4)는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LF대의 전파로서 송신된 폴링 신호를 LF 수신기(101)를 통해 수신하는 기능, 시해정 장치(300)에 RF대의 전파로서 시해정 신호를 RF 송신기(102)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 근거리 통신부(103)를 통해 행하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 인증부(1042)에 의한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시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등을 실현한다.
인증부(1042)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시정 요구 또는 해정 요구(이하, 시해정 요구라고 총칭함)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인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41)에 기억된 인증 정보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이것들이 소정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인증 성공이라고 판단한다. 양쪽의 인증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인증 실패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의 관계라 함은, 기억부(1041)에 기억된 인증 정보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외에, 2개의 인증 정보를 사용한 소정의 암호화·복호화 등의 처리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2개의 인증 정보 중 한쪽에 복호 처리를 행한 결과가 다른 쪽과 일치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인증부(1042)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요구에 따라서 발생된 시해정 신호가 RF 송신기(102)를 통해 시해정 장치(300)로 송신된다. 이후, 설명의 필요에 따라서, 키 유닛(100)에 기억되는 인증 정보를 장치 인증 정보,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정보를 단말기 인증 정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키 유닛(100)은, 시해정 신호와 함께, 상기한 키 ID를 시해정 장치(300)로 송신한다. 키 ID는, 평문의 상태로 미리 키 유닛(100)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에 고유한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키 ID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되는 경우,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으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에 의해 암호화된 키 ID를 복호하여, 본래의 키 ID를 얻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촬영 장치(11)는, 차량(10)의 화물실(15) 내에 설치되어 있고, 화물실(15) 내를 촬영한다. 촬영 장치(11)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이다.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영 장치(11)가 동화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촬영 장치(11)는, 키 유닛(100) 및 시해정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차량(10)에 탑재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화상 기억부(12)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에 의해,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 데이터나, 동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혹은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이다. 통지부(13)는, 후술하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 소정의 통지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차량 탑재 장치(10A)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를 기점으로 하여, 키 유닛(100)에 의한 인증 처리를 거쳐 시해정 장치(300)를 작동시켜, 차량(10)의 차실이나 화물실을 시해정하는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 웨어러블 컴퓨터(스마트 워치 등)와 같은 소형의 컴퓨터이다. 또한,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1)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에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여도 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부(201), 통신부(202), 제어부(203), 입출력부(204)를 갖고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부(201)는,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동일한 통신 규격에 의해, 키 유닛(1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201)와 키 유닛(100) 사이에 형성되는 네트워크가, 도 1에 있어서 N2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통신부(202)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G(3rd Generation)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N1) 경유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배송 관리 서버(500) 등)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203)는, 예를 들어 상술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 취득된 단말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시해정 요구를 생성하는 처리, 생성된 시해정 요구를 키 유닛(100)으로 송신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수단(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시킴으로써 상기한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203)는, 입출력부(204)를 통해 배송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행한다. 입출력부(204)는, 배송 유저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배송 유저에 대해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과 그 제어 수단, 액정 디스플레이와 그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터치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3)는, 입출력부(204)에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배송 유저가 행한 조작에 따른 시해정 요구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해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 시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하고, 배송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기초하여, 해정 요구 내지 시정 요구를 생성한다. 또한, 배송 유저가 행하는 조작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통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스위치 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3)는, 센터 서버(400)로부터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단말기 인증 정보는, 시해정 장치(300)가 키 유닛(100)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키 ID)가 아니라, 키 유닛(100)이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차량(10)에 탑재되는 키 유닛(100)에 고유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3)가, 통신부(202)를 통해, 단말기 인증 정보의 발행 요구를,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센터 서버(400)로 송신한다. 여기서 말하는 「단말기 인증 정보의 발행 요구」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와 키 유닛(100)에 고유한 단말기 인증 정보의 발행을 요구하는 신호가 포함된다. 단말기 인증 정보의 발행 요구를 수신한 센터 서버(400)는,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키 유닛(100)에 고유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 상에 있어서, 차량(10)을 해정하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단말기 인증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조작 화면으로부터의 시정 조작 및 해정 조작은 불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취득하는 단말기 인증 정보는, 배송 유저의 배송 작업의 종료에 수반되는 화물실 도어(16)의 시정을 트리거로 하여 무효화되는, 원타임 키이다. 예를 들어, 센터 서버(400)로부터 송신되는 단말기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된 타이밍에, 당해 단말기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고, 그 후, 배송 작업의 종료에 수반되는 화물실 도어(16)의 시정이 행해졌을 때에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시정 통지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된 타이밍에, 당해 단말기 인증 정보가 상기한 기억부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기억부에 기억된 단말기 인증 정보가 소거되는 타이밍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터 서버(400)로부터 송신되는 단말기 인증 정보를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수신한 시점(또는, 센터 서버(400)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향해 단말기 인증 정보를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기 인증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타임 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시간대만 유효해지는 한정적인 키여도 된다. 그리고 단말기 인증 정보가 원타임 키인지, 또는 한정적인 키인지에 관계없이, 당해 단말기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키 유닛(100)에 사전에 기억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대해 설명한다. 의뢰 유저 단말기(50)도, 상기 배송 유저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 웨어러블 컴퓨터(스마트 워치 등)와 같은 소형의 컴퓨터여도 되고, 퍼스널 컴퓨터여도 된다. 의뢰 유저 단말기(50)는, 통신부(51), 제어부(52), 입출력부(53), 근거리 통신부(54)를 갖고 구성된다.
통신부(51)는, 기능적으로는 상기 통신부(202)와 동등한,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제어부(52)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5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수단(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시킴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현된다. 이 입출력부(53)도, 기능적으로는 상기 입출력부(204)와 마찬가지인, 의뢰 유저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고, 의뢰 유저에 대해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54)는,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동일한 통신 규격에 의해, 키 유닛(1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제어부(52)가 센터 서버(400)로부터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하고 그 단말기 인증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54)를 통해 키 유닛(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함으로써,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시해정 장치(300)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배송 관리 서버(500)에 대해 설명한다. 배송 관리 서버(500)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갖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짐 관리 시스템(1)에 복수의 배송 사업자가 참가하는 경우에는, 각 배송 사업자가 자기용의 관리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송 관리 서버를 준비한다. 배송 관리 서버(5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의 주 기억부(도시하지 않음),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의 보조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컴퓨터이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혹은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이다. 보조 기억부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OS), 각종 프로그램, 각종 테이블 등이 저장되고, 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주 기억부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목적에 합치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500)는 통신부(501)를 갖는다. 통신부(501)는, 다른 장치와 접속하고, 배송 관리 서버(500)와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센터 서버(400)나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501)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보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LAN 인터페이스 보드나 무선 통신 회로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1)에 접속된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500)는, 상술한 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관리 DB(데이터베이스)(503)를 갖고 있다. 배송 관리 DB(503)는, 상기한 보조 기억부에 배송 정보가 저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거기서는 의뢰 유저와 배송 정보의 관련짓기가 행해져 있다. 배송 관리 DB(503)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된다. 배송 관리 DB(503)는, 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배송 관리 DB(503)에 저장되는 배송 정보의 구성에 대해,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배송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하고, 배송 정보 테이블은, 의뢰 유저 ID, 배송 일시, 배송 장소, 배송 스테이터스, 짐 속성의 각 필드를 갖는다. 의뢰 유저 ID 필드에는, 의뢰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배송 일시 필드에는, 짐이 배송되는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고, 특히 배송 시간에 관해서는, 특정 시간이 입력되어도 되고, 배송이 요구되는 특정 시간대가 입력되어도 된다. 배송 스테이터스 필드에는, 배송 유저에 의한 짐의 배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짐의 배송이 완료된 경우에는 「완료」라고 입력되고, 당해 배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완료」라고 입력된다. 짐 속성 필드에는, 예를 들어 짐에 관한, 무게나 크기 등의 속성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배송 관리 서버(500)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기능부로서 제어부(502)가 형성된다. 제어부(502)는, 배송 관리 DB(503)에의 배송 정보의 등록이나 갱신 등의 관리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의뢰 유저가 그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통해 짐의 배송을 의뢰하면, 그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에, 배송 일시, 배송 장소 등을 연관시켜, 당해 의뢰 유저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 관리 DB(503)에 저장한다. 또한, 배송 정보 생성 후에, 의뢰 유저로부터, 배송 일시나 배송 장소의 정보 변경의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에 맞추어 저장되어 있는 배송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통신부(501)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와 통신을 행하여, 배송 정보에 포함되는, 짐의 스테이터스에 관한 정보의 갱신도 행한다. 예를 들어, 배송 유저가 입출력부(204)를 통해 입력한 스테이터스 정보(예를 들어, 배송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수취하여,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배송 관리 DB(503)에는, 의뢰 유저와, 대응하는 배송 장소로서의 차량(10)을 연관시킨 차량 관리 정보도 저장된다. 차량 관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차량 관리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하고, 차량 관리 정보 테이블은, 의뢰 유저 ID 필드, 의뢰 유저가 배송 장소로서 차량(10)을 선택하였을 때, 배송 유저가 그 차량(10)을 발견 가능해지도록, 차량(1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차종, 차량의 색, 넘버)가 입력되는, 차종 필드, 색 필드, 넘버 필드를 갖는다. 또한, 차량 관리 정보 테이블은, 차량(10)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차량 위치 필드도 갖는다. 차량(10)의 위치 정보는, 의뢰 유저로부터의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취득되어도 되고, 또한 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에 설치된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센터 서버(400)가 파악하고 있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센터 서버(40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502)는, 의뢰 유저와 연관된 배송 정보와 차량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유저가 짐을 차량(10)에 배송할 수 있도록, 그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대해 배송의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이 배송의 지시는, 한 번이 아니라 복수 회에 걸쳐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예정 배송일의 전날에, 다음날의 배송과 관련된 배송 지시를 정리하여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배송 당일에는 다시 배송 지시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다시 송신할 때, 배송 정보 또는 차량 관리 정보에 갱신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갱신 내용을 반영시킨다.
배송 관리 서버(500)의 각 기능 구성 요소 중 어느 것, 또는 그 처리의 일부는, 네트워크(N1)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500)로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센터 서버(400)에 대해 설명한다. 센터 서버(400)도,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갖고 있고, 기본적인 하드 구성은 배송 관리 서버(500)와 동일하고, 도시하지 않은 프로세서, 주 기억부, 보조 기억부를 갖는다. 따라서, 보조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주 기억부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목적에 합치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400)도 통신부(401)를 갖고 있고, 통신부(401)는, 기능적으로는 상기 배송 관리 서버(500)가 갖는 통신부(501)와 동등한 것이며, 센터 서버(400)와 다른 장치(예를 들어, 배송 관리 서버(500) 등)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또한, 센터 서버(400)는, 그 보조 기억부에,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정보 DB(403), 인증 정보 DB(404)를 갖고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DB)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된다. 유저 정보 DB(403), 인증 정보 DB(404)는, 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리고 유저 정보 DB(403)는, 차량(10)을 이용하는 유저(예를 들어, 짐을 차량(10)에 배송하거나 하는 배송 유저나, 배송된 짐을 회수하는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패스워드 등을 저장한다.
인증 정보 DB(404)는, 상기한 단말기 인증 정보에 상당하는, 차량(10)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차량(10)의 인증 정보는, 차량(10)의 식별 정보(키 ID)에 대응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장치(10A)가 갖는 키 유닛(100)에 고유한 식별 정보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 DB(404)는, 차량(10)의 인증 정보 외에, 당해 인증 정보의 유효 기간(유효 시간대를 포함함), 당해 인증 정보의 실효 유무 등의 정보를 저장해도 된다. 인증 정보의 유효 기간은, 인증 정보와 함께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되어도 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인증 정보의 유효 기간을 수신하면, 유효 기간을 경과한 인증 정보를 삭제하여 실효시킬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의 실효 유무는,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되어 유효한 상태인지, 유효 기간을 경과하여 실효 중인지의 상태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인증 정보 관리부(4021)가,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되어 유효한 상태인 경우에는, 인증 정보가 유효 기간이 겹쳐 발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증 정보의 중복 발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400)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기능부로서 제어부(402)가 형성된다. 제어부(402)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 등에의 인증 정보의 발행과 관련된 제어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2)는, 기능부로서 인증 정보 관리부(4021), 시해정 제어부(4022)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 관리부(4021)는, 차량(10)을 시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의 발행을 관리한다. 상세하게는, 인증 정보 관리부(4021)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차량(10)을 시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의 송신 요구를 접수한다. 인증 정보 관리부(4021)는, 인증 정보의 송신 요구와 함께, 인증 정보의 송신처인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정보를 수신한다. 인증 정보 관리부(4021)는, 키 유닛(100)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단말기 인증 정보)를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인증 정보 관리부(4021)는, 유효 기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차량 탑재 장치(10A)의 키 유닛(100)은, 유효 기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해도 유효 기간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증 정보가 실효된 것으로 하여, 차량(10)의 시해정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디 ECU(30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촬영 처리부(3043)는, 차량(10)에 있어서의 화물실 도어(16)의 개폐에 수반하여 도어 스위치(306)로부터 출력되는 ON/OFF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11)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의 화물실(15) 내를 동화상 촬영한다. 상세하게는, 촬영 처리부(3043)는, 화물실 도어(16)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도어 스위치(306)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촬영 장치(11)에 동화상 촬영을 개시시키고, 그 후, 화물실 도어(16)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도어 스위치(306)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촬영 장치(11)에 동화상 촬영을 종료시킨다. 또한, 촬영 처리부(3043)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보디 ECU(304)가 촬영 장치(11)를 제어하고, 화상 기억부(12)에 화상을 기억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장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촬영 장치(11)에 의한 촬영은, 배송 유저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10)의 화물실(15)을 시해정한 경우에 행한다. 즉, 배송 유저가 원타임 키를 사용하여 화물실(15)을 시해정한 경우에, 시해정 처리부(3041)가 촬영 처리부(3043)에 대해 그 취지의 신호를 보내고, 그 신호를 받은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를 제어하여 동화상을 촬영하게 한다. 한편, 의뢰 유저가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10)의 화물실(15)을 시해정한 경우에는, 시해정 처리부(3041)는 촬영 처리부(3043)에 대해 화물실(15)을 시해정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의뢰 유저가 화물실(15)을 시해정해도, 촬영 장치(11)에 의한 동화상의 촬영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의뢰 유저에 의한 화물실(15)의 시해정 시에 있어서도, 배송 유저일 때와 마찬가지로 하여 촬영 장치(11)에 의한 촬영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이하, 「변화 판별 처리」라고도 말함)를 행한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판별부」가 실현되어도 된다. 판별부는, 차량이 구비할 수도 있고, 유저의 단말기가 구비할 수도 있고, 시해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나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가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변화 판별 처리는, 예를 들어 촬영 장치(11)에 의한 촬영이 종료되어 화상이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개시된다.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차량(10)에 있어서의 화물실 도어(16)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한 직후(즉, 도어 스위치(306)로부터 보디 ECU(304)에 입력되는 신호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화된 직후)의 화상(이하, 「기준 화상」이라고 칭함)과, 그 후에 차량(10)에 있어서의 화물실 도어(16)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한 직후(즉, 도어 스위치(306)로부터 보디 ECU(304)에 입력되는 신호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변화된 직후)의 화상(이하, 「비교 화상」이라고 칭함)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양 화상을 비교한다. 또한,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은,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켜 두어도 되고, 촬영 처리부(3043)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어도 된다.
촬영 처리부(3043)는, 도어 스위치(306)로부터의 신호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화되는 시점으로부터,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변화되는 시점까지의 기간, 촬영 장치(11)에 동화상을 촬영시키기 위해,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촬영 장치(11)에 촬영된 동화상의 개시 시점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하고, 종료 시점의 화상을 비교 화상으로 하여, 양 화상을 비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화물실(15)이 해정되고 나서 도어 스위치(306)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의 동안은, 화물실 도어(16)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배송 유저는 화물실(15)에 액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화물실(15)이 시정되고 나서 도어 스위치(306)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는, 화물실(15) 내의 상태에 변화는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기준 화상은, 화물실(15)이 해정되었을 때의 화물실(15) 내를 나타내는 화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기준 화상은, 화물실(15)이 해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스위치(306)가 OFF 상태가 되고 나서 화물실(15)이 시정될 때까지 동안은, 화물실 도어(16)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배송 유저는 화물실(15)에 액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306)가 OFF 상태로 되고 나서 화물실(15)이 시정될 때까지는, 화물실(15) 내의 상태에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비교 화상은, 화물실(15)이 시정되었을 때의 화물실(15) 내를 나타내는 화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비교 화상은, 화물실(15)이 시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된 동화상은,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시해정 장치(300)가 화물실(15)(소정 영역)을 시해정한 것에 수반하여 화물실(15)의 내부를 촬영 장치(11)에 촬영하게 한 화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을 비교하여, 기준 화상에 있어서의 화물실(15) 내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짐(이하, 선행 짐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비교 화상에 있어서의 화물실(15)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면, 화물실(15) 내로부터 선행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을 비교한 결과,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배송해야 할 짐이 배송되지 않은, 즉, 배송 유저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기준 화상에 있어서의 화물실(15) 내에 존재하지 않는 물체가, 비교 화상에 있어서의 화물실(15)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면, 배송 유저에 의해 짐이 배송되었다고 판별해도 된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에 있어서의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화물실(15)에 있어서 짐의 출납이 있는 것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에 기초하여 판별 가능한 방법이라면 되고 그 방법에 대해서는 묻지 않는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 짐의 반출이 있었을 때의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으로서, 이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배송 유저에 의해 짐이 배송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12)에 기억한 동화상,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이하, 이것들을 통합하여 기억 화상 데이터라고도 함)을 화상 기억부(12)로부터 삭제해도 되고, 동화상만을 화상 기억부(12)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또한, 화상 기억부(12)의 기억 용량에 여유가 있는 한, 기억 화상 데이터를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켜 두고, 기억 용량에 여유가 없어지면, 오래된 순으로부터 기억 화상 데이터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 통지 처리부(3044)에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보낸다. 통지 처리부(3044)는, 변화 판별 처리부(3042)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통지 처리」는, 예를 들어 차량(10)에 탑재된 통지부(13)를 작동시키는 처리이다. 즉, 통지부(13)는, 짐의 반출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반출 신호라고도 함)를 통지 처리부(3044)로부터 받음으로써 작동한다. 통지부(13)가 작동함으로써, 짐이 반출된 것이 주위에 통지된다. 이 통지에는, 소리에 의한 경고(경적을 울리거나, 또는 짐이 반출되었다는 취지의 음성을 흐르게 하는 것을 포함함)나, 램프류의 점등 또는 점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짐을 가지고 달아나려고 하는 배송 유저에 대해 경고하거나, 차량(10)의 근처에 있는 제삼자에 대해 짐의 반출을 통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에 설치된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센터 서버(400)나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반출 신호를 보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지 처리부(3044)가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통지부」의 기능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통지부는, 차량이 구비할 수도 있고, 유저의 단말기가 구비할 수도 있고, 시해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나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가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한 동화상을 촬영 및 기억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해 화상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기억시키는 처리를 촬영 처리라고도 한다. 스텝 S101에서는, 촬영 처리부(3043)가, 도어 스위치(306)로부터의 신호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스텝 S101에서는,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에 의한 촬영의 개시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스텝 S101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101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하여,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를 제어함으로써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3에서는, 촬영 처리부(3043)가 도어 스위치(306)로부터의 신호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스텝 S103에서는,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에 의한 동화상의 촬영의 종료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스텝 S103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촬영 장치(11)에 의한 동화상의 촬영이 계속되고, 한편,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를 제어하여 동화상의 촬영을 종료시킴과 함께, 촬영 장치(11)가 촬영한 동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촬영 처리부(3043)는, 촬영이 종료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변화 판별 처리부(3042)로 보낸다. 또한,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에 정지 화상을 촬영하게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2에 있어서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시키는 대신에, 정지 화상을 촬영시켜 이 정지 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키고, 또한 스텝 S104에 있어서 동화상의 촬영을 종료시키는 대신에, 정지 화상을 촬영시켜 이 정지 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된 화상에 기초하여,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변화 판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변화 판별 처리의 플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화 판별 처리는, 차량 탑재 장치(10A)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05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화상 기억부(12)에 동화상이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5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105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으로부터,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추출한다. 또한,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에 정지 화상을 촬영하게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5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화상 기억부(12)에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이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106을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107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을 비교하고, 스텝 S108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108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9로 진행하여,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통지 처리부(3044)에 대해 반출 신호를 보내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로부터 반출 신호를 받은 통지 처리부(3044)는, 소정의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변화 판별 처리부(3042)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플로에서는, 의뢰 유저로부터의 배송 의뢰에 따라서 그 짐을 배송하기 위해, 배송 유저가 차량(10)의 근처에 도달하였을 때, S11의 처리, 즉,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센터 서버(400)에 인증 정보의 발행 요구가 실행된다. 그리고 센터 서버(400)는, 배송 정보에 포함되는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된 차량(10)의 인증 정보를 발행한다(S12의 처리).
그리고 S13에서는, 발행된 인증 정보가, 배송 관리 서버(500)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센터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되면, 당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의한 차량(10)의 화물실(15)의 시해정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S21 내지 S24에서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차량(10)의 화물실(15)을 해정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S21 내지 S24의 처리가 행해짐에 있어서,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배송 유저에 의해, 차량(10)의 키 유닛(100)과 배송 유저 단말기(20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성립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지는 것으로 한다.
배송 유저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입출력부(204)를 통해 차량(10)을 해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S21에 있어서,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키 유닛(100)에 대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해정 요구를 송신한다. 그리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해정 요구가 키 유닛(100)에 의해 수신되면, S22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해정 요구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단말기 인증 정보)와 기억부(1041)에 기억된 인증 정보(장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양 인증 정보의 인증에 성공하면, S23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해 해정 신호 및 키 ID를 송신한다.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해정 신호 및 키 ID가 시해정 장치(300)에 의해 수신되면, S24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수신한 키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된다. 또한 이때, 시해정 장치(300)는, 키 유닛(100)에 대해 앤서백 등을 행해도 된다.
S31 내지 S38에서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차량(10)을 시정하기 위한 처리, 및 당해 시정과 관련된 처리가 행해진다. 배송 유저가 해정 처리에 의해 화물실 도어(16)를 개방시키고, 소정의 배송 작업을 행한 후에, 화물실 도어(16)를 폐쇄시키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입출력부(204)를 통해 차량(10)을 시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S31에 있어서,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키 유닛(100)에 대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시정 요구를 송신한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시정 요구가 키 유닛(100)에 의해 수신되면, S32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시정 요구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단말기 인증 정보)와 기억부(1041)에 기억된 인증 정보(장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양 인증 정보의 인증에 성공하면, S33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해 시정 신호 및 키 ID를 송신한다.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시정 신호 및 키 ID가 시해정 장치(300)에 의해 수신되면, S34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수신한 키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10)의 화물실(15)이 시정된다. 또한, 키 유닛(100)은, 시해정 장치(300)에 대한 시정 신호를 송신한 후에,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대해 시정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시정 통지)를 송신한다(S35의 처리). 이에 의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터치 패널 스크린 상에, 시정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가 출력된다.
당해 시정 통지에 의해 배송 유저가 짐의 배송을 완료한 것을 확인하면, 배송 유저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입출력부(204)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에 저장되어 있는 배송 정보에 있어서의 배송 스테이터스를 갱신하기 위해, 최신의 배송 스테이터스, 즉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스테이터스의 입력을 행한다(S36의 처리). 이에 의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최신의 배송 스테이터스가 배송 관리 서버(500)로 송신된다(S37의 처리). 이 결과, 최신의 배송 스테이터스를 수취한 배송 관리 서버(500)에 있어서는, 제어부(502)가 배송 정보를 갱신한다(S38의 처리). 또한, 배송 스테이터스의 갱신에 대해서는, 배송 유저 자신이 그것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대신에,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키 유닛(100)으로부터 시정 통지를 수취하면, 계속해서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배송 관리 서버(500)에 대해 배송 스테이터스가 배송 완료가 되도록 갱신 지령을 내려도 된다. 또한, 금회의 배송 작업에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서 사용된 인증 정보가 원타임 키인 경우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S35의 처리에서 시정 통지를 수취한 타이밍에, 전술한 S13에서 취득된 인증 정보가 무효화되어도 된다. 즉,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정보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시정 통지를 수취한 타이밍에,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소거되어도 된다.
S24에 있어서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되면, S41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도 7에 나타낸 촬영 처리를 행하고, 또한 S42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도 8에 나타낸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S24에 있어서 차량(10)의 화물실 도어가 해정된 후, 배송 유저가 화물실 도어(16)를 개방시켜, 도어 스위치(306)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화되면, 시해정 장치(300)는, 촬영 장치(11)에 대해 촬영을 개시시킨다. 이 촬영은, 배송 유저가 화물실 도어(16)를 폐쇄시키고, 도어 스위치(306)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도어 스위치(306)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되면, 변화 판별 처리가 실행된다. 시해정 장치(300)는, 화상 기억부(12)로부터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추출하여, 양 화상을 비교한다. 양 화상을 비교한 결과,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소정의 통지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된 경우라도, 의뢰 유저가 짐의 확인을 한 결과, 실제로는 짐의 반출이 없는 경우도 생각된다. 즉,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판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금회의 판별의 오류의 원인이 된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의 상위점은, 금후의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판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학습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판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의뢰 유저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입출력부(204)를 조작함으로써, 통신부(202)를 통해 차량 탑재 장치(10A)에 대해, 금회의 판별이 오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에 의해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상기한 학습을 행한다. 학습 결과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10)의 화물실(15)을 짐의 전달 장소로서 이용하는 짐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통지함으로써 시큐리티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킴으로써, 짐의 반출의 증거를 남겨 둘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어 스위치(306)의 ON/OFF 상태가 변화된 타이밍의 화상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다른 타이밍에 있어서의 화상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기준 화상은, 화물실(15)이 해정되었을 때와 동일한 상태의 화물실(15)을 촬영한 화상이면 되고, 비교 화상은, 화물실(15)이 시정되었을 때와 동일한 상태의 화물실(15)을 촬영한 화상이면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기준 화상으로 설정하는 화상을 촬영하는 타이밍을 제1 타이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비교 화상으로 설정하는 화상이 촬영하는 타이밍을 제2 타이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제1 타이밍은, 화물실(15)이 해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타이밍이고, 제2 타이밍은, 화물실(15)이 시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타이밍이다. 제1 타이밍은, 본 발명에 관한 해정 관련 타이밍에 상당해도 되고, 제2 타이밍은, 본 발명에 관한 시정 관련 타이밍에 상당해도 된다. 촬영 장치(11)가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에 있어서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에 있어서 촬영 처리부(3043)가 촬영 장치(11)에 정지 화상을 촬영시키고,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변화 판별 처리부(3042)는,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에 기초하여 변화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해정한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보디 ECU(304)의 시해정 처리부(3041)가,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로 해정 신호를 보낸 시점을 제1 타이밍으로 한다. 화물실(15)이 해정된 경우에는, 그 후에 화물실 도어(16)가 개방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화물실(15)이 시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외부로부터 화물실(15)로의 액세스는 곤란하기 때문에, 적어도 화물실(15)이 해정될 때까지는, 전회의 화물실 도어(16)의 폐쇄 시의 화물실(15) 내의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화물실(15)이 해정된 후이면, 화물실 도어(16)의 개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짐의 반출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해정한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설정함으로써, 화물실(15) 내의 짐의 출납이 행해지기 전의 화물실(15) 내의 상태에 기초한 변화 판별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이 해정된 시점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내부와 동일한 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차량이 해정된 순간에 촬영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예를 들어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시정한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보디 ECU(304)의 시해정 처리부(3041)가, 도어록 액추에이터(305)로 시정 신호를 보낸 시점을 제2 타이밍으로 한다. 화물실(15)이 시정된 경우에는, 그 후에, 현재의 배송 유저에 의해 화물실 도어(16)가 개방되는 일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화물실(15)이 시정된 후에는, 다음에 올 배송 유저가 화물실 도어(16)를 개방할 때까지는 화물실(15) 내의 상태는 변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시정한 타이밍은, 화물실(15) 내의 짐의 배치가 확정되는 타이밍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의 배송 유저에 의한 짐의 출납이 행해진 후의 화물실(15) 내의 상태에 기초한 변화 판별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이 시정된 시점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의 내부와 동일한 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차량이 시정된 순간에 촬영을 행할 필요는 없다.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해정한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하고, 도어록 액추에이터(305)가 화물실(15)을 시정한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한 경우에, 변화 판별 처리부(3042)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S24에 있어서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되면, S43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촬영 장치(11)에 대해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시키고, S34에 있어서 차량(10)의 화물실(15)이 시정되면, S44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촬영 장치(11)에 대해 동화상의 촬영을 종료시킴과 함께, 동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한, S45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도 8에 나타낸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키 유닛(100)으로부터 시해정 장치(300)로 해정 신호가 보내져 온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해도 되고, 키 유닛(100)으로부터 시해정 장치(300)로 시정 신호가 보내져 온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가 근거리 통신 가능해진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키 유닛(100)의 제어부(104)가 그 취지의 신호를 RF 송신기(102)를 통해 시해정 장치(300)로 보내도록 구성해 둔다. 또한, 이 신호를, 대조 ECU(303)로부터 보디 ECU(304)의 변화 판별 처리부(3042)로 보내도록 구성해 둔다. 여기서,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 사이에서 행해지는 근거리 통신에는, 키 유닛(100)과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범위에서 통신 가능한 규격의 것이 이용되기 때문에, 키 유닛(100)과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어느 정도 이격되면 전파 강도가 저하되어 통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가 통신 가능해졌을 때에는, 배송 유저가 차량(10)에 접근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상태라면, 그 후에 화물실 도어(16)가 개폐되거나, 화물실(15) 내에 짐이 배치되거나 하기 때문에, 화물실(15)의 상태가 변화되기 전의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해진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로부터 근거리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이행한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00)의 근거리 통신부(103)와,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01)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로부터 근거리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 키 유닛(100)의 제어부(104)가 그 취지의 신호를 RF 송신기(102)를 통해 시해정 장치(300)로 보내도록 구성해 둔다. 또한, 이 신호를, 대조 ECU(303)로부터 보디 ECU(304)의 변화 판별 처리부(3042)로 보내도록 구성해 둔다.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로부터 근거리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소지한 배송 유저가 차량(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 이후, 짐의 출납이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로부터 근거리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는, 화물실(15) 내의 상태가 이 이후에 변화되지 않으므로, 이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설정한다.
또한, 촬영 처리부(3043)는, 촬영 장치(11)를 제어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촬영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을 의뢰 유저가 결정해도 되고, 화물실 도어(16)의 개방 직전 혹은 직후의 촬영 타이밍을 제1 타이밍으로 하고, 화물실 도어(16)의 폐쇄 직전 혹은 직후의 촬영 타이밍을 제2 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
촬영 장치(11)는, 화물실(15) 내의 넓은 범위를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11)는, 차량(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화물실(15)의 중앙 부근이며, 또한 차량(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화물실(15)의 중앙 부근의 화물실(15)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 촬영 장치(11)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고, 화물실(15) 전체를 촬영 가능한 위치이면 된다. 여기서, 촬영 장치(11)에 근접하여 짐이 배치된 경우에는, 그 짐에 의해 촬영 장치(11)에 사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변화 판별 처리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1)의 사각에 짐이 배치되거나, 사각에 배치된 짐이 반출되거나 해도, 촬영 장치(11)에 촬영된 화상에 의해서는 판별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촬영 장치(11)를, 화물실 도어(16)에 설치해도 된다. 도 11은, 화물실 도어(16)의 화물실(15) 내측에 촬영 장치(11)를 설치하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의 해칭의 범위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범위이다. 이 경우, 화물실 도어(16)가 개방되었을 때에 촬영 장치(11)가 화물실(15) 내 전체를 촬영 가능하도록 촬영 장치(11)를 배치한다. 그렇게 하면, 화물실 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경우와 비교하여, 촬영 장치(11)와 화물실(15) 내의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촬영 장치(11)와 짐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가령 동일한 크기의 짐이 화물실(15) 내에 배치되었다고 해도, 촬영 장치(11)의 사각이 감소한다. 따라서, 변화 판별 처리의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화물실(15)의 해정 시점으로부터 시정 시점까지를 동영상으로 촬영해 두고, 화물실 도어(16)가 개방된 직후에 촬영된 동화상으로부터 기준 화상을 추출하고, 화물실 도어(16)가 폐쇄되기 직전에 촬영된 동화상으로부터 비교 화상을 추출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차량(10)에 있어서의 변화 판별 처리부(3042)가, 변화 판별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서버(400)가, 변화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짐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10A), 배송 유저 단말기(200), 의뢰 유저 단말기(50), 배송 관리 서버(500), 센터 서버(400)의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차량 탑재 장치(10A)에는, 데이터 통신 장치(350)가 구비된다. 데이터 통신 장치(350)는, 네트워크(N1)를 통해 센터 서버(400)에 접속되고, 센터 서버(400)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통신 장치이다. 데이터 통신 장치(350)는, 통신부(351) 및 제어부(352)를 갖고 구성된다. 통신부(351)는, 차량 탑재 장치(10A)를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G(3rd Generation)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N1) 경유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센터 서버(400) 등)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352)는, 데이터 통신 장치(350)의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352)는, 예를 들어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센터 서버(400)로 송신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35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수단(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시킴으로써 상기한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현된다.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이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되면, 화상 데이터를 센터 서버(400)로 보내도록, 시해정 처리부(3041)가 제어부(352)로 신호를 보낸다. 이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352)가 보디 ECU(304)를 통해 수취하고, 또한 제어부(352)는 통신부(351)를 통해 센터 서버(400)를 향해 화상 데이터를 보낸다. 이 화상 데이터는,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보내진다.
센터 서버(400)의 통신부(401)가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센터 서버(400)의 제어부(402)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킨다. 화상 기억부(405)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센터 서버(400)의 제어부(402)는, 변화 판별 처리부(4023) 및 통지 처리부(4024)를 더 갖고 구성된다.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한다. 이 변화 판별 처리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차량 탑재 장치(10A)에 의한 변화 판별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 즉,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동화상으로부터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추출하여 양 화상을 비교하고,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시해정 장치(300)의 보디 ECU(304)에는, 반드시 변화 판별 처리부(3042)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보디 ECU(304)의 촬영 처리부(3043)가,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에 촬영한 정지 화상만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으로 하여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키거나, 동화상으로부터 제1 타이밍 및 제2 타이밍에 추출한 화상만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으로 하여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키거나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센터 서버(400)로 보내는 것은,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이 되기 때문에, 동화상을 송신하는 것과 비교하여 송신량이 적어도 된다.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 통지 처리부(4024)에 그 취지의 신호를 보낸다. 통지 처리부(4024)는, 변화 판별 처리부(4023)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통지 처리」는, 예를 들어 (1) 반출 신호를 차량 탑재 장치(10A)로 송신하여 차량(10)에 탑재된 통지부(13)를 작동시키는 처리, (2) 반출 신호를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처리, (3) 반출 신호를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송신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한다.
(1)에서는, 통지 처리부(4024)가 반출 신호를, 통신부(401)를 통해 데이터 통신 장치(350)의 통신부(351)로 보낸다. 데이터 통신 장치(350)의 통신부(351)가 이 반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352)가 보디 ECU(304)의 통지 처리부(3044)로 반출 신호를 보낸다. 반출 신호를 수취한 통지 처리부(3044)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인 통지 처리를 행한다.
(2)에서는, 통지 처리부(4024)가 반출 신호를, 통신부(401)를 통해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보낸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통신부(202)가 이 반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203)가 입출력부(204)에 대해, 짐의 반출에 관한 경고를 표시시킨다. 또한, 입출력부(204)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이외에, 소리나 진동으로 짐의 반출을 경고하는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짐을 반출하려고 하는 배송 유저에 대해, 짐을 반출하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다.
(3)에서는, 통지 처리부(4024)가 반출 신호를, 통신부(401)를 통해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낸다.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통신부(51)가 이 반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52)가 입출력부(53)에 대해, 짐의 반출에 관한 경고를 표시시킨다. 또한, 입출력부(53)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이외에, 소리나 진동으로 짐의 반출을 경고하는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소지하고 있는 의뢰 유저에 대해, 짐이 반출된 것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처리부(4024)는, 반출 신호과 함께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도 14는, 짐의 반출을 판별할 때의 센터 서버(400)에 있어서의 변화 판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서버(400)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201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화상 기억부(405)에 동화상이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1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201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2로 진행하여,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으로부터,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추출한다. 또한, 차량 탑재 장치(10A)로부터 센터 서버(400)에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이 보내지는 경우에는, 스텝 S201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화상 기억부(405)에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이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202를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203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을 비교하여, 스텝 S204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204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하고,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통지 처리부(4024)에 대해 반출 신호를 보내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변화 판별 처리부(4023)로부터 반출 신호를 받은 통지 처리부(4024)는, 소정의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변화 판별 처리부(4023)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11 내지 S13, S21 내지 S24, S31로부터 S38까지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일부는 도시도 생략한다.
S24에 있어서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된 후, 촬영 처리가 행해진다. 즉, 배송 유저가 화물실 도어(16)를 개방시키고, 그 후에 화물실 도어(16)가 폐쇄될 때까지의 동안, 시해정 장치(300)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동화상을 촬영하게 한다. 화물실 도어(16)가 폐쇄되어 동화상의 촬영이 종료되면, 시해정 장치(300)가 동화상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S51의 처리). 그렇게 하면,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데이터 통신 장치(350)에 화상 데이터가 보내지고(S52의 처리), 또한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센터 서버(400)로 화상 데이터가 보내진다(S53의 처리). 센터 서버(400)가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화상 데이터가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되면, 센터 서버(400)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도 14에 나타낸 처리)가 행해진다(S54의 처리). 그리고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센터 서버(400)가,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센터 서버(400)가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 반출 신호를 보내고(S55의 처리), 또한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시해정 장치(300)로 반출 신호가 보내진다(S56의 처리). 그리고 시해정 장치(300)에서는, 소리 등에 의해 짐의 반출을 통지한다(S57의 처리). S57에서는, 상기 (1)의 통지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10)의 화물실(15)을 짐의 전달 장소로서 이용하는 짐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것을 센터 서버(400)가 검지하기 때문에, 시큐리티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타임 키가 유효하게 되어 있는 기간을 센터 서버(400)가 차량 탑재 장치(10A)에 통지하고, 그 기간의 개시 시점을 제1 타이밍으로 해도 되고, 그 기간의 종료 시점을 제2 타이밍으로 하여 동화상을 촬영해도 된다.
또한, 통지 처리부(4024)가 반출 신호를 받으면, 통지 처리부(4024)가 상기 이외의 다른 조치를 취하도록 해도 된다. 이 조치에는, 경찰, 배송 관리 서버(500)를 관리하는 관리인, 센터 서버(400)를 관리하는 관리인 등에의 통지가 포함된다. 이 경우에는, 배송 관리 서버(500)나 센터 서버(400)에 이들의 기능을 갖게 해 둔다. 예를 들어, 센터 서버(400)의 통지 처리부(4024)가 반출 신호를 받은 경우에, 통신부(401)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를 향해 반출 신호를 보내도 된다. 이 반출 신호를 배송 관리 서버(500)의 통신부(501)가 받으면, 배송 관리 서버(500)의 제어부(502)가 통지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서버(400)가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동일한 기능을 배송 관리 서버(500) 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500) 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화상을 기억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즉, 배송 관리 서버(500) 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부, 변화 판별 처리를 실행하는 변화 판별 처리부,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장치(10A)의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보내지는 화상 데이터를, 배송 관리 서버(500)의 통신부(501), 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통신부(51)가 받도록 구성해 두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같이 차량 탑재 장치(10A)가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하고,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 반출 신호를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센터 서버(400)로 보내고, 센터 서버(400)의 통지 처리부(4024)가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센터 서버(400)에 변화 판별 처리부(4023)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시해정 장치(300)가 변화 판별 처리부(3042)를 구비한다.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1>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키는 한편, 통지 처리부(4024)에 그 취지의 신호를 보내는 것까지는 하지 않아도 된다. 가령 짐이 반출되었다고 해도, 그때는 통지하지 않고,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키는 것에만 그친다. 이 경우, 통지 처리부(4024)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그 후, 의뢰 유저, 경찰, 배송 관리 서버(500)를 관리하는 관리인, 센터 서버(400)를 관리하는 관리인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표시한다. 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센터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센터 서버(400)를 구성해 두어도 된다. 센터 서버(400)의 화상 기억부(405)나 배송 관리 서버(500)의 도시하지 않은 화상 기억부에 화상 데이터를 보존해 둠으로써, 짐의 반출에 관한 증거를 기억해 둘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400)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보내도 된다.
또한, 센터 서버(400)의 화상 기억부(405) 또는 차량 탑재 장치(10A)의 화상 기억부(12)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의뢰 유저 등으로부터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해도 된다. 즉, 의뢰 유저 등이 짐의 반출에 관하여 의심을 가질 때,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하여,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해도 된다. 이 요구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있어서 의뢰 유저가 입출력부(53)를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예를 들어, 의뢰 유저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이 요구를 행한다. 이 요구는, 통신부(51)를 통해, 차량 탑재 장치(10A) 또는 센터 서버(400)로 보내진다. 센터 서버(400) 또는 차량 탑재 장치(10A)는, 이 요구를 받은 후,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배송 관리 서버(500)나,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게 해 두고, 이것들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어도 된다. 그리고 변화 판별 처리의 판별 결과를 차량 탑재 장치(10A) 또는 센터 서버(400)가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내, 이 판별 결과를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된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이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회의 배송 시의 비교 화상을, 금회의 배송 시의 기준 화상으로서 설정한다. 즉, 전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제2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으로부터 금회의 배송의 제1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까지는 화물실(15) 내의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것이라고 가정하여, 전회의 배송의 제2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을, 금회의 배송의 기준 화상으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 제2 타이밍에 정지 화상을 촬영할 뿐이어도 되고,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제2 타이밍까지 동화상을 촬영하고, 그 동화상을 적어도 화상 기억부(12)에 기억한 후, 동화상에 있어서의 제2 타이밍으로부터 정지 화상을 추출하고, 제1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으로부터는 정지 화상을 추출하지 않아도 된다.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조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의 스텝 S202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으로부터,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추출하는 대신에, 비교 화상만을 추출하여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킨다. 또한, 스텝 S203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전회의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킨 비교 화상을, 금회의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기준 화상으로서, 금회의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킨 비교 화상과 비교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비교가 종료되면,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금회의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비교 화상에, 다음번의 기준 화상으로 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여, 이 화상을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시켜 둔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가 처음 행해질 때, 또는 후술하는 기준 화상이 리셋되었을 때 등은, 기준 화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준 화상을 얻어도 된다.
<실시 형태 3의 변형예 1>
전회의 배송으로부터 금회의 배송 사이에, 의뢰 유저에 의해 화물실(15)로부터 선행 짐이 취출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회의 배송 시의 비교 화상을, 금회의 배송 시의 기준 화상으로서 설정할 수 없다. 이하, 전회의 배송과 금회의 배송 사이에, 의뢰 유저에 의해 차량(10)의 화물실 도어(16)가 개폐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의뢰 유저에 의해 선행 짐이 취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제2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의 화물실(15) 내의 상태와, 금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제1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의 화물실(15) 내의 상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전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비교 화상이, 금회의 배송의 화물실(15)의 해정 시나 화물실 도어(16)의 개방 시에 있어서의 화물실(15) 내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의뢰 유저에 의해 화물실 도어(16)가 개폐된 경우에, 의뢰 유저에게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고, 의뢰 유저로부터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이 있는 경우에는, 그 후의 배송에 있어서 제1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설정한다. 한편, 짐을 취출하지 않았다고 회답이 있는 경우에는, 그 후의 배송 시의 기준 화상에는, 전회의 배송 시의 비교 화상을 이용한다.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정보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송신되는 인증 정보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키 유닛(100)의 인증부(1042)는, 시해정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그 시해정 요구는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행한 것인지 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행한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키 유닛(100)으로부터 시해정 장치(300)에 시해정 신호와 함께 보내지는 키 ID도,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부터의 시해정 요구 시와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의 시해정 요구 시에 상이하다. 따라서, 시해정 장치(300)는, 시해정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그 시해정 요구는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행한 것인지, 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행한 것일지 판별할 수 있다.
보디 ECU(304)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시해정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센터 서버(400)로,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시해정 요구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를 받은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통신부(401)를 통해,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이하, 문의 신호라고도 함)를 보낸다. 이 문의 신호를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통신부(51)가 받으면, 제어부(52)는 입출력부(53)에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짐을 취출한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짐을 취출하지 않은 아이콘을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또한 의뢰 유저에 대해 어느 아이콘을 클릭하도록 촉구하는 문장을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이 문의에 대해 의뢰 유저가 입출력부(53)를 조작하여 회답을 입력하면, 제어부(52)가 통신부(51)를 통해, 그 회답을 센터 서버(400)로 보낸다.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짐을 취출하였다고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회답이 있는 경우에,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비교 화상을 리셋(소거)한다. 또한, 상기 문의는,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보디 ECU(304)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시해정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대해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의뢰 유저가 입출력부(53)를 조작하여 입력한 회답은, 제어부(52)가 통신부(51)를 통해, 데이터 통신 장치(350)에 보낸다. 그 회답에 기초하여, 보디 ECU(304)는, 화상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배송에 있어서의 비교 화상을 리셋한다. 또한, 이 후에 촬영 장치에 새로운 화상을 촬영시켜, 이 촬영된 화상을 기억시켜도 된다.
의뢰 유저에 의해,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이 있었을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의 S1001 내지 S1004에서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사용하여 차량(10)의 화물실(15)을 해정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S1001 내지 S1004의 처리가 행해짐에 있어서, 의뢰 유저 단말기(50)는, 의뢰 유저에 의해, 차량(10)의 키 유닛(100)과 의뢰 유저 단말기(5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성립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지는 것으로 한다.
의뢰 유저가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입출력부(53)를 통해 차량(10)을 해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S1001에 있어서,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키 유닛(100)에 대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해정 요구를 송신한다. 그리고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송신된 해정 요구가 키 유닛(100)에 의해 수신되면, S1002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해정 요구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단말기 인증 정보)와 기억부(1041)에 기억된 인증 정보(장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양 인증 정보의 인증에 성공하면, S1003에 있어서,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해 해정 신호 및 키 ID를 송신한다.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해정 신호 및 키 ID가 시해정 장치(300)에 의해 수신되면, S1004에 있어서, 시해정 장치(300)가 수신한 키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된다.
차량(10)의 화물실(15)이 해정되면, 시해정 장치(300)는,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해정을 통지하는 신호(이하, 해정 통지라고도 함)를 센터 서버(400)로 보낸다. 해정 통지를 받은 센터 서버(400)는, 의뢰 유저에 대해,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한다(S1007의 처리). 이 문의의 신호는 센터 서버로부터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내져(S1008의 처리), 이 문의의 신호를 받은 의뢰 유저 단말기는,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의 회답을 촉구하는 영상을 표시시킨다(S1009의 처리). 이 문의에 대한 회답이 입력되면(S1010의 처리), 이 회답에 따른 신호가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센터 서버(400)로 보내진다(S1011의 처리). 그리고 짐을 취출한 취지의 회답을 센터 서버(400)가 받으면, 센터 서버(4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화상(전회의 비교 화상)이 리셋된다. 또한, 새로운 기준 화상을 촬영하는 타이밍은, 금회의 배송 시에 있어서의 제1 타이밍에 상당하는 타이밍이어도 되고, 또한 의뢰 유저가 입출력부(53)를 조작하여 상기 회답을 입력한 후이며, 또한 금회의 배송 제1 타이밍에 상당하는 타이밍보다 이전의 어느 타이밍이어도 된다. 즉, 전회의 비교 화상 대신이 되는 화상은, 의뢰 유저 단말기로부터 회답이 있었던 시점으로부터, 해정 관련 타이밍에 상당하는 시점의 사이이면, 언제 촬영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회의 비교 화상을 금회의 기준 화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화 판별 처리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의뢰 유저가 화물실(15)로부터 짐을 취출한 경우에는, 금회의 기준 화상을 새롭게 촬영하기 때문에, 화물실(15) 내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때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물실(15)로부터의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하는 것은, 배송 관리 서버(500)를 이용하고 있는 배송 업자, 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이용하고 있는 의뢰 유저이다. 여기서 말하는 배송 업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이용하고 있는 배송 유저와는 달리, 배송 유저가 정확하게 배송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유저이다. 이 유저를 이하에서는, 배송 관리 유저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배송 관리 유저 또는 의뢰 유저가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11 내지 S13, S21 내지 S24, S31로부터 S38까지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고, S51로부터 S53까지의 처리는, 도 15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일부는 도시도 생략한다. S53에 있어서 센터 서버(400)가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센터 서버(400)는 이 화상 데이터를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보낸다(S61의 처리). 화상 데이터를 수취한 배송 관리 서버(500)는, 당해 배송 관리 서버(50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다(S62의 처리). 이 화상 데이터는, 배송 관리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배송 관리 서버(500)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배송 관리 서버(500)가 표시시킨다(S63의 처리). 또한, 이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배송 관리 서버(500)와 네트워크(N1)를 통해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 등이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또한, 센터 서버(400)는, 배송 관리 서버(500)로부터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를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보내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시해정 장치(300)는, 센터 서버(400)로부터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를 센터 서버(400)로 보내도록 해도 된다. 배송 관리 유저는, S63의 처리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고, 배송 유저가 정확하게 배송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400)는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수취한 화상 데이터를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낼 수도 있다(S70의 처리). 화상 데이터를 수취한 의뢰 유저 단말기(50)는, 당해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다(S71의 처리). 이 화상 데이터는, 의뢰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입출력부(53)에 표시된다(S72의 처리). 의뢰 유저는, 이 화상을 보고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400)는,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화상 데이터를 의뢰 유저 단말기(50)로 보내도록 해도 된다. S61로부터 S63까지의 처리와, S70으로부터 S72까지의 처리는, 어느 한쪽만 행해도 되고, 모두 행해도 된다. S52, S53, S61, S70에 있어서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는,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뿐이어도 되고,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에 동화상을 더 추가해도 되고, 동화상만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물실(15)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배송 관리 유저 또는 의뢰 유저가 판별하기 때문에, 센터 서버(400)나 시해정 장치(300)에 변화 판별 처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짐 관리 시스템(1)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데이터는, 차량 탑재 장치(10A), 센터 서버(400), 배송 관리 서버(500), 의뢰 유저 단말기(50) 중 하나 이상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짐이 반출된 경우라도, 반출의 증거를 남겨 둘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실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를 센터 서버(400)가 행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400)에 의해,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대해 화상 데이터 및 추출 신호를 보낸다. 또한,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의뢰 유저에 대해 통지한다.
이와 같이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의뢰 유저에 대해 통지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11 내지 S13, S21 내지 S24, S31 내지 S38까지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일부는 도시도 생략한다. 또한, S51로부터 S53까지의 처리는, 도 17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센터 서버(400)가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를 받아, 이 화상 데이터가 화상 기억부(405)에 기억되면, 센터 서버(400)가 변화 판별 처리(도 14에 도시한 처리)를 행한다(S81의 처리). 그리고,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센터 서버(400)로부터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반출 신호 및 화상 데이터가 보내진다(S82의 처리). 반출 신호 및 화상 데이터를 수취한 의뢰 유저 단말기(50)는, 당해 의뢰 유저 단말기(5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킴(S83의 처리)과 함께, 의뢰 유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에 짐의 반출이 있었던 취지를 표시함으로써, 의뢰 유저에게 통지한다(S84의 처리). S84의 처리에 있어서, 의뢰 유저 단말기(50)는, 또한 기준 화상 및 비교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물실(15)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센터 서버(400)가 판별하고, 짐의 반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의뢰 유저에 대해 빠르게 통지된다. 그 때문에, 의뢰 유저에 의한 짐의 확인을 촉구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본 실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를 배송 관리 서버(500)가 행하고,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에 대해 반출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배송 유저에 대해 통지한다. 도 19는, 배송 관리 서버(500)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배송 관리 서버(500)의 제어부(502)는, 도 13에 나타낸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와 마찬가지로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하는 변화 판별 처리부(5021)를 포함하고, 또한 도 13에 나타낸 센터 서버(400)의 통지 처리부(4024)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하는 통지 처리부(502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500)는 도 13에 나타낸 센터 서버(400)의 화상 기억부(405)와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부(5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센터 서버(400)는, 반드시 변화 판별 처리부(4023), 통지 처리부(4024), 화상 기억부(405)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배송 유저 단말기(200)가 배송 유저에 대해 통지할 때의, 짐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11 내지 S13, S21 내지 S24, S31로부터 S38까지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일부는 도시도 생략한다. 또한, S51로부터 S52까지의 처리는, 도 17에 나타낸 플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통신 장치(350)는, 화상 데이터를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보낸다(S91의 처리). 또한, 화상 데이터는 센터 서버(400)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보내도 된다. 배송 관리 서버(500)의 통신부(501)가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이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502)가 배송 관리 서버(500)의 화상 기억부(504)에 기억시킨다. 화상 데이터가 화상 기억부(504)에 기억되면, 배송 관리 서버(500)의 제어부(502)가 변화 판별 처리를 행한다(S92의 처리). 변화 판별 처리는, 도 14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를 변화 판별 처리부(5021)로 치환하고, 센터 서버(400)의 통지 처리부(4024)를 통지 처리부(5022)로 치환하고, 센터 서버(400)의 화상 기억부(405)를 화상 기억부(504)로 치환하면 된다. 그리고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변화 판별 처리부(5021)가,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통지 처리부(5022)가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 이 소정의 통지 처리에 의해, 배송 관리 서버(500)로부터 배송 유저 단말기(200)로, 반출 신호가 보내진다(S93의 처리). 반출 신호를 수취한 배송 유저 단말기(200)는,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터치 업 디스플레이에 짐의 반출이 있었다는 취지를 표시함으로써 배송 유저에게 통지한다(S94의 처리).
여기서,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 판별을 잘못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즉, 배송 유저가 짐을 반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반출하였다고 판별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비교 화상에 선행 짐이 찍혀 있지 않은 경우나, 금회 배송한 짐이 찍혀 있지 않은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짐이 금회 배달하는 짐의 사각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잘못된 판별이 이루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배송 유저가 화물실 도어(16)를 다시 개방하고, 짐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짐이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그 후에, 비교 화상을 다시 취득하여 변화 판별 처리를 다시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배송 유저가 배송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배송 관리 서버(500)에 대해 다시 변화 판별 처리의 실행을 요구한다. 즉, 상기 통지에 수반하여 배송 유저 단말기(200)의 입출력부(204)에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콘을 배송 유저가 클릭하면, 제어부(203)가 통신부(202)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변화 판별 처리를 다시 행할 것을 요구하는 취지의 신호를 보낸다(S95의 처리). 또한, 배송 유저는, 화물실 도어(16)를 다시 개방하여 짐을 이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시해정 장치(300)는, 동화상 촬영을 다시 행한다(S96의 처리). 또한, S96에서는, S51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져 있다. 새롭게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 장치(350)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로 보내진다(S97, S98의 처리). 배송 관리 서버(500)의 통신부(501)가 데이터 통신 장치(350)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이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502)가 배송 관리 서버(500)의 화상 기억부(504)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배송 관리 서버(500)가 변화 판별 처리를 다시 행한다. 이때의 변화 판별 처리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203에 있어서, 전회의 화물실 도어(16)의 개폐 시, 즉 S51의 처리의 제1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하고, 금회의 화물실 도어(16)의 개폐 시, 즉 S96의 처리의 제2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을 비교 화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물실(15)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배송 관리 서버(500)가 판별하고, 짐의 반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배송 유저에 대해 빠르게 통지된다. 또한, 통지를 받은 배송 유저가 짐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다시 변화 판별 처리를 요구함으로써, 변화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잘못된 판별을 수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본 실시 형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짐 관리 시스템(1)이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물실(15)의 바닥면에 짐의 질량을 검출하는 시트(151)를 설치하여, 짐의 반출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때,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준 화상과 비교 화상의 비교(이하, 단순히 화상의 비교라고도 함) 외에도, 화물실(15) 내의 짐의 질량의 변화도 가미하여 판별을 행한다. 여기서, 도 21은, 시트(15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제1 짐(15A)은 배송 유저 A에 의해 배치된 짐(선행 짐)이고, 제2 짐(15B)은 배송 유저 B에 의해 배치된 짐이다.
시트(151)는, 화물실(15)의 바닥면 전면에 깔려 있어, 소정의 영역마다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짐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 짐의 크기, 짐의 질량을, 짐마다 검출할 수 있다. 시트(151)는, 짐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 짐의 크기, 짐의 질량에 따른 신호를, 보디 ECU(304)로 보낸다. 따라서, 보디 ECU(304)는, 화물실(15) 내에 배치되어 있는 짐의 개수나 크기, 질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짐의 질량을 검출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시트(151) 대신에, 예를 들어 차량(10)의 높이의 변화를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고, 이 차량(10)의 높이의 변화에 기초하여 짐의 질량을 검출해도 된다. 이 센서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의 가라앉음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차량(10)의 높이의 변화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15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질량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제1 짐(15A)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짐(15B)을 배치한 경우에는, 화물실(15) 내의 짐의 총 질량이, 제2 짐(15B)의 질량분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제2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제2 짐(15B)의 질량분의 증가가 검출되지 않으면,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한편, 제2 짐(15B)의 질량분의 증가가 검출되면, 짐의 반출이 없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 배송 유저가 제2 짐(15B) 대신에, 동일한 질량의 짐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질량의 비교에 의해서만 짐의 반출에 관한 판별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의 비교 결과도 아울러, 짐의 반출에 관한 판별을 행한다.
배송 관리 서버(500)의 배송 관리 DB(503)에 저장되는 배송 정보에, 짐의 질량 정보를 포함시켜 둔다. 짐의 질량은, 의뢰 유저 또는 배송 업자에 의해 측정되고, 속성 정보로서 도 5에 나타낸 짐 속성 필드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배송 관리 서버(500)가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짐의 등록을 수신할 때, 의뢰 유저 단말기(50)로부터 배송 관리 서버(500)에 대해 짐의 질량 정보를 보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송 관리 DB(50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질량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이 배송 관리 DB(503)에 저장되어 있는 짐의 질량과, 시트(151)에 의해 검출되는 화물실(15)의 짐의 총 질량의 증가분을, 센터 서버(400)의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비교하고, 양자에 차가 없거나, 혹은 차가 있었다고 해도 오차의 범위 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짐의 반출이 없었다고 판별하고, 차가 있거나, 혹은 차가 오차의 범위 밖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한다.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화상의 비교 결과와, 질량의 비교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 비교 결과를 채용한다. 즉, 화상의 비교 결과에 의해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하고, 또한 질량의 비교 결과에 의해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만, 반출 신호를 통지 처리부(4024)로 보낸다. 또한,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화상의 비교 결과와, 질량의 비교 결과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취지의 신호를 통지 처리부(4024)로 보내, 통지 처리부(4024)가 그 신호에 따른 통지 처리를 행해도 된다.
도 22는,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한 짐의 질량을 검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촬영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위해 짐의 질량을 산출하는 처리를 질량 산출 처리라고도 한다. 스텝 S401에서는, 보디 ECU(304)가, 도어 스위치(306)로부터의 신호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스텝 S401에서는, 보디 ECU(304)가, 시트(151)에 의한 짐의 질량 검출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스텝 S401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401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402로 진행하여, 보디 ECU(304)가 시트(151)를 제어함으로써 짐의 질량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질량은, 화물실(15) 내의 짐의 총 질량이다. 이 짐의 질량은, 보디 ECU(304)가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403에서는, 보디 ECU(304)가, 도어 스위치(306)로부터의 신호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스텝 S403에서는, 보디 ECU(304)가, 시트(151)에 의한 짐의 질량 검출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스텝 S403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시 스텝 S403이 실행된다. 한편, 스텝 S403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404로 진행하여, 보디 ECU(304)가 시트(151)를 제어함으로써 짐의 질량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질량은, 화물실(15) 내의 짐의 총 질량이다. 이 짐의 질량은, 보디 ECU(304)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스텝 S405에서는, 스텝 S404에서 검출된 질량으로부터, 스텝 S402에서 검출된 질량을 감산함으로써, 금회의 배송 시에 화물실(15) 내에서 증가한 질량이 산출된다. 이때 산출되는 금회의 배송 시에 화물실(15) 내에서 증가한 질량은, 보디 ECU(304)가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또한, 짐의 반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이 질량은 음의 값이 될 수 있다.
금회의 배송 시에 화물실(15) 내에서 증가한 질량이 산출되어 메모리에 기억되면, 이 증가한 질량(이하, 비교 질량이라고도 함)을 센터 서버(400)로 보내도록, 보디 ECU(304)가, 데이터 통신 장치(350)의 제어부(352)로 신호를 보낸다. 이 비교 질량을 제어부(352)가 보디 ECU(304)를 통해 수취하고, 또한 제어부(352)는 통신부(351)를 통해 센터 서버(400)를 향해 비교 질량을 보낸다. 이 비교 질량은,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보내진다. 센터 서버(400)의 통신부(401)가 비교 질량을 받으면, 센터 서버(400)의 제어부(402)는, 비교 질량을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화 판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변화 판별 처리의 플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화 판별 처리는, 센터 서버(400)에 의해 실행된다.
도 23에 나타낸 흐름도에서는, 스텝 S203 후에 스텝 S501이 처리된다. 스텝 S501에서는, 짐의 반출이 없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01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501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502로 진행하여, 변화 판별 처리부(4023)는 배송 관리 서버(500)로부터 짐의 질량 데이터를 취득한다. 센터 서버(400)의 제어부(402)는, 통신부(401)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0)에 대해, 배송 관리 DB(503)에 저장되어 있는 짐의 질량 데이터를 요구하는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는, 의뢰 유저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보내진다. 이 신호를 통신부(501)를 통해 받은 배송 관리 서버(500)의 제어부(502)는, 해당되는 짐의 질량(이하, 기준 질량이라고도 함)을 배송 관리 DB(503)로부터 추출하여, 센터 서버(400)로 보낸다. 센터 서버(400)의 통신부(401)가 기준 질량을 받으면, 센터 서버(400)의 제어부(402)는, 기준 질량을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스텝 S503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기준 질량과 비교 질량을 비교하고, 기준 질량과 비교 질량의 차가 없거나, 혹은 차가 있었다고 해도 오차의 범위 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짐의 반출이 없었다고 판별한다. 스텝 S504에서는, 변화 판별 처리부(4023)가, 짐의 반출이 없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04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화상의 비교 및 질량의 비교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없었다고 판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대로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504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진행한다. 스텝 S505에서는, 화상의 비교 및 질량의 비교 중 적어도 한쪽의 비교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되어 있기 때문에, 통지 처리부(4024)에 대해 반출 신호를 보내 본 흐름도를 종료시킨다. 변화 판별 처리부(4023)로부터 반출 신호를 받은 통지 처리부(4024)는, 소정의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흐름도에서는, 화상의 비교 및 질량의 비교 중 적어도 한쪽의 비교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되어 있는 경우에, 통지 처리부(4024)가 소정의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화상의 비교 및 질량의 비교의 양 비교에 있어서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되어 있는 경우에, 통지 처리부(4024)가 소정의 통지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즉, 짐의 반출에 대한 판별에 있어서, 화상의 비교에 의한 결과와, 질량의 비교에 의한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 그 결과를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결과가 상이한 경우라도, 안전을 고려하여, 짐의 반출이 있었다고 판별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 및 질량에 기초하여 짐의 반출을 판별하기 때문에, 오판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8)

  1. 짐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차량(10)에 설치되고, 짐을 배송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도록 구성된 시해정 장치(300)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고, 상기 짐의 배송 장소로서 이용되는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11)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였을 때에 상기 촬영 장치에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한 화상을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304)와,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기준 화상과, 상기 차량이 시정되었을 때의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비교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시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의 제1 화상을 상기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함으로써, 상기 비교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이 행해진 후에 상기 비교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준 화상을 취득하는, 짐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해정되는 타이밍과 관련된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의 제2 화상을 상기 촬영 장치에 촬영하게 함으로써, 상기 기준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까지 동화상을 촬영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3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소정 영역이 개방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인, 짐 관리 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의 개폐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3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소정 영역이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인, 짐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소정 영역이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였을 때인, 짐 관리 시스템.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해정하였을 때인, 짐 관리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은,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을 시정하였을 때인, 짐 관리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해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하고,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비교 화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전회의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전회 화상을 상기 기준 화상으로 하고, 금회의 상기 시정 관련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금회 화상을 상기 비교 화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으로 배송되는 상기 짐의 취득 질량을 상기 짐의 배송 전에 취득하도록 구성된 질량 취득부(503)와,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짐의 검출 질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질량 검출부(15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짐에 대해, 상기 취득 질량과, 상기 검출 질량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짐을 수취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에 대해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 의뢰 유저 단말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한 경우에,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별부로부터의 문의에 대해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가 상기 짐을 취출하였다고 회답한 경우에, 상기 전회 화상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통지부(3044)를 더 포함하는, 짐 관리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이 반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통지부(3044)를 더 포함하는, 짐 관리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짐을 수취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에 대해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 의뢰 유저 단말기(50)에 의해 상기 시해정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뢰 유저 단말기로부터 상기 짐을 취출하였다는 회답이 돌아온 경우에, 전회 화상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 관리 시스템.
  18. 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10) 내에 존재하는 소정 영역을 짐의 배송 장소로서 이용하는 것과,
    상기 짐을 배송하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기(2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을 시해정하는 것과,
    상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차량이 시해정된 것에 수반하여 촬영 장치(11)에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촬영하게 하는 것과,
    상기 촬영한 화상을 기억시키는 것과,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기준 화상과, 상기 차량이 시정되었을 때의 상기 소정 영역의 내부를 표시하는 화상인 비교 화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영역으로부터 짐이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짐 관리 방법.
KR1020180158824A 2017-12-12 2018-12-11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 KR102185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7975A JP6586985B2 (ja) 2017-12-12 2017-12-12 荷物管理システム及び荷物管理方法
JPJP-P-2017-237975 201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94A true KR20190070294A (ko) 2019-06-20
KR102185103B1 KR102185103B1 (ko) 2020-12-01

Family

ID=6466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24A KR102185103B1 (ko) 2017-12-12 2018-12-11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609347B2 (ko)
EP (1) EP3498545B1 (ko)
JP (1) JP6586985B2 (ko)
KR (1) KR102185103B1 (ko)
CN (1) CN109919534A (ko)
BR (1) BR102018075586B1 (ko)
RU (1) RU272093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1790B2 (en) * 2012-12-03 2021-06-08 ChargeItSpo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connected and secure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US11258282B2 (en) * 2012-12-03 2022-02-22 ChargeItSpo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connected and secure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JP6586985B2 (ja) * 2017-12-12 2019-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荷物管理システム及び荷物管理方法
JP7151654B2 (ja) 2019-07-26 2022-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検索装置、学習装置、検索システム、検索プログラム、及び学習プログラム
CN110517461B (zh) * 2019-08-30 2022-03-04 成都智元汇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人携带包裹逃避安检的方法
CN111047280A (zh) * 2019-11-22 2020-04-21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厂房内的对象检测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22686B2 (ja) * 2019-12-06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載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1160848A (ja) * 2020-03-31 2021-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運搬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33184B2 (ja) * 2020-09-30 202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配達管理装置及び車両配達管理方法
CN114684067B (zh) * 2020-12-31 2023-06-16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后备箱监控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705A (ja) * 2000-04-10 2001-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型icタグを使用した重量管理システム
KR20160094597A (ko) * 2015-01-31 2016-08-10 정하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운송화물 관리 시스템
JP2017517462A (ja) * 2014-05-30 2017-06-29 浙江吉利控股集団有限公司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Ltd. 車上配達受取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34A (ja) * 1992-07-15 1994-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宅配荷受け装置
JPH10184138A (ja) * 1996-12-27 1998-07-14 Ukai:Kk 配送車の荷室施錠システム
WO2012125726A1 (en) * 2011-03-14 2012-09-20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Cargo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JP2005312779A (ja) * 2004-04-30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搬型宅配ボックス
JP2006206225A (ja) * 2005-01-26 2006-08-10 Denso Corp 配達物受取システム、車両用配達物受取装置、車両による配達物の受取方法
RU83753U1 (ru) * 2009-02-13 2009-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Комплекс для контроля загрузки и сохранности грузов в вагонах
WO2013188566A1 (en) * 2012-06-12 2013-12-19 Snap-On Incorporated Auditing and forensics for automated tool control systems
CA2829139A1 (en) * 2012-10-02 2014-04-02 Lyngsoe Systems Limited Automated notification device
DE102012223304A1 (de) * 2012-12-14 2014-06-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ystem zum selektiven Öffnen eines Fahrzeuges
JP2014145200A (ja) * 2013-01-29 2014-08-14 Denso Corp 施開錠権限付与システム、認証装置、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4004673A1 (de) * 2014-03-31 2015-10-01 Audi Ag Verfahren zum Ablegen einer S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EP3149669A2 (en) * 2014-05-29 2017-04-05 Hilsley, Ethan Seal delivery tracking system
DE102014214624A1 (de) * 2014-07-25 2016-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s Abholvorganges von Einkaufsgütern
RU2577875C1 (ru) 2014-08-22 2016-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АТА-ЦЕНТР Автоматика"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сохранности груза при перевозке путем созд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еометрической пломбы
RU2015106601A (ru) * 2015-02-26 2016-09-20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оскот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багаж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багаж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6149577A1 (en) 2015-03-18 2016-09-2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contents of a shipment
CN106494745A (zh) * 2015-09-08 2017-03-15 张立新 多功能智能物流箱及物流运输方法
KR101841948B1 (ko) * 2015-10-02 201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JP2017120535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イシダ 配送受付システム
US9811995B2 (en) * 2015-12-31 2017-11-0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aby on board reminder
US20180111699A1 (en) * 2016-10-21 2018-04-26 Karam Osama Karam IMSEEH Tagless baggage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6586985B2 (ja) * 2017-12-12 2019-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荷物管理システム及び荷物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705A (ja) * 2000-04-10 2001-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型icタグを使用した重量管理システム
JP2017517462A (ja) * 2014-05-30 2017-06-29 浙江吉利控股集団有限公司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Ltd. 車上配達受取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160094597A (ko) * 2015-01-31 2016-08-10 정하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운송화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8335A1 (en) 2021-06-03
KR102185103B1 (ko) 2020-12-01
US20200186758A1 (en) 2020-06-11
BR102018075586B1 (pt) 2024-01-09
JP6586985B2 (ja) 2019-10-09
US10958880B2 (en) 2021-03-23
EP3498545B1 (en) 2023-03-08
US10609347B2 (en) 2020-03-31
BR102018075586A2 (pt) 2019-06-25
RU2720930C1 (ru) 2020-05-14
CN109919534A (zh) 2019-06-21
JP2019105994A (ja) 2019-06-27
US20190182457A1 (en) 2019-06-13
EP3498545A1 (en) 2019-06-19
US11277592B2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0294A (ko) 짐 관리 시스템 및 짐 관리 방법
KR102220096B1 (ko) 시해정 제어 시스템 및 시해정 제어 방법
US11164139B2 (en) Trunk-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unk-sharing,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JP6897536B2 (ja) 認証情報制御システム、認証情報制御方法、及び、認証情報制御プログラム
JP6927010B2 (ja) 車両への積載判定システム、及び、車両への積載判定方法
US11270535B2 (en) Trunk-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unk-sha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unk-sharing,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CN109840972B (zh) 中继装置、存储用于中继装置的程序的存储介质以及中继装置的控制方法
US112420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vehicle interior sharing system for delivering an object stor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JP7021663B2 (ja) 荷物管理システム及び荷物管理方法
JP689753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6939463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