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613A -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613A
KR20190067613A KR1020170167728A KR20170167728A KR20190067613A KR 20190067613 A KR20190067613 A KR 20190067613A KR 1020170167728 A KR1020170167728 A KR 1020170167728A KR 20170167728 A KR20170167728 A KR 20170167728A KR 20190067613 A KR20190067613 A KR 2019006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pipe
fluid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7016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613A/ko
Publication of KR2019006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인라인스케이트와 같은 기능성 신발이나 일반 운동화 등에 장착될 수 있는 복원기능의 수단과 관련한다.
기능성 신발에 장착되는 충격업서버(Shock absorber)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하중의 분포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도록 단일 폐쇄 공간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충격업서버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신발 창의 후족부에 내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전통적인 충격업서버의 구성을 벗어나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분리된 충격업서버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체유입관(220)과 연통되되 상기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246)이 상기 부가 에어통로의 타측(26)과 연결되는 유체유도관(240)과, 상기 유체유입관(220)과 상기 유체유도관(240)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개폐장치(260)과, 상기 유체유도관(240)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장치(26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구성(280)이 구비되는 부가 충격흡수부(200)를 포함하고, 일정 체적의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그리고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을 연결하는 에어통로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일측(332)이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연통되되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356)은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도관(35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의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 간선 탄성장치구성(380, 390)이 구비되는 충격흡수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일측(62)은 상기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되며 타측(66)은 개구된 상부 에어통로(60)와, 일측(72)은 상기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타측(76)은 개구된 하부 에어통로(70)로 이루어지는 에어통로와 일측(312)이 상기 상부 에어통로의 타측(66)과 연결되는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타측(316)이 상기 하부 에어통로의 타측(76)과 연결되는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일측(322)이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입관(320)과, 상기 메인 유체유입관(320)과 연통되되 상기 메인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346)은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도관(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CUSHION MEANS FOR KED}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롤러스케이트와 같은 기능성 신발이나 운동화와 같은 일반 신발에 장착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부가 구성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쿠션부의 구성으로는 충격업서버(Shock absorber)가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충격업서버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 전달 과정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도록 단일 폐쇄 공간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충격업서버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신발 창의 후족부에 내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전통적인 충격업서버의 구성을 벗어나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전달되는 것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성과 같은 것도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편적으로 다단층을 갖는 다수의 쿠션돌출부가 형성된 쿠션패드재를 신발인솔의 마감패드 부재의 저면에 형성하여 보행이나 주행시에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신발이 이 분야와 관련하여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주로 전달되는 복수의 위치에 충격흡수쳄버을 부여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선택하여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충격흡수 기능이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특정 충격흡수쳄버에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면 압력으로 인해 그 충격흡수쳄버에 충진된 에어는 매우 짧은 시간에 다른 충격흡수쳄버으로 쉽게 빠져 나가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당초 의도하는 충격흡수 기능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충격흡수쳄버 내지 쿠션부재는 대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다.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1907호(2014)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중창의 쿠션부에서는 쿠션부가 보행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당히 흡수할 정도의 복원력을 갖기는 하지만, 장시간 사용시에는 쿠션부의 두깨가 감소되면서 복원력이 저하되어 쿠션효과도 감소될 뿐만 아니라, 신발중창의 쿠션부재설치구에 쿠션부재가 별도의 고정구조없이 단순한 부착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탈리될 가능성이 있고, 쿠션부재가 탈리되는 경우에는 그 쿠션부재가 유동하여 쿠션기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공되는 바,
유체유도관에 탄성 패드를 매개하여 개폐장치이 유체유입관을 개폐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에어가 유체유도관으로 급속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충격흡수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고자 한다. 즉, 충격흡수쳄버에 충진된 유체 예컨대, 에어(Air)와 같은 유체가 빠르게 유출되어서 충격흡수 기능이 일시에 감소하는 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일정 체적의 에어(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그리고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을 연결하는 에어통로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복원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각 유체유도관(140, 240) 내주 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에어 배출 홈은 서로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고, 유체유입관(120, 220)과 유체유도관(140, 240)이 연통되는 부위에는 탄성 패드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개폐장치(160, 260)은,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돌출되어 상기 각 유체유입관(120, 22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핀으로 이루어지며, 핀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구비된다. 또한 각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의 내주 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이 연통되는 부위에는 탄성 패드가 구비되어서, 좌우 한 쌍을 포함하되, 각각의 일측(12, 22)은 상기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된다. 각각의 타측(16, 26)은 개구된 메인, 간선 에어통로(10, 20)와, 각각의 일측(32, 42)은 상기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각각의 타측(36, 46)은 개구된 제3, 4 에어통로(30, 40)로 이루어지는 에어통로를 포함한다.
더하여, 일측(122)이 상기 메인 에어통로의 타측(16)과 연결되는 유체유입관(120)과, 상기 유체유입관(120)과 연통되되 상기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146)이 상기 제3 에어통로의 타측(36)과 연결되는 유체유도관(140)과, 상기 유체유입관(120)과 상기 유체유도관(140)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개폐장치(160)과, 상기 유체유도관(140)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장치(16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구성(180)이 구비되는 메인 충격흡수부(100)와 일측(222)이 상기 제4 에어통로의 타측(46)과 연결되는 유체유입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관(220)과 연통되되 상기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246)이 상기 부가 에어통로의 타측(26)과 연결되는 유체유도관(240)과, 상기 유체유입관(220)과 상기 유체유도관(240)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개폐장치(260)과, 상기 유체유도관(240)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장치(26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구성(280)이 구비되는 부가 충격흡수부(200)를 포함하고, 일정 체적의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그리고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을 연결하는 에어통로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일측(332)이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연통되되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356)은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도관(35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의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과,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 간선 탄성장치구성(380, 390)이 구비되는 충격흡수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일측(62)은 상기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되며 타측(66)은 개구된 상부 에어통로(60)와, 일측(72)은 상기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타측(76)은 개구된 하부 에어통로(70)로 이루어지는 에어통로와 일측(312)이 상기 상부 에어통로의 타측(66)과 연결되는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타측(316)이 상기 하부 에어통로의 타측(76)과 연결되는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일측(322)이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입관(320)과, 상기 메인 유체유입관(320)과 연통되되 상기 메인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346)은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도관(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충격흡수쳄버에 충진된 유체 예컨대, 에어(Air)와 같은 유체가 빠르게 유출되어서 충격흡수 기능이 일시에 감소하는 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에어가 유동하는 관의 내주 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에어 배출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들 에어 배출 홈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에어의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보다 충격흡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도 1은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장착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장착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다른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장착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에 장착되는 충격흡수부 구성의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장착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에 장착되는 충격흡수부의 다른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의 전체 모습을 사시도로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의 예시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에서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은 세부적으로,
유체유입관(220)과 유체유도관(240)의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개폐장치(260)과, 상기 유체유도관(240)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장치(26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구성(280)이 구비되는 부가 충격흡수부(200)를 포함하고, 일정 체적의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그리고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을 연결하는 에어통로를 포함하고, 일측(332)이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330)과 연통되되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356)은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도관(350)과,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과 상기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의 연결통로부에 위치하는 간선 개폐장치(360, 370)과, 상기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간선 개폐장치(360, 370)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간선 탄성장치구성(380, 390)이 구비되는 충격흡수부(30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일측(62)은 상기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타측(66)은 개구된 상부 에어통로(60)와, 일측(72)은 상기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타측(76)은 개구된 하부 에어통로(70)로 이루어지는 에어통로와 일측(312)이 상기 상부 에어통로의 타측(66)과 연결되는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타측(316)이 상기 하부 에어통로의 타측(76)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는 전방 에어룸(1)과 후방 에어룸(2), 그리고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을 연결하는 에어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통로에는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각각은 전족부 및 후족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직접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일정 양의 에어가 채워지며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고, 에어통로는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 상호 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에어의 이동 통로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에어통로가 특히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안하며, 각 에어통로의 일측 부위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에어통로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에어통로는 일측 부위가 절단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네 곳의 에어통로로 이루어진다. 그 각각의 일측(12, 22)은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되며 각각의 타측(16, 26)은 개구되는 간선 에어통로(10, 20)와, 각각의 일측(32, 42)은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각각의 타측(36, 46)은 개구되는 제3, 4 에어통로(30, 40)로 구성되는 바, 충격흡수부는 에어통로의 구성에 대응하여 메인 충격흡수부(100) 및 부가 충격흡수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의 예시에서 메인, 2 충격흡수부(100, 200)는 상호 연통되는 유체유입관(120, 220)과 유체유도관(140, 240), 그리고 유체유도관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장치(160, 260)과 탄성장치구성(180, 280)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유도관(140, 240)은 유체유입관(120, 22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160, 260)은 유체유입관(120, 220)과 유체유도관(140, 240) 연결통로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탄성장치구성(180, 280)은 유체유도관(140, 240)에 삽입되어 유체유입관(120, 220)으로 유입되는 에어 압력에 대항하여 개폐장치(160, 28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유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압력이 탄성장치구성의 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만 에어가 유체유입관을 통해 유체유도관으로 유입되되, 탄성장치구성이 일정한 복원력으로 개폐장치을 유체유입관 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에어는 유체유도관을 통해 타 에어통로로 점차 유출되어서 이때, 에어의 유출중에 충격흡수 작용이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때, 메인, 2 충격흡수부를 에어통로와 연결함에 있어, 메인 충격흡수부(100)에 있어 유체유입관(120)의 일측(122)은 메인 에어통로(10)의 타측(16)과 연결한다.
그리고 유체유도관(140)의 타측(146)은 제3 에어통로(30)의 타측(36)과 연결하고, 나아가 부가 충격흡수부(200)에 있어 유체유입관(220)의 일측(222)은 제4 에어통로(40)의 타측(46)과 연결하며, 유체유도관(240)의 타측(246)은 부가 에어통로(20)의 타측(26)과 연결함에 따라서, 후족부 부위가 지면에 닿으면 후방 에어룸(2)에 채워져 있던 에어는 제4 에어통로(40)로 유입되어 부가 충격흡수부(200)의 유체유입관(220) 및 유체유도관(2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부가 에어통로(20)를 통해 전방 에어룸(1)로 서서히 이동하고, 전족부 부위가 지면에 닿으면, 전방 에어룸(1)에 채워져 있던 에어는 메인 에어통로(10)로 유입되어 메인 충격흡수부(100)의 유체유입관(120) 및 유체유도관(140)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에어통로(30)를 통해 후방 에어룸(2)로 서서히 복귀하면서 다음 과정을 준비하는 바, 본 발명의 복원기능 신발의 개폐장치는 다른 예시의 실시가 있을 수 있는 바, 개폐장치의 형상에 있어서 유체유입관과 유체유도관의 연결통로부 형상을 고려하는데 예컨대, 개폐장치이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면, 유체유입관과 유체유도관의 연결통로부는 개폐장치의 형상에 대응하여 컨케이브한 형태를 취한다.
이때, 개폐장치이 구 형상을 취하고 연결통로부가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지는 유체유입관 및 유체유도관이 직접 연통되는 구조를 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인 바, 개폐장치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부재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폐장치이 부재와 무관하게 에어 압력의 잦은 작용, 해제에 따라 개폐장치이 연결통로부와 주기적으로 충돌하므로, 도 3 및 도 4 예시처럼, 유체유입관과 유체유도관이 연통되는 부위에 탄성 패드(150)가 구비될 수 있고, 탄성 패드(15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개폐장치는 탄성장치구성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통로부의 밀폐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으며, 에어 압력이 작용하다가 해제되는 경우 연결통로부에 개폐장치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그 충격력을 상당히 완화시켜 부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도 3에서 유체유도관 내주 면에 복수 개의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유체유도관(140) 내주 면에서 일정 깊이를 가지는 에어 배출 홈(19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다.
개폐장치(160)의 폭은 유체유도관(160)의 폭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개폐장치(160)이 에어 압력에 의해 후진할 때, 유체유입관(190)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각 에어 배출 홈을 통해 타 에어통로로 유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출된 에어는 그 이동 과정에서 정체 현상, 즉 충격흡수 현상이 발생하여 에어 흐름을 점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에어 배출 홈이 유체유도관 내주 면에 형성되되, 각 에어 배출 홈의 길이가 다르게 구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에어 배출 홈이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개폐장치(160)이 후진할 때 에어 배출 홈은 원래 순서의 역순서로 개방되고, 유체유입관(120)을 통해 유체유도관(140)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는 차례로 개방되는 에어 배출 홈을 통해 다른 에어통로로 빠져나간다. 에어 배출 홈이 일시에 개방되는 구성과 달리, 에어 배출 홈이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중첩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에어의 흐름을 더욱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되는 각 구성에 전술한 탄성 패드가 더욱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폐장치 이외에, 도 4와 같은 개폐장치의 구성도 가능한 바, 상기 개폐장치(170)은 헤드(172) 및 핀(176)으로 이루어고, 상기 헤드(172)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을 취한다.
즉, 유체유도관(140)의 내주 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장치에 이러한 헤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체유입관(120)과 유체유도관(140)의 연결통로부가 별도 형상 없이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헤드가 걸릴 수 있도록 단차부로 구성하고, 상기 핀(176)은 헤드(17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유체유입관(12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부분으로서, 헤드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유체유입관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핀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헤드(172) 일 면은 탄성장치구성(180)과 접하며 탄성장치구성의 복원력으로 지지되며, 에어 압력이 탄성장치구성의 복원력보다 커지면 에어는 유체유도관(140)을 거쳐 타 에어통로로 서서히 유출되고, 상기 핀(176)에는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절개부(17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78)는 일정 폭을 가지되 핀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경우, 작용하는 에어 압력으로 개폐장치이 점차적으로 후퇴하면, 절개부를 통해 유체유도관으로 유입되는 에어 양이 점진적으로 더 증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체유도관 내주 면에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되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에어의 흐름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개폐장치이 상기와 같이 헤드와 핀 구조, 또는 헤드와 절개부가 구비되는 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유체유입관과 유체유도관의 연결통로부에 탄성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단차부와 접하는 헤드의 일 면에 탄성 링과 같은 장치를 부가하는 경우에, 탄성장치구성(180, 280)이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일정한 복원력을 가지는 여러 다양한 재질,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메인, 간선 개폐장치 각각이 헤드 및 절개부가 더 구비되는 경우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개의 탄성장치구성의 채택은, 에어의 적절한 이동 여부, 내구성, 복원력의 용이한 제공 여부 등을 함께 고려하여 채택하기로 한다.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가 도 2에 예시된 바, 충격흡수장치는 전방 에어룸(1)이 에어통로에 의해 후방 에어룸(1)과 연결된다.
반면에, 도 1에는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1) 및 후방 에어룸(2)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구성을 갖는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에어통로(60)가, 일측(62)은 전방 에어룸(1)과 연결되며 타측(66)은 개구된 에어통로(60)와, 일측(72)은 후방 에어룸(2)과 연결되며 타측(76)은 개구된 하부 에어통로(70)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양자가 다르며, 좌우 한 쌍의 에어통로가 아닌 단일 에어통로로 작용하므로, 단일 에어통로에 대응하여 충격흡수부(300)를 단일로 구성하되 그 내부에서는, 상호 간에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입관(320) 및 메인 유체유도관(340)을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에어 흐름을 유도하고, 상호 간에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입관(330) 및 부가 유체유도관(350)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작동되도록 한다.
반면에 타 방향으로 에어의 흐름을 유도하는 방식은, 상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 메인,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간선 유체유입관(320, 330)과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의 연결통로부에는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이 위치하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340, 350) 각각에 삽입되는 메인, 간선 탄성장치구성(380, 390)에 의해 상기 메인, 간선 개폐장치(360, 370)은 일정한 복원력을 제공받으며, 충격흡수부(300)의 양측에는 에어통로와의 연결을 위하여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의 일측(312)은 상부 에어통로(60)의 타측(66)과 연결하고,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의 타측(316)은 하부 에어통로(70)의 타측(76)과 연결한다. 나아가, 메인 유체유입관(320)의 일측(322)은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과 연통되며, 부가 유체유입관(330)의 일측(332)은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과 연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효과에 있어서 우선, 후족부 부위가 지면에 닿으면, 후방 에어룸(2)에 채워져 있던 에어는 하부 에어통로(70)를 거쳐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서, 에어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에어는 부가 유체유입관(330)을 거쳐 부가 개폐장치(370)을 밀어내며 부가 유체유도관(350)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 및 상부 에어통로(60)를 거쳐 최종적으로 상부 에어룸(1)에 채워진다. 다음에 전족부 부위가 지면에 닿으면, 전방 에어룸(1)에 채워져 있던 에어는 상부 에어통로(60)를 거쳐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311)로 유입된다. 전족부를 통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에어는 메인 유체유입관(320)을 거쳐 메인 개폐장치(360)을 밀어내며 메인 유체유도관(340)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315) 및 하부 에어통로(70)를 거쳐 최종적으로 후방 에어룸(2)로 서서히 복귀하여 다음 과정을 준비하는 바, 단일의 에어통로를 통해 에어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단일체 구성의 충격흡수부 내부에서 각각의 에어 흐름을 별개로 제어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그르므로 상기 유체유입관, 유체유도관, 개폐장치, 탄성장치구성이라는 각 구성에 의해 에어의 급속한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하므로 효과적인 충격흡수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어서, 상술한 부가 구성이 전부 변경되거나 부분적으로 변경되어 채택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패드를 추가하여구성하고 상호 다른 길이의 부재를 채택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가능하며 메인, 간선 유체유도관 각각의 내주 면에 복수 개의 에어 배출 홈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방 에어룸(1);
후방 에어룸(2);

Claims (9)

  1. 안전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고, 바퀴신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로서,
    일정 체적의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전방 에어룸 및 후방 에어룸을 포함하고, 스케이팅 운동시에 사용자의 착지 운동에 따라 전방 에어룸 및 후방 에어룸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2. 안전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고, 바퀴신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로서,
    전방 에어룸 및 후방 에어룸을 포함하되, 각 에어룸의 일측은 메인부의 상부가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각 에어룸의 타측은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과 연통되는 유체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에어룸 및 상기 후방 에어룸의 이격된 사이에 양자를 연결하는 에어통로가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인부의 간선 유체유도관을 더 포함하고, 그 각각에 삽입되며 메인부의 간선 개폐장치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가 설치되어 작용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5. 제3항에 있어서,
    메인부의 간선 유체유도관을 더 포함하고, 그 각각에 삽입되며 메인부의 간선 개폐장치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가 설치되어 작용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의 간선 유체유도관에 삽입되는 탄성장치에 장착되는 탄성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복원력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의 간선 유체유도관에 삽입되는 탄성장치에 장착되는 탄성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복원력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부분이 상부 에어통로의 타측과 연결되는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과, 타측이 상기 하부 에어통로의 타측과 연결되는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과, 일측이 상기 메인 에어 유입배출관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유체유입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과 연통되는 메인 유체유도관과, 일측이 상기 부가 에어 유입배출관과 연통되는 부가 유체유입관과, 상기 부가 유체유입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폐장치 및 간선 유체유도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장치는 개폐장치의 헤드에서 돌출되어 각 유체유입관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간선 유체유도관의 내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에어 배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170167728A 2017-12-07 2017-12-07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KR20190067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28A KR20190067613A (ko) 2017-12-07 2017-12-07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28A KR20190067613A (ko) 2017-12-07 2017-12-07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613A true KR20190067613A (ko) 2019-06-17

Family

ID=6706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728A KR20190067613A (ko) 2017-12-07 2017-12-07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6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784B1 (ko) * 2023-04-14 2023-08-16 조혜경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784B1 (ko) * 2023-04-14 2023-08-16 조혜경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7144B (zh) 具有适应性流体系统的鞋类物品
JPH11164706A (ja) 空気循環ショック吸収シューズ構造
US9788601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flow transfer in shoes
US10786036B2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1690782B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90067613A (ko) 안전한 복원기능을 갖는 신발
JP2006521871A (ja) 通気口が形成された靴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148934Y1 (ko) 쿠션신발창
KR101508311B1 (ko) 신발의 완충장치
CN211092112U (zh) 一种空气调节鞋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102203504B1 (ko)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200365883Y1 (ko) 통풍구조를 구비한 신발
KR200402570Y1 (ko) 공기압력이동의 병목현상을 이용한 신발용 소형 충격흡수장치
KR200455513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2341085B1 (ko) 지면 충돌 에너지를 활용한 블로잉 장치
KR20100082946A (ko)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CN214547665U (zh) 一种减震按摩鞋底
KR100722189B1 (ko) 신발
KR200239041Y1 (ko) 충격흡수력과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330643Y1 (ko)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KR200365257Y1 (ko) 안전화 바닥창
KR200265480Y1 (ko)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