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189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189B1
KR100722189B1 KR1020060070545A KR20060070545A KR100722189B1 KR 100722189 B1 KR100722189 B1 KR 100722189B1 KR 1020060070545 A KR1020060070545 A KR 1020060070545A KR 20060070545 A KR20060070545 A KR 20060070545A KR 100722189 B1 KR100722189 B1 KR 10072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shoe
midsole
ai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태
Original Assignee
김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태 filed Critical 김옥태
Priority to KR102006007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족부가 절단된 상태로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중창과, 상단에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의 후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충전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장치와, 갑피의 후족부 저면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 부위가 외부로 만곡된 상태로 상기 완충 장치의 상단에 구비되는 갑피 고정 부재와, 상기 완충 장치의 측면 일부를 외부로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중창 및 완충장치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완충 장치가 본래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하면서도 형상의 변형 없이 신발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 분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부가적인 완충 튜브를 완충 장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신발이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신발, 완충 장치, 공기 유로, 충격 흡수, 완충 튜브

Description

신발{Footwear}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결합 관계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측면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의 다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의 또 다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 및 갑피 고정 부재의 다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완충 장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 수단의 일 구성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완충 장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 수단의 다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갑피 100 : 중창
120 : 공기 유로 200 : 완충 장치
220 : 개구부 240 : 체크 밸브
280 : 완충 튜브 300 : 갑피 고정 부재
320 : 돌출부 340 : 홈
360 : 관통 홀 400 : 밑창
500 : 보강판 600 : 공기 튜브
620, 640, 660 : 탄성 수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2090호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발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공기를 이용한 완충 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직립 보행을 하는 사람의 발을 지면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진시켜 보행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된 이래 여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며 끊임없이 개량되어 왔는데, 근자 신발의 여러 기능 중에서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장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의 완충 기능 강화는, 창(sole)의 재질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충격 흡수율을 높이거나 또는 창에 완충 기능을 담당하는 삽입물을 내재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의 방식은 별도의 삽입물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생산성이 높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창 자체가 단일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의도하는 만큼 신발에 완충 기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관련 업계에서는 후자의 방식을 널리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 제0552090호 및 특허출원 제2006-0017082호도 이러한 기술의 일례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2090호는, 안창이 삽입되는 창의 상면에는 공기 유로를 형성시키고, 창의 하면에는 공기 유로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홈에 상부가 개방된 완충 장치를 결합시킴으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장치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의 유동으로 완화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술은 종래 완충 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완충 장치의 바닥부가 직접 노면과 접하는 관계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완충 장치의 내구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형상의 변형 없이 신발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 장치 내부에 별도로 완충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부가적인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족부가 절단된 상태로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중창과, 상단에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의 후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충전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장치와, 갑피의 후족부 저면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 부위가 외부로 만곡된 상태로 상기 완충 장치의 상단에 구비되는 갑피 고정 부재와, 상기 완충 장치의 측면 일부를 외부로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중창 및 완충장치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을 제안한다.
상기 갑피 고정 부재에는 상기 중창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중창의 공기 유로에 대응되는 홈이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갑피 고정 부재는 상기 완충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 장치는 말굽 형상 또는 고리 형상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의 내부에는 양단이 밀봉된 완충 튜브가 더욱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의 저면에는 보강판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의 내부에는, 부가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 수단이 더욱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의 측면에는 체크 밸브가 더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에는, 개구된 일단은 상기 완충 장치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상기 중창의 공기 유로를 따라 안치되는 공기 튜브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무관하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측면 외관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중창(100)과, 상기 중창(10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완충 장치(200)와, 상기 완충 장치(200) 상면에 구비되는 갑피 고정 부재(300)와, 상기 중창(100) 및 완충 장치(20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밑창(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창(100)의 상면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기 유로(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창 상면에 갑피(10)가 결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공기 유로(120)는 중창(100)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신발 내부 전체에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창(100)은 전족부 및 중족부만으로 이루어지며, 후족부는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절단된 후족부 부분에는 후술할 완충 장치(200)가 위치하게 된다. 중창(100)의 절단된 후족부 끝단은 가급적 완충 장치(200)의 일면이 정확하게 일치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완충 장치의 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완충 장치(200)는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단에는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2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단부는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220)의 형상 및 그 크기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재질은 외부의 압력에 따라 충전되는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완충 장치를 신발에 장착시킬 때 도 1a에 개시된 것과 달리,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완충 장치(200)의 상단부를 후술할 밑창(400) 쪽으로 향하게 하고, 완충 장치(200)의 하단부를 갑피의 후족부 저면(12)으로 위치시켜 장착시키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이 경우에는 갑피의 후족부 저면(12)을 향하는 완충 장치(200) 하단부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 홀(미도시)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개구부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서, 전술한 완충 장치에서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부(220) 외에 하면에 하단 개구부(260)가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 개구부(260)가 형성되더라도 완충 장치(200)의 하면은 후술할 밑창(400)에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완충 장치(2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하단 개구부(26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염려는 없다. 이 실시예에 따라 완충 장치의 하면에 개구부(260)가 더욱 형성되는 경우에는 완충 장치의 완충 기능 강화를 위하여 후술할 보강판(500)이 상기 완충 장치(200)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완충 장치가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도 3에는 이 중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말굽 형상의 완충 장치(200)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완충 장치(200)가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져 신발에 장착되면, 내부로 오목하게 만곡된 부분은 완충 기능을 담당하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착지시 외부 압력의 적절한 분산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는데, 이때는 밑창을 완충 장치에 결합시킴에 있어 오목하게 만곡된 부분에는 밑창의 일부가 돌출되어 그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완충 장치의 오목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창의 후족부 절단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시켜 그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술한 말굽 형상의 완충 장치와 유사하게 중앙 관통 홀 부분에는 밑창의 일부가 돌출되어 그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미설명 도면 부호 222는 공기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완충 장치(200) 내부에 양단이 밀봉된 완충 튜브(280)를 내장시키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상기 완충 튜브(280)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완충 튜브(280)는 충전된 공기에 의해 부가적인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 튜브(280)가 더욱 부가되는 경우에 신발은 완충 장 치(200)와 더불어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착지시 신발의 뒷굽에 가해지는 압력 방향과 공기의 적절한 유동을 감안하면 완충 튜브(280)는 완충 장치(200)의 내부 측면부위를 따라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튜브(280)는 도 2에 개시된 완충 장치의 내부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장치(200)에 공기의 출입을 일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체크 밸브(240)가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후술할 밑창(400)에 의해 완충 장치(200)의 양 측면만이 외부로 개방됨을 감안하면, 도 1a 및 도 1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체크 밸브(240)는 신발의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 장치(2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장치(200)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가 중창(100)의 공기 유로(120)를 통해서 자유롭게 유동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완충 장치(200)와 공기 유로(120)에 양단이 개구된 공기 튜브(600)를 개재시키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공기 튜브(600)가 개재되는 경우에는, 개구된 일단은 완충 장치(2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개구된 타단은 공기 유로(120)를 따라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튜브(600)는 통상적인 튜브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 튜브(6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완충 장치 실시예 각각 모두에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갑피 고정 부재(300)는 완충 장치(200) 상면에 구비되며, 갑피(10)의 후족부 저면(12)이 적절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 부위가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피 고정 부재(300)는 갑피(10)와의 결합을 위한 기본 기능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완충 장치(200)가 과도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완충 장치(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출입하는 공기가 신발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갑피 고정 부재(300)는 일정한 값 이상의 경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완충 장치 및 갑피 고정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320) 및 상기 돌출부(320) 상면에 형성되는 홈(340), 그리고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 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갑피 고정 부재(300)가 완충 장치(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경우이다. 상기 돌출부(320)는 중창(100)의 상면에 안치되는 부분이며, 상기 홈(340)은 중창(100)의 공기 유로(120)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관통 홀(360)은 완충 장치(200)의 개구부(220)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이 실시예는 갑피의 후족부 저면이 더욱 용이하게 갑피 고정 부재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완충 장치와 중창의 결합 정도를 더욱 긴밀하게 해주고, 완충 장치에 충전된 공기가 중창의 공기 유로로 더욱 용이하게 유동 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갑피 고정 부재(300)가 완충 장치(200) 상면에 구비됨에 있어, 갑피 고정 부재(300) 및 완충 장치(200) 각각을 별개로 준비한 다음 적절한 접 착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구성하는 경우와, 갑피 고정 부재(300) 및 완충 장치(20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모두를 배제하지 않는다. 갑피 고정 부재 및 완충 장치 양자를 별개로 준비하여 결합시킬지 아니면 양자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킬지 여부는 제조 공정 및 완충 기능의 적절한 담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창(400)은 중창(100) 및 완충 장치(20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며, 도 1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완충 장치(200)의 양 측면 부위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창(400)에 있어서 지면과 직접 접하게 되는 부분은 통상적인 신발의 밑창 경우처럼 마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요철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재질은 내구성이 뛰어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신발의 밑창 재질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포함됨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장치(200) 저면에 완충 장치의 완충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밑창(400)과 완충 장치(200) 사이에 보강판(500)이 더욱 개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완충 장치(20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착용하여 지면에 착지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완충 장치(200)가 과도하게 수축될 수 있어 오히려 착용자의 발에 무리가 갈 수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서, 보강판(500) 재질은 일정한 값 이상의 경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500)이 완충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 모두에 개재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완충 장치의 완충 기능을 부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완충 장치 내부에 탄성 수단이 더욱 삽입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도 5 내지 도 6b 각각은 이러한 탄성 수단의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는 대향하는 상판 및 하판(622, 624)과 상기 각 판(622, 624)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626)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수단(62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6a에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수단(64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밑판(664)과 상기 밑판(66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볼(662)로 이루어지는 탄성 수단(66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 각각에 개시된 탄성 수단(640, 660) 각각은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및 복원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내부 공동부에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서 임의의 물질이 충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러한 탄성 수단(620, 640, 660)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특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 져야 하는바, 이러한 구체적인 기재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완충 장치가 본래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하면서도 형상의 변형 없이 신발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을 흡수 분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부가적인 완충 튜브를 완충 장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신발이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9)

  1. 후족부가 절단된 상태로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공기 유로(120)가 형성되는 중창(100)과;
    상단에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100)의 후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충전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장치(200)와;
    갑피(10)의 후족부 저면(12)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 부위가 외부로 만곡된 상태로 상기 완충 장치(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갑피 고정 부재(300)와;
    상기 완충 장치(200)의 측면 일부를 외부로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중창(100) 및 완충 장치(20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고정 부재(300)에는 상기 중창(100)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320)에는 상기 중창(100)의 공기 유로(120)에 대응되는 홈(340)이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고정 부재(300)는 상기 완충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200)는 말굽 형상 또는 고리 형상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200)의 내부에는 양단이 밀봉된 완충 튜브(280)가 더욱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200)의 저면에는 보강판(500)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200)의 내부에는, 부가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 수단이 더욱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200)의 측면에는 체크 밸브(240)가 더욱 장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에는, 개구된 일단은 상기 완충 장치(200)의 개구부(220)에 삽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상기 중창(100)의 공기 유로(120)를 따라 안치되는 공기 튜브(600)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60070545A 2006-07-27 2006-07-27 신발 KR10072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545A KR100722189B1 (ko) 2006-07-27 2006-07-27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545A KR100722189B1 (ko) 2006-07-27 2006-07-27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189B1 true KR100722189B1 (ko) 2007-05-29

Family

ID=3827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545A KR100722189B1 (ko) 2006-07-27 2006-07-27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29B1 (ko) * 2008-06-11 2009-06-15 박승용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235B1 (ko) * 1984-04-27 1991-12-24 에너자이레 코포레이션 미리 성형된 융기부를 갖는 신발바닥구조
JP3067515U (ja) * 1999-09-17 2000-04-07 何 嘉銘 靴内空気入替え可能な通気装置
JP2000217604A (ja) 1999-01-28 2000-08-08 Yoshio Yamada 靴の中敷き及び靴
JP2001112503A (ja) 1999-10-19 2001-04-24 Fisshupondo:Kk 靴底、靴及び靴の中敷き
KR100552090B1 (ko) 2005-04-01 2006-02-13 박승용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235B1 (ko) * 1984-04-27 1991-12-24 에너자이레 코포레이션 미리 성형된 융기부를 갖는 신발바닥구조
JP2000217604A (ja) 1999-01-28 2000-08-08 Yoshio Yamada 靴の中敷き及び靴
JP3067515U (ja) * 1999-09-17 2000-04-07 何 嘉銘 靴内空気入替え可能な通気装置
JP2001112503A (ja) 1999-10-19 2001-04-24 Fisshupondo:Kk 靴底、靴及び靴の中敷き
KR100552090B1 (ko) 2005-04-01 2006-02-13 박승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29B1 (ko) * 2008-06-11 2009-06-15 박승용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733B1 (ko) 터널형 쿠션부가 형성된 신발창
KR100614503B1 (ko)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TWI688349B (zh) 具有插入於鞋面和舒適鞋底之間的殼體的運動鞋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WO2017212367A1 (en) A footwear sole with a part to support the heel
KR100518307B1 (ko) 신발
CN105167316A (zh) 一种双层可自由更换鞋底夹层的多功能鞋
KR100722189B1 (ko) 신발
KR200442659Y1 (ko) 신발의 완충장치 구조
KR20100080963A (ko) 허니컴 구조의 완충 장치 신발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CN201431005Y (zh) 空气循环式缓震功能鞋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100902029B1 (ko)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KR200443935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CN211092107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儿童鞋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20090009068U (ko) 에어쿠션 내장형 충격흡수용 신발중창
KR20070070431A (ko) 공기압력이동의 병목현상을 이용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
CN218127207U (zh) 一种双减震气垫鞋底
KR20070091169A (ko) 충격흡수부재가 내장된 인라인신발
KR20050018906A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
CN214047758U (zh) 一种具有加强结构的鞋底及运动鞋
CN214047759U (zh) 一种具有减震结构的运动鞋
CN210329546U (zh) 一种刺猬型防滑缓冲儿童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