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090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2090B1 KR100552090B1 KR1020050027429A KR20050027429A KR100552090B1 KR 100552090 B1 KR100552090 B1 KR 100552090B1 KR 1020050027429 A KR1020050027429 A KR 1020050027429A KR 20050027429 A KR20050027429 A KR 20050027429A KR 100552090 B1 KR100552090 B1 KR 100552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sole
- cushion member
- shoe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을 착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어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따르지 않으므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쿠션부재의 완충력에 의해 무릎 및 발목의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동시에 큰 운동효과를 볼 수 있어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건전하고 유쾌한 여가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쿠션 신발, 에어 쿠션, 체크밸브, 완충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 2쿠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신발의 폭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b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의 하면과 지면과의 접촉이 해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저면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 의 하면과 지면과의 접촉이 해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밑창 110 : 쿠션부재 삽입홈
130 : 흡입용 공기유로 150 : 토출용 공기유로
210 : 제 1쿠션부재 220 : 제 2쿠션부재
300 : 체크밸브부재 400 : 형태유지용 삽입체
500 : 갑피 600 : 안창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이 걸어다닐 때에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통상의 신발 구조를 보면, 발등과 발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피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 주행성을 향상시키며 완충의 작용을 동시에 행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바, 갑피를 밑창에 연결시킨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신발의 밑창에 스프링을 장착한 신발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1990-0014094호인 "점핑 운동화"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11842-0000호인 "스프링 장착 운동화"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 중 "스프링 장착 운동화"의 공보를 살펴보면, 스프링 장착 운동 화는 운동화의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운동화의 하면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패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은, 운동화의 전방부분과 지지패드를 연결하는 제1지지스프링, 운동화의 후미부분과 지지패드를 연결하는 제2지지스프링 및 운동화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서 치우쳐서 운동화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안전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프링 장착 운동화는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한 반복되는 탄력감으로 흥미를 느낄 수는 있지만, 큰 운동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운동을 위한 에어발판이 종래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446588호인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98847호인 "운동용 에어발판"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 중 "운동용 에어발판"의 공보를 살펴보면, 판상의 디딤판과,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를 갖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가지며, 하단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출입유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에 끼워져 본체부 내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와; 공기량조절부재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운동용 발판은 제한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장소에서 운동을 하고자 할 때 발판을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발판의 이 동성에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을 착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어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따르지 않으므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쿠션부재의 완충력에 의해 무릎 및 발목의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동시에 큰 운동효과를 볼 수 있으며, 쿠션부재의 완충력으로 인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져, 신발 내부의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바닥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부재 삽입홈이 마련되는 밑창;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상하로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쿠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밑창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쿠션부재 삽입홈에 결합되며, 하면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밑창에는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공기출입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입유로는,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 및 상기 밑창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용 공기유로;및 상기 쿠션부재의 개방면 및 상기 신발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용 공기유로;로 구성되며, 상기 흡 입용 공기유로에는 상기 밑창의 외부로의 공기배출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하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미끄럼방지판이 상기 쿠션부재의 하면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형태유지용 삽입체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2쿠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신발의 폭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신발은 갑피(500)와 밑창(100)과 쿠션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갑피(500)는 신발의 외형을 이루며, 갑피(500)의 하면에 밑창(100)이 결합된다.
밑창(100)의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오목하 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부재 삽입홈(110)이 마련되며, 제 1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쿠션부재 삽입홈(110)이 마련되어 있다.
쿠션부재(200)는 밑창(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상하로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단위쿠션부로 이루어진다.
쿠션부재(200)는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쿠션부(211,212,221,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위쿠션부(211,212,221,22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단위쿠션부(211,212,221,222)는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두 개의 쿠션부재 삽입홈(11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쿠션부재(200) 중 밑창(110)의 전방을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제 1쿠션부재(210)라 하고, 밑창(110)의 후방을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제 2쿠션부재(220)라 하기로 한다.
제 1쿠션부재(210)는 두 개의 단위쿠션부(211,212) 중 큰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12)가 작은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1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 2쿠션부재(220)는 두 개의 단위쿠션부(221,222) 중 작은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22)가 큰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 1,2쿠션부재(210,2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쿠션부재 삽입홈(110)에 결합되고, 하면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된다.
제 1,2쿠션부재(210,220)의 하면에는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면이 압착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217,227)가 제 1,2쿠션부재(210,2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217,227)의 개수 및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의 도 2에서는 제 2쿠션부재(220)의 사시도 만을 도시하였으나, 제 1쿠션부재(210)의 사시도도 이와 같으며, 다만 단위쿠션부의 배치만 상이함을 유의하기 바란다.
상기에서와 같이, 쿠션부재(210,220)의 하면에 복수의 돌출부(217,22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돌출부가 형성된 미끄럼 방지판이 부착된 쿠션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220')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판 삽입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방지판 삽입홈(223)에는 하면에 복수의 돌출부(231)가 형성된 미끄럼방지판(230)이 결합되어 접착된다.
쿠션부재(220')의 접착면(229)과 단위쿠션부(221,22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도 6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2쿠션부재(두 개의 단위쿠션부(221,222) 중 작은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22)가 큰 체적을 가지는 단위쿠션부(2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만 도시하였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쿠션부재(220')가 일반적으로 탄성력이 우수한 PVC(PolyVinylChloride)재질인 반면, 미끄럼방지판(230)는 밑창의 재질로 사용되는 합성고무체 등으로 되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인 미끄럼방지판(230)이 쉽게 마모되지 않으므로 쿠션부재(22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 1,2쿠션부재(210,220) 하면 가장자리의 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이 진 형태보다 완만한 곡선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면의 가장자리가 완만한 곡선 형태로 되면, 신발 착용 후 보행시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최상단 단위쿠션부(212,222) 상단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접착면(219,2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면은 쿠션부재(210,2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접착면(219,229)의 지름(d)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접착면(219,229)의 외주면 및 상단면(218,228)은 쿠션부재 삽입홈(110)과 접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접착면 형상의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면(219a,229a)은 쿠션부재(210a,220a)의 수직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할수록 접착면(219a,229a)의 지름(d')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착면(219,229)의 상단면(218,228)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밑창(100)과 쿠션부재(200)의 제조방법으로서, 밑창(100)과 쿠션부재(200)는 각각 따로 제작되어 밑창(100)의 쿠션부재 삽입홈(110)에 쿠션부재(200)의 접착면(219,229)를 접착하여 조립하는 방법도 있지만, 밑창(100) 사출 성형시 쿠션부재(200)를 미리 삽입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쿠션부재 삽입홈(110) 및 쿠션부재(20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쿠션부재 삽입홈(110) 및 쿠션부재(200)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밑창(100)에는 흡입용 공기유로(130)와 토출용 공기유로(150)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용 공기유로(130)는 제 1,2쿠션부재(210,220)의 내부 및 밑창(100)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상단면(218,228) 둘레에 형성된 홈(225)이 흡입용 공기유로(130)와 연통되도록 각 쿠션부재(210,220)가 배치된다.
흡입용 공기유로(130) 및 홈(225)에는 쿠션부재(210,220) 내부의 공기가 밑창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300)가 마련된다.
본 명세서의 도 4에서는 체크밸브부재(300)가 흡입용 공기유로(130) 및 홈(225)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체크밸브부재(300)는 흡입용 공기유로(130)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4에서는 제 2쿠션부재(220)만을 도시하였지만, 제 1실시예에서의 제 1쿠션부재(210)의 단면도도 이와 같으며, 다만 단위쿠션부의 배치만 상이함을 유의하기 바란다.
체크밸브부재(300)에 의해 쿠션부재(210,220) 내부의 공기는 밑창(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반면, 밑창(100) 외부의 공기는 체크밸브부재(300)를 통과하여 쿠션부재(210,220) 내부로 흡입 가능하다.
흡입용 공기유로(130) 및 체크밸브부재(300)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제 1실시예에서는 제 1쿠션부재(210) 및 제 2쿠션부재(220)의 홈(225)에 각각 체크밸브부재(300)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1쿠션부재(210) 또는 제 2쿠션부재(220) 중 어느 한쪽의 홈(225)에만 체크밸브부재(300)가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흡입용 공기유로(130)는 쿠션부재(210,220)의 홈(225)과 연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쿠션부재(210,220)의 상부 개방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쿠션부재(210,220)에 형성된 홈(225)은 홈의 형태가 아니라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실시예에 따라 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토출용 공기유로(150)는 제 1유로(151) 및 제 2유로(15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유로(151)는 제 1쿠션부재(210)의 개방면 및 밑창(100)의 상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직상부로 형성되며, 제 2유로(152)는 제 2쿠션부재(220)의 개방면 및 제 1유로(151)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 2유로(152)는 제 2쿠션부재(200)의 개방면으로부터 밑창(100)의 상부까지 직상부로 형성된 수직유로와, 밑창(100)의 표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수직유로 및 제 1유로(151)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수평유로로 구성된다.
갑피(500)의 내부에는 안창(600)이 마련되어 밑창(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안창(600)에는 토출용 공기유로(150)와 연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610)가 형성된다.
통풍구(610)는 신발 내부의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제 1유로(151)의 직상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창(10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형태유지용 삽입체(400)가 삽입된다.
형태유지용 삽입체(400)는 적어도 제 1,2쿠션부재(210,220)가 위치하는 지점을 지지하여 밑창(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형태유지용 삽입체(400)는 판상 또는 망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형태유지용 삽입체(400)가 망상으로 되면, 신발의 중량을 줄여 가벼운 신발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토출용 공기유로(1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을 따로 천공할 필요가 없다.
상기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어린이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2쿠션부재의 단위쿠션부가 한 개만 형성된 제 2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2쿠션부재(210a,220a)의 단위쿠션부(211a,221a)는 각각 한 개만 형성되어 있으며, 단위쿠션부(211a,221a)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면(219a,229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접착면(219a,229a)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착면(219a,229a)이 쿠션부재(210a,220a)의 수직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할수록 접착면 (219a,229a)의 지름(d')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 접착면(219a,229a)의 형상에 대응하여 밑창(100)에 형성된 쿠션부재 삽입홈(110a)의 형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쿠션부재 접착면(219a,229a)과 밑창(100)의 쿠션부재 삽입홈(110a)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면 구조적으로 쿠션부재(210a,220a)가 쿠션부재 삽입홈(11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2쿠션부재(210a,220a)의 하면 가장자리의 단면은 완만한 곡선 형태로 되어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제 1,2쿠션부재(210a,220a)의 형상 및 밑창(100)의 쿠션부재 삽입홈(110a)의 형상만 상기의 제 1실시예와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쿠션부재가 한 개만 형성된 제 3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쿠션부재(210b)는 밑창(100)의 전방측을 지지하며, 밑창(100)의 후방측에는 뒷굽(120)이 형성된다.
또한, 밑창(100)에는 토출용 공기유로(150b)가 형성되되, 토출용 공기유로(150b)는 쿠션부재(210b)의 개방면 및 밑창(100)의 상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직상부로 형성된다.
갑피(500)의 내부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창(600)이 마련되어 밑창 (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안창(600)에는 토출용 공기유로(150b)와 연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610b)가 형성된다.
상기의 제 2,3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어른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3실시예에서의 뒷굽 대신에 지지부재를 대체하여 구성한 제 4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210c)는 밑창(100)의 전방측을 지지하며, 지지부재(240)이 밑창(100)의 후방측을 지지한다.
밑창(100)의 후방측에는 지지부재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어, 이 지지부재 삽입홈(170)에 지지부재(240)가 삽입된다.
지지부재(240)는 쿠션부재(210c)와 외형상 같으며, 다만, 쿠션부재(210c)의 단위쿠션부(211c) 상단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접착면(219c)의 형상은 수직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할수록 접착면(219c)의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부재(240)의 상단에 형성된 접착면(249)은 수직방향을 따라 접착면(249)의 지름이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지지부재(240)의 접착면(249)도 쿠션부재(210c)의 접착면(219c)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240)의 내부에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로 된 탄성재(250)가 내삽 되어 있어, 지지부재(240)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240)에 탄성재(250)가 내삽되지 않고 지지부재(240) 전체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도 될 수 있으나,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절감한다는 측면에서는 지지부재(240)에 탄성재(250)가 내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밑창(100)에는 토출용 공기유로(150c)가 형성되되, 토출용 공기유로(150c)는 쿠션부재(210c)의 개방면 및 밑창(100)의 상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직상부로 형성된다.
갑피(500)의 내부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창(600)이 마련되어 밑창(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안창(600)에는 토출용 공기유로(150c)와 연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610c)가 형성된다.
한편, 쿠션부재의 형상과 관련하여 제 5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2쿠션부재(210d,220d)는 밑창(100)의 형상과 대동소이하도록 형성되며, 제 5실시예와 같이 쿠션부재(210d,220d)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2쿠션부재(210d,220d)의 하면에는 복수의 돌출부(217d,227d)가 형성되어 있다.
제 5실시예에서 제 1,2쿠션부재(210d,220d)의 형상만 상기의 제 1실시예와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 10에서의 제 2쿠션부재(220d)를 상기의 제 3실시예에서와 같이 뒷굽으로 대체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쿠션부재의 하면과 지면과의 접촉이 해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한 후 점핑시 제 1,2쿠션부재(210,220)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되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2쿠션부재(210,220)에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져 단위쿠션부(211,212,221,222)가 압축된다.
이때, 흡입용 공기유로(130)에는 체크밸브부재(300)가 마련되어 있어, 밑창(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단위쿠션부(211,212,221,222)의 압축이 이루어져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전체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제 1쿠션부재(210) 내의 공기는 제 1유로(151)를 따라 이동하고, 제 2쿠션부재(220) 내의 공기는 제 2유로(512)를 따라 이동하여 안창(600)에 형성된 통풍구(610)를 통하여 신발의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반대로, 점핑시 제 1,2쿠션부재(210,220)와 지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단위쿠션부(211,212,221,222)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에 따라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체적이 신장하게 되어 부압 이 형성된다.
제 1,2쿠션부재(210,220)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어, 흡입용 공기유로(130)에 마련된 체크밸브부재(300)를 통하여 밑창(100)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흡입용 공기유로(130)를 따라 제 1,2쿠션부재(210,22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의 작용과 반대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로서, 신발을 착용한 후 쿠션부재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될 때 외부의 공기가 쿠션부재 내부로 유입되고, 쿠션부재의 하면이 지면과 접촉해제될 때 쿠션부재 내의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 제 6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도면부호 130'는 토출용 공기유로이고, 300'는 밑창(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이며, 150'는 흡입용 공기유로이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2쿠션부재(210,220)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되면, 제 1,2쿠션부재(210,220)에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져 단위쿠션부(211,212,221,222)가 압축된다.
이렇게 단위쿠션부(211,212,221,222)의 압축이 이루어져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전체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제 1,2쿠션부재(210,220)내의 공기가 토출용 공기유로(130')에 마련된 체크밸브부재(300')를 통하여 밑창(10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와 반대로, 제 1,2쿠션부재(210,220)와 지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도 5 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단위쿠션부(211,212,221,222)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에 따라 제 1,2쿠션부재(210,220)의 체적이 신장하게 되어 부압이 형성된다.
이때, 토출용 공기유로(130')에는 체크밸브부재(300')가 마련되어 있어, 밑창(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쿠션부재(210) 내의 공기는 흡입용 공기유로(150')인 제 1유로(151')를 따라 이동하고, 제 2쿠션부재(220) 내의 공기는 제 2유로(512')를 따라 이동하여 안창(600)에 형성된 통풍구(610)를 통하여 신발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6실시예의 밑창(100)에 토출용 공기유로(130') 없이 흡입용 공기유로(150')만 형성되어 있어, 흡입용 공기유로(150')를 통하여 신발 내부와 쿠션부재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쿠션부재의 완충력으로 인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져, 신발 내부의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신발을 착용한 후 언제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어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따르지 않으므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쿠션부재의 완충력에 의해 무릎 및 발복의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동시에 큰 운동효과를 볼 수 있어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건전하고 유쾌한 여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의 완충력으로 인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져, 신발 내부의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 신발에 있어서,바닥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부재 삽입홈이 마련되는 밑창;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상하로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쿠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밑창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쿠션부재 삽입홈에 결합되며, 하면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밑창에는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공기출입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공기출입유로는,상기 쿠션부재의 내부 및 상기 밑창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용 공기유로;및상기 쿠션부재의 개방면 및 상기 신발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용 공기유로;로 구성되며,상기 흡입용 공기유로에는 상기 밑창의 외부로의 공기배출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 1항에 있어서,하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미끄럼방지판이 상기 쿠션부재의 하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밑창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형태유지용 삽입체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쿠션부재는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며 층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단위쿠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7429A KR100552090B1 (ko) | 2005-04-01 | 2005-04-01 |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7429A KR100552090B1 (ko) | 2005-04-01 | 2005-04-01 |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2090B1 true KR100552090B1 (ko) | 2006-02-13 |
Family
ID=3717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7429A KR100552090B1 (ko) | 2005-04-01 | 2005-04-01 |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209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4503B1 (ko) | 2005-12-13 | 2006-08-22 | 김옥태 |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
KR100722189B1 (ko) | 2006-07-27 | 2007-05-29 | 김옥태 | 신발 |
KR101601971B1 (ko) * | 2015-04-06 | 2016-03-10 |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 통풍이 가능한 웰트화 |
CN106263256A (zh) * | 2016-08-08 | 2017-01-04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带充气功能的减震鞋底结构 |
KR200494606Y1 (ko) * | 2020-11-09 | 2021-11-12 | 이남수 | 착용성과 사용성이 우수한 층간소음 방지용 덧신 |
-
2005
- 2005-04-01 KR KR1020050027429A patent/KR1005520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4503B1 (ko) | 2005-12-13 | 2006-08-22 | 김옥태 |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
KR100722189B1 (ko) | 2006-07-27 | 2007-05-29 | 김옥태 | 신발 |
KR101601971B1 (ko) * | 2015-04-06 | 2016-03-10 |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 통풍이 가능한 웰트화 |
CN106263256A (zh) * | 2016-08-08 | 2017-01-04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带充气功能的减震鞋底结构 |
CN106263256B (zh) * | 2016-08-08 | 2018-07-06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带充气功能的减震鞋底结构 |
US11134750B2 (en) | 2016-08-08 | 2021-10-05 |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 Ltd. | Inflatable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
KR200494606Y1 (ko) * | 2020-11-09 | 2021-11-12 | 이남수 | 착용성과 사용성이 우수한 층간소음 방지용 덧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55526B2 (en) |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 |
AU2006201182B2 (en) | Footwear sole | |
US20090282704A1 (en) |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 |
US20120079747A1 (en) | Midsole For A Shoe | |
US7565754B1 (en)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cushioning sole | |
JP4542118B2 (ja) | 履物製品のインサート | |
KR101668142B1 (ko) |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 |
US8196315B2 (en) |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 |
EP2446768A2 (en) | Midsole for a shoe | |
CN101589863B (zh) | 结合了具有可压缩插入件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 |
US20080189986A1 (en) |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 |
KR101006923B1 (ko) | 신발 중창 | |
KR200426095Y1 (ko) |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 |
US20100095553A1 (en) | Resilient sports shoe | |
US20110308106A1 (en) | Midsole for a shoe which has the shock-dispersing function and the same foot rolling function | |
KR100731793B1 (ko) | 신발 하부 구조체 | |
KR100552090B1 (ko) | 신발 | |
US20090265961A1 (en) | Footwear as Mat-Socks | |
KR20150000306U (ko) |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 |
US20030110661A1 (en) | Shock-absorbing shoe | |
KR20110119904A (ko) |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 |
KR20090004785A (ko) | 기능성 굴림 신발창 | |
EP1956932B1 (en) | Footwear as mat-socks | |
KR0180294B1 (ko) |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03504B1 (ko) |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