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809Y1 -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 Google Patents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809Y1
KR200305809Y1 KR20-2002-0032208U KR20020032208U KR200305809Y1 KR 200305809 Y1 KR200305809 Y1 KR 200305809Y1 KR 20020032208 U KR20020032208 U KR 20020032208U KR 200305809 Y1 KR200305809 Y1 KR 200305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ole
buffer
load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연
Original Assignee
이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연 filed Critical 이숙연
Priority to KR20-2002-0032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로서, 상세하게는 신체의 하중이 잘 분포될 수 있도록, 뒤꿈치와 지면에 가장 많은 부분이 접하는 발바닥 부분에, 완충 스프링을 내입하되 스프링이 신발 내부에서 미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고정하여 주는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 외측으로 고밀도 PU스폰지를 성형한 완충구를 내입하고, 완충구 내입구에 공기 유통로 및 유통로 덮개를 형성하여, 발에 집중되는 신체의 하중을 발바닥과 뒤꿈치에서 분산하여 하중을 감당하므로, 발의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프링의 과다한 탄발로 인해 신체의 무게 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스프링 시트와 스폰지가 방지하므로,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할 때에 좌우 무게중심이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특히 신체의 중심이나 하중의 분배를 중요시하는, 골프화 및 등산화와 같은 경우에, 스프링 시트와 스폰지 작동으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sole unit of shoes}
본 고안은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로서, 자세하게는 공기 유통로와 완충 스프링 내입구를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에, 완충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를 일체로 한 완충구를 결합하여, 신발에 가해지는 신체의 하중을 분산하여, 신발의 바닥창이 완충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하중을 받고 있는 발의 보호와 신발의 착용감을 증대하기 위해, 신발 바닥창의 구성은 신체의 하중을 감당하거나 하중의 분산을 목적으로, 신발의 바닥창이나 안창에 완충기능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신발의 바닥창을 구성하는 종래의 고안들은 발이 감당하는 신체의 하중을 해소하기 위해, 바닥창의 뒷부분에 공기의 완충작용을 이용한 에어백을 형성하거나, 탄성이 높은 재질의 중창과 안창 등으로 신발이 신체의 하중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신발 바닥창의 완충작용이 신발의 뒷부분에, 즉 사람이 걸을 때 가장 먼저 지면에 닿는 뒤꿈치에 치중되어 있어, 사람이 구보로 인해 발의 앞부분이 먼저 지면에 닿는 경우와, 발바닥 전부가 지면에 닿는 경우에는 뒤꿈치에 완충 작용이 한정되어 있는 신발의 바닥창은, 하중이 뒤꿈치에 편중될 때는 완충작용의 실효가 있으나, 발이 지면에 대하여 접하는 부분이 다를 경우에는 신체의 하중을 발바닥이나 발 중간부가 직접 하중을 해소해야 하므로, 발에 강한 압력이 작용하며 분산되지 못하고 편중되어 있는 완충기능으로 인해, 신체의 하중이 특정 부위에 가다하게 압력으로 작용하므로, 사람이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때 발에 누적되는 피로 발생으로, 활동에 장애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신체의 중심이나 하중의 분배를 중요시하는, 골프화 및 등산화와 같은경우에, 단순히 완충작용을 목적으로 스프링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신발에 장착되는 완충 스프링의 과대한 탄발과 미동으로 인해, 오히려 신발의 착용감을 저해하고 중심을 잡는데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인이 선출원 하여 등록유지결정을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26023호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의 고안을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을 신체의 하중이 잘 분포될 수 있도록, 뒤꿈치와 지면에 가장 많은 부분이 접하는 발바닥 부분에, 완충 스프링을 내입하되 스프링이 신발 내부에서 미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고정하여 주는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 외측으로 고밀도 PU스폰지를 성형한 완충구를 내입하고, 완충구 내입구에 공기 유통로 및 유통로 덮개를 형성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결합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완충구의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에서 완충구의 타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창 2,2'; 원형 걸림구 3,3': 완충구 내입구
4,4'; 완충 스프링 5,5'; 스프링 시트 6,6'; 고밀도 스폰지
7,7'; 완충구 8,8'; 장공 9,9'; 시트 덮게 10,10'; 요턱
11; 공기 유통로 12,12'; 완충구 13,13'; 장공
14; 공기 유통로 덮게
바닥창(1) 전면부와 후면부에 원형 걸림구(2)(2')가 형성된 완충구 내입구(3)(3')에, 완충 스프링(4)(4') 하측으로 스프링 시트(5)(5')가 고정되고, 외측으로 고밀도 스폰지(6)(6')로 결합한 완충구(7)(7')에 장공(8)(8')을 형성하고, 상기의 완충구 내입구(3)(3')에 각각 내입하고, 완충구(7)(7') 상측으로 시트덮게(9)(9')를 형성하여 완충구 내입구(3')(3')를 밀폐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밑창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완충기능을 가지는 스프링(4)(4')과 스폰지(6)(6')가 결합되어 하나의 완충구(7)(7')로 구성된 본 고안은, 신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발에 착용되는 신발 바닥창(1)의 구성을,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발바닥과 뒤꿈치 부분에 완충구 내입구(3)(3')를 형성하여, 완충 스프링(4)(4')과 완충 스프링(4)(4') 외부로 형성된 스폰지(6)(6')로 구성된 완충구(7)(7')를 삽입하여, 발에 분산되어 가해지는 신체의 하중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완충구 내입구(3)(3')에 각각의 완충구 (7)(7')가 내입된 바닥창(1)이 형성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에서 발생한 하중이 발에 압력으로 가해지면, 발바닥과 뒤꿈치에 위치한 완충구(7)(7')의 탄발작용을 발생시켜 발에 집중되는 신체의 하중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완충구(7)(7')의 탄발작용은 사람이 신발을 착용하여 걷거나 도보할 경우, 하중을 받는 발이 지면에 접할 때는 스프링(4)(4')과 스폰지(6)(6')이 수축되고, 발이 지면에서 이탈하여 하중을 받지 않을 때에는 탄발되는 방법으로, 발에 전달되는 신체의 하중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시트 덮게(9)(9')의 구성은 완충구 내입구(3)(3')에 삽입된 완충구(7)(7')가 이탈되거나 직접 하중을 받음으로 발생하는 파열 또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시트 덮게(9)(9')와 완충구 내입구(3)(3')의 결합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226023호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완충구 내입구(3)(3')는 시트 덮게(9)(9')가 유동하지 않도록 요턱(10)(10')을 형성한 것이며, 완충구 내입구(3)(3')와 시트 덮게(9)(9')의 결합은 접착제나 기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결합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완충구 내입구(3)(3')에 형성된 공기 유통로(11)는, 바닥창(1) 내부에서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발의 중간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구(7)(7')의 탄발작용과 함께 이중으로 하중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공기 유통로(11)에는 방수, 방충 특수 천으로 구성된 유통로 덮게(14)를 형성하여, 공기 유통로(11) 내부에 공기가 유출되는 것과, 신발의 제조과정이나 기타 신발의 착용시 공기 유통로(11) 내부로 물이나 접착제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공기 유통로(11)가 막히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특징을 가지는 완충구(7)(7')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프링(4)(4') 내경과 유사한 내경이 형성된 스프링 시트(5)(5')를 스프링(4)(4') 하측으로 결합 후, 스프링(4)(4') 외부를 고밀도 저 비중 PU스폰지(6)(6')로 외부 성형한 것으로, 스폰지(6)(6')는 탄발력과 함께 내구성이 강한 우레탄 재질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완충구(7)(7')는 스프링(4)(4') 내경과 동일한 장공(8)(8')이 형성되어, 바닥창(1)에 형성된 완충구 내입구(3)(3')에 결합될 때에, 완충구(7)(7')에 형성된 장공(8)(8')과 완충구 내입구(3)(3')에 형성된 원형 걸림구(2)(2')에 의해 완충구(7)(7')가 내입구(3)(3')에 정확하게 결합되면서, 완충구 내입구(3)(3') 내에서 완충구(7)(7')가 미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구(7)(7')의 구성에서 스프링(4)(4')에 결합되는 스폰지(6)(6')는, 상측의 스프링(4)(4')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의해 스프링(4)(4')이 심하게 탄발을 받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폰지(6)(6')가 스프링(4)(4') 외부를 감싸고 있어, 스프링(4)(4')이 과다하게 탄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발력을 이용한 완충작용을 가지는 것이며, 스프링(4)(4')에 결합되는 스프링 시트(5)(5')는, 작업공정에서 스프링(4)(4')과 스폰지(6)(6')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완충구(7)(7')의 외형을 유지하는 골격의 기능과 함께, 완충구(7)(7')의 파열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완충구 내입구(3)(3')의 삽입되는 완충구(4)(4')의 구성에서, 완충구(12)(12')에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를 첨부된 도5와 같이 상부가 밀폐되고 하측에만 요홈 형태로 장공(13)(1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구(12)(12')의 사용은 완충구(7)(7')(12)(12') 상부에 위치하는 시트 덮게(9)(9')를 생략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며, 완충구(12)(12')의 기능과 작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완충 스프링(4)(4')과 스폰지(6)(6')가 결합된 완충구(7)(7')가 형성된 바닥창(1)은, 발에 집중되는 신체의 하중을 발바닥과 뒤꿈치에서 분산하여하중을 감당하므로, 발의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프링(4)(4')의 과다한 탄발로 인해 신체의 무게 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스프링 시트(5)(5')와 스폰지(6)(6')가 방지하므로,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할 때에 좌우 무게중심이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특히 신체의 중심이나 하중의 분배를 중요시하는, 골프화 및 등산화와 같은 경우에, 스프링 시트(5)(5')와 스폰지(6)(6')의 작동으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바닥창(1) 전면부와 후면부에 원형 걸림구(2)(2')가 형성된 완충구 내입구(3)(3')에, 완충 스프링(4)(4') 하측으로 스프링 시트(5)(5')가 고정되고, 외측으로 고밀도 스폰지(6)(6')로 결합한 완충구(7)(7')에 장공(8)(8')을 형성하고, 상기의 완충구 내입구(3)(3')에 각각 내입하고, 완충구(7)(7') 상측으로 시트 덮게(9)(9')를 형성하여 완충구 내입구(3')(3')를 밀폐하여서 된,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창(1)의 구성이 시트 덥게(9)(9')를 생략한 상태에서, 상부가 밀폐되고 하측에만 요홈 형태로 장공(13)(13')이 형성된 완충구(12)(12')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20-2002-0032208U 2002-10-29 2002-10-29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200305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08U KR200305809Y1 (ko) 2002-10-29 2002-10-29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08U KR200305809Y1 (ko) 2002-10-29 2002-10-29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809Y1 true KR200305809Y1 (ko) 2003-03-03

Family

ID=4940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08U KR200305809Y1 (ko) 2002-10-29 2002-10-29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80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62B1 (ko) 2007-01-12 2007-11-09 류현욱 탄성체가 결합된 신발
WO2007136231A1 (en) * 2006-05-23 2007-11-29 Hyun-Wook Ryoo Shoe having an elastic body
KR100844183B1 (ko) * 2007-10-22 2008-07-04 강민구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KR101089759B1 (ko) 2011-06-08 2011-12-07 (주)광성아이엔디 통풍기능이 뛰어나며 이중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솔의 구조
EP3675674A4 (en) * 2017-08-29 2021-05-19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WO2021096096A1 (ko) * 2019-11-13 2021-05-20 홍장표 비거리 증가 및 방향성이 정확해지는 골프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6231A1 (en) * 2006-05-23 2007-11-29 Hyun-Wook Ryoo Shoe having an elastic body
KR100775362B1 (ko) 2007-01-12 2007-11-09 류현욱 탄성체가 결합된 신발
KR100844183B1 (ko) * 2007-10-22 2008-07-04 강민구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KR101089759B1 (ko) 2011-06-08 2011-12-07 (주)광성아이엔디 통풍기능이 뛰어나며 이중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솔의 구조
EP3675674A4 (en) * 2017-08-29 2021-05-19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US11497273B2 (en) 2017-08-29 2022-11-15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WO2021096096A1 (ko) * 2019-11-13 2021-05-20 홍장표 비거리 증가 및 방향성이 정확해지는 골프화
CN114929057A (zh) * 2019-11-13 2022-08-19 洪长杓 增加飞行距离并使方向性变准确的高尔夫球鞋
CN114929057B (zh) * 2019-11-13 2024-03-19 洪长杓 增加飞行距离并使方向性变准确的高尔夫球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3884C (en) Footwear construction
KR100835733B1 (ko) 터널형 쿠션부가 형성된 신발창
KR100780086B1 (ko) 신발용 컵인솔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KR100761042B1 (ko) 신발의 아치 서포트 및 그를 사용한 안창
WO2017028712A1 (zh) 一种双层可自由更换鞋底夹层的多功能鞋
JP2002238609A (ja) 靴底及びその靴底に使用される保護安定具
KR200305809Y1 (ko)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102221319B1 (ko)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KR100825008B1 (ko) 신발창
KR200370218Y1 (ko) 경량의 충격흡수가 가능한 키높이 신발의 구조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265533Y1 (ko) 완충용구두뒤창구조
KR100831742B1 (ko) 다이어트용 쿠션 신발
KR200402570Y1 (ko) 공기압력이동의 병목현상을 이용한 신발용 소형 충격흡수장치
WO2008001828A1 (fr) Semelle intercalaire de chaussure
KR200226023Y1 (ko)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KR20070070431A (ko) 공기압력이동의 병목현상을 이용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
KR200282386Y1 (ko) 구두의 완충구조
KR20150122207A (ko) 전족 플레이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
KR101179031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신발창
CN211532925U (zh) 一种舒适型拖鞋
CN219088519U (zh) 一种二次适脚定型鞋
CN210960627U (zh) 一种缓冲减震鞋底
CN220734562U (zh) 具有支撑及减震功能的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