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183B1 -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183B1
KR100844183B1 KR1020070106308A KR20070106308A KR100844183B1 KR 100844183 B1 KR100844183 B1 KR 100844183B1 KR 1020070106308 A KR1020070106308 A KR 1020070106308A KR 20070106308 A KR20070106308 A KR 20070106308A KR 100844183 B1 KR100844183 B1 KR 10084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pring
flat wire
valleys
support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07010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완충력 확보, 횡력에 대한 저항력 향상 및 기계적인 신뢰도 확보가 가능한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바닥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내장홈이 형성된 바닥재; 상기 내장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돌기홀이 형성되는 제 1 지지재; 상기 제 1 지지재 상에 고정되고, 내주연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파형 쿠션 스프링;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지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장홈의 입구부분에 배치되는 제 2 지지재; 및 상기 내장홈을 덮도록 상기 제 2 지지재 상부에 배치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3 지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형 쿠션 스프링, 신발, 운동화

Description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Wave Type Cushion Spring And Wave Type Cushion Spring with Buffer, And Sho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재용 쿠션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의 완충력 확보, 횡력에 대한 저항력 향상 및 기계적인 신뢰도 확보가 가능한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스포츠 용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 용품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신발이다. 운동화로 대표되는 스포츠용 신발은 착용자의 다양하고 격렬한 활동 중에도 척추, 하지 관절, 근육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주로 신발의 밑창 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착용자의 힘을 지면에 충분히 전달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충격 흡수를 위한 공기 쿠션, 스프링 등의 완충재가 있다. 공기 쿠션이나 스프링과 같은 완충재는 착용자의 발과 신발 밑창 사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디딤에 의한 충격이 착용자의 근육, 골격계 및 관절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착 용자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한다.
하지만, 종래의 완충재는 적절한 충격 흡수 및 장기 사용의 목적을 두루 만족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공기 쿠션의 경우 탄력성 있는 수지계통 벌룬에 공기가 주입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공기 쿠션의 경우 벌룬의 탄력성을 상회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벌룬이 파열되어 쿠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악한 환경 즉, 추위, 더위, 습기에 약하여 겨울철에 사용하는 경우 벌룬이 경화되어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하다.
다른 예로 스프링 완충재를 사용하는 경우 공기 쿠션에 비해 착용자의 발 바닥에 닿는 면적이 적어 완충재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착용자에 의해 이물감이 느끼게 하여 제품의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완충용 스프링은 주로 일방향으로 권취된 코일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 코일형 스프링은 제조 원가가 싸고 원하는 크기로 성형하기 유리한 반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 점유율이 높고, 장기간 사용시 탄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권취 진행방향에 대한 횡력에 약하여 쉽게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완충력 확보, 횡력에 대한 저항력 향상 및 기계적인 신뢰도 확보가 가능한 파형 쿠션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쿠션 스프링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완충력 및 횡력에 의한 변형과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보강구조를 가지는 쿠션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쿠션 스프링 또는 뒤틀림 방지구조의 쿠션 스프링을 이용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은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flat wire)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산 및 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랫 와이어가 1회 권취되는 구간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되는 산은 이전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과 접촉되고,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은 다음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산과 접촉되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은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플랫 와이어의 사이에는 보강재가 삽입된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산 및 골에 대응되는 요부 및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산 및 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랫 와이어가 1회 권취되는 구간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된다.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되는 산은 이전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과 접촉되고,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은 다음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산과 접촉되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바닥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내장홈이 형성된 바닥재; 상기 내장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돌기홀이 형성되는 제 1 지지재; 상기 제 1 지지재 상에 고정되고, 내주연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파형 쿠션 스프링;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지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장홈의 입구부분에 배치되는 제 2 지지재; 및 상기 내장홈을 덮도록 상기 제 2 지지재 상부에 배치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3 지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홈의 입구에는 상기 제 3 지지재의 두께에 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지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홈은 상기 바닥재 중 착용자의 앞굼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전부 내장홈과, 상기 착용자의 뒷굼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후부 내장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부 내장홈은 한개 내지 여섯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부 내장홈은 한개 내지 두개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의 내주연 쪽에 삽입되는 삽입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은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산 및 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랫 와이어가 1회 권취되는 구간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되는 산은 이전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과 접촉되고,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은 다음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은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플랫 와이어의 사이에는 보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산 및 골에 대응되는 요부 및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은 파도형(또는 정현파형)으로 굴곡진 판형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쿠션 스프링을 제조함으로써 외력의 완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임과 아울러 더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외력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은 다른 층을 이루는 플랫 와이어의 사이에 요철형 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완충력 및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켜 파형 쿠션 스프링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은 파도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층의 산과 골이 교번하여 접촉함으로써 외력을 수용하여 분산할 수 있는 복합적인 구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외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통해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내장홈을 형성하고 내장홈에 파형 쿠션 스프링을 수납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쿠션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지지재를 구비하여 파형 쿠션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함과 아울러, 파형 쿠션 스프링이 쿠션재를 뚫고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은 고정돌기 또는 삽입재를 이용하여 파형 쿠션 스프링의 수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파형 쿠션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착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파형 쿠션 스프링을 완충재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장홈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내장홈을 형성함으로써 약해질 수 있는 바닥재의 기계적 특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한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파형 쿠션 스프링을 도시한 측면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형 쿠션 스프링에 대한 평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폭(w)이 두께(h)에 비해 큰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17-7PH 재질 등의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한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산과 골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정현파 또는 파도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플랫 와이어가 한 바퀴 감기는 동안 즉, 360도에 산(101)과 골(102)이 대략 네 번 반복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산(101)과 골(102)의 반복 횟수를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반복되는 산(101)과 골(102)이 하위 플랫 와이어 및 상위 플랫 와이어의 골(102) 및 산(101)과 접촉되는 형태로 반복된다. 즉, 각각의 층위를 구성하는 플랫 와이어의 산(101)은 이웃하는 층의 골(102)과 접촉하게 되고, 골(102)은 반대로 산(101)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일층의 산(101)은 상층의 골(102)과 접촉하고, 일층은 골(102)은 하층의 산(101)과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는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이격된 부분(10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접합부(104)에 의해 분산되며, 이러한 이격부(105)와 접합부(104)가 다수 존재하게 되어 완충력 및 복원력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하중의 정도에 따라 플랫와이어의 두께 및 폭과 외형 사이즈가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가지는 파형 쿠션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보강재의 측면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가지는 파형 쿠션 스프링(150)은 파형 쿠션 스프링(100)과 파형 쿠션 스프링(100)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의 판형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이때, 판형 플랫 와이어가 일방향으로 감기는 즉, 나선형태를 이루게 되어 다층의 쿠션 스프링(1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파형 쿠션 스프링(100)은 나선으로 권취되는 형상으로 인해 원주의 일측에만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힘이 가해지는 쪽으로 만곡되어 힘의 분산이 곤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층을 이루는 플랫 와이어 사이에 보강재(110)가 삽입된다.
이 보강재(110)는 우레탄 등의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기포가 형성된 발포형태로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재(110)의 형태는 파형 쿠션 스프링(100)과의 접합성 및 어울림이 좋게 하기 위하여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 보강재(110)의 폭은 플랫 와이어의 폭(w)과 같거나 이보다 다소 넓게 제조되는 것이 설치 및 이용에 유리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강재(110)의 요부(111)는 플랫 와이어의 산(101)과 골(102)이 접촉하는 접합부(104)에 대응되고, 철부(112)는 이격부(105)에 대응되어 파형 쿠션 스프링(100)에 결합된다. 도 4에서는 쌍을 이루는 플랫 와이어 사이의 한층에 보강재(110)가 삽입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파형 쿠션 스프링(100)의 플랫 와이어 길이와 대략 같게 형성하여, 파형 쿠션 스프링(100)의 권취방향에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전술한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재를 도시한 예시도로써, 도 6은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 바닥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은 바닥재(200), 제 1 지지재(210), 파형 쿠션 스프링(250), 삽입재(290), 제 2 지지재(260), 제 3 지지재(280), 중창(295) 및 외피(2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재(200)는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바닥과 접촉하여 충격을 전달받는다. 특히, 바닥재(200)의 상면(203)에는 쿠션 스프링(250)의 내장을 위한 내장홈(201 : 201F, 201R)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착용자의 앞굼치와 뒷굼치가 접촉되는 부분에 각각 내장홈(201)이 형성되고, 이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전, 후측 모두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내장홈(201)의 바닥면에는 파형 쿠션 스프링(250 : 250F, 250R)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205 : 205F, 205R)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아울러, 내장홈(201)의 입구 주변에는 제 3 지지재(280 : 280F, 280R)가 안착 될 수 있도록 단턱부(202)가 형성된다. 바닥재(200)는 내장홈(201) 및 고정돌기(205)가 형성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205)는 파형 쿠션 스프링(25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경이 파형 쿠션 스프링(250)의 내경과 거의 같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전부 내장홈(201F)에는 두 개의 고정돌기(205)가 형성되고 후부 내장홈(201R)에는 한 개의 고정돌기(205R)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바닥재(200)에는 내장홈(201)을 서로 연결하여, 내장홈(201) 간의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공기유동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바닥재(200)의 상면(203) 가장자리에는 외피(297)이 접합 또는 봉재되어 결합된다.
제 1 지지재(210 :210F, 210R)는 내장홈(201)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부에 결합되는 파형 쿠션 스프링(250)을 지지한다. 바닥재(200)는 충격 흡수가 용이하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형 쿠션 스프링(250)을 지지하기 위한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게 된다. 때문에 바닥재(200)의 내장홈(201) 바닥면에 바닥재(200)에 비해 딱딱한 재질의 제 1 지지재(210)가 배치되어 파형 쿠션 스프링(250)을 지지하게 된다. 이 제 1 지지재(210)에는 고정돌기(205)가 제 1 지지재(210)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05)에 대응하는 돌기홀(21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돌기홀(211)의 직경이 반드시 고정돌기(205)의 외경과 같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 1 지지재(210)의 유동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고정돌기(205)의 외경과 돌기홀(211)의 직경이 거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지지재(210)의 외주연은 내장홈(201)의 바닥면 경계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 제 1 지지재(210)는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 및 금속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형 쿠션 스프링(250 : 250F, 250R)은 내장홈(201) 내부에서 제 1 지지재(2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 1 지지재(210)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05)에 의해 고정된다. 이 파형 쿠션 스프링(250)은 제 1 지지재(210)와 제 2 지지재(260 : 260F, 260R)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지지재(210) 및 제 2 지지재(26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파형 쿠션 스프링(2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재를 가지는 파형 쿠션 스프링(250)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파형 쿠션 스프링(25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지지재(260)는 파형 쿠션 스프링(250)의 상부에 제 1 지지재(210)와 대를 이루어 배치되며, 내장홈(201) 내부에 수납된다. 이 제 2 지지재(260)는 착용자의 발에 쿠션 스프링(25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물감 및 접촉감을 배제하고, 파형 쿠션 스프링(250)이 제 3 지지재 및 하부 쿠션(또는 깔창)을 뚫고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이 제 2 지지재(260)는 착용자의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또는 바닥재를 통해 착용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루 분산하여 파형 쿠션 스프링(250)에 적절히 압력이 분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 2 지지재(260)는 제 1 지지재(210)와 마찬가지로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이 2 지지재(260)는 일면이 파형 쿠션 스프링(250)과 접촉하고, 타면이 제 3 지지재(280 : 280F, 280R)과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이 제 2 지지재(260)에도 제 1 지지재(210)와 마찬가지로 홀이 하나 이상 형 성될 수 있지만, 홀이 생략된 형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지지재(280)는 제 2 지지재(26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장홈(201)의 단턱부(202)에 안착된다. 이 제 3 지지재(280)는 제 2 지지재(260)의 역할을 보조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됨과 아울러, 제 2 지지재(260)에 의해 착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제 3 지지재(280)는 착용자의 발과 제 2 지지재(260) 사이에 배치되어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탄력성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3 지지재(280)는 단턱부(202)에 안착되어 내장홈(201)을 덮을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 제 3 지지재(280)의 상부 및 바닥재 상면(203)에는 신발의 외장 및 바닥쿠션에 해당하는 깔창이 배치된다.
삽입재(290)는 고정돌기(205)와 대략 같은 직경의 원형 판으로 형성되어 고정돌기(205) 상부의 쿠션 스프링(250) 내부에 배치된다. 이 삽입재(290)는 압력에 의해 쿠션 스프링(250)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홈(201)의 상부에는 제 3 지지재(280)가 배치된다. 만약 쿠션 스프링(250)이 고도하게 압축되면 제 3 지지재(280)에 필요 이상의 휨이 발생하고 착용자에 의한 착화감이 저하된다. 때문에 파형 쿠션 스프링(250)의 과도한 수축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삽입재(290)를 이용하여 이러한 쿠션 스프링(250)의 수축을 제한하게 된다. 아울러, 삽입재(290)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고정돌기(205)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삽입재(290)의 역할을 대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창(295)은 제 3 지지재(280)와 바닥재(200) 상면(203)을 덮도록 배치된다. 중창(295)은 제 3 지지재(280) 상부에 배치되어, 착용자가 제 3 지지재(280) 또는 바닥재(200)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저감하고, 착용자에 대한 안락감의 제공과 완충재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 중창(295)은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깔개로 구성이 될 수 있으나, 2층 이상의 깔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창(295)이 2층 이상의 깔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 깔개는 서로 접합 될 수 있으며, 천(모직) 층과 완충재 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중창(295)에는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기홀(296)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피(297)는 바닥재(200)의 상면(203) 가장자리에 접합 또는 봉재되어 착용자의 착화를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쿠션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형 쿠션 스프링을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3은 도 1의 파형 쿠션 스프링에 대한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가지는 파형 쿠션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보강재의 측면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파형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신발 바닥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50 : 파형 쿠션 스프링 101 : 산
102 : 골 104 : 접합부
105 : 이격부 150 : 보강재
200 : 바닥재 201 : 내장홈
202 : 단턱부 205 : 고정돌기
210 : 제 1 지지재 211 : 돌기홀
260 : 제 2 지지재 280 : 제 3 지지재
290 : 삽입재 295 : 중창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플랫 와이어의 사이에는 보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산 및 골에 대응되는 요부 및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 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랫 와이어가 1회 권취되는 구간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되는 산은 이전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과 접촉되고,
    상기 어느 한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은 다음 층의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산과 접촉되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
  8. 바닥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내장홈이 형성된 바닥재;
    상기 내장홈에 안착되고, 내주연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은
    선폭이 선두께에 비해 큰 플랫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산 및 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상기 산 및 골은 이웃하는 층의 상기 플랫 와이어에 형성된 골 및 산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플랫 와이어의 사이에는 보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돌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 스프링이 상부에 지지되는 제 1 지지재;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지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장홈의 입구부분에 배치되는 제 2 지지재; 및
    상기 내장홈을 덮도록 상기 제 2 지지재 상부에 배치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3 지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홈의 입구에는 상기 제 3 지지재의 두께에 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지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홈은 상기 바닥재 중 착용자의 앞굼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전부 내장홈과,
    상기 착용자의 뒷굼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후부 내장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부 내장홈은 한개 내지 여섯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부 내장홈은 한개 내지 두개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파형 쿠션 스프링의 내주연 쪽에 삽입되는 삽입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산 및 골에 대응되는 요부 및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신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106308A 2007-10-22 2007-10-22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KR10084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08A KR100844183B1 (ko) 2007-10-22 2007-10-22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08A KR100844183B1 (ko) 2007-10-22 2007-10-22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183B1 true KR100844183B1 (ko) 2008-07-04

Family

ID=3982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308A KR100844183B1 (ko) 2007-10-22 2007-10-22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73B1 (ko) * 2015-08-03 2016-03-21 김대성 신발창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987A (en) 1988-05-03 1990-02-20 Smalley Steel Ring Company Crest-to-crest compression spring with circular flat shim ends
JP3050572U (ja) * 1998-01-16 1998-07-21 金井 宏彰 履物用バネ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履物
KR200305809Y1 (ko) * 2002-10-29 2003-03-03 이숙연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20030072277A (ko) * 2003-08-02 2003-09-13 박철수 충격완화 신발용 완충장치
US7219447B2 (en) * 1999-04-29 2007-05-22 Levert Francis E Spring cushioned sho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987A (en) 1988-05-03 1990-02-20 Smalley Steel Ring Company Crest-to-crest compression spring with circular flat shim ends
JP3050572U (ja) * 1998-01-16 1998-07-21 金井 宏彰 履物用バネ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履物
US7219447B2 (en) * 1999-04-29 2007-05-22 Levert Francis E Spring cushioned shoe
KR200305809Y1 (ko) * 2002-10-29 2003-03-03 이숙연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20030072277A (ko) * 2003-08-02 2003-09-13 박철수 충격완화 신발용 완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73B1 (ko) * 2015-08-03 2016-03-21 김대성 신발창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USD1022421S1 (en) 2021-06-30 2024-04-16 Puma SE Shoe
USD1022422S1 (en) 2021-06-30 2024-04-16 Puma SE Shoe
USD1023531S1 (en) 2021-06-30 2024-04-23 Puma SE Sho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8595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US6748675B2 (en) Sole assembly for sports shoe
JP6310427B2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US948603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layered support assembly
US7484317B2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CA2305116C (en) Athletic shoe sole design and construction
US8104593B2 (en) Resilient shock-absorbing device
JP2021053250A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CA2609635C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20190166955A1 (en) Footwear Tra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chanisms for Making Durable Connections to Soft Body Materials
US11700914B2 (en) Fluid-filled cha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30000108A1 (en) Midsole structure of athletic shoe
CN104717897A (zh) 具有交替弹簧层和阻尼层的鞋底结构
CN105686203A (zh) 用于鞋中的沿条框架结构和保护装置
US9861876B2 (en) Impact resistant pad
KR100844183B1 (ko) 파형 쿠션 스프링, 보강형 파형 쿠션 스프링 및 이를구비하는 신발
CN105476176A (zh) 减震鞋底
KR20070093375A (ko) 굴곡이 자유로운 신발창
CN102132980B (zh) 波型弹簧垫减震功能鞋
JP4989933B2 (ja) シューズ
JP3988946B2 (ja) インソール構造体
US20090117301A1 (en) Resilient shock-absorbing device
CN201663960U (zh) 波型弹簧垫减震功能鞋
CN220000960U (zh) 一种符合人体工学的双密度复合鞋底
US20220354195A1 (en) Customizable knee pads and process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