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33Y1 - 완충용구두뒤창구조 - Google Patents

완충용구두뒤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33Y1
KR200265533Y1 KR2020010036314U KR20010036314U KR200265533Y1 KR 200265533 Y1 KR200265533 Y1 KR 200265533Y1 KR 2020010036314 U KR2020010036314 U KR 2020010036314U KR 20010036314 U KR20010036314 U KR 20010036314U KR 200265533 Y1 KR200265533 Y1 KR 200265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shoe
heel
sprin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이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관 filed Critical 이동관
Priority to KR2020010036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33Y1/ko
Priority to PCT/KR2002/002174 priority patent/WO2003045183A1/en
Priority to AU2002361509A priority patent/AU200236150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용구두뒤창구조에 관한 것으로,특히 구두를 착용한체 걸음을 옮기거나 활동할때마다 뒤꿈치부위의 안창부가 반복적으로 완충되게 하여, 발의 피로를 풀고 구두내부 깊숙히 공기가 순환되게 하여 구두내부에 탈취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도 구두뒤창이나 운동화의 뒤창에 쿠션완충작용을 제공하는 선행기술이 있었으나,종래에는 완충장치가 뒷굽의 외측에 돌출되거나 완충부 틈새가 외관으로 드러남으로서 각종 이물질이 끼어들어 지저분하거나, 완충장치의 교체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완충부의 단턱으로 착용감이 떨어졌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용수철(11)의 쿠션력에 의해 쿠션업 (cushion-up)과 쿠션다운(cushion-down)되는 작용으로 쿠션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바닥부에 단턱등이 없게 하여 착용감이 편안하며, 일반 구두와 같이 뒷굽이 닳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교체해 착용할수 있도록 하는 완충용구두뒤창구조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용구두뒤창구조{shoes backing structure for a cushion}
본 고안은 완충용구두뒤창구조에 관한 것으로,특히 구두를 착용한체 걸음을 옮기거나 활동할때마다 뒤꿈치부위의 안창부가 반복적으로 완충되게 하여, 발의 피로를 풀고 구두내부 깊숙히 공기가 순환되게 하여 구두내부에 탈취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도 구두뒤창이나 운동화의 뒤창에 쿠션완충작용을 제공하는 선행기술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중 국내실용신안출원 제1981-3809호(완충용구두의뒤창)은 '후측부를 이중으로 절곡시킨 탄력층을 형성한 완충판의 저판에는 코일스프링 출입구를 천공하고,상판 이면에는 고리가 곡설된 고리판을 착설시켜서,고리에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탄착하며 구두뒤창에 입설된 고리간에는 공지의 스프링의 하단을 탄삽'시킨 선행기술이 있었으나 ,상기에 채택된 완충판은 쿠션감은 좋으나 전측의 절곡부와 후축의 2겹절곡부위가 겹쳐 쿠션다운(cushion-down)시 뒷굽에 착용감이 좋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다른 국내선행기술 1995년 실용신안출원 제12265호(구두뒷창)은 '구두뒤창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코일스프링을 탄설한 것으로, 상판의 요입턱에 철판을 삽착시켜 앞지축과 뒷지축을 하향돌설하여 하판에 돌설된 상협하광으로 된 뒷지축판과 앞축관에 삽설공을 천설하여 코일스프링을 각각 끼워 상판의 앞,뒤지축을 삽설하여 너트로 나착결합하여 상판과 하판사이에 자바라를 형성하고 저면부에는 통상의 밑창을 부착하여된 구두뒤창'에 관한 것으로는 이는 구두 안창쪽은 착 완충부가 없고 구두 뒷굽측에 자바라로 연결된 바닥의 아래에 하판과 밑판위에 수개의 코일스프링을 착설한것으로, 자바라사이에 묻은 흙이 끼면 털어내기 어려운 단점과 자주 닳는 뒷굽부인 하판을 자주 교체하지 않으면, 코일스프링이 이탈될 염려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1998년 10737호(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에서는 운동화나 등산화 스포츠화등에 적용하기 적절한 카본물질의 고탄력소재로 중간의 격벽을 경계로 중창내측을 관통하는 두개의 완충실중 뒤쪽의 완충실에 상판의 삽입공으로 매입되는 승강캡과 하판이 삽입공으로 매입되는 고정캡을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내측에 스프링을 내설한 완충장치를 갖는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완충장치는 뒷굽 밑창이 닳게 되면 주로 운동화에 적용되는 본 기술은 밑창만을 붙여 재생하는 경우가 힘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비 효율적인 경향이 있었다.
또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 1992년 18387호(구두뒷굽의 쿠션장치)에 있어서도 ,접시스프링의 중앙에 단턱이 형성된 고정구를 심어 구두뒷굽의 바닥부에서 출입함몰되게 한 쿠션장치가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도 뒷굽과 보조굽사이의 틈새에 흙이나 이물질등이 끼면 구두뒷굽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구두뒷굽에 철판을 삽입하여야 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용수철(11)의 쿠션력에 의해 쿠션업 (cushion-up)과 쿠션다운(cushion-down)되는 작용으로 쿠션력을 제공함과 동시에바닥부에 단턱등이 없게 하여 착용감이 편안하며, 일반 구두와 같이 뒷굽이 닳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교체해 착용할수 있도록 하는 완충용구두뒤창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가 뒷굽의 외측에 돌출되거나 완충부 틈새가 외관으로 드러남으로서 각종 이물질이 끼어들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구두나 운동화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두바닥창 부분만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업(cushion-up)실시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다운(cushion-down)실시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뒷굽 2:스프링수납실
3:앞보강판 3':뒷보강판
4:바닥창 4':바닥창홀
5:아대(subzone) 5':아대홀(subzone hole)
6:중창 6':중창홀
7:안창 7':안창홀
8:깔창 8a:지압돌기
8b:지압단추 8c:통기공
9:허리쇠 9':요홈턱
10:홀리벳(hole rivet) 11:용수철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알아보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두바닥창 부분만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도 2는 도1의 분해 사시도로서, 앞보강판(3)과 뒷보강판(3')사이에 형성된 뒷굽(1)의 스프링수납실(2)에 용수철(11)을 내재하며, 뒷축에 상기 용수철(11)이 자재로이 삽입되게 바닥창홀(4')이 뚫린 바닥창(4)을 뒷굽(1)에 붙인후,역시 뒷축에 아대홀(5')이 형성된 아대(5)의 아대홀(5')부에 반요홈턱(9')이 형성된 허리쇠(9)을 배치한체,뒷축에 중창홀(6')이 뚫린 중창(6)을 놓아 상기 중창홀(6')과 아대홀(5')부를 관통고정 하도록 홀리벳(10)으로 고정해 갑피(도시되지 않음)와 아대(5) 바닥에 일체로 붙이며, 중창홀(6')과 아대홀(5')부에는 안창(7)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끼움돌부(7')가 뒷굽(1)에 내제된 용수철(11)에 삽입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후 깔창(8)을 배치한 것이다.
상기의 깔창(8)의 뒷축부에는 수개의 지압돌기(8a)가, 중앙부에는 2개의 지압단추(8b)가 전단부에는 수개의 통기공(8c)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으로는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쿠션업(cushion-up)실시상태의 종단면도,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쿠션다운(cushion-down)실시상태의 종단면도에 따르면,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는 구두의 뒷굽(1)내 스프링수납실(2)내에 내제된체, 일반 뒷굽과 같이 부착되기 때문에 외견상 일반구두와 다름 없이 처리되며, 종래기술들과 같이 완충장치부 틈새에 흙이나 이물질들이 끼일 염려가 없었다.
또한, 뒷굽(1)이 닳게 되더라도 뒷굽(1)만 교체하면 다른 완충부는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본고안에 따른 구두를 착용한체 걸음을 옮기거나 활동할때마다 뒤꿈치부위의 안창(7)만이 용수철(11)의 쿠션력에 의해 5㎜ 높이로 쿠션업(cushion-up)과 쿠션다운(cushion-down)되는 작용으로 착용감이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체중이 눌려 안창(7)이 쿠션다운(cushion-down)될때 그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끼움돌부(7')가 아대(5)와 중창(6)의 중창홀(6')과 아대홀(5')에 완전 삽입되어, 종래와 같이 단턱부가 형성되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안창(7)이 용수철(11)의 쿠션력에 의해 쿠션업 (cushion-up)과 쿠션다운(cushion-down)되는 작용으로 안창(7) 바닥부의 공기를 깔창(8)의 바닥을 따라 발가락 바닥 부위에 형성된 통기공(8c)으로 배출하는 역활을 함으로서, 구두내의 각종 악취를 배출하는 역활을 한다.
참고로 상기의 깔창(8)의 중간바닥에 형성된 지압단추(8b)는 용천(湧泉)혈 부분에 직경 5㎜, 두께 2㎜의 동판재 지압단추를 배설해 용천혈을 지압할수 있어, 발바닥의 기혈의 상하유통을 강화하여, 발의 냉증이나 신체의 피로회복,고협압,불면증에도 도움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뒷굽(1)의 스프링수납실(2)내에 배치한 용수철 (11)의 쿠션력에 의해 쿠션업 (cushion-up)과 쿠션다운(cushion-down)되는 작용으로 쿠션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특히 쿠션다운(cushion-down)시 안창(7)과 중창(6)바닥부에 단턱이 없어,착용감이 일반 구두와 같으며, 또 뒷굽(1)이 닳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교체하더라도, 완충장치에는 손상이 가지 않아 교체보수가 편리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가 뒷굽(1)의 외측에 돌출되거나 완충부 틈새가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아 각종 이물질이 끼어들지 않아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수 있으며, 완충방식이 간단해 기존의 구두나 운동화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수철(11)의 쿠션력에 의해 쿠션업(cushion-up)과 쿠션다운 (cushion-down)되는 현상으로 안창(7) 바닥부의 공기를 깔창(8)의 바닥을 따라 발가락 바닥부위에 형성된 통기공(8c)으로 배출하는 역활을 함으로서, 구두내의 각종 악취를 배출하는 할수 있는 역활을 하며, 깔창(8)의 중간바닥에 형성된 지압단추 (8b)는 용천(湧泉)혈 부분에 직경 5㎜,두께 2㎜의 동판재 지압단추(8b)를 배설해 용천혈을 지압할수 있어, 발바닥의 기혈의 상하유통을 강화하여, 발의 냉증이나 신체의 피로회복,고협압,불면증에도 도움이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앞보강판(3)과 뒷보강판(3')사이에 형성된 뒷굽(1)의 스프링수납실(2)에 용수철(11)을 내재하며, 뒷축에 상기 용수철(11)이 자재로이 삽입되게 바닥창홀(4')이 뚫린 바닥창(4)을 뒷굽(1)에 붙인후,역시 뒷축에 아대홀(5')이 형성된 아대(5)의 아대홀(5')부에 반요홈턱(9')이 형성된 허리쇠(9)을 배치한체,뒷축에 중창홀 (6')이 뚫린 중창(6)을 놓아 상기 중창홀(6')과 아대홀(5')부를 관통고정 하도록 홀리벳(10)으로 고정해 갑피(도시되지 않음)와 아대(5)바닥에 일체로 붙이며, 중창홀(6')과 아대홀(5')부에는 안창(7)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끼움돌부(7')가 뒷굽(1)에 내제된 용수철(11)에 삽입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구두뒤창구조.
KR2020010036314U 2001-11-24 2001-11-24 완충용구두뒤창구조 KR200265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14U KR200265533Y1 (ko) 2001-11-24 2001-11-24 완충용구두뒤창구조
PCT/KR2002/002174 WO2003045183A1 (en) 2001-11-24 2002-11-21 Structure of shock-absorbing shoe sole
AU2002361509A AU2002361509A1 (en) 2001-11-24 2002-11-21 Structure of shock-absorbing shoe 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14U KR200265533Y1 (ko) 2001-11-24 2001-11-24 완충용구두뒤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33Y1 true KR200265533Y1 (ko) 2002-02-21

Family

ID=1971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14U KR200265533Y1 (ko) 2001-11-24 2001-11-24 완충용구두뒤창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65533Y1 (ko)
AU (1) AU2002361509A1 (ko)
WO (1) WO20030451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96A (ko) 2014-08-26 2016-03-07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160128190A (ko) 2015-04-28 2016-11-07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726729B1 (ko) 2016-07-08 2017-04-13 (주)케이엠상사 자세교정 기능을 구비한 아웃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C20050048A1 (it) * 2005-05-19 2006-11-20 Nuova Adelchi Spa Suola per calzature traspirante ed impermeabi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0751U (ko) * 1971-11-09 1973-08-02
JPS5534494U (ko) * 1978-08-29 1980-03-05
IT1202339B (it) * 1985-09-20 1989-02-02 Ondacril Srl Sistema di molleggio per calzature applicato tra tomaia e suola
JPH0211408U (ko) * 1988-07-04 1990-01-24
US5651196A (en) * 1996-01-11 1997-07-29 Hsieh; Frank Highly elastic footwear sole
US5649374A (en) * 1996-05-10 1997-07-22 Chou; Hsueh-Li Combined resilient sole of a sho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96A (ko) 2014-08-26 2016-03-07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160128190A (ko) 2015-04-28 2016-11-07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726729B1 (ko) 2016-07-08 2017-04-13 (주)케이엠상사 자세교정 기능을 구비한 아웃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61509A1 (en) 2003-06-10
WO2003045183A1 (en) 200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769B1 (ko) 신발깔창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9980056221U (ko) 통풍식 신발용 펌핑어셈브리
KR200405434Y1 (ko) 기능성 구두
KR200412028Y1 (ko) 기능성 신발안창
KR200412036Y1 (ko) 키 높이용 보조 신발깔창
KR100518307B1 (ko) 신발
CN108903130B (zh) 一种具有可更换防滑减震装置的多功能鞋底及鞋
KR200265533Y1 (ko) 완충용구두뒤창구조
KR19980058063U (ko) 쿠션신발창
KR200371481Y1 (ko) 신발
KR200398041Y1 (ko) 신발 중창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20090019655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305809Y1 (ko) 완충작용을 가지는 신발의 바닥창 구조
KR200226004Y1 (ko) 신발의 완충장치.
KR200238273Y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200212957Y1 (ko) 공기 압축식 엠보싱을 형성한 신발 바닥용 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04224Y1 (ko) 신발
KR100907386B1 (ko) 다기능 건강 신발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200299120Y1 (ko) 스프링 탄력 신발
CN211048544U (zh) 一种劳保鞋用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