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481Y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481Y1
KR200371481Y1 KR20-2004-0028310U KR20040028310U KR200371481Y1 KR 200371481 Y1 KR200371481 Y1 KR 200371481Y1 KR 20040028310 U KR20040028310 U KR 20040028310U KR 200371481 Y1 KR200371481 Y1 KR 200371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spring
shoe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김봉호
Original Assignee
김종식
김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김봉호 filed Critical 김종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481Y1/ko
Priority to JP200752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508927A/ja
Priority to PCT/KR2005/001631 priority patent/WO2006014046A1/en
Priority to US11/573,233 priority patent/US2007020923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과,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미드솔과,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가지며,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와; 미드솔의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되어, 완충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와 아웃솔 외측을 상호 연통하며,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아웃솔 외측을 향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로와; 공기배출로에 마련되어, 공기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며,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발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FOOTWEAR}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신발의 완충구조를 개선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및 운동시 발에는 충격력이 가해진다. 발에 계속적으로 충격력이 전달되면, 신발 착용자는 불편함, 피로 및 부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신발에는 충격흡수용 쿠션이 마련되어 있다. 충격흡수용 쿠션은 신발 후방의 미드솔 부분에 장착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용 쿠션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공기를 충진시킨 구조의 에어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쿠션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마모되고,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최초의 충격흡수력을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이 적용된 충격흡수용 쿠션의 경우, 마찰과 날카로운 소재와의 부딪힘이나 마모로 인해 충진된 에어가 누설하여 충격흡수기능을 상실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신발에 있어서는,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데 지속적이지 못하여 발 디딜 때의 충격이 쉽게 발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신발의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며,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발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완충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에어체크밸브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에어체크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완충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11 : 아웃솔
13 : 미드솔 15 : 인솔
15a : 제1통기공 21a,21b : 수용부
23 : 그루브 31a,31b,31a',31b' : 완충지지부
33 : 스프링 35 : 하부캡
43 : 스프링지지단 49 : 걸림턱
51 : 상부캡 51a : 제2통기공
53 : 승강로드 57 : 나사
59 : 클립 61 : 몸체
63 : 걸림돌기 67 : 공기배출로
71 : 에어체크밸브 73 : 수용부캡
73a : 유입공 75 : 외부캡
75a : 배기공 77 : 개폐로드
79 : 밸브용 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가지며,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와; 상기 미드솔의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완충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아웃솔 외측을 상호 연통하며, 상기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상기 아웃솔 외측을 향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로와; 상기 공기배출로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체크밸브는, 상기 공기배출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로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수용부캡과; 상기 수용부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공기배출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로 내의 공기가 상기 아웃솔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외부캡과; 상기 수용부캡 및 상기 외부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캡에 접근 및 이격하며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가 상기 수용부캡에 밀착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지지부는,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하부캡과; 상기 스프링지지단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로드를 가지며, 상기 하부캡과 대향 배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승강로드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는 상기 나사의 헤드가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지지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하부캡과; 상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캡과 대향 배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을 상호 연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는 상기 클립의 걸림돌기가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는 상기 미드솔에 발의 앞꿈치부 및 뒷꿈치부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각 수용부를 상호 연통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의 공기가 유동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솔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발바닥에 땀이 차지 않게 하여 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은,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11)과, 아웃솔(11)의 상부에 마련되는 미드솔(13)과, 미드솔(13)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15)과, 미드솔(13)의 상부 둘레영역을 따라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어퍼솔(17)을 가진다.
미드솔(13)의 발의 앞꿈치부 및 뒷꿈치부 영역에는 후술할 완충지지부(31a,31b)를 수용하는 수용부(21a,21b)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21a,21b)는 미드솔(13)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부(21a,21b) 사이에는 각 수용부(21a,21b)를 상호 연통하는 반구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복수의 그루브(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23)를 따라 각 수용부(21a,21b) 내의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미드솔(13)의 각 수용부(21a,21b)에는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31a,31b)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지지부(31a,31b)는, 복수의 스프링(33)과,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수용부(21a,21b)에 수용되는 하부캡(35)과, 하부캡(35)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프링(33)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캡(51)과, 하부캡(35) 및 상부캡(51)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57)를 가진다.
스프링(3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캡(35) 및 상부캡(51) 사이에 기립 배치되며, 하부캡(35) 및 상부캡(51)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프링(33)은 원추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링(33)의 원추부가 상부캡(51)의 저면을 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하부캡(35)은 판형상의 본체(37)와, 본체(37)에 결합되어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43)을 가진다.
수용부(21a,21b)의 저면을 향하는 본체(37)의 판면에는 스프링지지단(43)이관통하는 관통공(39)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39)의 둘레에는 스프링지지단(43)의 걸림단(45)이 걸림유지되는 걸림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단(43)은 대략 역 "U" 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본체(37)에 상부캡(51)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단(43)의 외주에는 스프링(33)의 일단부가 장착되며, 스프링지지단(43)의 하단영역의 개구 둘레에는 하부캡(35)의 걸림홈(41)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단(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지지단(43)의 상단영역에는 후술할 승강로드(53)가 관통하는 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47)의 둘레에는 후술할 나사(57)의 헤드(57b)가 걸리는 걸림턱(49)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51)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진다. 상부캡(51)의 판면에는 스프링(33)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로드(53)가 하부캡(35)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승강로드(53)는 봉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영역에는 후술할 나사(57)의 나사축(57a)이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53a)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로드(53)의 자유단부는 하부캡(35)의 관통공(39)에 관통 결합되고, 스프링지지단(4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캡(51)의 판면에는 수용부(21a,21b)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기공(5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51)의 제2통기공(51a)은 수용부(21a,21b)와 연통하도록 인솔(15)에 형성된 제1통기공(15a)과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수용부(21a,21b)의 공기는 상부캡(51) 및 인솔(15)의 각 통기공(15a,51a)에 의해 순환되어, 신발(1)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배출하고, 신발(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나사(57)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축(57a)과, 나사축(57a)의 일단부에 나사축(57a)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헤드(57b)를 가진다. 나사(57)의 나사축(57a)은 승강로드(53)의 암나사(53a)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나사(57)의 헤드(57b)는 스프링지지단(43)의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되어, 하부캡(35) 및 상부캡(51)은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호 이탈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나사 대신에 헤드를 갖는 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의 일측에는 수용부(21a,21b)와 아웃솔(11) 외측을 상호 연통하며, 수용부(21a,21b)의 일부 공기가 아웃솔(11) 외측을 향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로(67)를 가진다.
공기배출로(67)에는 공기배출로(6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밸브(71)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체크밸브(71)는, 수용부(21a,21b)의 일부 공기가 공기배출로(67)로 유입되는 유입공(73a)이 형성된 수용부캡(73)과, 공기배출로(67) 내의 공기가 아웃솔(11)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공(75a)이 형성된 외부캡(75)과, 수용부캡(73) 및 외부캡(75) 사이에 마련되어 수용부캡(73)에 접근 및 이격하며 유입공(73a)을 개폐하는 개폐로드(77)와, 개폐로드(77)가 수용부캡(73)에 밀착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용 스프링(79)을 가진다.
수용부캡(73)은 공기배출로(67)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수용부캡(73)의 내주면은 원추단면형상을 가지며 함몰 형성되어 있다.
외부캡(75)은 수용부캡(73)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기배출로(67)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개폐로드(77)는 일단부가 원추단면형상을 가지며, 수용부캡(73)의 내주면에 접근 및 이격한다.
밸브용 스프링(79)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개폐로드(77)와 외부캡(75)을 탄성지지한다.
이에, 에어체크밸브(71)는 완충지지부(31a,31b)와 함께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1)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신발(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1)이 지면과 접촉할 때마다 하중에 기인한 충격력이 신발(1)로 전달된다.
즉, 하중에 기인한 충격력은 각 수용부(21a,21b)의 완충지지부(31a,31b)로 전달되어, 완충지지부(31a,31b)의 상부캡(51)이 충격력의 가압에 의해 하부로 눌리어지게 되고, 가압지점에서 상부캡(51)과 하부캡(35)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어, 수용부(21a,21b)의 공기에 압축력이 가해진다. 압축된 공기는 공기배출로(67)를 통해 신발(1)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인솔(15)의 제1통기공(15a)을 통하여 신발(1) 내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발의 앞꿈치부 영역에 마련된 수용부(21a)의 공기는 그루브(23)를 통해 발의 뒷꿈치부 영역에 마련된 수용부(21b)에 유입되어 공기배출로(67)를 통해 신발(1)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인솔(15)의 제1통기공(15a)을 통하여 신발(1) 내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로(67)로 유동하는 수용부(21a,21b)의 일부 공기는, 수용부캡(73)의 유입공(73a)으로 유입되면서 수용부캡(73)에 밀착되어 유입공(73a)을 폐쇄하던 개폐로드(77)를 외부캡(75)을 향해 이동시켜, 공기배출로(67)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배출로(67)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캡(75)의 배기공(75a)을 통해 아웃솔(11) 외측으로 배기된다. 이에, 수용부(21a,21b)의 일부 공기가 에어체크밸브(71)를 거쳐 공기배출로(67)를 통해 신발(1)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격력이 신발(1)로 전달되지 않으면, 즉 하중에 기인한 충격력이 완충지지부(31a,31b)에 작용하지 않는 경우, 완충지지부(31a,31b)의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캡(51) 및 하부캡(35)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완충지지부(31a,31b)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개폐로드(77)는 밸브용 스프링(79)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캡(73)을 향해 이동 밀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73a)을 폐쇄하게 된다. 이 때,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은 공기배출로(67)를 거쳐 수용부(21a,21b)로 유입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와, 완충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아웃솔 외측을 향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로와, 공기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밸브를 마련함으로써,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며,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발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완충지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완충지지부(31a',31b')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복수의 스프링(33)과,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수용부(21a,21b)에 수용되는 하부캡(35)과, 스프링(33)을 사이에 두고 하부캡(35)과 대향 배치되는 상부캡(51)과, 스프링지지단(43)에 결합되어 하부캡(35)과 상부캡(51)을 상호 연결하는 클립(59)을 가진다.
하부캡(35)은 판형상의 본체(37)와, 본체(37)에 결합되어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43)을 가진다.
수용부(21a,21b)의 저면을 향하는 본체(37)의 판면에는 스프링지지단(43)이 관통하는 관통공(39)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39)의 둘레에는 스프링지지단(43)의 걸림단(45)이 걸림유지되는 걸림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단(43)은 대략 역 "U" 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본체(37)에 상부캡(51)을 향해 돌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단(43)의 외주에는 스프링(33)의일단부가 장착되며, 스프링지지단(43)의 하단영역의 개구 둘레에는 하부캡(35)의 걸림홈(41)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단(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지지단(43)의 상단영역에는 후술할 클립(59)의 몸체(61)가 관통하는 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47)의 둘레에는 후술할 클립(59)의 걸림돌기(63)가 걸림유지되는 걸림턱(49)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51)에는 스프링지지단(45)의 관통공(47)에 대응하여 클립(59)의 몸체(61)가 관통 결합하는 클립결합공(55)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59)은 스프링(33)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봉형상의 몸체(61)와, 몸체(61)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몸체(6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스프링지지단(43)의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돌기(63)와, 몸체(61)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몸체(61)의 타단부에 돌출되어 몸체(61)를 상부캡(51)에 지지하는 플랜지(65)를 가진다.
이에, 클립(59)의 몸체(61)는 상부캡(51)의 클립결합공(55)과 스프링지지단(45)의 관통공(47)을 관통함과 동시에, 클립(59)의 걸림돌기(63)는 스프링지지단(43)의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되어, 하부캡(35) 및 상부캡(51)은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호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완충지지부는 발의 앞꿈치부 영역 및 발의 뒷꿈치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완충지지부는 발의 앞꿈치부 영역 및 발의 뒷꿈치부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발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며,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발 속의 공기순환을 통해 밀폐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땀, 악취 등을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발이 제공된다.

Claims (6)

  1.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가지며,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와;
    상기 미드솔의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완충지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아웃솔 외측을 상호 연통하며, 상기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상기 아웃솔 외측을 향해 배출되는 공기배출로와;
    상기 공기배출로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체크밸브는,
    상기 공기배출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일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로로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수용부캡과;
    상기 수용부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공기배출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로 내의 공기가 상기 아웃솔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외부캡과;
    상기 수용부캡 및 상기 외부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캡에 접근 및 이격하며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가 상기 수용부캡에 밀착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하부캡과;
    상기 스프링지지단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로드를 가지며, 상기 하부캡과 대향 배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승강로드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는 상기 나사의 헤드가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지지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하부캡과;
    상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캡과 대향 배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을 상호 연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단에는 상기 클립의 걸림돌기가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미드솔에 발의 앞꿈치부 및 뒷꿈치부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각 수용부를 상호 연통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의 공기가 유동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04-0028310U 2004-08-04 2004-10-06 신발 KR200371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524734A JP2008508927A (ja) 2004-08-04 2005-05-31 履物
PCT/KR2005/001631 WO2006014046A1 (en) 2004-08-04 2005-05-31 Footwear
US11/573,233 US20070209233A1 (en) 2004-08-04 2006-02-09 Foot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58 2004-08-04
KR20040022258 2004-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481Y1 true KR200371481Y1 (ko) 2004-12-31

Family

ID=4935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310U KR200371481Y1 (ko) 2004-08-04 2004-10-06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48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14B1 (ko) 2009-12-11 2010-11-02 김석조 앞저부가 높은 신발
KR101176570B1 (ko) 2009-04-20 2012-08-23 신광준 신발용 깔창
KR101233153B1 (ko) * 2010-03-29 2013-02-15 서정익 신발 깔창
KR101673968B1 (ko) * 2016-01-18 2016-11-08 도재은 내부구조가 개선된 신발
KR101710310B1 (ko) * 2016-09-28 2017-03-08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KR101730311B1 (ko) 2017-02-20 2017-04-2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WO2018062782A1 (ko) * 2016-09-28 2018-04-0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US11528962B2 (en) * 2018-09-13 2022-12-20 Gi Yeon KIM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70B1 (ko) 2009-04-20 2012-08-23 신광준 신발용 깔창
KR100991414B1 (ko) 2009-12-11 2010-11-02 김석조 앞저부가 높은 신발
KR101233153B1 (ko) * 2010-03-29 2013-02-15 서정익 신발 깔창
KR101673968B1 (ko) * 2016-01-18 2016-11-08 도재은 내부구조가 개선된 신발
KR101710310B1 (ko) * 2016-09-28 2017-03-08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WO2018062782A1 (ko) * 2016-09-28 2018-04-0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KR101730311B1 (ko) 2017-02-20 2017-04-2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US11528962B2 (en) * 2018-09-13 2022-12-20 Gi Yeon KIM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9233A1 (en) Footwear
JP2635538B2 (ja) 靴用外底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US20030061732A1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CA2548506A1 (en) Insole assembly for increasing weight of footwear and heavy footwear having weight-increasing midsole/outsole
KR200371481Y1 (ko) 신발
KR200412036Y1 (ko) 키 높이용 보조 신발깔창
KR100518307B1 (ko) 신발
KR100830124B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0440536Y1 (ko) 신발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2123523B1 (ko)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KR101139441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937229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9980058063U (ko) 쿠션신발창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1754904B1 (ko) 다기능 신발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200398041Y1 (ko) 신발 중창
KR100902029B1 (ko)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KR200477324Y1 (ko)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265533Y1 (ko) 완충용구두뒤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