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10B1 -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10B1
KR101710310B1 KR1020160125139A KR20160125139A KR101710310B1 KR 101710310 B1 KR101710310 B1 KR 101710310B1 KR 1020160125139 A KR1020160125139 A KR 1020160125139A KR 20160125139 A KR20160125139 A KR 20160125139A KR 101710310 B1 KR101710310 B1 KR 10171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s
shoes
hole
absorb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임
Original Assignee
홍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임 filed Critical 홍정임
Priority to KR102016012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10B1/ko
Priority to PCT/KR2017/010501 priority patent/WO20180627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개시된다.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는 카본섬유에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상부판, 카본섬유에 상부판의 복수의 홀과 대응되게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하부판,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부판에 결합되고, 관통한 홀과 대응하는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하부판에 결합된 관체를 포함하고, 관체는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판의 윗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단 수평 유지부, 및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판의 밑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단 수평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shock absorber pad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아웃솔 및 미들솔 사이에 게재되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갑피 부분과 밑창 부분으로 구성되며, 밑창 부분은 아웃솔 및 미들솔로 이루어진다. 아웃솔은 미끄럼을 방지하고 내마모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종래에 주로 고무재질로 만들어졌다. 미들솔은 종래에 착지시 충격을 흡수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부위로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발포 성형하여 만들어졌다.
한편, 발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행 중 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신체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성 신발이 등장하였다. 종래의 기능성 신발로 에어 쿠션신발 및 스프링 쿠션신발 등이 있다.
에어 쿠션신발은 에어가 충진된 에어쿠션이 밑창 부분에 삽입된 형태를 갖고 있다. 에어쿠션은 두 장의 시트를 접합하여 내부에 에어를 충진시키고 밀봉하여 제작된 것으로,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터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신발의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에어쿠션이 눌려질 때마다 에어쿠션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감에 따라 에어 쿠션신발은 완충력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에어 쿠션신발과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0222(2005년 11월 04일) "신발용 에어쿠션"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22543(2012년 6월 28일) "에어 쿠션신발" 등이 있다.
스프링 쿠션신발은 밑창 부분 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게재한 구성을 갖는다. 스프링 쿠션신발을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스프링의 녹으로 마모될 수 있으며, 스프링 압축 및 복귀에 따른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스프링 무게로 인한 신발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프링 쿠션신발과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88875(2012년 10월 8일) "밸런스 기능성 쿠션신발창"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탄성 및 유연성이 있어 부러지지 않으면 신축성이 우수하고, 두껍지 않아 신발 디자인에 장애가 되지 않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틀림이 방지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발 착용자의 중심을 유지시키면서,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행시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되는 경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는 신발의 아웃솔 및 미들솔 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있어서, 카본섬유에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상부판, 카본섬유에 상기 상부판의 복수의 홀과 대응되게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하부판, 및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한 홀과 대응하는 상기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에 결합된 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상기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의 윗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단 수평 유지부, 및 상기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의 밑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단 수평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두께는 0.8mm 내지 1.2mm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은 카본섬유를 레이저로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카본섬유는 단위세포당 2800 내지 3200 가닥의 카본선이 꼬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복수의 홀은 다이아몬드로 절단되어 뚫린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는 발의 앞굽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복수의 홀은 좌우 대칭되게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복수의 홀은 전후 대칭되게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중심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는 발의 뒷굽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발뒤꿈치의 끝단의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은 후방부의 중심에 홀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나머지 홀은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될 있다.
상기 관체는,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관체는, 상기 상부판의 홀 내에 삽입되는 상단 삽입부, 상기 상단 삽입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 삽입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상기 하부판의 홀 내에 삽입되는 하단 삽입부, 상기 하단 십입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 삽입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는, 상기 상단 삽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상단 완충부, 상기 제1 상단 완충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상단 완충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제2 상단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는, 상기 하단 삽입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하단 완충부, 상기 제1 하단 완충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하단 완충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제2 하단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보다 상기 탄성력이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삽입부 및 상기 하단 삽입부는 각각 상기 상부판의 홀 및 상기 하부판의 홀에 억지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관체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의하면, 카본섬유로 형성되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상부판 및 하부판의 두께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탄성 및 유연성이 있어 부러지지 않으면서 신축성이 우수하고, 두껍지 않아 신발 디자인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관체가 상부판 및 하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평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비틀림이 방지되고, 신발 착용자의 중심을 유지시키면서,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관체가 위치하여, 보행시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되는 경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배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완환 패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서 관체가 제거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배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앞굽 및 뒷굽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함께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15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린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6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17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린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신발의 아웃솔 및 미들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배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완환 패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서 관체가 제거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는 상부판(100), 하부판(200) 및 관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는 발의 앞굽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부판(100)은 카본섬유에 복수의 홀(131 내지 139)을 뚫어 형성된다. 복수의 홀(131 내지 139)은 다이아몬드로 절단되어 뚫린 것일 수 있다. 제5 홀(135)은 상부판(10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제2 홀(132) 및 제8 홀(138)은 각각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 전후 대칭되게 위치한다. 제1 홀(131), 제4 홀(134) 및 제7 홀(137)은 좌측에 위치하고, 제3 홀(133), 제6 홀(136) 및 제9 홀(139)은 각각 제1 홀(131), 제4 홀(134) 및 제7 홀(137)와 대응되게 우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홀(131 내지 139)이 전후 좌우로 대칭되게 함으로써, 전후 좌우의 완충 작용이 균등하게 분산되며, 한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체(300)가 뒤틀림으로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판(200)은 카본섬유에 상부판(100)의 복수의 홀(131 내지 139)과 대응되게 복수의 홀(231 내지 239)을 뚫어 형성된다. 복수의 홀(231 내지 239)은 다이아몬드로 절단되어 뚫린 것일 수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카본섬유를 레이저로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카본섬유는 단위세포(121)당 2800 내지 3200 가닥의 카본선이 꼬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카본섬유를 레이저로 절단하여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두께는 0.5mm 내지 1.5mm 사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두께는 0.8mm 내지 1.2mm 사이일 수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두께가 0.8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발 착용자의 몸무게의 2배 이상의 순간 하중이 강하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쉽게 깨질 수 있고, 유연성이 너무 커서 소리가 날 수 있고, 무게 중심이 무너질 수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두께가 1.2mm 보다 큰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패드의 높이가 높아져 발이 불편할 수 있고 신발의 디자인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 사이의 신축 간격이 작아져 패드의 완충 작용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두께는 다를 수 있고, 상부판(100)의 두께가 하부판(2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관체(3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관체(300)는 각각 상부판(100)의 제1 내지 제9 홀(131 내지 139)을 관통하여 상부판(100)에 결합되고, 관통한 홀과 대응하는 하부판(200)의 홀을 관통하여 하부판(200)에 결합된다.
관체(300)는 상단 수평 유지부(310) 및 하단 수평 유지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수평 유지부(310)는 상부판(100)의 홀(137)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판(100)의 윗면(110)의 일부를 덮는다. 하단 수평 유지부(320)는 하부판(200)의 홀(237)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판(200)의 밑면(220)의 일부를 덮는다. 상단 수평 유지부(310) 및 하단 수평 유지부(320)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관체(300)가 뒤틀어져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 수평 유지부(310)는 상부판(100)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단 수평 유지부(3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발바닥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발 맛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배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앞 굽 및 뒷굽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를 함께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는 상부판(600), 하부판(700) 및 관체(8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는 발의 뒷굽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부판(600)은 카본섬유에 복수의 홀(631 내지 635)을 뚫어 형성된다. 복수의 홀(631 내지 635)은 다이아몬드로 절단되어 뚫린 것일 수 있다. 제5 홀(635)은 상부판(100)의 후방에 위치하여 발뒤꿈치의 끝단의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제1 홀(631) 및 제3 홀(633)은 좌측에 위치하고, 제2 홀(632) 및 제4 홀(634)은 각각 제1 홀(631) 및 제3 홀(633)과 대응되게 우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홀(631 내지 634)이 전후 좌우로 대칭되게 함으로써, 전후 좌우의 완충 작용이 균등하게 분산되며, 한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체(600)가 뒤틀림으로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통 걸을 때, 발뒤꿈치부터 바닥에 닿으므로, 발뒤꿈치에 충격이 많이 가해진다. 제5 홀(635)이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은 보다 편안한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판(700)은 카본섬유에 상부판(600)의 복수의 홀(631 내지 635)과 대응되게 복수의 홀(731 내지 735)을 뚫어 형성된다. 복수의 홀(731 내지 735)은 다이아몬드로 절단되어 뚫린 것일 수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은 카본섬유를 레이저로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카본섬유는 단위세포(621)당 2800 내지 3200 가닥의 카본선이 꼬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은 카본섬유를 레이저로 절단하여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의 두께는 0.8mm 내지 1.2mm 사이일 수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의 두께가 0.8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발 착용자의 몸무게의 2배 이상의 순간 하중이 강하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쉽게 깨질 수 있고, 유연성이 너무 커서 소리가 날 수 있고, 무게 중심이 무너질 수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의 두께가 1.2mm 보다 큰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패드의 높이가 높아져 발이 불편할 수 있고 신발의 디자인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 사이의 신축 간격이 작아져 패드의 완충 작용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의 두께는 다를 수 있고, 상부판(600)의 두께가 하부판(7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관체(8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관체(800)는 각각 상부판(600)의 제1 내지 제5 홀(631 내지 635)을 관통하여 상부판(600)에 결합되고, 관통한 홀과 대응하는 하부판(700)의 홀을 관통하여 하부판(700)에 결합된다.
관체(800)는 상단 수평 유지부(810) 및 하단 수평 유지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수평 유지부(810)는 상부판(600)의 홀(632)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판(600)의 윗면(610)의 일부를 덮는다. 하단 수평 유지부(720)는 하부판(700)의 홀(732)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판(700)의 밑면(720)의 일부를 덮는다. 상단 수평 유지부(810) 및 하단 수평 유지부(820)는 패드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관체(800)가 뒤틀어져 상부판(600) 및 하부판(7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 수평 유지부(810)는 상부판(600)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단 수평 유지부(8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발바닥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발 맛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관체(500)는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관체(300) 및 도 6에 도시된 관체(800)는 관체(500)일 수 있다.
관체(500)는 상단 수평 유지부(510), 상단 삽입부(520). 상단 완충부(530), 중앙부(550), 하단 완충부(560), 하단 삽입부(580), 및 하단 수평 유지부(590)를 구비할 수 있다. 관체(5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단 수평 유지부(510)는 상단 삽입부(520)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도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는 개방된다. 상단 수평 유지부(510)의 높이는 상단 삽입부(520)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단 삽입부(520)는 상단 수평 유지부(510) 및 상단 완충부(530) 사이에 위치하고,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상부판의 홀 내에 삽입된다. 상단 삽입부(520)의 폭 또는 단면적은 상단 수평 유지부(510) 및 상단 완충부(530)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단 삽입부(520)의 높이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상부판의 두께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삽입부(520)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상부판에 억지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상단 완충부(530)는 상단 삽입부(520) 및 중앙부(550)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 삽입부(520)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다.
관체(5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단 완충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서 관체(500)는 제1 상단 완충부(531) 및 제2 상단 완충부(533)를 구비한다. 제1 상단 완충부(531)는 상단 삽입부(5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상단 완충부(533)는 제1 상단 완충부(531) 하부에 위치하며, 제1 상단 완충부(531)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체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관체(500)는 제1 상단 완충부(531), 제2 상단 완충부(533) 및 제3 상단 완충부(535)를 구비한다. 제3 상단 완충부(535)는 제2 상단 완충부(533)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상단 완충부(533)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다.
중앙부(550)는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고, 높이가 높다. 또한 중앙부(550)는 상단 수평 유지부(510)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고, 높이가 높다. 중앙부(550)의 직경 또는 단면적이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 보다 큼으로써,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중앙부(550)으로 삽입될 수 있어, 신축성이 극대화 대며, 무게 중심을 유지시키면서 관체(500)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중앙부(550)는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앙부(550)는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 보다 탄성력이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수평 유지부(590)는 하단 삽입부(580)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도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는 개방된다. 하단 수평 유지부(590)의 높이는 하단 삽입부(580)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하단 삽입부(580)는 하단 수평 유지부(590) 및 하단 완충부(560) 사이에 위치하고,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하부판의 홀 내에 삽입된다. 하단 삽입부(580)의 폭 또는 단면적은 하단 수평 유지부(590) 및 하단 완충부(560) 보다 작게 형성된다. 하단 삽입부(580)의 높이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하부판의 두께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삽입부(580)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하부판에 억지 끼움 삽입될 수 있다.
하단 완충부(560)는 하단 삽입부(580) 및 중앙부(550) 사이에 위치하며, 하단 삽입부(580)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다.
관체(5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단 완충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서 관체(500)는 제1 하단 완충부(561) 및 제2 하단 완충부(563)를 구비한다. 제2 하단 완충부(563)는 하단 삽입부(58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 하단 완충부(561)는 제2 하단 완충부(563) 상부에 위치하며, 제2 하단 완충부(563)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크다.
도 14에서 관체(500)는 제1 하단 완충부(561), 제2 하단 완충부(563) 및 제3 하단 완충부(565)를 구비한다. 제3 하단 완충부(565)는 제2 하단 완충부(563) 하부에 위치하며, 제2 하단 완충부(563)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작다.
도 15는 도 1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15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린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가 하중을 받는 경우에, 상부판(100)이 상단 완충부(530)와 면 접촉되어 상단 완충부(530)를 아래로 누르고 하부판(200)이 하단 완충부(560)와 면 접촉되어 하단 완충부(560)을 위로 밀어 올려,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중앙부(550) 내로 삽입된다.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중앙부(550)으로 삽입될 수 있어,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의 높이만큼 신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신축성이 극대화 되며, 관체(50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중앙부(550), 그에 삽입된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평행을 유지시킴으로써, 발의 무게 중심이 유지되면서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도 17은 도 6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17의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가 눌린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가 하중을 받는 경우에, 상부판(600)이 상단 완충부(530)와 면 접촉되어 상단 완충부(530)를 아래로 누르고 하부판(700)이 하단 완충부(560)와 면 접촉되어 하단 완충부(560)을 위로 밀어 올려,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중앙부(550) 내로 삽입된다.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중앙부(550)으로 삽입될 수 있어,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의 높이만큼 신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신축성이 극대화 되며, 관체(50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중앙부(550), 그에 삽입된 상단 완충부(530) 및 하단 완충부(560)가 평행을 유지시킴으로써, 발의 무게 중심이 유지되면서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도 19는 신발의 아웃솔 및 미들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신발(1)은 도 1에 도시된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 도 6에 도시된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 아웃솔(60) 및 미들솔(70)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10)는 신발의 아웃솔(60) 및 미들솔(70) 사이의 앞 굽 공간부(61)에 게재되고,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20)는 아웃솔(60) 및 미들솔(70) 사이의 뒷굽 공간부(65)에 게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10, 20
상부판 100, 600
하부판 200, 700
관체 300, 500, 800

Claims (3)

  1. 신발의 아웃솔 및 미들솔 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에 있어서,
    카본섬유에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상부판;
    카본섬유에 상기 상부판의 복수의 홀과 대응되게 복수의 홀을 뚫어 형성된 하부판; 및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한 홀과 대응하는 상기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판에 결합된 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상기 상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의 윗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단 수평 유지부; 및
    상기 하부판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의 밑면의 일부를 덮어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단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두께는 0.8mm 내지 1.2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상기 상부판의 홀 내에 삽입되는 상단 삽입부;
    상기 상단 삽입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 삽입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상기 하부판의 홀 내에 삽입되는 하단 삽입부;
    상기 하단 삽입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 삽입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완충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완충부 보다 직경 또는 단면적이 큰 중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

KR1020160125139A 2016-09-28 2016-09-28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KR10171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39A KR101710310B1 (ko) 2016-09-28 2016-09-28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PCT/KR2017/010501 WO2018062782A1 (ko) 2016-09-28 2017-09-22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39A KR101710310B1 (ko) 2016-09-28 2016-09-28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310B1 true KR101710310B1 (ko) 2017-03-08

Family

ID=5840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39A KR101710310B1 (ko) 2016-09-28 2016-09-28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82A1 (ko) * 2016-09-28 2018-04-0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208A (ja) * 1994-12-22 1996-07-09 Futsuto Techno:Kk 靴用バネ部材およびバネ部材搭載靴
KR200371481Y1 (ko) * 2004-08-04 2004-12-31 김종식 신발
US20070209233A1 (en) * 2004-08-04 2007-09-13 Jong-sik Kim Footwear
JP2014033742A (ja) * 2012-08-07 2014-02-24 Aikyo:Kk 靴底、それに用いる加飾用の弾性部材及びこれらを用いた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208A (ja) * 1994-12-22 1996-07-09 Futsuto Techno:Kk 靴用バネ部材およびバネ部材搭載靴
KR200371481Y1 (ko) * 2004-08-04 2004-12-31 김종식 신발
US20070209233A1 (en) * 2004-08-04 2007-09-13 Jong-sik Kim Footwear
JP2014033742A (ja) * 2012-08-07 2014-02-24 Aikyo:Kk 靴底、それに用いる加飾用の弾性部材及びこれらを用いた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82A1 (ko) * 2016-09-28 2018-04-05 홍정임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311B1 (ko)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KR101216763B1 (ko) 건강 신발
US20070294832A1 (en) Air cushion with multistage shock-absorbing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WO2006038357A1 (ja) 靴底の緩衝装置
JP5298130B2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710310B1 (ko)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CN205512680U (zh) 一种避震减压缓冲鞋垫
CN211458996U (zh) 一种防砸劳保鞋
KR200370218Y1 (ko) 경량의 충격흡수가 가능한 키높이 신발의 구조
CN211129903U (zh) 一种缓震舒适鞋底
KR101469554B1 (ko)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20110007867U (ko) 신발 내부의 땀 및 열 배출이 원활한 안창
KR101875777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18185526U (zh) 一种气垫减震鞋底
JP2010148790A (ja) エアクッション入り靴底
KR200213820Y1 (ko) 신발창
KR100904042B1 (ko) 쿠션 소자 및 그 소자를 가진 신발
JP2008067953A (ja) 履物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CN104839937B (zh) 防滑的泡泡缓震鞋底
CN211092107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儿童鞋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101910549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