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563A -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563A
KR20190067563A KR1020170167625A KR20170167625A KR20190067563A KR 20190067563 A KR20190067563 A KR 20190067563A KR 1020170167625 A KR1020170167625 A KR 1020170167625A KR 20170167625 A KR20170167625 A KR 20170167625A KR 20190067563 A KR20190067563 A KR 20190067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service
server
user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김남윤
김창하
윤기영
유혜상
김희영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7016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563A/ko
Priority to JP2018206440A priority patent/JP2019102071A/ja
Publication of KR2019006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택배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복수의 택배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URIER INGEGRATED MANAGEMENT}
아래의 설명은 택배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우편물이나 짐, 상품 등의 화물을 발신자로부터 인수하여 수신지까지 운송회사의 일괄적인 책임 하에 배달해주는 서비스이다.
최근 사회적 인프라의 변화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택배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발신자 또는 수신자는 유무선 전화, 팩스, 또는 인터넷 등의 방법으로 택배회사에 택배를 주문하고, 택배회사는 발신자를 방문하여 화물을 집하하여 다양한 구간 운송 경로를 경유한 후 수신자에게 화물을 전달한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화물 추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간 화물 추적 서비스는 발신자나 수신자가 화물이 배송되고 있는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7585호(공개일 2013년 11월 25일)에는 택배가 요청된 물품이 집하지에 도착할 때마다 물품을 받게 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현재 물품의 위치를 알리는 푸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여러 택배사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된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택배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주문 조건을 수신하여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주문 조건을 고려하여 택배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택배사 목록에서 선택된 택배사로 상기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또는 상기 사용자의 상품 판매 채널을 제공하는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택배사 별로 서비스 가능한 배송 정보를 상기 주문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택배사 별 상기 사용자의 이용 이력 여부, 프로모션 진행 여부,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거나 상기 택배사 목록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와의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연동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에 업데이트 되는 진행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 상기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모니터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 상기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모니터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을 통해 상기 전화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상기 서버와 관련된 메신저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수취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알림의 경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을 송신자로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택배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주문 조건을 수신하여 접수하는 접수부; 및 상기 주문 조건을 고려하여 택배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택배사 목록에서 선택된 택배사로 상기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사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 환경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택배 통합 관리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전자 기기나 서버와 같은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택배 통합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택배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 1(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 1(110)이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 1(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 1(1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50)는 택배사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택배사(예컨대, 택배사A, 택배사B, 택배사C, ...)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50)는 각 택배사 서버와의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연동을 통해 택배사 별 택배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비스 대상자가 선택한 택배사로 택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150)는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개인(301)이나 판매자(302), 개별 판매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03), 메신저 상의 비즈니스 계정(예컨대, 공식 계정(official account)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04),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과 연동된 여러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05) 등을 대상으로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기능이 전용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개별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비즈니스 계정은 메신저 상에서 소상공인이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봇(bot) 형태의 계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은 소상공인의 판매 채널을 통합 관리해주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체적으로 연결된 기존 택배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305)의 경우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에 연결된 택배사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150)의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버(150)는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사(예컨대, 택배사A, 택배사B, 택배사C, ...)의 컴퓨터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API, 다양한 형태의 개인(301)이나 판매자(302, 303, 304, 305)의 컴퓨터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API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API 연동을 통해 다양한 택배사를 선택할 수 있는 통합식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물론이고, 판매자의 개별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 등과 연동하여 개인(301)이나 판매자(302, 303, 304, 305)가 요청한 택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개인(301)이나 판매자(302, 303, 304, 305)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와 결합 가능한 대상이라면 얼마든지 확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개인(301)이나 여러 형태의 판매자(302, 303, 304, 305)를 '사용자'라 통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는 여러 택배사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식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통합식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서버(150)는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통합식 택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도 5에 따른 택배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부(410), 요청부(420), 및 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5의 택배 통합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510 내지 S54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2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가 사용자의 주문 조건을 접수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접수부(4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프로세서(222)는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520 내지 S54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접수부(410)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주문 조건을 수신하여 접수할 수 있다. 주문 조건은 택배를 보내는 사람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포함하는 발송인 정보, 받는 사람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포함하는 수취인 정보, 보내는 상품의 종류, 수량, 부피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상품 픽업을 위한 방문 희망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수부(410)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개별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주문 조건을 포함하는 택배 요청을 전달 받아 접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배 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 또는 개별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 등에 결합된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통해 판매 상품에 대한 택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요청부(420)는 단계(S520)에서 접수된 주문 조건을 고려하여 택배사 목록을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택배사 목록에서 선택된 택배사로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먼저, 요청부(420)는 서버(150)와 연동된 택배사 별로 서비스 가능한 배송 정보를 사전에 구축해 놓고 택배사 별 배송 정보를 주문 조건에 포함된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상품 정보, 방문 희망 시간 등과 비교하여 서비스 가능한 택배사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부피가 대형 사이즈에 속하는 경우 대형 상품 배송이 가능한 택배사로 택배사 목록을 구성할 수 있고, 발송인이나 수취인의 주소가 도서산간 지역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접근이 용이한 택배사로 택배사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요청부(420)는 택배사 별 사용자의 히스토리나 택배사의 퍼포먼스와 관련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택배사를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요청부(420)는 택배사 별 사용자의 이용 이력 여부, 프로모션 진행 여부, 퍼포먼스나 리뷰와 같은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거나 택배사 목록의 정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택배사를 가장 상위에 정렬하고 다음으로 프로모션이 진행 중인 택배사를 정렬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평가 정보에 따른 순서로 택배사 목록을 정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요청부(420)는 받는 사람의 주소가 해외거나 도서산간과 같은 특수 지역인 경우 둘 이상의 택배사 조합으로 택배사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서버(150)는 택배사 별 선택 이력이나 평가 정보를 누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택배사를 평가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요청부(420)는 사용자가 택배사 목록에서 특정 택배사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택배사로 사용자의 주문 조건을 전달함으로써 택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택배사를 직접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최근에 이용한 택배사를 자동 선택하거나, 또는 프로모션으로 인한 혜택이 가장 좋은, 예를 들어 배송비가 가장 저렴한 택배사 혹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평가가 가장 좋은 택배사 등을 자동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요청부(420)는 서버(150)와 연동하는 택배사 중에서 사용자의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사를 선택하여 택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주문 조건에 대해 선택된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택배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리부(430)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한 택배사의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실제 주문 조건을 입력 받아 단계(S520)에서 접수된 주문 조건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문 조건이 택배사로 전달되면 해당 택배사에서는 CS(customer satisfaction) 센터나 배송 인력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하여 주문 유효 여부와 최종 주문 조건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서버 간 연동을 통해 최종 확인된 주문 조건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관리부(430)는 택배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택배 서비스를 요청한 주문 조건에 대하여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예컨대, VoIP 전화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택배사와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직접 모니터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리부(430)는 택배사 서버와의 API 연동을 통해 주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이 실패한 경우 해당 이벤트를 기록하여 트래킹 화면이나 알림을 통해 해당 택배사의 부재중 전화(missed call)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주문 조건에 대해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택배사의 서버에 업데이트 되는 서비스 진행 상황을 공유하면서 기록할 수 있고 실시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트래킹 화면이나 별도의 알림 등을 통해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부(430)는 유효한 주문 조건에 대해 택배 서비스가 진행 중인 경우 주요 상태(예를 들어, 주문 접수, 상품 인수, 상품 이동 중, 배달지 도착, 배달 출발, 배달 완료)의 처리 상황을 트래킹 화면이나 알림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430)는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서버(150)와 관련된 메신저를 통한 알림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서버(150)와 관련된 메신저가 설치된 경우 해당 메신저를 통해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는 상품을 보낸 사용자는 물론이고, 적어도 일부 진행 정보에 대해서는 수취인을 대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부(430)는 메신저를 통해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수취인에게 제공할 때 정보 송신자를 서버(150)의 계정으로 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상품을 보낸 사용자의 계정을 송신자로 하여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취인이 메신저 상의 사용자의 비즈니스 계정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경우 수취인의 사전 동의 의사에 따라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 또한 사용자의 비즈니스 계정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50)는 API 연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유입을 지원함과 아울러 다양한 택배사를 선택할 수 있는 통합식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자체 트래킹 화면 이외에도 해당 플랫폼과 연계된 메신저를 이용하여 택배 서비스의 주요 상태에 대한 실시간 트래킹 내용을 사용자와 수취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서버(150)와 관련된 메신저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매체(예컨대, SMS나 MMS 등)를 이용한 알림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택배사 별로 다르게 사용하는 기존 알림과는 달리 모든 택배사에 대해 일관된 형태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취인을 대상으로 택배사가 아닌 서버(150)나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을 송신자로 하는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스팸 메시지로의 오인을 방지하는 등 메시지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택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주문 조건을 포함하는 배송 주문서를 작성하는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송 주문서 작성 화면(600)은 택배 배송을 요청하는 주문 조건으로 상품 픽업 주소(610), 사용자의 연락처(620), 보낼 상품의 수량 정보(630), 상품 픽업 시간(640)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의 배송 주문서 작성 화면(600)에는 택배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65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배송 주문서 작성 화면(600)에서 택배사 선택 메뉴(650)를 선택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가능한 택배사 목록(801)이 노출될 수 있다. 택배사 목록(801)은 배송 주문서 작성 화면(6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주문 조건에 대해 서비스 가능한 택배사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택배사 별 사용자의 이용 이력 여부, 프로모션 진행 여부, 퍼포먼스나 리뷰와 같은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된 택배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사 목록(801)의 가장 상위에는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택배사를 노출하고 다음 순위에는 프로모션이 진행 중인 택배사를 노출할 수 있으며, 이외 순위에는 평가 정보에 따른 순서나 랜덤으로 선정된 택배사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배송 주문서 작성 화면(600)을 통한 입력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리뷰 화면(903)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뷰 화면(903)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주문서, 즉 주문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택배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관리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관리 화면(10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주문 조건이 접수된 택배 주문 목록(1010)이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택배 주문 목록(1010)은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접수된 택배 주문 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택배 주문 건이 최근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날짜순 이외에도 수취인, 보낸 지역 등 별로 택배 주문 건을 분류하여 택배 주문 목록(1010)을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택배 주문 목록(1010)에는 택배 주문 건 별로 상품 수량, 선택된 택배사 정보, 접수 번호, 접수 날짜 등을 포함하는 접수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화면(1000)의 택배 주문 목록(1010)에서 상품 수량이 복수 개인 택배 주문 건을 선택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택배 주문 건에 포함된 개별 상품으로 이루어진 상세 목록(1101)이 노출될 수 있다. 상세 목록(1101)에는 개별 상품 별로 수취인의 주소와 접수 번호 등을 포함하는 접수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개별 택배 주문 건의 진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택배 주문 목록(1010)이나 도 11의 상세 목록(1101)에서 임의 택배 주문 건을 선택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건에 대한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트래킹 화면(1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화면(1200)에는 택배 주문 건에 대한 택배 서비스의 현재 상태 정보(1210), 택배 주문 건의 접수 번호와 접수 날짜를 포함하는 접수 정보(1220), 택배사 정보(1230), 보내는 사람 정보(1240) 등이 노출될 수 있으며, 특히 구체적인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메뉴(120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의 트래킹 화면(1200)에서 트래킹 메뉴(1201)를 선택한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택배 주문 건에 대한 택배 서비스의 진행 상황, 즉 주요 상태(예를 들어, 주문 접수, 상품 인수, 상품 이동 중, 배달지 도착, 배달 출발, 배달 완료)의 처리 상황을 나타내는 타임라인(13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배송이 완료된 택배 주문 건에 대한 트래킹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의 택배 주문 건이 접수된 이후 택배사에서 접수된 주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이 실패한 경우 트래킹 화면(1200)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임라인(1410) 상에 해당 택배사의 부재중 전화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1410) 상의 부재중 전화를 나타내는 항목에 택배사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메뉴(예컨대, VoIP 전화 등)(1401)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가 택배 주문을 접수한 이후 택배사의 확인 전화를 놓친 경우 트래킹 화면(1200)에서 제공되는 전화 연결 메뉴(1401)를 이용하여 해당 택배사로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한 트래킹 화면(1200) 이외에도 메신저를 이용하여 택배 서비스의 주요 상태에 대한 실시간 트래킹 내용을 사용자와 수취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된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택배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주문 조건을 수신하여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주문 조건을 고려하여 택배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택배사 목록에서 선택된 택배사로 상기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또는 상기 사용자의 상품 판매 채널을 제공하는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택배사 별로 서비스 가능한 배송 정보를 상기 주문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택배사 별 상기 사용자의 이용 이력 여부, 프로모션 진행 여부,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거나 상기 택배사 목록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와의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연동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에 업데이트 되는 진행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 상기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모니터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 상기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모니터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을 통해 상기 전화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상기 서버와 관련된 메신저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수취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알림의 경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을 송신자로 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택배사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택배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식(Aggregator)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주문 조건을 수신하여 접수하는 접수부; 및
    상기 주문 조건을 고려하여 택배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택배사 목록에서 선택된 택배사로 상기 주문 조건에 대응되는 택배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부
    를 포함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사이트나 비즈니스 계정, 또는 상기 사용자의 상품 판매 채널을 제공하는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 조건을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택배사 별 상기 사용자의 이용 이력 여부, 프로모션 진행 여부,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택배사 목록을 구성하거나 상기 택배사 목록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택배 서비스의 진행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와의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연동을 통해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택배사의 서버에 업데이트 되는 진행 정보를 공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주문 조건에 대해 상기 사용자와의 전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택배사와 상기 사용자 간의 전화 연결 상태를 모니터 하고,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트래킹 화면을 통해 상기 전화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택배사에서의 서비스 진행 상황을 상기 서버와 관련된 메신저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수취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알림의 경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의 메신저 계정을 송신자로 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167625A 2017-12-07 2017-12-07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67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25A KR20190067563A (ko) 2017-12-07 2017-12-07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8206440A JP2019102071A (ja) 2017-12-07 2018-11-01 宅配統合管理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25A KR20190067563A (ko) 2017-12-07 2017-12-07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63A true KR20190067563A (ko) 2019-06-17

Family

ID=6697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625A KR20190067563A (ko) 2017-12-07 2017-12-07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9102071A (ko)
KR (1) KR20190067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265A (zh) * 2021-07-26 2021-11-02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在收件人回拨电话中显示收件人信息的方法及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58B1 (ko) * 2023-02-27 2023-05-16 주식회사 상상인터네셔널 인공 신경망을 활용한 냉동식품의 효율적인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309A (ja) * 1999-01-19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書処理装置
US6994253B2 (en) * 2000-05-11 2006-02-0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Systems and methods of item delivery utilizing a delivery notice
JP2002324175A (ja) * 2001-04-25 2002-11-08 Fujitsu Ltd 運送仲介方法
JP2005267571A (ja) * 2004-03-22 2005-09-29 Sagawa Express Co Ltd マルチ言語対応機能を有するweb集荷システム
KR100743157B1 (ko) * 2005-06-08 2007-07-27 (주)네덱스 암호화를 이용하여 택배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택배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49043A (ja) * 2014-02-10 2015-08-20 充重 河村 運送サービス提供支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265A (zh) * 2021-07-26 2021-11-02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在收件人回拨电话中显示收件人信息的方法及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02071A (ja)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838B1 (en) Utilizing a computing system to batch deliveries for logistical efficiency
US10043149B1 (en) Add-on orders for delivery
US10181111B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for item handoffs
US20160071050A1 (en) Delivery Channel Management
KR20150035877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22110048A (ja) 分散システムを構造化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ミングインタフェース
EP37692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dynamic digital tickets within a digital board
US10028086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location based device services
CN113608650A (zh) 数据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191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nified cloud-based platform for commercial transactions and analysis
JPWO2019065286A1 (ja) 購入支援装置、購入支援端末及び購入支援システム
US202201146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er-oriented behavior predictions and notifications
US20190019244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mpetitive bidding transportation services to a variety of customers
JP7252748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190067563A (ko) 택배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100974B2 (ja) ユーザ間の品物伝達を、メッセンジャを利用してサポート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797731B2 (en) Consolidating and transforming object-descriptive input data to distributed rendered location data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299539B1 (ko) 매장 연계형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24787A1 (en) Omnichannel services platform
JP2020109643A (ja) メッセンジャー基盤の銀行口座取引履歴に関連するユーザが使いやすい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9109917A (ja) 発注システム
CN109308601B (zh)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系统的信息处理方法
KR101939785B1 (ko) 사용자들간 물건 전달을 메신저를 이용하여 서포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1419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