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23A -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23A
KR20190067023A KR1020170166986A KR20170166986A KR20190067023A KR 20190067023 A KR20190067023 A KR 20190067023A KR 1020170166986 A KR1020170166986 A KR 1020170166986A KR 20170166986 A KR20170166986 A KR 20170166986A KR 20190067023 A KR20190067023 A KR 2019006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ng
tialn
cycle
thin film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146B1 (ko
Inventor
권세훈
김다영
김광호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27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ALD cycle, e.g. different flows or temperatures during half-reactions, unusual pulsing sequence, use of precursor mixtures or auxiliary reactants or activations
    • C23C16/45536Use of plasma, radiation or electromagnet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4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53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recursors specially adapted for A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8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composite, e.g. T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활용되는 TiAlN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층 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을 통하여 TiAlN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낮은 비저항을 구현할 수 있는 변현된 ALD 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TiN 과 AlN을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 (sub-cycle)로 구성된 슈퍼 사이클(super cycle)을 이용하여 ALD법으로 TiAlN 박막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전구체를 주입하는 단계-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반응물질을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AlN 서브사이클을 사용하는 대신, 타이타늄 전구체를 주입하는 단계-알루미늄 전구체를 주입하는 단계-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반응물질을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AlN 전극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을 활용함으로서, TiAlN 전극박막 내 Al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일반적인 TiN과 AlN 서브사이클로 구성된 슈퍼사이클을 활용하여 ALD법으로 증착한 TiAlN에 비하여 비저항이 매우 낮은 TiAlN 전극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Method for the formation of low resistive TiAlN thin film electrode by using modified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활용되는 TiAlN 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층 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을 통하여 TiAlN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낮은 비저항을 구현할 수 있는 변형된 ALD 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iAlN 박막을 ALD법을 통해 증착하는 경우, TiN과 AlN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unitcycle)로 구성된 슈퍼 사이클(super cycle)을 이용하여 증착한다(등록특허 제1012425620000호 등). 즉, TiN 서브사이클 동안 일정두께의 TiN 층을 형성한 뒤, AlN 서브 사이클 동안 일정두께의 AlN 층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슈퍼 사이클 동안 일정두께의 TiAlN 층이 형성되며, 슈퍼 사이클의 반복횟수를 조절하여 TiAlN 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TiAlN 전극의 저항은 하나의 슈퍼 사이클을 구성할 때,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와 AlN 서브 사이클의 반복횟수를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AlN 서브 사이클의 반복횟수를 한번으로 최소화하더라도, 한번의 AlN 서브사이클동안 증착되는 AlN 양이 많아, TiAlN 박막의 저항은 1500 μΩcm 이하로 저항을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TiAlN 박막내의 Al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낮은 비저항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TiAlN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a) Ti 전구체를 주입시켜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b)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c)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주입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흡착된 Ti 전구체의 리간드를 제거함으로서 일정두께의 TiN 원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TiN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과,
(e) Ti 전구체를 주입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f) Al 전구체를 주입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g)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h)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주입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흡착된 상기 Ti 및 Al 전구체의 리간드를 제거함으로서 일정두께의 TiN과 AlN 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h)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TiN과 AlN 혼합층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로 구성된 슈퍼사이클에 의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저항의 TiAlN 전극박막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된 ALD법에 의하면, 먼저 주입된 Ti 전구체가 표면에 포화된 화학흡착층을 먼저 형성하고, 뒤이어 주입된 Al 전구체가 남은 빈자리에 화학흡착층을 형성하게 되며,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를 통해 화학흡착되어 있던 Ti전구체와 Al전구체가 일정두께의 박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하나의 서브사이클 동안 증착되는 AlN의 양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TiN 서브사이클을 증가시켜 약 500 μΩcm 정도의 매우 낮은 비저항의 TiAlN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TiAlN 박막 전극의 증착을 위한 일반적인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을 이용하여 증착한 TiAlN 박막 전극의 저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 저항 특성을 가지는 TiAlN 박막 전극의 증착을 위한 변형된 원자층 증착법의 슈퍼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형된 원자층 증착법의 슈퍼사이클을 이용하여 증착한 TiAlN 박막 전극의 저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일반적으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TiAlN 박막전극을 증착 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슈퍼사이클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인 TiAlN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은 TiN 서브 사이클과 AlN 서브 사이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TiN 서브사이클은 Ti 전구체(precursor)의 주입하는 단계,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 그리고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AlN 서브사이클은 Al 전구체(precursor)의 주입하는 단계,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 그리고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TiAlN 박막 전극의 조성은 하나의 TiAlN 슈퍼사이클을 구성하는 TiN과 AlN 서브 사이클의 반복횟수를 조절함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기적 저항을 조절하게 된다. 즉, TiN은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체이며, AlN은 절연성을 가지는 비절연체이기 때문에, TiAlN 박막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늘리고, Al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최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1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하여, Al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최소 반복 횟수인 1로 고정하고,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10~40사이클 까지 변화시켜가며 슈퍼사이클을 구성한 뒤,TiAlN 박막 전극을 증착한 경우의 비저항의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Al 전구체로는 TMA (trimethyl-aluminum)을 사용하였으며, Ti 전구체로는 TDMAT (Tetrakis(dimethylamino)titanium을 사용하여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다른 Al 및 Ti 전구체를 사용하여도 동일하게 구현 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볼 수 있듯이,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TiAlN 박막의 비저항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지만 1500 μΩcm 보다 높은 비저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AlN 서브사이클 동안, Al 전구체가 주입이 될 때, 표면을 Al전구체가 표면에 포화된 화학흡착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한번이 AlN 서브사이클 이라 할지라도 Al전구체로 포화된 화학흡착층 만큼이 박막내에 게재되는 양을 더 줄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TiAlN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에서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를 40회 이상으로 더 크게 증가시켜 저항을 낮출 수는 있으나, 이 경우 하나의 TiN 서브사이클 동안 증착되는 TiN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AlN이 TiAlN 박막내에 불균일한 분포를 가지게 되므로 실제로 활용하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형된 원자층 증착방식을 이용하여 저저항을 가지는 TiAlN 박막전극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TiAlN 박막전극을 증착 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슈퍼사이클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TiAlN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저저항 TiAlN 박막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의 슈퍼사이클은, 종래의 TiN 서브 사이클과 종래의 AlN 서브사이클이 아닌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 ((Ti)AlN)으로 구성되어있다.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Ti)AlN 서브사이클)은 Ti 전구체를 주입하는 단계, Al 전구체를 주입하는 단계,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 그리고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TiAlN 박막 전극의 조성은 하나의 TiAlN 슈퍼사이클을 구성하는 TiN과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Ti)Al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를 조절함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전기적 저항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하여 TiAlN 박막전극을 증착 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슈퍼사이클의 경우,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Ti)AlN 서브사이클) 동안, 먼저 주입된 Ti 전구체가 표면에 포화된 화학흡착층을 먼저 형성하고, 뒤이어 주입된 Al 전구체가 남은 빈자리에 화학흡착층을 형성하게 되며,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플라즈마와 함께 주입하는 단계를 통해 화학흡착되어 있던 Ti전구체와 Al전구체가 일정두께의 박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하나의 서브사이클 동안 증착되는 AlN의 양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하여, 변형된 AlN 서브사이클((Ti)Al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최소 반복 횟수인 1로 고정하고,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는 10~40사이클 까지 변화시켜가며 슈퍼사이클을 구성한 뒤,TiAlN 박막 전극을 증착한 경우의 비저항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통해 볼 수 있듯이, TiN 서브사이클의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TiAlN 박막의 비저항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제 1실시예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TiAlN 박막의 저항은 동일한 TiN 서브사이클을 반복한 경우라도 제1실시예에 의한 방법보다 낮은 비저항을 가지며, TiN 서브사이클이 40회인 경우 약 500 μΩcm 정도의 매우 낮은 비저항의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a) Ti 전구체를 주입시켜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b)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c)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주입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흡착된 Ti 전구체의 리간드를 제거함으로서 일정두께의 TiN 원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TiN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과,
    (e) Ti 전구체를 주입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f) Al 전구체를 주입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g)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h) N2 또는 NH3 반응가스를 주입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흡착된 상기 Ti 및 Al 전구체의 리간드를 제거함으로서 일정두께의 TiN과 AlN 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h)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TiN과 AlN 혼합층 증착을 위한 서브사이클로 구성된 슈퍼사이클에 의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박막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 전구체는 TDMAT, TDEAT, TEMAT, TiCl4, TiI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박막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 전구체는 TM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TiAlN 전극박막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TiAlN 전극 박막의 비저항이 1500 μΩ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AlN 전극박막을 구비한 반도체소자.
KR1020170166986A 2017-12-06 2017-12-06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KR10211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86A KR102117146B1 (ko) 2017-12-06 2017-12-06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86A KR102117146B1 (ko) 2017-12-06 2017-12-06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23A true KR20190067023A (ko) 2019-06-14
KR102117146B1 KR102117146B1 (ko) 2020-06-01

Family

ID=668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986A KR102117146B1 (ko) 2017-12-06 2017-12-06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50A1 (ko) * 2021-04-15 2022-10-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턱 전압이 제어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69B1 (ko) * 2004-10-30 2007-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69B1 (ko) * 2004-10-30 2007-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50A1 (ko) * 2021-04-15 2022-10-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턱 전압이 제어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2783A (ko) * 2021-04-15 2022-10-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턱 전압이 제어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46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318B1 (ko) 주기적인 알루미늄 산질화물 퇴적
US2009001114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Vanadium Oxide Thin Film
TWI733885B (zh) 關聯電子材料切換裝置
EP2578723B1 (en) Method for selectively depositing noble metals on metal/metal nitride substrates
KR20090039083A (ko) 루테늄 막 형성 방법
US20100136313A1 (en) Process for forming high resistivity thin metallic film
US20160133837A1 (en) Low-Temperature Deposition of Metal Silicon Nitrides from Silicon Halide Precursors
TWI638903B (zh) 氮化膜的製造方法
US7411254B2 (en) Semiconductor substrate
KR20190061877A (ko) 박막 증착 방법
JP2010199449A (ja) 抵抗素子の製造方法
KR102179753B1 (ko) 질화막의 제조방법 및 질화막의 압축 응력 제어방법
KR20190067023A (ko) 변형된 원자층증착방식을 이용한 저저항 TiAlN 전극의 제조방법
US20150176122A1 (en) Low-temperature growth of complex compound films
JP6110420B2 (ja) 窒化膜の製造方法及び窒化膜の圧縮応力の制御方法
KR20040053456A (ko) 반도체 소자의 장벽 금속층 형성 방법
KR102048128B1 (ko)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Ru­TaN 복합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KR20120045408A (ko) 탄탈륨계 질화막을 이용한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20050002525A (ko) 반도체 소자의 확산방지막 제조방법
KR102202089B1 (ko) 질화막의 제조방법
KR100770276B1 (ko) 반도체 소자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KR20150108182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94718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US20210066592A1 (en) Deposition Of Metal-Organic Oxide Films
KR101145726B1 (ko) 반도체 소자용 삼원계 비정질 이리듐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