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64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646A
KR20190066646A KR1020170166079A KR20170166079A KR20190066646A KR 20190066646 A KR20190066646 A KR 20190066646A KR 1020170166079 A KR1020170166079 A KR 1020170166079A KR 20170166079 A KR20170166079 A KR 20170166079A KR 20190066646 A KR20190066646 A KR 2019006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marks
display
metal patterns
sens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221B1 (ko
Inventor
김영관
김재영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221B1/ko
Priority to US16/197,781 priority patent/US10607943B2/en
Publication of KR2019006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221Static displays, e.g. displaying permanent log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01L27/3211
    • H01L27/323
    • H01L27/3276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 복수의 화소들; 상기 기판의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들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원 배선들;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합착되는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원 배선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전원 배선과 일체로 제공되는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비표시부와 중첩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합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윈도우와의 합착 시, 위치 인식을 위한 얼라인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데, 상기 얼라인 마크의 설계 제약 조건으로 인해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상기 비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베젤을 줄여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얼라인 마크로 인해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 복수의 화소들;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들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원 배선들;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합착되는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원 배선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전원 배선과 일체로 제공되는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비표시부와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과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금속 패턴들 사이에 제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금속 패턴들 중 일부가 단선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인접한 금속 패턴에 연결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인접한 금속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얼라인 마크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된 단위 얼라인 마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인접한 얼라인 마크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배선들은 각 화소로 제1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 배선 및 각 화소로 제2 전원을 제공하는 제2 전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전원 배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의 일측에 제공되는 비감지 영역을 포함한 베이스 층; 상기 감지 영역에 제공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기 비감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센싱 라인들 중 상기 비감지 영역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센싱 라인과 일체로 제공된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과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상기 비감지 영역에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금속 패턴들 사이에 제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금속 패턴들 중 일부가 단선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얼라인 마크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된 단위 얼라인 마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비표시부와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도시된 얼라인 마크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5에 도시된 얼라인 마크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정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터치 센서가 채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A2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EA3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장치가 한 쌍의 장 변과, 한 쌍의 단 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단 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R1), 상기 장 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임의의 시각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panel)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DP)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DP)은 상기 표시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기판(SU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은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이 복수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각 영역 또한 직선의 변을 포함한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한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영역(DA)이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영역으로 제공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가로부와,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세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상기 세로부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DA)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화소(PXL)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중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화소(PXL)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화소들(PXL)을 구동하는 구동부, 각 화소(PXL)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화소들(PXL)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배선부(미도시)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선부를 통해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각 화소(PXL)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스캔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 발광 제어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발광 구동부(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DDV), 및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스캔 구동부, 상기 발광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전원 배선(미도시) 및 제2 전원 배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표시 영역(DA) 각각에 배치된 화소들(PXL)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AM)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윈도우(WD)를 합착하는 공정에서 정렬(align)을 위한 식별 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최종적인 표시 장치에서의 베젤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세로부에 배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로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표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WD)는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WD)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가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기 기판(SU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투명한 절연 재질의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질은 내구성, 표면 평활성, 및 투명도가 우수하도록, 다양한 재료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DP)의 노출면을 보호하는 최외각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의 충격에 상기 표시 패널(DP)이 파손되거나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DP)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윈도우 용 표시 영역(DA_W) 및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용 표시 영역(DA_W)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에 대응되고, 상기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용 표시 영역(DA_W)은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영역으로, 최종적인 표시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은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최종적인 표시 장치에서의 베젤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화소 및 상기 화소에 연결된 배선들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화소(PXL)는 배선들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OLED),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거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상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구동회로로서,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ELVDD)은 전원 라인(PL)을 통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되고, 제2 전원(ELVSS)은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ELVSS)은 상기 제1 전원(ELVDD) 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PXL)가 두 개의 트랜지스터(T1, T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XL)는 7개의 트랜지스터, 상기 발광 소자(OLED), 및 상기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화소 회로부(PCL), 표시 소자층(PDL), 및 박막 봉지 필름(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부(PCL)는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된 버퍼층(BFL), 상기 버퍼층(BFL)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BFL)이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상기 기판(SUB)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표시 소자층(DPL)의 발광 소자(OL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반도체층(SCL1), 제1 게이트 전극(GE1), 제1 소스 전극(SE1), 및 제1 드레인 전극(DE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반도체층(SCL2), 제2 게이트 전극(GE2), 제2 소스 전극(SE2), 및 제2 드레인 전극(D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은 상기 버퍼층(B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전극(SE1, SE2)과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전극(DE1, DE2) 각각에 접촉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 각각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은 불순물로 도핑되지 않는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불순물로는 n형 불순물, p형 불순물, 기타 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은 게이트 절연층(GI)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도체층(SC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반도체층(SC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전극(SE1)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 각각은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1 반도체층(SCL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스 전극(SE2)과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 각각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층(SCL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 상에는 보호층(PSV)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층(DPL)은 상기 보호층(PSV) 상에 제공된 상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두 전극(AE, CE)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AE) 및 상기 제2 전극(CE) 중 어느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AE)이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CE)이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E)이 반사형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CE)이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며, 상기 제1 전극(AE)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전극(AE)은 상기 보호층(PSV)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2 소스 전극(S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E)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소스 전극(S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층(DPL)은 상기 제1 전극(AE)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AE)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E)의 노출된 표면 상에 상기 발광층(EM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이 다중층으로 제공되는 경우, 홀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광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EML)의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yellow)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EML) 상에 상기 제2 전극(C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E)은 반투과 반사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CE)은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E)은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나머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를 커버하는 복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복수의 무기막 및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되고 실런트를 통해 상기 기판(SUB)과 합착되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전원 배선 및 얼라인 마크 등의 배치 관계를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구비한 기판(SU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의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전원 배선(PL1, PL2) 및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AM)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배선(PL1, PL2)은 상기 기판(SUB) 상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배선(PL1, PL2)은 상기 제2 방향(DR2)에 교차하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전원 배선(PL1) 및 제2 전원 배선(P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PL1)은 각 화소(PXL)로 제1 전원(도 3의 ELVDD 참고)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각 화소(PXL)로 제2 전원(도 3의 ELVSS 참고)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배선(PL1, PL2)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PL1)과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상기 제1 전원 배선(PL1)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전원 배선(PL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상기 기판(SUB)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배선들 중 최외각에 배치되는 배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배선들 중 최외각에 배치되는 배선은 그라운드 배선, 정전기 차단 배선, 및 크랙 감지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표시 패널(DP)과 윈도우(도 1의 WD 참고)를 합착하는 공정에서 정렬(align)을 위해 사용되는 식별 표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일체로 제공되며 동일한 층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 각각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 예를 들면, i(i는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얼라인 마크(AM)는 9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중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MP)은 제1 금속 패턴(MP)이 될 수 있고,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MP)은 제9 금속 패턴(MP)이 될 수 있다.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각각은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MP)과의 간격이 수 ㎛ 정도가 되도록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비전 카메라(미도시)가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을 인식할 때, 상기 금속 패턴들(MP) 각각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인접한 금속 패턴들(MP)의 간격을 수 ㎛ 정도로 이격되게 하는 것은, 상기 비전 카메라가 상기 금속 패턴들(MP) 각각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금속 패턴들(MP)로 이루어진 전체 형상만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들(MP) 간의 간격이 수 ㎛ 보다 큰 경우, 상기 비전 카메라는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을 인식할 때 상기 금속 패턴들(MP) 각각을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전원 배선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비전 카메라는 상기 얼라인 마크들(AM)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전 카메라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금속 패턴들(MP) 간의 간격이 수 ㎛ 정도가 되도록 상기 금속 패턴들(MP)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2)과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MP) 중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금속 패턴(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인접한 금속 패턴(MP)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금속 패턴(MP)의 일단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금속 패턴(MP)의 타단은 상기 제1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2 금속 패턴(MP)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 패턴(MP)의 일단은 상기 제2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3 금속 패턴(MP)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금속 패턴(MP)의 타단은 상기 제3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4 금속 패턴(MP)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금속 패턴(MP)의 일단은 상기 제4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5 금속 패턴(MP)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5 금속 패턴(MP)의 타단은 상기 제5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6 금속 패턴(MP)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6 금속 패턴(MP)의 일단은 상기 제6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7 금속 패턴(MP)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7 금속 패턴(MP)의 타단은 상기 제7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제8 금속 패턴(MP)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8 금속 패턴의 일단은 상기 제8 금속 패턴(MP)에 인접한 상기 제9 금속 패턴(MP)에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는 상기 금속 패턴들(MP) 사이에서 상기 금속 패턴들(MP) 하부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층(ILD)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상기 금속 패턴들(MP) 중 일부가 단선되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OP)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가 상기 금속 패턴들(MP)을 통해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상기 금속 패턴들(MP)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금속 패턴들(MP) 사이마다 배치되는 상기 개구부(OP)로 상기 정전기가 유도되기 때문에, 상기 정전기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으로 진행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상기 정전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얼라인 마크(AM)를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일체로 제공하면,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 별도의 얼라인 마크를 삽입하는 기존의 표시 장치에 비해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이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데드 스페이스가 줄어들 수 있고, 결국 최종 표시장치에서의 베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얼라인 마크들(AM)과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을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으로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하는 기존의 표시 장치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전 카메라의 해상도가 낮을 경우, 상기 비전 카메라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각 얼라인 마크(AM)를 단순한 형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하나의 얼라인 마크(AM)만이 제공될 경우, 상기 비전 카메라는 상기 얼라인 마크(AM)를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배선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3개의 얼라인 마크들(AM)을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한 단위 얼라인 마크(UAM)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전 카메라의 알고리즘에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를 등록시킴으로써, 상기 비전 카메라는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윈도우(WD)의 정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는 인접하게 배치된 3개의 얼라인 마크들(AM)을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는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얼라인 마크들(AM)을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에 포함된 하나의 얼라인 마크(AM)와 그에 인접한 얼라인 마크(AM) 사이의 간격은 대략 100㎛ 내지 200㎛ 정도가 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을 포함하는 상기 표시 패널(DP)에 대해 적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 상에 게이트 절연층(GI), 상기 층간 절연층(ILD)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상기 제1 전원 배선(PL1), 상기 제2 전원 배선(PL2), 및 상기 금속 패턴들(MP)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OP)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배선(PL1), 상기 제2 전원 배선(PL2), 및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단일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두 종 이상의 금속 또는 두 종 이상 금속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원 배선(PL1), 상기 제2 전원 배선(PL2), 및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몰리브덴텅스텐(MoW), 알루미늄네오디뮴(AlNd), 티타늄(Ti), 알루미늄(Al), 은 (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단일층을 형성하거나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저항 물질인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의 이중층 또는 다중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배선(PL1, PL2)과 상기 금속 패턴들(MP)이 제공된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보호층(PSV)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V) 상에 화소 정의막(PD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박막 봉지 필름(TFE)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도시된 얼라인 마크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2,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에 제1 전원 배선(PL1), 제2 전원 배선(PL2), 및 얼라인 마크들(AM)이 제공될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는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상기 금속 패턴들(MP)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정전기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금속 패턴(M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금속 패턴(MP)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얼라인 마크(AM)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갖는 하나의 금속 패턴(M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얼라인 마크(AM)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하나의 금속 패턴(MP)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얼라인 마크(AM)는 비전 카메라(미도시)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전 카메라는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얼라인 마크(AM)가 상기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하더라도 이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갖는 하나의 금속 패턴(MP)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5에 도시된 얼라인 마크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EA1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도 2,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에 제1 전원 배선(PL1), 제2 전원 배선(PL2), 및 얼라인 마크들(AM)이 제공될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는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9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은 연장된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서 멀어질수록 연장된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중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가장 인접한 제1 금속 패턴(MP)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중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가장 먼 제9 금속 패턴(MP)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사이에 제공되는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중 일부가 단선되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금속 패턴(MP)은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금속 패턴(MP)은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과 상기 제2 전원 배선(PL2)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금속 패턴(M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금속 패턴(M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얼라인 마크(AM)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을 갖는 하나의 금속 패턴(M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정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전 카메라(VCM)는 윈도우(WD)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전 카메라(VCM)는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에 대응되도록 상기 윈도우(WD)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전 카메라(VCM)는 상기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이 상기 윈도우(WD)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의 얼라인 마크(AM)에 대응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윈도우(WD)와 상기 표시 패널(DP)의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전 카메라(VCM)에 의해 상기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 내에 상기 얼라인 마크(AM)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을 향해 수직 하강하여 상기 표시 패널(DP)과 합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하나인 터치 센서와 채용되어 다양한 전자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터치 센서가 채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EA2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 터치 센서(TS),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도 2의 DA 참고) 및 비표시 영역(도 2의 NDA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터치 센서(TS)의 노출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상기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치 센서(TS)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윈도우 용 표시 영역(DA_W) 및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TS)가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제공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 또는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감지 영역(SA) 및 비감지 영역(NSA)을 포함하는 베이스 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SA)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비감지 영역(NSA)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영역(SA)은 상기 윈도우 용 표시 영역(DA_W)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비감지 영역(NSA)은 상기 윈도우 용 비표시 영역(NDA_W)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SA)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TE)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비감지 영역(NSA)에는 센싱 라인들(SL), 패드부(PD), 및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AM)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일부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터치 전극 행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전극 행들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들(TE)은 제1 터치 전극들(TE1)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행들에서,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들(TE1)은 제1 연결 패턴(CNP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나머지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터치 전극 열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전극 열들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들(TE)은 제2 터치 전극(TE2)이 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열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2 터치 전극(TE2)은 제2 연결 패턴(CNP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행들 및 상기 터치 전극 열들 각각은 센싱 라인들(SL)을 통하여 상기 패드부(PD)에 포함된 센싱 패드(SL_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라인들(SL)은 상기 터치 전극들(TE)과 외부의 구동 회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라인들(SL)은 상기 구동회로로부터의 감지 입력 신호를 상기 터치 전극들(TE)로 전달하거나, 상기 터치 전극들(TE)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상기 구동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윈도우(WD)를 합착하는 공정에서 정렬(align)을 위한 식별 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최종적인 표시 장치에서의 베젤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얼라인 마크(AM)는 상기 비감지 영역(NSA)에 배치된 상기 센싱 라인들(SL) 중 최외각에 배치된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13은 도 11의 EA3 영역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TS)는 베이스 층(BL), 상기 베이스 층(BL) 상에 제공된 제1 절연층(IL1),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된 제2 절연층(IL2),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MP) 및 센싱 라인들(SL), 상기 센싱 라인들(SL) 상에 제공된 제3 절연층(IL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BL)은 감지 영역(SA) 및 비감지 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상기 베이스 층(BL) 상에 제공될 수 잇다.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유기 절연 물질 및 무기 절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1)이 상기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BL)의 감지 영역(SA)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T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BL)의 비감지 영역(NSA)에는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들(SL) 및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AM)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일부는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TE)에 포함된 제1 연결 패턴(도 12의 CNP1 참고)은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이 제공된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절연층(IL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제1 터치 전극(도 12의 TE1 참고), 제2 터치 전극(도 12의 TE2 참고), 제2 연결 패턴(도 12의 CNP2 참고)은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라인들(SL)은 상기 베이스 층(BL) 상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상기 감지 영역(SA)으로 절곡되어 상기 터치 전극들(TE)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라인들(SL)은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라인들(SL)은 상기 터치 전극들(TE)의 일부 구성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과 동일한 층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상기 센싱 라인들(SL),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상기 센싱 라인들(SL),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및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막(IL3)은 투명하고, 유동성이 있어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켜 평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터치 센서(TS)와 윈도우(도 10의 WD 참고)를 합착하는 공정에서 정렬(align)을 위해 사용되는 식별 표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비감지 영역(NSA)에서 상기 센싱 라인들(SL) 중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센싱 라인(SL)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상기 비감지 영역(NSA)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일체로 제공되며 동일한 층에 제공될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는 상기 복수 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된 i(i는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얼라인 마크(AM)는 9개의 금속 패턴들(M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개의 금속 패턴들(MP) 중에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MP)은 제1 금속 패턴(MP)이 될 수 있고, 상기 비감지 영역(NSA)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 패턴(MP)은 제9 금속 패턴(MP)이 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MP) 중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금속 패턴(MP)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들(MP)은 인접한 금속 패턴(MP)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얼라인 마크(AM)은 상기 금속 패턴들(MP) 사이에서 상기 금속 패턴들(MP)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IL2)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상기 금속 패턴들(MP) 중 일부가 단선되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OP)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가 상기 금속 패턴들(MP)을 통해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정전기가 상기 금속 패턴들(MP)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금속 패턴들(MP) 사이마다 배치되는 상기 개구부(OP)로 상기 정전기가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은 상기 정전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을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SL)과 일체로 제공할 경우, 상기 비감지 영역(NSA) 내에 별도의 얼라인 마크를 삽입하는 기존의 표시 장치에 비해 상기 얼라인 마크들(AM)이 상기 비감지 영역(NSA)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비감지 영역(NSA)의 데드 스페이스가 줄어들 수 있고, 결국 최종 표시 장치에서의 베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3개의 얼라인 마크들(AM)은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된 단위 얼라인 마크(UAM)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해상도가 낮은 비전 카메라(도 9의 VCM 참고)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전 카메라(VCM)는 상기 단위 얼라인 마크(UAM)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윈도우(WD)의 정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PD),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AM: 얼라인 마크 DP: 표시 패널
MP: 금속 패턴 NDA: 비표시 영역
NSA: 비감지 영역 OP: 개구부
PL1, PL2: 제1 및 제2 전원 배선 SL: 센싱 라인
TS: 터치 센서 UAM: 단위 얼라인 마크
VCM: 비전 카메라 WD: 윈도우

Claims (18)

  1.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 복수의 화소들;
    상기 기판의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들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원 배선들;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합착되는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원 배선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전원 배선과 일체로 제공되는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하고,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비표시부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과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패턴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금속 패턴들 사이에 제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금속 패턴들 중 일부가 단선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인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인접한 금속 패턴에 연결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들은 인접한 금속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표시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얼라인 마크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된 단위 얼라인 마크를 구성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인접한 얼라인 마크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배선들은,
    각 화소로 제1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 배선; 및
    각 화소로 제2 전원을 제공하는 제2 전원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전원 배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최외각 전원 배선인 표시 장치.
  11.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의 일측에 제공되는 비감지 영역을 포함한 베이스 층;
    상기 감지 영역에 제공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기 비감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 및
    상기 비감지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센싱 라인들 중 상기 비감지 영역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최외각 센싱 라인과 일체로 제공된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과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동일한 층에 제공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패턴들은 상기 비감지 영역에서 상기 최외각 센싱 라인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각각은 상기 금속 패턴들 사이에 제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금속 패턴들 중 일부가 단선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기 차단부인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얼라인 마크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그룹화된 단위 얼라인 마크를 구성하는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각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윈도우의 비표시부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얼라인 마크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66079A 2017-12-05 2017-12-05 표시 장치 KR10239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79A KR102395221B1 (ko) 2017-12-05 2017-12-05 표시 장치
US16/197,781 US10607943B2 (en) 2017-12-05 2018-11-2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079A KR102395221B1 (ko) 2017-12-05 2017-12-0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646A true KR20190066646A (ko) 2019-06-14
KR102395221B1 KR102395221B1 (ko) 2022-05-10

Family

ID=6665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079A KR102395221B1 (ko) 2017-12-05 2017-12-0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07943B2 (ko)
KR (1) KR102395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510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12654B2 (en) 2020-09-03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8963B (zh) * 2018-10-30 2022-04-26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母板及其制作方法
KR2021008512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210087602A (ko) * 2020-01-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정렬 검사 방법
CN113360020B (zh) * 2021-06-01 2024-03-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1691A (ja) * 2009-04-22 2010-12-02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097306B1 (ko) * 2009-03-30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10299A (ko) * 2012-07-16 2014-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4409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195A (ko) * 2014-04-01 2015-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JP2016064959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Joled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3052B1 (ko) * 2015-01-26 2021-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356B1 (ko) * 1995-08-07 2002-06-20 가나이 쓰도무 정전기대책에 적합한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
JPH11305254A (ja) *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608888B1 (ko) 2004-05-07 200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127855B1 (ko) * 2005-06-02 201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20070117110A (ko) * 2006-06-07 2007-12-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273330B2 (ja) * 2006-08-04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330706B1 (ko) 2006-11-03 2013-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얼라인먼트 마크
KR101027568B1 (ko) 2007-09-25 2011-04-06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얼라인먼트 마크 형성 장치
CN202931661U (zh) * 2010-03-12 2013-05-08 夏普株式会社 电路基板、基板模块及显示装置
KR101969186B1 (ko) * 2010-09-29 2019-04-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터치스크린 패널 센서 필름
JP5809500B2 (ja) * 2011-09-16 2015-11-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8952878B2 (en) * 2011-10-14 2015-0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2014203917A (ja) 2013-04-03 2014-10-27 株式会社ディスコ 板状物
WO2014171102A1 (ja) * 2013-04-18 2014-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センサシート、センサシートモジュール、タッチセンサ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9863991B2 (en) * 2013-06-28 2018-01-09 Sharp Kabushiki Kaisha Inspection device
JP6286911B2 (ja) * 2013-07-26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163358B1 (ko) * 2014-07-21 2020-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76736B (zh) * 2015-06-18 2017-04-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06B1 (ko) * 2009-03-30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71691A (ja) * 2009-04-22 2010-12-02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140010299A (ko) * 2012-07-16 2014-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4409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195A (ko) * 2014-04-01 2015-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JP2016064959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Joled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3052B1 (ko) * 2015-01-26 2021-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510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12654B2 (en) 2020-09-03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07943B2 (en) 2020-03-31
US20190172790A1 (en) 2019-06-06
KR102395221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360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395221B1 (ko) 표시 장치
KR102596956B1 (ko) 표시 장치
US10775942B2 (en) Touch screen with minimal dead spa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42788A (ko) 표시 장치
KR102421678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80075784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80031866A (ko) 표시 장치
KR20190070381A (ko) 표시 장치
CN110580109A (zh) 触摸传感器和显示装置
KR20200042995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CN112447816A (zh) 显示装置
US11467701B2 (en) Touch sensor,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145647A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00365676A1 (en) Display device
CN113821118B (zh) 透明触摸显示装置
KR102369337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15835691A (zh) 基板、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11693502B2 (en) Display device
US20230315239A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6129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40038891A (ko) 표시 장치
KR20230019345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3130584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