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78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788A
KR20190042788A KR1020170134186A KR20170134186A KR20190042788A KR 20190042788 A KR20190042788 A KR 20190042788A KR 1020170134186 A KR1020170134186 A KR 1020170134186A KR 20170134186 A KR20170134186 A KR 20170134186A KR 20190042788 A KR20190042788 A KR 2019004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ayer
electrode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058B1 (ko
Inventor
박광우
김정원
이동기
주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058B1/ko
Priority to US16/133,936 priority patent/US10665661B2/en
Priority to CN201811201684.6A priority patent/CN109671741B/zh
Publication of KR2019004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11
    • H01L27/323
    • H01L51/5203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제공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공된 제2 전극을 포함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제공된 박막 봉지 필름;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 제공되며 각 화소에 제공된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광 패턴들 및 상기 차광 패턴들을 커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차광 패턴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서 각 터치 전극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중 자발광형 소자를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며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 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상기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한편,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광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해 반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제공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공된 제2 전극을 포함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제공된 박막 봉지 필름;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 제공되며 각 화소에 제공된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광 패턴들 및 상기 차광 패턴들을 커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차광 패턴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서 각 터치 전극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서,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층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들 구비한 터치 전극 행;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전극 열; 하나의 제1 터치 전극을 인접한 제1 터치 전극에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 및 하나의 제2 터치 전극을 인접한 제2 터치 전극에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차광 패턴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터치 전극들, 상기 제2 터치 전극들,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 각각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차광 패턴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상기 제2 연결 패턴에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외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터치 전극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제공된 제1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제공된 제2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 필름은 복수의 무기막 및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무기막 중 최상층에 배치된 무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제공된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A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EA3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Ⅰ~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Ⅰ~ Ⅰ'선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EA1 영역의 확대 평면도들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장치가 한 쌍의 장 변과, 한 쌍의 단 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단 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R1), 상기 장 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 터치 센서(TS),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DP)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panel)과 같은 자발광이 가능한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DP)로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WD panel)과 같은 비발광성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발광성 표시 패널이 상기 표시 패널(DP)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DP)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상기 표시 패널(DP)로 사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화소들(PXL), 구동부, 전원 공급부, 및 배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화소들(PXL)이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각 화소(PXL)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화소들(PXL)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화소들(PXL)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 상기 화소들(PXL)에 전원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화소들(PXL)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가 최종적인 표시 장치에서의 베젤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폭에 따라 상기 베젤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제공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DA)에 복수 개의 화소들(PXL)이 제공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광을 출사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device), 전기 영동 표시 소자(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device), 전기 습윤 표시 소자(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device),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시 소자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화소들(PXL) 각각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들(PXL) 각각은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이트 등의 색을 출사할 수도 있다. 상기 화소들(PXL)은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행과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열을 따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선부를 통해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각 화소(PXL)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스캔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SDV), 발광 제어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발광 구동부(EDV), 및 데이터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DDV), 및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스캔 구동부(SDV), 상기 발광 구동부(EDV),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SDV), 상기 발광 구동부(EDV),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스캔 구동부(SDV), 상기 발광 구동부(EDV),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에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배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상기 스캔 구동부(SDV), 상기 발광 구동부(EDV),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DDV)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기판(SUB)의 일측, 또는 상기 기판(SUB)의 배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전원 공급 배선(미도시) 및 제2 전원 공급 배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표시 영역(DA) 각각에 배치된 화소들(PXL)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공급 배선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제2 전원 공급 배선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의 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TS)가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제공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터치 전극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 용량(capacitance)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TS)는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터치 전극들과 상기 터치 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센싱 라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있을 경우 터치된 영역의 터치 전극의 정전 용량(capacitance)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전극에 연결된 상기 센싱 라인, 및 상기 센싱 라인의 일측에 연결된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면 상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터치 센서(TS) 상에는 절연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터치 센서(TS)를 커버하며 상기 터치 센서(TS)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연층은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터치 전극과 함께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압력 전극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터치 센서(TS)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터치 센서(TS)의 노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상기 표시 패널(DP) 및 상기 터치 센서(TS)가 파손되거나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DP) 및 상기 터치 센서(TS)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편광 필름(POL) 및 광 차단층(LB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축에 따라 편광시킬 수 있다.
상기 광 차단층(LBL)은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터치 센서(TS) 사이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DP)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하여 상기 표시 패널(DP)의 표시 소자로 상기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층(LBL)은 각 화소(PXL)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광 패턴(미도시) 및 상기 차광 패턴을 커버하는 평탄화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층(LBL)에 대해서는 도 10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화소 및 상기 화소에 연결된 배선들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화소(PXL)는 배선들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OLED),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거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상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구동회로로서,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ELVDD)은 전원 라인(PL)을 통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되고, 제2 전원(ELVSS)은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ELVSS)은 상기 제1 전원(ELVDD) 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PXL)가 두 개의 트랜지스터(T1, T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XL)는 7개의 트랜지스터, 상기 발광 소자(OLED), 및 상기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기판(SUB), 화소 회로부(PCL), 표시 소자층(DPL), 및 박막 봉지 필름(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부(PCL)는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된 버퍼층(BFL), 상기 버퍼층(BFL)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 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BFL)이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L)은 상기 기판(SUB)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표시 소자층(DPL)의 발광 소자(OL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반도체층(SCL1), 제1 게이트 전극(GE1), 제1 소스 전극(SE1), 및 제1 드레인 전극(DE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반도체층(SCL2), 제2 게이트 전극(GE2), 제2 소스 전극(SE2), 및 제2 드레인 전극(D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은 상기 버퍼층(B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전극(SE1, SE2)과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전극(DE1, DE2) 각각에 접촉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CL1, SCL2) 각각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은 불순물로 도핑되지 않는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불순물로는 n형 불순물, p형 불순물, 기타 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은 게이트 절연층(GI)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도체층(SC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반도체층(SC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전극(SE1)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 각각은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1 반도체층(SCL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스 전극(SE2)과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 각각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층(SCL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부(PCL)는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를 커버하는 보호층(PSV)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V)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 및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층(PSV)은 상기 무기 절연막 및 상기 무기 절연막 상의 상기 유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층(DPL)은 상기 보호층(PSV) 상에 제공된 상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AE, CE)과, 두 전극(AE, CE)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AE, CE) 중 어느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AE)이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CE)이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E)이 반사형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CE)이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며, 상기 제1 전극(AE)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전극(AE)은 상기 보호층(PSV)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2 소스 전극(S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E)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소스 전극(S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층(DPL)은 상기 제1 전극(AE)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AE)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구비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에테르(PAE, polyarylether), 헤테로사이클릭 폴리머(heterocyclic polymer), 파릴렌(parylene), 에폭시(epoxy),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실록산계 수지(siloxane based resin) 및 실란계 수지(silane based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E)의 노출된 표면 상에 상기 발광층(EM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분자 물질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로는 PEDOT,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이 다중층으로 제공되는 경우, 홀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발광층(EML)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층(EML)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 개의 제1 전극(AE)들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전극(AE)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EML)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EML)의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yellow)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EML) 상에 상기 제2 전극(C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E)은 반투과 반사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CE)은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E)은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나머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를 커버하는 복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복수의 무기막 및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상기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되고 실런트를 통해 상기 기판(SUB)과 합착되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EA2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EA3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TS)은 감지 영역(SA) 및 비감지 영역(NSA)을 포함한 베이스 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SA)은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며 상기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감지 영역(NSA)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SA)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TE)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비감지 영역(NSA)에는 상기 터치 전극들(TE)을 패드부(PD)에 연결하는 센싱 라인(S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D)는 복수의 패드(SL_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들(SL_P)은 상기 센싱 라인(SL)을 통해 대응하는 터치 전극(TE)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일부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평행한 복수의 터치 전극 행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전극 행들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들(TE)은 제1 터치 전극(TE1)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행들에서,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TE1)은 제1 연결 패턴(CNP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평행한 복수의 터치 전극 열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전극 열들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들(TE)은 제2 터치 전극(TE2)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열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2 터치 전극(TE2)은 제2 연결 패턴(CNP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 행들 및 상기 터치 전극 열들 각각은 상기 센싱 라인(SL)을 통하여 상기 패드부(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중 하나는 상기 센싱 라인(SL)을 통하여 터치 감지를 위한 구동 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나는 상기 센싱 라인(SL)을 통하여 터치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전극(TE1)은 상기 터치 감지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은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제1 절연층(IL1),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IL2),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되는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IL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1)은 광 차단층(LB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상기 베이스 층(BL)일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절연층(IL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광 차단층(LBL)의 최상부 층이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절연층(IL1)이 생략되고, 상기 광 차단층(LBL) 상에 상기 제1 도전층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물질층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은 적층된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SnO2(Tin Oxi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물질로는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 알루미늄, 코발트, 로듐, 이리듐, 철, 루테늄, 오스뮴, 망간, 몰리브덴, 텅스텐, 니오브, 탄탈, 타이타늄, 비스머스, 안티몬, 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을 포함한 상기 제1 도전층이 제공된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절연층(IL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과 같이 하나의 도전성 물질층을 포함하거나,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2 터치 전극(TE2),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상기 제2 도전층이 제공된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상기 제2 도전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2 도전층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유기 재료를 포함한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재료는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및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3 절연막(IL3)은 투명하고, 유동성이 있어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켜 평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이 상기 제1 도전층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이 상기 제2 도전층에 포함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이 제1 도전층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이 제2 도전층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동일한 층 상에 제공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은 서로 다른 층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성 세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은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 도전성 세선들(CFL1) 및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 도전성 세선들(CF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세선들(CFL1) 및 상기 제2 도전성 세선들(CFL2)로 인해,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은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쉬 구조는 복수의 개구부, 예를 들면, 상기 제1 도전성 세선들(CFL1) 및 상기 제2 도전성 세선들(CFL2)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메쉬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 각각도 상기 복수의 도전성 세선들(CF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메쉬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중첩하는 면적이 상기 개구부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상기 표시 패널(DP)과 중첩하는 면적이 감소하면,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TE1)과 상기 표시 패널(DP) 사이의 전자기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TS)의 터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 터치 센서(TS), 편광 필름(POL),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T), 상기 트랜지스터(T)에 연결된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경성(rigid) 기판 또는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경성 기판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및 결정질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에 적용되는 물질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시, 높은 처리 온도에 대해 저항성(또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과 상기 트랜지스터(T) 사이에는 제1 버퍼층(BFL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BFL1)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버퍼층(BFL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퍼층(BFL1)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BFL1)은 상기 기판(SUB)으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로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라인(미도시) 및 데이터 라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는 반도체층(SCL),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은 상기 제1 버퍼층(BF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 다결정 실리콘(poly crystalline Si), 산화물 반도체 및 유기물 반도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에서,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하는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GI)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반도체층(SCL)을 커버하며, 상기 반도체층(SCL)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저저항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SCL)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는 층간 절연층(ILD)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소스 전극(SE)과 상기 드레인 전극(DE),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및 상기 층간 절연층(ILD)을 관통하는 컨택 홀들은 상기 반도체층(SCL)의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 상에는 보호층(PSV)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V)은 무기 보호층 및 상기 무기 보호층 상에 제공된 유기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호층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보호층은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및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보호층(PSV)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V) 상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에 연결된 제1 전극(AE)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전극(AE) 상에는 상기 제1 전극(AE)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포함한 화소 정의막(PD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E)의 노출된 표면 상에는 발광층(EML)이 제공되며, 상기 발광층(EML) 상에는 제2 전극(C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E) 상에는 상기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박막 봉지 필름(TF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은 복수의 무기막 및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DP) 상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복수의 터치 전극(도 7의 TE 참고) 및 연결 패턴(CNP1, CNP2)을 포함한 도전 패턴과, 제1 내지 제3 절연층(IL1, IL2, IL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CNP1, CNP2)은 상기 제2 절연층(IL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층에 제공된 제1 연결 패턴(CNP1) 및 제2 연결 패턴(CN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은 상기 제1 절연층(IL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은 상기 터치 전극들(TE) 중 터치 전극 행에 배치된 하나의 제1 터치 전극(도 7의 TE1 참고)을 인접한 제1 터치 전극(TE1)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 상에는 상기 제2 절연층(IL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을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1)은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 및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은 상기 제2 절연층(IL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은 상기 제2 터치 전극들(TE) 중 터치 전극 열에 배치된 하나의 제2 터치 전극(도 7의 TE2 참고)을 인접한 제2 터치 전극(TE2)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 상에 상기 제3 절연층(IL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IL3)은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을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을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 패턴(CNP1)과 상기 제2 연결 패턴(CNP2)은 상기 제2 절연층(IL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터치 센서(TS) 상에는 상기 편광 필름(PO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제1 접착제(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터치 센서(TS)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편광 축을 가지며, 상기 편광 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편광 축과 일치하는 광은 흡수시키고, 상기 편광 축과 수직하는 광은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이 상기 편광 필름(POL)을 통과하면 상기 편광축에 수직 방향으로 선편광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1축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폴리비닐알코올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을 포함한 필름(film) 형태, 코팅(coating)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어(layer) 형태, 또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WGP) 등과 같은 금속 패턴 층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제2 접착제(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필름(POL)에 부착되어 상기 터치 센서(TS) 및 상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 및 상기 터치 센서(TS)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TS)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TS)가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센서(TS)가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상기 터치 센서(TS) 및 상기 표시 패널(DP)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터치 센서(TS) 사이에 제공된 광 차단층(LB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층(LBL)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에 포함된 복수의 무기막 중 최상층에 배치되는 무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층(LBL)은 차광 패턴(LBP) 및 상기 차광 패턴(LBP)을 커버하는 평탄화층(P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일정 수준의 유전율을 갖고,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DP)로 입사되거나 상기 표시 패널(DP)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흡수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패턴(LBP)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으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TS)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표시 패널(DP)의 각 화소(도 3의 PXL 참고)의 일부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패턴(LBP)은 각 화소(PXL)에 포함된 상기 발광 소자(OLED)의 발광 영역에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발광층(EML)과 중첩되지 않고 각 화소(PXL)의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DP)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하고, 상기 표시 패널(DP)의 발광 소자(OLED)에 의해 반사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화소(PXL)에서의 외부 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OLED) 하부에 배치된 상기 트랜지스터(T)가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터치 센서(TS)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에 인가되는 터치 신호가 상기 차광 패턴(LBP)의 유전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차광 패턴(LBP)의 유전율은 대략 3(ε)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의 유전율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에 인가되는 터치 신호가 상기 차광 패턴(LBP)에 영향을 받아 상기 터치 센서(TS)의 터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LBP)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에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광 패턴(LBP)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센서(TS)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과 중첩되도록 상기 박막 봉지 필름(T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광 패턴(LBP)의 면적이 커져서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DP)로 유입되는 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DP)로 유입된 광이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의해 반사되더라도 그 일부가 면적이 커진 상기 차광 패턴(LBP)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소(PXL)에서의 외부 광 반사율이 감소되고, 시야각 휘도비가 증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PLL)은 상기 평탄화층(PLL)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터치 센서(TS)가 상기 차광 패턴(LBP)의 굴곡진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광 차단층(LBL)의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화층(PLL)은 상기 광 차단층(LBL)의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평탄도를 갖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재료로는 폴리 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PLL)은 인접한 차광 패턴(LBP)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부를 모두 채우거나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PLL)은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표시 패널(DP)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탄화층(PLL)은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발광 소자(OLED)의 상기 제2 전극(CE)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제2 전극(CE) 사이에는 기생 커패시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생 커패시터는 상기 터치 센서(TS)의 터치 신호에 영향을 미쳐 상기 터치 센서(TS)의 터치 인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생 커패시터는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제2 전극(CE)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제2 전극(CE) 사이에는 상기 광 차단층(LBL)이 배치되므로,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제2 전극(CE) 사이의 간격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TS)와 상기 제2 전극(CE)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터가 감소되어 상기 터치 센서(TS)의 터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층(LBL)은 상기 평탄화층(PLL)과 상기 터치 센서(TS) 사이에 제공된 제2 버퍼층(BF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BFL2)은 상기 제1 버퍼층(BFL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버퍼층(BFL2)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BFL2)은 상기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평탄화층(PLL)을 통해 침투될 수 있는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평탄화층(PL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버퍼층(BFL2)은 상기 터치 센서(TS)의 원활한 제조를 위해 상기 유기 절연막인 상기 평탄화층(PLL) 상에 제공 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EA1 영역의 확대 평면도들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화소들에 연결된 배선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차광 패턴은 각 화소로 유입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 전극의 크기, 사용자의 터치 양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에 연동하여 다양한 위치 및/또는 단위 면적당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3 화소(R, G, B)가 제공된 기판(SU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R)는 적색 광을 출사하는 화소일 수 있고, 상기 제2 화소(G)는 녹색 광을 출사하는 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화소(B)는 청색 광을 출사하는 화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화소(R)는 제1 화소 용 제1 전극(AE_R) 및 상기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제1 화소 용 발광층(EML_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용 제1 전극(AE_R)은 컨택 홀(H)을 통해 상기 제1 화소(R)에 배치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G)는 제2 화소 용 제1 전극(AE_G) 및 상기 녹색 광을 출사하는 제2 화소 용 발광층(EML_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용 제1 전극(AE_G)은 컨택 홀(H)을 통해 상기 제2 화소(G)에 배치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화소(B)는 제3 화소 용 제1 전극(AE_B) 및 상기 청색 광을 출사하는 제3 화소 용 발광층(EML_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화소 용 제1 전극(AE_B)은 컨택 홀(H)을 통해 상기 제3 화소(B)에 배치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들(R, G, B)이 제공된 상기 기판(SUB) 상에는 터치 전극(T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TE)은 제1 방향(예를 들어, 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2 터치 전극들(TE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전극(TE)은 하나의 제1 터치 전극(TE1)을 인접한 제1 터치 전극(TE1)에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CNP1)과, 하나의 제2 터치 전극(TE2)을 인접한 제2 터치 전극(TE2)에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CNP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SUB) 상에는 차광 패턴(LBP)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일정 수준의 유전율을 갖고,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장치로 입사되거나 상기 표시 장치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패턴(LBP)은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용 발광층(EML_R), 상기 제2 화소 용 발광층(EML_G), 및 상기 제3 화소 용 발광층(EML_G)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발광 영역이 아닌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터치 전극(TE)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패턴(LBP)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서 상기 터치 전극(TE)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TE1)과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이 이격된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치 전극(TE)에 인가되는 터치 신호가 상기 차광 패턴(LBP)의 유전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광 패턴(LBP)이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 제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장치로 유입되는 광은 상기 차광 패턴(LBP)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들(R, G, B)에 의해 반사된 광도 상기 차광 패턴(LBP)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들(R, G, B) 각각에서의 외부 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광 패턴(LBP)은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 장치로 유입되는 광을 충분히 흡수하기 위해 그 면적을 크게 설계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전극(TE)에 중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광 패턴(LBP)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턴(CNP1, CNP2)과 중첩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차광 패턴(LBP)은 상기 터치 전극(TE)에 인가되는 터치 신호가 상기 차광 패턴(LBP)의 유전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TE1)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전극(TE2)에 중첩되도록 상기 기판(SUB)의 비발광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PD),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TS: 터치 센서
LBL: 광 차단층 LBP: 차광 패턴
TE: 터치 전극 SL: 센싱 라인
PLL: 평탄화층 BFL1, BFL2: 제1 및 제2 버퍼층
WD: 윈도우

Claims (12)

  1. 복수의 화소들이 제공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되어 광을 출사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공된 제2 전극을 포함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제공된 박막 봉지 필름;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 제공되며 각 화소에 제공된 비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광 패턴들 및 상기 차광 패턴들을 커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각 차광 패턴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서 상기 터치 전극들에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 필름 상에서,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층에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전극 행;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 터치 전극 열;
    하나의 제1 터치 전극을 인접한 제1 터치 전극에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 및
    하나의 제2 터치 전극을 인접한 제2 터치 전극에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각 차광 패턴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터치 전극들, 상기 제2 터치 전극들,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 각각에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각 차광 패턴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상기 제2 연결 패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외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박막 봉지 필름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터치 전극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제공된 제1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제공된 제2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 필름은 복수의 무기막 및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무기막 중 최상층에 배치된 무기막 상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제공된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34186A 2017-10-16 2017-10-16 표시 장치 KR10241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186A KR102413058B1 (ko) 2017-10-16 2017-10-16 표시 장치
US16/133,936 US10665661B2 (en) 2017-10-16 2018-09-18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and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visibility
CN201811201684.6A CN109671741B (zh) 2017-10-16 2018-10-16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186A KR102413058B1 (ko) 2017-10-16 2017-10-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88A true KR20190042788A (ko) 2019-04-25
KR102413058B1 KR102413058B1 (ko) 2022-06-27

Family

ID=6609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186A KR102413058B1 (ko) 2017-10-16 2017-10-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65661B2 (ko)
KR (1) KR102413058B1 (ko)
CN (1) CN10967174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65A1 (ko) * 2019-11-08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82679A1 (ko) * 2020-03-11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20059805A1 (en) * 2020-08-19 2022-02-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94470B2 (en) 2019-12-03 2024-02-06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31B1 (ko) * 2016-07-29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373969B (zh) * 2016-12-01 2019-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200037653A (ko) * 2018-10-01 2020-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광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64311B1 (ko) * 2018-11-14 202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845934B2 (en) * 2018-12-03 2020-11-24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LED display panel
JP7221058B2 (ja) * 2019-01-11 2023-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145887A (ko) * 2019-06-19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45277A (ko) * 2019-06-21 2020-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6233A (ko) * 2019-08-02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54390A (ko) 2019-11-05 2021-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KR102353362B1 (ko) * 2019-12-05 2022-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142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0754A (ko) * 2020-01-10 2021-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105467A (ko) * 2020-02-18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60626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06187A (ko) * 2022-01-05 2023-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886A (ko) * 2010-03-30 2011-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42438A (ko) * 2010-10-25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유기전계 발광소자
US20120242600A1 (en) * 2011-03-24 2012-09-27 Jeng-Maw Chiou Touch operating display device
KR20130072635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30115621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543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0929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77942A (ko) * 2015-12-28 2017-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76B1 (ko) * 2011-09-20 2015-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3650B1 (ko) * 2013-08-30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3091B1 (ko) 2014-05-22 2020-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낮은 반사율을 갖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27502B (zh) 2014-09-04 2018-06-21 Fujifilm Corp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的製造方法、硬化膜、液晶顯示裝置、有機電激發光顯示裝置及觸控面板
KR102321611B1 (ko) *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750428B1 (ko) 2015-09-2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EP3507651B1 (en) * 2016-08-30 2021-12-1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30256B1 (ko) * 2016-09-30 2024-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30863B1 (ko) * 2017-05-12 2021-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8255B1 (ko) * 2017-05-31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886A (ko) * 2010-03-30 2011-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42438A (ko) * 2010-10-25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유기전계 발광소자
US20120242600A1 (en) * 2011-03-24 2012-09-27 Jeng-Maw Chiou Touch operating display device
KR20130072635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30115621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543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0929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77942A (ko) * 2015-12-28 2017-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65A1 (ko) * 2019-11-08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94470B2 (en) 2019-12-03 2024-02-06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sensor
WO2021182679A1 (ko) * 2020-03-11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20059805A1 (en) * 2020-08-19 2022-02-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71741A (zh) 2019-04-23
US10665661B2 (en) 2020-05-26
KR102413058B1 (ko) 2022-06-27
US20190115411A1 (en) 2019-04-18
CN109671741B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058B1 (ko) 표시 장치
US11245090B2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KR102499360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210089742A1 (en) Display device
KR10232283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1237668B2 (en) Touch sensor including various sensing electrodes of different size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sensor
US11616102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10877587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70381A (ko) 표시 장치
US11467701B2 (en) Touch sensor,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28299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13558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69337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1693502B2 (en) Display device
KR20230022375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4695464A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