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576A -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 Google Patents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576A
KR20190064576A KR1020197008542A KR20197008542A KR20190064576A KR 20190064576 A KR20190064576 A KR 20190064576A KR 1020197008542 A KR1020197008542 A KR 1020197008542A KR 20197008542 A KR20197008542 A KR 20197008542A KR 20190064576 A KR20190064576 A KR 2019006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guide
plug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692B1 (ko
Inventor
마뉴엘 펨위저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6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서로 플러그 가능한 제1 플러그 커넥터(2) 및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부(1)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 설비(5)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 부분(6)을 구비하고,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3.1)은 게이트 가이드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 부분(7)을 구비한다. 게이트 가이드의 상기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될 때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이 제1 상호 상대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된다.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9)를 통해 제1 플러그 커넥터(20의 하우징(2.1)에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이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터미널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되도록 가이드(9) 및 상기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1 게이트 부분(6)을 통한 연결 설비(5)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에 대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9)를 따라 변위 가능하여,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을 제2 위치로 변위시킨다.

Description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본 발명은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서로 플러그될 수 있는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부(plug connection)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의 어셈블리에서, 전도체들(conductors)은 통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설비 플러그, 소켓, 커플러 또는 어댑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용어 플러그 커넥터는 모든 변형들을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의 상보적인 추가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을 위한, 또는 차량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의 견고함(robustness) 측면에서 및 플러그 연결부의 신뢰성(reliability)의 측면에서 높은 요구 조건들을 설정한다. 따라서 플러그 연결부는 때때로 높은 응력, 예를 들어 기계적 응력 또는 열 응력을 견뎌야 하고, 예를 들어 차량의 작동 중에 전기적 연결이 부주의로 끊어지지 않도록 정의된 방식으로 폐쇄되어야 한다. 신뢰성의 보장은 특히 차량의 (부분적으로) 자율적인 작동 및 보조 시스템의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자율적인 작동의 경우에, 또는 보조 시스템의 사용의 경우에, 복수의 카메라, 다양한 센서, 및 항법원(navigational sources)으로부터의 많은 양의 데이터는 때때로 서로 결합되고 대게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많은 장치, 스크린, 및 카메라의 작동은 차량 전자 장치들에 고용량 인프라를 요구한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속도의 측면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위해 및 케이블 연결을 위해 설정된 요구 조건들은 그동안 매우 높게 설정되었다.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들이 설비 공간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용어 차량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임의의 운송 수단들, 특히 우주선을 포함하여 지상(예를 들어, 자동차), 해상, 또는 항공 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특히 고 비트-율 플러그 커넥터들(HF 플러그 커넥터들)에 적합할지라도, 특정 플러그 연결부에, 또는 특정 플러그 커넥터에 각각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PL 플러그 커넥터, BNC 플러그 커넥터, TNC 플러그 커넥터, SMBA(FAKRA) 플러그 커넥터, N 플러그 커넥터, 7/16 플러그 커넥터, SMA 플러그 커넥터, SMB 플러그 커넥터, SMS 플러그 커넥터, SMC 플러그 커넥터, 또는 SMP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HFM("고속 FAKRA 미니") 플러그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최대 15 GHz 주파수 및 최대 20 Gbit/s 데이터 속도를 구비하는 이 유형의 플러그 연결부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들은 예를 들어 종래의 FAKRA 표준과 비교하여 극도로 컴팩트하고 공간 절약하도록 구성된다.
함께 플러그된 상태에서 플러그 연결부를 (기계적으로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하는 스냅-피트(snap-fit) 연결은 플러그 커넥터들을 위해 제공된다는 것이 실제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SMB 연결을 위한 소위 FAKRA 표준화 체계에 대응하고 스냅-피트 연결을 개시하는, 플라스틱 하우징을 구비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는 US 2003/0176104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BNC 플러그 커넥터들의 경우에, 예를 들어 DE 20 2013 000 877 U1에 개시된 동축 플러그 커넥터에 만들어진 이 목적을 참조하여, 플러그 연결부가 베이어닛 피팅(bayonet fitting)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또한 공지되 어 있다. 베이어닛 피팅은 플러그 커넥터들 중 하나가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현되고, 나선형 홈을 구비하는 베이어닛 너트는 다른 플러그 커넥터의 머리에 구성된다. 돌출부는 나선형 홈 내에 도입될 수 있다. 그 다음 베이어닛 피팅은 서로 내부에 고정된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연결하기 위해, 베이어닛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폐쇄된다. 그러나, BNC 플러그 커넥터들은 모든 적용에 적합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최대 4 GHz 주파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 가능하다.
실제로 플러그 연결부의 기계적 고정은 예를 들어 전자기 기밀 및 차폐 때문에 각각 전기적 연결의 품질 및 안정성, 방진 및 저-저항 접촉면의 보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공지된 스냅-피트 연결은 비교적 높은 데이터 속도 또는 비교적 높은 송신 주파수를 각각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여기에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컴팩트한 설비 공간을 유지하면서, 특히 높은 데이터 속도에서 사용을 위한, 특히 신뢰 가능하고 작동에 용이한 플러그 연결부를 달성하는 목적에 기반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독립 청구항들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 및 변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는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서로 플러그될 수 있는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러그 연결부는 또한 플러그 커넥터들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해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추가 연결 설비를 포함한다.
더욱이, 특수한 적용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은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압력-피트(force-fit) 또는 형태-피트(form-fit)를 기반으로 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및/또는 자기적 코딩 특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상호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들이 서로 플러그될 수 있고/있거나 플러그 커넥터들이 원하는 배향으로만 서로 플러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 부분을 구비하고,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 부분을 구비하며, 이는 게이트 가이드를 공동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게이트 가이드의 2개의 게이트 부분들은 플러그 커넥터들이 예비 래칭 위치(preliminary latching position)에서 서로 플러그될 때 2개의 게이트 부분들이 제1 상호 상대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된다.
이하에서 "2개"의 게이트 부분들로 만들어진 참조가 있는 한에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 부분"에 대한 참조로서 이해될 것이다.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플러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되지만, 최종적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 측면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전기적 연결은 선택적으로 아직 충분히 또는 완전히 확립될 수 없다. 이는 특히 차폐에도 적용된다. 플러그 커넥터들은 실질적으로 종래 방식에서의 플러그 커넥터들이 요구되는 임의의 실질적 노력, 특히 힘 측면에서의 임의의 특정 노력없이 플러그-피팅(plug-fitting) 방향으로 서로 축 방향으로 플러그된 예비 래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의 적어도 개별 구성 요소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들 또는 래칭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비 래칭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들을 느슨하게 유지하도록 서로에 미리 끼워 넣는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설비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통해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연결 설비는 각각 하우징 상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거나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및 게이트 가이드를 통한 플러그 커넥터들은 2개의 게이트 부분들이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들이 터미널 위치에서 서로에 플러그되는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게이트 부분들 중 하나가 개방부, 또는 위치 설정 시스템 영역,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각각 구비하여, 플러그 커넥터들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에 플러그될 때, 단부 측에서, 다시 말해서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게이트 부분을 수용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용된 게이트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수용 게이트 부분 내에서 양적으로(positively) 가이드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게이트 가이드가 결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설비는 가이드를 통해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 플러그 커넥터는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연결 설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들의 하우징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가이드 및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게이트 부분을 거친 연결 설비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를 따라 변위 가능하여, 2개의 게이트 부분들을 제2 위치로 변위시킨다.
연결 설비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를 따라 변위될 때, 이 이동은 2개의 게이트 부분들이 제2 상호 상대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초래한다. 연결 설비의 이동은 결과적으로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제2 플러그 커넥터로 전달되며, 플러그 커넥터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터미널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들은 연결 설비를 활성화함으로써 단독으로 터미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를 따라 연결 설비의 상대 이동 동안 플러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연결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U 형에서, 및 외측 상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대응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바람직한 각도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U형을 구비하며, 차례로 각각의 경우에서 2개의 가이드들은 바람직하게는 U 형 연결 설비의 다리 및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인접한 하우징 면 사이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들은 높은 데이터 속도에서, 특히 종래 기술을 통해, 특히 공지된 HFM 플러그 커넥터들을 통해 추가 측정 없이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속도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다.
개선된 연결 때문에, 18 G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및 24 Gbit/s를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의 데이터는 때때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되고 있는 추가 연결 설비 때문에, 플러그 연결부의 정확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은 다른 높은 공차의 설비 부품들에서도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는 특히 높은 전기적 요구 조건들에 적합하고 플러그 연결부의 구성 요소들이 높은 공차로 부담을 받는 경우에도 결함에 둔감하다.
터미널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들을 고정하도록 의도되는 종래의 래칭 록커(latching rockers) 또는 스냅-피트 연결들의 각각의 경우에, 언급된 공차는 추가 측정 없이 특히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할 수 없는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들은 공간 절약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은 예를 들어 HFM 플러그 연결부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차량, 특히 자동차 내에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잠재적인 적용 분야는 자율 주행, 운전자 보조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 후방-컴파트먼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rear-compartment entertainment system), 인터넷 연결, 및 무선 기가비트(wireless gigabit)(IEEE 802.11ad 표준)를 포함한다. 잠재적인 적용은 고해상도 카메라, 예를 들어 4K 및 8K 카메라, 센서 시스템, 내장형 컴퓨터(on-board computer), 고해상도 스크린, 고해상도 대시보드, 3D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전자 장치 전체 분야 내에서 임의의 적용에 적합하며 자동차 기술에서의 사용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들이 높은 비트율에서 데이터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것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의 플러그된 상태에서 개선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덕분에, 비용/이점 비율이 이 경우에서 가장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는 높은 데이터 속도에서 신호를 전송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들은 임의의 플러그 연결부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들은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및 연관된 동축 플러그 커넥터의 양호한 전기적 차폐덕분에, 이 유형의 설계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에 특히 적합하다.
제1 및/또는 제2 플러그 커넥터는 또한 선택적으로 회로판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가 커플러 또는 소켓으로 구성되고 제2 플러그 커넥터가 플러그 또는 설비 플러그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플러그 커넥터가 어댑터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들은 직선 및/또는 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는 임의의 케이블 직경의 케이블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및 10 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m and 5 mm 사이의 직경의 케이블들과, 및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mm, 또는 2.9 mm, 또는 3.6 mm의 케이블 직경을 갖는 케이블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방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들의 서로 플러그된 상태에서 플러그 연결부는 방수인 것이 특히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들은 임의의 수의 전도체들 또는 내부 전도체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전도체, 2개의 전도체, 3개의 전도체, 4개의 전도체, 5개의 전도체, 또는 그 이상의 전도체들을 위한 설계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설비가 제1 플러그 커넥터에 포획되게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셈블리는 단순화될 수 있고 특히 또한 연결 설비가 어셈블리의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 설비는 고정 와이어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플러그 커넥터에 포획되게 그렇지만 느슨하게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연결 설비는 연결 설비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이미 기본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방식으로 각각 제1 플러그 커넥터에 포획되게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느슨한 상태에 있는 연결 설비는 또한 플러그 연결부의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 설비는 예를 들어 예비 래칭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에 플러그한 후 또는 전에, 제1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설비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detent) 요소를 구비하고,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구비하여,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방향으로 및/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를 따라 연결 설비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설계 때문에, 연결 설비는 상기 연결 설비의 이동 방향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획되도록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설비의 멈춤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탭 또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피팅 방향의 멈춤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설비의 기본 형상을 넘어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멈춤쇠와 상호 작용한다.
단지 하나의 멈춤쇠 요소 및 하나의 멈춤쇠가 제공되어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 설비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제한은 예를 들어 다른 수단들에 의한 연결 설비가 임의의 경우에 연결 설비가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 손실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될 때 유리할 수 있다.
연결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구비할 수 있어, 잠금 해제 위치를 넘어서 잠금 위치로부터, 가이드를 따라 연결 설비의 이동을 제한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된 2개 이상의 가이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설비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2개의 대향 측 상에 바람직하게 가이드된 방식으로 2개의 가이드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2개의 가이드들은 바람직하게는 거울 대칭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들의 하우징에 대한 연결 설비의 특히 적합한 가이드는 이 때문에 초래된다.
연결 설비는 실질적으로 U형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든 가이드 구성 요소들(특히 게이트 가이드 및 가이드)뿐만 아니라 모든 고정 구성 요소들(특히 멈춤쇠, 멈춤쇠 요소, 이하에서 설명된 고정 부재, 및 이하에서 설명된 잠금 해제 요소)이 바람직하게 대칭으로 각각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또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양 측에, 또는 양 다리 사이의 연결 설비의 양 측에 배치될 때 유리할 수 있다.
연결 설비의 U형 구성의 경우에 U형의 구성이 이미 본질적으로 다리를 연결하는 면을 통해 대향 방향의 임의의 손실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이드를 따라 연결 설비의 이동이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 제한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면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들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멈춤쇠 면은 잠금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설비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한다.
잠금 해제 위치에 또는 기본 위치에 각각 연결 설비를 고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의의 형태로 각각 활성화되거나 고려되어야 하는 연결 설비 없이 플러그 커넥터들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에 편안하게 플러그될 수 있음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 연결부는 특히 다루기 쉽고 작동의 측면에서 오류가 적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에 플러그할 때, 바람직하게는 예비 래칭 위치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요소가 고정 부재 및 멈춤쇠 면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연결 설비의 변위 경로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거나 조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요소는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특정 몰딩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
잠금 해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웨브(web)일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에 플러그할 때, 고정 부재가 연결 설비의 변위 경로 밖에 이동되는 방식으로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거나 조작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요소를 구비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로 인해, 연결 설비가 대응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와 함께 올바르게 사용될 때만 가이드를 따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에 플러그함으로써 여기서 연결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자기-작용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들이 예비 래칭 위치로 이동되자 마자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연결부가 하향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HFM 플러그 커넥터 표준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들의 설계 실시예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플러그 커넥터가 또한 종래의 HFM 플러그 커넥터와 연통하고 이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에 플러그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연결 설비가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도(예를 들어 이 경우에 잠금 해제되지 않아도) 하향 호환성은 경제적인 이유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스냅-피트 후크(hook)로 구성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들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냅-피트 후크의 적어도 부분이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 상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프리텐션될 수 있다.
스냅-피트 연결은 고정 부재를 구성하는데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 해제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에 플러그하는 동안 스냅-피트 후크 또는 후크들을 단순한 방식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스냅-피트 후크가 잠금 해제 요소가 초기에 스냅-피트 후크에 제공되고 플러그 커넥터들이 서로에 더 플러그될 때만 후자를 활성화하는, 특히 후자를 외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도입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스냅-피트 후크의 대응하는 성형에 의해 단순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냅-피트 후크는 탄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냅-피트 후크는 또한 선택적으로 플러그 커넥터들이 초기에 서로에 플러그될 때 연결 설비가 영구적으로 해제되는 방식으로 예정된 파단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한 스냅-피트 후크의 양 단부들이 연결 설비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자들은 스냅-피트 후크가 양 단부에 고정될 때 플러그 연결부가 더 견고하고 오류가 덜 발생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냅-피트 후크는 그에 작용하는 비교적 큰 힘의 경우에도 고정 부재로서 여전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냅-피트 후크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스냅-피트 후크의 각도 또는 코너에 각각 가까운 스냅-피트 후크의 영역이 그 각도 또는 코너로 각각 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연결 설비의 변위 경로에서 하우징의 멈춤쇠 면 상에 지지된다. 이 경우에 연결 설비는 플러그 커넥터들이 서로에 플러그될 때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해제 요소가 변위 경로 밖으로 코너를 밀어내는 것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는 각도를 이룬 스냅-피트 후크의 양 단부가 연결 설비에 연결되는 것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스냅-피트 후크는 바람직하게는 문자 "L"의 형상 또는 숫자 "7"의 형상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스냅-피트 후크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또는 직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부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냅-피트 후크는 바람직하게는 부분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더 긴 부분이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는 더 짧은 부분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연결 설비 및 하우징 사이에서 가이드와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부분의 일 단부,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을 계속하기 위한 각도를 구비하는 단부는 플러그 연결부가 폐쇄되지 않을 때 하우징의 멈춤쇠 면 상에 지지되는 것이 여기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를 향해 하우징의 멈춤쇠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이 부분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면(activation face)에 연결되며, 이는 연결 설비가 U형으로 구성될 때, U형 연결 설비의 2개의 다리들을 잇는 면일 수 있다. 이 때문에 활성화 면에 가해지고 원칙적으로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연결 설비를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힘이 플러그 연결부가 폐쇄되지 않았을 때, 스냅-피트 후크의 일부를 통해 활성화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지지 면으로 직접 도입되는 것이 달성된다. 이는 활성화 면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스냅-피트 후크가 잠금 해제 위치를 의도하지 않게 해제하는 방식으로 굽혀지거나 떠밀려지는 스냅-피트 후크로 이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연결 설비의 변위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잠금 해제 요소가 스냅-피트 후크를 활성화시킬 때만, 바람직하게는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냅-피트 후크의 일부를 외향으로 밀 때만 가능하다.
특히 스냅-피트 후크와 같은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설비의 벽으로부터 몰드, 절단, 펀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벽에 일체가 되도록, 예를 들어 각각의 사출 성형 방법을 통해 생산된다. 대안적으로, 스냅-피트 후크 또는 후크들은 또한 연결 설비의 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고정 부재들, 또는 스냅-피트 후크들의 조합들은 복수의 고정 부재들, 예를 들어 선형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스냅-피트 후크 및 각도를 이룬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스냅-피트 후크의 사용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및 연결 설비 사이의 가이드가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 플러그하기 위해 플러그-피팅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 각도에서, 바람직하게는 90° 각도에서(즉 플러그-피팅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의의 선형 또는 곡선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직각 및 선형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가이드가 구조적 이유로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및 연결 설비 사이의 가이드가 레일 시스템으로, 바람직하게는 T-레일 시스템, 또는 L-레일 시스템, 또는 텅-앤드-그루브 연결(tongue-and-groove connection)로,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 연결(dovetail connection)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브테일 연결 또는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가이드 내에 연결 설비의 측벽들을 포획되게 유지하는 레일 시스템은 각각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브테일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바람직하게 U형인 연결 설비가 측방으로 튀어 개방되는 것을 특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게이트 부분은 양의 가이드(positive guide)로 구성되고, 제2 게이트 부분은 게이트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2 게이트 부분이 양의 가이드로 구성되고, 제1 게이트 부분이 게이트 블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복수의 게이트 가이드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들의 대향 측 상의 2개의 게이트 가이드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게이트 블록이 연결 설비의 하나의 다리 상에 제공되고, 양의 가이드가 대향 다리 상에 제공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를 위한 제2 플러그 커넥터는 대응하는, 즉 보완적인 실시예로 구성된다.
게이트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핀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양의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들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될 때 양의 가이드 내로 게이트 블록의 준비된 끼움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방부, 위치 설정 시스템 영역,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구비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양의 가이드 및 게이트 블록이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게이트 블록이 위치된 영역에서 양의 가이드가 게이트 블록에 대해 리셉터클, 바람직하게는 형태-피팅 리셉터클,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냅-피트 리셉터클, 및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C형 스냅-피트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형태-피팅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양의 가이드 때문에, 제2 플러그 커넥터를 터미널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에 고정하는 것은 적어도 지지되거나 단독으로 연결 설비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 설비는 또한 또 다른 기계적 래칭 배열에 의해 잠금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스냅-피트 리셉터클로써의 리셉터클의 구성의 경우에, 플러그 연결부는 스냅-피트 리셉터클 내에 게이트 블록을 스냅-피트함으로써 자기-작용 방식으로 터미널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류에 대한 플러그 연결부의 민감성이 더 감소된다. 또한, 조립 기술자는 조립 기술자가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이 원하는 방식으로 폐쇄되었다는 피드백을 수용하는 플러그 연결부의 촉각 및 선택적으로는 음향 피드백 신호 또한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마주하는 상부 측 상의 연결 설비가 활성화 면을 구비하여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를 따라 연결 설비가 변위되도록 연결 설비 상에 압축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활성화 면은 바람직하게는 구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활성화 면은 또한 시각적 접촉 없이 조립 기술자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 또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각각, 제2 플러그 커넥터, 또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각각, 및 연결 설비는 조립 기술자가 가능한 한 단순하게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각각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부가 예비 래칭 위치에, 또는 터미널 위치에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는 상이한 색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또한 특히 양의 가이드로 인한 간격(clearance)이 간격 또는 창(window)의 형태로 미리 정의될 수 있는 설계가 선택되는 것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2개의 상이한 색상들을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들의 하우징 부분의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도면이 노출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의 단지 하나의 색깔만이 터미널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각각 간격, 또는 창으로 여전히 식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에 의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각 경우에 본 발명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조합되어 도시되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들은 또한 동일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특징들에 독립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따라서 목적이 있는 조합들 및 하위 조합들을 더 형성하기 위해 당업자에 의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동일한 기능들을 구비하는 요소들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제공된다.
도면의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 1은 사시도로 도시한 플러그 되지 않은 상태의 제1 플러그 커넥터, 제2 플러그 커넥터, 및 연결 설비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겼을 때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금 해제되었을 때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겼을 때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추가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금 해제되었을 때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추가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겼을 때 각도 프로파일을 갖는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멈춤쇠 면과 잠금 해제되었을 때 각도 프로파일을 갖는 스냅-피트 후크의 구성에서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8은 사시도로 도시한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9는 사시도로 도시한 터미널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측면도로 플러그 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측면도로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2는 측면도로 터미널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선 B-B에 따른 부분 단면 평면도로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선 A-A에 따른 확장된 후방 부분 단면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부를 도시한다.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서로 플러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플러그 커넥터(2) 및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부(1)가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내부 전도체들(4.1)을 구비하는 4개의 케이블들(4)을 연결하기 위한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실시예로 도시된다.
물론, 본 발명의 문맥에서 연결될 임의의 수의 케이블들(4), 또는 내부 전도체들(4.1)을 각각 구비하는 임의의 플러그 연결부(1)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HFM-호환 가능 플러그 연결부(1)의 수단에 의해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플러그 연결부 표준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는 커플러(2)로 구성되고,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플러그(3)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플러그, 설비 플러그, 커플러, 소켓, 또는 어댑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플러그 연결부(1)는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해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상에 배치된 추가적인 연결 설비(5)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설비(5)는 U형이고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양의 가이드(6)인 제1 게이트 부분(6)은 U형 연결 설비(5)의 양 다리들(5.1) 상에 구성된다. 물론,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1 게이트 부분(6)은 또한 일 측에만, 또는 하나의 다리(5.1)에만 각각, 또는 연결 설비(5)의 임의의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3.1)은 각 경우에 게이트 블록(7) 또는 핀으로 각각 구성되는 하나의 제2 게이트 부분(7)을 양 측 상에 구비한다.
연결 설비(5)의 양의 가이드(6) 및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3.1)의 게이트 블록(7)은 게이트 가이드를 구성하며, 여기서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될 때 제1 상호 상대 위치를 추정한다. 게이트 부분들(6, 7)의 제1 상호 상대 위치 및 또한 예비 래칭 위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서로 플러그될 때, 게이트 블록(7)은 연결 설비(5)의 위치 설정 시스템 영역 또는 개방부(8)를 통해 양의 가이드(6) 내로 도입되며, 상기 게이트 블록(7)은 결과적으로 양의 가이드(6)에 대해 제1 위치에 있다.
연결 설비(5)는 가이드(9)를 통해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에 연결된다(도 13 참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가이드들(9), 즉 각각의 다리(5.1) 상의 하나의 가이드(9)가 제공된다.
가이드(9) 및 (게이트 부분들(6, 7)에 의한)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이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터미널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되는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플러그 연결부(1)의 터미널 위치 및 게이트 부분들(6, 7)의 제2 상호 상대 위치가 도 9에 도시된다. 게이트 블록(7)은 여기에서 양의 가이드(60의 상부 위치에 있다.
게이트 가이드의 제2 위치는 게이트 블록(7)이 양의 가이드(6)의 개방부(8)에 대향하는 양의 가이드(6)의 단부에서 위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치는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피팅 방향으로 오프셋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의 가이드(6)를 통한 연결 설비(5)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에 대해, 잠금 해제 위치(도 1, 8, 10, 11,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설비(5)의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도 9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설비(5)의 위치)로 가이드(9)를 따라 변위 가능하여, 제2 위치로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을 변위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9)는 제1 플러그 커넥터(20의 하우징(2.1) 사이에서 연장되고 연결 설비(5)는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피팅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되고, 연결 설비(5)가 결과적으로 플러그-피팅 방향에 직각으로 가이드(9)를 따라 아래로 밀릴 때, (가이드(9)를 통한) 연결 설비(5) 및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및 제1 플러그 커넥터(3) 및 연결 설비(5) 사이의 기계적 결합(게이트 가이드)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각각 터미널 위치로 이동되거나 서로 플러그 되는 방식으로 플러그-피팅 방향을 따라 연결 설비(5)의 직각 이동을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게이트 가이드를 초래한다.
서로 플러그하는 절차는 도 10, 11, 및 12에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개방된 플러그 연결부(1)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설비(5)는 여기에서 잠금 위치에 고정되고 이미 제2 게이트 부분(7) 또는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각각 수용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다.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예비 래칭 위치에 있으며, 여기에서 게이트 블록(7)은 이미 연결 설비(5)의 양의 가이드(6)에 도입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선택적으로 이미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각각의 하우징들(2.1, 3.1)을 통해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되었지만, 전기적 연결, 특히 내부 전도체들(4.1)의 전기적 연결은 아직 적절한 품질로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 부분 단면은 도 11에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들(2, 3) 사이에 남아 있음이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내부 전도체들(4.1)이 아직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전도체 리셉터클 내로 완전히 플러그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플러그 연결부(1) 및 진동 저항의 전자기적 호환성 때문이고, 원하는 낮은 임피던스는 아직 특정 환경하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하우징들(2.1, 3.1)의 기계적 연결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예비 래칭 위치는 또한 하우징들(2.1, 3.1) 사이에 기계적 연결이 없거나, 실제로 기계적 연결이 있을 때 존재할 수 있지만 후자는 각각 아직 임의의 전기적 접촉을 초래하지 않고/않거나 아직 하우징들(2.1, 3.1)을 함께 유지하지 않는다.
도 12의 플러그 연결부(1)는 완전히 조립된 것으로 도시되며, 다시 말해서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터미널 위치에 있고, 연결 설비(5)는 잠금 위치에 있으며, 게이트 부분들(6, 7)은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다. 여기서 부분 단면에서 내부 전도체들(4.1)이 이제 완전히 플러그 되거나 제공된 위치에 플러그된 것이 각각 보일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상부 측 상의 연결 설비(5)는 연결 설비(5)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9)를 따라 각각 변위되거나 밀어지도록 연결 설비(5) 상에 압축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활성화 면(5.2)을 구비한다.
활성화 면(5.2)은 여기에서 예를 들어 활성화될 때 조립 기술자에게 더 양호한 그립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의 연결 설비(5)는 특히 가이드 및 게이트 가이드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힘의 측면에서 비교적 적은 노력을 통해, 즉 조립 기술자에 의해 활성화 면(5.2)에 적용되어야 하는 비교적 작은 힘을 통해 생산될 수 있는 이점을 구비한다. 그렇지 않으면 게이트 가이드 및 가이드(9)를 통한 구현없이 예비 래칭 위치로부터 터미널 위치로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서로 플러그하기 위한 힘의 측면에서 노력은 현저히 더 높아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에에서, 게이트 블록(7)이 제2 위치에 있는 영역의 양의 가이드(6)는 리셉터클(6.1)을 구비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게이트 블록(7)에 대한 C형 스냅-피트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연결 설비(5)가 구상된 방식으로 활성화될 때, 즉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가이드(9)를 따라 변위될 때, 게이트 블록(7)은 따라서 C형 스냅-피트 리셉터클(6.1) 내로 스냅되고 그 안에 충분히 잠금된다. 이 때문에, 조립 기술자는 예를 들어, 그/그녀가 플러그 연결부(1)가 정의된 방식으로 폐쇄 및 고정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것에 따른 촉각 피드백 신호를 수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필요하다면 다시 분리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평한 물체,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버는 연결 설비(5) 및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사이에서 후방으로부터 연결 설비(5)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 잠금 위치로부터 후자를 지렛대로 움직임으로써 연결 설비(5)를 해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설비(5)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포획되게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연결 설비(5)는 각각의 다리(5.1) 상의 연결 설비(5)로부터 돌출하는 러그, 돌출부, 또는 탭의 방식으로 하나의 멈춤쇠 요소(10)를 구비한다. 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양 측 상의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은 잠금 위치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방향으로 잠금 해제 위치와 반대로 가이드(9)를 따라 연결 설비(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멈춤쇠(1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멈춤쇠(11)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도시된 멈춤쇠 요소(10)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연결 설비(5)가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거나, 들어 올려질 수 있는 것을 각각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가이드(9) 자체가 또한 터미널 멈춤쇠의 유형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멈춤쇠(11) 및 멈춤쇠 요소(10)의 설계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상에 연결 설비(5)의 특히 단순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U형으로 구성된 연결 설비(5)는 하우징(2.1)에 단순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위로부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때) 멈춤쇠 요소(10)가 멈춤쇠(11)를 극복할 때까지 하우징(2.1) 상에 가압-피트될 수 있으며, 멈춤쇠(11)를 극복한 후에,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이 연결 설비(5)의 멈춤쇠 요소(10)에 의해 및 하우징(2.1)의 멈춤쇠(11)에 의해 방지되는 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래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 상에 연결 설비의 조립은 연결 설비(5)가 가이드(9) 내로 나사 결합되거나 후자를 따라 변위되는 방식으로 각각 수행되어, 하우징(2.1) 상에 연결 설비(5)를 조립한다.
하우징의 멈춤쇠(11)는 특히 하우징(2.1)이 리세스, 숄더, 스텝 또는 디프레션을 구비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후자의 엣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 요소(10)에 대한 멈춤쇠(11)를 구성한다.
플러그-피팅 방향에 반대로 바람직하게는 연결 설비(5)를 넘어서 돌출하는 러그, 돌출부, 또는 탭으로서의 멈춤쇠 요소(10)의 구성은 하우징(2.1) 상에 연결 설비(5)를 조립할 때 각각 특히 유리하게는 굽힘 개방되거나 외향으로 굽혀지게 하는 멈춤쇠 요소(10)를 초래하여, 상기 멈춤쇠 요소(10)는 하우징(2.1)의 멈춤쇠(11)를 극복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연결 설비(5)의 활성화 방향에서, 연결 설비(5)의 이동은 연결 설비(50의 U형 구성에 의해 제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플러그-피팅 방향을 따라 또는 반대로 연결 설비(5)의 임의의 손실은 가이드(9)에 의해 방지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특히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연결 설비(50는 또한 고정 부재(12)를 구비하고,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면(13)을 구비하며,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멈춤쇠 면(13)은 잠금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설비(5)의 이동을 방지하며, 이는 이 경우에 고정 부재(12)는 변위 경로에 위치되고, 임의의 변위는 멈춤쇠 면(1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는 스냅-피트 후크(12)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굽혀지거나 스텝되거나, 또는 꼬임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스냅-피트 후크(12)는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스냅-피트 후크(12)가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의 멈춤쇠 면(13) 상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프리텐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통한 스냅-피트 후크(12)는 내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멈춤쇠 면(13) 상에 지지된다. 특히 견고한 고정 부재(12)가 제공되기 위해, 스냅-피트 후크(12)의 양 단부들(12.1, 12.2)은 연결 설비(5)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각각의 경우에 양 측들 상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잠금 해제 요소들(14)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해제 요소들(14)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서로 플러그할 때 잠금 해제 요소들(14)이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의 멈춤쇠 면들(13)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연결 설비(5)의 변위 경로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는 방식으로 스냅-피트 후크들(12)을 각각 이동 또는 굽힘 개방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 해제 요소들(14)은 바람직하게는 스냅-피트 후크(12)의 코너들의 영역들을 떠밀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1)를 함께 갖는 스냅-피트 후크들(12)은 특히 도 1 및 14에 쉽게 보일 수 있다. 양 도면들의 스냅-피트 후크들(12)은 그의 고정 위치에 있으며, 즉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연결 설비(5)의 변위 경로에 위치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2)는 스냅-피트 후크(12)가 보이게 되는 도 11의 단면 선 A-A를 따라 연결 설비(5)를 통한 부분 단면을 통해 도 14에 후방 시점으로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7은 고정 부재 또는 스냅-피트 후크(12)의 기능적 모드 및 잠재적 실시예들을 각각 더 명확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단순한 스냅-피트 후크(12)는 도 2에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제1 단부(12.1)에서의 일 측 상의 스냅-피트 후크(12)는 연결 설비(5)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여기서 도시되지 않음). 스냅-피트 후크(12)는 탄성이고 그 기본 위치에서 연결 설비(50의 변위 경로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다시 말해서 상기 스냅-피트 후크(12)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의 멈춤쇠 면(13) 상에 지지된다(여기서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 이제 힘이 예를 들어 플러그-피팅 방향을 따라 밀어진 잠금 해제 요소(14)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가해지면, 스냅-피트 후크(12)는 후자의 고정 위치 밖으로 운반될 수 있다. 연결 설비(5)는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설비(5)의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가이드(9)를 따라 변위 가능할 수 있다(도 3의 화살표의 방향 참조). 여기서 스냅-피트 후크(12)는 가이드(9)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해제 및 변위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다.
추가 스냅-피트 후크(12)는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양 단부들(12.1, 12.2)에서의 스냅-피트 후크(12)는 연결 설비(5)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스냅-피트 후크(12)는 더 견고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냅-피트 후크(12)가 변형되는 것으로 여전히 제공된다(도 5 참조).
예시적인 실시예에 구현된 바와 같이, 각도를 이룬 형태의 스냅-피트 후크(12)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여기서 스냅-피트 후크(12)는 마찬가지로 양 단부(12.1, 12.2)에서 연결 설비(50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 실시예 덕분에, 스냅-피트 후크(12)는 가이드(9)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힘에 대해 극도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잠금 해제는 방지될 수 있다. 그 형태로 각을 이룬 스냅-피트 후크(12)는 기울어진 숫자 "7" 또는 누운 문자 "L"과 유사할 수 있다.
도 6으로부터 특히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12.2) 및 멈춤쇠 면(13) 사이의 (이미지 평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부를 통해 예를 들어 활성화 면(5.2)을 통해 작용하는 압축력은 하우징(2.1)의 멈춤쇠 면(13) 내로 직접 도입된다. 활성화 면(5.2) 상의 압축력은 스냅-피트 후크(12)가 아직 외향으로 편향되지 않을 때, 단지 멈춤쇠 면(13) 내로 직접 도입되는 스냅-피트 후크(12)의 대응하는 부분을 통해 힘을 초래한다. 따라서 스냅-피트 후크(12)가 굽힘 개방되는 위험이 없다.
연결 설비(5) 및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사이의 가이드(9)는 도 13에 평면도로 도시된다. 여기서 도 13은 도 11의 단면 선 B-B를 따라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9)는 도브테일 연결(9)로 구현된다. 이 때문에, 도브테일 연결(9)은 U형 연결 설비(5)의 다리들(5.1)이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플러그 연결부(1) 상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할 때도, 다리들(5.1)의 측면 굽힘 개방이 크게 방지된다. 이 때문에 플러그 연결부(1)는 특별히 견고하다.

Claims (15)

  1.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서로 플러그 가능한 제1 플러그 커넥터(2) 및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 상에 배치되는 추가 연결 설비(5)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게이트 부분(6)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3.1)은 게이트 가이드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게이트 부분(7)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게이트 가이드의 상기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예비 래칭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될 때 상기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이 제1 상호 상대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9)를 통해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에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상기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이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터미널 위치에서 서로 플러그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9) 및 상기 게이트 가이드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게이트 부분(6)을 통한 상기 연결 설비(5)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에 대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상기 가이드(9)를 따라 변위 가능하여, 상기 2개의 게이트 부분들(6, 7)을 상기 제2 위치로 변위시키는, 플러그 연결부(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비(5)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포획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요소(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11)를 구비하여,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방향으로 및/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9)를 따라 상기 연결 설비(5)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비(5)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면(13)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멈춤쇠 면(13)은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설비(5)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요소(14)를 구비하며, 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서로 플러그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래칭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요소(14)가 상기 고정 부재(12) 및 상기 하우징(2.1)의 상기 멈춤쇠 면(13)이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상기 연결 설비(5)의 변위 경로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12)를 이동 또는 조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스냅-피트 후크(12)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냅-피트 후크(1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2.1)의 멈춤쇠 면(13) 상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프리텐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피트 후크(12)의 양 단부들(12.1, 12.2)은 상기 연결 설비(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 및 상기 연결 설비(5) 사이의 상기 가이드(9)는 상기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서로 플러그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피팅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의 각도에서,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 및 상기 연결 설비(5) 사이의 상기 가이드(9)는 레일 시스템으로, 바람직하게는 T-레일 시스템, 또는 L-레일 시스템, 또는 텅-앤드-그루브 연결로,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 연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부분은 양의 가이드(6)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게이트 부분은 게이트 블록(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가이드(6) 및 상기 게이트 블록(7)이 상기 제2 상호 상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게이트 블록(7)이 위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양의 가이드(6)는 상기 게이트 블록(7)에 대해 리셉터클(6.1), 바람직하게는 형태-피팅 리셉터클,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냅-피트 리셉터클, 및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C형 스냅-피트 리셉터클을 구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상부 측 상의 상기 연결 설비(5)는 활성화 면(5.2)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 설비(5)가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상기 가이드(9)를 따라 변위되도록 상기 연결 설비(5) 상에 압축력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높은 비트율에서 데이터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는 커플러(2), 소켓, 또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3), 설비 플러그, 또는 어댑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부(1).
KR1020197008542A 2016-10-20 2017-09-15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KR102394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0063.8 2016-10-20
DE102016120063.8A DE102016120063B4 (de) 2016-10-20 2016-10-20 Steckverbindung
PCT/EP2017/073247 WO2018072940A1 (de) 2016-10-20 2017-09-15 Elektrische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576A true KR20190064576A (ko) 2019-06-10
KR102394692B1 KR102394692B1 (ko) 2022-05-06

Family

ID=6000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42A KR102394692B1 (ko) 2016-10-20 2017-09-15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81678B2 (ko)
EP (1) EP3472902B1 (ko)
JP (1) JP7036816B2 (ko)
KR (1) KR102394692B1 (ko)
CN (1) CN109863649B (ko)
DE (1) DE102016120063B4 (ko)
WO (1) WO2018072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8384B (zh) * 2018-06-15 2019-12-10 安福烨翔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锁紧结构的hdmi电连接器组件
CN108899689B (zh) * 2018-06-28 2019-09-27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锁片装置的连接器及其安装方法
DE102018216449B4 (de) * 2018-09-26 2022-06-09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Steckverbindereinhei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Lenksensoreinheit
DE102018216477B4 (de) * 2018-09-26 2023-03-16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Steckverbindereinhei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Lenksensoreinheit
DE102018216450B4 (de) 2018-09-26 2022-07-07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Lenksensoreinheit und mit einer Steckeinhei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der Lenksensoreinheit
EP4210179A1 (de) * 2019-08-09 2023-07-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mit einem befestigungselement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mfassend den elektrischen verbinder.
DE102019214173B4 (de) * 2019-09-18 2024-03-07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Steckverbindereinhei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Lenksensoreinheit
CN111834787B (zh) * 2020-07-20 2022-06-10 安徽亢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电缆用抗震连接器及其连接方法
DE102020210278A1 (de) 2020-08-13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amera und einem damit verbundenen Hinterlegteil, sowie Verfahren
DE102021131877A1 (de) 2021-12-03 2023-06-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iedervolt-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oder hybriden Fahrzeugantrieb sowie elektrischer oder hybrider Fahrzeugantrieb
CN117269570B (zh) * 2023-09-14 2024-03-22 南京国电南思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带接插件结构的电能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017A (ja) * 1997-08-29 1999-03-16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US5928011A (en) * 1997-10-28 1999-07-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lock position assurance and release lever
JP2001319742A (ja) * 2000-02-28 2001-1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9547A (en) * 1964-05-13 1967-05-16 Eastman Kodak Co Photographic apparatus
US4449778A (en) * 1982-12-22 1984-05-22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326350B1 (en) * 1988-01-26 1994-04-27 Fujitsu Limited Connector apparatus for high density coaxial cables
JP3218155B2 (ja) * 1994-10-14 2001-10-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FR2730588B1 (fr) 1995-02-13 1997-03-28 Cinch Connecteurs Sa Perfectionnements aux connecteurs electriques
DE69525623T2 (de) * 1995-08-26 2003-03-06 Molex Inc Elektrischer Verbinder mit verbessertem Verriegelungssystem
JP3316116B2 (ja) * 1995-09-19 2002-08-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326069B2 (ja) * 1996-03-29 2002-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H10112360A (ja) * 1996-10-08 1998-04-2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US5904584A (en) * 1997-10-28 1999-05-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assisted grommet assembly
DE19802554A1 (de) 1998-01-23 1999-08-05 Whitaker Corp Steckeranorndung mit einem Betätigungsschieber
DE19820424A1 (de) * 1998-05-07 1999-11-11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312277B1 (en) * 1999-01-27 2001-11-06 Cardell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DE50009898D1 (de) * 1999-07-26 2005-05-04 Diamond Sa Steckerteil für eine optische Steckverbindung
JP2001068216A (ja) * 1999-08-30 2001-03-16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DE19941328C2 (de) 1999-08-31 2001-12-13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3405954B2 (ja) * 2000-03-13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US6332795B1 (en) * 2000-05-23 2001-12-25 Avaya Technology Corp. Hinged connection system
BRPI0105829B1 (pt) * 2000-11-17 2016-05-24 Framatome Connectors Int conector de encaixe
US6475004B2 (en) * 2001-01-09 2002-11-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n engagement assist member an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346002B1 (en) * 2001-04-17 2002-02-12 Wieson Electronic Co., Ltd. Connector equipped with snap latching structure
US20030176104A1 (en) 2002-03-13 2003-09-18 Hall John W.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US7114984B2 (en) * 2002-12-04 2006-10-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style de-latch mechanism for pluggable electronic module
US6682359B1 (en) * 2002-12-06 2004-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6739889B1 (en) * 2003-05-30 2004-05-25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assembly
US6860750B1 (en) * 2003-12-05 2005-03-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
FR2884059B1 (fr) * 2005-03-31 2007-05-25 Radiall Sa Connecteur multicontacts
JP2006351415A (ja) 2005-06-17 2006-12-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レバー式コネクタ
US7465185B2 (en) * 2006-03-30 2008-12-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JP5056379B2 (ja) 2007-11-28 2012-10-24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US7682180B2 (en) * 2008-04-29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terminal retention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8197270B2 (en) * 2009-06-23 2012-06-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versible wire dress
US8391667B2 (en) * 2009-10-05 2013-03-05 Finisar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 for a module
US7789690B1 (en) * 2009-10-08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US8235744B1 (en) * 2011-02-01 2012-08-0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including connector body with integral primary and secondary latch
JP5721473B2 (ja) * 2011-03-01 2015-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2143570A1 (en) * 2011-04-22 2012-10-26 Fci Automotive Holding Airbag connector system
JP2012234773A (ja) * 2011-05-09 2012-11-2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含む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DE202011107900U1 (de) * 2011-11-15 2011-11-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JP5783892B2 (ja) 2011-12-13 2015-09-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DE202013000877U1 (de) 2013-01-28 2014-04-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axialsteckverbinder
TWM462462U (zh) * 2013-04-08 2013-09-21 Dinkle Entpr Co Ltd 連接構件改良結構
US10135181B2 (en) * 2013-06-07 2018-11-20 Amphenol Fci Asia Pte. Ltd. Cable connector
JP2015069871A (ja) 2013-09-30 2015-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およびレバー式コネクタ装置
CN104767075A (zh) * 2013-10-14 2015-07-08 豪利士公开有限公司 用于小型电力联接器的连接器
US8968021B1 (en) * 2013-12-11 2015-03-03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automotive harness connector
US9515437B2 (en) * 2014-04-14 2016-12-0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outlet with shutter mechanism and wire mana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017A (ja) * 1997-08-29 1999-03-16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US5928011A (en) * 1997-10-28 1999-07-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lock position assurance and release lever
JP2001319742A (ja) * 2000-02-28 2001-1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692B1 (ko) 2022-05-06
DE102016120063A1 (de) 2018-04-26
CN109863649A (zh) 2019-06-07
US10181678B2 (en) 2019-01-15
JP2019532479A (ja) 2019-11-07
WO2018072940A1 (de) 2018-04-26
US20180309235A1 (en) 2018-10-25
CN109863649B (zh) 2021-12-03
EP3472902A1 (de) 2019-04-24
EP3472902B1 (de) 2019-11-06
JP7036816B2 (ja) 2022-03-15
DE102016120063B4 (de)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692B1 (ko) 전기적 플러그-인 연결부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5681184A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and coupling mechanisms
US9022813B2 (en) Contact housing for electrical contact units, electrical plug connector or mating connector as well as an assembled electrical conductor
CN107925183B (zh) 插拔连接器
KR102516478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1180952B (zh) 配备有改进的电缆终端位置保证装置的连接器壳体
US1109507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US7887359B2 (en)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US9941625B2 (en) Socket 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CN110277278B (zh) 插座
US10468805B2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CN114245956B (zh) 电插接连接件、电插接连接器以及用于电插接连接件的固定元件
US11283209B2 (en) Connector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US9397445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20190296483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20140363997A1 (en)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es to accommodate mounting to curved or arcuate surfaces
US20100304599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EP3316412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power cable to a board
CN118137224A (zh) 插接连接器、配合插接连接器和插接连接器系统
CN113140940A (zh) 承载轨道适配器和由承载轨道适配器和电气组件构成的套件
KR20070022035A (ko) 수직 끼워 맞춤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