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478A -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478A
KR20190062478A KR1020197012149A KR20197012149A KR20190062478A KR 20190062478 A KR20190062478 A KR 20190062478A KR 1020197012149 A KR1020197012149 A KR 1020197012149A KR 20197012149 A KR20197012149 A KR 20197012149A KR 20190062478 A KR20190062478 A KR 2019006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jection mold
film webs
motif
we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720B1 (ko
Inventor
마르틴 한
헬무트 회글
크리스토프 스툴링어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6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16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B29C2045/14918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in-mould-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83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67Presence, absence of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9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51Measurement means
    • B29C2945/76461Optical, e.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45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68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72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장치(20) 및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를 갖는 사출 금형(4)에 의해 필름 웹(web)(1, 1'), 특히 IMD 필름 웹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제공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사출 금형(4)에 전달하는 단계; 개별적인 모티프(6)가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필름, 특히 IMD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부품의 생산 일체형 표면 장식의 경우 캐리어 필름에서 전사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층이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장식된 플라스틱 부품은 예를 들어 도어 트림, 인스트루먼트 패널 트림 및 중앙 콘솔 커버와 같이 자동차 내장부를 위한 자동차 제조업, 텔레비전의 장식 크림을 위한 소비 가전의 분야 또는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쉘을 위한 통신 분야에서 사용된다. IMD(IMD=in-mold decoration) 기술을 사용하는 플라스틱 부품의 표면 장식의 경우, 플라스틱 필름은 금형(mold)의 캐비티 내로 도입되고 이어서 초기 유동성 충전 매체로 후방 사출 성형된다. 필름은 일반적으로 공급 장치를 통해 금형으로 자동 이송된다. 후방 사출 성형 후에, 캐리어 필름은 응고된 충전재 상에 전사된 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JP 62128720 A에는 공급 장치에 의해 사출 금형 내로 가이드되는 IMD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라미네이트될 장식 필름의 영역에서의 개별적인 이미지 표현의 경우에, IMD 필름은 또한 사출 금형이 닫히기 전에 센서 및 위치 표시를 통해 IMD 필름상의 사출 금형과 관련하여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고 IMD 필름은 핫 스프레이된 플라스틱 재료로 다시 사출 성형된다.
유닛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놓이는 다수의 캐비티의 사용이 알려져 있고, 여기서 필름의 위치 설정은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캐비티들의 수에 의해 더욱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을 처리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뿐만 아니라 개선된 공급 장치 및 개선된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공급 방향을 갖는 공급 장치 및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갖는 사출 금형에 의해 필름 웹(web), 특히 IMD 필름 웹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을 제공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을 사출 금형에 전달하는 단계 및 개별적인 모티프가 개별적인 캐비티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registered accurate)배치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명된 시퀀스에 상응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은, 또한,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모티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방향을 갖는 공급 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페이-오프 릴과 적어도 2개의 필름 테이크-업 릴을 포함하고, 하나의 필름 페이-오프 릴과 하나의 필름 테이크-업 릴은 각각의 필름 웹에 할당된다. 이러한 목적은 또한 모티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을 후방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금형에 의해 달성되고, 위에서 볼 때, 필름 웹은 필름 웹의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은 특히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급 장치와, 특히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출 금형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장점은 단위의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출 금형의 필름에 위치한 모티프의 위치 결정이 발생하는 높은 공차 없이 보다 쉽고 보다 정확하게 가능하다는 점이다. 전체적으로 단위 수를 더 늘릴 수 있지만 폐기물은 동시에 줄어든다. 이로 인해 단가가 절감된다.
여기서, 공급 방향은 필름 웹이 필름 테이크-업 릴로부터 필름 테이크-업 릴의 방향으로 안내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필름 페이-오프 릴 및 필름 테이크-업 릴은 x 및 y 좌표로 뻗어있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필름 페이-오프 릴과 필름 테이크-업 릴 사이를 나아가는 필름 웹은 특히 y 축을 따라 나아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필름 웹이 위에서 아래로, 즉 특히 공급 방향이 수직으로 진행하거나, 필름 웹이 오른쪽에서 왼쪽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공급되는 것, 즉, 특히 공급 방향이 수평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은 80°와 100° 사이, 바람직하게는 85°와 95° 사이의 각도 범위, 특히 90°를 의미한다.
평면도 상으로라는 것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2개의 필름 웹에 대한 상면도를 의미한다. 상면도는 표면 법선으로부터, 그러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그리고/또는 사출 금형의 개/폐 방향으로 이뤄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이 x 및 y 좌표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놓일 경우, 상면도의 방향은 x 및 y 좌표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수직인 z 방향이다.
모티프는 예를 들어, 그래픽적으로 형성된 윤곽, 형상 묘사(figural representation), 이미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설계 소자, 심볼, 로고, 인물 묘사(portrait), 패턴, 영숫자 문자, 텍스트, 색상 디자인 등일 수 있다.
필름 웹은, 모티프가, 모티프가 없는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각각의 경우에 모티프와 필름 웹의 측면 에지 사이 및/또는 모티프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개별적인 모티프 주위에 프레임, 특히 원주형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티프가 없는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550mm 사이, 특히 25mm에서 300mm사이다.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 영역과 제 2 부분 영역을 가지며, 특히 제 1 부분 영역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의 위치 결정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그리고/또는 제 2 부분 영역은 가늠표의 위치 설정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제 1 부분 영역은 모티브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특히 제 1 부분 영역은 모티프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배치되어서, 모티프의 최근방에서 클램핑 장치에 의해 필름 웹의 고정을 달성하여, 스트레칭, 링클링(wrinkling) 등과 같은 간섭 요인이 최소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부분 영역과 모티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특히, 제 1 부분 영역은 모티프와 제 2 부분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부분 영역에 배치된 가늠표는 센서에 의해 보다 쉽게 검출될 수 있거나 센서의 보다 용이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역 시퀀스 또한 가능하며, 즉, 가늠표에 대한 제 2 부분 영역은 모티프에 직접 인접하고, 특히 모티프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되고, 클램핑 장치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부분 영역이 그에 비해 더 멀리 제공된다.
제 1 부분 영역은 바람직하게 5mm와 500mm 사이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와 200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제 2 부분 영역은 바람직하게 5mm와 50mm 사이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와 30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필름 웹은 또한 상이한 모티프, 특히 공급 방향으로 연속하는 모티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이 일치하는 모티프들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필름 웹은 서로 상이한 모티프를 가질 수도 있다.
모티프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이미지와 무한한 모티프가 될 수 있다. 모티프는 캐비티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티프가 캐비티보다 큰 적어도 1%인 것이 가능하다. 특히, 모티프는 모든 방향, 바람직하게는 1mm에서 20mm 사이의 캐비티에서 중첩된다. 이 모티프의 약간의 중첩을 통해, 캐비티 외측에 약간의 바니시나 페인트가 존재하여 사출 금형에서의 손상 유착 및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정확한 가늠 또는 정확하게 가늠이 맞다는 것은 2개 이상의 소자, 특히, 여기서, 필름웹의 모티프와 캐비티의 서로에 대한 위치적 정확도를 의미한다. 가늠 정확도 또는 정확한 가늠은 미리 결정된 공차 내에서 달라지고 가능한 한 낮아야 한다. 동시에, 서로에 대한 다수의 소자의 가늠 정확도는 처리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한 특징이다. 위치적으로 정확한 위치 지정은 센서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가늠표 또는 가늠 마크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가늠표는 특정한 개별 소자 또는 영역 또는 층을 나타내거나 필름웹의 특히 위치 지정될 소자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서 언급된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 전달 및/또는 정렬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공급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 전달 및/또는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높은 가늠 정확도(register accuracy)는 각각의 필름 웹에 대해 달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필름 웹의 모티프 및/또는 필름 웹의 모티프의 상이한 공차에 개별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가늠 정확도가 더 높아진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이 서로 동기식으로 제공, 전달 및/또는 정렬될 수 도 있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정렬 및/또는 전달은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의 도움으로 유리하게 이뤄질 수 있다.
가늠표는, 이러한 가늠표에 의해, 공급 방향 및/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공급 방향에서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각 모티프에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일 가늠표가 모티프에 할당되어서, 공급 방향과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할당된 모티프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모티프에 2개의 가늠표가 할당되어, 하나의 가늠표에 의해 공급 방향으로 할당된 모티프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다른 가늠표에 의해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할당된 모티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가늠표로부터 할당된 모티프까지의 거리가 가능한 짧고, 특히, 거리가 5mm에서 500mm 사이, 특히, 15mm와 200mm 사이인 것이 편리하다. 위치 지정 정확도가 이로써 향상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와 할당된 모티프 사이의 위치 관계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각각의 모든 모티프 에 대해 동일하다.
가늠표는 각각의 경우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늠표는 각각의 경우에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양 측면 에지 상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이상적으로, 가늠표는 양쪽 측면 모서리에 똑같이 배치된다. 이로써, 필름 웹을 공급 장치 또는 시스템 또는 사출 금형에 삽입할 때 어느 필름 웹 이 어느 측면에 삽입되어야 하는지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는 것이 달성된다. 따라서 2개의 필름 설계가 필요하지 않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미러 대칭으로 형성된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2개의 필름 웹은 양 측면 또는 대향하는 측면에 가늠표를 가질 수 있다.
가늠표가 고정된 기하학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하게는, 가늠표는 직사각형이다. 또한, 가늠표가 점(dot), 십자 마크, 화살표, 다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가늠표는 실질적으로 필름 웹을 따라, 특히 공급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정렬 및/또는 전달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 각각의 하나 이상의 모티프의 도움으로 이뤄진다.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는 가늠표를 요구하지 않고 달성된다. 모티프 자체가 거의 가늠표가 되기 때문에, 가늠표와 모티프 사이의 필름 웹의 가능한 스트레칭은 역할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늠표가 없는 필름 웹도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가늠표가 있거나 없는 필름 웹이 처리될 수도 있다.
공급 장치 및/또는 시스템은 편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다. 센서는 투과광 및/또는 반사광 센서일 수 있다. 투과광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포크 라이트 배리어이고 반사광 센서는 반사 센서이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유리하게는 캐비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5mm와 2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mm와 50mm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위치 설정 정확도는 필름 비틀림의 제어할 수 없는 영향이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한 가장 작은 거리 만큼 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실질적으로 필름 웹의 영역, 특히 필름 웹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위에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영역이 다른 필름 웹으로부터 멀리 면하는 하나의 필름 웹의 측 상에 놓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사출 성형과 관련하여 센서의 파괴적인 영향이 방지된다. 특히, 센서는 사출 금형이 개폐될 때 사출 금형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필름 웹의 전달 및/또는 정렬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는 서로, 특히, 그 필름 이송 평균 속도 및/또는 그 필름 이송 거리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것에 의해, 한편으로는 모티프는 캐비티의 영역으로 신속하게 도입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비티 내의 정확한 위치 지정이 달성되며, 그 결과 처리 시간이 더 감소될 수 있다.
편의상 전달은 제 1 단계를 형성하고 정렬은 제 2 단계를 형성한다. 특히, 전달은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필름 웹의 사출 금형 내로의 이송을 나타내고,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부차적인 역할이나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다. 특히, 정렬은, 특히 캐비티에 대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의 모티프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를 나타내며, 공급 방향으로의 정렬에 더하여, 또한,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정렬은 역할을 하거나 수행된다.
또한, 제 1 단계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필름이 제 2 단계에서 보다 높은 필름 이송 평균 속도 및/또는 긴 필름 이송 거리에 걸쳐 정렬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 1 단계에서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1mm/s에서 1000mm/s 사이, 바람직하게는 250mm/s에서 750mm/s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mm/s에서 550mm/s 사이이며, 그리고/또는 필름 이송 거리는 10mm에서 50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00mm에서 3500m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mm에서 3000mm 사이이다.
또한, 제 2 단계에서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1mm/s에서 100mm/s 사이, 바람직하게는 5mm/s에서 50mm/s 사이이며, 및/또는 필름 이송 거리는 3mm에서 5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3mm에서 10mm 사이다. 제 2 단계에서 이러한 필름 이송 거리는 가늠표의 크기에 특히 의존한다. 가늠표는 바람직하게는 약 3mm×3mm 내지 20mm×20mm의 크기, 특히 약 3mm×3mm 내지 10mm×10mm의 크기를 갖는다. 스트립 형태의 "무한한" 가늠표의 경우,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3mm 내지 20mm, 특히 약 3mm 내지 10mm이다. 스트립 형태의 "무한한" 가늠표는, 특히 공급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필름 웹을 따라 스트립(strip)으로서 연장하는 가늠표를 의미한다. 가늠표의 길이 및 너비는 각 경우마다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늠표는 또한 10mm×8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가 검출될 때, 제 1 단계과 제 2 단계 사이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제 1 단계는 높은 장비 비용 없이 신속하게 통과(negotiate)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커버된 거리는 특히 블라인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섹션은 제 1 단계의 필름 이송 거리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블라인드 섹션은 제 1 단계의 필름 이송 거리의 시작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블라인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단계의 필름 이송 거리 끝에서 끝난다. 제 1 단계의 끝에서 다음의 가늠표의 신뢰성 있는 인식이 가능해진다.
가늠표 및/또는 모티프가 인식된 직후, 바람직하게는 제 2 단계로의 그리고 그로 인한 더욱 정확한 위치 정확도로의 전환이 발생하고 필름 이송 속도는 감소된다. 여기서, 제 2 단계는 특히 가늠표의 제 1 인식 외부 에지에서 시작하여, 특히 가늠표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외부 에지에서 끝난다. 가늠표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외부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이송 속도가 낮기 때문에 특정 정확도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계 사이에는, 특히 필름 이송 평균 속도의 가속화 및/또는 감속을 위한 천이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블라인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센서가 가늠표 및/또는 위치 정보로서 가능한 신호를 해석하지 않고 무시하거나 묵살하는 2개의 가늠표 및/또는 모티프 사이의 사전 정의된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섹션에 존재하는 장식 소자 또는 필름 설계 또는 다른 광학 특징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의 제 1 모티프 에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의 제 1 가늠표 에지가 검출될 때까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이 높은 필름 이송 평균 속도로 블라인드 섹션에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가늠표 에지 및/또는 제 1 모티프 에지가 검출된 후에 느린 필름 이송 평균 속도로 전환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의 제 2 가늠표 에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의 제 2 모티프 에지가 도달되거나 검출되면, 필름 웹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필름 웹 공급이 정지된 후, 필름 웹이 소정 양만큼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필름 웹의 제조 공차가 개별적으로 반응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양은 수동 및 자동으로, 특히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정렬은 미리 결정된 위치의 캐비티와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의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의 위치의 비교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편리하다. 미리 결정되었다는 것은 여기서 사출 금형의 캐비티의 고정된 배치를 의미한다. 캐비티의 미리 결정된 위치는 예를 들어 외측 또는 내측면 에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고정된 부품 기하 구조의 검출에 의해 또는 필수적이거나 편의에 따라 재위치될 수 있는 투영된 레이저 광 스팟 또는 라벨(label) 또는 유사 소자와 같이, 캐비티상에 자유롭게 위치 지정 가능한 소자의 검출에 의해 수립될 수 있다.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한 각 모티프의 가늠이 정확한 배치 후에, 각각의 경우에 릴리스 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후방 사출 성형될 모든 모티프가 각각의 경우에 캐비티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정렬될 때까지 모티프의 후방 사출 성형이 실제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 보장된다. 또한, 모든 제조된 성형된 플라스틱 부분에 있어서, 낮은 공차 값 및 따라서 극도로 낮은 낭비가 성취된다. 따라서, 릴리스 신호는 공급 방향으로 및/또는 캐비티에 관하여 정렬된 개별적인 모티프에 대하여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 0.05㎜ 미만의 편차의 경우에만 각각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이한 공차, 특히 공급 장치의 기계적 공차, 필름 웹의 제조에서의 제조 공차, 특히 필름 웹의 압력 공차 및 재료 특성, 특히 그 신장 계수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다음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들은 릴리스 신호의 생성 후에 특히 수행된다:
- 사출 금형을 폐쇄하는 단계;
- 적어도 영역들에서 플라스틱 화합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상기 캐비티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는 상기 모티프를 후방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사출 금형을 개방하는 단계;
- 후방 사출 성형된 상기 모티프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캐리어 층으로부터 벗기는 단계;
-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필름 웹은 전사 필름이고, 각각은 캐리어 층 및 전사 플라이(ply)를 포함한다. 전사 플라이는 캐리어 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름 웹이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출 금형은 특히 필름 웹이 라미네이팅 필름으로 구현될 때,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으로부터 각 캐비티에 할당된 필름 영역을 펀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펀칭 도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캐비티에 할당된 필름 영역은 각각 하나의 모티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처리에서, 펀칭 도구가 바람직하게는 사출 금형에 또는 사출 금형 상에 제공되고, 펀칭 도구에 의해, 라미네이팅 필름은, 개별적으로 캐비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 영역이 그렇지 않으면 폐쇄되는 필름 웹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펀칭 도구의 펀칭 윤곽이 적어도 영역에서 각 캐비티의 외부 윤곽을 따르고 펀칭 도구가 각 캐비티에 할당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상이한 필름 웹, 예를 들어, 사출 금형의 상이한 캐비티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사 필름 웹 및 적어도 하나의 라미네이팅 필름 웹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 중 적어도 하나는 전사 필름이고,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 중 두 번째 필름 웹은 라미네이팅 필름인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갖는 사출 금형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각각의 필름 웹에 할당된다. 사출 금형이, 예를 들어, 특히 평면도 상으로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캐비티를 갖는다면, 정확하게 하나의 캐비티가 각각의 필름 웹에 할당된다. 또한, 사출 금형은 2개 이상의 캐비티를 가지며, 평면도 상으로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사출 금형은 공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캐비티를 갖는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각각에 있어서, 다수의 모티프가 개별적인 캐비티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특히 동시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따라서, 또한, 공급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가 각각의 필름 웹에 할당될 수 있다.
캐비티는 그리드에 따라, 특히 1차원 또는 2차원 그리드에 따라 유리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공급 방향의 그리드 폭은 바람직하게는 1mm에서 1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40mm 사이이다. 또한, 공급 방향에 수직인 그리드 폭은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20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1000mm사이이다.
또한, 사출 금형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 및/또는 진공 흡입을 가질 수 있다. 공급 방향 및/또는 그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특히 ±0.05mm, 바람직하게는 ±0.02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의 공차로, 캐비티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모티프를 고정하는 것이 여기서 달성된다.
편의상, 상기 공급 장치는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를 갖는 2개의 필름 웹의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장치는 2개의 조정 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조정 장치가 하나의 필름 웹에 할당된다.
상기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정렬을 위하여 또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는 2개의 필름 웹 중 하나의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퍼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장치는 제 1 스테퍼 모터와 제 2 스테퍼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퍼 모터는 공급 방향으로 하나 또는 양쪽 필름 웹의 정렬을 위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테퍼 모터는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나 또는 양쪽 필름 웹의 정렬을 위하여 형성된다.
편의상, 스테퍼 모터의 최소 스텝 크기는 0.005mm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mm이다. 또한, 스테퍼 모터는 2000mm/s의 최대 속도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이로써,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를 갖는 2개의 필름 웹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렬이 가능해진다.
스테퍼 모터에 대한 대안으로, 조정 장치는 또한 공급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공급방향에 수직으로 2개의 필름 웹을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보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서보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의 최대 속도는 2000mm/s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보 모터는 고정 스텝 길이와 독립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고정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제어 신호에 매우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필름 웹상의 모티프의 형성에 따라, 공급 방향으로 또는 공급 방향에 수직으로 필름 웹의 2개의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티프는, 공급 방향에 수직으로 나아가는 다수의 평행하는 스트립을 포함하고, 이 방향에서, 이 스트립은 개별적인 캐비티보다 크고 특히 필름 에지에서 필름 에지로 나아간다. 이 예에서, 공급 방향에 수직인 조정은 이 방향에서 모티프가 실질적으로 "무한"이기 때문에, 즉, 특히 중단하지 않고 또는 연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이 예에서,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가늠 정확도가 이 방향에서 요구되므로 공급 방향에서의 조정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모티프는 공급 방향으로 나아가는 다수의 평행하는 스트립을 가질 수 있고, 이 방향에서 이 스트립은 개별적인 캐비티보다 크다. 이 예에서, 공급 방향에서의 조정은 이 방향에서 모티프가 실질적으로 "무한"이기 때문에, 즉, 특히 중단하지 않고 또는 연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이 예에서,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가늠 정확도가 이 방향에서 요구되므로 공급 방향에 수직인 조정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모티프는 예를 들면, 개별적인 캐비티, 또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 영역보다 모든 방향에서 작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예에서,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의 가늠 정확도가 양방향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개별적인 필름 웹은 공급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공급 방향에 수직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는 필름 페이-오프 릴 및/또는 필름 테이크-업 릴의 일부인 것이 가능하다. 조절 장치 및/또는 필름 페이-오프 릴 및/또는 필름 테이크-업 릴은, 10mm에서 2000mm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1000mm 사이의 폭을 갖는 필름 웹이 상기 장치와 릴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공급 장치 및/또는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공급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에 서로 독립적으로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편의상,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사출 금형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제어 장치는, 개별적인 캐비티에 관한 각각의 모티프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후에 제어 장치가 사출 금형을 동작시켜서 사출 금형이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한 각 모티프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후에 각각의 경우에 릴리스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작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일정 비율로 도시된 것이 아닌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필름 웹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필름 웹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필름 이송 평균 속도를 명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시스템의 한 섹션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필름 웹의 정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공급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필름 웹의 모티프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공급 방향을 갖는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웹, 특히 IMD 필름 웹을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 1 단계(101)에서,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motif)를 갖는 2개의 필름 웹이 제공된다.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 웹은 라미네이팅 필름 또는 전사 필름일 수 있다.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20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1000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여기서, 폭은 바람직하게는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정된다. 또한, 필름 웹은 특히 100m에서 1000m, 특히 300m에서 500m까지의 전체 길이를 갖는다. 또한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5㎛와 1000㎛ 사이의 전체 두께를 갖는다.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층을 포함한다. 캐리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5㎛에서 250㎛ 사이의 두께를 갖는 PET, PEN, OPP, BOPP, P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이다.
또한, 필름 웹은 하나 이상의 장식 층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식 층은 바람직하게는 모티프의 형성을 위해 패턴화되어 형성된다. 장식 층은 유리하게는 인쇄 층, 증착 층, 전기 도금층, 복제 바니시 층, 반사층, 광학 가변 안료를 함유하는 층, 금속 안료, 박막층 구조, 볼륨(volume) 홀로그램 층, 홀로그램 층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복제 바니시 층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구조가 스탬핑 툴의 작용에 의해 열과 압력에 의해 성형되는 열가소성 바니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제 바니시 층이 UV 가교 가능한 바니시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 구조가 UV 복제에 의해 복제 바니시 층으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 구조는 스탬핑 도구의 작용에 의해 미경화 복제 바니시 층 상에 성형되고 복제 바니시 층은 UV 광 조사에 의해 성형 동안 또는 성형 직후에 경화된다.
복제 바니시 층은 바람직하게는 0.2㎛에서 2㎛ 사이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복제 바니시 층으로 성형된 표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회절 표면 구조, 예를 들면 홀로그램, Kinegram® 또는 다른 광학적 회절 활성 격자 구조이다. 이러한 표면 구조는 전형적으로 0.1㎛에서 4㎛까지의 범위의 구조적 소자의 간격을 갖는다. 또한, 표면 구조가 0차 회절 구조, 블레이즈 격자,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교차 정현파 회절 격자, 선형 또는 교차된 단일 또는 다중 스텝 직사각형 격자, 비대칭 톱니 릴리프 구조, 광 회절 및/또는 광 굴절 및/또는 광 집적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 이진 또는 연속 프레넬 렌즈, 이진 또는 연속 프레넬 자유형 표면, 회절 또는 굴절 매크로 구조, 특히 렌즈 구조 또는 마이크로프리즘 구조, 거울 표면 또는 매트 구조, 특히 이방성 또는 등방성 매트 구조 또는 상기 언급된 표면 구조들 중 여러 구조들의 조합된 구조이다.
반사층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하에서 1nm에서 150nm까지의 층 두께로 증착된, 크롬, 금, 구리, 은 또는 이러한 금속들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금속 층이다. 전기 전도성 금속 안료를 함유한 바니시로부터 반사 층을 제조하고, 특히 이를 인쇄 및/또는 부을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은 얇게 또는 미세 구조화된 금속 층, 예컨대 HRI(고굴절률) 또는 LRI(저굴절률)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전체 반사층은,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산화 티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증착 층을 10㎚에서 150㎚까지의 두께로 구성한다. 반사층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모티프의 형성을 위해 패턴화된다.
또한, 필름 웹은 분리 층을 가질 수 있다. 분리 층은 하나 이상의 장식 층이 비파괴적으로 캐리어 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분리 층은 바람직하게는 왁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폴리(오가노)실록산으로 구성된다. 상기 왁스는 천연 왁스, 합성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왁스는, 예를 들어, 카나우바 왁스이다. 상기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셀룰로스 나이트레이트(CN),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명명된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예를 들어 실리콘 결합제, 폴리실록산 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또한, 필름 웹은 하나 이상의 보호 바니시 층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바니시 층은 바람직하게는 0.1㎛에서 50㎛ 사이의, 특히 1㎛에서 10㎛ 사이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보호 바니시 층은 바람직하게는 PMMA, PVC 및/또는 아크릴레이트의 층이다.
보호 바니시 층은 PMMA-기반 바니시로 만들어진 보호 바니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바니시는 방사선 경화 이중 경화 바니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경화 바니시는 액상으로 도포하는 동안 및/또는 도포한 후에 제 1 단계에서 열적으로 미리 가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단계에서, 특히 전사 필름으로 형성된 필름 웹의 가공 후, 이중 경화 바니시는 특히 고에너지 방사선, 바람직하게는 UV 방사선을 통해 완전하게 후가교 결합된다. 이러한 유형의 이중 경화 바니시는 불포화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기를 갖는 다양한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작용기는 특히 제 2 단계에서 완전히 서로 가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열적 예비 가교 결합을 위해, 이들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의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알콜기가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알콜기는 다기능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로 가교 결합될 수 있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특히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양한 UV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로서 고려된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 TDI(TDI=톨루엔-2,4-디 이소시아네이트), HDI(HDI=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IPDI=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차단된 그리고 차단되지 않은 대표(representative)들이 모두 고려될 수 있다. 멜라민 가교 결합제는 완전히 에테르화된 형태일 수 있고, 이미노 유형이거나 벤조구아나민 대표일 수 있다.
또한, 보호 바니시 층은, 15㎛로부터 30㎛까지의 층 두께를 특히 갖고, PMMA(PMMA=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기초한 바니시 또는 PVDF(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PMMA의 혼합물에 기초한 바니시로 제조된 보호 바니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바니시는 전사 필름에 필요한 기계적 취성(brittleness)을 가져오고 전사 플라이 표면의 전사된 영역의 원하는 바깥 경계에서 충분히 정밀하고 깨끗하게 전사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필름 웹은 베이스 코트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코트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층 및/또는 접착 촉진 층이다.
베이스 코트는 1㎛에서 5㎛까지의 범위의 층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코트로 고려되는 원료는 불활성 이소시아네이트와 조합되는 폴리우레탄-폴리올 또는 PMMA, PVC,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수지이다. 베이스 코트는 무기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모티프는 예를 들어, 그래픽적으로 형성된 윤곽, 형상 묘사(figural representation), 이미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설계 소자, 심볼, 로고, 인물 묘사(portrait), 패턴, 영숫자 문자, 텍스트, 색상 디자인 등일 수 있다.
제 2 단계(102)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필름 웹들의 전달은, 적어도 2개의 캐비티, 특히, 위에서 봤을 때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갖는, 사출 금형내에서 이뤄진다.
제 3 단계(103)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의 정렬은 개별적인 모티프가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해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 단계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시퀀스에 상응하게 수행된다.
도 2a는 필름 웹을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 1 단계(201)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브(motif)를 갖는 2개의 필름 웹이 제공된다.
제 2 단계(202)에서, 모티프를 갖는 필름 웹은 특히 공급 장치에 의해 사출 금형에 제 1 단계에서 전달된다.
제 3 단계(203)에서, 필름 웹은, 개별적인 모티프가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도록 정렬된다.
단계들(202, 203)은 특히 필름 이송 평균 속도 및/또는 필름 이송 거리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다.
도 2b는 필름 이송 평균 속도를 명시하는 도식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202)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은 제 2 단계(203)에서 보다 더 높은 필름 이송 평균 속도로 이송된다. 제 2 단계(203)에서, 낮은 필름 이송 평균 속도에 의해, 모티프들의 정렬은 특히 공급 방향 및/또는 개별적인 캐비티에 대하여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뤄진다. 이로써 한편으로, 모티프는 캐비티의 영역에 빠르게 도입되고, 다른 한편으로, 캐비티내의 정확한 포지셔닝이 달성되어서 처리 시간이 더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제 1 단계(202)에서,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특히 1mm/s에서 1000mm/s 사이, 바람직하게는 250mm/s에서 750mm/s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mm/s에서 550mm/s사이다.
제 2 단계(203)에서,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특히 1mm/s 내지 100mm/s, 바람직하게는 5mm/s 내지 50mm/s이다.
또한, 제 1 단계(202) 및 제 2 단계(203)에서의 필름 이송 거리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단계(202)의 필름 이송 거리가 제 2 단계(203)보다 더 클 경우 유리하다. 제 1 단계(202)에서, 필름 이송 거리는 특히, 10mm에서 50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00mm에서 3500mm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2500mm에서 3000mm사이다.
제 2 단계(203)에서, 필름 이송 거리는 특히 3mm와 5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3mm와 10mm 사이이다. 제 2 단계(203)에서의 이러한 필름 이송 거리는 가늠표의 크기에 특히 의존한다. 가늠표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약 3mm×3mm 내지 20mm×20mm의 크기, 특히 약 3mm×3mm 내지 10mm×10mm의 크기를 갖는다. 스트립 형태의 "무한한" 가늠표의 경우,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3mm 내지 20mm, 특히 약 3mm 내지 10mm이다. 가늠표의 길이 및 너비는 각 경우마다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늠표는 또한 10mm×8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가 검출될 때, 제 1 단계(202)과 제 2 단계(203) 사이의 변화가 발생하면 유리하다. 따라서, 제 1 단계(202)는 높은 장비 비용 없이 신속하게 통과(negotiate)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단계(202)에서 커버된 거리는 특히 블라인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섹션은 제 1 단계(202)의 필름 이송 거리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블라인드 섹션은 제 1 단계(202)의 필름 이송 거리의 시작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블라인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단계(202)의 필름 이송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단계(202)의 끝에서 다음의 가늠표의 신뢰성 있는 인식이 가능해진다. 가늠표 및/또는 모티프가 인식된 직후, 바람직하게는 제 2 단계(203)로의 그리고 그로 인한 더욱 정확한 위치 정확도로의 전환이 발생하고 필름 이송 속도는 감소된다. 여기서, 제 2 단계(203)는 특히 가늠표의 제 1 인식 외부 에지에서 시작하여, 특히 가늠표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외부 에지에서 끝난다. 가늠표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외부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이송 속도가 낮기 때문에 특정 정확도로 검출될 수 있다.
도 3은 시스템(10)상에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은 필름 웹(1, 1')을 위한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공급 장치는 2개의 필름 페이-오프(pay-off) 릴(2, 2')과 2개의 필름 테이크-업(take-up) 릴(3, 3')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하나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이 필름 웹(1, 1')에 할당된다.
공급 장치는 도 3에서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공급 방향을 갖는다. 공급 방향은 필름 웹(1, 1')이 필름 테이크-업 릴(2, 2')로부터 필름 테이크-업 릴(3, 3')의 방향으로 안내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페이-오프 릴(2, 2') 및 필름 테이크-업 릴(3, 3')은 x 및 y 좌표로 뻗어있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필름 테이크-업 릴(3, 3') 사이를 나아가는 웹(1, 1')은 특히 y 축을 따라 나아가고, 그 결과 공급 방향 또한 y 축의 방향으로 나아간다.
상면도는 여기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에 대한 상면도를 의미한다. 상면도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표면 법선의 방향으로부터, 그러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그리고/또는 사출 금형(4)의 개/폐 방향으로 관찰된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이 x 및 y 좌표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놓일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도의 방향은 z 방향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출 금형(4)은 캐비티(5)를 갖는다. 사출 금형(4)은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면도에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를 갖는다.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은 도 3에서 파선 이중 화살표로 표현된다. 또한, 사출 금형(4)은 공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캐비티(5)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사출 금형(4)은 공급 방향으로 2개의 캐비티(5) 그리고 따라서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있는 2개의 캐비티(5)를 갖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사출 금형(4)에 의해, 4개의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캐비티(5)는 그리드에 따라, 특히 1차원 또는 2차원 그리드에 따라 유리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공급 방향의 그리드 폭은 바람직하게는 1mm에서 1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40mm 사이이다. 또한, 공급 방향에 수직인 그리드 폭은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20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1000mm 사이이다.
또한, 사출 금형(4)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 및/또는 진공 흡입을 가질 수 있다. 공급 방향 및/또는 그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특히 ±0.05mm, 바람직하게는 ±0.02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의 공차로, 캐비티(5)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모티프(6)를 고정하는 것이 여기서 달성된다.
모티프(6)는 바람직하게는 캐비티(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모티프(6)는 바람직하게는 캐비티(5)보다 적어도 1%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모티프(6)는 모든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mm에서 20mm 사이로 캐비티(5)에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필름 웹(1, 1') 및/또는 필름 웹(1, 1')은 상이한 모티프(6)를 가질 수도 있다. 모티프(6)는 개별적인 이미지 및 무한한 모티프 양쪽 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필름 웹(1, 1')은 가늠표(7, 7')를 갖는다. 필름 웹(1, 1')의 정렬은 바람직하게는 가늠표(7, 7')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가늠표(7, 7')는 바람직하게는, 가늠표에 의해, 공급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늠표(7, 7')가 개별적인 모티프(6)에 할당된다. 이로써, 가늠표(7)들 중 하나의 가늠표에 의해, 공급 방향으로 할당된 모티프(6)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다른 가늠표(7')에 의해,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할당된 모티프(6)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가늠표(7, 7')가 개별적인 모티프(6)에 할당되어, 이러한 가늠표(7, 7')에 의해, 이러한 공급 방향으로 그리고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할당된 모티프(6)로부터의 가늠표(7, 7')의 거리는 가능한 작고, 특히 거리는 5mm와 500mm 사이, 특히 15mm와 200mm 사이인 것이 편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늠표(7, 7')는 각각의 경우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 상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또한, 가늠표(7, 7')가 각각의 경우에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양 측면 에지 상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은 양 측면 또는 대향하는 측면에서 가늠표(7, 7')를 가질 수 있다.
가늠표(7, 7')는 고정된 기하학적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늠표(7, 7')들은 유리하게는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또한, 가늠표(7, 7')가 점(dot), 십자 마크, 화살표, 다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가늠표(7, 7')는 실질적으로 필름 웹(1, 1')을 따라, 특히 공급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7, 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브(6)를 검출하기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더 갖는다.
따라서, 센서(8)는 투과광 및/또는 반사광 센서 일 수 있다. 투과광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포크 라이트 배리어(fork light barrier)이고 반사광 센서는 반사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캐비티(5)로부터 5mm와 2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mm와 50mm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모티프(6)의 위치 설정 정확도는 이로써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필름 웹(1)의 영역, 특히 필름 웹(1)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도록 배치되고, 위에서 볼 때 다른 필름 웹(1, 1')으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하나의 필름 웹(1, 1')의 측 상에 놓인다. 특히 사출 금형(4)에 대한 센서(8)의 파괴적인 영향이 방지된다. 특히, 사출 금형(4)이 개폐될 때 센서(8)가 사출 금형(4)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9)를 갖는다. 시스템(10)의 제어 장치(9)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편의상, 시스템(10)의 제어 장치(9)는 사출 금형(4)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제어 장치(9)는,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한 개별적인 모티프(6)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후에, 제어 장치(9)가 사출 금형(4)을 작동시켜서, 특히 사출 금형(4)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시스템(10)의 섹션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웹(1, 1')은 가늠표(7, 7')를 갖는다. 가늠표(7)는 개별 필름 웹(1, 1')의 공급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가늠표(7')는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별적인 필름 웹(1, 1')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가늠표(7)가 개별 필름 웹(1,1')의 y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고, 가늠표(7')가 개별 필름 웹(1,1')의 x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센서(8, 8')를 갖는다. 각 센서(8, 8')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가늠표(7, 7')에 할당된다. 이는 센서(8)가 가늠표(7)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고, 센서(8')가 가늠표(7')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8, 8')는 가늠표(7, 7')를 검출하기 위해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8, 8')의 경우, 개구가 사출 금형(4)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5a는 시스템(1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은 필름 웹(1, 1')을 위한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는 2개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 및 2개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을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하나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이 필름 웹(1, 1')에 할당된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사출 금형(4)은 캐비티(5)을 갖는다. 사출 금형(4)은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면도에 배치된 2개의 캐비티(5)을 갖는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사출 금형(4)은 공급 방향으로 2개의 캐비티(5)을 갖는다 .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사출 금형(4)으로, 4개의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은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은 2개의 금형 반부를 갖는다. 모티프(6)를 갖는 필름 웹(1, 1')은 2개의 몰드 반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적절하게는, 개별적인 캐비티(5)에 대한 모티프(6)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이후에, 특히 다음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더 이루어지며, 이는 릴리스 신호의 생성 후에 특히 수행된다:
- 사출 금형(4)을 폐쇄하는 단계;
- 적어도 영역들에서 플라스틱 화합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상기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는 상기 모티프(6)를 후방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사출 금형(4)을 개방하는 단계;
- 후방 사출 성형된 상기 모티프(6)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캐리어 층으로부터 벗기는 단계;
-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도 6a는 필름 웹(1, 1')의 정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6, 6')를 갖는 2개의 필름 웹(1, 1')이 도 6a에 도시된다. 필름 웹(1, 1') 및 모티프(6, 6')의 디자인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도 6a는 분리 신호(11)가 각 캐비티(5)에 할당되는 릴리스 신호의 발생을 도시한다. 릴리스 신호(11)는, 대응하는 모티브(6)가 개별적인 캐비티(5)에서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될 때까지 각각의 경우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리스 신호(11)는 공급 방향으로 및/또는 캐비티(5)에 관하여 정렬된 개별적인 모티프(6)에 대하여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 0.05㎜ 미만의 편차의 경우에만 각각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이한 공차, 특히 공급 장치의 기계적 공차, 필름의 제조에서의 제조 공차, 특히 필름의 압력 공차 및 재료 특성, 특히 그의 신장 계수를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티브(6) 중 2개는 대응 캐비티(5)에 대해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어, 릴리스 신호(11)가 이미 이들 각각에 대해 존재한다. 대조적으로, 모티프(6')는 모티프(6')에 할당된 캐비티(5)에 대해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지 않아, 릴리스 신호(12)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릴리스 신호(11)가 생성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제어 장치(9)는 후방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아직 시작하지 않는다. 제어 장치(9)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웹(1)의 추가 필수 정렬을 수행하여, 모티프(6')가 또한 상응하는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티프(6) 모두는 대응 캐비티(5)에 대해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며, 그 결과 모든 릴리스 신호(11)가 존재한다. 제어 장치(9)는 릴리스 신호(11)를 검출하여 후방 사출 성형 공정을 시작한다.
도 7은 공급 장치(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공급 장치(20)에서,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6)를 갖는 2개의 필름 웹(1,1')이 공급 방향으로 이송된다. 공급 장치(20)는 2개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2개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을 포함하며, 하나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하나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은 각각 필름 웹(1, 1')에 할당된다.
공급 장치(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전달 및/또는 정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캐비티에 대한 모티프(6)의 높은 가늠 정확도는 각 필름 웹(1, 1')에 대해 달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필름 웹(1, 1')의 모티프(6) 및/또는 필름 웹(1, 1')의 모티프(6)의 상이한 공차에 개별적으로 반응 할 수 있다. 가늠 정확도가 더 높아진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이 동기적으로 제공, 전달 및/또는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공급 장치(20)는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정렬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장치(20)는 2개의 조정 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 하나의 조정 장치가 하나의 필름 웹(1, 1')에 할당된다.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 중 하나의 정렬 또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장치는 제 1 및 제 2 스테퍼 모터를 포함하며, 제 1 스테퍼 모터는 공급 방향으로의 필름 웹(1, 1')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정렬을 위해 형성되고 제 2 스테퍼 모터는 또는 공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모든 필름 웹(1, 1')의 정렬을 위해 형성된다.
편의상, 여기서 스테퍼 모터는 최소 스텝 크기가 0.005mm, 바람직하게는 0.001mm이다. 또한, 스테퍼 모터는 2000mm/s의 최대 속도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모티브(6)를 갖는 2개의 필름 웹(1, 1')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렬이 가능해진다.
스테퍼 모터 대신에, 조정 장치는 2000mm/s의 최대 속도를 가진 서보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서보 모터는 고정 스텝 길이와 독립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위치지정 할 수 있으므로 고정된 위치에 도달하고 그리고/또는 제어 신호에 매우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는 필름 페이-오프 릴(2, 2') 및/또는 필름 테이크-업 릴(3, 3')의 일부인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공급 장치(20)는 특히 가늠표(7, 7') 및/또는 모티프(6)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더 갖는다. 센서(8)의 설계 및/또는 배치에 관해서는 상기 언급이 여기서 참조된다.
공급 장치(20)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9)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공급 장치(20)의 제어 장치(9)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특히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필름 웹(1, 1')에 서로 독립적으로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도 8은 필름 웹(1)의 모티프(6)에 대한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모티프(6)는 예를 들어, 그래픽적으로 형성된 윤곽, 형상 묘사, 이미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설계 소자, 심볼, 로고, 인물 묘사, 패턴, 영숫자 문자, 텍스트, 색상 디자인 등 일 수 있다.
필름 웹(1)은 모티프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모티프(6)는 모티프가 없는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각각의 경우에 모티프(6)와 필름 웹(1)의 측면 에지 사이 및/또는 모티프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개별적인 모티프(6) 주위에 프레임, 특히 원주형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티프가 없는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550mm 사이, 특히 25mm에서 300mm사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프가 없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 영역(21)과 제 2 부분 영역(22)을 가지며, 특히 제 1 부분 영역(21)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의 위치 결정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그리고/또는 제 2 부분 영역(22)은 가늠표의 위치 설정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 영역(21)은 모티브(6)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또한 모티프(6)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배치된다. 클램핑 장치에 의한 필름 웹들의 고정이 모티프(6)에 가능한 한 가깝게 달성되어서, 스트레칭, 링클링(wrinkling) 등과 같은 간섭 요인이 최소화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 영역(22)과 모티브(6)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부분 영역(21)은 모티프(6)와 제 2 부분 영역(22)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 영역(22)에 배치된 가늠표는 센서에 의해보다 쉽게 검출될 수 있거나 센서의 보다 용이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제 1 부분 영역(21)은 바람직하게는 5mm에서 50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에서 200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제 2 부분 영역(22)은 바람직하게는 5mm와 5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와 30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1, 1' 필름 웹
2, 2' 필름 페이-오프(pay-off) 릴
3, 3' 필름 테이크-업(take-up) 릴
4 사출 금형
5 캐비티
6, 6' 모티프
7, 7' 가늠표
8 센서
9 제어 장치
10 시스템
11 릴리스(release) 신호
12 노 릴리스(no release) 신호
20 공급 장치
21, 22 부분 영역
101, 102, 103, 201, 202, 203 단계

Claims (33)

  1. 공급 방향을 갖는 공급 장치(20) 및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를 갖는 사출 금형(4)에 의해 필름 웹(web)(1, 1'), 특히 IMD 필름 웹(1, 1')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 상기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제공하는 단계;
    -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사출 금형(4)에 전달하는 단계;
    - 개별적인 모티프(6)가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registered accurate)배치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전달되고 그리고/또는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정렬 및/ 또는 전달은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register mark)(7, 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정렬 및/또는 전달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각각 필름 웹의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6)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정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7, 7')의 위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6)의 위치와 상기 캐비티(5)의 미리 결정된 위치와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 금형(4)은 상기 공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캐비티(5)를 가지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1')의 각각에 있어서, 다수의 모티프(6)는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특히, 동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1, 1')의 전달 및/또는 정렬은 제 1 단계 및/또는 제 2 단계(202, 203)를 포함하며, 단계들(202, 203)은 특히 필름 이송 평균 속도 및/또는 필름 이송 거리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202)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은 상기 제 2 단계(203)에서 보다 더 높은 필름 이송 평균 속도로 그리고/또는 더 긴 필름 이송 거리에 걸쳐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202)에서, 상기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1mm/s와 1000mm/s 사이, 바람직하게는 250mm/s와 750mm/s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450mm/s와 550mm/s 사이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필름 이송 거리는 10mm에서 50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00mm에서 3500mm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2500mm에서 3000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203)에서, 상기 필름 이송 평균 속도는 1mm/s와 100mm/s 사이, 바람직하게는 5mm/s와 50mm/s 사이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필름 이송 거리는 3mm와 5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3mm와 10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7, 7') 및/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6)가 검출될 때, 제 1 단계(202)로부터 제 2 단계(203)로의 전환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한 개별적인 모티프(6)의 가늠이 정확한 배치 후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에 의해 그리고/또는 진공 흡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하여 개별적인 모티프(6)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후에, 릴리스 신호가 각각의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릴리스 신호의 생성 후에 수행되는 다음 단계들:
    - 사출 금형(4)을 폐쇄하는 단계;
    - 적어도 영역들에서 플라스틱 화합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상기 캐비티(5)에 관하여 정확하게 가늠이 맞게 배치되는 상기 모티프(6)를 후방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사출 금형(4)을 개방하는 단계;
    - 후방 사출 성형된 상기 모티프(6)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캐리어 층으로부터 벗기는 단계;
    -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방향을 갖는 공급 장치(20)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은 상기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모티프(6)를 갖는 공급 장치(20)이며,
    적어도 2개의 필름 페이-오프(pay-off) 릴(2, 2') 및 적어도 2개의 필름 테이크-업(take-up) 릴(3, 3')을 포함하며, 하나의 필름 페이-오프 릴(2, 2')과 하나의 필름 테이크-업 릴(3, 3')은 각각의 필름 웹(1, 1')에 할당되는, 공급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전달되고 그리고/또는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20)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7, 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6)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투과 광 및/또는 반사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을 특히,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를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
  20. 모티프(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을 후방 사출 성형하기 위한 사출 금형(4)으로서, 평면도 상으로, 상기 필름 웹(1, 1')은 상기 필름 웹(1, 1')의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사출 금형(4)은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를 갖는, 사출 금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평면도 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는 상기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 특히,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5)가 각각의 필름 웹(1, 1')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사출 금형(4)은 상기 공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캐비티(5)를 갖는 것 그리고/또는 상기 공급 방향으로 하나의 캐비티가 다른 하나의 캐비티 뒤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5)는 각각의 필름 웹(1, 1')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23.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5)는 그리드, 특히 1차원 그리드 또는 2차원 그리드에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방향으로의 그리드 폭은, 1mm에서 1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mm에서 40mm 사이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공급 방향에 수직인 상기 그리드 폭은 10mm에서 20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1000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25.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프 프레임 및/또는 진공 흡입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26. 시스템(10)으로서,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급 장치(20) 및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출 금형(4)을 포함하는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늠표(7, 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티프(6)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5mm에서 20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5mm에서 50mm 사이인, 캐비티(5)들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로부터의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필름 웹(1, 1')의 영역들, 특히 필름 웹(1, 1')의 에지 영역들을 실질적으로 검출하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으로, 상기 영역들은 각각의 경우에 다른 하나의 필름 웹(1, 1')으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하나의 필름 웹(1, 1')의 일측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9)를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 및/또는 상기 사출 금형(4)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9)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름 웹(1, 1')의 공급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청구항 26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9)는, 개별적인 캐비티(5)에 관하여 개별적인 모티프(6)의 정확하게 가늠이 맞는 배치 후에, 상기 제어 장치(9)가 상기 사출 금형(4)을 구동시키고, 특히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사출 금형(4)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97012149A 2016-09-27 2017-09-27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KR102384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8259.1 2016-09-27
DE102016118259.1A DE102016118259A1 (de) 2016-09-27 2016-09-27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Folien sowie eine Vorschubeinrichtung, ein Spritzgusswerkzeug und ein System
PCT/EP2017/074453 WO2018060225A1 (de) 2016-09-27 2017-09-27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folien sowie eine vorschubeinrichtung, ein spritzgusswerkzeug und ei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478A true KR20190062478A (ko) 2019-06-05
KR102384720B1 KR102384720B1 (ko) 2022-04-08

Family

ID=600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149A KR102384720B1 (ko) 2016-09-27 2017-09-27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200016802A1 (ko)
EP (1) EP3519155B1 (ko)
JP (1) JP6977044B2 (ko)
KR (1) KR102384720B1 (ko)
CN (1) CN109952183A (ko)
BR (1) BR112019005555B1 (ko)
CA (1) CA3037620A1 (ko)
DE (1) DE102016118259A1 (ko)
ES (1) ES2899370T3 (ko)
HR (1) HRP20211925T1 (ko)
HU (1) HUE057076T2 (ko)
MX (1) MX2019003389A (ko)
PL (1) PL3519155T3 (ko)
PT (1) PT3519155T (ko)
TW (1) TWI762514B (ko)
WO (1) WO2018060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3571B2 (ja) * 2017-04-06 2020-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飾成形方法
CN108724680A (zh) * 2018-05-11 2018-11-02 宁波诚德兴汽车饰件有限公司 Imd膜片成型机
DE102018009202A1 (de) 2018-11-23 2019-04-25 Daim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3D-geformten Displayglases,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s solchen Verfahrens, und Display mit einem solchen 3D-geformten Displayglas
DE102018009185A1 (de) 2018-11-23 2019-04-25 Daim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3D-geformten Displayglases,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s solchen Verfahrens, und Display mit einem solchen 3D-geformten Displayglas
DE102019004783A1 (de) * 2019-07-09 2021-01-28 Daim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astenfeld-Folienoberfläche sowie Tastenfeld-Folienoberfläch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58A (ja) * 1996-06-24 1998-01-13 Apic Yamada Kk 樹脂モールド装置におけるリリースフィルムの供給機構
JP2000210971A (ja) * 1999-01-25 2000-08-02 Sony Corp インモ―ルド成形装置及びインモ―ルド箔
JP2003062869A (ja) * 2001-08-30 2003-03-05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の金型装置
US20070194489A1 (en) * 2006-02-20 2007-08-23 Yoshida Indust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8462D1 (en) * 1982-08-17 1988-1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rticles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patterns thereon
US4537739A (en) 1983-08-22 1985-08-27 Replicap Products, Inc. Production of molded plastic articles with artwork thereon
JPS62128720A (ja) 1985-11-29 1987-06-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射出同時成形法
JPH0675891B2 (ja) * 1990-09-28 1994-09-2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DE4038126C2 (de) 1990-11-27 1993-12-16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ekorierten Chip-Karte
JP3514571B2 (ja) 1995-12-28 2004-03-3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2色成形同時絵付け品の製造方法
JP2000037753A (ja) * 1998-07-22 2000-02-08 Nissha Printing Co Ltd 射出成形用金型と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3857608B2 (ja) * 2002-03-29 2006-12-13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加飾付き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4074476A (ja) * 2002-08-12 2004-03-11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同時転写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TWI325813B (en) * 2003-03-03 2010-06-11 Ykk Corp Transferring and molding method and transferring and molding apparatus
DK1717011T3 (da) * 2004-02-18 2011-05-23 Nissha Printing I-form dobbeltsidet dekorationsfor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form dobbeltsidet dekoreret produkt
JP2006272883A (ja) * 2005-03-30 2006-10-12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成形装置及び転写成形方法
JP4789645B2 (ja) * 2006-02-20 2011-10-1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MX2010003597A (es) 2007-10-04 2010-04-21 Nissha Printing Metodo simultaneo de decoracion y moldeo por inyeccion.
WO2010024095A1 (ja) * 2008-08-27 2010-03-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成形同時加飾装置
JP5522946B2 (ja) * 2009-01-15 2014-06-18 サン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100086563A (ko) *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전사 성형 장치
JP6520133B2 (ja) * 2015-01-16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導電性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58A (ja) * 1996-06-24 1998-01-13 Apic Yamada Kk 樹脂モールド装置におけるリリースフィルムの供給機構
JP2000210971A (ja) * 1999-01-25 2000-08-02 Sony Corp インモ―ルド成形装置及びインモ―ルド箔
JP2003062869A (ja) * 2001-08-30 2003-03-05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の金型装置
US20070194489A1 (en) * 2006-02-20 2007-08-23 Yoshida Indust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7044B2 (ja) 2021-12-08
BR112019005555B1 (pt) 2023-04-18
TW201817579A (zh) 2018-05-16
HUE057076T2 (hu) 2022-04-28
EP3519155B1 (de) 2021-10-20
ES2899370T3 (es) 2022-03-11
US20200016802A1 (en) 2020-01-16
EP3519155A1 (de) 2019-08-07
PT3519155T (pt) 2021-11-23
WO2018060225A1 (de) 2018-04-05
JP2019529195A (ja) 2019-10-17
PL3519155T3 (pl) 2022-02-07
HRP20211925T1 (hr) 2022-03-18
CN109952183A (zh) 2019-06-28
TWI762514B (zh) 2022-05-01
MX2019003389A (es) 2019-06-06
DE102016118259A1 (de) 2018-03-29
CA3037620A1 (en) 2018-04-05
KR102384720B1 (ko) 2022-04-08
BR112019005555A2 (pt)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720B1 (ko)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 및 공급 장치, 사출 금형 및 시스템
EP3094478B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10875222B2 (en) Plastic moulded par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S2357671T3 (es) Procedimiento para la aplicación de recubrimientos sobre superficies.
CN101879498B (zh) 卷对卷式图案化装置和具有该图案化装置的图案化系统
KR102071091B1 (ko) 제 1 필름 웹과 제 2 필름 웹의 접합 방법 및 장치
WO20000308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otational moulding of surface relief structures
US2018002199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Article and Composite Article
CN103676066B (zh) 镜头及其制造方法
US20140302190A1 (en) Molding rol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2005536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ilm intermediate product, film intermediate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oduct
KR20050024300A (ko) 표면에 코팅재를 도포하는 방법
TW202136016A (zh) 用於裝飾射出成型件之方法與裝置及射出成型件
KR102043809B1 (ko) 다종 소재 적층용 3d 프린터
EP1872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ymeric article
US11041977B2 (en) Optical printing positional system
CN115148094A (zh) 用于制造窗构件的装置和制造窗构件的方法
GB2443498A (en) A method of manufacture of an identifica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