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715A -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715A
KR20190061715A KR1020170160380A KR20170160380A KR20190061715A KR 20190061715 A KR20190061715 A KR 20190061715A KR 1020170160380 A KR1020170160380 A KR 1020170160380A KR 20170160380 A KR20170160380 A KR 20170160380A KR 20190061715 A KR20190061715 A KR 2019006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ibration
warning
vehicl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1715A/ko
Publication of KR2019006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이나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경고나 알림 발생이 필요할 때 경고 종류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다르게 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경고 종류를 인지하고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전방의 위험을 감지하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차량의 측방/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 감지에 따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핸들을 돌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차선 이탈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시스템을 판별하고,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여 진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제어부 및 발생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여,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Warning system using vehicle steering whe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이나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경고나 알림 발생이 필요할 때 경고 종류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다르게 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경고 종류를 인지하고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안전운전을 위해 다양한 경고 및 알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마련된 경고나 알림 장치는 경고음을 이용하거나 계기판(클러스터)을 이용하여 이미지나 문자 등의 방법으로 경고를 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경고음은 경고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경고음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성능이 날로 향상되어 차량 운행 중에 발생하는 차선 이탈, 앞차와의 근접접근 등과 같은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상황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해주는 경고장치도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차량의 경고장치에 대하여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상황을 운전자가 진동을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용 핸들에 진동체를 설치하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들에 구비된 진동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의 주행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 조향 휠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조향 휠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MDPS 모터, 위급상황 감지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입력받아 차속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속에 따른 진동 토크를 산출하여 MDPS 모터에 진동 지령 값을 출력하고, 진동 감지부로부터 진동 값을 입력받아 진동 지령 값과 비교하여 가진이 발생된 경우 진동 지령 값의 출력을 중지하고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동력 조향장치의 MDPS 모터를 이용하여 조향 휠을 진동시킴으로써 위급상황 감지장치의 경고신호에 대응하여 경고를 발생시킬 때 외부요인에 의한 공진으로 인해 조향 휠의 진동이 가진되면 조향 휠의 진동을 정지시키고 시청각적으로 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1724(2017.03.31. 공고)(차량용 핸들에 구비된 진동 경고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62909(2016.06.03. 공개)(조향휠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경고장치 및 종래기술들은 차량의 위험 상태에 대하여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것은 가능하나, 위험 발생시 항상 동일한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경고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발생한 위험 종류를 인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발생한 위험 종류를 인지하게 되면, 그에 알맞게 최적의 대응을 할 수 있으나, 기존 기술들은 위험 종류를 운전자가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로 구현되어,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이나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경고나 알림 발생이 필요할 때 경고 종류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다르게 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경고 종류를 인지하고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위험을 감지하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차량의 측면 및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 감지에 따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핸들을 돌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차선 이탈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과 연동하여,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시스템을 판별하고,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여 진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제어부; 상기 경보 제어부에서 발생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보 제어부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은, (a) 경보 제어부에서 경보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을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진동 패턴으로 진동 모터를 구동시켜 운전자에게 발생한 경보 종류를 인지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의 시스템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각각의 시스템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이나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경고나 알림 발생이 필요할 때, 경보 종류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다르게 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경보 종류(동작 시스템)를 인지하고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내지 2c는 경고를 발생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 경보 제어부(2),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 및 진동 모터(5)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진급 제동시스템(1)은 차량 전방의 위험을 감지하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며,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은 차량의 측면 및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 감지에 따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고,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은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핸들을 돌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차선 이탈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2)는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과 연동하여,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시스템을 판별하고,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여 진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보 제어부(2)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모터(5)는 상기 경보 제어부(2)에서 발생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게 진동을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진동을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핸들(스티어링 휠)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경보 제어부(2)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을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를 통한 연동은 차량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캔(CA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연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각각의 시스템, 즉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은 각각 개별적으로 차량 상태를 통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은 전면부에 부착된 카메라나 레이더를 이용하여 전방이 위험을 감지하고, 전방의 위험이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차량 속도를 줄이거나 차량이 정지하도록 동작을 한다.
또한,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은 도로를 운전중인 운전자에게 시야가 불량한 측면이나 후방의 사각지대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차량이 존재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도 차량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거나 부주의로 차선을 벗어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핸들을 자동으로 돌려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을 한다.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과 연동하는 경보 제어부(2)는, 상기 3개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에서라도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수신한 경보 신호가 어느 시스템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경보 신호를 발생한 시스템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시스템과 연결 포트를 다르게 구현하여 연결 포트를 통해 어느 시스템인지 구분하거나, 단일의 연결 포트를 이용하되 각각의 시스템에 미리 시스템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번호(ID)를 부여하고, 경보 신호 발생 시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시스템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자인 고유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고유번호를 통해 경보 신호를 발생한 시스템(경보 종류)을 구분한다.
경보 제어부(2)는 경보신호를 발생한 시스템을 판별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한다. 도 2a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을 인지시켜주기 위한 진동 패턴이며, 도 2b는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을 인지시켜주기 위한 진동 패턴이고, 도 2c는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을 인지시켜주기 위한 진동 패턴이다. 여기서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을 인지하기 위한 진동 패턴의 진동 주기가 가장 짧고,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을 인지하기 위한 진동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의 진동 주기보다 길며, 차선 이탈 자동 복귀시스템을 인지하기 위한 진동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의 진동 주기보다 길다.
다음으로, 경보 제어부(2)는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한 후, 추출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진동 모터(5)에 인가한다. 여기서 경보 제어부(2)는 진동패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또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모터(5)는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 그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패턴과 동일하게 진동 모터를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한다. 즉, 진동 모터(5)는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 주기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핸들에 장착된 진동 모터(5)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진동 패턴을 통해 신속하게 어느 시스템에 경보가 발생했는지를 인지하게 되고, 그에 알맞게 차량을 동작시킴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진동 패턴만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경보 종류)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경보 제어부(2)에서 경보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을 판별하는 단계(S11, S13, S14), (b) 상기 (a)단계에서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진동 패턴으로 진동 모터를 구동시켜 운전자에게 발생한 경보 종류를 인지시켜주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상기 (b)단계의 시스템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각각의 시스템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경보 제어부(2)는 단계 S11, S13, S14에서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을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를 통한 연동은 차량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캔(CAN)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연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각각의 시스템, 즉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은 각각 개별적으로 차량 상태를 통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은 전면부에 부착된 카메라나 레이더를 이용하여 전방이 위험을 감지하고, 전방의 위험이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차량 속도를 줄이거나 차량이 정지하도록 동작을 한다.
또한,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은 도로를 운전중인 운전자에게 시야가 불량한 측면이나 후방의 사각지대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차량이 존재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도 차량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거나 부주의로 차선을 벗어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핸들을 자동으로 돌려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을 한다.
단계 S12에서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1)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3)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4)과 연동하는 경보 제어부(2)는, 상기 3개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에서라도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수신한 경보 신호가 어느 시스템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경보 신호를 발생한 시스템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시스템과 연결 포트를 다르게 구현하여 연결 포트를 통해 어느 시스템인지 구분하거나, 단일의 연결 포트를 이용하되 각각의 시스템에 미리 시스템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번호(ID)를 부여하고, 경보 신호 발생 시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시스템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자인 고유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고유번호를 통해 경보 신호를 발생한 시스템(경보 종류)을 구분한다.
경보 제어부(2)는 경보신호를 발생한 시스템을 판별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한다. 진동 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은 도 1의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경보 제어부(2)는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한 후, 추출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진동 모터(5)에 인가한다. 여기서 경보 제어부(2)는 진동패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또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모터(5)는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 그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패턴과 동일하게 진동 모터를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한다. 즉, 진동 모터(5)는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 주기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동시에 여러 시스템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경보 신호를 발생한 시스템의 순서를 정하고, 정한 순서에 따라 교번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으로부터 동시에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도 2a와 같은 진동 패턴의 진동을 소정 시간 발생하고, 이어 도 2c와 같은 진동 패턴의 진동을 소정 시간 발생하며, 이어, 다시 도 2a와 같은 진동 패턴의 진동을 소정 시간 발생하고, 이어, 도 2c와 같은 진동 패턴의 진동을 소정 시간 발생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핸들에 장착된 진동 모터(5)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진동 패턴을 통해 신속하게 어느 시스템에 경보가 발생했는지를 인지하게 되고, 그에 알맞게 차량을 동작시킴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진동 패턴만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경보 종류)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복수의 경보 시스템 중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경보가 발생하면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에 적용된다.
1: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2: 경보 제어부
3: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4: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5: 진동 모터

Claims (4)

  1. 차량 핸들의 진동을 통해 발생한 위험 종류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으로서,
    차량 전방의 위험을 감지하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
    차량의 측면 및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 감지에 따른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핸들을 돌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차선 이탈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상기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과 연동하여,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경보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시스템을 판별하고,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여 진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제어부; 및
    상기 경보 제어부에서 발생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경보 제어부는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3. 차량 핸들의 진동을 통해 발생한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경보 제어부에서 경보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한 시스템을 판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판별한 시스템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진동 패턴으로 진동 모터를 구동시켜 운전자에게 발생한 경보 종류를 인지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
  4. 청구항 3에서, 상기 (b)단계의 시스템은 자동 긴급 제동시스템과 측방/후방 경보 시스템 및 차선이탈 자동 복귀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각각의 시스템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방법.



KR1020170160380A 2017-11-28 2017-11-28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1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80A KR20190061715A (ko) 2017-11-28 2017-11-28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80A KR20190061715A (ko) 2017-11-28 2017-11-28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15A true KR20190061715A (ko) 2019-06-05

Family

ID=6684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80A KR20190061715A (ko) 2017-11-28 2017-11-28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17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09A (ko) 2014-11-26 2016-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1724B1 (ko) 2013-11-29 2017-03-3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핸들에 구비된 진동 경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24B1 (ko) 2013-11-29 2017-03-3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핸들에 구비된 진동 경고장치
KR20160062909A (ko) 2014-11-26 2016-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60509B (zh) 用于基于碰撞置信度最小化自动制动侵扰的方法
CN105818812A (zh) 用于车辆的高级驾驶员辅助系统
KR20130139928A (ko) 차량 안전 제어 디바이스의 반응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30399B1 (ko) V2v통신을 이용한 추돌 위험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1478068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2526318A (ja) 自動車用警報装置
JP2008531388A (ja) 車両の車線変更時の衝突回避方法及び装置
CN108263380A (zh) 考虑行人注视方式的行人碰撞预防装置和方法
JP6090396B2 (ja) 運転支援装置
JP2021020497A (ja) 衝突回避支援装置
KR20150051548A (ko) 운전자의 성향을 반영하는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2851A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988563B1 (ko) 차량 충돌 방지 제어 장치, 차량 충돌 방지 제어 시스템 및 차량 충돌 방지 제어 방법
JP2015176324A (ja) 車両用警告装置
JP2007128430A (ja) 車両用警報装置
KR100600165B1 (ko)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
JP2020169016A (ja) 衝突検知装置
KR101840469B1 (ko) V2v통신을 이용한 추돌 위험 경고 장치 및 방법
KR20190061715A (ko) 차량 핸들을 이용한 경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9951Y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220071560A (ko) 긴급제동 상황에서의 보행자 경고 장치 및 방법
JP2017111680A (ja) 車線逸脱警報装置及び車線逸脱警報方法
KR19990059882A (ko) 차선이탈 경보장치
KR101601558B1 (ko) 차량의 부주의 주행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차량의 주행 거동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