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646A - 쇼트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쇼트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646A
KR20190061646A KR1020170160248A KR20170160248A KR20190061646A KR 20190061646 A KR20190061646 A KR 20190061646A KR 1020170160248 A KR1020170160248 A KR 1020170160248A KR 20170160248 A KR20170160248 A KR 20170160248A KR 20190061646 A KR20190061646 A KR 2019006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lignment
steel wire
guid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636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7016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6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볼의 제조 도중 강선의 텐션이 유지되고 정확한 위치로의 이송되어 균일한 크기의 쇼트볼을 제조할 수 있는 쇼트볼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각 강선을 컷팅하여 쇼트볼을 형성하는 컷팅부, 상기 강선들이 안착되는 제1 정렬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 삽입된 강선들과 맞닿아 상기 강선들을 이송시키는 제1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는 상기 제1 정렬 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상기 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제1 정렬 돌기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쇼트볼 제조 장치{SHORT BAL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쇼트볼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볼의 제조 도중 강선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의 유지가 이루어지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쇼트볼의 크기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쇼트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볼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미세한 입자로써, 압축 공기나 기타의 방법으로 금속 표면에 분사하여 스케일, 녹, 도막 등을 제거함으로써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하는 쇼트블라스트 혹은, 부품의 피로강도를 향상시키는 숏 피닝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쇼트볼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강선을 절단칼날이 형성된 고속회전롤러에 연속 진입시켜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킴으로써 쇼트를 제조함에 따라 다량의 쇼트를 일괄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하지만, 의 종래 기술은 전술된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강선을 균일하게 정렬한 상태로 절단칼날에 공급하는 직진유도가이드에 각 강선을 안치시키는 작업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되었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강선의 수(數)가 많을 수록 더욱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강선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공급되지 않고 서로 얽히거나 교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정확한 강선의 공급이 어려웠고, 이로 인해 쇼트볼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쇼트볼의 크기 조절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243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0361호
본 발명은 쇼트볼의 제조 도중 강선의 텐션이 유지되고 정확한 위치로의 이송되어 균일한 크기의 쇼트볼을 제조할 수 있는 쇼트볼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각 강선을 컷팅하여 쇼트볼을 형성하는 컷팅부, 상기 강선들이 안착되는 제1 정렬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 삽입된 강선들과 맞닿아 상기 강선들을 이송시키는 제1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는 상기 제1 정렬 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상기 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제1 정렬 돌기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에는 상기 강선들이 위치되는 제1 거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들이 안착되는 제2 정렬 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와 마주하여 상기 제2 정렬 홈에 삽입된 강선들을 이송시키는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홈에는 상기 제2 정렬 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복수의 제2 정렬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정렬 돌기들에 의하여 강선들이 서로 맞닿도록 정렬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3 영역까지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제2 정렬 돌기들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정렬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정렬 돌기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각 강선을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부는, 상기 강선과 맞닿으면서 롤러구동용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름 회전되는 이송용 하부롤러와,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의 직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강선의 상면에 맞닿아 구름 회전되는 이송용 상부롤러와, 상기 강선과 맞닿으면서 상기 롤러구동용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와 함께 구름 회전되는 텐션용 하부롤러와,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의 전방측 및 후방측 직상방에 각각 위치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에 얹힌 강선에 맞닿아 회전되는 두 텐션용 상부롤러와, 상기 이송용 상부롤러 및 두 텐션용 하부롤러가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는 제1 안내 벨트를 매개로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제2 가이드 롤러는 제2 안내 벨트를 매개로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다수의 강선이 각각의 가이드 홈에 안착된 상태로 정렬되고, 이송됨에 따라 균일한 크기의 쇼트볼을 제조할 수 있다.
롤러와 맞닿은 지지대에 홈이 형성되어 강선에 균일한 텐션을 부여하여 강선의 이동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상부롤러 및 상부지지롤러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이송롤러부 및 이동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컷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와 제1 가이드 롤러가 이격된 상태에서 강선들이 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와 제1 가이드 롤러가 근접한 상태에서 강선들이 정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Ⅷ-Ⅷ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Ⅸ-Ⅸ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상부롤러 및 상부지지롤러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이동플레이트(200)와, 이송롤러부(300)와, 컷팅부(400)와, 제1 가이드 부재(510)와, 제1 가이드 롤러(530)와, 제2 가이드 부재(520)와, 제2 가이드 롤러(54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은 강선(10)을 공급하는 강선공급기(도시는 생략됨)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상면이 평판을 이루는 테이블로 형성된다.
여기서, 강선공급기는 복수의 강선(10)을 공급하는 기기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강선(10)을 권취하고 있는 복수의 실패가 풀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기기이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는 후술될 이동플레이트(200) 및 컷팅부(4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되며, 이때 가이드레일(110)은 강선(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제공되며,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이송롤러부 및 이동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플레이트(200)는 후술될 이송롤러부(300)와 제1 가이드 부재(510)와 제2 가이드 부재(520)가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동플레이트(2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 중 강선 유입측에 위치되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10)의 안내를 받아 강선(10)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송롤러부(300)는 후술될 컷팅부(400)를 향해 강선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강선(10)을 강제로 이송시키는 부위이다. 이송롤러부(300)는 강선(10)의 강제적 이송을 위한 이송용 하부롤러(311) 및 이송용 상부롤러(312)와, 강선(10)의 텐션 부여를 위한 텐션용 하부롤러(321) 및 텐션용 상부롤러(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용 하부롤러(311)는 강선(10)과 맞닿아 롤러구동용 모터(3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름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이송용 상부롤러(312)는 이송용 하부롤러(311)의 직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강선(10)의 상면에 맞닿아 구름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강선(10)은 이송용 하부롤러(311)와 이송용 상부롤러(31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되어 이송력을 전달받는다.
이와 함께, 텐션용 하부롤러(321)는 강선(10)과 맞닿아 롤러구동용 모터(3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용 하부롤러(311)와 함께 구름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텐션용 상부롤러(322)는 두 개로 제공되면서 텐션용 하부롤러(321)의 전방측 및 후방측 직상방에 각각 위치된다. 즉, 두 개의 텐션용 상부롤러(322)가 텐션용 하부롤러(321)의 상면에 거치되어 이송되는 강선(10)을 텐션용 하부롤러(321)의 전방 및 후방에서 동시에 가압함에 따라 강선(10)은 항상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텐션용 하부롤러(321)와 이송용 하부롤러(311) 및 롤러구동용 모터(331)는 이송 벨트(332)를 이용하여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이송롤러부(300)는 이동플레이트(200)의 상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3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때 승강프레임(340)에는 이송용 상부롤러(312) 및 두 텐션용 상부롤러(322)가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승강프레임(340)에는 제1 가이드 부재(510)와 제2 가이드 부재(52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플레이트(200)에는 리드 스크류(210)가 수직 방향을 향해 설치됨과 더불어 리드 스크류(210)는 스크류동작 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승강프레임(340)은 리드 스크류(210)에 스크류 결합되는 너트하우징(341)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210)가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너트하우징(341)과 승강프레임(340)이 이동플레이트(20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컷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컷팅부(400)는 공급되는 각 강선(10)을 일괄적으로 미세 컷팅하여 쇼트볼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 중 이송롤러부(300)의 강선 유출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강선(10)의 공급 방향(이송롤러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컷팅부(400)는 복수의 절단칼날(411)을 갖는 회전플레이트(410) 및 커터구동용 모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플레이트(4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면서 이송롤러부(300)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강선(10)과 마주보게 위치됨과 더불어 강선(10)의 유출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각 절단칼날(411)들은 회전플레이트(410)의 강선(10)과 마주보는 면에 회전플레이트(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회전플레이트(410)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함께, 커터구동용 모터(420)는 회전플레이트(4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이다. 이때 회전플레이트(410)의 중앙으로는 구동샤프트(421)가 설치되고, 구동샤프트(421)와 커터구동용 모터(420)는 벨트(혹은, 체인이나 기어)(422)로써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와 제1 가이드 롤러가 이격된 상태에서 강선들이 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와 제1 가이드 롤러가 근접한 상태에서 강선들이 정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가이드 부재(5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프레임(340)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프레임(34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가이드 부재(510)의 하면에는 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제1 정렬 홈(512)이 형성되는데, 제1 정렬 홈(512)에는 복수의 제1 정렬 돌기들(514)이 제1 정렬 홈(512)의 바닥에서 제1 가이드 롤러(530)를 향하여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정렬 돌기들(514)은 제1 정렬 홈(512)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1 정렬 홈(512)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제1 정렬 돌기들(514)의 높이는 제1 정렬 홈(512)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제1 정렬 돌기들(514)의 상단은 제1 정렬 홈(51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제1 정렬 돌기(514)는 호형으로 만곡된 2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 롤러(530)는 제1 가이드 부재(510)의 직하방에 위치하며 제1 가이드 롤러(530) 상에는 강선들(10)이 위치하는 제1 거치 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거치 홈(531)은 제1 가이드 롤러(530)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강선들(100)이 제1 가이드 롤러(530) 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가이드 롤러(530)는 제1 안내 벨트(335)를 통해서 텐션용 하부롤러(32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1 가이드 부재(510)가 하강하고 제1 가이드 롤러(530)가 회전하면, 제1 가이드 롤러(530) 사이에서 뭉쳐져 있던 강선들(10)이 가압되면서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정렬 돌기들(514)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Ⅷ-Ⅷ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서 Ⅸ-Ⅸ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가이드 부재(52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프레임(340)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프레임(34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 부재(520)의 하면에는 제2 정렬 홈(522)이 형성되는데, 제2 정렬 홈(522)에는 복수의 제2 정렬 돌기들(524)이 제1 정렬 홈(522)의 바닥에서 제2 가이드 롤러(540)를 향하여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정렬 돌기들(524)은 제2 정렬 홈(522)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강선(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520)는 제2 정렬 돌기들(524)에 의하여 강선들(10)이 서로 맞닿도록 정렬되는 제1 영역(S1)과, 제2 정렬 돌기들(524)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영역(S2)과, 제2 정렬 돌기들(524)의 폭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제3 영역(S3)을 포함한다.
제1 영역(S1)에서 제2 정렬 돌기(524)의 높이는 제1 정렬 홈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1 영역(S1)에서 제2 정렬 돌기들(524)은 호명으로 만곡된 2개의 가이드면을 갖는다. 제2 정렬 돌기들(524)은 제1 영역(S1)에서 제3 영역(S3)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제2 영역(S2)은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영역(S2)에서 제2 정렬 돌기(524)의 폭과 높이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2 정렬 돌기들(524)은 제1 영역의 제2 정렬 돌기들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S3)에서 제2 정렬 돌기들(524)의 폭은 제1 영역(S1)에서 제2 정렬 돌기들(524)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3 영역(S3)에서 제2 정렬 돌기들(524)의 높이는 제1 영역(S1)에서 제2 정렬 돌기들(524)의 높이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2 정렬 돌기들(524)의 높이는 제2 정렬 홈(522)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영역(S3)에서 제2 정렬 홈(522)은 제2 정렬 돌기들(524)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된다.
제1 영역(S1)에서 뭉쳐진 강선들(10)이 펴지면서 정렬되나 강선들(10)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S2)에서 강선들(10)이 이격되고, 강선들(1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며, 제3 영역(S3)에서 강선들(10)은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 롤러(540)는 제2 가이드 부재(520)의 직하방에 위치하며 제2 가이드 롤러(540) 상에는 강선들(10)이 위치하는 제2 거치 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거치 홈(541)은 제2 가이드 롤러(540)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강선들(10)이 제2 가이드 롤러(540)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2 가이드 롤러(540)는 제2 안내 벨트(336)를 통해서 이송용 하부롤러(31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가이드 부재(520)가 하강하고 제2 가이드 롤러(540)가 회전하면, 제2 가이드 롤러(540) 사이에서 뭉쳐져 있던 강선들(1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정렬 돌기들(524)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롤러(540)는 제1 영역(S1)에서 제2 가이드 부재(520)와 마주하여 강선들(10)을 지지하며, 제2 가이드 롤러(540)에 의하여 강선들(10)은 제2 영역(S2)과 제3 영역(S3)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 중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 배치된 고정지지부(600)를 더 포함한다. 고정지지부(600)는 이송롤러부(300)의 강선 유출측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강선(10)의 이송을 지지한다.
고정지지부(600)는 이송롤러부(300)를 통과한 이후 컷팅부(400)에 의한 컷팅이 이루어지기 전에 해당 강선(10)의 자중에 의한 처짐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각 강선(10)의 컷팅 길이에 대한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이송롤러부(300) 및 컷팅부(400)의 수평 이동에 대한 기준 위치로 제공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지지부(600)는 제1 가이드 부재를 통과한 각 강선(10)이 통과되도록 해당 강선(10)의 이송 방향을 향해 복수의 통과홈(610)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블럭체로 형성된다. 물론, 각 통과홈(610)은 블럭체로 이루어진 고정지지부(600)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나뉘어진 두 블럭 사이의 대향면에 요입 형성하여 두 블럭의 맞댐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는 흡입집진기(700)를 더 포함한다. 흡입집진기(700)는 컷팅부(40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컷팅부(400)에 의해 컷팅된 쇼트볼을 흡입하여 집진함으로써 쇼트볼이 사방으로 날림에 따른 각 동작 부위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제조된 쇼트볼을 일괄 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흡입집진기(700)는 쇼트볼이 매우 가늘고 무게도 무겁지 않음을 고려할 때 진공 흡입식으로 쇼트볼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사이클론 구조의 집진기로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를 이용한 쇼트볼 제조 방법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부(300)를 이루는 승강프레임(340)은 상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써 텐션용 하부롤러(321)와 두 텐션용 상부롤러(322)는 서로 이격되며 이송용 하부롤러(311)와 이송용 상부롤러(312) 역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이동플레이트(200)는 제2 가이드 롤러(540)와 고정지지부(60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컷팅부(400) 역시 고정지지부(60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최초의 상태에서 각 강선(10)을 제1 가이드 롤러(530)와 제2 가이드 롤러(540) 상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340)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가이드 롤러(530)와 제1 가이드 부재(510) 사이에서 강선(10)이 정렬되며, 제2 가이드 롤러(540)와 제2 가이드 부재(520) 사이에서 강선(10)이 정렬된다. 강선(10)의 안착 작업이 완료되면 이송용 롤러(311,312)와 함께 제1 가이드 롤러(530)와 제2 가이드 롤러(540)가 회전하여 강선(10)의 선단이 제3 영역(S3)을 통과하도록 한다.
강선(10)이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이동플레이트(200) 및 컷팅부(400)가 고정지지부(600)를 향해 각각 수평 이동되며, 이때, 컷팅부(400)의 이동 거리는 제조하고자 하는 쇼트볼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쇼트볼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자 한다면 컷팅부(400)를 최대한 고정지지부(600)에 인접시키고, 쇼트볼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자 한다면 컷팅부(400)를 고정지지부(6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이송롤러부(300)를 이루는 롤러구동용 모터(331) 및 컷팅부(400)를 이루는 커터구동용 모터(420)가 구동되면서 각 이송용 롤러(311,312) 및 회전플레이트(410)를 각각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각 강선들(10)은 이송용 하부롤러(311) 및 이송용 상부롤러(312)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송되면서 컷팅부(400)로 제공되고, 컷팅부(400)에서는 회전플레이트(410)에 구비된 각 칼날(411)들에 의해 강선(10)이 작게 절단된다.
또한, 강선(10)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흡입집진기(700)의 구동에 의해 절단되는 쇼트볼이 흡입집진기(700)에 집진됨으로써 쇼트볼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는 다수의 강선(10)이 제1 가이드 부재(510), 제2 가이드 부재(520), 제1 가이드 롤러(530), 제2 가이드 롤러(540)에 의한 가압 및 회전에 의하여 강선들(10)이 정렬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강선(10)을 정렬시켜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강선들(10)이 정렬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공급됨에 따라 항상 일정한 크기의 쇼트볼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쇼트볼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제조 장치(1000)는 쇼트볼의 제조 도중 강선(1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로의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컷팅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쇼트볼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1000: 쇼트볼 제조 장치
10: 강선
100: 베이스프레임
110: 가이드레일
200: 이동플레이트
210: 리드 스크류
220: 스크류동작 모터
300: 이송롤러부
311: 이송용 하부롤러
312: 이송용 상부롤러
321: 텐션용 하부롤러
322: 텐션용 상부롤러
331: 롤러구동용 모터
332: 이송 벨트
335: 제1 안내 벨트
336: 제2 안내 벨트
340: 승강프레임
341: 너트하우징
400: 컷팅부
410: 회전플레이트
411: 칼날
420: 커터구동용 모터
421: 구동샤프트
422: 벨트
510: 제1 가이드 부재
512: 제1 정렬 홈
514: 제1 정렬 돌기들
520: 제2 가이드 부재
522: 제2 정렬 홈
524: 제2 정렬 돌기들
530: 제1 가이드 롤러
531: 제1 거치 홈
540: 제2 가이드 롤러
541: 제2 거치 홈
600: 고정지지부
610: 통과홈
700: 흡입집진기

Claims (8)

  1.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각 강선을 컷팅하여 쇼트볼을 형성하는 컷팅부;
    상기 강선들이 안착되는 제1 정렬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 삽입된 강선들과 맞닿아 상기 강선들을 이송시키는 제1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렬 홈에는 상기 제1 정렬 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상기 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제1 정렬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에는 상기 강선들이 위치되는 제1 거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들이 안착되는 제2 정렬 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와 마주하여 상기 제2 정렬 홈에 삽입된 강선들을 이송시키는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홈에는 상기 제2 정렬 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복수의 제2 정렬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정렬 돌기들에 의하여 강선들이 서로 맞닿도록 정렬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3 영역까지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2 정렬 돌기들의 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제2 정렬 돌기들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정렬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정렬 돌기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각 강선을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부는,
    상기 강선과 맞닿으면서 롤러구동용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름 회전되는 이송용 하부롤러와,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의 직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강선의 상면에 맞닿아 구름 회전되는 이송용 상부롤러와,
    상기 강선과 맞닿으면서 상기 롤러구동용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와 함께 구름 회전되는 텐션용 하부롤러와,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의 전방측 및 후방측 직상방에 각각 위치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에 얹힌 강선에 맞닿아 회전되는 두 텐션용 상부롤러와,
    상기 이송용 상부롤러 및 두 텐션용 하부롤러가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는 제1 안내 벨트를 매개로 상기 텐션용 하부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제2 가이드 롤러는 제2 안내 벨트를 매개로 상기 이송용 하부롤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제조 장치.
KR1020170160248A 2017-11-28 2017-11-28 쇼트볼 제조 장치 KR10199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48A KR101995636B1 (ko) 2017-11-28 2017-11-28 쇼트볼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48A KR101995636B1 (ko) 2017-11-28 2017-11-28 쇼트볼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46A true KR20190061646A (ko) 2019-06-05
KR101995636B1 KR101995636B1 (ko) 2019-07-02

Family

ID=6684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248A KR101995636B1 (ko) 2017-11-28 2017-11-28 쇼트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4525A (zh) * 2023-09-28 2023-11-03 盐城市金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丝切丸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92B1 (ko) 1994-03-15 1997-12-01 오옥수 비중 조절이 가능한 연질 쇼트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316328Y1 (ko) * 2003-03-04 2003-06-18 김경조 철선 절단장치
KR20060110361A (ko) 2004-02-10 2006-10-24 마고또 앵떼르나씨오날 에스.에이. 연마 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76709B1 (ko) * 2016-05-12 2016-11-16 이혜준 쇼트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92B1 (ko) 1994-03-15 1997-12-01 오옥수 비중 조절이 가능한 연질 쇼트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316328Y1 (ko) * 2003-03-04 2003-06-18 김경조 철선 절단장치
KR20060110361A (ko) 2004-02-10 2006-10-24 마고또 앵떼르나씨오날 에스.에이. 연마 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76709B1 (ko) * 2016-05-12 2016-11-16 이혜준 쇼트볼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4525A (zh) * 2023-09-28 2023-11-03 盐城市金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丝切丸机
CN116984525B (zh) * 2023-09-28 2023-12-19 盐城市金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丝切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636B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976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JP5889471B1 (ja) 表面処理装置
KR101642984B1 (ko) 롤 포밍 시스템
KR101676709B1 (ko) 쇼트볼 제조장치
KR101995636B1 (ko) 쇼트볼 제조 장치
CN1853855B (zh) 工件传送装置
KR101870258B1 (ko) 무한궤도 방식의 연마장치
KR100952630B1 (ko) 2개의 원형 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KR101579606B1 (ko) 프레스용 전단기
JP2018158428A (ja) ワイヤソー及び切断加工方法
KR20160139714A (ko) 철판 자동면취기
KR200479760Y1 (ko) 엘보 모형 절단기
US2722087A (en) Billet grinding apparatus
CN113732862A (zh) 钢管自动去毛刺和抛光复合机
KR100922234B1 (ko)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KR101843235B1 (ko)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형삭 가공장치
KR101969826B1 (ko) 노칭 가공기
CN102198726B (zh) 一种饮料吸管波纹压制设备
CN108723610B (zh) 一种织带镭射裁切机
CN105416992B (zh) 输送机和加工设备
KR100524093B1 (ko) 목재 가공장치
CN202045865U (zh) 一种饮料吸管波纹压制设备
KR101432676B1 (ko) 원형톱 및 밴드톱용 팁 고주파 용접장치의 컨베이어 공급구조를 갖는 팁 공급장치
CN219506997U (zh) 一种带限位的连续送料机构
KR100239943B1 (ko) 컷팅 블레이드 절곡홈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