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297A -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 Google Patents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297A
KR20190059297A KR1020197011336A KR20197011336A KR20190059297A KR 20190059297 A KR20190059297 A KR 20190059297A KR 1020197011336 A KR1020197011336 A KR 1020197011336A KR 20197011336 A KR20197011336 A KR 20197011336A KR 20190059297 A KR20190059297 A KR 2019005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or
vaccinia virus
hmgb1
nucleic acid
exogenous nucle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에이치. 쏜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에이치. 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에이치. 쏜 filed Critical 스티븐 에이치. 쏜
Publication of KR2019005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61K35/768Oncolytic viru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5/761 - A61K35/76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9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nuclear localisation sign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4011Poxviridae
    • C12N2710/24111Orthopoxvirus, e.g. vaccinia virus, variola
    • C12N2710/24132Use of virus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s cytoly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35Hyaluronoglucosaminidase (3.2.1.35), i.e. hyaluronid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함유하도록 변형된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도록 변형되고 변이체 HMGB1 또는 이의 단편을 발현하는 우두 바이러스가 화학요법과 조합되어 상승작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개시내용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및 다양한 암의 치료에서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지원 정보
본 개시내용은 미국 국립보건원이 수여한 CA140215 하의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개시내용에 특정한 권리가 있다.
참고로 포함됨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특허 출원, 및 NCBI 등록 번호는 각각의 개별적인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 및 개별적으로 지시되고 전문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와 포함된 참고문헌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가 상충하는 경우, 본 개시내용의 정의가 우선한다.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9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397,523을 우선권 주장하고,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요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SEQ ID NO):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외인성 핵산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1-20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박스A, 박스B,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아미노산 서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HMGB1 변이체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에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HMGB1 변이체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HMGB1 변이체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및 109-128 또는 170-2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핵산 서열은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또는 이의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히알루로니다제를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1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내의 돌연변이는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2 내의 돌연변이는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1 및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및 NLS2 내의 돌연변이는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인간 HMGB1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89-10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50-18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 89-108, 및 150-18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 45, 89-108, 및 150-183을 포함하고,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45, 89-108, 150-18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9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2 내의 돌연변이는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1 및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및 NLS2 내의 돌연변이는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로부터 발현된 변이체 HMGB1은 세포질 내로 분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로부터의 변이체 HMGB1의 발현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세포 자가포식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특이적 복제를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은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종양 세포의 주변에 있는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여기서 주변에 있는 종양 세포는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는 이의 게놈 내에 하나 이상의 결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는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 결실을 포함하고, 외인성 핵산은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 유전자좌 내로 삽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는 하나 이상의 병독성 유전자의 결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EEV)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추가로 발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는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발현하고, 여기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과 비교하여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는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발현하고, 여기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는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우두 바이러스는 순환계 내의 변이체 HMGB1을 안정화시키는 단백질을 추가로 발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순환계 내의 변이체 HMGB1을 안정화시키는 단백질은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의 도메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면역글로불린은 IgE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은 Fc 도메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IgE를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핵산 서열은 변이체 HMGB1 코딩 서열의 상류에 융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유출 펌프 차단제를 추가로 발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화학요법 민감화제를 추가로 발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화학요법에 대한 민감화를 강화하는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를 유인하는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CAR T 세포 기반 요법의 효능을 강화한다.
한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85% 상동성인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변이체 HMGB1, 여기서 변이체 HMGB1은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또는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박스A 또는 박스B에서의 돌연변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변이체 HMGB1은 박스A 또는 박스B에서의 돌연변이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에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HMGB1 변이체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105, 108-182, 및 183-205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가용화제,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완충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결합제, 희석제, 분산제, 속도 제어제, 윤활제, 활택제, 붕해제, 가소제, 보존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인산수소2나트륨 2수화물, 인산2수소나트륨 2수화물, 염화나트륨, 미오-이노시톨, 소르비톨,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보존제, 희석제 및 담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추가적인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용화제는 멸균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추가적인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적인 활성 성분은 추가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이다.
한 실시양태는 (i) 본 개시내용의 외인성 핵산 서열에 우두 바이러스 기반 핵산 서열을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를 생성시키고; (ii)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로 포유동물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고; (iii) 포유동물 세포를 바이러스 복제에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고; (iv) 바이러스 입자를 수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포유동물 세포는 HeLa 세포, 293 세포, 또는 Vero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 내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외인성 핵산은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EEV)를 우세하게 함유하는 바이러스 입자 집단을 촉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 내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외인성 핵산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와 비교하여 HeLa 세포 및 293 세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더 높은 역가를 발생시킨다.
한 실시양태는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암은 고형 종양, 백혈병, 또는 림프종이다. 한 실시양태는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은 고형 종양, 백혈병, 또는 림프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높은 생체이용률의 유리 지방산을 포함하는 종양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를 나타내는, 높은 생체이용률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우두 바이러스가 비만 암 환자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를 나타내는 것인, 비만 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 선택적 복제에 대비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는 비만이 아닌 암 환자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 선택적 복제에 대비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우두 바이러스는 비만 암 환자에서 증가된 비율의 EEV를 생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암 환자에서의 증가된 비율의 EEV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생산된 EEV의 비율에 대비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암 환자에서의 증가된 비율의 EEV는 비만이 아닌 암 환자에서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생산된 EEV의 비율에 대비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요법 후 암 재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면역요법을 포함하는 이전의 치료에 실패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화학요법 후에 암이 재발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복막암에 걸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와 조합하여 추가 요법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화학요법, 방사선조사, 추가적인 바이러스로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면역조정 단백질로의 치료, CAR T 세포 요법, 항암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요법은 화학요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의 투여, 및 화학요법의 조합은 화학요법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조합과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와 조합된 화학요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조합된 화학요법보다 더 낮은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순차적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순차적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한 후에 투여된다. 한 실시양태는 암 세포의 집단에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세포에서 독성 효과를 일으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암 세포의 집단 내의 모든 암 세포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감염되지 않은 암 세포의 성장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감염 없이 억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감염되지 않은 암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면역 반응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의한 직접적인 감염 없이 유도된다. 한 실시양태는 대상체의 종양 내로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벡터,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물은 종양 수용체 리간드에 접합된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기반 암 요법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약 106 PFU/mL 내지 약 1010 PFU/mL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약 5 × 109 PFU/mL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독립적으로, 제1 기간 동안의 초기 용량, 제2 기간 동안의 중간 용량, 및 제3 기간 동안의 고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독립적으로 초기 용량, 중간 용량 및 고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초기 용량은 중간 용량보다 낮고, 중간 용량은 고용량보다 낮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제2 및 제3 기간은 각각 약 1주 내지 약 3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및 제약 조성물은 약 1 mL 내지 약 5 mL, 약 5 mL 내지 10 mL, 약 15 mL 내지 약 20 mL, 약 25 mL 내지 약 30 mL, 약 30 mL 내지 약 50 mL, 약 50 mL 내지 약 100 mL, 약 100 mL 내지 150 mL, 약 150 mL 내지 약 200 mL, 약 200 mL 내지 약 250 mL, 약 250 mL 내지 약 300 mL, 약 300 mL 내지 약 350 mL, 약 350 mL 내지 약 400 mL, 약 400 mL 내지 약 450 mL, 약 450 mL 내지 500 mL, 약 500 mL 내지 750 mL, 또는 약 750 mL 내지 1000 mL의 부피로 투여되는 액체 투여 형태를 독립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액체 투여 형태, 고체 투여 형태,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약 1주, 약 2주, 약 3주, 약 4주, 약 6주, 약 7주, 약 8주, 약 9주, 약 10주, 또는 약 12주의 지속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1일 1회, 1일 2회, 1주에 1회, 2주마다 1회, 또는 3주마다 1회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정맥내로, 복막내로, 또는 종양내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제제는 볼루스 주사 또는 저속 주입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는 제1 용량의 투여로부터 약 1시간 내지 약 3일 후의 제1 피크 바이러스 로드 및 약 3일 내지 약 10일 후의 제2 피크 바이러스 로드를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약 1주, 약 2주, 약 3주, 약 4주, 약 6주, 약 7주, 약 8주, 약 9주, 약 10주, 또는 약 12주의 지속기간 동안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1일 1회, 매주 1회, 2주마다 1회, 또는 3주마다 1회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액체 투여 형태, 고체 투여 형태,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은 경구로, 정맥내로, 종양내 주사에 의해, 또는 방사선조사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고, 대상체는 비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 또는 추가 요법의 투여 전에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고, 대상체는 비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에 대상체에 케톤생성 식이가 투여가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에 대상체는 단기 금식 중이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인간 HMGB1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 4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9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SV), 아데노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VSV, 콕사키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AAV), 홍역 바이러스, 마라바 바이러스, 뉴캐슬병 (NDV), 세네카 밸리 바이러스, 멩고바이러스, 또는 점액종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NLS1 및 NLS2를 포함하고, NLS1은 서열식별번호: 20을 포함하고, NLS2는 서열식별번호: 21을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개시내용의 신규 특색이 첨부된 청구항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활용된,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이 기재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이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개시내용의 특색 및 장점의 더욱 양호한 이해가 수득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구조 및 발현을 나타낸다. 도 1 (a)는 HMGB1 야생형 단백질 (mHMGB1 wt)에 비교된, 박스 A에 위치하는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영역, 및 박스 B와 산 C-꼬리 사이의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 영역 내의 돌연변이; 및 단백질의 5' 끝부분에 부착된 IgE 서열이 있는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단백질 (mHMGB1mut)의 도해이다. 도 1 (b)는 변이체 HMGB1 단백질 (mHMGB1mut)에 대한 코딩 서열을 포함하는 우두 바이러스의 게놈의 도해이다. 도 1 (c)는 HMGB1 야생형과 HMGB1mut 사이의 분자량 차이를 나타내고 우두 바이러스 균주로부터의 HMGB1mut의 발현을 실연하는 겔 전기영동의 영상이다. 도 1 (d)는 지시된 세포 (렌카(Renca) 및 4T1)가 음성 대조군, TK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이 있는 대조군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TK-HMGB1mut (바이러스 티민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 및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인 HMGB1mut의 발현을 위한 코딩 서열의 삽입이 있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된 후에 분비된 HMGB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HMGB1mut)을 함유하는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하는 것의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 (a) 및 (b)는 PBS, TK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이 있는 대조군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TK-HMGB1mut (바이러스 티민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 및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인 HMGB1mut의 발현을 위한 코딩 서열의 삽입이 있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주사된 후의 렌카 또는 MC38 종양을 보유하는 마우스에서의 상대적 종양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HMGB1mut)을 함유하는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하는 것의 렌카, MC38, 4T1, 및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 (MEF)를 포함하는 4개의 상이한 세포주에서의 세포성 면역 반응, 및 마우스에서의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대조군 (PBS), TK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이 있는 대조군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TK-HMGB1mut (바이러스 티민 키나제 유전자에서의 결실 및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인 HMGB1mut의 발현을 위한 코딩 서열의 삽입이 있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된 세포주에서의 (a) 핵 인자 카파-B 키나제 서브유닛 베타의 포스포-억제제 (pIKK); (b) 인터루킨 6 (IL-6); (c) 인터페론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d)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 및 (e) 인터페론 베타 (IFN-□)의 수준이 제시된다. 도 3 (f)는 종양을 보유하고 PBS,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IFN-□ ELISpot 검정법에 의해 평가된 우두 바이러스에 대한 세포성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g)는 PBS, TK, 또는 TK-HMGB1 처리 후의 이식 종양을 보유하는 마우스에서의 상대적 종양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HMGB1mut)을 함유하는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하는 것의 세포주 및 종양-보유 마우스에서의 바이러스 복제 및 종양 세포 생존율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 (a)는 우두 바이러스로부터의 TK 발현과 비교하여 TK-HMGB1mut 발현으로의 렌카, MC38, 및 4T1 세포에서의 증가된 바이러스 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함유한다. 도 4 (b)는 TK 또는 TK-HMGB1mut 처리 후의 렌카 및 MC38 세포의 생존율을 도해하는 그래프를 포함한다. 도 4 (c)는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렌카 세포-유래 종양을 보유하는 마우스에서의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도 4 (d)는 TK 또는 TK-HMGB1mut 처리 후의 4T1 세포 및 MEF의 생존율을 도해하는 그래프를 함유한다. 도 4 (e)는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MC38 세포-유래 종양을 보유하는 마우스에서의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다. 도 4 (f)는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면역-결핍 마우스의 전신 및 (g) 종양에서의 생체 내 바이러스 복제를 도해한다.
도 5는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HMGB1mut)를 함유하는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하는 것의 세포주에서의 자가포식 및 바이러스 복제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경쇄 3 (LC3)은 자가포식의 마커로서 사용되는 가용성 단백질이다. 도 5 (a)는 PBS,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세포주에서의 LC3+ 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b)는 단독이거나 또는 바필로마이신 A 또는 LY294002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공포 성숙의 억제제와 조합된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렌카, MC38, 및 4T1 세포주에서의 바이러스 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함유한다.
도 6은 세포주 및 종양-보유 마우스에서의 바이러스 복제에 대한 Atg5 녹다운 및 지방산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6 (a)는 Atg5를 표적화하는 siRNA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형질감염된 HCT 116 세포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바이러스 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b)는 지방산 억제제인 세룰레닌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처리된 MDA-MB-231 세포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바이러스 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c)는 대조군 식이 또는 고지방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에서의 TK 또는 TK-HMGB1mut 발현에 대한 복막강 내로 이식된 종양으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는 생물발광 영상이다. 도 6 (d)는 대조군 식이 또는 고지방 식이 (HFD)가 급식된 마우스에서의 처리 3일 후의 TK 또는 TK-HMGB1mut 발현에 대한 복막강 내로 이식된 종양으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정량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단독이거나 또는 화학요법제인 파클리탁셀 (탁솔(Taxol)®)과 조합된 PBS, TK, 또는 TK-HMGB1mut의 종양 세포 생존율 및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7 (a)는 PBS,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된 UCI-101 세포로부터 취한 배지가 공급된 후의 파클리탁셀 노출 후의 종양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b)는 지시된 조합의 파클리탁셀, TK, 및 TK-HMGB1mut로 처리된 마우스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상대적 종양 크기를 나타낸다.
도 8은 단독이거나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8 (MMP8) 발현 또는 히알루로니다제 PH2O 발현과 조합된 우두 균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8 (A)는 우두 균주 (WR) 또는 MMP8 또는 PH2O을 또한 발현하는 균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의 종양으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는 생물발광 영상을 함유한다. 도 8 (B)는 우두 균주 단독 (WR TK-단독), 우두 균주 및 MMP8 발현 (WR TK-mmp8), 또는 우두 균주 및 PH20 발현 (WR TK-ph20)으로의 처리에 대한 생물발광 영상화 데이터 (n=5)의 정량을 나타낸다. PH20의 발현은 바이러스 확산 증가를 발생시켰다.
도 9는 단독으로 또는 PH20 발현과 조합하여 예시적인 변이체 HMGB1 (HMGB1mut)을 함유하는 우두 바이러스로 처리하는 것의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피하 MDA-MB-231 종양 (50-100 ㎣)을 보유하는 무흉선 nu/nu 마우스를 1E7 플라크-형성 단위 (PFU)를 사용하여 단일 정맥내 처리를 통해 지시된 바이러스로 처리하였다. 제시된 종양 부피는 처리 14일 후에 측정되었다.
도 10은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피하 렌카 종양 (50-100 ㎣)을 보유하는 마우스 (BALB/c)를 제0일에 대조군으로서의 비히클, 1E8 PFU의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WO-H1), 또는 1E8 PFU의 베스트-인-클래스 임상 바이러스인 Pexa-Vec, 일명 JX-594의 모방체 (WR.TK-GMCSF+)의 단일 정맥내 주사로 처리하였다 (n=10/군). 처리 후 일수의 함수로서 종양 부피를 측정하였다.
도 11은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비만 마우스에서의 복막암 모델에서의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마우스 (C57/BL6)에게 고지방 식이를 급식하였다. 그 후, 마우스에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를 복막강 내로 이식하였다. 생물발광 영상화에 의해 종양 성장을 추적하였다. 종양이 확립되었으면, 마우스를 PBS (대조군), 5E6 PFU의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WO-H1), 또는 5E6 PFU의 베스트-인-클래스 임상 바이러스인 Pexa-Vec, 일명 JX-594의 모방체 (WR.TK-GMCSF+)의 저용량의 단일 복막내 주사로 처리하였다.
도 12는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케톤생성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에서의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마우스 (C57/BL6)에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를 복막강 내로 이식하였다. 생물발광 영상화에 의해 종양 성장을 추적하였다. 종양이 확립되었으면, 마우스를 24시간 기아 후의 WO-H1로의 저용량 ((5E6 PFU 복막내) 바이러스 처리 (기아-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단독으로 처리하였다.
상세한 설명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본원에서 제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이같은 실시양태가 단지 예로서만 제공된다는 것이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변경, 변화 및 교체가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개시내용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청구범위가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규정하는 것과 이러한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방법 및 구조 및 이의 등가물이 이에 의해 포괄되는 것이 의도된다.
특정 정의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법은 특정 사례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어 "함유하다", "함유하는", "포함하는", "포함하다", "갖는다", "갖는", "~이 있는", 또는 이의 변형이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 이같은 용어는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약" 또는 "대략적으로"는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특정 값에 대한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부분적으로 어떻게 값이 측정 또는 결정되는지에, 예를 들어, 측정 시스템의 한계에 의존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약"은 소정의 값의 실산 당 1 이상의 표준 편차 이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값이 본 출원 및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경우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약"은 특정 값에 대한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예컨대 용어 "약"이 수식하는 값의 ±10%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되어야 한다.
용어 "개체", "환자" 또는 "대상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 중 어떤 것도 건강 관리 종사자 (예를 들어 의사, 공인 간호사, 간호사, 의료 보조자, 간호조무사, 또는 호스피스 종사자)의 관리 (예를 들어, 지속적 또는 간헐적)를 특징으로 하는 상황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 대상체 또는 개체는 건강 관리 작업자의 관리 하에 있을 수 있다.
특정 바이러스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이종성 핵산 서열", 또는 "외인성 핵산 서열"은 특정된 바이러스 이외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하는 핵산 서열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돌연변이"는 결실, 이종성 핵산의 삽입, 역전 또는 치환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오픈 리딩 프레임 삭제 돌연변이 포함)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유전자"는, 임의적으로는, 코딩 서열의 상류 또는 하류에 위치할 수 있는 조절 영역 예컨대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종결인자 등과 함께, 개별적인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분절 ("코딩 서열" 또는 "코딩 영역"으로도 지칭됨)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 용어 "돌연변이체 바이러스" 및 "변형 바이러스"는 자신의 게놈 내에 결실, 이종성 핵산의 삽입, 역전, 치환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지칭할 수 있다.
바이러스에 관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천연-발생"은 바이러스가 천연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것, 즉 천연의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고, 의도적으로 변형되지 않았다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용어 "억제하는" 또는 "감소시키는" 또는 "방지", 또는 이러한 용어들의 임의의 변형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측정가능한 감소 또는 완전한 억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프로모터"는 전사의 개시 및 속도가 제어되는 핵산 서열의 영역인 제어 서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프로모터는 조절 단백질 및 분자 예컨대 RNA 중합효소 및 기타 전사 인자가 결합할 수 있는 유전자 요소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작동적으로 위치하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어 하의" 및 "전사 제어 하의"는 프로모터가 서열의 전사 개시 및/또는 발현을 제어하기 위한 핵산 서열과 관련하여 정확한 기능적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프로모터는 "인핸서"와 함께 사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이는 핵산 서열의 전사 활성화에서 수반되는 시스(cis)-작용 조절 서열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상동성"은 최적의 비교 목적을 위해 서열들을 정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상동성" 또는 "퍼센트 상동성"의 계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열의 서열 내에 갭이 도입될 수 있다). 그 후, 상응하는 위치의 뉴클레오티드들을 비교할 수 있고, 2개의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은 서열들이 공유하는 동일한 위치의 개수의 함수일 수 있다 (즉, % 상동성 = 동일한 위치의 # / 위치의 총 # × 100). 예를 들어, 제1 서열 내의 위치를 제2 서열 내의 상응하는 위치와 동일한 뉴클레오티드가 차지할 수 있고, 그러면 분자들이 이러한 위치에서 동일하다. 2개의 서열 사이의 퍼센트 상동성은 2개의 서열의 최적의 정렬을 위해 도입될 필요가 있는 갭의 개수 및 각각의 갭의 길이를 고려하여, 서열들이 공유하는 동일한 위치의 개수의 함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교 목적을 위해 정렬된 서열의 길이는 기준 서열의 길이의 적어도 약 30%, 40%, 50%, 60%, 65%, 70%, 75%,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5%일 수 있다. BLAST® 검색이 2개의 서열 사이의 상동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동성은 2개의 서열의 전체 길이 사이 또는 2개의 서열의 전체 길이의 분획 사이의 것일 수 있다. 2개의 서열은 유전자, 뉴클레오티드 서열, 단백질 서열, 펩티드 서열,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2개의 서열의 실제 비교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같은 수학적 알고리즘의 비제한적인 예가 문헌 [Karlin, S. and Altschul, S., Proc. Natl. Acad. Sci. USA, 90- 5873-5877 (1993)]에 기술되어 있을 수 있다. 이같은 알고리즘이 문헌 [Altschul, S. et al., Nucleic Acids Res., 25:3389-3402 (1997)]에 기술된 바와 같은 NBLAST 및 XBLAST 프로그램 (버전 2.0) 내로 혼입될 수 있다. BLAST 및 갭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각각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NBLAST)의 임의의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열 비교를 위한 파라미터가 점수 = 100, 워드 길이 = 12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5 또는 W=20). 다른 예는 문헌 [Myers and Miller, CABIOS (1989)]의 알고리즘, ADVANCE, ADAM, BLAT, 및 FASTA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GCG 소프트웨어 패키지 (엑셀리스(Accelrys), 영국 캠브리지) 내의 GA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개의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이 달성될 수 있다.
용어 "대상체"는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동물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예를 들어, 포유동물 대상체, 예컨대 인간 대상체에 관하여,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장애, 질환 또는 병태, 또는 장애, 질환 또는 병태와 연관된 증상 중 하나 이상을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것; 또는 장애, 질환 또는 병태 자체의 원인(들)을 완화하거나 근절시키는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치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환의 발생 또는 재발을 방지하는 것, 증상 완화, 질환의 임의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병리학적 결과를 감소시키는 것, 전이를 방지하는 것, 질환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 질환 상태의 완화 또는 고식, 및 진정 또는 예후 개선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투여되었을 때, 치료 중인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증상 중 하나 이상의 발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를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데 충분할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용어 "치료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임상의가 추구 중인 세포, 조직, 계,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도출하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생리학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제약상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성분은 제약 제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라는 의미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는,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부합하여,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면역원성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 또는 기관과 접촉하여 사용하는데 적절할 수 있다.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2005];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ition; Rowe et al., Eds., The Pharmaceutical Press and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5]; 및 [Handbook of Pharmaceutical Additives, 3rd Edition; Ash and Ash Eds., Gower Publishing Company: 2007]; [Pharmaceutical Preformulation and Formulation, Gibson Ed., CRC Press LLC: Boca Raton, FL, 2004]을 참조한다.
용어 "제약 조성물"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과 다른 화학적 성분, 예컨대 희석제 또는 담체의 혼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화합물을 생물에 투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화합물을 투여하는 여러 기술이 관련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제약 조성물은 화합물을 무기 또는 유기 산 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와 반응시킴으로써 또한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항암제"는, 예를 들어, 암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암세포의 아팝토시스를 유도하거나, 암세포의 성장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전이의 발생 또는 개수를 감소시키거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종양 성장을 억제하거나, 종양 또는 암세포로의 혈액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암세포 또는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진하거나, 암의 진행을 방지 또는 억제하거나, 또는 암에 걸린 대상체의 수명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상체 내의 암에 음성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용제 또는 요법을 지칭할 수 있다.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생물학적 작용제 (생물요법), 화학요법 작용제, 및 방사선요법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종양용해성"은 암 또는 종양 세포를, 예를 들어, 상기 세포의 직접적인 용해, 상기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의 자극, 아팝토시스, 독성 단백질의 발현, 자가포식 및 단백질 합성 중단, 항종양 면역의 유도,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작용제,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사멸시키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작용제,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암 또는 종양 세포의 직접적인 용해는 상기 세포 내에서의 바이러스 복제의 결과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용어 "종양용해성"은 암 또는 종양 세포를 상기 세포의 용해 없이 사멸시키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변형 바이러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함유할 수 있는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제공된다. 단독으로 또는 추가적인 외인성 핵산 서열, 바이러스 유전자, 예를 들어, 병독성 유전자의 추가 결실,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도록 본원에 개시된 외인성 핵산 서열 중 임의의 것을 삽입함으로써 임의의 다른 종양용해성 바이러스가 또한 변형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예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SV), 아데노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VSV, 콕사키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AAV), 홍역 바이러스, 마라바 바이러스, 뉴캐슬병 (NDV), 세네카 밸리 바이러스, 멩고바이러스, 또는 점액종 바이러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 단백질 (본원에서 HMGB1mut로 또한 지칭됨)을 코딩하는 mRNA를 생성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외인성 핵산 서열 (대안적으로 트랜스진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구조적으로, HMGB1 단백질은 고도로 보존된 서열이 있는 약 25 kDa이고, 다중 도메인, 예컨대 박스 A 도메인, 박스 B 도메인, C-말단 산성 꼬리, 및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으로 구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 A 내에, HMGB1 단백질은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에, HMGB1 단백질은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HMGB1 단백질에 대한 예시적인 구조 정렬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변이체 HMGB1이 NLS1 및 NLS2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기술된다. 외인성 핵산은 박스 A, 박스 B, 또는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상기 기술된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추가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박스 A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외인성 핵산은 C-말단 산성 꼬리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세포질 재배치는 박스 A 내의 NLS1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 또는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NLS2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 또는 박스 A 내의 NLS1 및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에 위치하는 NLS2 양쪽 모두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에 기인할 수 있다. 세포질로 재배치되는 변이체 HMGB1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된 종양 세포, 뿐만 아니라 감염된 종양 세포의 주변에 있지만 이러한 우두 바이러스로 직접적으로 감염되지 않았을 수 있는 세포에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종양 미세환경에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의 유도자로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고, 구경꾼 효과에 의해 미감염 세포에서 강화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생성시킨다.
일부 예에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화학요법과 조합되어 투여될 때,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 내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예를 들어,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강화된 상승작용적 효과와 연관될 수 있고; 상기 상승작용적 효과는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투여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화학요법과의 조합의 상승작용적 효과는 면역 효과에 의해 매개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TLR4 및 RAGE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이체 HMGB1의 결합 강화에 기인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 내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예를 들어,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와 연관될 수 있고; 종양 선택적 복제에서의 상기 증가는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투여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증가된 종양 특이적 바이러스 복제는 일부 예에서는 자가포식에 대한 변이체 HMGB1의 효과에 의해 매개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는 변이체 HMGB1 단백질 내의 특정 시스테인 잔기에 기인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 내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예를 들어,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종양 간질액 압력 (TIFP)을 저하시키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에 의한 종양 성장의 감소와 연관될 수 있고; TIFP 저하에 의한 종양 성장에서의 상기 감소는 박스 A, 박스 B,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박스 A 내의 NLS1, 박스 B와 산성 C-말단 꼬리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도메인 내의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투여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인간 야생형 HMGB1 (본원에서 HMGB1wt로도 지칭됨)에 상응하는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약 80% 이하, 약 81% 이하, 약 82% 이하, 약 83% 이하, 약 84% 이하, 약 85% 이하, 약 86% 이하, 약 87% 이하, 약 88% 이하, 약 89% 이하, 약 90% 이하, 약 91% 이하, 약 92% 이하, 약 93% 이하, 약 94% 이하, 약 95% 이하, 약 96% 이하, 약 97% 이하, 약 98% 이하, 또는 약 99% 이하로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16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HMGB1wt의 다양한 도메인이 하기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박스 A는 잔기 1-85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는 잔기 88-162를 포함할 수 있고, C-말단 산성 꼬리는 잔기 186-215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에 형성된 도메인은 잔기 162-185를 포함할 수 있고; NLS1은 잔기 28-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NLS2는 잔기 179-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일부 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약 95% 이하로 상동성일 수 있으며, 잔기 1-8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잔기 1-8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를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물 내의 하나 이상의 세린 잔기가, 예를 들어, 알라닌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89-108을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물 내의 하나 이상의 페닐 알라닌 잔기가, 예를 들어, 글루탐산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50-183을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물 내의 세린 잔기가, 예를 들어, 알라닌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위치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위치 35, 42, 89, 181, 189, 및 202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약 95% 이하로 상동성이고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 45, 23-4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함유할 수 있는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이같은 바이러스의 경우에, 위치 23 및 45의 아미노산은 양쪽 모두 시스테인이다. 잔기 89-108 및 150-183이 커버하는 신장물에 관하여,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은 아미노산 서열식별번호: 16과 비교하여 이러한 신장물 내에 적어도 하나의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89-108을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물 내의 하나 이상의 페닐 알라닌 잔기가, 예를 들어, 글루탐산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50-183을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물 내의 세린 잔기가, 예를 들어, 알라닌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위치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6의 위치 35, 42, 89, 181, 189, 및 202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54를 포함하고, 여기서 위치 23 및 4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고, 이러한 신장물 내의 세린 잔기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알라닌으로 돌연변이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105,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잔기 109-128 및 170-183이 커버하는 신장물은 각각 HMGB1 변이체가 TLR4 및 RAGE에 결합하는 것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변이체 HMGB1이 TLR4 및 RAGE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는 것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화학요법과 조합되어 투여되었을 때, 이를 수 있는 면역 효과와 상관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변이체 HMGB1은, 이의 성숙 형태에서,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핵산 또는 아미노산의 "단편"은 자신이 이의 단편인 핵산 또는 아미노산 서열의 전체 길이의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10%,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17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105,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잔기 109-128 및 170-183이 커버하는 신장물은 각각 HMGB1 변이체가 TLR4 및 RAGE에 결합하는 것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변이체 HMGB1이 TLR4 및 RAGE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는 것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화학요법과 조합되어 투여되었을 때, 강화된 상승작용적 효과를 매개할 수 있는 면역 효과와 상관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17의 위치 43 및 6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변이체 HMGB1은, 이의 성숙 형태에서,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4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4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4의 잔기 21-105,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잔기 109-128 및 170-183이 커버하는 신장물은 각각 HMGB1 변이체가 TLR4 및 RAGE에 결합하는 것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변이체 HMGB1이 TLR4 및 RAGE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는 것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화학요법과 조합되어 투여되었을 때, 강화된 상승작용적 효과를 매개할 수 있는 면역 효과와 상관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4의 위치 43 및 6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4의 위치 43 및 65의 아미노산은 시스테인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변이체 HMGB1은, 이의 성숙 형태에서, 서열식별번호: 4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5, 6, 22-23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 변이체 HMGB1에 대한 코딩 서열은, 상류에서, IgE 리더 서열에 대한 코딩 서열에 융합될 수 있다. 생성된 단백질은 서열식별번호: 24 및 2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IgE 리더 서열에 이어지는 변이체 HMGB1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4, 15, 및 17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HMGB1의 다양한 도메인이 하기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박스 A는 잔기 21-105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는 잔기 108-182를 포함할 수 있고, C-말단 산성 꼬리는 잔기 206-235을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에 형성된 도메인은 잔기 183-205를 포함할 수 있고; NLS1은 잔기 47-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NLS2는 잔기 199-205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는 서열식별번호: 24-25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할 수 있는 외인성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서열식별번호: 22 및 23으로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HMGB1의 다양한 도메인이 하기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박스 A는 잔기 1-85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는 잔기 88-162를 포함할 수 있고, C-말단 산성 꼬리는 잔기 186-215를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에 형성된 도메인은 잔기 162-185를 포함할 수 있고; NLS1은 잔기 28-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NLS2는 잔기 179-185를 포함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24 및 25로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HMGB1의 다양한 도메인이 하기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박스 A는 잔기 19-103을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는 잔기 106-180을 포함할 수 있고, C-말단 산성 꼬리는 잔기 204-233을 포함할 수 있고; 박스 B와 C-말단 산성 꼬리 사이에 형성된 도메인은 잔기 181-203을 포함할 수 있고; NLS1은 잔기 45-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NLS2는 잔기 197-203을 포함할 수 있다.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약 95% 이하로 상동성인 외인성 핵산의 위치 23 및 45, 및 서열식별번호: 4, 15, 및 17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외인성 핵산의 위치 43 및 65에 시스테인 잔기가 존재하는 것은, 일부 경우에,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상기 외인성 핵산 서열 중 하나를 함유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 특이적 복제의 증가와 상관될 수 있다.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발현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증가된 종양 특이적 복제는 자가 포식에 대한 HMGB1 단백질의 효과에 의해 매개될 수 있고, 상기 확인된 시스테인 잔기가 동일하게 역할을 할 수 있다.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3, 서열식별번호: 13, 2, 3, 7, 9, 14, 및 19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인성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3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핵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5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변이체 HMGB1을 코딩한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에 더하여 히알루로니다제를 추가로 발현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바이러스를 기술한다. 히알루로니다제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내의 추가 외인성 핵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상기 추가 외인성 핵산 서열은 서열식별번호: 11에 기재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부터 발현된 히알루로니다제는 서열식별번호: 1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HYAL1, HYAL2, 및 HYAL3, HYAL4, PH-20, SPAM1 (정자 부착 분자 1), 및 HYALP1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히알루로니다제가 바이러스로부터 발현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는 변이체 HMGB1에 더하여 순환계 내의 바이러스를 안정화시키는 단백질을 추가로 발현할 수 있는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바이러스를 기술한다. 이같은 단백질의 예는 IgE, Fc 도메인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IgE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내의 추가 외인성 핵산 서열에 의해 코딩될 수 있고;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부터 발현된 상기 IgE는 서열식별번호: 1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히알루로니다제를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 및 IgE를 코딩하는 서열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IgE는 변이체 HMGB1 코딩 유전자 및 히알루로니다제 코딩 유전자 양쪽 모두에 대해 상류에 융합된다. IgE, 히알루로니다제, 및 변이체 HMGB1 코딩 유전자의 다른 배열이 또한 구상된다.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은 병독성 유전자, 예컨대 B8R (IFN-g 결합 단백질을 코딩함), B18R (I형 IFN 결합 단백질을 코딩함), B13R (항-아팝토시스 활성이 있는 세르핀 SPI-1을 코딩함), B22R (항-아팝토시스 활성이 있는 세르핀 SPI-2를 코딩함), B15R (IL-1b 결합 단백질을 코딩함), VGF (우두 성장 인자를 코딩함), E3L (dsRNA 결합을 코딩함), K3L (PKR 결합을 코딩함)의 결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 바이러스는 화학요법 민감화제, 예컨대 히알루론산; 아팝토시스 인핸서, 예컨대 TRAIL 또는 카스파제를 추가로 발현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형 바이러스는 유출 펌프 차단제, 예컨대 다중 약물 전달체 억제제를 추가로 발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좌에서 또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게놈 내의 다른 결실 대신에,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하기 위한 외인성 핵산 서열은 코돈-최적화될 수 있다. 추가로, 이같은 외인성 핵산 서열에 의해 발현되는 변이체 HMGB1, 뿐만 아니라 히알루로니다제 및 안정화 단백질 서열은 생성된 단백질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들의 각각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변이체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같은 변화는 보존적 치환으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보조적 치환" 및 "보존적 변형"은 이러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본원에 개시된 변이체 HMGB1 단백질의 결합 특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이를 유의하게 변경시키지 않는 아미노산 변형을 지칭한다. 이같은 보존적 변형은 아미노산 치환, 부가 및 결실을 포함한다. 변형은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부위-지정 돌연변이유발 및 PCR-매개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HMGB1 단백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아미노산은 이의 물리화학적 성질 예컨대 전하 및 극성에 따라 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아미노산 잔기가 동일한 군 내의 아미노산으로 교체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하에 의해 아미노산이 분류될 수 있다; 양으로 하전된 아미노산은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을 포함하고, 음으로 하전된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을 포함하고, 중성 전하의 아미노산은 알라닌,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리신,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이로신, 및 발린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극성에 의해 아미노산이 분류될 수 있다: 극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염기성 극성),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산성 극성), 글루탐산 (산성 극성), 글루타민, 히스티딘 (염기성 극성), 라이신 (염기성 극성), 세린, 트레오닌, 및 타이로신을 포함하고; 비-극성 아미노산은 알라닌, 시스테인, 글리신,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트립토판 및 발린을 포함한다. 따라서, 변이체 HMGB1 단백질 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동일한 군으로부터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교체될 수 있고, 변경된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본원에 기술된 기능적 검정법을 사용하여 기능 유지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특정 서열 내의 1개 이하, 2개 이하, 3개 이하, 4개 이하, 5개 이하의 잔기가 변경된다.
예시적인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이 표 I에서 제시된다.
<표 I>
Figure pct00001
암 표적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전달에 의한 과증식성 질환, 예컨대 암 또는 종양에 대한 치료 방법이 구상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할 수 있는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암은 흑색종, 간세포 암종, 유방암, 폐암, 복막암, 전립선암, 방광암, 난소암, 백혈병, 림프종, 신장 암종, 췌장암, 상피 암종, 위암, 결장 암종, 십이지장암, 췌장 선암종, 중피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성상세포종, 다발성 골수종, 전립선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육종, 췌장 선암종,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결장직장암, 장 유형 위 선암종, 자궁경부 편평세포 암종, 골육종, 상피성 난소 암종, 급성 림프모구성 림프종, 골수증식성 신생물, 및 육종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암 세포는 방광, 혈액, 뼈, 골수, 뇌, 유방, 결장, 식도, 위장, 치은, 머리, 신장, 간, 폐, 비인두, 목, 난소, 전립선, 피부, 위, 고환, 혀, 또는 자궁으로부터의 세포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암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조직학적 유형의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악성 신생물; 암종; 미분화 암종; 거대 및 방추 세포 암종; 소세포 암종; 유두상 암종; 편평 세포 암종; 림프상피 암종; 기저 세포 암종; 모발기질 암종; 이행 세포 암종; 유두상 이행 세포 암종; 선암종; 악성 가스트린종; 담관암종; 간세포 암종; 복합형 간세포 암종 및 담관암종; 육주상 선암종; 선양 낭성 암종; 선종성 용종에서의 선암종; 가족성 결장 용종증 선암종; 고형 암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종양; 세기관지-폐포성 선암종; 유두상 선암종; 혐색소성 암종; 호산성 암종; 호산세포성 선암종; 호염기성 암종; 투명 세포 선암종; 과립 세포 암종; 여포성 선암종; 유두상 및 여포성 선암종; 비-피막성 경화성 암종; 부신 피질 암종; 자궁내막양 암종; 피부 부속물 암종; 아포크린 선암종; 피지 선암종; 이구선 선암종; 점막표피성 암종; 낭선암종; 유두상 낭선암종; 유두상 장액성 낭선암종; 점액성 낭선암종; 점액성 선암종; 반지 세포 암종; 침윤성 관 암종; 수질성 암종; 소엽 암종; 염증성 암종; 유방의 파제트병; 샘꽈리 세포 암종; 선편평상피 암종; 편평상피 화생이 있는 선암종; 악성 흉선종; 악성 난소 기질 종양; 악성 난포막종; 악성 과립막 세포 종양; 악성 남성모세포종; 세르톨리 세포 암종; 악성 라이디히 세포 종양; 악성 지질 세포 종양; 악성 부신경절종; 악성 유방외 부신경절종; 크롬친화세포종; 사구맥관육종; 악성 흑색종; 멜라닌결핍 흑색종; 표재 확장성 흑색종; 거대 색소 모반의 악성 흑색종; 상피양 세포 흑색종; 악성 청색 모반; 육종; 섬유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배아 횡문근육종; 폐포 횡문근육종; 기질 육종; 악성 혼합 종양; 뮐러 혼합 종양; 신장모세포종; 간모세포종; 암육종; 악성 간엽종; 악성 브레너 종양; 악성 엽상 종양; 활막 육종; 악성 중피종; 미분화세포종; 배아 암종; 악성 기형종; 악성 난소 갑상선종; 융모막암종; 악성 중신종; 혈관육종; 악성 혈관내피종; 카포시 육종; 악성 혈관주위세포종; 림프관육종; 골육종; 피질주위 골육종; 연골육종; 악성 연골모세포종; 중간엽 연골육종; 뼈의 거대 세포 종양; 유잉 육종; 악성 치원성 종양; 법랑모세포성 치아육종; 악성 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성 섬유육종; 악성 송과체종; 척색종; 악성 신경교종; 뇌실막세포종; 성상세포종; 원형질 성상세포종; 원섬유성 성상세포종; 성상모세포종; 교모세포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희소돌기아교모세포종; 원시 신경외배엽; 소뇌 육종; 신경절모세포종; 신경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후각 신경성 종양; 악성 수막종; 신경섬유육종; 악성 신경초종; 악성 과립 세포 종양; 악성 림프종; 호지킨병; 호지킨 파라육아종; 악성 소림프구 림프종; 악성 대세포 미만성 림프종; 악성 여포성 림프종; 균상 식육종; 다른 특정된 비-호지킨 림프종; 악성 조직구증; 다발성 골수종; 비만 세포 육종; 면역증식성 소장 질환; 백혈병; 림프구성 백혈병; 형질 세포 백혈병; 적백혈병; 림프육종 세포 백혈병; 골수성 백혈병; 호염기구성 백혈병; 호산구성 백혈병; 단핵구성 백혈병; 비만 세포 백혈병; 거대모구성 백혈병; 골수성 육종; 및 털모양세포 백혈병. 다양한 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암 표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4, 15, 17, 22, 23, 24, 또는 25로서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 유형의 원발성 암의 국소적 침습 또는 전이, 또는 양쪽 모두를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또한 구상한다. 예를 들어, 원발성 암은 흑색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폐암, 간암종, 망막모세포종, 성상세포종, 교모세포종, 치은암, 설암,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두부암, 경부암, 유방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골암, 고환암, 난소암, 중피종, 자궁경부암, 위장관암, 림프종, 뇌암, 결장암 또는 방광암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원발성 암은 폐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암은 비-소세포 폐 암종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암을 예방하는데 또는 화생, 이형성 및 과형성을 포함하여 전암 또는 전악성 세포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양성인 세포, 예컨대 편평 화생, 이형성, 양성 전립선 과형성 세포, 과형성 병변 등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으로 또는 더욱 중증인 형태의 암으로 진행되는 것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코딩될 수 있는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수반하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의해 정지, 중단 또는 지연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임의 유형의 원발성 암의 국소적 침습 또는 전이, 또는 양쪽 모두를 억제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이체 HMGB1은 서열식별번호: 4, 15, 17, 22, 23, 24, 또는 25로서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복막암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복막암은 복막의 암을 지칭할 수 있다. 복막은 복벽의 내부가 되고 복부 기관을 덮는 조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원발성 복막암은 복막으로부터 유래되었고 신체의 또 다른 부분으로부터 복막으로 확산되지 않은 암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종양 미세환경 내의 유리 지방산의 생체이용률이 높은 종양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비만 환자에서 종양 내의 지방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유리 지방산이 종양 내의 변형 바이러스에 공급될 수 있고 이의 복제를 강화할 수 있다. 비만이 아닌 환자, 특히 복막암에 걸린 환자에서 장점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복막암이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요법에 대한 표적일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그물막 벽에서 성장하는 경향이 있고 지방세포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종양에서 지방세포에 의해 방출된 유리 지방산이 종양 내의 변형 바이러스에 공급될 수 있고 이의 복제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유리 지방산의 생체이용률이 높은 종양에서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EEV)의 증가된 역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변이체 HMGB1을 임의적으로는 히알루로니다제, 예를 들어, PH-20과 함께 발현하는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이로울 수 있는 예시적인 암 환자 집단은 비만인 환자, 케톤생성 식이 또는 단기 금식 중인 환자, 복막암에 걸린 환자, 원발성 복막암에 걸린 환자, 자궁, 방광 및 직장에 영향을 미치는 복막암에 걸린 환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이전에 면역요법에 실패한 환자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본원에 기술된 변형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치료를 위한 표적 집단으로서 확인될 수 있다. 이같은 환자는 추가 라운드의 면역요법이 이롭지 않을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치료하는 것으로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요법이 면역요법에 실패한 환자의 경우에 주요 대안일 수 있다.
용어 "비만인" 또는 "비만"은 개체의 BMI가 30 kg/㎡ 이상인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세계 보건 기구 (WHO)의 정의에 따르면, 비만은 하기와 같이 범주화될 수 있다: 용어 "I 단계 비만"은 BMI가 30 kg/㎡ 이상이지만 35 kg/㎡ 미만인 상태일 수 있고; 용어 "II 단계 비만"은 BMI가 35 kg/㎡ 이상이지만 40 kg/㎡ 미만인 상태일 수 있으며; 용어 "III 단계 비만"은 BMI가 40 kg/㎡ 이상인 상태일 수 있다. 18.5 내지 24.9 kg/㎡의 BMI는 정상으로 분류될 수 있고, 25.0 내지 29.9 kg/㎡의 BMI는 과체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용어 "신체 질량 지수" 또는 "BMI"는 킬로그램 단위의 체중을 미터 단위의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될 수 있어서, BMI의 단위는 kg/㎡이다. BMI는 비만을 정의하는 척도일 수 있다.
치료 방법 및 효능 및 약동학 검정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 바와 같은 "개체" 또는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대상체를 지칭한다. 비-인간 대상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인간 영장류, 개, 고양이, 마우스, 래트, 기니피그, 토끼, 돼지, 가금류, 말, 소, 염소, 양, 고래목 동물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치료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을 암 세포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세포에서 독성 효과를 일으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은 제1 암 세포에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여 제1 암 세포가 상기 바이러스로 감염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암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중 적어도 하나를 억제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모든 암 또는 종양 세포가 감염되지는 않고, 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성장이 직접적인 감염 없이 억제될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
일부 예에서, 종양용해를 유도하고, 세포를 사멸시키고, 성장을 억제하고, 전이를 억제하고,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고, 다른 방식으로 종양 세포의 악성 표현형을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암 세포 또는 종양을 치료적 유효 용량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과 접촉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의 제약 조성물은 종양용해, 암 세포의 파괴 또는 용해, 또는 암 세포의 성장 또는 크기의 억제 또는 감소를 유도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암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세포 사멸 또는 더 느린 복제 속도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종양의 성장 속도 감소 또는 암 세포를 함유하는 대상체의 생존 연장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이 있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같은 방법에서의 유효량은 성장 속도 또는 암의 확산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대상체에서 생존을 연장시키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유효량의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를 종양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종양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의 변형 바이러스, 또는 이의 제약 조성물은 종양의 성장을 느리게 하거나, 종양의 성장 또는 크기를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유도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할 수 있고, 종양의 근절을 포함할 수 있다. 종양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성장 속도 감소 또는 종양을 함유하는 대상체의 생존 연장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i)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를 추가로 발현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을 단독으로 또는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고, (ii) 바이러스를 투여한 직후에 대상체로부터 제1 생물학적 샘플을 수집하고, 제1 생물학적 샘플 내의 루시퍼라제 리포터의 수준을 결정하고, (iii) 단계 (ii)에서의 투여 후에 대상체로부터 제2 생물학적 샘플을 수집하고, (iii) 제2 생물학적 샘플 내의 루시퍼라제 리포터의 수준을 검출하고, 여기서 루시퍼라제의 수준이 단계 (ii)에서보다 단계 (iii)에서 더 높으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감염성이고,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며, 종양 특이적 바이러스 복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감염력 또는 항종양 활성, 또는 이의 종양 특이적 바이러스 복제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제2 생물학적 샘플은 단계 (i)에서 투여하고 나서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5시간, 약 24시간, 약 36시간, 약 48시간, 약 72시간, 약 4일, 약 5일, 약 6일, 약 7일, 약 8일, 약 9일, 약 10일, 약 11일, 약 12일, 약 13일, 약 14일, 약 15일, 약 1개월, 내지 약 2개월 후에 수집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언급된 방법은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를 투여한 후에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혈장 샘플 내의 하나 이상의 검정 시토카인 수준, 예를 들어, IL-2, IL-7, IL-8, IL-10, IFN-γ GM-CSF, TNF-α IL-6, IL-4, IL-5, 및 IL-13의 수준을 단계 (i) 및 (iii)에서 검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언급된 단계 (ii)와 (iv) 사이의 루시퍼라제 생물발광 증가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함유하지 않는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바이러스에서의 것과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함유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대해 더 높다. 변형 바이러스 투여 후에 바이러스 로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기술은 실시간 정량적 PCR을 포함한다.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에 따른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러한 우두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후에 약동학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약동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단독으로 또는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단계; (ii) 단계 (i)에서 투여하고 나서 약 15분, 약 30분, 약 45분, 약 60분, 약 75분, 약 90분, 약 120분, 약 180분, 및 약 240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5시간, 약 24시간, 약 36시간, 약 48시간, 약 72시간, 약 4일, 약 5일, 약 6일, 약 7일, 약 8일, 약 9일, 약 10일, 약 11일, 약 12일, 약 13일, 약 14일, 약 15일, 약 1개월, 내지 약 2개월 후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시점에 대상체로부터 생물학적 샘플을 수집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언급된 시점에 수집된 생물학적 샘플 내의 바이러스 게놈 (또는 바이러스 게놈 내에 삽입된 리포터 유전자, 예컨대 루시퍼라제)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 일부 경우에, 바이러스 게놈 카피/mL이 15분 시점에 수집된 샘플에서 가장 높을 수 있고, 추가로 240분 시점에 수집된 샘플은 검출가능한 양의 바이러스 게놈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바이러스 피크가 투여하고 나서 약 15분 후에 관찰될 수 있고,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약 240분 (또는 4시간) 후에 대상체의 시스템으로부터 소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바이러스 피크가 투여하고 나서 약 15분 후에 관찰될 수 있고, 제2 바이러스 피크가 후속 시점, 예를 들어, 약 30분, 약 45분, 약 60분, 또는 약 90분에 수집된 생물학적 샘플에서 관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혈액일 수 있고, 바이러스 게놈/mL의 양은 정량적 PCR 또는 기타 적합한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바이러스 피크가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투여하고 나서 약 15분 후에 관찰될 수 있고, 제2 바이러스 피크가 투여하고 나서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5시간, 약 24시간, 약 36시간, 약 48시간, 약 72시간, 약 4일, 약 5일, 약 6일, 약 7일, 약 8일, 약 9일, 약 10일, 약 11일, 약 12일, 약 13일, 약 14일, 약 15일, 약 1개월, 내지 약 2개월 후에 관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선택적 복제를 리포터 유전자, 예컨대 루시퍼라제 유전자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루시퍼라제 유전자가 바이러스의 게놈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종양 세포가 이러한 바이러스로 감염될 수 있다. 감염된 종양 세포에서의 생물발광을 측정하여 종양-선택적 복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함유하지 않는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서 루시퍼라제 리포터 생물발광의 증가를 나타낸다.
히알루로니다제 PH-2O은 세포외 매트릭스 분해에서 기능할 수 있고, 이는 바이러스 확산을 개선할 수 있다. 리포터 유전자, 예컨대 루시퍼라제 유전자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바이러스 확산을 또한 측정할 수 있다. 루시퍼라제 유전자가 바이러스의 게놈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종양 세포가 이러한 바이러스로 감염될 수 있다. 감염된 종양 세포에서의 생물발광을 측정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평가할 수 있다. 일부 예는 PH-20과 조합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함유하지 않는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PH-20과 조합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서 루시퍼라제 리포터 생물발광의 증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단독으로 또는 PH-20과 조합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외인성 유전자가 없는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종양 특이적 바이러스 복제 증가 및 바이러스 확산 개선을 실연한다.
변형 바이러스의 전달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양은 약 103 내지 1012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 또는 플라크 형성 단위 (PFU), 또는 약 105 내지 1010 PFU, 또는 약 105 내지 108 PFU, 또는 약 108 내지 1010 PFU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양은 약 103 내지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 또는 플라크 형성 단위 (PFU), 또는 약 105 내지 1010 PFU, 또는 약 105 내지 108 PFU, 또는 약 108 내지 1010 PFU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약 103 PFU/용량 내지 약 104 PFU/용량, 약 104 PFU/용량 내지 약 105 PFU/용량, 약 105 PFU/용량 내지 약 106 PFU/용량, 약 107 PFU/용량 내지 약 108 PFU/용량, 약 109 PFU/용량 내지 약 1010 PFU/용량, 약 1010 PFU/용량 내지 약 1011 PFU/용량, 약 1011 PFU/용량 내지 약 1012 PFU/용량, 약 1012 PFU/용량 내지 약 1013 PFU/용량, 약 1013 PFU/용량 내지 약 1014 PFU/용량, 또는 약 1014 PFU/용량 내지 약 1015 PFU/용량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약 2 × 103 PFU/용량, 3 × 103 PFU/용량, 4 × 103 PFU/용량, 5 × 103 PFU/용량, 6 × 103 PFU/용량, 7 × 103 PFU/용량, 8 × 103 PFU/용량, 9 × 103 PFU/용량, 약 104 PFU/용량, 약 2 × 104 PFU/용량, 약 3 × 104 PFU/용량, 약 4 × 104 PFU/용량, 약 5 × 104 PFU/용량, 약 6 × 104 PFU/용량, 약 7 × 104 PFU/용량, 약 8 × 104 PFU/용량, 약 9 × 104 PFU/용량, 약 105 PFU/용량, 2 × 105 PFU/용량, 3 × 105 PFU/용량, 4 × 105 PFU/용량, 5 × 105 PFU/용량, 6 × 105 PFU/용량, 7 × 105 PFU/용량, 8 × 105 PFU/용량, 9 × 105 PFU/용량, 약 106 PFU/용량, 약 2 × 106 PFU/용량, 약 3 × 106 PFU/용량, 약 4 × 106 PFU/용량, 약 5 × 106 PFU/용량, 약 6 × 106 PFU/용량, 약 7 × 106 PFU/용량, 약 8 × 106 PFU/용량, 약 9 × 106 PFU/용량, 약 107 PFU/용량, 약 2 × 107 PFU/용량, 약 3 × 107 PFU/용량, 약 4 × 107 PFU/용량, 약 5 × 107 PFU/용량, 약 6 × 107 PFU/용량, 약 7 × 107 PFU/용량, 약 8 × 107 PFU/용량, 약 9 × 107 PFU/용량, 약 108 PFU/용량, 약 2 × 108 PFU/용량, 약 3 × 108 PFU/용량, 약 4 × 108 PFU/용량, 약 5 × 108 PFU/용량, 약 6 × 108 PFU/용량, 약 7 × 108 PFU/용량, 약 8 × 108 PFU/용량, 약 9 × 108 PFU/용량, 약 109 PFU/용량, 약 2 × 109 PFU/용량, 약 3 × 109 PFU/용량, 약 4 × 109 PFU/용량, 약 5 × 109 PFU/용량, 약 6 × 109 PFU/용량, 약 7 × 109 PFU/용량, 약 8 × 109 PFU/용량, 약 9 × 109 PFU/용량, 약 1010 PFU/용량, 약 2 × 1010 PFU/용량, 약 3 × 1010 PFU/용량, 약 4 × 1010 PFU/용량, 약 5 ×1010 PFU/용량, 약 6 × 1010 PFU/용량, 약 7 × 1010 PFU/용량, 약 8 × 1010 PFU/용량, 약 9 × 1010 PFU/용량, 약 1010 PFU/용량, 약 2 × 1010 PFU/용량, 약 3 × 1010 PFU/용량, 약 4 × 1010 PFU/용량, 약 5 × 1010 PFU/용량, 약 6 × 1010 PFU/용량, 약 7 × 1010 PFU/용량, 약 8 × 1010 PFU/용량, 약 9 × 1010 PFU/용량, 약 1011 PFU/용량, 약 2 × 1011 PFU/용량, 약 3 × 1011 PFU/용량, 약 4 × 1011 PFU/용량, 약 5 × 1011 PFU/용량, 약 6 × 1011 PFU/용량, 약 7 × 1011 PFU/용량, 약 8 × 1011 PFU/용량, 약 9 × 1011 PFU/용량, 또는 약 1012 PFU/용량, 약 1012 PFU/용량 내지 약 1013 PFU/용량, 약 1013 PFU/용량 내지 약 1014 PFU/용량, 또는 약 1014 PFU/용량 내지 약 1015 PFU/용량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용량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용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약 103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4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4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5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5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6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7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8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9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0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10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1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11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3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약 1013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4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또는 약 1014 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 내지 약 1015개의 바이러스 입자/용량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는 약 103 PFU/kg 내지 약 104 PFU/kg, 약 104 PFU/kg 내지 약 105 PFU/kg, 약 105 PFU/kg 내지 약 106 PFU/kg, 약 107 PFU/kg 내지 약 108 PFU/kg, 약 109 PFU/kg 내지 약 1010 PFU/kg, 약 1010 PFU/kg 내지 약 1011 PFU/kg, 약 1011 PFU/kg 내지 약 1012 PFU/kg, 약 1012 PFU/kg 내지 약 1013 PFU/kg, 약 1013 PFU/kg 내지 약 1014 PFU/kg, 또는 약 1014 PFU/kg 내지 약 1015 PFU/kg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약 2 × 103 PFU/kg, 3 × 103 PFU/kg, 4 × 103 PFU/kg, 5 × 103 PFU/kg, 6 × 103 PFU/kg, 7 × 103 PFU/kg, 8 × 103 PFU/kg, 9 × 103 PFU/kg, 약 104 PFU/kg, 약 2 × 104 PFU/kg, 약 3 ×104 PFU/kg, 약 4 × 104 PFU/kg, 약 5 × 104 PFU/kg, 약 6 × 104 PFU/kg, 약 7 × 104 PFU/kg, 약 8 × 104 PFU/kg, 약 9 × 104 PFU/kg, 약 105 PFU/kg, 2 × 105 PFU/kg, 3 × 105 PFU/kg, 4 × 105 PFU/kg, 5 × 105 PFU/kg, 6 × 105 PFU/kg, 7 × 105 PFU/kg, 8 × 105 PFU/kg, 9 × 105 PFU/kg, 약 106 PFU/kg, 약 2 × 106 PFU/kg, 약 3 × 106 PFU/kg, 약 4 × 106 PFU/kg, 약 5 × 106 PFU/kg, 약 6 × 106 PFU/kg, 약 7 × 106 PFU/kg, 약 8 × 106 PFU/kg, 약 9 × 106 PFU/kg, 약 107 PFU/kg, 약 2 × 107 PFU/kg, 약 3 × 107 PFU/kg, 약 4 × 107 PFU/kg, 약 5 × 107 PFU/kg, 약 6 × 107 PFU/kg, 약 7 × 107 PFU/kg, 약 8 × 107 PFU/kg, 약 9 × 107 PFU/kg, 약 108 PFU/kg, 약 2 × 108 PFU/kg, 약 3 × 108 PFU/kg, 약 4 × 108 PFU/kg, 약 5 × 108 PFU/kg, 약 6 × 108 PFU/kg, 약 7 × 108 PFU/kg, 약 8 × 108 PFU/kg, 약 9 × 108 PFU/kg, 약 109 PFU/kg, 약 2 × 109 PFU/kg, 약 3 × 109 PFU/kg, 약 4 × 109 PFU/kg, 약 5 × 109 PFU/kg, 약 6 × 109 PFU/kg, 약 7 × 109 PFU/kg, 약 8 × 109 PFU/kg, 약 9 × 109 PFU/kg, 약 1010 PFU/kg, 약 2 × 1010 PFU/kg, 약 3 × 1010 PFU/kg, 약 4 × 1010 PFU/kg, 약 5 ×1010 PFU/kg, 약 6 × 1010 PFU/kg, 약 7 × 1010 PFU/kg, 약 8 × 1010 PFU/kg, 약 9 × 1010 PFU/kg, 약 1010 PFU/kg, 약 2 × 1010 PFU/kg, 약 3 × 1010 PFU/kg, 약 4 × 1010 PFU/kg, 약 5 × 1010 PFU/kg, 약 6 × 1010 PFU/kg, 약 7 × 1010 PFU/kg, 약 8 × 1010 PFU/kg, 약 9 × 1010 PFU/kg, 약 1011 PFU/kg, 약 2 × 1011 PFU/kg, 약 3 × 1011 PFU/kg, 약 4 × 1011 PFU/kg, 약 5 × 1011 PFU/kg, 약 6 × 1011 PFU/kg, 약 7 × 1011 PFU/kg, 약 8 × 1011 PFU/kg, 약 9 × 1011 PFU/kg, 또는 약 1012 PFU/kg, 약 1012 PFU/kg 내지 약 1013 PFU/kg, 약 1013 PFU/kg 내지 약 1014 PFU/kg, 또는 약 1014 PFU/kg 내지 약 1015 PFU/kg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kg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kg 이하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는 약 103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4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4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5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5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6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7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8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9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0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10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1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11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3개의 바이러스 입자/kg, 약 1013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4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또는 약 1014개의 바이러스 입자/kg 내지 약 1015개의 바이러스 입자/kg을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액체 투여 형태는,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 103 PFU/mL 내지 약 104 PFU/mL, 약 104 PFU/mL 내지 약 105 PFU/mL, 약 105 PFU/mL 내지 약 106 PFU/mL, 약 107 PFU/mL 내지 약 108 PFU/mL, 약 109 PFU/mL 내지 약 1010 PFU/mL, 약 1010 PFU/mL 내지 약 1011 PFU/mL, 약 1011 PFU/mL 내지 약 1012 PFU/mL, 약 1012 PFU/mL 내지 약 1013 PFU/mL, 약 1013 PFU/mL 내지 약 1014 PFU/mL, 또는 약 1014 PFU/mL 내지 약 1015 PFU/mL의 바이러스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약 2 × 103 PFU/mL, 3 × 103 PFU/mL, 4 × 103 PFU/mL, 5 × 103 PFU/mL, 6 × 103 PFU/mL, 7 × 103 PFU/mL, 8 × 103 PFU/mL, 9 × 103 PFU/mL, 약 104 PFU/mL, 약 2 × 104 PFU/mL, 약 3 ×104 PFU/mL, 약 4 × 104 PFU/mL, 약 5 × 104 PFU/mL, 약 6 × 104 PFU/mL, 약 7 × 104 PFU/mL, 약 8 × 104 PFU/mL, 약 9 × 104 PFU/mL, 약 105 PFU/mL, 2 × 105 PFU/mL, 3 × 105 PFU/mL, 4 × 105 PFU/mL, 5 × 105 PFU/mL, 6 × 105 PFU/mL, 7 × 105 PFU/mL, 8 × 105 PFU/mL, 9 × 105 PFU/mL, 약 106 PFU/mL, 약 2 × 106 PFU/mL, 약 3 × 106 PFU/mL, 약 4 × 106 PFU/mL, 약 5 × 106 PFU/mL, 약 6 × 106 PFU/mL, 약 7 × 106 PFU/mL, 약 8 × 106 PFU/mL, 약 9 × 106 PFU/mL, 약 107 PFU/mL, 약 2 × 107 PFU/mL, 약 3 × 107 PFU/mL, 약 4 × 107 PFU/mL, 약 5 × 107 PFU/mL, 약 6 × 107 PFU/mL, 약 7 × 107 PFU/mL, 약 8 × 107 PFU/mL, 약 9 × 107 PFU/mL, 약 108 PFU/mL, 약 2 × 108 PFU/mL, 약 3 × 108 PFU/mL, 약 4 × 108 PFU/mL, 약 5 × 108 PFU/mL, 약 6 × 108 PFU/mL, 약 7 × 108 PFU/mL, 약 8 × 108 PFU/mL, 약 9 × 108 PFU/mL, 약 109 PFU/mL, 약 2 × 109 PFU/mL, 약 3 × 109 PFU/mL, 약 4 × 109 PFU/mL, 약 5 × 109 PFU/mL, 약 6 × 109 PFU/mL, 약 7 × 109 PFU/mL, 약 8 × 109 PFU/mL, 약 9 × 109 PFU/mL, 약 1010 PFU/mL, 약 2 × 1010 PFU/mL, 약 3 × 1010 PFU/mL, 약 4 × 1010 PFU/mL, 약 5 ×1010 PFU/mL, 약 6 × 1010 PFU/mL, 약 7 × 1010 PFU/mL, 약 8 × 1010 PFU/mL, 약 9 × 1010 PFU/mL, 약 1010 PFU/mL, 약 2 × 1010 PFU/mL, 약 3 × 1010 PFU/mL, 약 4 × 1010 PFU/mL, 약 5 × 1010 PFU/mL, 약 6 × 1010 PFU/mL, 약 7 × 1010 PFU/mL, 약 8 × 1010 PFU/mL, 약 9 × 1010 PFU/mL, 약 1011 PFU/mL, 약 2 × 1011 PFU/mL, 약 3 × 1011 PFU/mL, 약 4 × 1011 PFU/mL, 약 5 × 1011 PFU/mL, 약 6 × 1011 PFU/mL, 약 7 × 1011 PFU/mL, 약 8 × 1011 PFU/mL, 약 9 × 1011 PFU/mL, 또는 약 1012 PFU/mL, 약 1012 PFU/mL 내지 약 1013 PFU/mL, 약 1013 PFU/mL 내지 약 1014 PFU/mL, 또는 약 1014 PFU/mL 내지 약 1015 PFU/mL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mL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는 5 × 109 PFU/mL 이하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변형 바이러스가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투여량은 약 103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4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5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6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7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8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9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0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1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2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2 × 1012 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3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4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 또는 1015개의 바이러스 입자/주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경우에, 변형 바이러스가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투여량은 약 103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4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5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6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7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8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9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0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1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2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2 × 1012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3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1014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 또는 1015개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주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는 약 103 조직 배양 억제제 용량 50%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104 TCID50/kg, 3×108 TCID50/kg, 4×108 TCID50/kg, 5×108 TCID50/kg, 3×109 TCID50/kg, 4×109 TCID50/kg, 5×109 TCID50/kg, 3×1010 TCID50/kg, 4×1010 TCID50/kg, 또는 4×1010 TCID50/kg일 수 있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10x가 대안적으로 1 eX로 표현된다는 것을 주지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는 1회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이러스는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2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3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4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5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6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70%,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80%, 또는 종양 내의 세포의 적어도 약 90%에서 종양용해를 유도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이러스의 단일 용량은 1, 2, 5, 10, 15, 20 또는 24시간 기간에 걸쳐 대상체 또는 종양에 투여되는 양을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용량은 시간에 걸쳐 또는 분리된 주사에 의해 확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다중 용량 (예를 들어, 2, 3, 4, 5, 6회 또는 이를 초과하는 횟수의 용량)의 우두 바이러스가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치료가 제1 치료로부터 1, 2, 3, 4, 5, 6, 7일 또는 수주 내에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다중 용량의 변형 바이러스가 1, 2, 3, 4, 5, 6, 7일 또는 이를 초과하는 일수 또는 수주의 기간에 걸쳐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약 1주 내지 약 2주, 약 2주 내지 약 3주, 약 3주 내지 약 4주, 약 4주 내지 약 5주, 약 6주 내지 약 7주, 약 7주 내지 약 8주, 약 8주 내지 약 9주, 약 9주 내지 약 10주, 약 10주 내지 약 11주, 약 11주 내지 약 12주, 약 12주 내지 약 24주, 약 24주 내지 약 48주, 약 48주 또는 약 52주의 지속기간, 또는 더 긴 지속기간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1일 1회, 1일 2회, 매주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또는 1개월에 1회), 8주마다 1회 (또는 2개월마다 1회), 12주마다 1회 (또는 3개월마다 1회), 또는 24주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독립적으로, 제1 기간 동안의 초기 용량, 제2 기간 동안의 중간 용량, 및 제3 기간 동안의 고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초기 용량은 중간 용량보다 더 낮고, 중간 용량은 고용량보다 더 낮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제2 및 제3 기간은 독립적으로 약 1주 내지 약 2주, 약 2주 내지 약 3주, 약 3주 내지 약 4주, 약 4주 내지 약 5주, 약 6주 내지 약 7주, 약 7주 내지 약 8주, 약 8주 내지 약 9주, 약 9주 내지 약 10주, 약 10주 내지 약 11주, 약 11주 내지 약 12주, 약 12주 내지 약 24주, 약 24주 내지 약 48주, 약 48주 또는 약 52주, 또는 더 긴 기간이다.
일부 예에서, 대상체는 본원에 기술된 치료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이의 투여와 동시에, 그리고 이의 투여 후에 탄수화물 감소 식이, 예를 들어, 케톤생성 식이 중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50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4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4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40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3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30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2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20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1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10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9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8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7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6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5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4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3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2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 10그램 미만의 탄수화물/일을 소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식이 중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암 또는 종양 세포에 전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종양내 주사를 통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투여 방법, 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 비경구, 정맥내, 피내, 근육내, 경피, 직장, 요도내, 질내, 비강내, 경막내, 또는 복막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종양의 위치 및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투여 경로는 치아내, 경피,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비강내, 피하, 국소 (예를 들어, 종양 주변, 특히 종양의 혈관계 또는 인접 혈관계), 피하, 경막내, 기관내, 복막내, 동맥내, 방광내, 종양내, 흡입, 관류, 세척 또는 경구일 수 있다. 주사가능한 용량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가 볼루스 주사로서 또는 저속 주입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는 환자 내에 이식된 공급원으로부터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의 투여는 선택된 기간에 걸친 연속 주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은 약 15분, 약 30분, 약 45분, 약 50분, 약 55분, 약 60분, 약 75분, 약 90분, 약 100분, 또는 약 120분의 기간 또는 더 긴 기간에 걸친 주입에 의해 치료적 유효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액체 투여형으로서 투여될 수 있고, 여기서 총 투여 부피는 약 1 mL 내지 약 5 mL, 약 5 mL 내지 10 mL, 약 15 mL 내지 약 20 mL, 약 25 mL 내지 약 30 mL, 약 30 mL 내지 약 50 mL, 약 50 mL 내지 약 100 mL, 약 100 mL 내지 150 mL, 약 150 mL 내지 약 200 mL, 약 200 mL 내지 약 250 mL, 약 250 mL 내지 약 300 mL, 약 300 mL 내지 약 350 mL, 약 350 mL 내지 약 400 mL, 약 400 mL 내지 약 450 mL, 약 450 mL 내지 500 mL, 약 500 mL 내지 750 mL, 또는 약 750 mL 내지 1000 mL이다.
제약 조성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이 용액,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오일 내의 이의 임의의 조합물 내의 분산액, 고체 투여 형태,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가용화제, 예컨대 멸균수, 트리스-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는 문헌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1986)]에 기술된 부형제일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완충제, 보존제, 안정화제, 결합제, 압착제, 윤활제, 킬레이터, 분산 인핸서, 붕해제, 향미제, 감미제,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완충제일 수 있다. 적절한 완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시트르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및 중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제로서,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수산화마그네슘, 락트산마그네슘, 글루콘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시트르산나트륨, 타르타르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폴리인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인산수소2나트륨, 인산수소2칼륨, 인산3나트륨, 인산3칼륨, 메타인산칼륨,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슘, 글리세로인산칼슘, 염화칼슘, 수산화칼슘 및 기타 칼슘 염 또는 이의 조합물이 제약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보존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항산화제, 예컨대 알파-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베이트, 및 항균제, 예컨대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및 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는 EDTA,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화 히드록시 아니솔 (BHA), 아황산나트륨, p-아미노 벤조산, 글루타티온, 프로필 갈레이트, 시스테인, 메티오닌, 에탄올 및 N-아세틸 시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보존제는 발리다마이신 A, TL-3, 소듐 오르토 바나데이트, 플루오린화나트륨, N-a-토실-Phe-클로로메틸케톤, N-a-토실-Lys-클로로메틸케톤, 아프로티닌,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라이드, 디이소프로필플루오로포스페이트, 키나제 억제제, 포스파타제 억제제, 카스파제 억제제, 그랜자임 억제제, 세포 부착 억제제, 세포 분열 억제제, 세포 주기 억제제, 지질 신호전달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환원제, 알킬화제, 항균제, 옥시다제 억제제, 또는 기타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로서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전분, 예비-젤라틴화 전분,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옥소아졸리돈, 폴리비닐알콜, C12-C18 지방산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올, 당류, 올리고당류,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제는 전분 예컨대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밀 전분; 당 예컨대 수크로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락토스, 말토덱스트린; 천연 및 합성 검; 젤라틴;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포비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왁스; 탄산칼슘; 인산칼슘;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및 물 또는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로서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윤활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수소첨가 식물성 오일, 스테로텍스,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벤조산나트륨,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 술페이트, 및 경질 미네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는 금속성 스테아레이트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지방 알콜,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미네랄 오일, 파라핀, 수소첨가 식물성 오일, 류신,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금속성 라우릴 술페이트 (예컨대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 술페이트), 염화나트륨,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및 탈크 또는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약 제제는 부형제로서 분산 인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전분, 알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구아 검, 카올린, 벤토나이트, 정제된 목재 셀룰로스,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동형비결정질(isoamorphous) 실리케이트, 및 고-HLB 유화제 계면활성제로서의 미세결정질 셀룰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로서 붕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붕해제는 비-발포성 붕해제일 수 있다. 적절한 비-발포성 붕해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이의 예비-젤라틴화 및 변형 전분, 감미제, 점토, 예컨대 벤토나이트,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검 예컨대 한천, 구아, 로커스티 빈, 카라야, 펙틴, 및 트래거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붕해제는 발포성 붕해제일 수 있다. 적절한 발포성 붕해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시트르산과 조합된 중탄산나트륨, 및 타르타르산과 조합된 중탄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층 내로 혼입되는 향미제는 합성 향미 오일 및 향미 방향족; 천연 오일; 식물, 잎, 꽃 및 과일로부터의 추출물; 및 이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향미제는 시나몬 오일; 윈터그린 오일; 페퍼민트 오일; 클로버 오일; 건초 오일; 아니스 오일; 유칼리툽스; 바닐라; 시트러스 오일 예컨대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포도 및 자몽 오일; 및 사과, 복숭아, 배, 딸기, 라스베리, 체리, 자두, 파인애플 및 살구를 포함하는 과일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감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감미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글루코스 (옥수수 시럽), 덱스트로스, 전화당, 프룩토스, 및 이의 혼합물 (담체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사카린 및 이의 다양한 염 예컨대 나트륨 염; 디펩티드 감미제 예컨대 아스파탐; 디히드로칼콘 화합물, 글리시리진;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 (스테비오시드(Stevioside)); 수크로스의 클로로 유도체 예컨대 수크랄로스; 및 당 알콜 예컨대 소르비톨, 만니톨, 실리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착색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식품, 약물 및 화장품 색소 (FD&C), 약물 및 화장품 색소 (D&C), 및 외용 약물 및 화장품 색소 (Ext. D&C)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는 염료 또는 이의 상응하는 레이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킬레이터는 살진균성 킬레이터일 수 있다. 예는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아세트산 (EDTA); EDTA의 디소듐, 트리소듐, 테트라소듐, 디포타슘, 트리포타슘, 디리튬 및 디암모늄 염; EDTA의 바륨, 칼슘, 코발트, 구리, 디스프로슘, 유로퓸, 철, 인듐, 란타넘, 마그네슘, 니켈, 사마륨, 스트론튬, 또는 아연 킬레이트;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N,N,N',N'-테트라아세트산 모노히드레이트; N,N-비스(2-히드록시에틸)글리신; 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N,N,N',N'-테트라아세트산; 1,3-디아미노프로판-N,N,N',N'-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N,N'-디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N,N'-디프로피온산 디히드로글로라이드; 에틸렌디아민-N,N'-비스(메틸렌포스폰산) 헤미히드레이트; 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N,N',N'-트리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O,O'-비스(2-아미노에틸)에틸렌글리콜-N,N,N',N'-테트라아세트산; N,N-비스(2-히드록시벤질)에틸렌디아민-N,N-디아세트산; 1,6-헥사메틸렌디아민-N,N,N',N'-테트라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1,2-디아미노프로판-N,N,N',N'-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프로피온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인산)의 트리소듐 염; 7,19,30-트리옥사-1,4,10,13,16,22,27,33-옥타아자비시클로[11,11,11] 펜타트리아콘탄 헥사히드로브로마이드; 또는 트리에틸렌테트라민-N,N,N',N",N'",N'"-헥사아세트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본원에 개시된 변형 바이러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항균 또는 항진균 작용제, 예를 들어, 폴리엔 예컨대 암포테리신 B, 암포테리신 B 지질 복합체 (ABCD), 리포솜형 암포테리신 B (L-AMB), 및 리포솜형 니스타틴, 아졸 및 트리아졸 예컨대 보리코나졸, 플루코나졸,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포자코나졸 등; 글루칸 신타제 억제제 예컨대 카스포펀진, 미카펀진 (FK463), 및 V-에키노칸딘 (LY303366); 그리세오풀빈; 알릴아민 예컨대 테르비나핀; 플루시토신 또는 본원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는 기타 항진균 작용제를 포함하는 조합 제품이 또한 구상된다. 추가적으로, 펩티드가 국소 항진균 작용제 예컨대 시클로프리옥스 올라민, 할로프로진, 톨나프테이트, 운데실레네이트, 국소 니사틴, 아모롤핀, 부테나핀, 나프티핀, 테르비나핀, 및 기타 국소 작용제와 조합될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일부 경우에, 제약 조성물은 추가적인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추가적인 작용제는 제약 조성물 내에 치료 유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통상적인 보관 및 사용 조건 하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은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주사 용도에 적절한 제약 형태는 무균성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 및 무균성 주사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무균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예를 들어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인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제, 예컨대 레시틴의 사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적합한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항균 및 항진균 작용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미생물의 작용의 방지가 발생될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 등장성 작용제, 예를 들어, 당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수를 지연시키는 작용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을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주사가능한 조성물의 장기 흡수가 발생될 수 있다.
수성 용액에서의 비경구 투여를 위해, 예를 들어, 액체 투여 형태가 필요하다면 적절하게 완충될 수 있고, 액체 희석제가 충분한 염수 또는 글루코스로 등장성이게 될 수 있다. 액체 투여 형태는 정맥내, 근육내, 피하, 종양내 및 복막내 투여에 특히 적절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무균성 수성 매질이 본 개시내용을 고려하여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투여량이 1 mL 내지 20 mL의 등장성 NaCl 용액에 용해될 수 있고, 100 mL 내지 1000 mL의 유체,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완충 염수에 첨가되거나, 또는 제안된 주입 부위에서 주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을, 필요하다면 상기 열거된 다양한 다른 성분과 함께, 필요한 양으로 적합한 용매에 혼입시킨 후, 여과 멸균함으로써 무균성 주사가능 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멸균된 활성 성분을 기본적인 분산 매질 및 상기 열거된 것들로부터의 필요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무균성 비히클 내로 혼입시킴으로써 분산액이 제조된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중성 또는 염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또는 인산, 또는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만델산 등으로 형성된 산 부가염 (단백질의 유리 아미노 기로 형성됨)을 포함한다. 유리 카르복실 기로 형성된 염 또한 무기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제2철, 및 유기 염기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히스티딘, 프로카인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제제화 시, 제약 조성물은 투여 제제와 상용성인 방식으로, 그리고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된 변형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제약상 허용되는"은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의 유효성을 방해하지 않고/않거나 자신이 투여되는 환자에게 독성이지 않은 임의의 담체를 포함한다. 적절한 제약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용액, 물, 에멀션, 예컨대 오일/물 에멀션, 다양한 유형의 습윤화제 및 무균성 용액을 포함한다. 제약상 상용성인 담체의 추가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겔, 생체흡수성 매트릭스 물질, 변형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이식 요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히클, 전달 또는 분배 수단 또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은 담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제화될 수 있고, 유효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생산 방법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는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는 적절한 숙주 세포, 예를 들어, HeLa 세포, 293 세포, 또는 Vero 세포에서 증식되고, 숙주 세포로부터 단리되고, 경시적인 감염력 상실을 최소화하도록 바이러스의 안정성 및 통합성을 촉진하는 조건에서 보관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방법에서, 변형 바이러스는 세포 스택, 롤러 병 또는 관류 바이오리액터를 사용하여 숙주 세포에서 증식된다. 일부 예에서, 변형 바이러스의 정제를 위한 하류 방법은 여과 (예를 들어, 심층 여과, 접선 유동 여과, 또는 이의 조합), 초원심분리,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동 또는 건조에 의해, 예컨대 동결건조에 의해 변형 바이러스가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투여 전에, 저장된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를 위해 재구축시키고 (저장용으로 건조된 경우),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에 희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HeLa 세포 및 293 세포에서 더 높은 역가를 나타낸다는 것을 제공한다. 특정 경우에, HeLa 세포 및 293 세포에서의 더 높은 역가가 변이체 HMGB1 및 히알루로니다제, 예컨대 PH-20을 발현하는 변형 우두 바이러스에서 나타난다.
조합 요법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이 이어지거나, 이것이 선행하거나 또는 이와 조합하여,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 요법의 예는 화학요법, 방사선조사, 추가적인 바이러스로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면역조정 단백질로의 치료, 항암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요법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투여와 관련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항암제 또는 암 요법이 이어지거나, 이것이 선행하거나 또는 이와 조합하여,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항암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 요법제, 시토카인,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항-혈관형성 작용제, 아팝토시스-유도제, 힝암 항체 및/또는 항-사이클린-의존적 키나제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 요법은 화학요법, 생물학적 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호르몬 요법, 항-혈관 요법, 냉동요법, 독소 요법 및/또는 수술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단독으로 또는 PH-20과 조합하여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가 이어지거나, 이것이 선행하거나 또는 이와 조합하여 본원에 개시된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와 화학요법의 조합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함유하지 않는 변형 바이러스에서는 보이지 않는 상승작용적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조합의 상승작용적 효과는 화학요법, 예컨대 탁솔®의 용량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바이러스로의 본원에 개시된 치료 방법은 화학요법과 연관된 독성, 예를 들어, 화학요법에 반응하지만 치료 용량에서 부작용을 겪는 환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상승작용적 효과는 화학요법 단독 또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단독과 비교하여 종양 성장의 감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종양 성장 감소는 약 2% 내지 약 50%, 예컨대 약 5%, 약 10%, 약 20%, 약 25%, 약 35%, 약 45% 또는 약 5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형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치료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면역조정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면역조정제는 종양 또는 암과 연관된 항바이러스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분자 또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정제는 변형 바이러스에 대한 선천 면역 또는 적응 면역을 억제할 수 있다. 면역조정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항-CD33 항원 또는 이의 가변 영역, 항-CD11b 항원 또는 이의 가변 영역, COX2 억제제, 예를 들어, 셀레콕십, 시토카인, 예컨대 IL-12, GM-CSF, IL-2, IFN3 및 1FNy, 및 케모카인, 예컨대 MIP-1, MCP-1 및 IL-8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면역조정제는 항-CTLA4, 항-PD-1, 항-PDL1 및 TLR 효능제 (예를 들어, 폴리 1:C)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추가 요법이 방사선조사인 경우, 예시적인 선량은 5,000 Rad (50 Gy) 내지 100,000 Rad (1000 Gy), 또는 50,000 Rad (500 Gy), 또는 언급된 범위 내의 다른 적합한 선량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사선 선량은 약 30 내지 60 Gy, 약 40 내지 약 50 Gy, 약 40 내지 48 Gy, 또는 약 44 Gy, 또는 언급된 범위 내의 다른 적합한 선량일 수 있고, 이러한 선량은, 예를 들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선량측정 연구에 의해 결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Gy"는 100 Rad와 동일한 방사선의 특정 흡수 선량에 대한 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Gy는 "그레이(Gray)"에 대한 약자이다.
특정 예에서, 추가 요법이 화학요법인 경우, 예시적인 화학요법제는 비제한적으로 알킬화제 (예를 들어, 질소 머스타드 유도체, 에틸렌이민, 알킬술포네이트, 히드라진 및 트리아진, 니트로스우레아, 및 금속 염), 식물 알칼로이드 (예를 들어, 빈카 알칼로이드, 탁산, 포도필로톡신, 및 캄프토테칸 유사체), 항종양 항생제 (예를 들어, 안트라사이클린, 크로모마이신 등), 항대사물질 (예를 들어, 엽산 길항제, 피리미딘 길항제, 퓨린 길항제, 및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및 다양한 항신생물제 (예를 들어, 리보뉴클레오티드 환원효소 억제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억제제, 효소, 항-미세관 작용제, 및 레티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화학요법제는 비제한적으로 아나스트로졸 (아리미덱스(Arimidex)®), 비칼루타미드 (카소덱스(Casodex)®), 블레오마이신 술페이트 (블레녹산(Blenoxane)®), 부술판 (밀레란(Myleran)®), 부술판 주사 (부술펙스(Busulfex)®), 카페시타빈 (젤로다(Xeloda)®), N4-펜톡시카르보닐-5-데옥시-5-플루오로시티딘, 카르보플라틴 (파라플라틴(Paraplatin)®), 카르무스틴 (BiCNU®), 클로람부실 (류케란(Leukeran)®), 시스플라틴 (플라티놀(Platinol)®), 클라드리빈 (류스타틴(Leustatin)®),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톡산(Cytoxan)® 또는 네오사르(Neosar)®), 시타라빈,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시토사르(Cytosar)-U®), 시타라빈 리포솜 주사 (데포사이트(DepoCyt)®), 다카르바진 (DTIC-돔(Dome)®), 닥티노마이신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 D, 코스메간(Cosmegan)), 다우노루비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루비딘(Cerubidine)®), 다우노루비신 시트레이트 리포솜 주사 (다우녹솜(DaunoXome)®), 덱사메타손, 도세탁셀 (탁소테레(Taxotere)®), 독소루비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루벡스(Rubex)®), 에토포시드 (베페시드(Vepesid)®),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다라(Fludara)®), 5-플루오로우라실 (아드루실(Adrucil)®, 에푸덱스(Efudex)®), 플루타미드 (유렉신(Eulexin)®), 테자시티빈, 젬시타빈 (디플루오로데옥시시티딘), 히드록시우레아 (히드레아(Hydrea)®), 이다루비신 (이다마이신(Idamycin)®), 이포스파미드 (IFEX®), 이리노테칸 (캄프토사르(Camptosar)®), L-아스파라기나제 (ELSPAR®), 류코보린 칼슘, 멜팔란 (알케란(Alkeran)®), 6-메르캅토퓨린 (퓨린톨(Purinethol)®), 메토트렉세이트 (폴렉스(Folex)®), 미톡산트론 (노반트론(Novantrone)®), 밀로타르그, 파클리탁셀 (탁솔®), 피닉스 (이트륨90/MX-DTPA), 펜토스타틴, 폴리페프로산 20 + 카르무스틴 이식 (글리아델(Gliadel)®),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놀바덱스(Nolvadex)®), 테니포시드 (부몬(Vumon)®), 6-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티라파자민 (티라존(Tirazone)®), 주사용 토포테칸 히드로클로라이드 (하이캄틴(Hycamptin)®), 빈블라스틴 (벨반(Velban)®), 빈크리스틴 (온코빈(Oncovin)®) 및 비노렐빈 (나벨빈(Navelbine)®), 이브루티닙(Ibrutinib), 이델라리십 및 브렌툭시맙 베도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알킬화제는, 비제한적으로, 질소 머스타드, 에틸렌이민 유도체, 알킬 술포네이트, 니트로소우레아 및 트리아젠): 우라실 머스타드 (아미노우라실 머스타드(Aminouracil Mustard)®, 클로레타미나실(Chlorethaminacil)®, 데메틸도판(Demethyldopan)®, 데스메틸도판(Desmethyldopan)®, 해만타민(Haemanthamine)®, 노르도판(Nordopan)®, 우라실 질소 머스타드(Uracil nitrogen Mustard)®, 우라실로스트(Uracillost)®, 우라실모스타자(Uracilmostaza)®, 우라무스틴(Uramustin)®, 우라무스틴(Uramustine)®), 클로르메틴 (머스타르젠(Mustargen)®),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톡산®, 네오사르®, 클라펜(Clafen)®, 엔독산(Endoxan)®, 프로시톡스(Procytox)®, 레비뮨(Revimmune)™), 이포스파미드 (미톡사나(Mitoxana)®), 멜팔란 (알케란®), 클로람부실 (류케란®), 피포브로만 (아메델(Amedel)®, 베르사이트(Vercyte)®), 트리에틸렌멜라민 (헤멜(Hemel)®, 헥살렌(Hexalen)®, 헥사스타트(Hexastat)®), 트리에틸렌티오포스포르아민, 테모졸로미드 (테모다르(Temodar)®), 티오테파 (티오플렉스(Thioplex)®), 부술판 (부실벡스(Busilvex)®, 밀레란®), 카르무스틴 (BiCNU®), 로무스틴 (시뉴(CeeNU)®), 스트렙토조신 (자노사르(Zanosar)®) 및 다카르바진 (DTIC-돔®)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적인 알킬화제는, 비제한적으로, 옥살리플라틴 (엘록사틴(Eloxatin)®); 테모졸로미드 (테모다르® 및 테모달(Temodal)®); 닥티노마이신 (일명 악티노마이신-D, 코스메젠®); 멜팔란 (일명 L-PAM, L-사르코리신 및 페닐알라닌 머스타드, 알케란®); 알트레타민 (일명 헥사메틸멜라민 (HMM), 헥살렌®); 카르무스틴 (BiCNU®); 벤다무스틴 (트레안다(Treanda)®); 부술판 (부술펙스® 및 밀레란®); 카르보플라틴 (파라플라틴®); 로무스틴 (일명 CCNU, 시뉴®); 시스플라틴 (일명 CDDP, 플라티놀® 및 플라티놀®-AQ); 클로람부실 (류케란(®);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톡산® 및 네오사르®); 다카르바진 (일명 DTIC, DIC 및 이미다졸 카르복스아미드, DTIC-돔®); 알트레타민 (일명 헥사메틸멜라민 (HMM), 헥살렌®); 이포스파미드 (이펙스(Ifex)®); 프레드누무스틴; 프로카르바진 (마툴란(Matulane)®); 메클로레타민 (일명 질소 머스타드, 머스틴 및 메클로로에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머스타르젠®); 스트렙토조신 (자노사르®); 티오테파 (일명 티오포스포아미드, 테스파(TESPA) 및 TSPA, 티오플렉스®); 시클로포스파미드 (엔독산®, 시톡산®, 네오사르®, 프로시톡스®, 레비뮨®); 및 벤다무스틴 HCl (트레안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안트라사이클린은,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 및 루벡스®); 블레오마이신 (블레녹산®);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루비신 히드로클로라이드, 다우노마이신 및 루비도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세루비딘®); 다우노루비신 리포솜 (다우노루비신 시트레이트 리포솜, 다우녹솜®); 미톡산트론 (DHAD, 노반트론®); 에피루비신 (엘렌스(Ellence)™); 이다루비신 (이다마이신®, 이다마이신 PFS®); 미토마이신 C (뮤타마이신(Mutamycin)®); 젤다나마이신; 헤르비마이신; 라비도마이신 및 데스아세틸라비도마이신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빈카 알칼로이드는 비노렐빈 타르트레이트 (나벨빈®), 빈크리스틴 (온코빈®) 및 빈데신 (엘디신(Eldisine)®); 빈블라스틴 (일명 빈블라스틴 술페이트, 빈카류코블라스틴 및 VLB, 알카반(Alkaban)-AQ® 및 벨반®); 및 비노렐빈 (나벨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프로테오솜 억제제는 보르테조밉 (벨케이드(Velcade)®); 카르필조밉 (PX-171-007, (S)-4-메틸-N-((S)-1-(((S)-4-메틸-1-((R)-2-메틸옥시란-2-일)-1-옥소펜탄-2-일)아미노)-1-옥소-3-페닐프로판-2-일)-2-((S)-2-(2-모르폴리노아세트아미도)-4-페닐부탄아미도)-펜탄아미드); 마리조밉 (NPI-0052); 익사조밉 시트레이트 (MLN-9708); 델란조밉 (CEP-18770); O-메틸-N-[(2-메틸-5-티아졸릴)카르보닐]-L-세릴-O-메틸-N-[(1S)-2-[(2R)-2-메틸-2-옥시라닐]-2-옥소-1-(페닐메틸)에틸]-L-세린아미드 (ONX-091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와 조합된"은 변형 바이러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추가 요법,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추가 요법이 치료 체계 또는 계획의 일부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은 변형 바이러스 및 하나 이상의 작용제가 투여 전에 물리적으로 조합되는 것 또는 이들이 동일한 시간틀에 걸쳐 투여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변형 바이러스 및 하나 이상의 작용제는 치료 중인 대상체에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또는 상이한 시점에 투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추가 요법은 액체 투여 형태, 고체 투여 형태, 좌약,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추가 요법은 약 1주 내지 약 2주, 약 2주 내지 약 3주, 약 3주 내지 약 4주, 약 4주 내지 약 5주, 약 6주 내지 약 7주, 약 7주 내지 약 8주, 약 8주 내지 약 9주, 약 9주 내지 약 10주, 약 10주 내지 약 11주, 약 11주 내지 약 12주, 약 12주 내지 약 24주, 약 24주 내지 약 48주, 약 48주 또는 약 52주의 지속기간, 또는 더 긴 지속기간에 걸쳐 투여된다. 특정 경우에, 추가 요법의 투여 빈도는 1일 1회, 1일 2회, 매주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또는 1개월에 1회), 8주마다 1회 (또는 2개월마다 1회), 12주마다 1회 (또는 3개월마다 1회), 또는 24주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에 걸린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은 대상체에게 서열식별번호: 4, 15, 17, 19, 5, 6, 8, 10, 및 22-25 및 이의 보존적 치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약 85%, 약 90%,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이체 HMGB1 단백질을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을 발현하는 변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우두 바이러스를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변형 바이러스는 서열식별번호: 8-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핵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약 85%, 약 90%,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는 핵산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작용제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항암제, 면역조정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키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바이러스 또는 변형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하나 이상의 성분 예컨대 사용 설명서, 장치 및 추가적인 시약, 및 본원에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성분, 예컨대 튜브, 용기 및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변형 바이러스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작용제, 예를 들어, 항암제, 면역조정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본원에 개시된 변형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PH20 및 IgE,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변형 우두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변이체 HMGB1은 세포 투과 펩티드에 접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서열식별번호: 4, 15, 17, 및 22-25, 및 이의 보존적 치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일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을 포함하는 변형 우두 바이러스를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서열식별번호: 16, 및 이의 보존적 치환에 대해 약 85% 이하, 약 90% 이하, 약 95% 이하, 약 96% 이하, 약 97% 이하, 또는 약 98% 이하, 또는 약 99% 이하 상동성일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을 포함하는 변형 우두 바이러스를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사용 설명서, 변형 바이러스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장치, 또는 추가적인 작용제 또는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설명서는 변형 바이러스 및 임의적인, 키트 내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 및 대상체의 적합한 상태, 적합한 투여량 및 변형 바이러스를 투여하기 위한 적합한 투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 투여 방법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서는 치료 기간에 걸쳐 대상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키트는 변형 바이러스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및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장치 중 임의의 것이 본원에서 제공되는 키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이같은 장치는 피하 바늘, 정맥내 바늘, 카테터, 무침 주사 장치, 흡입기 및 액체 분배기, 예컨대 점안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정맥내 주사, 종양내 주사, 복막내 주사에 의해, 전신으로 전달될 변형 바이러스가 피하 바늘 및 주사기가 있는 키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기술된 실시양태들을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1: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디자인 및 발현
뜻밖의 치료 장점을 제공한 변이체 HMGB1 (본원에서 "HMGB1mut"로도 지칭됨)의 한 예가 도 1a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도식은 HMGB1 내의 2개의 핵 국소화 신호 (NLS)가 돌연변이되었고, 세포외 환경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도록 트랜스진의 N-말단에 IgE 서열이 융합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변이체 HMGB1의 면역-활성화 기능을 증가시켜 더 큰 구경꾼 효과를 허용하였고, 이때 주변의 미감염 세포에서의 흡수가 자가포식 강화에 이르렀다.
이러한 트랜스진을 바이러스 p7.5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좌 내로 삽입하였다 (도 1b). 티미딘 키나제 기능의 상실은 종양-선택적 VACV 벡터를 생성시키는 것에 대한 잘 특성화되어 있는 접근법이다. 추가적으로, 루시퍼라제가 pSE/L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동일한 유전자좌 내로 삽입되었고, 시험관 내에서 및 생체 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추적하기 위한 리포터 유전자로서 사용되었다. 상이한 바이러스들의 감염 후에 2개의 마우스 종양 세포주 (렌카 및 4T1)로부터의 매질에서 웨스턴 블롯 (도 1c) 및 ELISA (도 1d)에 의해 HMGBlmut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바이러스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HMGB1mut를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본원에서 TK-로 지칭됨)와 비교하여,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가 결실되었고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부가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본원에서 TK-HMGB1mut로 지칭됨)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초기 생체내 실험에서, 단일 정맥내 용량의 바이러스 (TK- 또는 TK-HMGB1mut)를 피하 종양이 미리 확립되어 있는 면역적격 마우스를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도 2). 정상적으로 저항성인 렌카 종양 모델에서, HMGB1mut 발현이 유의하게 강화된 치료 활성을 발생시켰음이 나타났다. 더욱 민감성인 MC38 모델에서, HMGB1mut 발현은 추가적이고 유의한 치료 이익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는 덜 극적이었다.
강화된 치료 활성을 구동시키는 메커니즘을 더 잘 규정하기 위해 다양한 마우스 종양 및 정상 세포주에 걸쳐 HMGB1mut 발현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처음에는, 인산화된 IKKb 수준이 HMGB1mut 발현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이 초기에 주지되었다 (도 3a). 이것은 NF-kB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될 것이고, 차례로 이는 세포를 아팝토시스에 대해 민감화시키고/시키거나 다양한 시토카인의 방출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선천 및 적응 면역 양쪽 모두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발현 수준이 HMGB1mut을 발현하는 바이러스로의 감염 후에 (TK- 바이러스로의 감염에 비해)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감소되었다 (도 3b-e). 또한, 나이브 BALB/c 마우스에 TK- 또는 TK-HMGB1mut를 접종한 후에, 유도된 항-바이러스 CTL 반응의 수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제로, HMGB1mut 발현으로 CTL 반응에서의 감소를 향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도 3f). 마지막으로, 렌카 종양을 보유하는 SCID 마우스를 TK- 또는 TK-HMGB1mut로 처리했을 때, HMGB1mut 발현이 치료적 장점을 유지하였다 (도 3g). 따라서, 트랜스진이 제공하는 치료적 장점에 대한 비-면역 성분이 있다.
HMGB1은 전형적으로 세포 생존과 연관된다. 따라서, HMGB1mut를 사용했을 때 바이러스 복제 감소 또는 바이러스 복제가 증가되지 않는 것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HMGB1mut를 사용했을 때의 한가지 뜻밖의 발견은 배양 중인 여러 종양 세포주에 걸쳐서 나타난 바이러스 복제의 증가였다 (도 4a). 이러한 뜻밖의 복제 증가는 세포 사멸에서의 유의하지 않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찰되었다 (도 4b 및 4d). HMGB1mut 발현은 세포 사멸의 작은 증가를 발생시켰고, 이는 IKK 활성화 증가와 조합되어 □ (도 3a) 세포 아팝토시스.
유의하게 증가된 바이러스 루시퍼라제 유전자 발현이 렌카 (도 4c) 및 MC38 (도 4e) 종양 양쪽 모두에서 검출되면서, 바이러스 복제 증가가 생체 내에의 종양에서 또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는 렌카 종양 모델에서 더욱 유의하였고, 이는 치료 효과에서의 더 큰 증가를 또한 나타냈다 (도 2). 종양에서의 강화된 복제 (도 4g)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SCID 마우스에서도, 생체 내에서 나타난 증가된 복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가 종양에 국한되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도 4f). 이는 종양-표적화 OV 균주를 생성시키는 바이러스 변형이 종양에서의 복제를 선택적으로 강화하기 보다는 정상 조직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약화시키는 것을 전형적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자가포식 마커에 대한 HMGBlmut 발현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트랜스진의 발현이 LC3의 증가를 발생시켰고 (도 5a), 자가포식 공포 성숙 (공포 H+ATPase 억제제, 바필로마이신 A1) 및 PI3K (LY294002; PI3K/AKT/mTOR 경로는 자가포식을 조정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의 억제제 양쪽 모두가 원래 HMGB1mut 발현으로 관찰된증가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의 상실을 발생시켰음 (도 5b)이 나타났다. 이는 자가포식에 대한 HMGB1 효과가 강화된 바이러스 복제를 구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HCT 116 세포를 자가포식 경로의 주요 매개물인 Atg5를 표적화하는 siRNA로 형질감염시켰다. 자가포식 잠재력의 상실이 바이러스 복제에 음성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이 나타났다 (도 6a). 이러한 발견은 자가포식이 우두 복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가리키는 이전의 연구와 모순된다.
우두 복제에 대한 지방산 신타제의 잠재적인 역할을 검사하였다. 지방산 신타제 억제제인 세룰레닌이 시험관 내에서 종양 세포에서의 우두 복제를 또한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이 나타났다 (도 6b).
TK-HMGBlmut의 복제는 비만 모델에서 종양의 감염으로부터 추가로 이로웠다. TK- 및 TK-HMGBlmut 양쪽 모두의 복제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된 마우스의 상황에서 증가하였다 (도 6c 및 6d).
HMGB1mut는 탁솔 및 백금-기반 약물 예컨대 시스플라틴을 포함하는 화학요법과 상승작용을 한다. TK-HMGB1mut로 감염된 세포로부터 취해지고, 임의의 바이러스 입자를 제거하도록 여과된 후, 신선한 종양 세포 층 상에 놓인 배지가 이러한 세포를 시스플라틴 및 탁솔을 포함하는 화학요법으로의 후속 노출에 대해 민감화시켰다 (도 7a). 이러한 효과는 HMGB1mut를 발현하는 바이러스에 대해 뜻밖으로 뚜렷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생체 내에서 더욱 더 뜻밖으로 뚜렷하였다 (도 7b). 렌카 종양을 보유하는 BALB/c 마우스를 단독으로 또는 파클리탁셀 (탁솔®)과 조합하여 바이러스 (TK- 또는 TK-HMGB1mut)의 단일 정맥내 주사로 처리하였다. TK-HMGBlmut + 탁솔®이 임의의 다른 치료보다 유의하게 더 큰 치료 효과를 일으켰음이 나타났다.
단독이거나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8 (MMP8) 발현 또는 히알루로니다제 PH-2O의 발현과 조합된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두 균주 발현의 효과를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 우두 균주 단독 (WR TK-단독), 우두 균주 및 MMP8 발현 (WR TK-mmp8), 또는 우두 균주 및 PH20 발현 (WR TK-ph20)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의 종양의 생물발광 영상화는 다른 조건과 비교하여 우두 균주 및 PH20 발현으로 종양에서의 유의하게 증가된 바이러스 확산을 나타냈다 (도 8A 및 8B).
생체내 실험에서 HMGB1mut 및 PH20 발현의 조합의 강화된 치료 효과가 추가로 실연되었다. 미리 확립된 피하 MDA-MB-231 종양 (50-100 ㎣)을 보유하는 면역손상 (무흉선 nu/nu) 마우스를 단일 정맥내 용량의 PBS (대조군) 또는 바이러스 (WR.TK-, WR.TK-PH20, 또는 WR.TK-PH20.HMGB1mut)로 처리하였고, 종양 부피를 측정하였다. 처리 14일 후에 측정했을 때 WR.TK-PH20.HMGB1mut 처리가 가장 유의하게 종양 부피를 감소시켰다 (도 9).
HMGB1mut 및 PH20 발현의 조합의 치료 효과를 베스트-인-클래스 임상 바이러스인 Pexa-Vec, 일명 JX-594의 모방체에 비교하였다 (WR.TK-GMCSF+; 도 10). 피하 렌카 종양 (50-100 ㎣)을 보유하는 BALB/c 마우스를 제0일에 대조군으로서의 비히클, 1E8 PFU의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WO-H1), 또는 1E8 PFU의 WR.TK-GMCSF+를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단일 정맥내 주사로 처리하였다 (n=10/군). 처리 후 일수의 함수로서 종양 부피를 측정하였다. HMGB1mut 및 PH20으로의 처리가 Pexa-Vec 모방체로의 처리와 비교하여 종양 부피 감소를 발생시켰다 (도 10).
HMGB1mut 및 PH20 발현의 조합의 치료 효과를 비만 마우스에서의 복막암 모델에서 Pexa-Vec 모방체에 또한 비교하였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C57/BL6 마우스에게 고지방 식이를 급식하였다. 그 후, 마우스에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를 복막강 내로 이식하였다. 생물발광 영상화에 의해 종양 성장을 추적하였다. 종양이 확립되었으면 (5일 후), 마우스를 PBS (대조군), 5E6 PFU의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또는 5E6 PFU의 Pexa-Vec 모방체를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저용량의 단일 복막내 주사로 처리하였다. 두드러지게, Pexa-Vec 모방체 (WR.TK-.GMCSF+)가 실제로 약간 증가된 종양 성장을 발생시킨 반면, HMGB1mut 및 PH20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WO-H1)는 PBS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를 나타냈다 (도 11).
HMGB1mut 및 PH20 발현의 조합의 치료 활성을 사전 단기 기아의 상황에서 평가하였다.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를 C57/BL6 마우스의 복막강 내로 이식하였다. 생물발광 영상화에 의해 종양 성장을 추적하였다. 종양이 확립되었으면 (5일 후), 마우스를 바이러스 단독으로 또는 24h 기아 기간 후 저용량 (5E6 PFU 복막내) HMGB1mut 및 PH20 발현 (WO-H1) 바이러스로 처리하였다 (도 12). WO-H1이 이러한 모델에서 치료 활성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효과가 케톤생성 식이를 모방하도록 디자인되고 종양에서 자가포식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예비-처리인 사전 단기 기아를 통해 강화된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3: 변형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4: 변형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SV)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HSV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HSV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HSV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HSV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HSV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5: 변형 아데노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아데노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아데노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아데노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아데노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아데노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6: 변형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 (VSV)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VSV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VSV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VSV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VSV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VSV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6: 변형 폴리오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폴리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폴리오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폴리오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폴리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폴리오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7: 변형 뉴캐슬병 바이러스 (NDV)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NDV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NDV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NDV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NDV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NDV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8: 변형 세네카 밸리 바이러스 (SVV)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SVV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SVV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SVV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SVV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SVV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9: 변형 콕사키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콕사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콕사키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콕사키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콕사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콕사키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0: 변형 레오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레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레오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레오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레오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레오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1: 변형 렌티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렌티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렌티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렌티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렌티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렌티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2: 변형 홍역 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홍역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홍역 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홍역 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홍역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홍역 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3: 변형 마라바 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마라바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마라바 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마라바 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마라바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마라바 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4: 변형 점액종 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점액종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점액종 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점액종 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점액종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점액종 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5: 변형 멩고바이러스로부터의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을 발현하는 핵산을 함유하지 않는 멩고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단독으로 또는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와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멩고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멩고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멩고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멩고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실시예 16: 변형 우두 바이러스로부터의 추가 바이러스 유전자 변형과 조합된 예시적인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암 세포주 및 뮤린 종양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변이체 HMGB1 및 PH-20을 발현하는 핵산 및 B8R 유전자 결실을 함유하지 않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PH-20을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유전자 및 B8R 유전자 결실과 조합되어 바이러스 게놈 내로 삽입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변형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암 세포주 및 뮤린 모델에서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대조군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정상 식이가 급식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10% 증가할 때까지 고지방 식이가 급식되고, 이어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MC-38 결장직장암 세포가 복막강 내로 이식된 마우스에게 투여 시, 대조군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테스트 변형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경우에 유의하게 감소된 종양 부하가 관찰된다.
서열 목록 표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SEQUENCE LISTING <110> THORNE, STEPHEN H. <120> HIGH MOBILITY GROUP BOX I MUTANT <130> 52663-702.601 <140> PCT/US2017/052746 <141> 2017-09-21 <150> 62/397,523 <151> 2016-09-21 <160> 2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220> <221> modified_base <222> (706)..(714) <223> a, c, t, g, unknown or other <400> 1 ctcgagatgg actggacatg gattctcttt ctagtggccg cagccacaag ggtccactcc 60 atgggcaaag gagatcctaa aaagccgaga ggcaaaatgt cctcatatgc attctttgtg 120 caaacttgcc gggaggagca caagaagaag cacccggatg ctgcagtcaa cttcgctgag 180 ttcgcaaaga agtgcgctga gaggtggaag accatggcag ctaaagaaaa ggggaaattt 240 gaagatatgg caaaggctga caaggctcgt tatgaaagag aaatgaaaac ctacatcccc 300 cccaaagggg agaccaaaaa gaagttcaag gaccccaatg cacccaagag gcctccttcg 360 gccttcttct tgttctgttc tgagtaccgc cccaaaatca aaggcgagca tcctggctta 420 tccattggtg atgttgcaaa gaaactagga gagatgtgga acaacactgc agcagatgac 480 aagcagccct atgagaagaa agctgccaag ctgaaggaga agtatgagaa ggatattgct 540 gcctacagag ctaaaggaaa acctgatgca gcgaaaaagg gggtggtcaa ggctgaaaag 600 gcgaagaaaa agaaggaaga ggaagatgat gaggaggatg aagaggatga ggaagaggag 660 gaagaagagg aagacgaaga tgaagaagaa gatgatgatg atgaannnnn nnnn 714 <210> 2 <211> 18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2 ctcgagatgg actggacatg gattctcttt ctagtggccg cagccacaag ggtccactcc 60 atgggcaaag gagatcctaa aaagccgaga ggcaaaatgt cctcatatgc attctttgtg 120 caaacttgcc gggaggagca caagaagaag cacccggatg ctgcagtcaa cttcgctgag 180 ttcgca 186 <210> 3 <211> 49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220> <221> modified_base <222> (490)..(498) <223> a, c, t, g, unknown or other <400> 3 gcagctaaag aaaaggggaa atttgaagat atggcaaagg ctgacaaggc tcgttatgaa 60 agagaaatga aaacctacat cccccccaaa ggggagacca aaaagaagtt caaggacccc 120 aatgcaccca agaggcctcc ttcggccttc ttcttgttct gttctgagta ccgccccaaa 180 atcaaaggcg agcatcctgg cttatccatt ggtgatgttg caaagaaact aggagagatg 240 tggaacaaca ctgcagcaga tgacaagcag ccctatgaga agaaagctgc caagctgaag 300 gagaagtatg agaaggatat tgctgcctac agagctaaag gaaaacctga tgcagcgaaa 360 aagggggtgg tcaaggctga aaaggcgaag aaaaagaagg aagaggaaga tgatgaggag 420 gatgaagagg atgaggaaga ggaggaagaa gaggaagacg aagatgaaga agaagatgat 480 gatgatgaan nnnnnnnn 498 <210> 4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4 Leu Glu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1 5 10 15 Arg Val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20 25 30 Met Ser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35 40 45 Lys Lys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50 55 60 Cys Ala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65 70 75 80 Glu Asp Met Ala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85 90 95 Thr Tyr Ile Pro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100 105 110 Asn Ala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115 120 125 Tyr Arg Pro Lys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130 135 140 Val Ala Lys Lys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145 150 155 160 Lys Gln Pro Tyr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165 170 175 Lys Asp Ile Ala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180 185 190 Lys Gly Val Val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195 200 205 Asp Asp Glu Glu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210 215 220 Asp Glu Asp Glu Glu Glu Asp Asp Asp Asp Glu Glu Ala Ser 225 230 235 <210> 5 <211> 6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5 Leu Glu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1 5 10 15 Arg Val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20 25 30 Met Ser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35 40 45 Lys Lys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50 55 60 <210> 6 <211> 16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6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Met Ala Lys Ala Asp Lys 1 5 10 15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Ile Pro Pro Lys Gly Glu 20 25 30 Thr Lys Lys Lys Phe Lys Asp Pro Asn Ala Pro Lys Arg Pro Pro Ser 35 40 45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Pro Lys Ile Lys Gly Glu 50 55 60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Lys Lys Leu Gly Glu Met 65 70 75 80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Pro Tyr Glu Lys Lys Ala 85 90 95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Ile Ala Ala Tyr Arg Ala 100 105 110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Val Val Lys Ala Glu Lys 115 120 125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Asp Asp Glu Glu Asp Glu Glu Asp 130 135 140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sp Glu Asp Glu Glu Glu Asp Asp 145 150 155 160 Asp Asp Glu Ala Ser 165 <210> 7 <211> 6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7 tttaaagatc cgaacgcgcc gaaacgcccg ccgagcgcgt tttttctgtt ttgcagcgaa 60 <210> 8 <211> 2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 Phe Lys Asp Pro Asn Ala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1 5 10 15 Phe Cys Ser Glu 20 <210> 9 <211> 102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9 aaactgaaag aaaaatatga aaaagatatt gcggcgtatc gcgcgaaagg caaaccggat 60 gcggcgaaaa aaggcgtggt gaaagcggaa aaaagcaaaa aa 102 <210> 10 <211> 3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0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Ile Ala Ala Tyr Arg Ala Lys 1 5 10 15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Val Val Lys Ala Glu Lys Ser 20 25 30 Lys Lys <210> 11 <211> 134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1 ctgaactttc gcgcgccgcc ggtgattccg aacgtgccgt ttctgtgggc gtggaacgcg 60 ccgagcgaat tttgcctggg caaatttgat gaaccgctgg atatgagcct gtttagcttt 120 attggcagcc cgcgcattaa cgcgaccggc cagggcgtga ccatttttta tgtggatcgc 180 ctgggctatt atccgtatat tgatagcatt accggcgtga ccgtgaacgg cggcattccg 240 cagaaaatta gcctgcagga tcatctggat aaagcgaaaa aagatattac cttttatatg 300 ccggtggata acctgggcat ggcggtgatt gattgggaag aatggcgccc gacctgggcg 360 cgcaactgga aaccgaaaga tgtgtataaa aaccgcagca ttgaactggt gcagcagcag 420 aacgtgcagc tgagcctgac cgaagcgacc gaaaaagcga aacaggaatt tgaaaaagcg 480 ggcaaagatt ttctggtgga aaccattaaa ctgggcaaac tgctgcgccc gaaccatctg 540 tggggctatt atctgtttcc ggattgctat aaccatcatt ataaaaaacc gggctataac 600 ggcagctgct ttaacgtgga aattaaacgc aacgatgatc tgagctggct gtggaacgaa 660 agcaccgcgc tgtatccgag catttatctg aacacccagc agagcccggt ggcggcgacc 720 ctgtatgtgc gcaaccgcgt gcgcgaagcg attcgcgtga gcaaaattcc ggatgcgaaa 780 agcccgctgc cggtgtttgc gtatacccgc attgtgttta ccgatcaggt gctgaaattt 840 ctgagccagg atgaactggt gtataccttt ggcgaaaccg tggcgctggg cgcgagcggc 900 attgtgattt ggggcaccct gagcattatg cgcagcatga aaagctgcct gctgctggat 960 aactatatgg aaaccattct gaacccgtat attattaacg tgaccctggc ggcgaaaatg 1020 tgcagccagg tgctgtgcca ggaacagggc gtgtgcattc gcaaaaactg gaacagcagc 1080 gattatctgc atctgaaccc ggataacttt gcgattcagc tggaaaaagg cggcaaagaa 1140 accgtgcgcg gcaaaccgac cctggaagat ctggaacagt ttagcgaaaa attttattgc 1200 agctgctata gcaccctgag ctgcaaagaa aaagcggatg tgaaagatac cgatgcggtg 1260 gatgtgtgca ttgcggatgg cgtgtgcatt gatgcgtttc tgaaaccgcc gatggaaacc 1320 gaagaaccgc agatttttta t 1341 <210> 12 <211> 44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2 Leu Asn Phe Arg Ala Pro Pro Val Ile Pro Asn Val Pro Phe Leu Trp 1 5 10 15 Ala Trp Asn Ala Pro Ser Glu Phe Cys Leu Gly Lys Phe Asp Glu Pro 20 25 30 Leu Asp Met Ser Leu Phe Ser Phe Ile Gly Ser Pro Arg Ile Asn Ala 35 40 45 Thr Gly Gln Gly Val Thr Ile Phe Tyr Val Asp Arg Leu Gly Tyr Tyr 50 55 60 Pro Tyr Ile Asp Ser Ile Thr Gly Val Thr Val Asn Gly Gly Ile Pro 65 70 75 80 Gln Lys Ile Ser Leu Gln Asp His Leu Asp Lys Ala Lys Lys Asp Ile 85 90 95 Thr Phe Tyr Met Pro Val Asp Asn Leu Gly Met Ala Val Ile Asp Trp 100 105 110 Glu Glu Trp Arg Pro Thr Trp Ala Arg Asn Trp Lys Pro Lys Asp Val 115 120 125 Tyr Lys Asn Arg Ser Ile Glu Leu Val Gln Gln Gln Asn Val Gln Leu 130 135 140 Ser Leu Thr Glu Ala Thr Glu Lys Ala Lys Gln Glu Phe Glu Lys Ala 145 150 155 160 Gly Lys Asp Phe Leu Val Glu Thr Ile Lys Leu Gly Lys Leu Leu Arg 165 170 175 Pro Asn His Leu Trp Gly Tyr Tyr Leu Phe Pro Asp Cys Tyr Asn His 180 185 190 His Tyr Lys Lys Pro Gly Tyr Asn Gly Ser Cys Phe Asn Val Glu Ile 195 200 205 Lys Arg Asn Asp Asp Leu Ser Trp Leu Trp Asn Glu Ser Thr Ala Leu 210 215 220 Tyr Pro Ser Ile Tyr Leu Asn Thr Gln Gln Ser Pro Val Ala Ala Thr 225 230 235 240 Leu Tyr Val Arg Asn Arg Val Arg Glu Ala Ile Arg Val Ser Lys Ile 245 250 255 Pro Asp Ala Lys Ser Pro Leu Pro Val Phe Ala Tyr Thr Arg Ile Val 260 265 270 Phe Thr Asp Gln Val Leu Lys Phe Leu Ser Gln Asp Glu Leu Val Tyr 275 280 285 Thr Phe Gly Glu Thr Val Ala Leu Gly Ala Ser Gly Ile Val Ile Trp 290 295 300 Gly Thr Leu Ser Ile Met Arg Ser Met Lys Ser Cys Leu Leu Leu Asp 305 310 315 320 Asn Tyr Met Glu Thr Ile Leu Asn Pro Tyr Ile Ile Asn Val Thr Leu 325 330 335 Ala Ala Lys Met Cys Ser Gln Val Leu Cys Gln Glu Gln Gly Val Cys 340 345 350 Ile Arg Lys Asn Trp Asn Ser Ser Asp Tyr Leu His Leu Asn Pro Asp 355 360 365 Asn Phe Ala Ile Gln Leu Glu Lys Gly Gly Lys Glu Thr Val Arg Gly 370 375 380 Lys Pro Thr Leu Glu Asp Leu Glu Gln Phe Ser Glu Lys Phe Tyr Cys 385 390 395 400 Ser Cys Tyr Ser Thr Leu Ser Cys Lys Glu Lys Ala Asp Val Lys Asp 405 410 415 Thr Asp Ala Val Asp Val Cys Ile Ala Asp Gly Val Cys Ile Asp Ala 420 425 430 Phe Leu Lys Pro Pro Met Glu Thr Glu Glu Pro Gln Ile Phe Tyr 435 440 445 <210> 13 <211> 70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13 ctcgagatgg actggacatg gattctcttt ctagtggccg cagccacaag ggtccactcc 60 atgggcaaag gagatcctaa aaagccgaga ggcaaaatgt cctcatatgc attctttgtg 120 caaacttgcc gggaggagca caagaagaag cacccggatg ctgcagtcaa cttcgctgag 180 ttcgcaaaga agtgcgctga gaggtggaag accatggcag ctaaagaaaa ggggaaattt 240 gaagatatgg caaaggctga caaggctcgt tatgaaagag aaatgaaaac ctacatcccc 300 cccaaagggg agaccaaaaa gaagttcaag gaccccaatg cacccaagag gcctccttcg 360 gccttcttct tgttctgttc tgagtaccgc cccaaaatca aaggcgagca tcctggctta 420 tccattggtg atgttgcaaa gaaactagga gagatgtgga acaacactgc agcagatgac 480 aagcagccct atgagaagaa agctgccaag ctgaaggaga agtatgagaa ggatattgct 540 gcctacagag ctaaaggaaa acctgatgca gcgaaaaagg gggtggtcaa ggctgaaaag 600 gcgaagaaaa agaaggaaga ggaagatgat gaggaggatg aagaggatga ggaagaggag 660 gaagaagagg aagacgaaga tgaagaagaa gatgatgatg atgaa 705 <210> 14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220> <221> modified_base <222> (706)..(708) <223> a, c, t, g, unknown or other <400> 14 ctcgagatgg actggacatg gattctcttt ctagtggccg cagccacaag ggtccactcc 60 atgggcaaag gagatcctaa aaagccgaga ggcaaaatgt cctcatatgc attctttgtg 120 caaacttgcc gggaggagca caagaagaag cacccggatg ctgcagtcaa cttcgctgag 180 ttcgcaaaga agtgcgctga gaggtggaag accatggcag ctaaagaaaa ggggaaattt 240 gaagatatgg caaaggctga caaggctcgt tatgaaagag aaatgaaaac ctacatcccc 300 cccaaagggg agaccaaaaa gaagttcaag gaccccaatg cacccaagag gcctccttcg 360 gccttcttct tgttctgttc tgagtaccgc cccaaaatca aaggcgagca tcctggctta 420 tccattggtg atgttgcaaa gaaactagga gagatgtgga acaacactgc agcagatgac 480 aagcagccct atgagaagaa agctgccaag ctgaaggaga agtatgagaa ggatattgct 540 gcctacagag ctaaaggaaa acctgatgca gcgaaaaagg gggtggtcaa ggctgaaaag 600 gcgaagaaaa agaaggaaga ggaagatgat gaggaggatg aagaggatga ggaagaggag 660 gaagaagagg aagacgaaga tgaagaagaa gatgatgatg atgaannngc tagc 714 <210> 15 <211> 2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5 Leu Glu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1 5 10 15 Arg Val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20 25 30 Met Ser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35 40 45 Lys Lys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50 55 60 Cys Ala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65 70 75 80 Glu Asp Met Ala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85 90 95 Thr Tyr Ile Pro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100 105 110 Asn Ala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115 120 125 Tyr Arg Pro Lys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130 135 140 Val Ala Lys Lys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145 150 155 160 Lys Gln Pro Tyr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165 170 175 Lys Asp Ile Ala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180 185 190 Lys Gly Val Val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195 200 205 Asp Asp Glu Glu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210 215 220 Asp Glu Asp Glu Glu Glu Asp Asp Asp Asp Glu 225 230 235 <210> 16 <211> 21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Met Ser Ser Tyr 1 5 10 15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Lys Lys His Pro 20 25 30 Asp Ala Ser Val Asn Phe Ser Glu Phe Ser Lys Lys Cys Ser Glu Arg 35 40 45 Trp Lys Thr Met Ser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Met Ala 50 55 60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Ile Pro 65 70 75 80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Phe Lys Asp Pro Asn Ala Pro Lys 85 90 95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Pro Lys 100 105 110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Lys Lys 115 120 125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Pro Tyr 130 135 140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Ile Ala 145 150 155 160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Val Val 165 170 175 Lys Ala Glu Lys Ser Lys Lys Lys Lys Glu Glu Glu Glu Asp Glu Glu 180 185 190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Asp Glu Glu Asp Glu Asp Glu 195 200 205 Glu Glu Asp Asp Asp Asp Glu 210 215 <210> 17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OD_RES <222> (236)..(236) <223> Any amino acid <400> 17 Leu Glu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1 5 10 15 Arg Val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20 25 30 Met Ser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35 40 45 Lys Lys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50 55 60 Cys Ala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65 70 75 80 Glu Asp Met Ala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85 90 95 Thr Tyr Ile Pro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100 105 110 Asn Ala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115 120 125 Tyr Arg Pro Lys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130 135 140 Val Ala Lys Lys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145 150 155 160 Lys Gln Pro Tyr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165 170 175 Lys Asp Ile Ala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180 185 190 Lys Gly Val Val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195 200 205 Asp Asp Glu Glu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210 215 220 Asp Glu Asp Glu Glu Glu Asp Asp Asp Asp Glu Xaa Ala Ser 225 230 235 <210> 18 <211> 42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8 Ala Ser Thr Gln Ser Pro Ser Val Phe Pro Leu Thr Arg Cys Cys Lys 1 5 10 15 Asn Ile Pro Ser Asn Ala Thr Ser Val Thr Leu Gly Cys Leu Ala Thr 20 25 30 Gly Tyr Phe Pro Glu Pro Val Met Val Thr Trp Asp Thr Gly Ser Leu 35 40 45 Asn Gly Thr Thr Met Thr Leu Pro Ala Thr Thr Leu Thr Leu Ser Gly 50 55 60 His Tyr Ala Thr Ile Ser Leu Leu Thr Val Ser Gly Ala Trp Ala Lys 65 70 75 80 Gln Met Phe Thr Cys Arg Val Ala His Thr Pro Ser Ser Thr Asp Trp 85 90 95 Val Asp Asn Lys Thr Phe Ser Val Cys Ser Arg Asp Phe Thr Pro Pro 100 105 110 Thr Val Lys Ile Leu Gln Ser Ser Cys Asp Gly Gly Gly His Phe Pro 115 120 125 Pro Thr Ile Gln Leu Leu Cys Leu Val Ser Gly Tyr Thr Pro Gly Thr 130 135 140 Ile Asn Ile Thr Trp Leu Glu Asp Gly Gln Val Met Asp Val Asp Leu 145 150 155 160 Ser Thr Ala Ser Thr Thr Gln Glu Gly Glu Leu Ala Ser Thr Gln Ser 165 170 175 Glu Leu Thr Leu Ser Gln Lys His Trp Leu Ser Asp Arg Thr Tyr Thr 180 185 190 Cys Gln Val Thr Tyr Gln Gly His Thr Phe Glu Asp Ser Thr Lys Lys 195 200 205 Cys Ala Asp Ser Asn Pro Arg Gly Val Ser Ala Tyr Leu Ser Arg Pro 210 215 220 Ser Pro Phe Asp Leu Phe Ile Arg Lys Ser Pro Thr Ile Thr Cys Leu 225 230 235 240 Val Val Asp Leu Ala Pro Ser Lys Gly Thr Val Asn Leu Thr Trp Ser 245 250 255 Arg Ala Ser Gly Lys Pro Val Asn His Ser Thr Arg Lys Glu Glu Lys 260 265 270 Gln Arg Asn Gly Thr Leu Thr Val Thr Ser Thr Leu Pro Val Gly Thr 275 280 285 Arg Asp Trp Ile Glu Gly Glu Thr Tyr Gln Cys Arg Val Thr His Pro 290 295 300 His Leu Pro Arg Ala Leu Met Arg Ser Thr Thr Lys Thr Ser Gly Pro 305 310 315 320 Arg Ala Ala Pro Glu Val Tyr Ala Phe Ala Thr Pro Glu Trp Pro Gly 325 330 335 Ser Arg Asp Lys Arg Thr Leu Ala Cys Leu Ile Gln Asn Phe Met Pro 340 345 350 Glu Asp Ile Ser Val Gln Trp Leu His Asn Glu Val Gln Leu Pro Asp 355 360 365 Ala Arg His Ser Thr Thr Gln Pro Arg Lys Thr Lys Gly Ser Gly Phe 370 375 380 Phe Val Phe Ser Arg Leu Glu Val Thr Arg Ala Glu Trp Glu Gln Lys 385 390 395 400 Asp Glu Phe Ile Cys Arg Ala Val His Glu Ala Ala Ser Pro Ser Gln 405 410 415 Thr Val Gln Arg Ala Val Ser Val Asn Pro Gly Lys 420 425 <210> 19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nucleotide <400> 19 ctcgagatgg actggacatg gattctcttt ctagtggccg cagccacaag ggtccactcc 60 atgggcaaag gagatcctaa aaagccgaga ggcaaaatgt cctcatatgc attctttgtg 120 caaacttgcc gggaggagca caagaagaag cacccggatg ctgcagtcaa cttcgctgag 180 ttcgcaaaga agtgcgctga gaggtggaag accatggcag ctaaagaaaa ggggaaattt 240 gaagatatgg caaaggctga caaggctcgt tatgaaagag aaatgaaaac ctacatcccc 300 cccaaagggg agaccaaaaa gaagttcaag gaccccaatg cacccaagag gcctccttcg 360 gccttcttct tgttctgttc tgagtaccgc cccaaaatca aaggcgagca tcctggctta 420 tccattggtg atgttgcaaa gaaactagga gagatgtgga acaacactgc agcagatgac 480 aagcagccct atgagaagaa agctgccaag ctgaaggaga agtatgagaa ggatattgct 540 gcctacagag ctaaaggaaa acctgatgca gcgaaaaagg gggtggtcaa ggctgaaaag 600 gcgaagaaaa agaaggaaga ggaagatgat gaggaggatg aagaggatga ggaagaggag 660 gaagaagagg aagacgaaga tgaagaagaa gatgatgatg atgaagaagc tagc 714 <210> 20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0 Lys Lys Lys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1 5 10 15 Lys Cys Ala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20 25 <210> 2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1 Glu Lys Ala Lys Lys Lys Lys 1 5 <210> 22 <211> 2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22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Met Ser Ser Tyr 1 5 10 15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Lys Lys His Pro 20 25 30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Cys Ala Glu Arg 35 40 45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Met Ala 50 55 60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Ile Pro 65 70 75 80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Asn Ala Pro Lys 85 90 95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Pro Lys 100 105 110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Lys Lys 115 120 125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Pro Tyr 130 135 140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Ile Ala 145 150 155 160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Val Val 165 170 175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Asp Asp Glu Glu 180 185 190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sp Glu Asp Glu 195 200 205 Glu Glu Asp Asp Asp Asp Glu 210 215 <210> 23 <211> 2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OD_RES <222> (216)..(216) <223> Any amino acid <400> 23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Met Ser Ser Tyr 1 5 10 15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Lys Lys His Pro 20 25 30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Cys Ala Glu Arg 35 40 45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Met Ala 50 55 60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Ile Pro 65 70 75 80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Asn Ala Pro Lys 85 90 95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Pro Lys 100 105 110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Lys Lys 115 120 125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Pro Tyr 130 135 140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Ile Ala 145 150 155 160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Val Val 165 170 175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Asp Asp Glu Glu 180 185 190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sp Glu Asp Glu 195 200 205 Glu Glu Asp Asp Asp Asp Glu Xaa Ala Ser 210 215 <210> 24 <211> 23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24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Arg Val 1 5 10 15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Met Ser 20 25 30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Lys Lys 35 40 45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Cys Ala 50 55 60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65 70 75 80 Met Ala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85 90 95 Ile Pro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Asn Ala 100 105 110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115 120 125 Pro Lys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130 135 140 Lys Lys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145 150 155 160 Pro Tyr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165 170 175 Ile Ala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180 185 190 Val Val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Asp Asp 195 200 205 Glu Glu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sp Glu 210 215 220 Asp Glu Glu Glu Asp Asp Asp Asp Glu 225 230 <210> 25 <211> 23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OD_RES <222> (234)..(234) <223> Any amino acid <400> 25 Met Asp Trp Thr Trp Ile Leu Phe Leu Val Ala Ala Ala Thr Arg Val 1 5 10 15 His Ser Met Gly Lys Gly Asp Pro Lys Lys Pro Arg Gly Lys Met Ser 20 25 30 Ser Tyr Ala Phe Phe Val Gln Thr Cys Arg Glu Glu His Lys Lys Lys 35 40 45 His Pro Asp Ala Ala Val Asn Phe Ala Glu Phe Ala Lys Lys Cys Ala 50 55 60 Glu Arg Trp Lys Thr Met Ala Ala Lys Glu Lys Gly Lys Phe Glu Asp 65 70 75 80 Met Ala Lys Ala Asp Lys Ala Arg Tyr Glu Arg Glu Met Lys Thr Tyr 85 90 95 Ile Pro Pro Lys Gly Glu Thr Lys Lys Lys Glu Lys Asp Pro Asn Ala 100 105 110 Pro Lys Arg Pro Pro Ser Ala Phe Phe Leu Phe Cys Ser Glu Tyr Arg 115 120 125 Pro Lys Ile Lys Gly Glu His Pro Gly Leu Ser Ile Gly Asp Val Ala 130 135 140 Lys Lys Leu Gly Glu Met Trp Asn Asn Thr Ala Ala Asp Asp Lys Gln 145 150 155 160 Pro Tyr Glu Lys Lys Ala Ala Lys Leu Lys Glu Lys Tyr Glu Lys Asp 165 170 175 Ile Ala Ala Tyr Arg Ala Lys Gly Lys Pro Asp Ala Ala Lys Lys Gly 180 185 190 Val Val Lys Ala Glu Lys Ala Lys Lys Lys Lys Glu Glu Glu Asp Asp 195 200 205 Glu Glu Asp Glu Glu Asp Glu Glu Glu Glu Glu Glu Glu Glu Asp Glu 210 215 220 Asp Glu Glu Glu Asp Asp Asp Asp Glu Xaa Ala Ser 225 230 235

Claims (151)

  1.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SEQ ID NO):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 제1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7.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8. 제7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박스A, 박스B,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0. 제9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HMGB1 변이체가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에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HMGB1 변이체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HMGB1 변이체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및 109-128 또는 170-20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핵산 서열이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또는 이의 단편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히알루로니다제를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7.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1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내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8.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2 내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19.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1 및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및 NLS2 내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0.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인간 HMGB1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1. 제2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89-108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50-18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1-85, 89-108, 및 150-18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7.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8.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 45, 89-108, 및 150-183을 포함하고,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29. 제28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45, 89-108, 150-18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 중 하나 이상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35, 42, 89, 181, 189, 및 20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2.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3. 제32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6.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8.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9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39. 제38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2.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203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3. 제3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7의 잔기 1-2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2 내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1 및 NLS2 내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NLS1 및 NLS2 내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HMGB1의 세포질 재배치를 촉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로부터 발현된 변이체 HMGB1이 세포질 내로 분비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로부터의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세포 자가포식을 강화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특이적 복제를 강화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49.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이 결여되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0.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의 발현이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종양 세포의 주변에 있는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여기서 주변에 있는 종양 세포가 우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이의 게놈 내에 하나 이상의 결실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2.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 결실을 포함하며, 외인성 핵산이 티미딘 키나제 유전자 유전자좌 내로 삽입된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3.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병독성 유전자의 결실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4.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EEV)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5. 제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가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추가로 발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6. 제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가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발현하고, 히알루로니다제 효소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과 비교하여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7. 제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가 히알루로니다제 효소를 발현하고, 히알루로니다제 효소가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8.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가 순환계 내의 변이체 HMGB1을 안정화시키는 단백질을 추가로 발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59. 제58항에 있어서, 순환계 내의 변이체 HMGB1을 안정화시키는 단백질이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의 도메인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0. 제59항에 있어서, 면역글로불린이 IgE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1. 제59항에 있어서,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이 Fc 도메인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2. 제6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IgE를 코딩하는 추가 외인성 핵산 서열이 변이체 HMGB1 코딩 서열의 상류에 융합된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3. 제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유출 펌프 차단제를 추가로 발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4.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화학요법 민감화제를 추가로 발현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5. 제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화학요법에 대한 민감화를 강화하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6.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를 유인하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7. 제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CAR T 세포 기반 요법의 효능을 강화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68.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85% 상동성인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69. 제68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에 대해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적어도 약 99%, 또는 100%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또는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1. 제7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박스A 또는 박스B에서의 돌연변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2. 제70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을 코딩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박스A 또는 박스B에서의 돌연변이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3. 제68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5의 위치 43 및 65에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4. 제68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MGB1 변이체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74, 109-128, 및 17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5. 제68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MGB1 변이체가 서열식별번호: 15의 잔기 21-105, 108-182, 및 183-205를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76.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68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가용화제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77. 제76항에 있어서, 부형제가 완충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결합제, 희석제, 분산제, 속도 제어제, 윤활제, 활택제, 붕해제, 가소제, 보존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8. 제77항에 있어서, 부형제가 인산수소2나트륨 2수화물, 인산2수소나트륨 2수화물, 염화나트륨, 미오-이노시톨, 소르비톨,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9.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약 조성물.
  80. 제76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존제, 희석제 및 담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1. 제76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2. 제76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용화제가 멸균수인 제약 조성물.
  83. 제76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적인 활성 성분이 추가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인 제약 조성물.
  84. (i)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인성 핵산 서열에 우두 바이러스 기반 핵산 서열을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를 생성시키고; (ii)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로 포유동물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고; (iii) 포유동물 세포를 바이러스 복제에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고; (iv) 바이러스 입자를 수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생산하는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세포가 HeLa 세포, 293 세포, 또는 Vero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 내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인성 핵산이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EEV)를 우세하게 함유하는 바이러스 입자의 집단을 촉진하는 것인 방법.
  87. 제84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 내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인성 핵산이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 DNA 벡터와 비교하여 HeLa 세포 및 293 세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더 높은 역가를 발생시키는 것인 방법.
  88.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암이 고형 종양, 백혈병 또는 림프종인 방법.
  90.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
  91. 제87항에 있어서,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이 고형 종양, 백혈병 또는 림프종인 방법.
  92. 제84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3.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높은 생체이용률의 유리 지방산을 포함하는 종양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를 나타내는 것인, 높은 생체이용률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
  94.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가 비만 암 환자에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를 나타내는 것인, 비만 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95. 제93항 또는 제94항에 있어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 선택적 복제에 대비한 것인 방법.
  96. 제94항에 있어서, 증가된 종양 선택적 복제가 비만이 아닌 암 환자에서의 우두 바이러스의 종양 선택적 복제에 대비한 것인 방법.
  97. 제94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두 바이러스가 비만 암 환자에서 증가된 비율의 EEV를 생산하는 것인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비만 암 환자에서의 증가된 비율의 EEV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생산된 EEV의 비율에 대비한 것인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비만 암 환자에서의 증가된 비율의 EEV가 비만이 아닌 암 환자에서 우두 바이러스에 의해 생산된 EEV의 비율에 대비한 것인 방법.
  100.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요법 후 암 재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01.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면역요법을 포함하는 이전의 치료에 실패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
  102.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화학요법 후에 암이 재발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
  103.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복막암에 걸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
  104.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비만인 방법.
  105. 제88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의 투여를 포함하고, 추가 요법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6. 제88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와 조합하여 추가 요법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화학요법, 방사선조사, 추가적인 바이러스로의 종양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면역조정 단백질로의 치료, CAR T 세포 요법, 항암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7. 제106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이 화학요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8. 제107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의 투여, 및 화학요법의 조합이 화학요법 및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의 조합과 비교하여 상승작용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인 방법.
  109. 제106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와 조합된 화학요법이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면에서는 동일한 우두 바이러스와 조합된 화학요법보다 더 낮은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0. 제105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추가 요법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1. 제110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순차적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2. 제111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순차적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한 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3. 암 세포의 집단에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세포에서 독성 효과를 일으키는 방법.
  114. 제113항에 있어서,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암 세포의 집단 내의 모든 암 세포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되지는 않은 것인 방법.
  115. 제114항에 있어서, 감염되지 않은 암 세포의 성장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감염 없이 억제되는 것인 방법.
  116. 제114항 또는 제115항에 있어서, 감염되지 않은 암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면역 반응이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에 의한 직접적인 감염 없이 유도되는 것인 방법.
  117. 대상체의 종양 내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벡터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제제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방법.
  118. 제117항에 있어서, 약물이 종양 수용체 리간드에 접합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9.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
  120. 제119항에 있어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기반 암 요법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121. 제88항 내지 제1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약 106 PFU/mL 내지 약 1010 PFU/mL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2. 제88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약 5 × 109 PFU/mL의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3. 제88항 내지 제1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독립적으로, 제1 기간 동안의 초기 용량, 제2 기간 동안의 중간 용량, 및 제3 기간 동안의 고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4. 제123항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초기 용량, 중간 용량 및 고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초기 용량이 중간 용량보다 낮고, 중간 용량이 고용량보다 낮은 것인 방법.
  125. 제123항 또는 제124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기간이 각각 약 1주 내지 약 3주인 방법.
  126. 제88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약 1 mL 내지 약 5 mL, 약 5 mL 내지 10 mL, 약 15 mL 내지 약 20 mL, 약 25 mL 내지 약 30 mL, 약 30 mL 내지 약 50 mL, 약 50 mL 내지 약 100 mL, 약 100 mL 내지 150 mL, 약 150 mL 내지 약 200 mL, 약 200 mL 내지 약 250 mL, 약 250 mL 내지 약 300 mL, 약 300 mL 내지 약 350 mL, 약 350 mL 내지 약 400 mL, 약 400 mL 내지 약 450 mL, 약 450 mL 내지 500 mL, 약 500 mL 내지 750 mL, 또는 약 750 mL 내지 1000 mL의 부피로 투여되는 액체 투여 형태를 독립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7. 제88항 내지 제1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액체 투여 형태, 고체 투여 형태,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8. 제88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약 1주, 약 2주, 약 3주, 약 4주, 약 6주, 약 7주, 약 8주, 약 9주, 약 10주, 또는 약 12주의 지속기간 동안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9. 제88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1일 1회, 1일 2회, 1주에 1회, 2주마다 1회, 또는 3주마다 1회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0. 제88항 내지 제1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이 정맥내로, 복막내로, 또는 종양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1. 제88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제제가 볼루스 주사 또는 저속 주입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2. 제88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가 제1 용량의 투여로부터 약 1시간 내지 약 3일 후의 제1 피크 바이러스 로드 및 약 3일 내지 약 10일 후의 제2 피크 바이러스 로드를 발생시키는 것인 방법.
  133. 제88항 내지 제1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약 1주, 약 2주, 약 3주, 약 4주, 약 6주, 약 7주, 약 8주, 약 9주, 약 10주, 또는 약 12주의 지속기간 동안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4. 제88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1일 1회, 매주 1회, 2주마다 1회, 또는 3주마다 1회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5. 제88항 내지 제1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액체 투여 형태, 고체 투여 형태, 흡입성 투여 형태, 비강내 투여 형태, 리포솜 제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투여 형태, 중합체성 투여 형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6. 제88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요법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 요법이 경구로, 정맥내로, 종양내 주사에 의해, 또는 방사선조사에 의해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7. 제88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138. 제88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대상체가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된 것인 방법.
  139. 제88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대상체가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고, 대상체가 비만인 방법.
  140. 제88항 내지 제1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 또는 추가 요법의 투여 전에 대상체가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된 것인 방법.
  141. 제88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추가 요법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대상체가 암 또는 종양으로 진단되고, 대상체가 비만인 방법.
  142. 제88항 내지 제1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에 대상체에 케톤생성 식이가 투여되는 것인 방법.
  143. 제88항 내지 제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또는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투여 전에,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에 대상체가 단기금식 중인 것인 방법.
  144.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3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바이러스.
  145.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이의 제1 핵 국소화 신호 (NLS1), 제2 핵 국소화 신호 (NLS2),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서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변형 바이러스.
  146.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인간 HMGB1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변형 바이러스.
  147.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의 잔기 23, 45, 89-108, 및 150-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변이체 HMGB1이 서열식별번호: 16에 대해 95% 이하로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바이러스.
  148.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4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바이러스.
  149. 변이체 HMGB1을 코딩하는 외인성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인성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9에 대해 적어도 약 80%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변형 바이러스.
  150. 제144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SV), 아데노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VSV, 콕사키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AAV), 홍역 바이러스, 마라바 바이러스, 뉴캐슬병 (NDV), 세네카 밸리 바이러스, 멩고바이러스, 또는 점액종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변형 바이러스.
  151. 제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LS1이 서열식별번호: 20을 포함하고, NLS2가 서열식별번호: 21을 포함하는 것인 종양용해성 우두 바이러스.
KR1020197011336A 2016-09-21 2017-09-21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KR20190059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7523P 2016-09-21 2016-09-21
US62/397,523 2016-09-21
PCT/US2017/052746 WO2018057755A1 (en) 2016-09-21 2017-09-21 High mobility group box i mut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297A true KR20190059297A (ko) 2019-05-30

Family

ID=6169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336A KR20190059297A (ko) 2016-09-21 2017-09-21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065286B2 (ko)
EP (1) EP3515419A4 (ko)
JP (1) JP2019528753A (ko)
KR (1) KR20190059297A (ko)
CN (1) CN110022867A (ko)
AU (2) AU2017332367B2 (ko)
WO (1) WO2018057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77660A1 (en) 2015-02-25 2016-09-15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Use of inactivated nonreplicating modified vaccinia virus ankara (mva) as monoimmu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immune checkpoint blocking agents for solid tumors
CA2982896A1 (en) 2015-04-17 2016-10-20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Use of modified vaccinia ankara virus (mva) or mva with a deletion of virulence factor e8 as immunotherapeutic agent against solid tumors
MX2018010204A (es) 2016-02-25 2019-05-06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Virus de la vaccinia atenuada competentes para replicacion con la supresion de timidina quinasa con y sin la expresion del flt3l o gm-csf humanos para inmunoterapia del cancer.
MX2018010231A (es) 2016-02-25 2019-06-06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Mva recombinante o mvadele3l que expresa el flt3l humano y uso de los mismos como agentes inmunoterapéuticos contra tumores sólidos.
CN110431228B (zh) 2016-11-02 2024-04-02 戴维·埃文斯 合成嵌合痘病毒
CN111107872A (zh) 2017-05-12 2020-05-05 纪念斯隆-凯特林癌症中心 有用于癌症免疫疗法的牛痘病毒突变体
US20210093684A1 (en) * 2017-10-31 2021-04-01 KaliVir Immunotherapeutics LLC Platform oncolytic vector for systemic delivery
CN117004573A (zh) * 2017-12-13 2023-11-07 苏州康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肿瘤抗原识别受体的免疫细胞及其应用
BR112020014727A2 (pt) * 2018-01-19 2020-12-08 Kolon Life Science, Inc. Vírus vaccinia recombinante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o mesmo
CA3099330A1 (en) * 2018-05-02 2019-11-07 Tonix Pharma Holdings Limited Synthetic chimeric vaccinia virus
WO2021040496A1 (ko) * 2019-08-29 2021-03-04 주식회사 바이오녹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과립백혈구 형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IL308018A (en) 2021-04-30 2023-12-01 Kalivir Immunotherapeutics Inc Oncolytic viruses for different MHC ex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619A1 (en) 2002-08-12 2011-01-05 Jennerex Biotherapeutics ULC Methods and compositions concerning poxviruses and cancer
GB0226251D0 (en) * 2002-11-11 2002-12-18 San Raffaele Centro Fond Acetylated protein
CN1878793A (zh) * 2003-09-11 2006-12-13 鉴定医疗有限公司 拮抗hmgb1的单克隆抗体
US8313896B2 (en) * 2008-04-04 2012-11-2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Oncolytic herpes simplex virus immun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rain cancer
US9186371B2 (en) 2010-09-17 2015-11-17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Inhibitor of HMGB protein-mediated immune response activation, and screening method
JP6415977B2 (ja) 2011-04-15 2018-10-31 ジェネラッ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Genelux Corporation 弱毒化ワクシニアウイルスのクローン株およびその使用方法
CA2834255C (en) * 2011-04-26 2021-11-02 Genomix Co., Ltd. Peptide for inducing regeneration of tissue and use thereof
FI20115914L (fi) 2011-09-16 2013-03-17 Oncos Therapeutics Ltd Muunnettu onkolyyttinen virus
WO2015027163A1 (en) * 2013-08-22 2015-02-26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Immuno-oncolytic therap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09629A1 (en) 2019-07-11
AU2017332367B2 (en) 2021-12-23
CN110022867A (zh) 2019-07-16
JP2019528753A (ja) 2019-10-17
WO2018057755A1 (en) 2018-03-29
EP3515419A4 (en) 2020-06-10
EP3515419A1 (en) 2019-07-31
US11065286B2 (en) 2021-07-20
AU2017332367A1 (en) 2019-04-11
AU2022200169A1 (en) 2022-02-10
US20210338754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297A (ko) 고-이동성 군 박스 1 돌연변이체
US20220125865A1 (en) Platform Oncolytic Vector for Systemic Delivery
US20240016865A1 (en) Oncolytic viruses targeting stat3
EP2874645A1 (en) Hip/pap protein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in treating cancer
JP2022518142A (ja) がんの処置方法
KR20220082025A (ko) 변형된 세포외 외피보유 바이러스
JP2017109987A (ja) ErbB4+炎症性マクロファージによって媒介される疾患の治療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