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245A - 현상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245A
KR20190059245A KR1020180144400A KR20180144400A KR20190059245A KR 20190059245 A KR20190059245 A KR 20190059245A KR 1020180144400 A KR1020180144400 A KR 1020180144400A KR 20180144400 A KR20180144400 A KR 20180144400A KR 20190059245 A KR20190059245 A KR 2019005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egulating blade
carrying member
developer carrying
doc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 고가
데루아키 츠루사키
도모히로 시오미
준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24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7009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90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719586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supply and before the regulating, e.g. means for preventing developer bloc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Abstract

현상제 담지체, 규제 블레이드, 및 제1 및 제2 리브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를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규제 블레이드가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1 및 제2 리브는 미리정해진 갭을 두고 제공된다. 제1 및 제2 리브는 각각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고 3.0 mm 이하의 폭을 갖는 제1 및 제2 지지면을 각각 갖는다. 규제 블레이드가 제1 및 제2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규제 블레이드는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서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현상 장치{DEVELOPING DEVICE}
본 발명은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 장치 프레임,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현상제를 담지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규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그 자신과 현상제 담지체 사이에 미리정해진 갭(이후, 갭을 SB 갭이라 칭한다)을 갖는 상태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해서 제공된다. SB 갭이란 현상제 담지체와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최소 거리를 지칭한다. 이 SB 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 담지체에 현상제 담지체가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조정된다.
근년,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제 현상제 규제 부재(규제 블레이드)와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 특허 출원 (JP-A) 2014-197175).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와,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에서는,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해서 고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화상을 형성하는 시트의 폭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 담지체에 화상이 형성 가능한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규제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에 있어서의 규제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의,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면(이하, 이 면을 블레이드 설치면이라 칭한다)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한다.
큰(긴)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 설치면을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불균일 정도가 증가하기 쉽고, 따라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JIS B0021)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품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할수록, 수지 성형품의 길이 방향에서의 평면도의 변동이 발생하기 쉬어지기 때문이다.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가 큰 경우, 평면도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SB 갭의 크기는 SB 갭의 크기가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서 상이하기 쉬운 경향을 갖는다. SB 갭의 크기가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서 상이하면,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경우, SB 갭의 크기가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을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길이를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므로,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인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할 경우에는, 현상 장치 프레임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제1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1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규제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긴) 규제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규제 블레이드의, 현상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면(이후, 이 면을 피설치면이라 칭한다)의 불균일의 정도가 증가하기 쉽고, 그래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JIS B0021)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가 큰 경우,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이 평면도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SB 갭의 크기는, 그 SB 갭의 크기가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서 상이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규제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할 경우, SB 갭의 크기가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규제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규제 블레이드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길이를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므로,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인 수지제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경우에는, 현상 장치 프레임에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에서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제2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2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에서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해서 접착제에 의해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고정하는 구성에서는, 미리정해진 막 두께를 갖는 접착제가, 예를 들어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도포된다. 그리고,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규제 블레이드를 접착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규제 블레이드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미리정해진 막 두께를 갖는 접착제가 변형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접착제(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의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 여분의 접착제가, 특히 SB 갭을 향해서 반송되도록 현상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현상제 가이드부)에 퇴적되어 경화되는 경우, SB 갭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제3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3 발명의 주요 목적은,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부에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은, 상기 설치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화상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그들 사이에 미리정해진 갭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은 3.0 mm 이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의 양자 모두에 의해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서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2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에서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기초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중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상기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기초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부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그들 사이에 미리정해진 갭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피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피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 각각은 3.0 mm 이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의 양자 모두가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서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3 발명의 주요 목적은, 수지 재료로 제조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수지 재료로 제조된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부에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설치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설치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단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단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단체)의 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단체)의 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단체)의 진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현상제 압력에 기인하는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닥터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22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프린터, 각종 인쇄기, 팩시밀리기, 및 복합기 등의 다양한 용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구성)에 대해서, 도 1의 단면도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60)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무단 중간 전사 벨트(ITB)(61) 및 중간 전사 벨트(61)의 회전 방향(도 1의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제공되는 4개의 화상 형성부(600)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60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의 색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600)는, 상 담지체로서의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1)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600)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제공된,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3),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4) 및 감광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감광체 클리너(5)를 구비한다.
현상 장치(3)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60)에 착탈가능게 설치될 수 있다. 현상 장치(3) 각각은, 비자성 토너(이후, 간단히 토너라 칭한다)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이후, 간단히 현상제라 칭한다)를 수용하는 현상 용기(50)를 구비한다. 또한, Y, M, C 및 Bk의 색의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6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Y, M, C 및 Bk의 각 색의 토너는 각각 토너 반송 경로를 통과하고 현상 용기(50)의 공급된다. 또한, 현상 장치(3) 각각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고, 현상 용기(50) 각각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텐션 롤러(6), 종동 롤러(7a), 1차 전사 롤러(4), 종동 롤러(7b) 및 내측 2차 전사 롤러(66)에 의해 걸쳐져 있으며, 도 1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반송 및 구동된다. 내측 2차 전사 롤러(66)는, 중간 전사 벨트(61)를 구동하는 구동 롤러로서도 기능한다. 내측 2차 전사 롤러(66)의 회전에 수반하여, 중간 전사 벨트(61)가 도 1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중간 전사 벨트(61)의 이면측으로부터 1차 전사 롤러(4)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감광 드럼(1)에 중간 전사 벨트(61)가 접촉됨으로써, 감광 드럼(1) 각각과 중간 전사 벨트(61) 사이에는 1차 전사부로서의 1차 전사 닙부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1)를 통해서 텐션 롤러(6)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벨트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체 클리너(8)가 중간 전사 벨트(61)에 접촉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1)를 통해서 내측 2차 전사 롤러(6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외측 2차 전사 롤러(67)가 제공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1)는, 내측 2차 전사 롤러(66)와 외측 2차 전사 롤러(67)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외측 2차 전사 롤러(67)와 중간 전사 벨트(61) 사이에는, 2차 전사부로서의 2차 전사 닙부가 형성된다. 2차 전사 닙부에서는, 미리정해진 가압력(압력)과 전사 바이어스(정전적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시트(S)(예를 들어, 종이, 필름 등)의 표면에 토너상을 흡착시킨다.
시트(S)는, 시트 수납부(62)(예를 들어, 급송 카세트, 급송 데크 등)에 적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급송 수단(63)은, 예를 들어 급송 롤러 등에 의한 마찰 분리 방식 등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서 시트(S)를 급송한다. 급송 수단(63)에 의해 급송된 시트(S)는, 반송 경로(64)의 도중에 제공된 레지스트 롤러 쌍(65)에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 쌍(65)에 의해 사행 보정 및 타이밍 보정이 행해진 후, 시트(S)는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다. 2차 전사 닙부에 있어서, 시트(S)가 2차 전사 닙부에 도달하는 타이밍 및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에 도달하는 타이밍은 서로 일치하고, 따라서 2차 전사가 실행된다.
2차 전사 닙부보다 시트(S)의 반송 방향 하류에는, 정착 장치(9)가 제공된다. 정착 장치(9)에 반송된 시트(S)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압력과 미리정해진 열량이 정착 장치(9)로부터 가해져서, 시트(S)의 표면 상에 토너상이 용융 정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이 정착된 시트(S)는, 배출 롤러 쌍(69)의 순회전에 의해, 그대로 배출 트레이(601)에 배출된다.
양면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배출 롤러 쌍(69)의 순회전에 의해 시트(S)의 후단부가 플래퍼(602)를 통과할 때까지 반송된 후, 배출 롤러 쌍(69)을 역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시트(S)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교체되고, 시트(S)는 양면 화상 형성을 위해 반송 경로(603)에 반송된다. 그 후, 후속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 재급송 롤러(604)에 의해 시트(S)는 반송 경로(64)에 반송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화상 형성 시에, 감광 드럼(1)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2)는, 회전 구동되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미리 균일하게 대전한다. 노광 장치(68)는, 화상 형성 장치(60)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의 신호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1)은, 복수의 사이즈의 정전 잠상의 형성을 허용할 수 있다.
현상 장치(3)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회전가능한 현상 슬리브(70)를 갖는다. 현상 장치(3)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어 있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의 노광부에는 토너가 퇴적되고, 따라서 정전 잠상은 가시상(토너상)으로서 가시화된다. 1차 전사 롤러(4)에는, 전사 바이어스(정전적 부하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따라서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약간 남은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너(5)에 의해 회수되어서, 후속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준비된다.
Y, M, C 및 Bk의 각 색의 화상 형성부(600)에 의해 병렬로 행해지는 각 색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연관된 토너상이 상류 화상 형성부측의 색의 토너상에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전사되는 타이밍에 실행된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는 풀컬러 토너상이 형성되어,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다. 외측 2차 전사 롤러(67)에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 시트(S)에 전사된다. 시트(S)가 2차 전사 닙부를 통과한 후에 중간 전사 벨트(61) 위에 약간 남은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체 클리너(8)에 의해 회수된다. 정착 장치(9)는 시트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기록재)(S)는 배출 트레이(601)에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종료되고, 그다음 화상 형성 장치(60)는 후속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해 준비된다.
(현상 장치의 구조)
현상 장치(3)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의 사시도 및 도 4의 단면도를 참고해서 설명하며, 도 4는 도 2의 단면(H)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의 단면도이다.
현상 장치(3)는, 수지 재료로 성형된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30) 및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별개로 형성되고, 수지 재료로 성형된 수지제 커버 프레임(40)에 의해 구성되는 현상 용기(5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4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커버 프레임(40)이 설치되어 있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커버 프레임(4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현상 용기(50)에는, 현상 슬리브(70)가 감광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제공되어 있다. 현상 용기(50)의 개구에서, 현상 슬리브(7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현상 용기(50)에 대하여 현상 슬리브(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현상 슬리브(70)의 양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인 베어링(71)이 제공되어 있다.
현상 용기(50)의 내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격벽(38)에 의해, 제1 챔버로서의 현상 챔버(31)와 제2 챔버로서의 교반 챔버(32)로 구획(분할)되어 있다.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는, 격벽(38)에 제공된 2개의 연통부(39)를 통해 길이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 사이에서, 연통부(39)를 통해 현상제가 이동할 수 있다.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현상 슬리브(70)의 내부에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자극을 포함하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현상제를 담지시키기 위한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의 마그네트 롤이 고정되어 제공되어 있다.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는, 마그네트 롤의 자극의 자계의 영향에 의해 퍼 올려져서, 현상 슬리브(7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챔버(31)로부터 현상 슬리브(70)에 현상제가 공급되므로, 현상 챔버(31)를 공급 챔버라고도 칭한다.
현상 챔버(31)에는, 현상 챔버(31) 내의 현상제를 교반 및 반송하는 반송 수단으로서의 제1 반송 스크류(33)가 현상 슬리브(70)에 대향해서 제공되어 있다. 제1 반송 스크류(33)는, 회전가능한 축부로서의 회전축(33a)과, 회전축(33a)의 외주를 따라서 제공된 현상제 반송부로서의 나선형 블레이드부(33b)를 구비하고, 현상 용기(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3a)의 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교반 챔버(32)에는, 교반 챔버(32)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여 제1 반송 스크류(33)의 현상제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으로서의 제2 반송 스크류(34)가 제공되어 있다. 제2 반송 스크류(34)는, 회전가능한 축부로서의 회전축(34a)과, 회전축(34a)의 외주를 따라서 제공된 현상제 반송부로서의 나선형 블레이드부(34b)를 구비하고, 현상 용기(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4a)의 단부 각각에는, 베어링 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송 스크류(33)와 제2 반송 스크류(34)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현상 챔버(31)와 교반 챔버(32) 사이에서 연통부(39)를 통해 현상제가 순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현상 용기(50)에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현상제 코팅량이라고도 칭한다)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규제 블레이드(이후, 닥터 블레이드라 칭한다)가,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현상 슬리브(70)에 대향해서 제공되어 있다. 닥터 블레이드(36)는, 현상 슬리브(70)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코팅량 규제면(36r)을 갖는다. 닥터 블레이드(36)는, 수지 재료로 성형된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이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닥터 블레이드(36)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즉,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그 자신과 현상 슬리브(70) 사이의 미리정해진 갭(이후, SB 갭이라 칭한다)(G)을 통해 현상 슬리브(70)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SB 갭(G)은,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과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 사이의 최소 거리이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최대 화상 영역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관해서,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현상 슬리브(70)의 영역을 지칭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 방향에 관해서,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영역을 지칭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광 드럼(1)에 복수의 사이즈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최대 화상 영역은,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사이즈 중 가장 큰 사이즈(예를 들어, A3 사이즈)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지칭한다. 한편, 감광 드럼(1)에 1개의 사이즈만의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최대 화상 영역은 감광 드럼(1)에 형성 가능한 그 1개만의 사이즈의 화상 영역으로서 읽힌다.
닥터 블레이드(36)는, 마그네트 롤의 자극의 자속 밀도의 피크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현상 슬리브(70)에 공급된 현상제는 마그네트 롤의 자극의 자계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에 의해 규제되어서 긁어내진 현상제는 SB 갭(G)의 상류부에서 체류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닥터 블레이드(36)보다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는 현상제 체류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제 체류부에 체류하는 현상제의 일부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에 따라 SB 갭을 통과하도록 반송된다. 이때, SB 갭(G)을 통과하는 현상제의 층 두께가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에 의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는 현상제의 박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된 미리정해진 양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에 따라 현상 영역에 반송된다. 그러므로, SB 갭(G)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조정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SB 갭(G)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타깃으로 하는 SB 갭(G)의 크기(소위, SB 갭(G)의 타깃 값)을 약 300 μm로 설정하고 있다.
현상 영역에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 영역에서 자기적으로 상승되고, 이에 의해 자기 사슬이 형성된다. 이 자기 사슬이 감광 드럼(1)에 접촉함으로써, 현상제 중의 토너가 감광 드럼(1)에 공급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해서 감광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한 후의 현상 슬리브(70)의 표면 상의 현상제(이후, 이 현상제를 현상 단계 후의 현상제라 칭한다)는, 마그네트 롤의 동극의 자극 사이에 형성된 반발 자계에 의해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으로부터 벗겨내 진다.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으로부터 벗겨내진 현상 단계 후의 현상제는, 현상 챔버(31)에 낙하하고, 따라서 현상 챔버(31)에 회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프레임(30)에는, SB 갭(G)을 향해서 현상제가 반송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현상제 가이드부(35)가 제공되어 있다. 현상제 가이드부(35)와 현상 장치 프레임(3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현상제 가이드부(35)와 닥터 블레이드(36)는 서로 별개로 형성된다. 현상제 가이드부(35)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에 형성되고,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보다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 가이드부(35)에 의해 현상제의 흐름을 안정화시켜서, 미리정해진 현상제 밀도를 제공하도록 현상제의 밀도를 조정함으로써,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이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근접하는 위치에서의 현상제의 중량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40)은,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또한, 커버 프레임(40)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관해 현상 슬리브(70)의 전역에 걸쳐서 현상 슬리브(70)의 외주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한다. 이때, 커버 프레임(40)은, 현상 슬리브(70)가 감광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이 노출되도록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다.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커버 프레임(40)이 초음파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커버 프레임(40)에 대한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고정 방법은, 나사 체결, 스냅 피트, 접착, 용착 등의 어느 한 방법이여도 된다. 또한, 커버 프레임(40)에 관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40)이 1개의 부품(수지 성형품)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부품(수지 성형품)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 구조)
닥터 블레이드(단체)의 구조에 대해서, 도 5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동작(현상 동작) 중에는, 현상제의 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현상제의 압력(이후, 이 압력을 현상제 압력이라 칭한다)이 닥터 블레이드(36)에 가해진다. 강성이 낮을수록, 화상 형성 동작 중에 현상제 압력이 닥터 블레이드(36)에 가해질 때에, 닥터 블레이드(36)가 변형되기 쉽고, SB 갭(G)의 크기가 변동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화상 형성 동작 중에는, 현상제 압력이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도 5의 화살표 M 방향)으로 가해진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있어서의 SB 갭의 크기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를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의 형상은 양산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판 형상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의 측면(36t)의 단면적을 작게 하고,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의 두께 방향의 길이(t2)는,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길이(t1)보다 작게 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단체)는, 닥터 블레이드(36)가 닥터 블레이드(36)의 길이 방향(도 5의 화살표 N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M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의 적어도 일부가 도 5의 화살표 M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닥터 블레이드(36)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된다. 또한, 진직도의 보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의 구조)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구조에 대해서, 도 6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커버 프레임(4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현상 장치 프레임(30)은, 현상 챔버(31)와, 현상 챔버(31)로부터 격벽(38)에 의해 구획된 교반 챔버(32)를 갖는다. 격벽(38)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며,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현상 장치 프레임(30)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베어링(71)을 지지함으로써 현상 슬리브(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 지지부(42)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 프레임(30)은, 슬리브 지지부(42)와 일체로 형성되고,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하기 위한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갖는다. 도 6은, 블레이드 설치부(41)로부터 닥터 블레이드(36)를 뜨게 한 가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가 설치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설치부(41)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도포된 접착제(A)가 경화됨으로써,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가 고정된다.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강성에 대해서, 도 7의 개략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강성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으로 집중 하중(F1)이 가해진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의 휨량에 기초하여,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강성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으로 300gf의 집중 하중(F1)이 가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에서, 닥터 블레이드(36)의 가로 방향의 휨량은 700 μm 이상이다. 또한, 이때, 단면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의 변형량은 5 μm 이하이다.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의 강성)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에 대해서 도 8의 개략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에 대하여,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가로 방향으로 집중 하중(F1)이 가해진다. 이때,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가로 방향의 휨량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에 대하여,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가로 방향으로 300 gf의 집중 하중(F1)이 가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때,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부(41)의 가로 방향의 휨량은 60 μm 이하이다.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와,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의 각각에 동일한 크기의 집중 하중(F1)이 가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36)의 중앙부(36z)의 휨량은, 블레이드 설치부(41)의 중앙부(41z)의 휨량의 10배 이상이다. 그러므로,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은,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강성보다 10배 이상 높다. 그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되고,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의 강성에 비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강성이 지배적이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가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닥터 블레이드(36)가 길이방향 단부에서만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해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은 커버 프레임(40)(단체)의 강성보다 크다. 그 때문에, 커버 프레임(40)이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커버 프레임(40)의 강성에 비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강성이 지배적이다.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 진직도의 보정)
화상을 형성하는 시트(S)의 폭이 A3 사이즈인 경우 등, 시트(S)의 폭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가 커진다. 그 때문에, 화상을 형성하는 시트(S)의 폭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가 커진다. 길이방향 길이가 큰 닥터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했을 경우, 수지 재료에 의해 제조된 닥터 블레이드의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를 보증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길이방향 길이가 큰 닥터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할 경우에는, 열팽창한 수지 재료가 열수축 할 때에, 닥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 두께가 진행되는 부분과 지연되는 부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길이가 증가할수록, 닥터 블레이드의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에 기인하여,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SB 갭이 상이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SB 갭이 상이하면,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의 불균일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 길이가 A3 사이즈 시트에 대응하는 길이인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이후, 이 닥터 블레이드를 A3 사이즈 호환형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라 칭한다)를,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는 약 300 μm 내지 500 μm이다. 또한, A3 사이즈 호환형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밀도 수지 재료를 사용해서 고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는 약 100μm 내지 200μ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B 갭(G)의 크기를 약 300 μm로 설정하고, 또한 SB 갭(G)의 공차(즉, SB 갭(G)의 타깃 값에 대한 공차)를 ±10% 이내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는 SB 갭(G)의 조정 범위가 300μm±30μm이며, SB 갭(G)의 허용 공차는 최대로 60μm인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A3 사이즈 호환형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를,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거나, 고정밀도 수지 재료를 사용해서 고정밀도로 제조했다고 해도,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의 정밀도만으로 결과값은 SB 갭(G)의 공차로서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를 구비한 현상 장치에서는,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에 관계없이, 현상 장치 프레임의 설치부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SB 갭(G)이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가 낮은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해도, 코팅량 규제면의 진직도를 보정함으로써, 현상 장치 프레임의 설치부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SB 갭(G)이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에 대해서, 도 9의 개략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는, 코팅량 규제면(36r)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미리정해진 위치를 기준 위치로 했을 때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외형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분의 절대값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코팅량 규제면(36r)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중앙부를 직각(직교) 좌표계의 원점으로서 사용했을 때, 당해 원점을 통과하는 미리정해진 직선이 X축이고, 상기 원점부터 X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구려지는 직선이 Y축이다. 이 직각 좌표계에 있어서,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는, 코팅량 규제면(36r)의 외형의 Y 좌표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분의 절대값으로 표현된다.
도 9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단체)는, 닥터 블레이드(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이 중앙부에서 크게 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자유 단부(36e)(36e1 내지 36e5)의 위치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의 진직도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SB 갭(G)의 공차의 허용값,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설치 정밀도 등을 감안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50μm 이하에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속의 2차 절삭 가공에 의해 준비되는 금속제 닥터 블레이드의 진직도 정밀도가 20μm 이하인 것을 감안하여,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20μm 이하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현실적인 양산 단계를 감안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의 보정의 설정값은 약 20μm 내지 50μm이다.
그러므로, 닥터 블레이드(36)가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게 하기 위한 힘(이하, 이 힘을 진직도 보정력이라 칭한다)을 닥터 블레이드(36)에 부여하여, 닥터 블레이드(36)가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게 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50μm 이하로 보정한다.
도 9의 예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e1, 36e5)의 외형을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자유 단부(36e2, 36e3, 36e4)의 외형이 자유 단부(36e1, 36e5)의 외형에 일치하도록 상기 기준에 기초하여 화살표 I 방향으로 자유 단부(36e2, 36e3, 36e4)에 진직도 보정력을 부여한다. 그 결과,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형상이, 코팅량 규제면(36r1)으로부터 코팅량 규제면(36r2)으로 보정되므로,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50μm 이하에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r)의 외형을 동일하게 할 때의 기준은 자유 단부(36e1, 36e5)(코팅량 규제면(36r)의 길이방향 단부)의 외형이었지만, 자유 단부(36e3)(코팅량 규제면(36r)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외형일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e3)의 외형을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자유 단부(36e1, 36e2, 36e4, 36e5)의 외형이 자유 단부(36e3)의 외형과 일치하도록, 닥터 블레이드(36)에 진직도 보정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의 진직도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닥터 블레이드(36)에 진직도 보정력을 부여할 때에 코팅량 규제면(36r)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닥터 블레이드(36)가 휘도록, 닥터 블레이드(단체)의 강성을 낮게 할 필요가 있다.
(SB 갭 조정 방법)
SB 갭(G)의 조정은, 슬리브 지지부(42)에 의해 지지된 현상 슬리브(70)에 대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36)의 상대 위치가 조정되도록,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SB 갭(G)을 조정함으로써 결정되는 블레이드 설치부(41)의 미리정해진 위치에서,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닥터 블레이드(36)를, 미리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도포된 접착제(A)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최대 화상 영역은,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 영역 중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영역을 말한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 중,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를 휘게 한 영역에 관해서는, 닥터 블레이드(36)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닥터 블레이드(36)를 휘게 하기 위한 힘이 부여되는 영역에서 닥터 블레이드(36)가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되는 경우,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일부에 접착제(A)가 도포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A)가 도포되는 것은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중,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를 휘게 한 영역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최대 화상 영역의 95% 이상인 영역에서 접착제(A)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 중,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를 휘게 한 영역에서, 닥터 블레이드(36)가 휘어 있는 상태로부터 휘기 전의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려고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닥터 블레이드(36)는,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가 50μm 이하로 보정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SB 갭(G)의 크기를 측정(산출)한다. 또한, SB 갭(G)의 크기의 측정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슬리브 지지부(42)에 의해 현상 슬리브(70)가 지지되고,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가 설치되어 있으며,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커버 프레임(40)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SB 갭(G)의 크기를 측정할 때, 현상 챔버(31)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현상 챔버(31) 내에 광원(예를 들어, LED 어레이, 라이트 가이드 등)이 삽입된다. 현상 챔버(31) 내에 삽입된 광원은, 현상 챔버(31) 내부로부터 SB 갭(G)을 향해서 광을 조사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e(36e1 내지 36e5))에 대응하는 5개의 장소 각각에, SB 갭(G)을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외부에 출사되는 광선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가 제공되어 있다.
이 5개의 장소에 배치된 카메라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e(36e1 내지 36e5))의 각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SB 갭(G)을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외부에 출사된 광선을 촬상한다. 이때, 카메라는,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70)가 닥터 블레이드(36)와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판독하고,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유 단부(36e(36e1 내지 36e5))를 판독한다. 계속해서, 카메라에 의해 판독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소값이 거리로 변환되어, SB 갭(G)의 크기가 산출된다. 산출된 SB 갭(G)의 크기가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서 들어가지 않을 경우, SB 갭(G)의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산출된 SB 갭(G)의 크기가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들어가면, 그 위치를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닥터 블레이드(36)를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하는 위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SB 갭(G)이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을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등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단,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양단부와 중앙부를 포함한다)의 각각에서, SB 갭(G)을 5개의 장소 이상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5개의 장소 이상에서 측정된 SB 갭(G)의 측정값의 샘플로부터, SB 갭(G)의 최대값과 중앙값을 추출한다.
이때, SB 갭(G)의 최대값과 중앙값 사이의 차분의 절대값이 SB 갭(G)의 중앙값의 10% 이하이면 되고, SB 갭(G)의 최소값과 중앙값 사이의 차분의 절대값이 SB 갭(G)의 중앙값의 10% 이하이면 된다. 이 경우, SB 갭(G)의 공차가 ±10% 이하인 것을 상정하면, SB 갭(G)은 SB 갭(G)이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인 것을 만족한다. 예를 들어, 5개의 장소 이상에서 측정된 SB 갭(G)의 측정값의 샘플로부터, SB 갭(G)의 중앙값이 300μm이었을 경우, SB 갭(G)의 최대값은 330μm 이하이고 SB 갭(G)의 최소값은 270μm 이상이면 된다. 즉, 이 경우, SB 갭(G)의 조정 범위가 300μm±30μm이며, 따라서 SB 갭(G)의 공차(즉, SB 갭(G)의 타깃 값에 대한 공차)로서 최대 60μm까지가 허용된다.
(선팽창 계수)
계속해서, 화상 형성 동작 중에 발생한 열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는 닥터 블레이드(36)와 현상 장치 프레임의 변형에 대해서, 도 10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동작 중에 발생하는 열로서, 예를 들어 현상 슬리브(70)의 회전축과 베어링(71)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 제1 반송 스크류(33)의 회전축(33a)과 그 베어링 부재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 및 SB 갭(G)을 현상제가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열 등이 있다. 화상 형성 동작 중에 발생한 열에 의해, 현상 장치(3)의 주위 온도가 변화하고, 따라서 닥터 블레이드(36), 현상 장치 프레임(30) 및 커버 프레임(40)의 온도도 변화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의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신장량이 H(μm)이고,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신장량이 I(μm)이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1)와,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는 서로 상이하다. 이 경우, 이들 선팽창 계수 사이의 차이로 인해, 온도 변화에 의한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닥터 블레이드(36)의 변형량이 서로 상이하고, 따라서 H(μm)와 I(μm) 사이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는 도 10의 화살표 J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 10의 화살표 J 방향으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변형을, 닥터 블레이드(36)의 휨 방향의 변형이라 칭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의 휨 방향의 변형은 SB 갭(G)의 크기의 변동으로 연결된다. 열에 기인하는 SB 갭(G)의 크기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슬리브 지지부(42)와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와, 닥터 블레이드(36)(단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1)는 서로 연관된다. 즉,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1)와,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가 서로 상이한 경우, 이들의 선팽창 계수 사이의 차이로 인해,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량이 상이해진다.
일반적으로, 수지 재료는 금속재료와 비교해서 선팽창 계수가 크다. 닥터 블레이드(36)가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화상 형성 동작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휨 변형이 발생하고, 따라서 닥터 블레이드(36)는 길이방향 중앙부가 휘기 쉽다. 그 결과,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36)가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감광 드럼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온도 변화에 따라 SB 갭(G)의 크기가 변동하기 쉽다.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50μm 이하로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는 그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다. 또한,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휘어진 닥터 블레이드(36)를,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A)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때,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와,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1)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 온도 변화가 발생할 때에,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온도 변화가 발생할 때에, 온도 변화에 의한 닥터 블레이드(36)의 변형량 (팽창/수축량)과, 온도 변화에 의한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변형량(팽창/수축량)이 서로 상이한다. 그 결과, 닥터 블레이드(36)를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설치하는 위치를 정할 때에 SB 갭(G)을 고정밀도로 조정해도,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온도 변화에 기인해서 SB 갭(G)의 크기가 변동하게 된다.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를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화상 형성 동작 중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SB 갭(G)의 크기의 변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열에 기인하는 SB 갭(G)의 변동량에 대해서는,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량의 불균일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변동량을 일반적으로 ±20μm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1)로부터의, 슬리브 지지부(42)와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의 차를, 이후 선팽창 계수 차(α2-α1)라 칭한다. 이 선팽창 계수 차(α2-α1)에 의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휨량의 변화에 대해서 표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닥터 블레이드(36)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온(23℃)으로부터 고온(40℃)으로의 온도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닥터 블레이드의 최대 휨량의 측정을 행했다.
슬리브 지지부(42)와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는 α2(m/℃)이고,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는 α1(m/℃)이다. 그리고, 선팽창 계수 차(α2-α1)를 변화시켰고,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휨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는, 최대 휨량의 절대값이 20μm 이하인 경우에, 최대 휨량은 "o"로 평가되었고, 최대 휨량의 절대값이 20μm보다 큰 경우에, 최대 휨량은 "x"로 평가되었다.
Figure pa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에 기인하는 SB 갭(G)의 변동량을 ±20μm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선팽창 계수 차(α2-α1)는 이하의 관계 (1)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Figure pat00002
...(1).
그러므로, 선팽창 계수 차(α2-α1)가 -0.45×10-5(m/℃) 이상 0.55×10-5(m/℃) 이하가 되도록,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 및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와 닥터 블레이드(36)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 동일한 수지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 선팽창 계수 차(α2-α1)는 0이 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 및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접착제(A)가 도포되면, 접착제(A)가 도포된 닥터 블레이드(36) 및 현상 장치 프레임(30)은 선팽창 계수가 변동하게 된다. 그러나, 닥터 블레이드(36) 및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도포되는 접착제(A)의 체적 자체가 매우 작고, 따라서 온도 변화에 의한 접착제(A)의 두께 방향에 대한 치수 변동에의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레벨이다. 그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36) 및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접착제(A)가 도포될 때에, 선팽창 계수 차(α2-α1)의 변동에 기인하는 닥터 블레이드(36)의 휨 방향의 변형은 무시할 수 있는 레벨이다.
마찬가지로, 커버 프레임(40)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한 현상 장치 프레임(30)과 커버 프레임(40)의 변형량이 서로 상이하면, 커버 프레임(40)의 휨 방향의 변형은 SB 갭(G)의 크기의 변동으로 연결된다. 슬리브 지지부(42)와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가 α2(m/℃)이고, 커버 프레임(4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는 α3(m/℃)이다. 또한, 슬리브 지지부(42)와 블레이드 설치부(41)를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2)로부터의, 커버 프레임(4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선팽창 계수(α3)의 차를, 이후 선팽창 계수 차(α3-α2)라 칭한다.
이때,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팽창 계수 차(α3-α2)는 이하의 관계 (2)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Figure pat00003
...(2).
그러므로, 선팽창 계수 차(α3-α2)가 -0.45×10-5(m/℃) 이상 0.55×10-5 (m/℃) 이하가 되도록,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 및 커버 프레임(4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와 커버 프레임(40)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 동일한 수지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 선팽창 계수 차(α3-α2)는 0이 된다.
(현상제 압력)
계속해서, 현상제의 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현상제 압력이 닥터 블레이드(36)에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는 닥터 블레이드(36)의 변형에 대해서, 도 11의 단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 2의 단면 H)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접착제(A)에 의해 고정된 닥터 블레이드(36)의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량 규제면(36r)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36)의 현상 슬리브(70)에 대한 최근접 위치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X축이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36)는 X축에 대하여 길이가 길고 X축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강성이 높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가이드부(35)의 근방에 위치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벽부(30a)의 단면적(T2)에 대한 닥터 블레이드(36)의 단면적(T1)의 비율은 작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프레임(30)(단체)의 강성은, 닥터 블레이드(36)(단체)의 강성보다 10배 이상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의 강성에 대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강성이 지배적이 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동작 중에, 닥터 블레이드(36)에 현상제 압력이 부여될 때의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변위량(최대 휨량)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변위량(최대 휨량)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제1 반송 스크류(33)로부터 퍼 올려진 현상제는 현상제 가이드부(35)를 통과하고,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반송된다. 그 후, 닥터 블레이드(36)에 의해 SB 갭(G)의 크기로 현상제의 층 두께가 조절될 때에도, 닥터 블레이드(36)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현상제 압력을 받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SB 갭(G)을 규정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할 때, Y축 방향을 따른 현상제 압력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대하여 수직하다. 즉, Y축 방향의 현상제 압력은, 블레이드 설치면(41s)으로부터 닥터 블레이드(36)를 떼어내는 힘이다. 그러므로, 접착제(A)에 의한 결합력은, Y축 방향의 현상제 압력에 비하여 충분히 큰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현상제 압력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면(41s)으로부터 닥터 블레이드(36)를 떼어내려고 하는 힘 및 접착제(A)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대한 접착제(A)의 접착 면적 및 도포 두께를 최적화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36)와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구비한 현상 장치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해서 고정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시트(S)의 폭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한다.
길이방향 길이가 큰 블레이드 설치면(41s)을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불균일 정도가 커지기 쉽고, 따라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JIS B0021)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품의 길이방향 길이가 증가할수록, 수지 성형품의 길이 방향에서 수지 성형품의 평면도의 변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방향 길이가 미리정해진 값보다 큰 블레이드 설치면(41s)을 갖는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함몰 마크가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품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성형 시에 열팽창한 수지 재료가 열수축할 때에 수지 성형품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열수축의 진행에 차이가 발생하는 정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가 큰 경우, 평면도가 큰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닥터 블레이드(36)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SB 갭(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서 상이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SB 갭(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서 상이하면,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할 경우,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를 작게 함으로써, SB 갭(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되기 때문이다.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고정밀도의 수지 재료를 사용해서 고정밀도로 제조하고 2차 가공함으로써,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를 작게 할 수는 있다. 한편,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30)을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가로방향 길이를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므로, 닥터 블레이드(36)를,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인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고정할 경우에는, 이하가 요구된다. 즉, 수지제 현상 장치 프레임(30)에 수시제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설치된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과,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을 양립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 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이하에 상세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레이드 설치면의 구성에 대해서, 도 12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3의 단면도 및 도 14의 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블레이드 설치부(410)로부터 닥터 블레이드(36)를 뜨게 한 가상 상태를 나타내며,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3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0)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근방(도 13의 영역 I)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0)의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6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6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구성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구성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4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4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0)의 구성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3)의 구성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되고,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큰 현상 장치 프레임(310)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과, 블레이드 설치면(410s)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을 양립시킨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 프레임(310)에는, 블레이드 설치부(410)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1 블레이드 지지부(제1 리브)(4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부(제2 리브)(430)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현상 장치(300)를 보았을 때,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는 그 사이에 미리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공된다. 또한, 블레이드 설치면(410s)은,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의,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과,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의,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과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각각이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90% 이상인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연관된 블레이지 지지면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가로 방향(즉,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짖지면(420s)의 길이를 3.0 mm 이하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가로 방향(즉,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길이를 3.0 m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가로 방향의 길이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가로 방향의 길이 모두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에도,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닥터 블레이드(36)가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의해 지지되어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SB 갭(G)의 크기를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x1은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길이를 나타내며, y1은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z1은 현상 장치 프레임(310)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x2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블레이디 지지면(430s)의 길이를 나타내며, y2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z2는 현상 장치 프레임(310)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L은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과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블레이드 설치부(410)의 경감부(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에, 금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관계식 3 및 4가 만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 3) z1 < 2L, z1 < 2x1
(식 4) z2 < 2L, z2 < 2x2
본 실시형태에서는, z1은 0.2 mm 이상이고, y1은 3.0 mm 이하이다.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y1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기본 두께 이하로 하고 0.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z2은 0.2 mm 이상이고, y2는 3.0 mm 이하이다.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y2는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기본 두께 이하로 하고, 0.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양산성의 관점에서 불리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기본 두께는 1.0 mm 이상 3.0 mm 이하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x1은 약 300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x2는 약 300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z1은 약 0.5 mm이고, z2는 약 0.5 mm이며, L 약 3.0 mm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는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되고,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는, SB 갭(G)의 크기가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휘어진 상태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휨의 정도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A)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A)를 사용해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할 경우, 접착제(A)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면 된다. 도 13 및 도 14의 예에서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접착제(A)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닥터 블레이드(36)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세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닥터 블레이드(36)를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접착제(A)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닥터 블레이드(36)에 현상제 압력이 가해질 때에, SB 갭(G)의 크기를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할 수 있는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는, 양면 테이프나 용착을 사용하여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를 고정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과,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을 양립시켰다.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 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구성된 규제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할 때의,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피설치면이 설치된 규제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큰 규제 블레이드를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경우에,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가로방향 길이를 미리정해진 값 이하로 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은, 규제 블레이드가 현상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규제 블레이드의 면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닥터 블레이드의 피설치면의 구성에 대해서, 도 15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6의 단면도 및 도 17의 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블레이드 설치부(41)로부터 닥터 블레이드(360)가 뜨게 한 가상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닥터 블레이드(360)의 피설치면(피지지면(370s, 380s))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1)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닥터 블레이드(360)의 피지지면(370s, 380s)의 근방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1)의 단면도(확대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12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12의 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13 및 도 14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1)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현상 장치(300)의 구성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360)에는, 닥터 블레이드(360)의 기본 두께로 구성된 기초부(361)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제1 피지지부(제1 리브)(370) 및 제2 피지지부(제2 리브)(38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단면에서 현상 장치(301)를 보았을 때, 닥터 블레이드(360)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1 피지지부(370)와 제2 피지지부(380)는 그 사이에 미리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공된다. 또한, 제1 피지지부(370)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제1 피지지면(370s)을 구비하고, 제2 피지지부(380)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제2 피지지면(380s)을 구비한다.
제1 피지지면(37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피지지면(38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피지지면(370s)과 제2 피지지면(380s) 각각이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90% 이상인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연관된 블레이드 지지면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제1 피지지면(37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가로 방향(즉,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피지지면(370s)의 길이를 3.0 mm 이하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피지지면(38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가로 방향(즉, 닥터 블레이드(36)가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피지지면(380s)의 길이를 3.0 mm 이하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피지지면(370s) 및 제2 피지지면(380s) 각각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되어, 닥터 블레이드(360)가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1 피지지면(370s)의 가로 방향의 길이 및 제2 피지지면(380s)의 가로 방향의 길이 모두가 미리정해진 값 이하여도,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고정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360)의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제1 피지지면(370s) 및 제2 피지지면(380s)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닥터 블레이드(360)가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SB 갭(G)의 크기를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 x'1은 제1 피지지면(370s)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피지지면(370s)의 길이를 나타내고, y'1은 제1 피지지면(370s)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피지지면(370s)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z'1은 제1 피지지부(370)의, 닥터 블레이드(360)의 기초부(36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길이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x'2는 제2 피지지면(380s)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피지지면(380s)의 길이를 나타내며, y'2는 제2 피지지면(380s)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피지지면(380s)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z'2는 제2 피지지부(380)의, 닥터 블레이드(360)의 기초부(361)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L'은 제1 피지지면(370s)과 제2 피지지면(380s)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y'3은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코팅량 규제면(360r)(닥터 블레이드(360) 중 현상 슬리브(70)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과 제1 피지지부(370)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목적의 수지 성형품의 정밀도로, 닥터 블레이드(360)의 경감부(제1 피지지부(370)와 제2 피지지부(380)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금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관계식 5 및 6이 만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 5) z'1 < 2L', z'1 < 2x'1
(식 6) z'2 < 2L', z'2 < 2x'2
본 실시형태에서는, z'1은 0.2 mm 이상이며, y'1은 3.0 mm 이하이다. 제1 피지지면(37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y'1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기본 두께 이하로 하고 0.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z'2는 0.2 mm 이상이고, y'2는 3.0 mm 이하이다. 제2 피지지면(380s)의 평면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 y'2는 닥터 블레이드(360)의 기본 두께 이하로 하고 0.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양산성의 관점에서 불리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0)의 기본 두께를 1.0 mm 이상 3.0 mm 이하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피지지면(37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x'1은 약 300 mm이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피지지면(380s)은 감광 드럼(1)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x'2는 약 300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z'1는 약 0.5 mm이고, z'2는 약 0.5 mm이며, L'은 약 3.0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y'3는 0.6 mm 이상이다. 이는, 닥터 블레이드(360)를 수지 재료로 성형했을 때에, 제1 피지지부(370)에 기인해서 닥터 블레이드(360)에 함몰 마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함몰 마크가 코팅량 규제면(360r)에 미치는 영향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즉, y'3를 0.6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SB 갭(G)의 크기가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피지지부(370) 및 제2 피지지부(380)가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닥터 블레이드(360)가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360)가, SB 갭(G)의 크기가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휘어진 상태에서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휨의 정도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0)는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A)를 사용해서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고정할 경우, 접착제(A)를 제1 피지지면(370s) 및 제2 피지지면(380s)의 적어도 하나에 도포하면 된다. 도 16 및 도 17의 예에서는, 제2 피지지면(380s)에 접착제(A)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지지면(370s) 및 제2 피지지면(380s)를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닥터 블레이드(360)를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0)의 자세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닥터 블레이드(360)를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접착제(A)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닥터 블레이드(360)에 현상제 압력이 가해질 때에, SB 갭(G)의 크기를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하는 것이 가능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는, 양면 테이프나 용착을 사용하여,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대하여 닥터 블레이드(360)를 고정하는 변형예를 채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목적의 정밀도를 갖는 닥터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닥터 블레이드의 피설치면 (피지지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는 것과,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을 양립시켰다.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의 피설치면(피지지면)의 평면도를 작게 하면서,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할 때의, 블레이드 설치면에 설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닥터 블레이드에 제1 피지지부 및 제2 피지지부가 제공되므로, 제1 피지지부 및 제2 피지지부에 기인해서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여,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이 증가한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현상 장치 프레임에 제1 블레이드 지지부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부가 제공되므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닥터 블레이드에는 제1 피지지부 및 제2 피지지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보다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형태 모두에서, SB 갭(G)의 크기가 닥터 블레이드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로 되도록 닥터 블레이드가 휜 상태에서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고정한다.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이 낮을수록, 닥터 블레이드를 휘게 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에 부여해야 할 힘(진직도 보정력)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닥터 블레이드가 더 용이하게 휘어진다. 그러므로, 닥터 블레이드를 휘게 하는 단계를 통해서 현상 장치를 조립하는 한에 있어서, 닥터 블레이드의 조립성의 관점에서,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는 제1 실시형태가 제2 실시형태보다 더 유리하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모두에서, 닥터 블레이드를 휘게 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의 강성을 낮게 하기 위해서, 단면 2차 모멘트를 작게 하기 위해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금형을 설계한다. 사출 성형을 통해 닥터 블레이드를 수지 재료로 성형할 때에,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설계된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 용융된 수지 재료가 금형 내에서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성형 압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는, 용융된 수지 재료가 통과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용융된 수지 재료가 원활하게 흐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용융된 수지 재료가 통과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클수록, 용융된 수지 재료가 원활하게 흐르기 쉬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달리, 닥터 블레이드에 제1 피지지부 및 제2 피지지부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보다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설계된 금형에서 수지 재료로 닥터 블레이드를 성형하는 한은, 닥터 블레이드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닥터 블레이드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보다 더 유리하다.
[제3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시트(S)의 폭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길이방향 길이가 커진다. 길이방향 길이가 큰 닥터 블레이드(36)를 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증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방향 길이가 큰 닥터 블레이드(36)의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50μm 이하로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휘게 한다. 그리고, 최대 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휘게 한 닥터 블레이드(36)를,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설치해서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 중, 코팅량 규제면(36r)의 진직도를 보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를 휘게 한 영역에서, 닥터 블레이드(36)가 휘어 있는 상태로부터 휘기 전의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려고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닥터 블레이드(36)의 휨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36)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해서 접착제(A)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미리정해진 막 두께를 갖는 접착제(A)가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설치부(41)의 블레이드 설치면(41s)에 도포된다. 또한,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할 때(접착 결합 시)에, 닥터 블레이드(36)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압력이 가해져서, 미리정해진 두께를 갖는 접착제(A)는 가압(변형)된다. 이때,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이 경우에는,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접착제(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특히, 이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현상제 가이드부(35)에 퇴적되어서 경화된 경우, SB 갭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현상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70)의 표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닥터 블레이드를 현상 장치 프레임의 블레이드 설치부에 설치하고 접착제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현상 장치 프레임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현상 장치 프레임 안으로의 접착제의 침입이 억제된다. 이하에 상세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8의 단면도 및 도 19의 단면도(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0)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0)의 단면도이며,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블레이드 설치부(410)(특히,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근방(도 18의 영역 I)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0)의 확대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도 4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가 부여된 구성 요소는 도 4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0)의 구성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3)의 구성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는, 현상 장치 프레임(310)으로부터 돌출되고,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가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제공된다. 또한, 블레이드 설치면(410s)은,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의,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과,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의, 닥터 블레이드(36)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사이의 최단 거리는, 현상 슬리브(70)와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지지되고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설치되는 닥터 블레이드(36)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과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각각이,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90% 이상인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연관된 블레이드 지지면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8 및 도 19의 예에서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각각으로부터 0.2 mm 이상으로 오목해진 오목부로서의 홈부(440)가,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440)는,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했을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접착제(여분의 접착제)(A)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440)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440)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90% 이상인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홈부(440)는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A)가, 현상 슬리브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되고, 현상 슬리브(70)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가로방향 길이가 1.5 mm이고,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되는 접착제(A)의 높이가 800 μ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 사이의 간격(즉, 홈부(440)의 폭)은 3.5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설치면(410s)으로부터의(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각각으로부터의) 오목부량(즉, 홈부(440)의 깊이)가 0.4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할 때(접착 결합 시)에, 경화된 접착제의 막 두께가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막 두께인 약 20 내지 100 μm가 될 때까지 닥터 블레이드(36)에 미리정해진 압력을 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홈부(440)의 체적이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체적보다 크다.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 설치면(410s)(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접착제(A)가 도포된 영역의 면적의 합계값이 S1(mm2)이고,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된 접착제(A)가 경화할 때의 접착제(A)의 막 두께가 t(mm)이다. 이때,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체적은 S1×t(mm3)이다. 또한, 홈부(440)의 길이방향 길이가 L(mm)이고,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홈부(440)의 단면적이 S2(mm2)이다. 이때, 홈부(440)의 체적은 S2×L (mm3)이다. 또한, S2×L(mm3)>S1×t(mm3)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이 관계는 홈부(440)의 체적이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체적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블레이드 설치면(410s)(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되고 미리정해진 (막) 두께를 갖는 접착제(A)가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경우에도, 접착제(A) 모두가 홈부(440)에 저류된다. 그러므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아, 특히 접착제(A)가 현상제 가이드부(35)에 퇴적되어서 경화되는 것에 의해, SB 갭(G)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접착제(A)는 현상 슬리브(70)로부터의 먼 측에 위치되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되지만, 접착제(A)는 현상 슬리브(70)에 가까운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에는 도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에 접착제(A)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할 때에,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의 일부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내부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하는 경우,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에 도포되고 미리정해진 두께를 갖는 접착제(A)의 모두가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더라도, 접착제(A)의 모두가 홈부(440)에 저류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를 설치할 때(접착 결합시),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전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한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가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가 블레이드 설치부측에 제공되는 예를 설명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가나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가 닥터 블레이드 측에 제공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20의 단면도 및 도 21의 단면도(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1)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1)의 단면도이며,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블레이드 설치부(41)(특히, 블레이드 설치면(41s))의 근방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1)의 확대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도 4, 도 18, 및 도 19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도 4, 도 18 및 도 19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1)의 구성에 있어서, 도 4,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300)의 구성과의 차이를 주로 설명한다.
닥터 블레이드(360)에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할 때에 닥터 블레이드(360)가 블레이드 설치부(41)에 접촉하는 부분이며,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제1 블레이드 접촉부(제1 피지지부)(370) 및 제2 블레이드 접촉부(제2 피지지부)(380)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 슬리브(70)와 제2 블레이드 접촉부(380) 사이의 최단 거리는, 현상 슬리브(70)와 제1 블레이드 접촉부(370)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접촉면(제1 피지지면)(370s)과 제2 블레이드 접촉면(제2 피지지면)(380s) 각각으로부터 0.2 mm 이상 오목해진 오목부로서의 홈부(390)가, 제1 블레이드 접촉부(370)와 제2 블레이드 접촉부(38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은, 제1 블레이드 접촉부(370)의,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접촉하는 면이며,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은 제2 블레이드 접촉부(380)의,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접촉하는 면이다. 홈부(390)는,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A)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390)는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390)가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90% 이상인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홈부(390)는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A)가, 현상 슬리브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되고, 현상 슬리브(70)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는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홈부(390)의 체적이,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체적보다도 크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닥터 블레이드(360)(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되고 미리정해진 (막) 두께를 갖는 접착제(A)의 모두가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더라도, 접착제(A)의 모두가 홈부(390)에 저류된다. 그러므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A)가, 특히 현상제 가이드부(35)에 퇴적되어서 경화되는 것에 의해 SB 갭(G)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접착제(A)는 현상 슬리브(70)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되지만, 현상 슬리브(70)에 가까운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에는 접착제(A)가 도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에 접착제(A)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할 때에,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의 일부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하는 경우에,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되고 미리정해진 두께를 갖는 접착제(A)의 모두가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더라도, 접착제(A)의 모두가 홈부(390)에 저류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설치부(41)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할 때(접착 결합 시)에,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접착제(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가, 블레이드 설치부측과 닥터 블레이드측의 양쪽에 제공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22의 단면도(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2)의 단면도이며,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블레이드 설치부(410)(특히,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근방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2)의 확대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도 19 및 도 21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19 및 도 21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2)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 도 19 및 도 2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현상 장치(300, 301)의 구성과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각각으로부터 0.2 mm 이상 오목해진 오목부로서의 홈부(440)가, 제1 블레이드 지지부(420)와 제2 블레이드 지지부(4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접촉면(제1 피지지면)(370s)과 제2 블레이드 접촉면(제2 피지지면)(380s) 각각으로부터 0.2 mm 이상 오목해진 오목부로서의 홈부(390)가, 제1 블레이드 접촉부(제1 피지지부)(370)와 제2 블레이드 접촉부(제2 피지지부)(38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440)와 홈부(390) 각각이, 블레이드 설치부(410)에 닥터 블레이드(360)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A)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410)의 홈부(440)가, 블레이드 설치면(410s)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닥터 블레이드(360)의 홈부(390)가, 닥터 블레이드(360)의 최대 화상 영역의 실질적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A)가, 현상 슬리브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및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되고, 현상 슬리브(70)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는 제1 블레이드 지지면(420s) 및 제1 블레이드 접촉면(370s)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레이드 설치부(410)의 홈부(440)와 홈부(390)의 합계 체적이,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및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합계 체적보다 크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및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에 도포된 접착제(A)의 모두가 제2 블레이드 지지면(430s) 및 제2 블레이드 접촉면(380s)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도, 접착제(A)의 모두가 홈부(440) 및 홈부(390)에 저류된다. 그러므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아, 특히 접착제(A)가 현상제 가이드부(35)에 퇴적되어서 경화되는 것에 의해, SB 갭(G)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없다.
[제6 실시형태]
제3 및 제5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때에, 접착제(A)의 도포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을 형성하는 위한 홈부가, 블레이드 설치부측 및 닥터 블레이드측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제공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을 형성하는 위한 홈부가, 블레이드 설치부 및 닥터 블레이드 중 어디에도 미리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설치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여분의 접착제)(A)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이 처음으로 형성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23의 단면도(확대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현상 슬리브(70)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3)의 단면도이며, 현상 장치 프레임(3100)의 블레이드 설치부(4100)(특히, 블레이드 설치면(4100s))의 근방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303)의 확대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도 19, 도 21, 및 도 22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19, 도 21 및 도 22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3)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 도 19,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한 현상 장치(300, 301, 302)의 구성과의 차이를 주로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설치부(4100)에 닥터 블레이드(36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3900)이, 블레이드 설치부(4100)와 닥터 블레이드(3600) 사이에 처음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3900)의 체적(용적)은 블레이드 설치부(4100)와 닥터 블레이드(3600)에 도포된 접착제의 체적보다 크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 설치부(4100) 및 닥터 블레이드(3600)에 도포된 접착제(A)의 모두가, 접착제(A)가 도포된 면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경우에도, 접착제(A)의 모두가 여분의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3900)에 저류된다. 그러므로, 여분의 접착제가 현상 장치 프레임(3100)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기 때문, 여분의 접착제(A)가 특히 현상제 가이드부(35)에 퇴적되어서 경화되는 것에 의해, SB 갭(G)을 향해서 반송되는 현상제의 흐름이 변동할 우려가 없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각 실시형태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유기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과,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이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유기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이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유기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과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이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유기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과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징이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61)를 중간 전사체로서 사용하는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60)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감광 드럼(1)에 순서대로 기록재를 직접 접촉시켜서 화상의 전사를 행하는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현상 장치(300)를 1개의 유닛으로서 설명했지만, 현상 장치(30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600)(도 1 참조)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준비되고, 화상 형성 장치(6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60)가 현상 장치(300)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은 모노크롬 (화상 형성)기 및 컬러 (화상 형성)기를 막론하고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현상 장치이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은, 상기 설치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화상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전역에 걸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그들 사이에 미리정해진 갭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은 3.0 mm 이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의 양자 모두에 의해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서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는 접착제가 저류될 수 있는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제1 지지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2 리브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리브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현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은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기본 두께를 가지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상기 현상 장치를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의 길이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의 기본 두께 이하인 현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상기 현상 장치를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의 길이는 0.7 mm 이상인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의 상기 길이는 1.0 mm 이상인 현상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갭이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8. 현상 장치이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이며,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고, 기초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중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 상기 현상제의 상기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기초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기초부의 전역에 걸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그들 사이에 미리정해진 갭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피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피지지면을 갖고,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 각각은 3.0 mm 이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의 양자 모두가 상기 설치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서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가 저류될 수 있는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제2 피지지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제1 피지지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며,
    상기 제2 리브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현상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은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기본 두께를 가지며,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하는 상기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 각각의 길이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의 상기 기본 두께 이하인 현상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가장 근접하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 각각의 길이는 0.7 mm 이상인 현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지지면 및 상기 제2 피지지면 각각의 상기 길이는 1.0 mm 이상인 현상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갭이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15. 현상 장치이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설치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전역에 걸쳐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설치부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갭이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18. 현상 장치이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규제 블레이드로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 블레이드; 및
    상기 규제 블레이드와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상 담지체의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고,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설치부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를 저류하기 위한 미리정해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전역에 걸쳐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정해진 공간은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규제 블레이드 사이의 갭이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미리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규제 블레이드를 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규제 블레이드는, 상기 상 담지체의 상기 최대 화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상기 전역에 걸쳐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 장치.
KR1020180144400A 2017-11-22 2018-11-21 현상 장치 KR20190059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4976A JP7009178B2 (ja) 2017-11-22 2017-11-22 現像装置
JP2017224977 2017-11-22
JPJP-P-2017-224976 2017-11-22
JPJP-P-2017-224977 2017-11-22
JPJP-P-2018-190016 2018-10-05
JP2018190016A JP7195860B2 (ja) 2017-11-22 2018-10-05 現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245A true KR20190059245A (ko) 2019-05-30

Family

ID=6427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00A KR20190059245A (ko) 2017-11-22 2018-11-21 현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0564B2 (ko)
EP (1) EP3489757A3 (ko)
KR (1) KR20190059245A (ko)
CN (1) CN109814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4691A (ja) * 2019-02-19 2020-08-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743A (ja) 1994-12-09 1996-06-21 Canon Inc 現像装置
EP0798748B1 (en) * 1996-03-28 2000-08-0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tact material for flexible doctor blade
JPH11282251A (ja) * 1998-03-30 1999-10-1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0134257A (ja) 2008-12-05 2010-06-17 Canon Chemicals Inc 現像剤量規制ブレード
KR101777346B1 (ko) * 2010-08-11 2017-09-2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EP3550371A1 (en) 2013-03-05 2019-10-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6253300B2 (ja) 2013-08-09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7203814A (ja) 2016-05-09 2017-11-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0564B2 (en) 2020-04-14
EP3489757A8 (en) 2019-07-10
CN109814351B (zh) 2022-05-10
CN109814351A (zh) 2019-05-28
US20190155187A1 (en) 2019-05-23
EP3489757A3 (en) 2019-06-19
EP3489757A2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5450B2 (en) Method of fixing regulating blade made of resin material
KR20190059245A (ko) 현상 장치
US10564566B2 (en) Developing device with a regulation blade mounted seal member
JP7009178B2 (ja) 現像装置
US10761452B2 (en) Developing device including a resin regulating blade
US10747141B2 (en) Developing device
US10545428B2 (en) Method of fixing regulating blade and development device
JP7146512B2 (ja) 現像装置
JP7195860B2 (ja) 現像装置
CN109471344B (zh) 显影装置
US10775714B2 (en) Developing device
JP7146511B2 (ja) 現像装置
JP2020091362A (ja) 規制ブレードの固定方法
JP7073205B2 (ja) 現像装置の製造方法
EP3432076B1 (en) Method of fixing regulating blade and develop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