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346B1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346B1
KR101777346B1 KR1020100077498A KR20100077498A KR101777346B1 KR 101777346 B1 KR101777346 B1 KR 101777346B1 KR 1020100077498 A KR1020100077498 A KR 1020100077498A KR 20100077498 A KR20100077498 A KR 20100077498A KR 101777346 B1 KR101777346 B1 KR 10177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egulating portion
developing sleeve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189A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346B1/ko
Priority to EP13157799.1A priority patent/EP2602670B1/en
Priority to ES11167928T priority patent/ES2420631T3/es
Priority to EP11167928.8A priority patent/EP2418547B1/en
Priority to PL11167928T priority patent/PL2418547T3/pl
Priority to US13/067,489 priority patent/US8670698B2/en
Priority to CN201110224742.9A priority patent/CN102375379B/zh
Priority to JP2011176224A priority patent/JP2012037893A/ja
Publication of KR2012001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현상롤러에 의하여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한다. 규제부는,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차례로 배치되고 현상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제1, 제2, 제3간격만큼 이격된 제1, 제2, 제3규제부를 포함한다. 제2간격은 제3간격보다 크며, 제3간격은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일성분 현상기에는 현상제로서 토너가 수용되며, 이성분 현상기에는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된다. 현상기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현상 롤러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시켜 감광체와 현상 롤러가 대면된 현상 영역으로 운반하고, 토너만을 감광체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때, 현상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 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두께는 규제수단에 의하여 규제된다.
본 발명은 현상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규제할 수 있는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이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기로서, 그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시켜 감광체와 대면된 현상 영역으로 반송하는 현상 롤러; 상기 현상 영역으로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제1, 제2, 제3간격만큼 이격된 제1, 제2, 제3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3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3간격은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제1규제부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가 상기 제3규제부를 통하여 규제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3규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곡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2규제부와 상기 연결부는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3규제부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간격을 C라 하면, A > B 이며, C > B 일 수 있다.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일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 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수단; 그 일단부가 상기 제3규제부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롤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의 상방으로 연장된 현상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현상 롤러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자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롤러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슬리브에 부착시키는 수취극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수취극와 상기 현상 롤러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보다 상기 제3규제부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롤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를 지난 위치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규제부와 상기 제2규제부 사이에는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현상제 층에 자기적인 부하를 가하는 자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 층을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시키는 자기 롤러; 그 단부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 제1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규제부를 형성하는 닥터 블레이드; 상기 현상 슬리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서브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간격을 통과하지 못한 현상제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1면과,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제3간격 이격되어 상기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와 상기 순환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 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제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일단부가 상기 제2면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 수단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현상제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상기 공급수단으로 회수하는 현상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 롤러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슬리브에 부착시키는 수취극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수취극와 상기 현상 롤러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보다 상기 제2면의 하류측 단부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롤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를 지난 위치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3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면은 상류측 단부로부터 하류측 단부로 갈수록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2면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간격을 C라 하면, A > B, C > B,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을 측면에 따른 현상기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 층을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시키는 자기 롤러;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부착된 현상제 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현상 슬리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순차로 배치되며, 제1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1규제부와, 제1현상제 압력보다 작은 제2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2규제부와, 상기 제2현상제 압력보다 큰 제3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3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제1규제부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가 상기 제3규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규제부의 현상제 압력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3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제2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상기 제3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2규제부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3규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술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3규제뷰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규제부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C라 하면,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현상기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제1규제부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를 규제부 외부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규제부 내에 현상제가 정체되어 현상제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되는 문제, 및 이들 문제로 인한 화상농도 저하 및 화상농도 뷸균일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현상제에 혼입된 이물질을 규제부 밖으로 배출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현상제 공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현상 슬리브의 회전방향을 따라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제3규제부를 배치함으로써 공급수단의 회전주기에 따른 현상제 공급 불균일이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셋째, 현상제를 최종적으로 규제하는 제1규제부 이전에 규제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현상롤러 상의 현상제층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규제부에 걸리는 현상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넷째, 제2규제부는 현상제의 순환공간을 제한하는 동시에 제3규제부보다 낮은 현상제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제1규제부로의 현상제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현상롤러 및 규제부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규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규제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규제부만이 구비된 규제부에 의한 현상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1규제부와 제3규제부가 구비된 규제부에 의한 현상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제1, 제2, 제3규제부가 구비된 규제부에 의한 현상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순환공간의 제한이 없는 규제부에 의한 현상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규제부의 일 변형예로서 자성부재가 구비된 규제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규제부 내에서 순환되어 배출된 현상제를 공급수단으로 안내하는 부재가 마련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 제2, 제3규제부이 일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감광드럼(1)과 현상 롤러(3)를 구비하는 일체형 현상기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감광드럼(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이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클리닝 롤러(4)는 대전롤러(2)의 외주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 클리닝 부재의 일 예이다. 참조부호 7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7)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현상 롤러(3)는 현상제를 운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에는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제가 수용된다. 캐리어는 현상 롤러(3)의 자기력에 의하여 현상 롤러(3)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토너는 정전력에 의하여 캐리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현상 롤러(3)의 외주면에는 캐리어와 토너로 된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 층이 형성된다. 현상 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 층은 감광드럼(1)과 현상 롤러(3)가 대면된 현상 영역(D)으로 운반될 수 있다. 현상 롤러(3)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제 층으로부터 분리되어 감광드럼(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된다.
규제부(5)는 현상 영역(D)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규제부(5)는 현상 롤러(3)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어 현상제 층의 두께를 규제할 수 있다.
현상기(100)는 현상제를 현상 롤러(3)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6)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수단(6)은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여 토너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공급수단으로서, 두 개의 교반기(61)(62)와, 패들(63)을 구비한다. 두 개의 교반기(61)(62) 사이에는 격벽(64)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격벽(64)의 Y방향의 양단부에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교반기(61)는 현상제를 +Y방향으로 이송시키고, 교반기(62)는 현상제를 -Y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는 격벽(64)에 의하여 구분된 두 영역(65)(66)을 따라 순환되며, 이 과정에서 캐리어와 토너가 교반되어 토너가 소정의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교반기(62)에 의하여 -Y방향으로 운반되는 현상제는 패들(63)에 의하여 현상 롤러(3) 쪽으로 운반된다. 도 2에 도시된 공급수단의 구성은 일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교반기(6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 패들(63)이 생략되고, 교반기(62)(61)가 각각 패들(63)과 교반기(62)가 설치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교반기만이 패들(63)에 설치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공급수단(60)의 구성은 현상기(100) 내에서 현상제가 수용되는 영역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현상 롤러(3)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현상 롤러(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31)와, 현상 슬리브(31)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기 롤러(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롤러(32)는 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를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자기 롤러(32)의 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가 현상 슬리브(31)의 외주에 부착되고, 토너는 정전력에 의하여 캐리어에 부착된다. 자기 롤러(32)는 현상 슬리브(31)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기 롤러(32)는 복수의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기 롤러(32)는 현상 영역(D)으로부터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으로 주극(main pole, S1), 분리극(separation pole, N1), 수취극(catch pole, N2), 규제극(regulation pole, S2), 반송극(transporting pole, N3)의 순서로 배치된다. 수취극(N1)의 자기력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에는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층이 형성된다. 수취극(N2), 규제극(S2), 반송극(N3), 주극(S3)은 각각 N극, S극, N극, S극의 순서이다. 분리극(N2)과 수취극(N2)은 모두 N극이다. 따라서, 분리극(N1)과 수취극(N2) 사이에서 자기력이 상쇄되면서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다. 그런 다음, 새로운 현상제와 혼합되어 패들(63)에 의하여 수취극(N2)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자기 롤러(32)의 구조는 일 예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노광기(20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 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20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제는 현상 롤러(3)의 외주면에 자기 브러쉬의 형태로 부착되어 현상제 층을 형성한다. 현상제 층의 두께는 규제부(5)에 의하여 소정의 두께로 규제되어 현상 영역(D)으로 운반된다. 현상 롤러(3)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제 층으로부터 분리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된다.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적재수단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0)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현상 롤러(3)의 외주에 균일한 현상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규제부(5)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제1간격(M), 제2간격(C), 제3간격(A, B)만큼 이격된 제1, 제2, 제3규제부(51)(5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규제부(51)(52)(53)는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제1규제부(51)는 예를 들어, 그 단부(511)가 현상 슬리브(31)이 외주로부터 제1간격(M)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닥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닥터 블레이드는 스테인레스제 철판, 알루미늄 판재 등의 금속 판재 또는 플라스틱 판재일 수 있다. 제1간격(M)은 현상 영역(D)에서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간격(M)은 0.2 ~ 1.5mm 정도일 수 있다. 제1간격(M)은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 닥터 블레이드(510)의 단부(511)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간격(C)은 제3간격(A, B)보다 크다. 또, 제3간격(A, B)은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다. 즉,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하여, 제3규제부(53)의 상류측 간격(A)은 하류측 간격(B)보다 크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규제부(51) 내의 현상제 압력(제1현상제 압력)은 제2규제부(52) 내에서의 현상제 압력(제2현상제 압력)보다 크다. 또한, 제2현상제 압력은 제3규제부(53) 내에서의 현상제 압력(제3현상제 압력)보다 작다. 제1현상제 압력은 최종적으로 현상제 양을 규제하기 위한 압력이다. 제3규제부(53)의 현상제 압력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공급수단(6)에 의하여 규제부(5) 내부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의 변화, 즉 공급되는 현상제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제1규제부(51)를 빠져나가는 현상제의 양의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또, 제2현상제 압력을 제3현상제 압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제3규제부(53) 내의 현상제 압력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데, 반대로 제2규제부(52) 내에서 순환되어 제3규제부(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제의 관점에서 본다면, 현상제 압력이 순차로 낮아지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일단 제2규제부(52)에서 제3규제부(53)로 도입된 현상제는 점차 낮아지는 현상제 압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3규제부(53)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3규제부(52)(53)는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하여 닥터 블레이드(510)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서브 블레이드(5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브 블레이드(520)는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간격(C)만큼 이격된 제1면(521)과, 제3간격(A, B)만큼 이격된 제2면(522)을 구비할 수 있다.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하여 제2면(522)의 상류측 단부의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의 간격(A)은 제2면(522)의 하류측 단부의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의 간격(B)보다 크다. 서브 블레이드(52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판재일 수 있다.
제2규제부(52)는 제3규제부(53) 쪽으로 갈수록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제3규제부(5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는 제1면(521)과 제2면(522)을 연결하는 경사면(523)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521)과 제2면(522)을 연결하는 곡면(524)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곡면(524)은 현상 슬리브(31)에 대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또,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규제부(52)와 연결부는 현상 슬리브(31)에 대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단일의 곡면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제2, 제3규제부(51)(52)(53)를 구비하는 규제부(5)의 구현예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 제3규제부(51)(52)(53)는 닥터 블레이드(510)와 서브 블레이드(520)가 통합된 단일의 부재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3규제부(52)(53)가 없고 제1규제부(51)만이 있는 경우, 즉 도 3에서 닥터 블레이드(510)만이 설치된 경우에 제1규제부(51)에 의한 현상제의 거동을 살펴본다. 자기 롤러(32)의 자기력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31)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 층은, 현상 슬리브(31)가 회전됨에 따라 화살표시 T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규제부(51)로 이동된다. 제1규제부(51)는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간격(M)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층의 일부만이 제1규제부(51)를 통과하여 현상 영역(D)으로 공급된다. 나머지는 닥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차단된다. 차단된 현상제는 닥터 블레이드(510)에 부딪힌 후에 순환 공간으로 모이는데, 순환 공간이 너무 크면 현상제가 순화되지 못하고 순환 공간 내에 갖혀서 화살표시 T2와 같이 맴돌게 된다. 즉, 닥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는 공급 수단(6)에 의하여 순환 공간으로 새로이 공급되는 현상제와 섞이지 못하고 순환 공간 내에서 맴돌면서 정체된다. 순환 공간 내에 정체된 현상제의 압력은 제1규제부(51)로의 현상제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다. 또, 순환 공간 내에 정체된 현상제의 자기 흡인력으로 인하여 현상제가 제1규제부(51)를 잘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 영역(D)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이 불균일해지거나 불충분해지면, 화상농도가 불균일해지거나 저하될 수 있다. 또, 순환공간이 큰 경우에는, 제1규제부(51)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압력 변화에 민감해져서, 현상 슬리브(31)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6)의 회전 주기에 따라 화상농도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즉, 공급수단(6)에 의하여 공급되는 현상제 양의 주기적 변화에 수반하여 화상농도가 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규제부(51)와 제3규제부(53)만을 구비하는 경우의 현상제의 거동을 살펴본다. 이 경우에 제3규제부(53)가 제1규제부(51)에 앞서서 어느 정도 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므로, 현상 슬리브(31)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6)의 회전 주기에 따라 화상농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3규제부(53) 내에서 현상제가 순환되지 못하여 제3규제부(53) 내의 현상제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제3규제부(53) 내에서,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커져서 현상제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또, 현상제에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에 이물질이 제1규제부(51)에 끼어서 줄무늬 형태의 인쇄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제3규제부(53) 내의 현상제 압력이 커서 현상제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31)의 회전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규제부(5)에 따르면, 제1규재부(51)의 상류측에 제2규제부(52)를 배치하여 제1규제부(51)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의 순환공간을 제한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제 맴돌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규제부(52)의 상류측에 제2현상제 압력보다 큰 제3현상제 압력을 발생시키는 제3규제부(53)를 배치함으로써, 공급 수단(6)의 회전 주기에 따른 화상농도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8을 보면, 수취극(N2)에 의하여 캐리어와 토너가 현상 슬리브(31)에 부착됨으로써 형성되는 현상제 층은 현상 슬리브(31)가 회전됨에 따라 제3규제부(53)로 진입된다. 제3규제부(53)의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므로, 제3규제부(53) 내에서의 현상제 압력이 점차 증가된다. 그러다가, 제3간격(B)보다 큰 제2간격(C)을 가진 제2규제부(52)에 도달되면, 현상제 압력이 다시 줄어든다. 따라서, 현상제에 기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3규제부(53)에서 현상제 압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공급 수단(6)의 회전주기에 따른 현상제 공급량의 불균일이 제1규제부(51)를 통과하는 현상제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현상 슬리브(31)가 계속하여 회전됨에 따라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에 부착된 현상제 중 일부는 화살표시 T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규제부(51)를 통과하여 현상 영역(D)으로 공급된다.
닥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는 화살표시 T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규제부(52) 내에서 제1면(521) 및 연결부(경사면(523) 또는 곡면(524))를 따라 순환하여 제3규제부(53)를 통하여 빠져나간다. 제2규제부(52)가 경사면(523) 또는 곡면(524)에 의하여 제3규제부(53)와 연결되는 구조에 따르면, 차단된 현상제가 자연스럽게 제3규제부(53)를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의 순환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또, 제3규제부(53)의 현상제 압력, 즉 제3현상제 압력은 제3규제부(53)를 따라 배출되는 현상제의 관점에서 본다면, 배출방향으로 점차 압력이 감소되므로, 제2규제부(52)에서 순환되어 제3규제부(53)로 유입된 현상제는 용이하게 제3규제부(53)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에 혼입된 이물질이 순환과정에서 규제부(5) 밖으로 배출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순환공간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순환공간 내의 현상제의 자기흡인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순환 공간 내의 현상제의 자기 흡인력에 의하여 제1규제부(51)를 통과하는 현상제의 양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2규제부(52)에서의 현상제의 용이한 순환은 제1규제부(51) 내에서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공간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는 순환공간 내에서의 현상제 압력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제1규제부(51)로 적정한 양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규제부(52)에 의한 순환 공간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적정한 양의 현상제가 제1규제부(51)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규제부(52) 내에서의 현상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제2간격(52), 제3간격(53)은 다음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A값은 현상제를 제1규제부(51)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한편, 제1규제부(51)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가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mm ≤ A ≤ 8m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B값은 제3규제부(53) 내에서 적절한 현상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A > B이고, 0.5mm ≤ B ≤ 4m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C값은 제2규제부(52) 내에서의 현상제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 또 현상제 압력을 적정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C > B, 1mm ≤ C ≤ 7m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1규제부(51)와 현상 슬리브(31)의 외주면과의 간격, 즉 제1간격(M)은 크게 할수록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 현상제의 장수명화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제1간격(M)을 너무 크게 하면 현상 영역(D)으로 과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제1규제부(51)를 통과하는 현상제의 양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급적 제1간격(M)을 크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1규제부(51)에서 자기적인 부하를 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을 기준으로 하여 제1규제부(51)의 상류측에 자성부재(5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제의 캐리어는 자성 캐리어이므로, 자성부재(530)의 자기력은 제1간격(M)을 통과하는 현상제에 부하로 작용된다. 따라서, 자성부재(530)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1간격(M)을 통과하는 현상제의 양을 유지하면서도 자성부재(53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1간격(M)을 크게 할 수 있다.
순환과정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31)의 회전방향(RD)의 역방향으로 순환되어 규제부(5)로부터 빠져나온 현상제는 순환과정에서 어느 정도 스트레스를 받았으므로, 곧바로 규제부(5)로 다시 투입되기보다는 새로운 현상제와 혼합된 후에 규제부(5)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현상제 가이드부재(525)를 더 구비한다.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의 일단부(526)는 제3규제부(53)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며,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의 타단부(257)는 공급수단(6)의 위쪽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의 타단부(527)는 적어도 공급 수단(6) 중에서 현상 롤러(3)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 즉 도 11에서는 패들(63)의 중심을 지난 위치에까지 연장된다. 규제부(5) 내에서의 순화과정에 의하여 제3규제부(53)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제는 제3규제부(53)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제 가이드부재(525)의 일단부(526) 사이의 간격(528)을 통과하여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를 따라 이동되어 패들(63)을 넘어선 영역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배출된 현상제는 교반기(62)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새로이 적정 전위로 대전되고, 새로운 현상제와 혼합되어 패들(63)에 의하여 다시 규제부(5)로 공급될 수 있다.
제3규제부(53)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는 패들(63)에 의하여 제3규제부(53)로 공급되는 현상제와 부딪혀서 간격(528)을 통과하여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로 안내된다. 제3규제부(53)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가 간격(528)을 통하여 용이하게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의 일단부(526)는 현상 롤러(3)의 중심(33)과 수취극(N2)을 통과하는 선(F)보다 상기 제3규제부(53)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수취극(N2)의 자기력에 의하여 수취극(N2)에 부근에서는 현상제가 자기 브러쉬의 형태를 이루므로, 제3규제부(53)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는 자기 브러쉬에 의하여 가로 막혀 패들(63)로 이동되지 않고 용이하게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2, 제3규제부(52)(53)와 현상제 가이드 부재(525)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서브 블레이드(520)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현상 롤러 31...현상 슬리브
32...자기 롤러 5...구제부
51, 52, 53...제1, 제2, 제3규제부 510...닥터 블레이드
520...서브 블레이드 521...제1면
522...제2면 523...경사면
524...곡면 525...현상제 가이드 부재
6...공급 수단 61, 62...교반기
63...패들 100...현상기
200...노광기 300...전사기
400...정착기

Claims (24)

  1.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이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기로서,
    그 외주면에 현상제를 부착시켜 감광체와 대면된 현상 영역으로 반송하는 현상 롤러;
    상기 현상 영역으로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제1, 제2, 제3간격만큼 이격된 제1, 제2, 제3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3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3간격은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 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수단;
    그 일단부가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롤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의 상방으로 연장된 현상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 롤러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자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롤러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슬리브에 부착시키는 수취극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수취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보다 상기 제3규제부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제1규제부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가 상기 제3규제부를 통하여 규제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3규제부와 연결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경사면인 현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볼록한 곡면인 현상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규제부와 상기 연결부는 볼록한 곡면인 현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3규제부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롤러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간격을 C라 하면,
    A > B 이며, C > B인 현상기.
  8. 제7항에 있어서,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인 현상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롤러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를 지난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현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규제부와 상기 제2규제부 사이에는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현상제 층에 자기적인 부하를 가하는 자성부재가 설치된 현상기.
  13.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 층을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시키는 자기 롤러;
    그 단부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 제1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규제부를 형성하는 닥터 블레이드;
    상기 현상 슬리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서브 블레이드;
    상기 현상 슬리브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간격을 통과하지 못한 현상제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1면과,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제3간격 이격되어 상기 순환공간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와 상기 순환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제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일단부가 상기 제2면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 수단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현상제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상기 공급수단으로 회수하는 현상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자기 롤러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슬리브에 부착시키는 수취극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수취극과 상기 현상 슬리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보다 상기 제2면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슬리브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를 지난 위치에까지 연장되는 현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2면과 연결되는 현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류측 단부로부터 하류측 단부로 갈수록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현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2면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간격을 C라 하면,
    A > B,
    C > B,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인 현상기.
  19.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자기 브러쉬 형태의 현상제 층을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시키는 자기 롤러;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에 부착된 현상제 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현상 슬리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순차로 배치되며, 제1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1규제부와, 제1현상제 압력보다 작은 제2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2규제부와, 상기 제2현상제 압력보다 큰 제3현상제 압력을 형성하는 제3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슬리브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수단;
    그 일단부가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 수단 중 상기 현상 슬리브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부재의 상방으로 연장된 현상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 롤러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슬리브에 부착시키는 수취극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수취극과 상기 현상 슬리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보다 상기 제3규제부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되는 현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규제부는 상기 제1규제부에 의하여 차단된 현상제가 상기 제3규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현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규제부의 현상제 압력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현상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상기 제2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상기 제3규제부의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2규제부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현상 슬리브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3규제부와 연결된 현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규제부의 상류측 단부와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A, 상기 제3규제부의 하류측 단부와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B, 상기 제2규제부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C라 하면,
    2mm ≤ A ≤ 8mm,
    0.5mm ≤ B ≤ 4mm,
    1mm ≤ C ≤ 7mm 인 현상기.
  24.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3항 또는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77498A 2010-08-11 2010-08-11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77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98A KR101777346B1 (ko) 2010-08-11 2010-08-11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EP13157799.1A EP2602670B1 (en) 2010-08-11 2011-05-27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ment device
ES11167928T ES2420631T3 (es) 2010-08-11 2011-05-27 Dispositivo de revelado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que incluye el dispositivo de revelado
EP11167928.8A EP2418547B1 (en) 2010-08-11 2011-05-27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ment device
PL11167928T PL2418547T3 (pl) 2010-08-11 2011-05-27 Urządzenie do wywoływania obrazu oraz urządzenie do tworzenia obrazu zawierające urządzenie do wywoływania obrazu
US13/067,489 US8670698B2 (en) 2010-08-11 2011-06-03 Development device having a regulation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ment device
CN201110224742.9A CN102375379B (zh) 2010-08-11 2011-08-08 显影装置以及包括显影装置的图像形成设备
JP2011176224A JP2012037893A (ja) 2010-08-11 2011-08-11 現像器及びこれを採用する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98A KR101777346B1 (ko) 2010-08-11 2010-08-11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189A KR20120015189A (ko) 2012-02-21
KR101777346B1 true KR101777346B1 (ko) 2017-09-27

Family

ID=4411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98A KR101777346B1 (ko) 2010-08-11 2010-08-11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70698B2 (ko)
EP (2) EP2418547B1 (ko)
JP (1) JP2012037893A (ko)
KR (1) KR101777346B1 (ko)
CN (1) CN102375379B (ko)
ES (1) ES2420631T3 (ko)
PL (1) PL241854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366A (ja) * 2011-09-12 2013-04-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92604A (ja) * 2011-10-25 2013-05-16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942602B2 (en) * 2011-12-26 2015-01-2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896052B1 (ko) * 2012-04-19 2018-09-06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P2775355A3 (en) 2013-03-05 2018-01-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6011397B2 (ja) * 2013-03-13 2016-10-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546831B1 (ko) 2013-07-31 201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792811B2 (ja) * 2016-06-03 2020-12-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46086B2 (ja) * 2016-07-29 2021-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953195B2 (ja) 2016-07-29 2021-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80040403A1 (en) * 2016-08-04 2018-02-08 Wioboy Inc. Magnetic absorption structure and magnetic blocks applying such structure
JP6734747B2 (ja) * 2016-09-26 2020-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0466616B2 (en) * 2017-08-31 2019-11-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US10620564B2 (en) * 2017-11-22 2020-04-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a regulating blade of resin
GB2582635B (en) * 2019-03-28 2021-12-29 Archipelago Tech Group Ltd Device, method, and assembly for loading nozzles with fluid
US10908528B2 (en) * 2019-04-01 2021-02-02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T202000012694A1 (it) 2020-05-28 2021-11-28 So La Is Soc Lavorazione Isolanti S R L Con Unico Socio Metodo per realizzare un inserto silenziatore in fibra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di autoveicoli
IT202000012727A1 (it) 2020-05-28 2021-11-28 So La Is Soc Lavorazione Isolanti S R L Con Unico Socio Metodo per realizzare un inserto silenziatore in fibra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di autoveicoli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975A (ja) 1985-11-18 1987-05-28 Canon Inc 現像装置
JPS62135863A (ja) 1985-12-10 1987-06-18 Canon Inc 現像装置
JPH0395579A (ja) * 1989-09-07 1991-04-19 Nec Corp 現像装置
JPH0553436A (ja) * 1991-08-28 1993-03-05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
JP3246986B2 (ja) * 1993-07-30 2002-01-15 桂川電機株式会社 現像装置
US5583622A (en) 1994-03-15 1996-12-10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limiting member for limiting and separating a tip of a developer brush
JP3860870B2 (ja) * 1995-12-21 2006-12-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11327305A (ja) * 1998-05-15 1999-11-26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27721A (ja) 1999-02-05 2000-08-15 Ricoh Co Ltd 現像装置
JP2001265097A (ja) * 2000-03-15 2001-09-28 Ricoh Co Ltd 現像装置
US7024141B2 (en) 2002-12-13 2006-04-0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92238B2 (ja) 2003-03-31 2008-05-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特性値の設定方法
JP3659355B2 (ja) 2003-09-09 2005-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84434A (ja) 2003-09-09 2005-03-31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1668B2 (ja) 2004-01-27 2010-04-1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87685B2 (ja) * 2004-08-20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7127944A (ja) 2005-11-07 2007-05-24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0698B2 (en) 2014-03-11
CN102375379B (zh) 2015-10-07
KR20120015189A (ko) 2012-02-21
ES2420631T3 (es) 2013-08-26
JP2012037893A (ja) 2012-02-23
EP2602670A1 (en) 2013-06-12
CN102375379A (zh) 2012-03-14
PL2418547T3 (pl) 2013-09-30
EP2602670B1 (en) 2014-05-28
US20120039638A1 (en) 2012-02-16
EP2418547A1 (en) 2012-02-15
EP2418547B1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346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6556800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the container thereon
KR101546831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329523B2 (en) Developing apparatus
JP201215031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60028398A (ko) 현상 장치
US20100226688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46157B2 (en) Development apparatus having a multiple screw portion conveyance screw
US20180157192A1 (en)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5215049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19303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5900148B2 (ja) 画像形成装置
US8923736B2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712771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10126683B2 (en) Developing apparatus
JP202105127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US11237500B2 (en) Developing device with structure to prevent scattering toner using magnetic repulsive force
JP2001188408A (ja) 二成分系現像剤用現像装置
US11487224B2 (en) Developing device with elastic film to block air input
JP201000254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40011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26180B2 (ja) 液体現像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6090814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6301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60115021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