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700A - 고하중 적재용 선반 - Google Patents

고하중 적재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700A
KR20190056700A KR1020170153935A KR20170153935A KR20190056700A KR 20190056700 A KR20190056700 A KR 20190056700A KR 1020170153935 A KR1020170153935 A KR 1020170153935A KR 20170153935 A KR20170153935 A KR 20170153935A KR 20190056700 A KR20190056700 A KR 2019005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lf
lower plates
loa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혜
박설화
Original Assignee
박지혜
박설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혜, 박설화 filed Critical 박지혜
Priority to KR102017015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6700A/ko
Publication of KR2019005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고하중 적재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을 이루도록 하단이 바닥면에 세워지는 4개의 수직빔(100)과 양쪽 단부가 양쪽으로 각각 한 쌍을 이루며 세워지는 상기 수직빔에 수평 상태로 결합되어 상면에 적재 물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되는 적재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이, 상하부 플레이트(210)(220) 및 파형을 이루며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210)(220) 사이에 위치되어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21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형구조체(2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개의 파형 구조체를 설치하여 고하중 적재 물품을 받침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프레임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도 각종 고하중 물품을 안정되게 받침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하중 적재용 선반{High-stability Loading Shelf}
본 발명은 공장건물 창고건물 등에서 적재물 보관을 위해 설치되는 적재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에서 적재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중량 감소를 통해 작업자의 선반 설치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에 제공되는 파형 구조체를 통해 적재 물품이 비교적 고하중의 경우에도 휘어짐 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장 시설물, 물류 창고, 자재 창고, 부품 창고 등과 같은 곳에는 물품 보관이 필수적인데 상기한 물품의 보관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적재용 선반에 올려놓고 보관하게 된다.
기존 적재용 선반은, 대부분 직사각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4개의 수직빔과, 평행하게 배열된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을 연결하여 직사각 공간을 이루도록 상하 복수개 배열되는 횡빔 및 상기 횡빔의 각각 상면에 올려져 적재 물품에 대한 하중을 받침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 프레임의 경우, 금속 소재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적재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수직빔, 횡빔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의 두께를 산정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적재 물품의 중량 크기에 따라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품의 크기가 커져야 물품 적재를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고하중의 적재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고 이러한 경우 프레임을 지지하는 횡빔 및 수직빔의 외경을 크게 형성하여야만 적재물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최근, 규모가 큰 공장 등의 창고에는 보관 부품의 다량화로 복잡화, 대형화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로 인하여 효율적인 부품의 보관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적재용 선반은 저하중 고하중 물품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사용하였고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자 횡빔 및 수직빔 또한 외경 크기를 크게 형성함에 따라 작업자의 설치작업은 물론 비용 증가 그리고 내부 공간을 오히려 협소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6506호 공고일 2015년 12월 11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9312호 공고일 2010년 06월 30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66511호 등록일 2014년 02월 18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을 이루며 적재 물품을 안전하게 받침하는 프레임의 중량을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도 고하중 적재 물품을 안정되게 받침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을 이루도록 하단이 바닥면에 세워지는 4개의 수직빔과 양쪽 단부가 양쪽으로 각각 한 쌍을 이루며 세워지는 상기 수직빔에 수평 상태로 결합되어 상면에 적재 물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하부 플레이트 및 파형을 이루며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형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파형 구조체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홈과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적인 형태로 절곡된 것을 적용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파형 구조체가, 직사각 패널의 각각 단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취하도록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용접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적용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양쪽 외측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부가 상기 파형구조체를 밀착 지지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개의 파형 구조체를 설치하여 고하중 적재 물품을 받침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프레임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도 각종 고하중 물품을 안정되게 받침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프레임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제조되어도 파형구조체를 통해 고하중 및 전단력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프레임의 두께를 얇고 가볍게 구성할 수 있음에 따라 다층 프레임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적재용 선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에 대한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D-D"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장 건물 등지에서 물품을 적재 보관시키고자 하는 적재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재용 선반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며 바닥면에 세워지는 복수개의 수직빔(100)과, 상기 수직빔(100)에 대해 수평상태로 다층을 이루며 결합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빔(100)은, "ㄷ" 형상을 가지며 지면에 올려진 지지브래킷(110)에 대해 세워져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빔(100)에 대해 체결구(300)를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와 하부 플레이트(220) 사이에 제공되며 상하단이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파형구조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형구조체(2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판상의 구조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홈(231)과 돌기(232)가 연속 반복된 형상을 취하게 된다.
상기 홈(231)과 돌기(232) 형태는, 호형구조, 다각구조, 요철구조 등의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파형구조체(230)의 상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의 대응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 사이에 복수개로 배열되어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는 각각 양쪽 단부에 절곡단부(212)(2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파형구조체(230)을 중심으로 한 결합시 상기 절곡단부(212)(222)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절곡단부(212)(222)는 그 내측단부가 상기 파형구조체(230)의 돌기(232)를 지지하며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200)은, 상부 플레이트(210)에 수직 하중이 걸리게 되면 파형 구조체(230)가 이를 지지함에 따라 국부적 하중이 발생되어도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의 휘어짐이 방지되어 고하중에도 그 외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면중 부호 260은 지지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2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210)220)의 양쪽 공간을 채움시키며 상부 플레이트(21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210)(220)에 고정시 상기 수직빔(100)을 결합시키는 체결구(300)가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파형구조체(230)는, 다른 예로서 복수개로된 패널의 각각 단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취하도록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용접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적재용 선반에 대한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200) 제조시 하부 플레이트(220)의 상면에 파형구조체(230)을 세워져 위치시키되 상기 파형구조체(230)의 돌기(232)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0)의 절곡단부(222)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후 용접 고정한다. 그런다음 상기 파형구조체(230)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210)를 올려놓고 상기 파형구조체(230)와 절곡단부(212) 및 상부 플레이트(210)를 일체가 되도록 용접 결합한 다음 연속해서 양쪽에 지지부재(260)를 위치 고정시키면 프레임(2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레임(200)을 수직빔(100)에 대해 적어도 1층 이상 배열시키면서 일체가 되도록 체결구(300)를 통해 체결시키면 선반의 제조가 완료 된다.
상기 수직빔(100)에 대해 상기 프레임(200)을 결합시키고자 하면,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60)에 체결구(300)를 이루는 볼트(310)가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260)에 돌출된 볼트(310)의 나사부에 상기 수직빔(100)이 결합되도록 한 후 너트(320) 조임을 통해 상기 프레임(200)과 수직빔(100)이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수직빔
200: 프레임
210: 상부 플레이트 212: 절곡단부
220: 하부 플레이트 222: 절곡단부
230: 파형 구조체
231: 홈 232: 돌기
260: 지지부재
300: 체결구
310: 볼트 320: 너트

Claims (5)

  1. 직사각을 이루도록 하단이 바닥면에 세워지는 4개의 수직빔과 양쪽 단부가 양쪽으로 각각 한 쌍을 이루며 세워지는 상기 수직빔에 수평 상태로 결합되어 상면에 적재 물품이 올려지도록 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하부 플레이트 및
    파형을 이루며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형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구조체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홈과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적인 형태로 절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구조체가,
    직사각 패널의 각각 단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취하도록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용접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양쪽 외측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부가 상기 파형구조체를 밀착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수직빔에 대해 복수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적재용 선반.
KR1020170153935A 2017-11-17 2017-11-17 고하중 적재용 선반 KR20190056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5A KR20190056700A (ko) 2017-11-17 2017-11-17 고하중 적재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5A KR20190056700A (ko) 2017-11-17 2017-11-17 고하중 적재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00A true KR20190056700A (ko) 2019-05-27

Family

ID=6667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935A KR20190056700A (ko) 2017-11-17 2017-11-17 고하중 적재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6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43B1 (ko) 2021-04-28 2021-10-05 ㈜대림알에스티 화물 적재용 선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12Y1 (ko) 2009-12-30 2010-06-30 최두식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KR101366511B1 (ko) 2013-11-20 2014-02-26 조준호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101576506B1 (ko) 2014-05-20 2015-12-11 (주)태진이엔지 적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12Y1 (ko) 2009-12-30 2010-06-30 최두식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KR101366511B1 (ko) 2013-11-20 2014-02-26 조준호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101576506B1 (ko) 2014-05-20 2015-12-11 (주)태진이엔지 적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43B1 (ko) 2021-04-28 2021-10-05 ㈜대림알에스티 화물 적재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507B2 (en) Storage rack decking derived from a single sheet of sheet metal
US8727144B2 (en) Rail attachment for a drive-in storage rack
US10214351B2 (en) Barrier panel assemblies and storage rack assemblies including same
US6450350B1 (en) Storage rack system with flared end load beam
US10968039B2 (en) Storage decks and storage rack assemblies including same
KR102509416B1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90031439A1 (en) Storage decks and storage rack assemblies including same
KR20190056700A (ko) 고하중 적재용 선반
JP2022540644A (ja) 輸送に便利な輸送用パレットやデッキ
JPH03233042A (ja) 住宅ユニットの連結プレート
JP4473095B2 (ja) 金属製棚及び金属製ワゴン
JP7437137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ラック
KR200283207Y1 (ko) 파레트 랙
KR20200127427A (ko) 랙 구조물용 선반
JPH0233009A (ja) 枠組棚の連結構造
JP2020117992A (ja) 連結構造、建物及び連結方法
KR20130049783A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JP5216419B2 (ja) 接続部材
CN212981296U (zh) 一种自动化仓储设备固定架
CN212938809U (zh) 货架
US20240074929A1 (en) Kit for Selectively Constructing a Floor of a Packing Rack and a Horizontal Transfer Lift and a Method for Converting a Floor of a Packing Rack Into a Horizontal Transfer Lift
KR20120137977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적재용 랙 구조물
US20160169526A1 (en) Prefabricated structure for use in constructing outdoor fireplac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613126Y2 (ja) 収納ラック
JP3512086B2 (ja) 浴室ユニット用コ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浴室ユニットの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