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312Y1 -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 Google Patents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312Y1
KR200449312Y1 KR2020090017035U KR20090017035U KR200449312Y1 KR 200449312 Y1 KR200449312 Y1 KR 200449312Y1 KR 2020090017035 U KR2020090017035 U KR 2020090017035U KR 20090017035 U KR20090017035 U KR 20090017035U KR 200449312 Y1 KR200449312 Y1 KR 200449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plate
products
pallet
trans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식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최두식
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식, 정연수 filed Critical 최두식
Priority to KR2020090017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02Integral, e.g. ribs
    • B65D2519/00417Integral, e.g. ribs on the non-integral separating spa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machines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네모서리의 상부로 각각 고정구(21)가 돌출되고, 지면에 안착되게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20); 상기 각각의 고정구(21)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40); 및 상기 각각의 기둥(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층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네모서리에 슬라이드구(31)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적재 및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팔레트가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간단하고 더하여 제조원가 절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플레이트, 가변플레이트, 기둥, 가변식 복층 팔레트.

Description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A pallet}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적재 및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팔레트가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간단하고 더하여 제조원가 절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팔레트(pallet)는 창고 및 공장 등에 있는 각종 화물 등을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한 보관 받침대로, 지게차의 포크로 끼워 운반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팔레트는 각종 화물 등을 보관 및 운반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팔레트는 종래에 다수의 특허 및 실용신안이 출원 및 등록된바 있다.
그 중에서 실용신안등록 제0093729호(출원번호 제1993-0005061호)(명칭: 농산물 보관용 팔레트)가 등록된바 있다.
즉,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받침대(1)의 사우(四隅) 내측으로 하부에 나팔공(2')을 가진 나팔관 받침다리(2)를 설치하고 나팔관받침다리(2)의 상부 결합관(3)의 끼움구멍(3')에 4개의 지주봉(4)을 삽탈할 수 있게 구성하며 지주봉(4) 상부에 연결고리(5)를 형성하여 길고 짧은 연결간(6)의 곡형부(6')를 걸어서 지주봉(4) 상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팔레트 받침대의 사우(四隅)에 나팔관받침다리를 설치하여 팔레트를 다층으로 포갤때에 지주봉 상단이 받침다리의 나팔공내로 잘들어가 맞도록 구성한 것이고 나팔관 받침다리의 상측에 받침대위로 돌출된 결합관과 지주봉을 삽탈할 수 있게 형성하고, 4개의 지주봉에 연결고리를 각각 형성하여 간격유지용 연결간도 각각 괘탈(掛脫)할 수 있게 형성하여서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부품(各部品)을 분해 보관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1단 층에 경사판이 없기 때문에 농기계 등을 밀고 들어가 바로 집어넣을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받침대에 고리가 형성되지 않을 관계로 받침대를 운반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복층의 받침대를 필요에 따 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받침받이 구조적으로 약해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을 시 밑으로 쳐지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팔레트를 상호 연결하여 흔들림 없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기둥과 높낮이조절부 그리고 운반 및 연결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적재 및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제3목적은 물건을 복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물건을 좁은 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물건의 크기가 일정치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변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팔레트가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간단하게 구성된 것이며, 제6목적은 제조원가 절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필요에 따라 팔레트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창고 및 공장 등에 있는 각종 화물 등을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한 팔레트(pallet)에 있어서, 네모서리의 상부로 각각 고정구가 돌출되고, 지면에 안착되게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각각의 고정구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및 상기 각각의 기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층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네모서리에 슬라이드구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기둥과 높낮이조절부 그리고 운반 및 연결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적재 및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물건을 복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물건을 좁은 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물건의 크기가 일정치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변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팔레트가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간단하게 구성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제조원가 절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팔레트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는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창고 및 공장 등에 있는 각종 화물 등을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한 팔레트(pallet)(10)를 이하의 기술적 구성으로 구성한다.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모서리의 상부로 각각 고정구(21)가 돌출되고, 지면에 안착되게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구(21)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기둥(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층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네모서리에 슬라이드구(31)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30)에 의해 본 고안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한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40) 및 슬라이드구(31)에는 가변플레이트(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높낮이조절부(50)는 각각의 기둥(4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통공(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41)에 끼워져 슬라이드구(31)의 하강을 막는 고정핀(5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51)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핀(51)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53)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구(31)와 고정핀(51)의 사이에는 고정핀(51)의 분실을 방지하는 연결부재(52)가 구비된다.
상기 본 고안에 적용된 기둥(40)과 고정구(21) 그리고 슬라이드구(31)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국한하지 않고 원형, 삼각, 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21)에는 도 8 의 요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2)가 체결되어 고정구(21)에서 기둥(4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에는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운반 및 연결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운반 및 연결부(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되는 플랜지(6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61)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길이 방향의 볼트체결공(62)과 이의 상단으로는 연이어서 와이어를 걸 수 있도록 한 원형의 와이어연결공(63)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의 저면에는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아도 밑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보강테(70)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어느 일측에는 바퀴 달린 물건을 걸림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바로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 경사판(8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80)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80)과 고정플레이트(20)의 사이에 연결된 경첩(8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되, 상기 경사판(80)의 양측 하단에는 보강편(83)이 형성된 측면받침편(82)이 형성되고, 중간 하단 양측에는 보강편(85)이 형성된 중간받침편(8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받침편(85)은 고중량의 차량이 진입할 시 경사판(80)의 눌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가 지나가는 위치의 하단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 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적재 및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팔레트가 구조적으로 견고함과 아울러 간단하고 더하여 제조원가 절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20)를 지면의 적소에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네모서리에 돌출된 고정구(21)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40)을 각각 수직으로 세운 다음 끼워 설치한다.
이때 도 8 에 도시된 요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1)와 기둥(40)에는 고정볼트(22)를 체결하여 고정구(21)에서 기둥(40)이 견고히 고정 설치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기둥(40)에 가변플레이트(30)를 복수개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플레이트(30)의 네모서리에 있는 슬라이드구(31)를 각각 기둥(40)에 삽입 하강시킨다.
이때 가변플레이트(30)의 적절한 높낮이 조절은 높낮이조절부(50)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가변플레이트(30)를 적당한 높이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핀(51)을 이용하여 통공(41)에 끼우게 되면 고정핀(51)이 슬라이드구(31)를 받쳐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변플레이트(30)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52)는 고정핀(51)의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고정핀(51)의 선단에 끼워진 이탈방지편(53)은 고정핀(51)이 통공(41)에서 분리됨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작용에 의해 가변플레이트(30)를 2층 이상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용이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에 보관되는 물품이 고중량이 경우가 있으므로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저면에 보강테(70)를 구비하여 플레이트가 밑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바퀴 달린 농기계가 더욱 용이하게 고정플레이트(20)에 진 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0)의 어느 일측에는 경첩(81)으로 경사판(80)이 설치되는 것으로, 농기계가 고정플레이트(20)로 진입시 경사판(80)에 의해 용이하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경사판(80)의 하단 양 끝단에는 지면에 닿도록 보강편(83)이 형성된 측면받침편(82)이 구비되어 경사판(80)의 전체 강도를 증대시키게 되고, 하단 중간 양측에도 지면에 닿도록 보강편(85)이 형성된 십자모양의 중간받침편(84)이 구비되어 농기계의 진출입시 밑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중간받침편(84)의 양 거리는 바퀴의 폭과 동일한 거리에 설치됨으로 인해 더욱더 경사판(8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 에 도시된 운반 및 연결부(60)를 이용하여 팔레트(10)를 도 6,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연이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2개 이상의 팔레트(10)를 상호 맞닿게 설치한다. 그렇게 되면 플랜지(61)가 상호 맞닿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상기 플랜지(61)에 형성된 와이어연결공(63)과 볼트체결공(62)도 함께 일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두개의 플랜지(61)에 형성된 볼트체결공(62)에 각각 볼트를 끼운 후 너트로 조이게 되면 2개의 팔레트(10)를 상호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가변플레이트(3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도 3 과 같이 고정핀(51)을 통공(41)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연결공(63)에 와이어를 걸은 다음 천정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가변플레이트(30)를 용이하게 기둥(40)에서 분리시킴은 물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작동에 의해 본 고안은 팔레트(10)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의 (a)는 종래 농산물 보관용 팔레트의 사시도이고,
(b)는 종래 농산물 보관용 팔레트의 측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변식 복층 팔레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가변식 복층 팔레트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높낮이조절부의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운반 및 연결부의 요부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가변식 복층 팔레트를 다수개 연결시킨 저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경사판의 저면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가변식 복층 팔레트를 다수개 연결시킨 정면 상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팔레트
20: 고정플레이트
30: 가변플레이트
40: 기둥
50: 높낮이조절부
60: 운반 및 연결부
70: 보강테
80: 경사판

Claims (9)

  1. 창고 및 공장 등에 있는 각종 화물 등을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한 팔레트(pallet)에 있어서,
    네모서리의 상부로 각각 고정구(21)가 돌출되고, 지면에 안착되게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20);
    상기 각각의 고정구(21)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40); 및
    상기 각각의 기둥(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층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네모서리에 슬라이드구(31)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둥(40) 및 슬라이드구(31)에는 가변플레이트(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50)는,
    각각의 기둥(4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통공(41);
    상기 통공(41)에 끼워져 슬라이드구(31)의 하강을 막는 고정핀(51);
    상기 고정핀(51)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핀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53); 및
    상기 슬라이드구(31)와 고정핀(51)의 사이에는 고정핀(51)의 분실을 방지하는 연결부재(5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에는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운반 및 연결부(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운반 및 연결부(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되는 플랜지(61);
    상기 플랜지(61)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길이 방향의 볼트체결공(62)과 이의 상단으로는 연이어서 와이어를 걸 수 있도록 한 원형의 와이어연결공(6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가변플레이트(30)의 저면에는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아도 밑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보강테(7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어느 일측에는 바퀴 달린 물건을 걸림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바로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 경사판(8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80)은,
    경사판(80)과 고정플레이트(20)의 사이에 연결된 경첩(8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되, 상기 경사판(80)의 양측 하단에는 보강편(83)이 형성된 측면받침편(82)이 형성되고, 중간 하단 양측에는 보강편(85)이 형성된 중간받침편(85)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중간받침편(85)은 고중량의 차량이 진입할 시 경사판의 눌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가 지나가는 위치의 하단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KR2020090017035U 2009-12-30 2009-12-30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KR200449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35U KR200449312Y1 (ko) 2009-12-30 2009-12-30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35U KR200449312Y1 (ko) 2009-12-30 2009-12-30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312Y1 true KR200449312Y1 (ko) 2010-06-30

Family

ID=4424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035U KR200449312Y1 (ko) 2009-12-30 2009-12-30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3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32B1 (ko) * 2013-10-24 2014-10-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파 흡수체 보관장치
KR20190056700A (ko) 2017-11-17 2019-05-27 박지혜 고하중 적재용 선반
CN111717577A (zh) * 2020-06-28 2020-09-29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电子商务仓储置物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774U (ko) * 1996-11-04 1998-08-05 안효순 다단식 적재파렛트
KR20050026187A (ko) * 2003-09-09 2005-03-15 황인성 다단 적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774U (ko) * 1996-11-04 1998-08-05 안효순 다단식 적재파렛트
KR20050026187A (ko) * 2003-09-09 2005-03-15 황인성 다단 적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32B1 (ko) * 2013-10-24 2014-10-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파 흡수체 보관장치
KR20190056700A (ko) 2017-11-17 2019-05-27 박지혜 고하중 적재용 선반
CN111717577A (zh) * 2020-06-28 2020-09-29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电子商务仓储置物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166B2 (en) Collapsible and stackable garment rail assembly
US9289638B2 (en) Exercise equipment frame having sectional structural members
US10035689B2 (en) Loading platform
US20180110339A1 (en) Tall and sturdy metal mattress platforms
US7748546B2 (en) Reinforced and bolted rack truss
US8403284B2 (en) Pallet assembly
US2801752A (en) Modular stacking unit
KR200449312Y1 (ko) 각종 농기계와 제품 등을 운반 및 적재하는 가변식 복층 팔레트
US7828161B2 (en) Bases for storage rack trusses
KR200431994Y1 (ko)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842801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0829160B1 (ko) 부품 운반용 카트
KR101217386B1 (ko) 맞춤형 조립식 파레트
US9499301B1 (en) Rolling modular pallet system
US6112673A (en) Pallet assembl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doors and the like
CN101548144A (zh) 具有整体结构式冷凝器盘管支承件的制冷装置
KR101348106B1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KR101366511B1 (ko)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CN206417312U (zh) 一种可叠加可拆卸货架
JP4866166B2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KR20100025443A (ko) 물품 적재함 및 보관대 조립 방법 및 부속
CN215513771U (zh) 一种可拆装门式台车
CN214016710U (zh) 用于仓储环境的组装货架
CN203723739U (zh) 折叠床及双层床
JP4498331B2 (ja) 収納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