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291A -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291A
KR20190056291A KR1020180114136A KR20180114136A KR20190056291A KR 20190056291 A KR20190056291 A KR 20190056291A KR 1020180114136 A KR1020180114136 A KR 1020180114136A KR 20180114136 A KR20180114136 A KR 20180114136A KR 20190056291 A KR20190056291 A KR 2019005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ir
decomposer
deodorizing devic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551B1 (ko
Inventor
켄이치 무라타
대성 이
오나리 히로토
카즈토시 타케노시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915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88762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78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2317B1/en
Priority to PCT/KR2018/013831 priority patent/WO2019098650A1/en
Priority to US16/194,194 priority patent/US11041669B2/en
Publication of KR2019005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과, 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재료와, 팬의 하류측으로서 흡착재료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흡착재료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상류측 히터와, 흡착재료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촉매와, 촉매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EODORI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활성탄 등의 악취 물질의 흡착재료를 포함한 탈취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다만, 흡착재료는 포화 상태에 달한 후에는 흡착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촉매 등의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재료도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취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유해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에 의해 상기 유해 물질을 탈리(脫離)하여 재생하는 흡착제를 갖는 흡착 구조체; 및 상기 흡착 구조체로부터 탈리한 유해 물질을 분해하는 산화 촉매를 담지(擔持: 운반체에 부착시킴)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산화 촉매를 재생 시에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기 히터를 갖는 촉매 구조체;를 포함한 탈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구조체의 재생 시에 상기 흡착 구조체로부터 탈리한 유해 물질을 상기 촉매 구조체로 가이드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 형성 수단을 설치하여, 재생 시에 있어서 흡착 구조체로부터 탈리한 유해 물질을 통로 형성 수단에 의해 촉매 구조체로 가이드하고, 여기서 전기 히터에 의해 활성화된 산화 촉매에 의해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5565호 공보
악취 물질 등의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기 히터 등의 가열기에 의해 촉매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흡착기를 재생할 때의 촉매를 통과한 공기는 따뜻해진다. 탈취 장치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따뜻하면,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탈취 장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물품을 냉장하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 내에 배치된 탈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분해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억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 상기 가열기 및 상기 흡착분해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억제기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닫은 상태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연동하여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상기 가열기가 상기 흡착분해기 또는 상기 흡착분해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때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닫도록 상기 개폐 부재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제어 부재는 열팽창률이 상이한 2종류의 금속을 결합한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가열기의 열을 상기 개폐 제어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상기 흡착분해기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 풍량이 저하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상기 흡착분해기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정지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분해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상기 가열기가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 풍량이 저하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분해기를 가열하기 위한 분해 가열기와, 상기 분해기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용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기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각용 히트 싱크와 상기 가열용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용 히트 싱크측에서 흡열하고, 상기 가열용 히트 싱크측에서 방열하는 열교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흡착기, 상기 분해기 및 상기 냉각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까지의 공기의 유로가 U자 형상인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분해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분해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억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상류측 가열기와,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 및 상기 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분해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및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억제기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분해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 및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가열기의 주위에 설치되는 전열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탈취 장치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탈취 장치가 재생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 및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B는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를 위쪽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탈취 장치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탈취 장치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Xb-X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Xc-Xc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탈취 장치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탈취 장치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XIVb-XIV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A는 히터의 열이 전해지지 않고 있을 때의 바이메탈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히터의 열이 전해지고 있을 때의 바이메탈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탈취 장치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탈취 장치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의 일례로서의 팬(10)과, 팬(1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의 일례로서의 흡착재료(2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팬(10)의 하류측으로서 흡착재료(2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흡착재료(2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상류측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상류측 히터(30)와, 팬(10)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 히트 싱크(4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흡착재료(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의 일례로서의 촉매(50)와, 촉매(50)를 가열하기 위한 분해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하류측 히터(60)와, 촉매(5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의 일례로서의 냉각부(7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촉매(5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촉매(50)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열을 보유하는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와,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용 히트 싱크(85)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흡착재료(20), 상류측 히터(30), 가열용 히트 싱크(40), 촉매(50), 하류측 히터(60), 냉각부(70),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 및 냉각용 히트 싱크(85)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91)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92)가 형성된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90)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90)는 입구(91)를 통하여 들어가고, 출구(92)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의 유로가 유턴하도록, 입구(91)와 출구(92) 사이를 이격함과 아울러, 흡착재료(20)를 통과한 공기가 촉매(50) 쪽으로 향하게 하는 격벽(95)을 가지고 있다. 격벽(95)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90)는 입구(91)에서 출구(92)까지의 공기의 유로가 U자 형상이 된다.
또, 탈취 장치(1)는 팬(10)의 구동, 상류측 히터(30)의 작동, 하류측 히터(60)의 작동, 냉각부(70)의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재료(20)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 모드와, 흡착재료(20)로부터 악취 물질을 탈리시켜서 흡착재료(20)를 재생함과 아울러 탈리한 악취 물질을 촉매(50)에 의해 분해시키는 재생 모드로 전환 가능한 장치이다. 그리고, 탈취 장치(1)는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고, 흡착재료(20)의 고도의 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 탈취 장치(1)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팬(10)은 케이스(90)의 입구(91)에 배치되어 있다. 팬(10)은 회전축(11)과, 회전축(11)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12)와, 회전축(11)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10)은 도 1A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11)이 전후 방향, 도 1B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11)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팬(10)은 입구(91)를 통하여 케이스(90) 밖의 공기를 케이스(90)의 내부로 도입함과 아울러, 출구(92)를 통하여 케이스(90) 밖으로 배출한다. 모터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흡착재료(20)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하여 탈취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활성탄을 갖는다.
상류측 히터(30)는 흡착재료(20)의 상류로서 가열용 히트 싱크(4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히터(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흡착재료(20) 또는 흡착재료(20)에 유입되는 공기를, 흡착재료(2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을 제거 가능한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류측 히터(30)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가열용 히트 싱크(40)는 상류측에 배치된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와,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를 가지고 있다.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및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는 전열 특성이 좋은 알루미늄, 철, 구리 등의 금속으로 성형되어 있다.
촉매(5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기재의 양면에 산화 촉매가 담지된 촉매 담지 필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산화 촉매로는, Ag, Pd, Pt, Mn, Rh, Fe, C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산화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하류측 히터(60)는 흡착재료(20)의 하류로서 촉매(50)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히터(6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촉매(50) 또는 촉매(50)에 유입되는 공기를, 흡착재료(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 가능한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하류측 히터(60)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냉각부(70)는 냉각용 히트 싱크(85)과 가열용 히트 싱크(40)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ON 상태에서, 냉각용 히트 싱크(85) 측에서 흡열하고, 가열용 히트 싱크(40) 측에서 방열하는 펠티어 소자(peltier element) 등의 열교환 기능을 갖는 전자 소자를 갖는다. 냉각부(70)의 ON/OFF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는 격벽(95)을 통하여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히트 싱크(85)는 격벽(95)을 통하여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히트 싱크(85)과 격벽(95) 사이에 냉각부(70)가 배치되어 있다.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 및 냉각용 히트 싱크(85)는 전열 특성이 좋은 알루미늄, 철, 구리 등의 금속으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90)는 격벽(95)보다도 입구(91) 측에 형성된 제1 수용실(96)과, 격벽(95)보다도 출구(92) 측에 형성된 제2 수용실(97)을 가지고 있다.
제1 수용실(96)에는 입구(91) 측부터 순서대로,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 상류측 히터(30) 및 흡착재료(2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수용실(97)에는 출구(92) 측부터 순서대로, 냉각용 히트 싱크(85),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 촉매(50) 및 하류측 히터(60)가 배치되어 있다.
격벽(95)을 통하여,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와 냉각용 히트 싱크(85)가 대향하고,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와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가 대향한다. 상류측 히터(30)는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와 흡착재료(20) 사이에 배치되고, 하류측 히터(60)는 흡착재료(20)와 촉매(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해, 팬(10)에 의해 입구(91)를 통하여 케이스(90) 내에 들어온 공기는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 상류측 히터(30), 흡착재료(20), 하류측 히터(60), 촉매(50),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 및 냉각용 히트 싱크(85)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출구(92)를 통하여 케이스(90) 밖으로 배출한다.
케이스(90)에 있어서의 외벽(98)은 내부에 공기층(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도 2는 제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100)는 팬(1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팬 제어부(101)와, 상류측 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와, 하류측 히터(60)의 온도를 제어하는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와, 냉각부(70)의 ON/OFF를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10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도시하지 않음)와,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된 ROM(도시하지 않음)과, CPU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 이용되는 RAM(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팬 제어부(101),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 및 냉각 제어부(104)를 실현한다.
팬 제어부(101)는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과 저속의 2단계로 전환한다. 팬 제어부(101)는 팬(10)의 회전 속도를 3단계 이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고, 회전 속도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팬 제어부(101)는 흡착 모드일 때에는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재생 모드일 때에는 팬(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는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함으로써 상류측 히터(30)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는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는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함으로써 하류측 히터(60)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는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냉각 제어부(104)는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냉각부(70)를 ON 상태로 하고,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 OFF 상태로 한다.
<탈취 장치(1)의 작용>
도 3은 탈취 장치(1)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탈취 장치(1)가 재생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 및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는 흡착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냉각 제어부(104)가 냉각부(70)를 OFF 상태로 한다. 또,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 및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는 각각 상류측 히터(30) 및 하류측 히터(60)에 통전하지 않고 온도를 높이지 않는다. 이 때, 팬(10)에 의해 케이스(9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96) 및 제2 수용실(97)을 통과하여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 때,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흡착재료(20)에 흡착된다. 또, 촉매(50)가 촉매 담지 필터인 경우에는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은 촉매(50)에도 흡착된다.
한편, 탈취 장치(1)는 촉매(50)에 의한 악취 물질의 분해 속도가 흡착재료(20)의 흡착 속도보다도 느린 것을 감안하여,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101)가 팬(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냉각 제어부(104)는 냉각부(70)를 ON 상태로 하고,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2) 및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103)는 각각 상류측 히터(30) 및 하류측 히터(60)에 통전하여 온도를 높인다. 이 때도, 팬(10)에 의해 케이스(9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96) 및 제2 수용실(97)을 통과하여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하지만, 공기의 통과 속도는 흡착 모드일 때의 속도보다도 작다.
흡착재료(20)는 상류측 히터(30) 및 하류측 히터(60)에 의해 따뜻하게 됨과 아울러,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및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므로, 흡착재료(20)는 가열되고, 흡착하고 있던 악취 물질을 탈리한다. 이에 따라, 흡착재료(20)는 재생한다.
촉매(50)는 하류측 히터(60)에 의해 따뜻하게 됨과 아울러,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및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에 의해 따뜻하게 된 후에 흡착재료(2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므로, 촉매(50)는 가열되어 활성화되고, 흡착재료(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한다. 또, 촉매(50)가 촉매 담지 필터인 경우에는 흡착하고 있던 악취 물질도 분해한다.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에는 촉매(5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는 고온을 유지한다.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 주위의 열이, 격벽(95)을 통하여 대향하는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에 전해진다. 이에 따라,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흡착재료(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진다.
냉각용 히트 싱크(85)에는 열 보유용 히트 싱크(80)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된다. 냉각부(70)는 탈취 장치(1)가 재생 모드일 때에는 ON 상태이므로, 냉각용 히트 싱크(85) 측에서 흡열하고,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측에서 방열한다. 즉, 냉각용 히트 싱크(85) 측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측의 온도를 높인다. 그 결과,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하는 공기가 냉각용 히트 싱크(85)에 의해 냉각된다. 다른 한편,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하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2) 및 흡착재료(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에 있어서는, 흡착재료(20)에 의해 탈취(악취 물질 제거)를 행하므로, 에너지 절약으로 신속한 흡착 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에 있어서는 흡착재료(20)를 재생시키므로, 재생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착재료(20)의 흡착 성능(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하기 위하여 촉매(50)를 이용하고, 흡착재료(20)로 농축한 악취를 촉매(50)에 노출시킴으로써, 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또, 흡착재료(2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케이스(90) 내부의 온도를 높였다고 해도, 냉각부(70) 및 냉각용 히트 싱크(85)의 작용에 의해,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하는 공기가 냉각된다. 또, 케이스(90)의 외벽(98)은 내부에 공기층(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스(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그러므로, 탈취 장치(1)는 가열에 이용한 열을 배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탈취 장치(1)에 있어서,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는 타이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1)는 흡착 모드를 미리 정해진 흡착 모드 기간 행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재생 모드를 미리 정해진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흡착 모드 기간과 재생 모드 기간은 서로 동일해도 무방하고 상이해도 무방하다.
또, 탈취 장치(1)는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예를 들면 흡착재료(20)의 하류에 포함하고, 악취 센서가 검출하는 악취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었을 때에, 흡착 모드에서 재생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탈취 장치(1)는 재생 모드를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가 적용된 냉장고(2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B는 냉장고(200)의 냉장실 내부를 윗쪽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200)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을 냉장하는 냉장실(210)과, 냉장실(210)을 개폐하는 도어(220)와, 물품이 적재되는 복수의 선반(230)과, 상술한 탈취 장치(1)를 포함하고 있다.
탈취 장치(1)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선반(230) 내의 가장 위의 선반(230)과, 냉장실(210)을 구획하는 상부의 벽(2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210) 내의 안쪽, 즉 도어(220)보다도 냉장실(210)을 구획하는 후방부의 벽(2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탈취 장치(1)는 팬(10)이 배치된 케이스(90)의 입구(91)가 전방, 케이스(90)의 출구(92)가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취 장치(1)는 흡착 모드일 때에, 냉장실(210) 내의 공기를 전방에서 흡입하고,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공기를 후방에서 배출한다. 이렇게 하여, 탈취 장치(1)는 냉장실(210) 내의 공기의 악취 물질을 제거한다.
다른 한편, 탈취 장치(1)는 재생 모드일 때에, 흡착재료(20)를 재생시킨다. 재생할 때에 케이스(90) 내의 공기가 가열되지만, 냉각부(70) 및 냉각용 히트 싱크(85)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케이스(90)의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냉장실(210) 내의 온도는 저온으로 유지된다.
한편, 냉장실(210) 내에 배치된 탈취 장치(1)에 있어서도,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는 타이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1)는 냉장고(200)의 도어(220)가 빈번하게 개폐되는 시간대에서 흡착 모드를 행하고, 냉장고(200)의 도어(220)가 그다지 개폐되지 않는 시간대에서 재생 모드를 행하면 무방하다. 냉장고(200)의 도어(220)가 빈번하게 개폐되는 시간대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 7시∼오후 9시)이어도 무방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대이어도 무방하다. 냉장고(200)의 도어(220)가 그다지 개폐되지 않는 시간대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예를 들면 오후 9시∼오전 7시)이어도 무방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대이어도 무방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에 대하여 냉각부(70)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점이 다르다.
냉각용 히트 싱크(85)와 상류측 가열용 히트 싱크(41) 사이에 냉각부(70)를 포함하지 않은 구성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에 있어서도, 냉각용 히트 싱크(85)에 의해 열교환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재생 모드일 때에, 케이스(90) 내부의 온도를 높였다고 해도, 냉각용 히트 싱크(85)의 작용에 의해, 출구(92)를 통하여 배출하는 공기가 냉각된다. 그 결과,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는 가열에 이용한 열을 배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6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의 상면도이다. 한편, 이 상면도에는 탈취 장치(3)의 내부 구조도 일부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의 일례로서의 팬(310)을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3)는 팬(31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의 일례로서의 촉매(350)와, 촉매(35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히터(360)와, 전열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부품 일례로서의 금속 부품(365)을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3)는 촉매(350)를 통과한 공기의 장치 밖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는 억제기의 일례로서의 개폐 기구인 셔터(371) 및 댐퍼(372), 및 그 개폐를 동시에 행하는 솔레노이드(373)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3)는 팬(310), 촉매(350), 히터(360), 금속 부품(365), 셔터(371), 댐퍼(372) 및 솔레노이드(373)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391)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392)가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39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3)는 팬(310)의 구동, 히터(360)의 작동, 솔레노이드(373)의 구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300)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촉매(350)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 모드와, 흡착된 악취 물질을 촉매(350)에 의해 분해시켜서 촉매(350)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전환 가능한 장치이다. 그리고, 탈취 장치(3)는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고, 촉매(350)의 고도의 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 탈취 장치(3)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팬(310)은 회전축(311)과, 회전축(311)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312)와, 회전축(311)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팬(310)은 도 6A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311)이 우측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전후 방향, 도 6B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311)이 우측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팬(310)은 입구(391)를 통하여 케이스(390) 밖의 공기를 케이스(390)의 내부로 도입함과 아울러, 공기를 촉매(350)에 유입시킨다. 모터는 제어 장치(3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촉매(350)는 가스 흡착 기능을 갖는 다공질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열전도성이 높은 기재의 양면에 산화 촉매가 담지된 촉매 담지 필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산화 촉매로는, Ag, Pd, Pt, Mn, Rh, Fe, Co, I, P, Ti, K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산화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산화 촉매는 촉매 담지 필터에 흡착된 악취 성분의 분해 프로세스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산물의 악취 성분을 무취화(無臭化) 또는 저취화(低臭化)한다. 예를 들면, 메틸메르캅탄(CH3SH, methyl mercaptan)의 분해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황화 메틸((CH3)2S2)은 메틸메르캅탄에 대하여 저취(低臭)이다. 혹은 촉매(350)는 광 촉매로 해도 무방하다.
히터(360)는 팬(310)의 하류로서 촉매(350)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36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촉매(350)에 유입되는 공기를, 촉매(35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을 분해 가능한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360)는 제어 장치(3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히터(360)로서, 냉장고 본체의 서리 제거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 전용 히터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장치(3)가 냉동 사이클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촉매(350)를 활성화시키는 히터(360)의 온도는 100℃ 이하로 하고, 가전 제품 (특히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는 온도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촉매(350)는 저온 조건이라도 분해 능력이 있지만, 고온 가열 조건(100℃ 이하)에서 활성화됨으로써 분해력이 향상된다.
금속 부품(365)은 히터(360) 및 촉매(350) 주위에, 전열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금속 부품(365)으로는 예를 들면, SUS를 이용할 수 있다.
셔터(371)는 케이스(390)의 하면을 따라 배치된다. 셔터(371)는 케이스(390) 하면의 입구(391)의 배치 및 사이즈와 대략 동일한 배치 및 사이즈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3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댐퍼(372)는 케이스(390) 내에 있어서 출구(392) 근처에 배치된다. 댐퍼(372)는 셔터(371)가 케이스(3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것에 연동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셔터(371) 및 댐퍼(372)는 입구(391) 및 출구(392)의 개폐를 연동하여 행하는 개폐 부재의 일례이다.
솔레노이드(373)는 케이스(390) 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73)는 ON 상태에서, 셔터(371)를 케이스(3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입구(391)를 닫고,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댐퍼(372)를 회전이동시켜서 출구(392)를 닫고, 공기가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즉 솔레노이드(373)는 히터(3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 입구(391) 및 출구(392)를 닫도록 셔터(371) 및 댐퍼(372)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의 일례이다. 솔레노이드(373)의 ON/OFF는 제어 장치(30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도면은 솔레노이드(373)가 ON 상태에서 입구(391) 및 출구(392)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390)는 입구(391) 및 출구(39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의 수용실(396)을 가지고 있다.
수용실(396)에는 입구(391) 측부터 순서대로, 셔터(371), 팬(310), 히터(360), 촉매(350) 및 댐퍼(372)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해, 팬(310)에 의해 입구(391)를 통하여 케이스(390) 내에 들어온 공기는 히터(360), 촉매(35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출구(392)를 통하여 케이스(390) 밖으로 배출하거나, 케이스(390) 내를 순환하거나 한다.
케이스(390)는 수용실(396)의 양측에 공기층(3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3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도 7은 제어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00)는 팬(31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팬 제어부(301)와, 히터(360)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 온도 제어부(303)와, 솔레노이드(373)의 ON/OFF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304)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30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도시하지 않음)와,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된 ROM(도시하지 않음)과, CPU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 이용되는 RAM(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팬 제어부(301), 히터 온도 제어부(303) 및 솔레노이드 제어부(304)를 실현한다.
팬 제어부(301)는 팬(310)의 회전 속도를 고속과 저속의 2단계로 전환한다. 팬 제어부(301)는 팬(310)의 회전 속도를 3단계 이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고, 회전 속도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팬 제어부(301)는 흡착 모드일 때에는 팬(3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재생 모드일 때에는 팬(3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즉 팬 제어부(301)는 히터(3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히터(360)가 공기를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도 풍량이 저하되도록 팬(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이다.
히터 온도 제어부(303)는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함으로써 히터(360)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히터 온도 제어부(303)는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솔레노이드 제어부(304)는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솔레노이드(373)를 ON 상태로 하고,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 OFF상태로 한다.
<탈취 장치(3)의 작용>
도 8은 탈취 장치(3)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탈취 장치(3)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는 흡착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솔레노이드 제어부(304)가 솔레노이드(373)를 OFF 상태로 한다. 또, 히터 온도 제어부(303)는 히터(360)에 통전하지 않고 온도를 높이지 않는다. 이 때, 팬(310)에 의해 케이스(3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수용실(396)을 통과하여 출구(392)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 때,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촉매(350)에 흡착된다.
한편, 탈취 장치(3)는 촉매(350)에 의한 악취 물질의 분해 속도가 촉매(350)의 흡착 속도보다도 느린 것을 감안하여,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304)는 솔레노이드(373)를 ON 상태로 하고, 히터 온도 제어부(303)는 히터(360)에 통전하여 온도를 높인다. 이 때도, 팬(310)에 의해 케이스(3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수용실(396)을 출구(392) 쪽으로 흐르지만, 댐퍼(372)가 출구(392)를 닫고 있으므로, 수용실(396)의 하측을 통과하여 입구(391) 부근에 도달한다. 그리고, 셔터(371)가 입구(391)를 닫고 있으므로, 입구(391)에서 나가지 않고, 팬(310)에 의해 다시 케이스(39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이 때의 공기 통과 속도는 흡착 모드일 때의 속도보다도 작다.
촉매(350)는 히터(360)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가 유입한다. 그러므로, 촉매(350)는 가열되어 활성화되고, 흡착하고 있었던 악취 물질을 분해한다.
한편,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373)가 개폐 기구인 셔터(371) 및 댐퍼(372)를 구동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셔터(371) 및 댐퍼(372)의 구동은 모터 등에 의해 행해도 무방하다. 또, 셔터(371)의 개폐는 팬(310)의 운전 유무에 따라 행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셔터(371) 및 댐퍼(372)의 개폐는 열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재료를 셔터(371) 및 댐퍼(372)에 사용함으로써 행해도 무방하다.
또,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히터(360)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을 채용했다. 즉 팬(310)의 하류로서 촉매(350)의 상류의 송풍로 내에 히터(360)를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했다. 이러한 구성은 송풍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촉매(350)의 전면(全面)을 균일하게 활성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히터(360)에 대해서는 접촉 방식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즉 히터(360)를 촉매(350)의 외주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첫째로, 히터(360)가 코드 히터인 경우에 이것을 촉매(350)에 직접 둘러 감은 구성이 있다. 둘째로, 촉매(350)를 히터(360) 내장의 히터 내장형 촉매로 하는 구성이 있다. 셋째로, 히터(360)가 복수의 면을 연결시킨 타입의 면상(面狀) 히터인 경우에 촉매(350) 외주의 1면 또는 2∼4면에 이것을 접촉시킨 구성이 있다. 넷째로, 히터(360)가 필름 타입의 면상 히터인 경우에 촉매(350) 외주에 이것을 둘러 감은 구성이 있다. 다섯째로, 히터(360)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인 경우에 촉매(350) 외주에 이것을 접촉시킨 구성이 있다.
또,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히터(360)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을 채용했기 때문, 탈취 장치(3)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360)에 대하여 접촉 방식을 채용한 경우는 탈취 장치(3)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301)가 팬(3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팬 제어부(301)는 히터(3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정지하도록 팬(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가 된다.
게다가,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히터(360) 및 촉매(350) 주위에 금속 부품(365)을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히터(360) 주변에 온도 퓨즈나 온도 센서 등의 온도 과승 방지 장치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에 있어서는 촉매(350)를 재생시키므로, 재생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촉매(350)의 흡착 성능(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하기 위하여 촉매(350)를 이용하고, 촉매(350)에 흡착된 악취를 촉매(350)에 노출시킴으로써, 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또, 촉매(35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케이스(390) 내부의 온도를 높였다고 해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가열에 이용한 열을 순환시키도록 한다. 또, 케이스(390)는 내부에 공기층(3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기 때문, 케이스(3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그러므로, 탈취 장치(3)는 가열에 이용한 열을 배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촉매(35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의 분해시에 악취가 발생했다고 해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악취도 냉장고 내로 배출하지 않는다.
또, 제3 실시형태에서는 히터(360)로서 비접촉 방식 및 접촉 방식 어느 것을 채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했다. 비접촉 방식, 즉 팬(310)의 하류측으로서 촉매(350)의 상류측의 송풍로 내에 히터(360)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촉매(350)의 전면에 가온(加溫)할 수 있으며, 저가로 할 수 있다. 한편, 접촉 방식, 즉 히터(360)를 촉매(350)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한 경우,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실시형태에서는 히터(360) 주위에, 전열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금속 부품(365)을 설치했다. 이에 따라, 이상(異常) 시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탈취 장치(3)에 있어서,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는 타이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3)는 흡착 모드를 미리 정해진 흡착 모드 기간 행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재생 모드를 미리 정해진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흡착 모드 기간과 재생 모드 기간은 서로 동일해도 무방하고 상이해도 무방하다.
또, 탈취 장치(3)는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예를 들면 촉매(350)의 하류에 포함하고, 악취 센서가 검출하는 악취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었을 때에, 흡착 모드에서 재생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탈취 장치(3)는 재생 모드를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3)가 적용된 냉장고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가 적용된 냉장고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1)가, 케이스(90)의 입구(91)가 전방, 케이스(90)의 출구(92)가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3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3)가, 케이스(390)의 입구(391)가 하측, 케이스(390)의 출구(392)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4 실시형태>
도 10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의 상면도이다. 한편, 이 상면도에는 탈취 장치(3)의 내부 구조도 일부 도시하고 있다. 도 10B는 도 10A의 Xb-X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10C는 도 10A의 Xc-Xc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의 일례로서의 팬(410)을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4)는 팬(41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의 일례로서의 흡착재료(420)와, 팬(410)의 하류측으로서 흡착재료(42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흡착재료(42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상류측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상류측 히터(43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4)는 흡착재료(4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의 일례로서의 촉매(450)와, 흡착재료(420)의 하류측으로서 촉매(45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촉매(450)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분해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하류측 히터(46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4)는 촉매(450)를 통과한 공기의 장치 밖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는 억제기의 일례로서의 개폐 기구인 셔터(471) 및 댐퍼(472), 및 그 개폐를 동시에 행하는 솔레노이드(473)와,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의 열이 외부에 전해지지 않도록 하는 단열재(494)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4)는 팬(410), 흡착재료(420), 상류측 히터(430), 촉매(450), 하류측 히터(460), 셔터(471), 댐퍼(472), 솔레노이드(473) 및 단열재(494)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491)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492)가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49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4)는 팬(410)의 구동, 상류측 히터(430)의 작동, 하류측 히터(460)의 작동, 솔레노이드(473)의 구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400)를 포함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재료(420)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 모드와, 흡착재료(420)로부터 악취 물질을 탈리시켜서 흡착재료(420)를 재생함과 아울러 탈리한 악취 물질을 촉매(450)에 의해 분해시키는 재생 모드로 전환 가능한 장치이다. 그리고, 탈취 장치(4)는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고, 흡착재료(420)의 고도의 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 탈취 장치(4)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팬(410)은 회전축(411)과, 회전축(411) 주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412)와, 회전축(411)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팬(410)은 도 10A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411)이 좌측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전후 방향, 도 10B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411)이 좌측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팬(410)은 입구(491)를 통과하여 케이스(490)밖의 공기를 케이스(490)의 내부로 도입함과 아울러, 공기를 흡착재료(420)에 유입시킨다. 모터는 제어 장치(4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흡착재료(420)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하여서 탈취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활성탄을 갖는다.
상류측 히터(430)는 팬(410)의 하류로서 흡착재료(420)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히터(4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흡착재료(420) 또는 흡착재료(420)에 유입되는 공기를, 흡착재료(42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을 제거 가능한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류측 히터(430)는 제어 장치(4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류측 히터(430)로서, 냉장고 본체의 성에 제거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 전용 히터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장치(4)가 냉동 사이클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촉매(45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기재의 양면에 산화 촉매가 담지된 촉매 담지 필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산화 촉매로는, Ag, Pd, Pt, Mn, Rh, Fe, Co, I, P, Ti, K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산화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산화 촉매는 촉매 담지 필터에 흡착된 악취 성분의 분해 프로세스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산물의 악취 성분을 무취화 또는 저취화한다. 예를 들면, 메틸메르캅탄(CH3SH)의 분해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황화 메틸((CH3)2S2)은 메틸메르캅탄에 대하여 저취(低臭)이다. 혹은 촉매(450)는 광 촉매로 해도 무방하다.
하류측 히터(460)는 흡착재료(420)의 하류로서 촉매(450)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히터(46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촉매(450) 또는 촉매(450)에 유입되는 공기를, 흡착재료(4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 가능한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하류측 히터(460)는 제어 장치(4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하류측 히터(460)로서, 냉장고 본체의 성에 제거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 전용 히터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장치(4)가 냉동 사이클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촉매(450)를 활성화시키는 하류측 히터(460)의 온도는 100℃ 이하로 하고, 가전 제품 (특히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는 온도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촉매(450)는 저온 조건에서도 분해 능력이 있지만, 고온 가열 조건(100℃ 이하)에서 활성화됨으로써 분해력이 향상된다.
셔터(471)는 케이스(490)의 하면을 따라 배치된다. 셔터(471)는 케이스(490) 하면의 입구(491)의 배치 및 사이즈와 대략 동일한 배치 및 사이즈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4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댐퍼(472)는 케이스(490) 내에 있어서 출구(492) 근처에 배치된다. 댐퍼(472)는 셔터(471)가 케이스(4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것에 연동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셔터(471) 및 댐퍼(472)는 입구(491) 및 출구(492)의 개폐를 연동하여 행하는 개폐 부재의 일례이다.
솔레노이드(473)는 케이스(490) 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73)는 ON 상태에서, 셔터(471)를 케이스(49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입구(491)를 닫고,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댐퍼(472)를 회전이동시켜서 출구(492)를 닫고, 공기가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즉 솔레노이드(473)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 입구(491) 및 출구(492)를 닫도록 셔터(471) 및 댐퍼(472)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의 일례이다. 솔레노이드(473)의 ON/OFF는 제어 장치(40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도면은 솔레노이드(473)가 ON 상태에서 입구(491) 및 출구(492)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열재(494)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의 열이 탈취 장치(4) 밖으로 전해지지 못하도록 하여, 케이스(4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490)는 입구(491) 및 출구(49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의 제1 수용실(496)과, 제1 수용실(496)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수용실(497)을 가지고 있다.
제1 수용실(496) 및 제2 수용실(497)에는 입구(491) 측부터 순서대로, 셔터(471), 팬(410), 상류측 히터(430), 흡착재료(420), 하류측 히터(460), 촉매(450) 및 댐퍼(472)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해, 팬(410)에 의해 입구(491)를 통하여 케이스(490) 내에 들어온 공기는 상류측 히터(430), 흡착재료(420), 하류측 히터(460) 및 촉매(45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출구(492)를 통하여 케이스(490) 밖으로 배출하거나, 케이스(490) 내를 순환하거나 한다.
케이스(490)는 제1 수용실(496)의 제2 수용실(497)과는 반대측 및 제2 수용실(497)의 제1 수용실(496)과는 반대측에 공기층(4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4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도 11은 제어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400)는 팬(41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팬 제어부(401)와, 상류측 히터(4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와, 하류측 히터(460)의 온도를 제어하는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와, 솔레노이드(473)의 ON/OFF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404)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40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도시하지 않음)와,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된 ROM(도시하지 않음)과, CPU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 이용되는 RAM(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팬 제어부(401),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 및 솔레노이드 제어부(404)를 실현한다.
팬 제어부(401)는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과 저속의 2단계로 전환한다. 팬 제어부(401)는 팬(410)의 회전 속도를 3단계 이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고, 회전 속도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팬 제어부(401)는 흡착 모드일 때에는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재생 모드일 때에는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즉 팬 제어부(401)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가 공기를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도 풍량이 저하되도록 팬(4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이다.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는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함으로써 상류측 히터(430)을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는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는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함으로써 하류측 히터(460)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는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솔레노이드 제어부(404)는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솔레노이드(473)를 ON 상태로 하고,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 OFF상태로 한다.
<탈취 장치(4)의 작용>
도 12A 내지 도 12C는 탈취 장치(4)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탈취 장치(4)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는 흡착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솔레노이드 제어부(404)가 솔레노이드(473)를 OFF 상태로 한다. 또,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 및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는 각각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통전하지 않고 온도를 높이지 않는다. 이 때, 팬(410)에 의해 케이스(4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496) 및 제2 수용실(497)을 통과하고, 다시 제1 수용실(496)로 되돌아가서 출구(492)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 때,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흡착재료(420)에 흡착된다. 또, 촉매(450)가 촉매 담지 필터인 경우에는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은 촉매(450)에도 흡착된다.
한편, 탈취 장치(4)는 촉매(450)에 의한 악취 물질의 분해 속도가 흡착재료(420)의 흡착 속도보다도 느린 것을 감안하여,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404)는 솔레노이드(473)를 ON 상태로 하고, 상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2) 및 하류측 히터 온도 제어부(403)는 각각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통전하여 온도를 높인다. 이 때도, 팬(410)에 의해 케이스(4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496) 및 제2 수용실(497)을 통과하고, 다시 제1 수용실(496)에 되돌아가지만, 댐퍼(472)가 출구(492)를 닫고 있으므로, 제1 수용실(496)의 하측을 통과하여 입구(491) 부근에 도달한다. 한편, 이 때의 공기 통과 속도는 흡착 모드일 때의 속도보다도 작다.
흡착재료(420)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의해 따뜻하게 됨과 아울러, 상류측 히터(430)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므로, 흡착재료(420)는 가열되고, 흡착하고 있던 악취 물질을 탈리한다. 이에 따라, 흡착재료(420)는 재생한다.
촉매(450)는 하류측 히터(460)에 의해 따뜻하게 됨과 아울러, 상류측 히터(430)에 의해 따뜻하게 된 후에 흡착재료(420)를 통과하고, 그 후, 하류측 히터(460)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므로, 촉매(450)는 가열되어 활성화되고, 흡착재료(420)로부터 탈리한 악취 물질을 분해한다. 또, 촉매(450)가 촉매 담지 필터인 경우에는 흡착하고 있던 악취 물질도 분해한다.
한편,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473)가 개폐 기구인 셔터(471) 및 댐퍼(472)를 구동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셔터(471) 및 댐퍼(472)의 구동은 모터 등에 의해 행해도 무방하다. 또, 셔터(471)의 개폐는 팬(410)의 운전 유무에 따라 행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셔터(471) 및 댐퍼(472)의 개폐는 열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재료를 셔터(471) 및 댐퍼(472)에 사용함으로써 행해도 무방하다.
또,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을 채용했다. 즉 팬(410)의 하류로서 흡착재료(420)의 상류의 송풍로 내에 상류측 히터(430)를 배치하고, 흡착재료(420)의 하류로서 촉매(450)의 상류의 송풍로 내에 하류측 히터(460)를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했다. 이러한 구성은 송풍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흡착재료(420) 및 촉매(450)의 전면을 균일하게 활성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대해서는 접촉 방식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즉 상류측 히터(430)를 흡착재료(420)의 외주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이나, 하류측 히터(460)를 촉매(450)의 외주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에서 기술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을 채용했기 때문에, 탈취 장치(4)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에 대하여 접촉 방식을 채용한 경우는 탈취 장치(3)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401)가 팬(4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팬 제어부(401)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정지하도록 팬(4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가 된다.
게다가, 이 제4 실시형태에서도, 상류측 히터(430) 및 흡착재료(420) 주위, 및 하류측 히터(460) 및 촉매(450)의 주위에 금속 부품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혹은 예를 들면, 상류측 히터(430) 및 흡착재료(420)의 주변과, 하류측 히터(460) 및 촉매(450)의 주변에 온도 퓨즈나 온도 센서 등의 온도 과승 방지 장치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에 있어서는 흡착재료(420)에 의해 탈취(악취 물질 제거)를 행하므로, 에너지 절약으로 신속한 흡착 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에 있어서는 흡착재료(420)를 재생시키므로, 재생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착재료(420)의 흡착 성능(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하기 위하여 촉매(450)를 이용하고, 흡착재료(420)로 농축한 악취를 촉매(450)에 노출시킴으로써, 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또, 흡착재료(42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케이스(490) 내부의 온도를 높였다고 해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가열에 이용한 열을 순환시키도록 한다. 또, 케이스(490)는 내부에 공기층(4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스(490)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그러므로, 탈취 장치(4)는 가열에 이용한 열을 배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흡착재료(42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의 분해 시에 악취가 발생했다고 해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악취도 냉장고 내로 배출하지 않는다.
또,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로서 비접촉 방식 및 접촉 방식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했다. 비접촉 방식, 즉 팬(410)의 하류측으로서 흡착재료(420)의 상류측의 송풍로 내에 상류측 히터(430)를 배치하고, 흡착재료(420)의 하류측으로서 촉매(450)의 상류측의 송풍로 내에 하류측 히터(460)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흡착재료(420) 및 촉매(450)의 전면에 가온할 수 있고, 저가로 할 수 있다. 한편, 접촉 방식, 즉 상류측 히터(430)를 흡착재료(420)에 직접 접촉시키고, 하류측 히터(460)를 촉매(450)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한 경우,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히터(430) 및 하류측 히터(460)의 주위에, 전열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금속 부품을 설치해도 무방한 것으로 했다. 이러한 금속 부품을 설치함으로써, 이상(異常) 시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탈취 장치(4)에 있어서,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는 타이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4)는 흡착 모드를 미리 정해진 흡착 모드 기간 행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재생 모드를 미리 정해진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하록 해도 무방하다. 흡착 모드 기간과 재생 모드 기간은 동일해도 무방하고 상이해도 무방하다.
또, 탈취 장치(4)는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예를 들면 흡착재료(420)의 하류에 포함하고, 악취 센서가 검출하는 악취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었을 때에, 흡착 모드에서 재생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탈취 장치(4)는 재생 모드를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4)가 적용된 냉장고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가 적용된 냉장고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1)가, 케이스(90)의 입구(91)가 전방, 케이스(90)의 출구(92)가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4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4)가, 케이스(490)의 입구(491)가 하측, 케이스(490)의 출구(492)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5 실시형태>
도 14A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의 상면도다. 한편, 이 상면도에는 탈취 장치(5)의 내부 구조도 일부 나타내고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XIVb-XIVb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의 일례로서의 팬(510)을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5)는 팬(51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의 일례로서의 촉매(550)와, 팬(51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촉매(550)를 가열하는 가열기의 일례로서의 히터(56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5)는 촉매(550)를 통과한 공기의 장치 밖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는 억제기의 일례로서의 개폐 기구인 셔터(571) 및 그 개폐를 행하는 바이메탈판(573)과, 히터(560)의 열을 바이메탈판(573)에 전달하기 위한 부품의 일례로서의 금속 부품(565)을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5)는 팬(510), 촉매(550), 히터(560), 금속 부품(565), 셔터(571) 및 바이메탈판(573)을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591)와 공기가 나가는 출구(592)가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590)를 포함하고 있다.
또, 탈취 장치(5)는 팬(510)의 구동, 히터(560)의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00)를 포함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촉매(550)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 모드와, 흡착된 악취 물질을 촉매(550)에 의해 분해시켜서 촉매(550)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전환 가능한 장치이다. 그리고, 탈취 장치(5)는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고, 촉매(550)의 고도의 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 탈취 장치(5)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팬(510)은 회전축(511)과, 회전축(511) 주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512)와, 회전축(511)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팬(510)은 도 14A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511)이 좌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전후 방향, 도 14B에서 본 경우에 회전축(511)이 좌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팬(510)은 입구(591)를 통하여 케이스(590) 밖의 공기를 케이스(590)의 내부에 취입함과 아울러, 공기를 촉매(550)에 유입시킨다. 모터는 제어 장치(5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촉매(550)는 가스 흡착 기능을 갖는 다공질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열전도성이 높은 기재의 양면에 산화 촉매가 담지된 촉매 담지 필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산화 촉매로는, Ag, Pd, Pt, Mn, Rh, Fe, Co, I, P, Ti, K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산화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산화 촉매는 촉매 담지 필터에 흡착된 악취 성분의 분해 프로세스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산물의 악취 성분을 무취화 또는 저취화한다. 예를 들면, 메틸메르캅탄(CH3SH)의 분해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황화메틸((CH3)2S2)은 메틸메르캅탄에 대하여 저취이다. 또는 촉매(550)는 광촉매로 해도 무방하다.
히터(560)는 팬(51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56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전된 경우에, 촉매(55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을 분해 가능한 소정의 온도로까지 촉매(55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560)는 제어 장치(500)에 의해 통전이 제어된다. 한편, 이와 같이 히터(560)로서, 냉장고 본체의 성에 제거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 전용의 히터를 이용함으로써, 탈취 장치(5)가 냉동 사이클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촉매(550)를 활성화시키는 히터(560)의 온도는 100℃ 이하로 하고, 가전 제품(특히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는 온도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촉매(550)는 저온 조건에서도 분해 능력이 있지만, 고온 가열 조건(100℃ 이하)에서 활성화됨으로써 분 분해력이 향상된다.
금속 부품(565)은 히터(560)와 바이메탈판(573) 사이에, 전열 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금속 부품(565)으로는, 예를 들면, SUS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이메탈판(573)은 한쪽의 단부 밖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금속 부품(565)은 히터(560)와 바이메탈판(573)의 그 고정된 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다.
셔터(571)는 케이스(590)의 하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셔터(571)는 케이스(590)의 하면의 입구(591) 및 출구(592)의 배치 및 사이즈와 대략 동일한 배치 및 사이즈의 구멍을 갖고 있으며, 케이스(590)의 하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셔터(571)는 입구(591) 및 출구(592)의 개폐를 연동하여 행하는 개폐 부재의 일례이다. 한편,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부재는 셔터(571)라는 일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이메탈판(573)은 케이스(590) 내의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이메탈판(573)은 열팽창률이 상이한 2종류의 금속을 결합한 금속판이다. 열팽창률이 상이한 2종류의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열팽창률이 높은 편의 금속으로서, 철 니켈 크롬 합금을 이용하고, 열팽창률이 낮은 편의 금속으로서, 니켈 약 36%의 철 니켈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바이메탈판(573)은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5711) 및 제2 돌기부(5712)를 통하여, 셔터(571)를 케이스(590)의 하면을 따라서 슬라이드시켜서 입구(591) 및 출구(592)를 닫고,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나가지 않도록 한다. 즉 바이메탈판(573)은 히터(560)가 촉매(550)를 가열할 때에 입구(591) 및 출구(592)를 닫도록 셔터(571)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의 일례이다. 한편, 도면은 바이메탈판(573)에 히터(560)의 열이 전해진 상태에서 입구(591) 및 출구(592)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590)는 입구(591) 및 출구(59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의 제1 수용실(596)과, 제1 수용실(596)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수용실(597)을 갖고 있다.
제1 수용실(596)에는, 입구(591) 측에서부터 차례로, 셔터(571), 팬(510), 및 히터(560)가 접촉된 촉매(550)가 배치되고, 셔터(571)는 출구(592) 측에도 배치되어 있다. 제2 수용실(597)은 출구(592)가 닫혀진 경우에, 공기가 팬(510) 측으로 돌아오는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해, 팬(510)에 의해 입구(591)를 통하여 케이스(590) 내에 들어온 공기는 히터(560)가 접촉된 촉매(550)를 통과하여 출구(592)로부터 케이스(590) 밖으로 나가거나 케이스(590) 내를 순환하거나 한다.
케이스(590)는 제1 수용실(596)의 제2 수용실(597)과는 반대측 및 제2 수용실(597)의 제1 수용실(596)과는 반대측에 공기층(5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590) 내부와 외부 간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여기서, 바이메탈판(573)에 의한 셔터(571)의 슬라이드 제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A는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지 않고 있을 때의 바이메탈판(573)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고 있을 때의 바이메탈판(573)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이메탈판(573)의 배치는 도 14A에 있어서 촉매(550), 히터(560) 및 금속 부품(565)을 제거했을 때의 배치에 일치시키고 있다. 바이메탈판(573)에 있어서, 제1 단부(5731)는 고정된 단부이지만, 제2 단부(5732)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셔터(571)의 제1 돌기부(5711) 및 제2 돌기부(5712)에 접하는 단부이다.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지 않고 있을 때, 바이메탈판(573)은 본래의 직선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1 돌기부(5711) 및 제2 돌기부(5712)를 누르지 않고, 셔터(571)는 입구(591) 및 출구(592)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히터(560)의 열이 전해지고 있을 때, 바이메탈판(573)은 제2 단부(5732) 측이 우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돌기부(5711) 및 제2 돌기부(5712)를 누르게 되고, 셔터(571)는 입구(591) 및 출구(592)를 닫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6은 제어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500)는 팬(51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팬 제어부(501)와, 히터(560)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 온도 제어부(503)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50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도시하지 않음)
와,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된 ROM(도시하지 않음)과, CPU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 이용되는 RAM(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팬 제어부(501) 및 히터 온도 제어부(503)를 실현한다.
팬 제어부(501)는 팬(510)의 회전 속도를 고속과 저속의 2단계로 전환한다. 팬 제어부(501)는 팬(510)의 회전 속도를 3단계 이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고, 회전 속도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팬 제어부(501)는 흡착 모드일 때에는, 팬(5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재생 모드일 때에는, 팬(5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즉 팬 제어부(501)는 히터(560)가 촉매(550)를 가열할 때에는 히터(560)가 촉매(550)를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도 풍량이 저하되도록 팬(5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이다.
히터 온도 제어부(503)는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있을 때(재생 모드일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통전함으로써 히터(560)를 소정의 온도로까지 상승시킨다. 한편, 히터 온도 제어부(503)는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있을 때(흡착 모드일 때)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탈취 장치(5)의 작용>
도 17A 및 도 17B는 탈취 장치(5)가 흡착 모드일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탈취 장치(5)가 재생 모드일 때의 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는 흡착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하고, 히터 온도 제어부(503)는 히터(560)에 통전하지 않고 온도를 높이지 않는다. 이 때, 팬(510)에 의해 케이스(5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596)을 통과하여 출구(592)로부터 나간다. 이 때,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촉매(550)에 흡착된다.
한편, 탈취 장치(5)는 촉매(550)에 의한 악취 물질의 분해 속도가 촉매(550)의 흡착 속도보다도 느린 것을 감안하여,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히터 온도 제어부(503)는 히터(560)에 통전하여 온도를 향상시킨다. 이 때도, 팬(510)에 의해 케이스(59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제1 수용실(596)을 통과하여 출구(592) 부근에 도달하지만, 셔터(571)가 출구(592)를 닫고 있기 때문에, 제2 수용실(597)을 통과하여 팬(510)의 하측에 도달한다.
촉매(550)는 히터(560)에 의해 따뜻하게 된다. 그 때문에, 촉매(550)는 가열되어 활성화되고, 흡착되어 있던 악취 물질을 분해한다.
한편,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히터(560)에 대하여 접촉 방식을 채용했다. 즉 히터(560)를 촉매(550)의 외주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했다.
그러나, 히터(560)에 대해서는 비접촉 방식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즉 팬(510)의 하류이고 촉매(550)의 상류의 송풍로 내에 히터(560)를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은 송풍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촉매(550)의 전면을 균일하게 활성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5)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팬 제어부(501)는 히터(560)가 촉매(550)를 가열할 때에는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팬(5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가 된다. 또, 히터(560)에 대하여 접촉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탈취 장치(5)가 재생 모드일 때에, 팬 제어부(501)가 팬(5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팬 제어부(501)는 히터(560)가 촉매(550)를 가열할 때에는 정지하도록 팬(5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 제어부의 일례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에 있어서는, 촉매(550)를 재생시키므로, 재생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촉매(550)의 흡착 성능(탈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하기 위하여 촉매(550)를 이용하고, 촉매(550)에 흡착된 악취를 촉매(550)에 노출시킴으로써, 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또, 촉매(55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케이스(590) 내부의 온도를 높였다고 하더라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가열에 이용한 열을 순환시키도록 한다. 또, 케이스(590)는 내부에 공기층(599)이 형성된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스(590) 내부와 외부 간의 단열이 도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탈취 장치(5)는 가열에 이용한 열을 배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냉장고의 냉장실 내와 같이, 저온을 유지해야만 하는 환경에서도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촉매(550)에 흡착된 악취 물질의 분해 시에 악취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개폐 기구를 닫음으로써, 악취도 냉장고 내로 배출하지 않는다.
또, 제5 실시형태에서는, 히터(560)로서 비접촉 방식 및 접촉 방식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했다. 비접촉 방식, 즉 팬(510)의 하류측이면서 촉매(550)의 상류측의 송풍로 내에 히터(560)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촉매(550)의 전면에 가온할 수 있고, 저가로 할 수 있다. 한편, 접촉 방식, 즉 히터(560)를 촉매(550)에 직접 접촉시킨 구성을 채용한 경우,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탈취 장치(5)에 있어서, 흡착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행하는 타이밍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5)는 흡착 모드를 미리 정해진 흡착 모드 기간 행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재생 모드를 미리 정해진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흡착 모드 기간과 재생 모드 기간은 동일해도 무방하고, 상이해도 무방하다.
또, 탈취 장치(5)는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예를 들면 촉매(550)의 하류에 포함하고, 악취 센서가 검출하는 악취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이 되었을 때에, 흡착 모드에서 재생 모드로 전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탈취 장치(5)는 재생 모드를 재생 모드 기간 행한 후에 흡착 모드로 전환해도 무방하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5)가 적용된 냉장고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1)가 적용된 냉장고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탈취 장치(1)가, 케이스(90)의 입구(91)가 전방, 케이스(90)의 출구(92)가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5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5)가, 케이스(590)의 하면이 냉장고의 하측을 향하도록, 아울러 케이스(590)의 하면에 있어서, 입구(591)가 후방, 출구(592)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1, 3, 4, 5: 탈취 장치
10, 310, 410, 510: 팬
20, 420: 흡착재료
30, 430: 상류측 히터
40: 가열용 히트 싱크
50, 350, 450, 550: 촉매
60, 460: 하류측 히터
70: 냉각부
80: 열 보유용 히트 싱크
85: 냉각용 히트 싱크
90, 390, 490, 590: 케이스
100, 300, 400, 500: 제어 장치
360, 560: 히터
365, 565: 금속 부품
371, 471, 571: 셔터
372, 472: 댐퍼
373, 473: 솔레노이드
573: 바이메탈판

Claims (20)

  1. 물품을 냉장하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 내에 배치된 탈취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 및
    상기 송풍기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분해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억제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 상기 가열기 및 상기 흡착분해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억제기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닫은 상태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연동하여 개폐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가열기가 상기 흡착분해기 또는 상기 흡착분해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때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를 닫도록 상기 개폐 부재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부재는 열팽창률이 상이한 2종류의 금속을 결합한 금속판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가열기의 열을 상기 개폐 제어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부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흡착분해기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 풍량이 저하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흡착분해기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정지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분해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 및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열기가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상기 가열기가 가열하지 않을 때보다 풍량이 저하되도록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분해기를 가열하기 위한 분해 가열기; 및
    상기 분해기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해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용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기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각용 히트 싱크와 상기 가열용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용 히트 싱크측에서 흡열하고, 상기 가열용 히트 싱크측에서 방열하는 열교환 소자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상기 흡착기, 상기 분해기 및 상기 냉각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와 공기가 나오는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까지의 공기의 유로가 U자 형상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8.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흡착분해기; 및
    상기 송풍기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으로서 상기 흡착분해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분해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탈취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분해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흡착함과 아울러 가열됨으로써 상기 악취 물질을 탈리하는 흡착기; 및
    상기 흡착기로부터 탈리한 상기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분해기;를 포함하는 탈취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분해기를 통과한 공기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억제기;를 더 포함하는 탈취 장치.
KR1020180114136A 2017-11-16 2018-09-21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62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78131.4A EP3692317B1 (en) 2017-11-16 2018-11-13 Deodoriz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CT/KR2018/013831 WO2019098650A1 (en) 2017-11-16 2018-11-13 Deodoriz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6/194,194 US11041669B2 (en) 2017-11-16 2018-11-16 Deodoriz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1243 2017-11-16
JPJP-P-2017-221243 2017-11-16
JP2018091524A JP2019088762A (ja) 2017-11-16 2018-05-10 脱臭装置、冷蔵庫
JPJP-P-2018-091524 2018-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291A true KR20190056291A (ko) 2019-05-24
KR102562551B1 KR102562551B1 (ko) 2023-08-03

Family

ID=6668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136A KR102562551B1 (ko) 2017-11-16 2018-09-21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855A (ja) * 1974-12-11 1976-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yuryokenchisochi
JPH07227420A (ja) * 1994-02-18 1995-08-29 Sharp Corp 脱臭素子及びその脱臭素子を用いた脱臭装置
KR19990006538U (ko) * 1997-07-28 1999-02-25 윤종용 냉장고용 탈취장치
JP2000005565A (ja) 1998-04-21 2000-01-11 Daikin Ind Ltd 脱臭装置
KR20040098412A (ko) * 2003-05-14 2004-11-20 김진광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춘 빌트인타입의 서랍식 냉온장 장치
JP2012122620A (ja) * 2010-12-06 2012-06-2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855A (ja) * 1974-12-11 1976-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yuryokenchisochi
JPH07227420A (ja) * 1994-02-18 1995-08-29 Sharp Corp 脱臭素子及びその脱臭素子を用いた脱臭装置
KR19990006538U (ko) * 1997-07-28 1999-02-25 윤종용 냉장고용 탈취장치
JP2000005565A (ja) 1998-04-21 2000-01-11 Daikin Ind Ltd 脱臭装置
KR20040098412A (ko) * 2003-05-14 2004-11-20 김진광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춘 빌트인타입의 서랍식 냉온장 장치
JP2012122620A (ja) * 2010-12-06 2012-06-2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551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26B (zh) 冰箱的脱臭装置
JP2008148832A (ja) 脱臭装置
US11041669B2 (en) Deodoriz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56291A (ko)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2153552A (ja) 脱臭装置
JP2019088762A (ja) 脱臭装置、冷蔵庫
JP2018139977A (ja) 脱臭装置、冷蔵庫
JP2000334031A (ja) 脱臭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調機並びに脱臭機
JP3826560B2 (ja) 鮮度保持装置付き冷蔵装置
JPH0252022A (ja) 冷蔵庫等の脱臭装置
JP5262167B2 (ja) 除湿装置
JP4195973B2 (ja) 空調座席装置
JPH0479963A (ja) 脱臭装置
JPH02309173A (ja) 脱臭装置付冷蔵庫
JPH11290443A (ja) 脱臭装置
CN117570631A (zh) 净味冰箱及控制方法
JPH0395379A (ja) 冷蔵庫等の脱臭装置
JP2547698B2 (ja) ヒータ
JP2584076B2 (ja) 脱臭装置
JPH0599558A (ja) 冷蔵庫
JP4195972B2 (ja) 空調座席装置
JPH05164456A (ja) 冷蔵庫
JPH1015043A (ja) 脱臭ヒータ
JP2000042092A (ja) 脱臭装置
JPH0687952B2 (ja) 冷蔵庫の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