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38A -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38A
KR20190056138A KR1020170153280A KR20170153280A KR20190056138A KR 20190056138 A KR20190056138 A KR 20190056138A KR 1020170153280 A KR1020170153280 A KR 1020170153280A KR 20170153280 A KR20170153280 A KR 20170153280A KR 20190056138 A KR20190056138 A KR 2019005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sol
silica
airgel
blank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438B1 (ko
Inventor
오명은
이규련
이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5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38B1/ko
Priority to JP2020523458A priority patent/JP7083022B2/ja
Priority to US16/762,675 priority patent/US11760646B2/en
Priority to PCT/KR2018/011078 priority patent/WO2019098519A1/ko
Priority to EP18877432.7A priority patent/EP3712111A4/en
Priority to CN201880069619.4A priority patent/CN111278772B/zh
Publication of KR2019005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01B33/1585Dehydration into aero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9Coating or hydrophob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04B14/064Silica aerog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32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90Other properties not specified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05Materials with a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oncentration of ingredients or property from one layer to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C04B2111/00568Multiple coating with same or simila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C04B2111/00577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appli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표면에 불투명화제가 노출되지 않도록 실리카 졸을 분리 투입함으로써, 저분진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SILICA AEROGEL BLANKET WITH LOW DUS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aerogel)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고다공성 물질로서,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 그리고 낮은 열전도도를 가져 고효율의 단열재, 방음재 등의 용도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로겔은 다공성 구조로 인해 매우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섬유인 무기섬유 또는 유기섬유 등의 섬유상 블랭킷에 에어로겔을 함침하여 결합시킨 에어로겔 복합체가 개발되고 있다.
에어로겔 블랭킷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어 임의의 크기나 형태로 굽히거나, 접거나 자를 수 있고, 다루기가 용이하여 LNG 선의 단열패널, 공업용 단열재와 우주복, 교통 및 차량, 전력생산용 단열재 등과 같은 공업용으로의 응용뿐 아니라 재킷이나 운동화류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도 이용되고 있다.
에어로겔은 일반적으로 실리카 졸을 제조 단계, 겔화 단계, 숙성(에이징) 단계, 표면개질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데, 상기 에어로겔 블랭킷의 단열 성능 및 화재 예방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실리카 졸 제조 단계에서 복사열 차폐를 위한 불투명화제 또는 난연 성능 개선을 위하여 Metal Hydroxide계열의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첨가제에 의해 SiO2 결합이 약화되어 블랭킷 기재와 에어로겔 간의 부착력이 감소되어 분진(Dust)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에어로겔 블랭킷이 배관 등에 시공되었을 경우, 배관의 Vibration에 의해 에어로겔 또는 첨가제가 블랭킷 기재에서 지속적으로 분리되어 분진 발생 문제는 더 악화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US 8,021,583 B2 는 에어로겔 과립 또는 분말을 제조하여 슬러리 형태로 섬유 사이에 충진하여 분진(Dust) 발생을 줄이고자 하였으나, 겔 캐스팅 방법에 비해 바인더 등에 의해 열전도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상기와 같이 에어로겔 블랭킷은 시공 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건강 상의 문제 및 시공 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바, 분진 발생량을 감축시킴으로써, 에어로겔 블랭킷의 시공 용이성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US 8,021,583 B2 (2011.09.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진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표면에 불투명화제가 노출되지 않도록 실리카 졸을 분리 투입함으로써, 저분진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 제1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블랭킷 기재에 함침 및 겔화시키는 단계; 2) 제2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1 실리카 졸이 함침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 및 3) 제3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2 실리카 졸이 분사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진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사용하는 경우 분진 발생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 상의 문제 및 시공 상의 불편함이 줄어 시공 용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분진 발생을 유도하는 복사열 차폐를 위한 불투명화제가 에어로겔 블랭킷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제조함으로써, 분진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 공정에서는 복사열(Radiative conductivity) 차폐를 위한 첨가제로서 불투명화제를 사용하고, 상기 불투명화제를 실리카 졸에 혼합하여 겔화시키기 때문에, 에어로겔 블랭킷의 표면에 상기 첨가제가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이로 인해 블랭킷 시공 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상기 에어로겔 블랭킷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부스러진 모노리스보다는 불투명화제의 용도로 투입되는 첨가제에서 유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분진 발생량을 줄이고자 상기 불투명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복사열 차폐가 어려워 열전도도가 증가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단열 성능이 좋지 않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불투명화제의 사용량은 유지하면서, 에어로겔 블랭킷 표면에 노출되는 불투명화제의 함량을 줄이면 블랭킷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줄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상기 불투명화제를 실리카 졸에 혼합하여 겔화시켰기 때문에, 블랭킷 표면에 상기 불투명화제가 그대로 노출되어 분진 발생량이 큰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불투명화제가 블랭킷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카 졸에 불투명화제를 분리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1) 제1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블랭킷 기재에 함침 및 겔화시키는 단계; 2) 제2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1 실리카 졸이 함침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 및 3) 제3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2 실리카 졸이 분사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이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 없이 실리카 전구체 및 에탄올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양면 또는 표면에 함침 또는 분사되어 블랭킷 표면에 노출되는 실리카 졸을 의미하며,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중간층에 함침되어, 블랭킷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실리카 졸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경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양면 또는 표면에는 불투명화제가 포함되지 않고, 중간층에만 불투명화제가 포함되어 단열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저분진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제1 실리카 졸이 함침 및 겔화 완료된 후에 분사할 수 있다. 제1 실리카 졸이 겔화 완료된 후 분사하는 경우 제2 실리카 졸에 포함된 불투명화제가 블랭킷 기재 바닥으로 스며들어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3 실리카 졸은 제2 실리카 졸이 겔화 완료되기 전에 분사할 수 있다. 제2 실리카 졸이 겔화 완료된 이후 제3 실리카 졸을 분사하는 경우, 제3 실리카 졸이 블랭킷 기재에 함침되지 못하고, 블랭킷 표면 상에서 블랭킷 기재 없이 겔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3 실리카 졸이 겔화된 부분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분진 발생이 다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투명화제는 TiO2, 알루미나, 지르코니아(Zr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산화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투명화제는 전체 실리카 졸에 포함된 실리카 중량 대비 1 내지 30 wt%, 보다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7.5 wt% 를 첨가할 수 있다. 전체 실리카 졸이란 제1 실리카 졸, 제2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의 합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만큼 첨가한 경우, 복사열 차폐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범위보다 소량 첨가된 경우에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고온에서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과량 첨가된 경우에는, 상온 열전도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리카 졸, 제2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의 부피비는 제1 실리카 졸 내지 제3 실리카 졸을 포함하는 전체 실리카 졸 대비 10 내지 40 vol% : 20 내지 80 vol% : 10 내지 40 vol% 일 수 있다.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포함된 제2 실리카 졸이 블랭킷의 표면에 노출되기 쉬워 분진 감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분산되어 있는 제2 실리카 졸의 양이 상대적으로 충분하지 못해 불투명화제가 유리 섬유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만,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이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은 그 제조 시 불투명화제 없이 실리카 전구체 및 에탄올만으로 제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양면 또는 표면에 위치하는 층을 의미하며,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 사이에 개재된 층으로서, 블랭킷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중간층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에 포함된 실리카의 중량비는 제1 에어로겔 층 내지 제3 에어로겔 층을 포함하는 전체 에어로겔 층에 포함된 실리카의 중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 : 20 내지 80 중량% : 10 내지 40 중량% 일 수 있다.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에 포함된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포함된 제2 에어로겔 층이 블랭킷의 표면에 노출되기 쉬워 분진 감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분산되어 있는 제2 에어로겔 층의 실리카의 양이 상대적으로 충분하지 못해 불투명화제가 유리 섬유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불투명화제는 전체 에어로겔 층에 포함된 실리카 중량 대비 1 내지 30 wt%, 보다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7.5 wt%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만큼 첨가한 경우, 복사열 차폐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의 두께는 1 내지 4 mm : 2 내지 8 mm : 1 내지 4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블랭킷 표면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분진 저감 효과가 우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불투명화제가 제2 에어로겔 층에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18 Hz/6 hrs 의 진동 조건에서 무게 감소율이 0.5 % 이하, 더 구체적으로는 0.4 % 이하일 수 있는 바, 분진 발생이 감소되어 작업자의 건강 상의 문제 및 시공 상의 불편함이 줄어 시공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표면에 물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층을 더 포함하는 절연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표면에 형성된 상기 추가의 층이 물에 대해 불투과성인 경우 절연재가 적용된 설비 또는 기기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경우, 절연재가 적용된 설비 또는 기기에서 수증기를 밖으로 투과시켜 내부에서 수증기가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증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층은 셀룰로오스 물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미리 수화시킨 TEOS와 에탄올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리카 졸(실리카 졸 내 실리카 함량 4 중량%) 2040 ml를 제조하였다.
1) 상기 실리카 졸의 30 vol%에 암모니아 촉매 0.5 vol%를 첨가하여 겔화 반응 개시 후 준비된 유리 섬유에 함침 및 겔화시켰다.
2) 상기 겔화 완료 후, 상기 실리카 졸의 40 vol%에 불투명화제 TiO2 4 g 을 분산시킨 후 암모니아 촉매 0.5 vol% 를 첨가하여 겔화 반응 개시 후 상기 유리 섬유에 분사하여 겔화시켰다.
3) 상기 겔화가 완료되기 전, 남은 상기 실리카 졸의 30 vol%에 암모니아 촉매 0.5 vol%를 첨가하여 겔화 반응 개시 후 상기 유리 섬유에 분사하여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에탄올 용액 중에 50 ℃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헥사메틸디실라잔(HMDS)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제조한 표면개질제 용액(HMDS 7 vol%)을 습윤겔에 대하여 90 vol%로 첨가하고 70 ℃ 에서 4 시간 동안 표면개질시켜 소수성의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7.2 L 초임계 추출기(extractor)에 넣고 CO2 를 주입하였다. 이후 추출기 내의 온도를 1 시간에 걸쳐 60 ℃로 승온하고, 50 ℃, 100 bar 에서 초임계 건조시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3
상기 실시예 1의 1), 2) 및 3)에서 유리 섬유에 함침 또는 분사하는 실리카 졸의 비율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게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미리 수화시킨 TEOS와 에탄올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리카 졸(실리카 졸 내 실리카 함량 4 중량%) 2040 ml를 제조하고, 여기에 불투명화제 TiO2 4 g 을 분산시켰다.
이후 암모니아 촉매 0.5 vol% 를 첨가하여 겔화 반응 개시 후 유리 섬유 위에 분사하여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의 숙성, 표면개질 및 초임계 건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1), 2) 및 3)에서 첨가한 실리카 졸의 부피비(vol%) 무게 감소율
(%)
상온 열전도도
(㎽/mK, 25 ℃)
고온(600 ℃, 6hrs) 이면온도
(℃)
실시예 1 30:40:30 0.3 18.79 181.9
실시예 2 10:80:10 0.4 18.80 182.0
실시예 3 40:20:40 0.3 18.69 181.8
비교예 1 - 1.2 18.72 182.4
실험예 1: 분진 발생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12 cm x 12 cm 가 되도록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한 뒤, 진동 조건을 18 Hz/6 hrs 로 하여 진동에 의한 무게 감소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무게 감소율(%) = [(최초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무게 - 진동 실험 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무게)/(최초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무게)] x 10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무게 감소율이 비교예 대비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분진 발생량이 비교예 대비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표면에 불투명화제가 노출되지 않은 것에 의한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열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NETZSCH社의 HFM 436장비를 이용하여 상온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상온 열전도도는 비교예와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상온에서의 단열 성능의 저하 없이 저분진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고온 이면온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12 cm x 12 cm 가 되도록 절단하여 제조한 샘플을 6 시간 동안 600 ℃의 SiC 플레이트와 밀착시킨 후, 이면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불투명화제의 투입은 복사열을 차폐하여, 고온 노출 시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불투명화제의 투입 방법에 관한 본 실험에서는 고온에서의 단열 성능이 유지되는지 확인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고온 플레이트에 밀착된 샘플의 이면온도를 측정하였다(plate/샘플의 모든 옆면은 단열된 상태). 한편, 단열 성능이 우수할수록 이면 온도는 낮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고온 이면온도는 비교예와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고온에서 단열 성능의 저하 없이 저분진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제1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블랭킷 기재에 함침 및 겔화시키는 단계;
2) 제2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1 실리카 졸이 함침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 및
3) 제3 실리카 졸에 염기 촉매 첨가하여 상기 제2 실리카 졸이 분사된 블랭킷 기재 상에 분사 및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리카 졸, 제2 실리카 졸 및 제3 실리카 졸의 부피비는 10 내지 40 vol% : 20 내지 80 vol% : 10 내지 40 v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화제는 전체 실리카 졸에 포함된 실리카 중량 대비 1 내지 3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리카 졸은 제1 실리카 졸이 겔화 완료된 이후 분사되고,
상기 제3 실리카 졸은 제2 실리카 졸이 겔화 완료되기 전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화제는 TiO2, 알루미나, 지르코니아(Zr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산화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에어로겔 층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은 불투명화제를 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에 포함된 실리카의 중량비는 10 내지 40 wt% : 20 내지 80 wt% : 10 내지 4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화제는 전체 실리카 졸에 포함된 실리카 중량 대비 1 내지 3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로겔 층, 제2 에어로겔 층 및 제3 에어로겔 층의 두께는 1 내지 4 mm : 2 내지 8 mm : 1 내지 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은 18 Hz/6 hrs 의 진동 조건에서 무게 감소율이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표면에 물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층을 더 포함하는 절연재.
KR1020170153280A 2017-11-16 2017-11-16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80A KR102193438B1 (ko) 2017-11-16 2017-11-16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23458A JP7083022B2 (ja) 2017-11-16 2018-09-19 低粉塵の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6/762,675 US11760646B2 (en) 2017-11-16 2018-09-19 Low-dust silica aerogel blan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8/011078 WO2019098519A1 (ko) 2017-11-16 2018-09-19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EP18877432.7A EP3712111A4 (en) 2017-11-16 2018-09-19 LOW-DUST SILICA AERO-DUST CLOTH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ING
CN201880069619.4A CN111278772B (zh) 2017-11-16 2018-09-19 低粉尘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80A KR102193438B1 (ko) 2017-11-16 2017-11-16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38A true KR20190056138A (ko) 2019-05-24
KR102193438B1 KR102193438B1 (ko) 2020-12-21

Family

ID=6653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80A KR102193438B1 (ko) 2017-11-16 2017-11-16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60646B2 (ko)
EP (1) EP3712111A4 (ko)
JP (1) JP7083022B2 (ko)
KR (1) KR102193438B1 (ko)
CN (1) CN111278772B (ko)
WO (1) WO2019098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999A (zh) * 2019-09-03 2022-02-01 株式会社Lg化学 气凝胶毡
CN114459305A (zh) * 2022-03-02 2022-05-10 内蒙古工业大学 一种露天煤矿台阶爆破防尘减尘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357A (ko) * 2006-10-25 2009-07-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에어로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8021583B2 (en) 2004-12-15 2011-09-20 Cabot Corporation Aerogel containing blanket
KR20150122196A (ko) * 2013-03-15 2015-10-30 캐보트 코포레이션 에어로겔 블랭킷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15288A (ko) * 2015-03-30 2017-02-0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열 시트와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및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748532B1 (ko) * 2016-01-19 2017-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2644T3 (es) 2004-06-29 2012-12-12 Aspen Aerogels Inc. Cerramientos para edificios energéticamente eficientes y provistos de aislamiento
CN100398492C (zh) * 2005-08-01 2008-07-02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气凝胶绝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U2008231065B2 (en) 2007-03-23 2014-09-11 Birdair, Inc. Architectural membrane structur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CN101318659A (zh) 2008-07-04 2008-12-10 绍兴纳诺气凝胶新材料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常压干燥制备二氧化硅气凝胶复合材料的方法
JP5246442B2 (ja) * 2010-02-08 2013-07-24 ニチアス株式会社 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503356B (zh) 2011-11-11 2013-11-27 广州大学 定向纤维气凝胶隔热复合材料制备方法
US20130344279A1 (en) 2012-06-26 2013-12-26 Cabot Corporation Flexible insulat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9617069B2 (en) 2013-03-11 2017-04-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hermal insulation system for non-vacuum applications including a multilayer composite
KR101599625B1 (ko) * 2014-08-25 2016-03-04 김현철 연속성형 에어로젤판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에어로젤슬러리조성물
CN104556969B (zh) * 2014-12-30 2017-10-13 纳诺科技有限公司 一种疏水型二氧化硅气凝胶绝热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789371B1 (ko) * 2015-02-13 2017-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
JP2018523022A (ja) * 2015-07-15 2018-08-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ドヴァンスト リサーチ センター フォー パウダー メタラージー アンド ニュー マテリアルズ(エーアールシーアイ) 高効率性を備えたシリカエアロゲル断熱製品の改善された製造方法
CN107438588B (zh) 2015-09-10 2018-12-11 株式会社Lg化学 含二氧化硅气凝胶的毡及其制备方法
CN105198375B (zh) * 2015-09-18 2017-04-26 四川鑫炬矿业资源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绝热二氧化硅气凝胶/羟基化玻璃纤维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934593B2 (ja) * 2016-07-22 2021-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材とその製造方法
CN107244882B (zh) * 2017-06-20 2019-08-06 山东大唐节能材料有限公司 一种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583B2 (en) 2004-12-15 2011-09-20 Cabot Corporation Aerogel containing blanket
KR20090078357A (ko) * 2006-10-25 2009-07-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에어로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2196A (ko) * 2013-03-15 2015-10-30 캐보트 코포레이션 에어로겔 블랭킷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15288A (ko) * 2015-03-30 2017-02-0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열 시트와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및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748532B1 (ko) * 2016-01-19 2017-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772A (zh) 2020-06-12
EP3712111A1 (en) 2020-09-23
JP7083022B2 (ja) 2022-06-09
JP2021500304A (ja) 2021-01-07
CN111278772B (zh) 2023-03-28
WO2019098519A1 (ko) 2019-05-23
US20210114887A1 (en) 2021-04-22
KR102193438B1 (ko) 2020-12-21
US11760646B2 (en) 2023-09-19
EP3712111A4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989B1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경량화된 흡음내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56596B1 (ko) 소수성 단열 방법
KR101955184B1 (ko) 저분진 고단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CN107263948B (zh) 一种防火保温装饰一体化板及其制备方法
KR101336964B1 (ko) 유리장섬유 단열재 성형용 에어로젤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성형방법
KR20130036016A (ko) 층상 구조를 가지는 단열재
JPH10147664A (ja) エアロゲル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653963T3 (es) Procedimiento para generar una capa de poros abiertos, humectable con sistemas acuosos, próxima a la superficie, de un cuerpo conformado de aislamiento térmico, microporoso, hidrófobo
US11760646B2 (en) Low-dust silica aerogel blan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2533286A (ja) 微孔性断熱体
KR101523327B1 (ko) 졸겔법을 이용한 불연성 단열 코팅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단열 코팅 접착제
KR101955395B1 (ko) 건축용 다기능 단열복합판넬
CN105735500A (zh) 一种无纺布硅铝气凝胶复合夹心保温防火板
KR20120011555A (ko) 변성 실리콘계 내화도료 조성물
WO2009093002A2 (en) Liquid formulation of microporous thermal insulation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KR101751000B1 (ko) 무기단열재용 습기방지코팅제 조성물, 열전도도 안정성이 우수한 무기단열재 이의 제조방법
CN106316439B (zh) 一种高强度防水性纳米微孔保温板的制备方法
KR102415013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KR101519864B1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경량내화 흡음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5611B1 (ko) 박막형 시트용 에어로겔 단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형 에어로겔 시트
KR102511529B1 (ko) 2액형 복층유리용 2차 실링 내화 실리콘 실란트 조성물
KR20220139482A (ko) 경량 건축 내외장재용 불연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793846A (zh) 一种泡沫玻璃保温防火板及其制备方法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1345275B1 (ko) 고순도 흄드 실리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