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92A - 집진기용 필터 백 - Google Patents

집진기용 필터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92A
KR20190056092A KR1020170153156A KR20170153156A KR20190056092A KR 20190056092 A KR20190056092 A KR 20190056092A KR 1020170153156 A KR1020170153156 A KR 1020170153156A KR 20170153156 A KR20170153156 A KR 20170153156A KR 20190056092 A KR20190056092 A KR 2019005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lter
wrinkle
sew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373B1 (ko
Inventor
김종문
김동영
신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Priority to KR102017015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73B1/ko
Priority to PCT/KR2018/008306 priority patent/WO2019098492A1/en
Priority to JP2018139401A priority patent/JP6853804B2/ja
Priority to CN201810834630.7A priority patent/CN109794111B/zh
Publication of KR2019005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4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e.g. welding, glueing 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6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for filtering material, e.g. c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집진기용 필터 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 산 및 주름 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주름들이 형성되는 여과 부재; 상기 여과 부재의 외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주름 산과 상기 주름 골에 봉제되는 띠 부재; 및 상기 주름 골에 설치되어 상기 띠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용 필터 백{FILTER BAG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용 필터 백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공기나 가스(이하, "가스"로 총칭한다) 중에 포함되어 있는 고체나 액체 미립자와 같은 분진을 제거하는 정화 장치의 일종으로서, 가스 중의 분진을 필터링한 후 실내로 다시 유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집진기에는 1개 이상의 집진 필터(이하, "필터 백"이라 한다)가 설치될 수 있는 바, 필터 백은 가스에 포함된 분진 등을 걸러서 정화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필터 백은 통상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여과포의 내부에 통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리테이너가 삽입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터 백의 여과포를 원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접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표면적이 증대되도록 하고, 이렇게 주름이 형성된 여과포의 양단을 서로 이어 붙여 원통형 필터 백이 완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 백은 시간 경과에 따라 분진이 필터 백의 여과포에 부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 백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 펄싱(air pulsing)이나, 진동(shaking)에 의한 방법 등으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 작업이 수행된다.
에어 펄싱을 통한 탈진 작업은 필터 백의 상단부에서 블로우 튜브 노즐을 통해 백 내부를 향해 하단 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축 공기의 충격파(shock wave)에 의해 적층된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종래 집진기용 주름 필터 백은 에어 펄싱을 통한 탈진 작업시 압축 공기에 의해 주름이 과도하게 펴지거나, 이로 인해 원상 복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 백의 외주면에 섬유 또는 금속제의 외곽 띠가 설치되는바, 이 외곽 띠는 각 부위 중에서도 주름 산의 높이에 맞추어 2 곳 이상의 산에 고정 설치하여 주름을 잡아 주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필터 백은 압축 공기에 의한 에어 펄싱 작업시 외곽 띠에 고정되지 않은 필터 백의 일부분이 외곽 띠와 마찰하면서 필터 백의 조기 마모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필터 백은 상부에서 분진이 떨어질 때 외곽 띠와의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외곽 띠가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필터 백은 오직 주름 산이 외곽 띠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백의 팽창에 따른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인접한 다른 필터 백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필터 백은 오직 주름 산이 외곽 띠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공기에 의한 에어 펄싱 작업시 주름의 팽창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719469 (2017. 03. 2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필터 백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 백과 띠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마찰을 줄임으로써 필터 백과 띠의 내구성을 높여 조기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 백의 팽창시 주름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띠에 봉제되는 주름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필터 백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 산 및 주름 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주름들이 형성되는 여과 부재; 상기 여과 부재의 외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주름 산과 상기 주름 골에 봉제되는 띠 부재; 및 상기 주름 골에 설치되어 상기 띠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골에는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원 기둥 형태의 끈(파이핑 끈) 또는 띠 형태의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 부재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띠 부재에서 서로 이웃하는 띠 부재에 각각 봉제되는 상기 주름들은, 그 접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띠 부재가 상기 여과 부재에 봉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 산 및 주름 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주름들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여과 부재; 상기 여과 부재의 외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주름 산과 상기 주름 골에 봉제되는 띠 부재; 상기 주름 골에 설치되어 상기 띠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여과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여과 부재들의 경계부에 봉제되는 연결 띠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띠는, 상기 여과 부재의 외측에 봉제되는 외띠; 및 상기 여과 부재의 내측에 봉제되는 내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골에는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 부재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띠 부재에서 서로 이웃하는 띠 부재에 각각 봉제되는 상기 주름들은, 그 접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띠 부재가 상기 여과 부재에 봉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백의 주름 전체와 띠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마찰을 줄임으로써 필터 백과 띠의 내구성을 높여 필터 백의 조기 마모 또는 띠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 펄싱 작업에서 필터 백이 과도하게 팽창하는 것을 막고 필터 백의 상하부가 고르게 팽창되도록 하며 펄싱 후 주름이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띠 형태의 띠 부재에 봉제되는 주름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필터 백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의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보강 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10)은 여과 부재(100)와 띠 부재(200) 및 보강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집진기용 필터 백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여과 부재(100)는 집진 필터의 소재로 사용되는 원단으로서, 여과 부재(10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pitch)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접혀서 형성되는 주름(110) 들이 구비될 수 있다.
주름(110) 들은 주름 산(111) 및 주름 골(1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주름 산(111) 및 주름 골(112)이 여과 부재(100)의 원주 방향(X)을 따라 연속적으로 교번함으로써 주름(1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름 산(111)은 주름(110)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접힘 부위를 의미하며, 주름 골(112)은 주름(110)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한 접힘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110) 들은 여과 부재(100)의 원주 방향 중 어느 특정 방향으로 접히는 방향성(이하, "접힘 방향"이라 한다)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는 바, 주름(110) 들이 접힘 방향을 갖도록 배열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부재(100)의 내측에 리테이너(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여과 부재(100)가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여과 부재(100)는 고온(180℃ 내지 260℃) 또는 상온(120℃ 이하)에서 고분자 재료(예컨대, PE, PP, PPS, NOMEX,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니들 펀칭 방식으로 제조한 부직포 또는 직조 방식으로 제조된 유리섬유(glass fiber)나 특수 표면 처리된 섬유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여과 부재(100)의 주름 형상은 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주름 가공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부직포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이용하여 습식 공법, 스폰 본드, 스판 레이스, 또는 카렌다 본드, 니들 펀칭 등의 제조 공법으로 섬유를 서로 엉키게 만든 형태로, 특히 상온용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아크릴(acrylic), 폴리프로필렌(PP), 고온용으로는 PA(poly amide), PI(poly imide), PAI(poly amide imide), PPS(poly phenylene sulfide), PSA(poly sulfon amid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직물인 유리섬유(glass fib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의 외표면에 여과 부재(100)의 원주 방향(X)을 따라 여과 부재(100)를 감싸는 형태의 띠 형상으로 제공되는 요소로서, 띠 부재(200)는 필요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가 외력을 받더라도 보강부재(300)를 잡아주기 때문에 원래의 주름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주름을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에 고정 설치될 때 주름 산(111)과 주름 골(112)에 골고루 균일하게 봉제(박음질)되기 때문에 띠 부재(200)가 주름(110)과 전체적으로 봉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백(10)은 띠 부재(200)가 여과 부재(10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110) 전체와 봉제선(210)을 통해 고르게 봉제되기 때문에 띠 부재(200)가 여과 부재(100)로부터 뜨는 공간이 거의 없이 여과 부재(100)에 밀착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펄싱(air pulsing)을 통한 탈진 작업을 수행할 때 분진 무게에 의해 종래 띠가 끊어지는 문제, 필터 백이 마찰로 인해 조기 마모되는 문제 등이 해결되고, 필터 백의 팽창시 필터 백 전체를 골고루 잡아주어 주름이 고르게 팽창됨으로써 팩터 백의 탈진 성능이 우수해진다.
또한,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의 국부적인 강성 증대 및 주름 형상 유지와 주름의 보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띠 부재(200)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여과 부재(10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띠 부재(200)는 여과 부재(10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띠 부재(200)의 폭은 대략 20 ~ 40mm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띠 부재들 간의 간격은 펄싱 에어의 압력이나 분진의 농도/특성을 고려하여 대략 400 ~ 1000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띠 부재(200)가 여과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두 띠 부재(200)에 각각 봉제되는 주름(110) 들은 그 접힘 방향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띠 부재(200)가 여과 부재(100)에 봉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띠 부재(200)(편의상 '제1 띠 부재'라 한다)에 봉제되는 주름(110) 들은 그 접힘 방향이 예컨대 왼쪽으로 눕도록 접혀 있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띠 부재(200)와 이웃하는(바로 옆에 배열된) 띠 부재(200)(편의상, '제2 띠 부재'라 한다)에 봉제되는 주름(110) 들은 그 접힘 방향이 오른쪽으로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 띠 부재(200)에 각각 봉제되는 주름(110) 들의 접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정한 이유는 에어 펄싱 작업시 서로 반대로 작용하는 운동력에 의하여 여과 부재(1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각 주름(110) 들의 접힘 방향이 모두 동일 방향이 되면 탈진 작업시 고압의 공기 압력에 의해 여과 부재(100)가 주름(110)의 접힘 방향으로 꼬일 수 있기 때문에 여과 부재(100)가 전체적으로 뒤틀릴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주름(110)의 접힘 방향을 이웃하는 띠 부재(200)마다 반대 방향이 되게 설정하면 여과 부재(100)의 뒤틀림 강성이 증대되어 고압의 에어 펄싱 작업에도 여과 부재(100)가 뒤틀리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참고로, 여과 부재(100)가 뒤틀려서 주름(110)이 사선 형태가 되면 탈진할 때 분진이 경사진 주름에 의해 탈진에 방해가 되고 마찰을 일으켜 원단의 마모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보강 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부재(100)의 주름 골(112)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보강 부재(300)는 띠 부재(20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부재(300)는 주름 골(112)에 지지 강성을 부여하여 여과 부재(100)가 주름 형상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어 펄싱 작업시 주름 골(112)이 고압 공기에 의해 여과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 나갈 때 주름 골(11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보강 부재(300)가 띠 부재(200)에 걸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띠 부재(200)와 봉제되지 않은 여과 부재(100)의 다른 부위가 보강 부재(300)에 의해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펄싱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보강 부재(300)에 의하여 주름 골(112)이 원래 상태(원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보강 부재(300)가 주름 골(112)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부재(100)의 주름 골(112) 근처에는 수용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2a)에는 보강 부재(300)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바, 수용부(112a)는 주름 골(112)의 일측 부위에서 봉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 부재(300)는 도 2의 원내에 각각 실시예 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기둥 형태를 갖는 끈(파이핑 끈) 또는 띠 형태로 형성된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과 부재(100)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는 원기둥 형태의 끈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여과 부재(100)의 원단을 띠 형태로 잘라 주름 골(112)에 접착 또는 융착시킴으로써 주름 골(112)의 지지력을 높여 주름을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300)가 주름 골(112)에 설치되면 보강 부재(300)가 띠 부재(2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여과 부재(100)의 주름 형상을 유지하다가 에어 펄싱 작업시 주름 골(112)이 외측 방향으로 팽창될 때 보강 부재(300)를 띠 부재(200)가 잡아주어 주름 골(112) 전체를 길이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주름 골(112)이 띠 부재(200)의 외측으로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 펄싱 작업이 끝나면 주름 골(112)이 원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돕게 된다.
한편, 보강 부재(3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골(112)의 외측 전부를 감싸도록 주름 골(112)의 외측 전체에 설치되는 보강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강 부재(300)는 주름 골(112)의 외측 전체에 대어져 봉제선을 통해 주름 골(112)에 봉제됨으로써 주름 골(112)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30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골(112)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주름 골(112)의 외측 일부에 설치되는 보강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의 보강 부재(300)는 주름 골(112)의 외측 일부에만 대어져 봉제선을 통해 주름 골(112)에 봉제됨으로써 주름 골(112)을 보강할 수 있다.이하,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한된 길이를 갖는 여과 부재(100)를 다른 여과 부재(100)와 연결하여 하나의 여과 부재(100)의 길이보다 더 긴 필터 백(20)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여과 부재(100)는 그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1개의 여과 부재(100)의 길이보다 긴 필터 백(2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를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 백(200)은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 띠 부재(200), 보강 부재(300) 및 연결 띠(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여과 부재(100)와 띠 부재(200) 및 보강 부재(3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구성 및 구조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여과 부재(100)가 2개 이상 복수 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연결 띠(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결 띠(400)는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여과 부재(100)들의 경계부에 봉제선(401)이 봉제되어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띠(400)는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의 외표면에 1개만 제공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외표면과 내표면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띠(400)는 외띠(410)와 내띠(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띠(410)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 부재(100)의 경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에 각각 봉제되어 서로 다른 여과 부재(100)들을 외측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내띠(420)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 부재(100)의 경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여과 부재(100)에 각각 봉제되어 서로 다른 여과 부재(100)들을 내측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은 여과 부재(100)와 외띠(410) 및 내띠(420)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복수 개의 여과부재(100)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도 8의 D-D선)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연결 띠(400)가 여과 부재(100)에 기본적으로 봉제되는 구조는 앞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띠 부재(200)가 여과 부재(100)에 봉제되는 구조에서 내띠(420)가 더 있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연결 띠(400)에 의하여 제한된 길이를 갖는 여과 부재(100)를 서로 연결하면 여과 부재(100)의 길이보다 더 긴 필터 백(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여과 부재 110 : 주름
111: 주름 산 112 : 주름 골
112a : 수용부 200 : 띠 부재
210 : 봉제선 300 : 보강 부재
400 : 연결 띠 410 : 외띠
420 : 내띠

Claims (12)

  1.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 산 및 주름 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주름들이 형성되는 여과 부재;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 부재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주름 산과 상기 주름 골에 봉제되는 띠 부재; 및
    상기 주름 골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골에는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원 기둥 형태의 끈 또는 띠 형태의 원단으로 제공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띠 부재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5. 제4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띠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어느 두 개의 띠 부재에 각각 봉제되는 상기 주름들은, 그 접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띠 부재가 상기 여과 부재에 봉제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주름 골의 외측 전부를 감싸도록 상기 주름 골의 외측 전체에 설치되는 보강포로 제공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주름 골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주름 골의 외측 일부에 설치되는 보강포로 제공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8.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 산 및 주름 골이 교번하는 형태의 주름들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여과 부재;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 부재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주름 산과 상기 주름 골에 봉제되는 띠 부재;
    상기 주름 골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여과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여과 부재들의 경계부에 봉제되는 연결 띠;
    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띠는,
    상기 여과 부재의 외측에 봉제되는 외띠; 및
    상기 여과 부재의 내측에 봉제되는 내띠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골에는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띠 부재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여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12. 제1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띠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어느 두 개의 띠 부재에 각각 봉제되는 상기 주름들은, 그 접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띠 부재가 상기 여과 부재에 봉제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



KR1020170153156A 2017-11-16 2017-11-16 집진기용 필터 백 KR10199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56A KR101998373B1 (ko) 2017-11-16 2017-11-16 집진기용 필터 백
PCT/KR2018/008306 WO2019098492A1 (en) 2017-11-16 2018-07-23 Filter bag for dust collector
JP2018139401A JP6853804B2 (ja) 2017-11-16 2018-07-25 集塵器用フィルタバッグ
CN201810834630.7A CN109794111B (zh) 2017-11-16 2018-07-26 用于集尘器的过滤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56A KR101998373B1 (ko) 2017-11-16 2017-11-16 집진기용 필터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92A true KR20190056092A (ko) 2019-05-24
KR101998373B1 KR101998373B1 (ko) 2019-07-09

Family

ID=6653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56A KR101998373B1 (ko) 2017-11-16 2017-11-16 집진기용 필터 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3804B2 (ko)
KR (1) KR101998373B1 (ko)
CN (1) CN109794111B (ko)
WO (1) WO20190984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9807A (zh) * 2021-11-10 2022-04-01 江苏东方滤袋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安装拆卸滤袋的袋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1697A1 (en) 2019-04-26 2022-06-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213049884U (zh) * 2020-06-17 2021-04-27 广州市华滤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除尘滤筒
CN113769501A (zh) * 2021-09-27 2021-12-10 柴峰 一种袋式除尘器
KR20240013576A (ko) 2022-07-22 2024-01-30 대진필터 주식회사 면밀성과 고 경도(高硬度)의 주름부를 가진 집진기용 백 필터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고 경도의 주름부를 지닌 집진기용 백 필터
WO2024030340A1 (en) * 2022-08-02 2024-02-08 W. L. Gore & Associates, Inc. Industrial filter assembly enhanc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78B1 (ko) * 2012-11-26 2013-11-05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KR20150135184A (ko) * 2015-11-20 2015-12-02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KR20170001977A (ko) * 2015-06-29 2017-01-06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86Y2 (ko) * 1985-11-01 1992-03-18
JPH0414084Y2 (ko) * 1987-06-30 1992-03-31
JPH06142415A (ja) * 1992-11-05 1994-05-24 Wako Sangyo Kk 蛇腹折り濾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08934B2 (en) * 2000-12-15 2003-01-21 Bha Group Holdings, Inc. Filter cartridge with strap and method
US6911144B2 (en) * 2000-12-15 2005-06-28 Bha Group Holdings, Inc. Filter cartridge with strap and method
US20080072553A1 (en) * 2006-09-25 2008-03-27 Alan Smithies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filter cartridge
JP2009011989A (ja) * 2007-07-09 2009-01-22 Techno M:Kk 成形フィルタ
JP5748541B2 (ja) * 2011-04-19 2015-07-15 株式会社テクノM 成形フィルタ
CN203564906U (zh) * 2013-11-13 2014-04-30 固安百滤得机械制造有限公司 折叠滤芯
KR101805978B1 (ko) * 2015-06-03 2018-01-10 이충중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KR101823731B1 (ko) * 2015-07-24 2018-03-14 동화 바이텍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주름필터백
JP6674823B2 (ja) * 2016-04-01 2020-04-01 株式会社テクノフロンティア 筒状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78B1 (ko) * 2012-11-26 2013-11-05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KR20170001977A (ko) * 2015-06-29 2017-01-06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101719469B1 (ko) 2015-06-29 2017-03-24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20150135184A (ko) * 2015-11-20 2015-12-02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9807A (zh) * 2021-11-10 2022-04-01 江苏东方滤袋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安装拆卸滤袋的袋笼
CN114259807B (zh) * 2021-11-10 2023-03-28 江苏东方滤袋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安装拆卸滤袋的袋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492A1 (en) 2019-05-23
JP2019089057A (ja) 2019-06-13
CN109794111A (zh) 2019-05-24
CN109794111B (zh) 2021-06-08
KR101998373B1 (ko) 2019-07-09
JP6853804B2 (ja)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73B1 (ko) 집진기용 필터 백
KR101325077B1 (ko) 성형 필터
KR101823731B1 (ko) 하이브리드 주름필터백
KR101719469B1 (ko) 집진기용 필터백
KR101423333B1 (ko) 필터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45182A (ko)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101325078B1 (ko) 집진기용 필터
KR200458972Y1 (ko)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CA2711662C (en) Clipper seams for belts and filters
KR102041713B1 (ko) 집진장치용 필터 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622081B1 (ko) 카트리지 필터백
KR20180005885A (ko)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압박밴드
JP2007105655A (ja) バグ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集塵方法
KR20040083550A (ko) 집진기용 필터백
KR20130094434A (ko) 분리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리테이너
CN106039837B (zh) 滤布结构体
KR20170071035A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JP6505934B1 (ja) プリーツフィルタ
KR200416737Y1 (ko) 이음매가 없는 필터 백
KR20220034491A (ko) 필터프레임 분리형 봉제 주름 필터백
KR101465038B1 (ko) 집진기용 필터백
KR20180002803U (ko) 산업 연소 가스용 집진 필터백
JP3201915U (ja) 産業用集塵機のカートリッジ型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20150102501A (ko) 집진기용 필터
RU58051U1 (ru)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рука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