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72Y1 -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72Y1
KR200458972Y1 KR2020100006153U KR20100006153U KR200458972Y1 KR 200458972 Y1 KR200458972 Y1 KR 200458972Y1 KR 2020100006153 U KR2020100006153 U KR 2020100006153U KR 20100006153 U KR20100006153 U KR 20100006153U KR 200458972 Y1 KR200458972 Y1 KR 200458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filter
filter bag
pleated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672U (ko
Inventor
김계홍
Original Assignee
에이에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백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 중 여과포(11)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11)에 형성된 골(12)마다 삽입되도록 마련된 간격 유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여과포(11)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필터 효율을 상승시키고, 고정밴드(100)의 재질을 여과포(11)를 이루는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여과포(11)를 통과하는 연소 가스에 포함된 고열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여과포(1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밴드(100)의 수명을 연장시켜 고정밴드(100)의 탈락에 따른 필터백(10)의 유지보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Pleated type Filter type filter white clothe fixation band}
본 고안은 제품의 생산 공정, 소각로 후단 및 공장의 굴뚝 등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 중 분진이나 유해 성분을 걸러내도록 설치된 집진장치 내에 가스가 통과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는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밴드의 표면에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에 형성된 산과 골에 대응하는 요철을 형성하고, 여과포를 이루는 모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 밴드가 배출되는 가스의 성질과 운전 운도 등에 적합하여 필터 집진효율을 상승시키며 온도 및 화학적 변형 없어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섬유, 화학 등의 제조공장이나 금속 등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제조 또는 가공 시에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미세분진 및 산업폐기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집진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필터백에 의한 여과 방식의 집진능력과 크기 및 중량 등은 그 내부에 내장되는 필터백에 의해 결정되며, 필터백은 대개 외주면이 매끈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집진기에 내장되며, 원하는 필터링 효율 및 여과속도에 따라 내장되는 필터백의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다만, 필터백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집진기의 크기는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시설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같은 크기의 필터백에서 자체의 필터링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외주의 표면적을 늘리는 주름형 필터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형 필터백은 여과포에 주름이 접히지 않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필터백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효율이 증가하고 집진기의 규모도 작아진다.
또한, 주름형 필터백은 사용되는 여과포의 재질에 따라 주름을 형성하거나 또는 형성된 주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성형과 조립이 용이한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띠의 형상을 갖는 밴드를 여과포의 둘레에 감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름형 필터백은 주름 사이에 낀 분진은 탈진 시에 쉽게 떨어지지 않아 집진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 주기마다 에어 펄스를 여과포에 작용시켜 여과포를 수축 또는 팽창시킨다. 이렇게 여과포가 수축 및 팽창되는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여과포의 표면에 묻은 분진을 털어 필터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순한 띠의 형상을 갖는 밴드로 여과포의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는 경우 여과포를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고열과 화학적 요인에 의해 밴드가 경화되면서 분진을 털어내기 위해 여과포를 수축 또는 팽창할 때 밴드가 깨져 탈락된다.
이렇게 여과포의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가 여과포로부터 탈락되면 분진을 털어내기 위해 에어 펄스를 여과포에 가하여 수축과 팽창을 반복할 때 여과포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거나 주름과 주름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밀착되면서 여과포의 주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필터백의 필터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필터 효율을 상승시키며 여과포를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고열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여과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 중 여과포(11)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11)에 형성된 골(12)마다 삽입되도록 마련된 간격 유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여과포(11)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재봉실(130)로 바느질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봉실(130)은 여과포(110)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가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때 지지부(110)의 선단(112)과 기단(114)이 엇갈려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140)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는,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는 지지부 중 여과포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에 형성된 골마다 삽입되는 간격 유지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여과포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필터 효율을 상승시킨다.
또한, 고정밴드의 재질을 여과포를 이루는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여과포를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고열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여과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밴드의 수명을 연장시켜 고정밴드의 탈락에 따른 필터백의 유지보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가 필터백의 둘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100)는 크게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 중 여과포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에 형성된 골(12)마다 삽입되도록 마련된 간격 유지부(12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지지부(110)는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 둘레를 감을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띠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지지부(110) 중 여과포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에 형성된 골마다 삽입되도록 간격 유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여과포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가 여과포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여과포를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고온과 화학적 요인에 의해 고정밴드(100)가 경화되면서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100)의 재질은 예를 들어, 여과포가 폴리에스테(Poly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노맥스(Nomex), 라이톤(Ryton), 유리섬유(Fiberglass), 테프론(Teflon), 아크릴(Acrylic)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되어 형성된 경우 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밴드(100)에 가해지는 고온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여과포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를 일체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재봉실(130)로 바느질되어 고정되며, 상기 간격 유지부(120)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평면상 돔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간격 유지부(120)에 형성된 요철이 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여과포가 에어 펄스에 의해 수축과 팽창되면서 주름의 간격이 유동적으로 변하더라도 돔의 형상이 갖는 특성상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를 일체화하기 위해 바느질된 재봉실(130)이 여과포를 이루는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봉실(130)에 가해지는 고온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100)는 주름형 필터백의 여과포 둘레를 감아 고정하게 된다. 이를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가 필터백의 둘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100)는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를 고정시키기 위해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11)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산(14)과 골(12)이 반복 형성되어 여과포(11)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주름형 필터백(10)은 크게 철재 와이어(13)를 원통형으로 엮어서 용접한 케이지 타입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는 수개의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13)가 일정 길이마다의 보강링(15)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와이어(13)의 하단은 여과포(11)의 끼움을 가능토록 하는 하부캡(미도시)을 설치하고, 와이어(13)의 상단은 상부캡(16)을 설치하여 여과포(11)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그 둘레면에 빈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에어 펄스에 의한 탈진 작용시 여과포(11)의 수축 팽창이 가능토록 여과포(11)에 주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주름은 산(14)과 골(12)이 반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11)를 와이어(13)와 보강링(15)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100)를 여과포(11)를 둘레를 따라 감아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밴드(100)의 선단(112)과 기단(114)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100)의 선단(112)과 기단(114)을 고정하기 위해 선단(112)과 기단(114)이 엇갈려 겹쳐진 상태에서 접착제로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접착제는 여과포(11)를 통과하는 고온 및 화학적 요인에 의해 접착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고정밴드(100)의 선단(112)과 기단(114)이 엇갈려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140)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100)는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키는 지지부(110) 중 여과포(11)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11)에 형성된 골(12)마다 삽입되는 간격 유지부(120)가 지지부(11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여과포(11)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필터 효율을 상승시킨다.
또한, 고정밴드(100)의 재질을 여과포(11)를 이루는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여과포(11)를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고열과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여과포(1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밴드(100)의 수명을 연장시켜 고정밴드(100)의 탈락에 따른 필터백(10)의 유지보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주름형 필터백 12 : 골
14 : 산 100 : 고정밴드
110 : 지지부 112 :선단
114 : 기단 120 : 간격 유지부
130 : 시침부 140 : 리벳

Claims (5)

  1.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 중 여과포(11)와 접하는 면에 여과포(11)에 형성된 골(12)마다 삽입되도록 마련된 간격 유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여과포(11)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와 간격 유지부(120)는 재봉실(130)로 바느질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130)은 여과포(110)의 모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가 주름형 필터백(10)의 여과포(11) 둘레를 감아 고정시킬 때 지지부(110)의 선단(112)과 기단(114)이 엇갈려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140)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2020100006153U 2010-06-11 2010-06-11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200458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53U KR200458972Y1 (ko) 2010-06-11 2010-06-11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53U KR200458972Y1 (ko) 2010-06-11 2010-06-11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72U KR20110011672U (ko) 2011-12-19
KR200458972Y1 true KR200458972Y1 (ko) 2012-03-21

Family

ID=4556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153U KR200458972Y1 (ko) 2010-06-11 2010-06-11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469B1 (ko) * 2015-06-29 2017-03-24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102290622B1 (ko) * 2020-03-24 2021-08-18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KR102385595B1 (ko) * 2021-09-27 2022-04-14 주식회사 더이앤이솔루션 여과포용 간격유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필터카트리지
KR102625004B1 (ko) * 2023-06-21 2024-01-12 박진용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KR102625003B1 (ko) * 2023-06-21 2024-01-12 박진용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23Y1 (ko) * 1990-10-30 1993-04-17 박창호 여과 필터의 체결구조
JPH11165019A (ja) 1997-12-01 1999-06-22 Kumakura Kogyo Kk カートリッジ式フィルタ用バン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23Y1 (ko) * 1990-10-30 1993-04-17 박창호 여과 필터의 체결구조
JPH11165019A (ja) 1997-12-01 1999-06-22 Kumakura Kogyo Kk カートリッジ式フィルタ用バ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72U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972Y1 (ko)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CN109794111B (zh) 用于集尘器的过滤袋
KR20170011786A (ko) 하이브리드 주름필터백
US8187352B2 (en) Filter
KR100981235B1 (ko)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CN103442781B (zh) 集尘用过滤器、具备该集尘用过滤器的集尘装置及集尘用过滤器的制造方法
RU2320396C2 (ru) Каркас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мешка
KR20120123173A (ko) 성형 필터
JP2007237160A (ja) 成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74787A1 (en) Filter having flow control features
KR200446600Y1 (ko) 집진기용 필터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백 어셈블리
KR20100007485U (ko)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KR20130094435A (ko) 교체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KR100568974B1 (ko) 집진기용 필터백
KR102041713B1 (ko) 집진장치용 필터 백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4434A (ko) 분리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리테이너
KR101295348B1 (ko) 여과필터 지지용 케이지
JP2007105655A (ja) バグ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集塵方法
KR20170071035A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KR100568975B1 (ko) 집진기용 필터백 리테이너
KR102047530B1 (ko)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KR101465038B1 (ko) 집진기용 필터백
KR200284140Y1 (ko) 집진필터용 케이지
KR200486694Y1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