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530B1 -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530B1
KR102047530B1 KR1020170152719A KR20170152719A KR102047530B1 KR 102047530 B1 KR102047530 B1 KR 102047530B1 KR 1020170152719 A KR1020170152719 A KR 1020170152719A KR 20170152719 A KR20170152719 A KR 20170152719A KR 102047530 B1 KR102047530 B1 KR 10204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dust
cage
filt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263A (ko
Inventor
서동수
서정협
Original Assignee
(주)유성특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특수산업 filed Critical (주)유성특수산업
Publication of KR2019005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백필터(10); 메시 형태의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링(21)과 하부 링(22)을 포함하는 케이지(20);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10)는 상기 케이지(20)의 중공부 내로 분리 가능하게 각각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사로 제직된 집진기용 백필터는 케이지에 의해 집진시의 내압을 극복하고, 종래의 굵은 데니어의 섬유로 제직된 백필터와 비교하여, 세사를 이용하여 기공이 작으면서 동일 면적당 기공 개수가 훨씬 많은 백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방지하면서 발수처리 및 방염 코팅을 용이하게 하여 화재방지 효율 및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E OF FILTER BAG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백필터 및 백필터 케이지를 포함하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기 내로 강제유입된 유체 내에 함유된 먼지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백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사용 중 파공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백필터를 집진실에 장착하기 위한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를 포집하고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과집진기(filter dust collector)는 먼지 같은 입자가 포함된 기체를 각종 여과재를 통과시키면서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여과방식에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 즉 백필터(bag filter)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여과방식에 있어서, 처음에는 여과재의 여과작용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먼지층이 여과재의 구멍을 메워 더욱 촘촘하게 되므로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보통 먼지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 먼지를 모으는 원리는 충돌, 직접차단, 정전기력에 의한 표면침착,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여과재 표면의 먼지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압력손실이 커지므로 어느 정도 사용한 뒤에는 먼지를 털어주는 탈리(脫離)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여과집진은 이러한 탈리방식에 따라 간헐식과 연속식으로 구분한다. 간헐식은 집진실을 3~4개로 나누어 압력손실이 규정치에 이른 곳에만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며, 연속식은 집진실을 나누거나 가스를 차단하지 않고 집진을 계속하면서 차례로 여과재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탈리장치로는 진동식, 역기류식, 충격분출식 등이 있다. 진동식은 음파(音波)를 이용하거나 상하좌우로 진동을 주는 방식이고, 역기류식은 여과를 진행하다가 압축공기를 반대로 불어넣어 여과포 내부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충격분출식은 여과포의 외부에 붙은 먼지를 털기 위하여 여과포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순간적으로 털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집진방식은 여과재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과부하로 인하여 여과재의 구멍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어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여과형 집진기에서 백필터는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분진을 걸러 여과시키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이러한 백필터는 통상 여과천을 둥글게 말아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고 상, 하단은 개방시킨 단일 구조로 제작하여 분진이 함유된 가스를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걸러 여과시키게 된다.
또한, 백필터 표면에 분진이 어느 정도 퇴적되어 압력손실(차압)이 커지면 그것을 압축공기 취입 또는 진동에 의해 분진을 털어낸 후(탈진시킨 후) 다시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
한편, 백필터에 있어서 분진의 포집시에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탈진시에는 압축공기가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백필터 자체가 공기의 이동방향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백필터에는 일정 정도 이상의 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백필터는 이러한 강도가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041호에는 외측 여과천과 상기 외측 여과천의 내부에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내측 여과천을 더 구비하는 백필터 및 상기 백필터의 내부에는 케이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펄스 집진기용 백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의 케이지는 백필터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백필터의 전체적인 형상은 유지할 수 있으나, 백필터의 외측으로의 부풀음,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집진용 백필터의 제작시 안정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섬도는 300 ~ 500 데니어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450 데니어의 경우 1인치 x 1인치 당 대략 2,500개의 기공이 존재한다.
그러나 백필터 표면의 기공이 클 경우 미세분진을 포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터 표면에 분진이 깊숙이 박히게 되어 분진의 1차 부착층이 두껍게 형성되므로 탈진이 어렵게 되고 차압도 커지게 된다.
한편, 제철소나 제강공장, 그리고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 중에는 대전성(帶電性) 입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배출가스의 온도 자체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백필터의 사용 중에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정전기 발생에 따른 폐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표면부를 방염 코팅한 백필터가 공지되어 있으나, 두꺼운 원단은 방염 코팅에 어려움이 있고 방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표면 코팅에 의해 통기성이 저해되어 필터의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백필터의 강도를 위해 두꺼운 원단을 재봉하여 원통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백필터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바나나 형상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과 압력에 의해 두꺼운 원단의 재봉부가 파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세사를 이용하여 기공이 작으면서 동일 면적당 기공 개수가 훨씬 많은 백필터를 이용하여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방지하면서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세사로 제직된 백필터를 원통형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사를 이용하여 기공이 작으면서 동일 면적당 기공 개수가 훨씬 많은 백필터를 이용하여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방지하면서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세사로 제직된 백필터의 집진시의 내압을 극복하고, 백필터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지지하기 위한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실 내에 설치되는 백필터의 상부 및 하부를 안정적으로 상하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백필터의 파공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는 백필터; 메시 형태의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링과 하부 링을 포함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는 상기 케이지의 중공부 내로 분리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상기 백필터의 하부와 케이지의 하부는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백필터의 외부 지지체로 사용되며, 상기 케이지는 강,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며, 상기 케이지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백필터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는 하나 이상의 외부 링을 구비하며, 각각의 외부 링은 연결 바로 이루어진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필터는 폴리에스터 섬유, 글라스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지는 300 ~ 500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의 합성섬유사를 이용한 2 ~ 5 메시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합성섬유사의 원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글라스섬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필터는 150 데니어 ~ 30 데니어의 섬유로 제직되며,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백필터의 전체를 수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사로 제직된 집진기용 백필터는 케이지에 의해 집진시의 내압을 극복하고, 백필터의 원통체 형상이 집진 과정에서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백필터에 비하여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실 내에 설치되는 백필터의 상부 및 하부를 케이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하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백필터의 파공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굵은 데니어의 섬유로 제직된 백필터와 비교하여, 세사를 이용하여 기공이 작으면서 동일 면적당 기공 개수가 훨씬 많은 백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방지하면서 발수처리 및 방염 코팅을 용이하게 하여 화재방지 효율 및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필터와 백필터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와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지지 구조체의 상호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백필터와 백필터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섬유 데니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섬유 데니어에 따른 기공 개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고, (b)는 (a)의 지지 구조체와 백필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며, (c)는 백필터 지지 구조체와 백필터가 집진실 내에 장착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술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청구항들에 대한 토대 및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를 교시하기 위한 토대로서 기술된다.
일반적으로 여과집진기는 공해방지를 위해서 먼지발생이 많은 개소에 설치되는 설비이며, 그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집진기에 있어서 먼지를 포함하는 분진은 먼저 흡입구(210)를 통하여 집진실(20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집진실 하측으로 유입된 분진은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와 연통되어 있는 백필터(100)의 내부로 이동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는, 내부 공간이 하부 플레이트(240)에 의해 상, 하부 공간(201)(202)으로 분할되고, 하부 공간으로 먼지를 포함하는 분진이 흡입되도록 흡입구(210)가 형성되며, 상부 공간에는 백필터(10)에 의해 여과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구비되는 집진실(200); 상기 하부 플레이트(240)에 형성되어 하부 공간(202)으로 흡입된 분진을 상부 공간(201)으로 분산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구멍(242); 상기 구멍(242)에 연결되어 상부 공간(201)으로 연장되고, 메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24)가 형성되며, 상부 링(21)과 하부 링(22)을 포함하는 케이지(20); 상기 케이지(20) 중공부(24)에 삽입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상부에 진동수단(230)이 삽입되도록 고리(10a)가 구비되는 백필터(10); 및 상기 집진실(200)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바닥에 홀(252)이 형성되는 집진 호퍼(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필터(100) 내부면에 먼지가 쌓이면, 분진 공급이 중단되고, 진동수단(230)을 작동시켜 백필터(10)를 털며, 백필터(10)에서 떨어진 먼지는 백필터(10)의 하부를 통과하고 집진실(200) 하부 집진 호퍼(250)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백필터(100)를 통과하여 여과된 배기가스는 배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백필터(100) 내부면인 직물의 일면에 일정 두께의 먼지가 쌓이면 분진의 공급을 중단하고 백필터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계적 진동수단(230)을 작동시켜 백필터를 털어준다. 백필터에서 떨어진 먼지는 백필터의 하부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집진실의 하부에 설치된 집진 호퍼(도시되지 않음)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수단(230)은 백필터(10)의 고리(10a)에 삽입되도록 걸이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232)는 진동수단(23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종바(232a)와, 제 1종바(232a)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횡바(232b)와, 제 1횡바(232b)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종바(232c)와, 제 2 종바(232c)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 1횡바(232b)와 평행하면서 제 1횡바(232b) 대비 길게 연장되어 백필터(10)의 고리(10a)에 삽입되는 제 2횡바(232d)와, 제 2횡바(232d) 단부에 상향 연장되는 제 3종바(232e)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백필터(100)는 먼지 및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 천부재로 이루어지고, 부피팽창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백필터(100)는 상기 집진실(200) 내의 상단부근에 수평하게 설치된 고정대에 장착된다.
상부가 고정된 백필터(100)의 하부는 원형 금속제 밴드에 의해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다.
한편, 종래, 백필터(100)의 원통체 형상이 사용 과정에서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필터(100)의 내주면에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백필터(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8~10개의 링형상의 형상유지기구(111)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집진실(200)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먼지 및 이물질을 여과하여 청정공기만을 배기하는 집진작업 중 상기 집진실(200) 내에는 과도한 압력이 걸리고, 상기 백필터(100) 내부와 외부사이의 압력차이가 커지면서 상기 백필터(100)의 재봉부 부위가 약해져 파공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백필터(100)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한편, 설비유지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백필터는 폴리에스터 섬유, 글라스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처리되는 분진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온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일례로 폴리에스터 섬유는 내마모성 및 강도가 우수하나, 산과 알칼리에 약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산과 알칼리에 강한 성질을 가진다.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백필터 제조에 사용되는 450 데니어의 경우 1인치 x 1인치 당 대략 2,500개의 기공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150 데니어 ~ 30 데니어의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 1인치 x 1인치 당 대략 20,000 ~ 30,000개의 기공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데니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의 형상은 150 데니어 ~ 30 데니어의 세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시트형상의 백필터를 재봉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제직시에 직접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10)의 외부에는 백필터(10)가 가지는 원통체 형상이 집진 과정에서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백필터(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케이지(2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케이지(20)는 상부 링(21)과 하부 링(22) 사이에 메시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갖는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링(21, 22)은 백필터(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백필터(10)의 상부와 하부의 원형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메시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부(케이지)는 백필터(10)의 외면에 접촉하며 백필터(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지(20)는 강,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등의 금속이나 그 합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며, 본 발명은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지(20)는 메시의 형상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20)는 상부 링(21)과 하부 링(22), 이들 사이에 메시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도어(30)를 갖는다.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백필터(10)를 도어(30)를 통해 삽입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실 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지(20)는 여과면적을 넓힌 백필터(10)의 외부 지지체로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10)가 케이지(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백필터(10)의 원통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유지기구(11)가 3개만 설치되어도 충분하다.
한편, 케이지(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백필터(10)의 상단부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데니어보다 더 굵은 데니어로 제직하여 집진시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케이지(20)를 상호간에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외부 링(50)과 연결수단(51)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지(20)를 상호연결하는 수단은 링 형태(50)일 수 있으며, 각각의 링(50)은 케이지(20)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이들 링(50)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케이지(20)가 서로 견고하게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50)에 의해 복수의 케이지(20)가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케이지(20)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요동의 방지에 의해 케이지(20) 내부에 수용된 백필터(10)의 파공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과집진기에 있어서 먼지를 포함하는 분진은 먼저 흡입구(210)를 통하여 집진실(20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집진실 하측으로 유입된 분진은 집진실 하측과 연통되어 있는 백필터(10)의 내부로 이동한다.
백필터(10)의 하부는 원형 금속제 밴드에 의해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며, 케이지(20)의 하부도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다.
백필터(10) 및 케이지(20)를 통과하여 여과된 배기가스는 배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백필터(10) 내부면인 직물의 일면에 일정 두께의 먼지가 쌓이면 분진의 공급을 중단하고 백필터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계적 진동수단(230)을 작동시켜 백필터를 털어준다. 백필터에서 떨어진 먼지는 백필터의 하부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집진실의 하부에 설치된 집진 호퍼(도시되지 않음)에 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a) ~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10)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케이지(120)는 300 ~ 500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의 합성섬유사를 이용한 2 ~ 5 메시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합성섬유사의 원료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글라스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지(120)를 구성하는 합성섬유사의 위사와 경사의 접함점을 수지 코팅 등으로 서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섬유 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120)는 백필터(10)보다 굵은 데니어를 사용하여 강도를 확보하면서 백필터(10)보다 기공이 크기 때문에, 백필터의 집진 효율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백필터(10)를 외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8의 (a) ~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섬유 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120)는 그의 하부가 원형 금속제 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백필터(10)와 함께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백필터(10)를 먼저 고정한 후 별도의 금속제 밴드에 의해 집진실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섬유 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120)는 케이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백필터(10) 전체를 수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백필터(10)의 상부와 케이지(120)의 상부를 연결하여 백필터(10)와 케이지(120)의 상부를 함께 집진실 내의 상단부근에 수평하게 설치된 고정대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섬유 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120)는 백필터(10)와 함께 재봉되어 일체적으로 사용된 후, 해당 백필터의 교체시에 케이지(120)도 함께 편리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백필터(10)의 집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기용 백필터(10)는 케이지(20)에 의해 원통체 형상이 집진 과정에서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백필터는 집진효율이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실 내에 설치되는 백필터의 상부 및 하부를 케이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하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백필터의 파공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굵은 데니어의 섬유로 제직된 백필터와 비교하여, 세사를 이용하여 기공이 작으면서 동일 면적당 기공 개수가 훨씬 많은 백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재봉부에서의 파공을 방지하면서 발수처리 및 방염 코팅을 용이하게 하여 화재방지 효율 및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경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100: 백필터 11, 111: 형상유지기구
20, 120: 케이지 30: 도어
50: 외부 링 51: 연결수단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하부 플레이트(240)에 의해 상, 하부 공간(201)(202)으로 분할되고, 하부 공간으로 먼지를 포함하는 분진이 흡입되도록 흡입구(210)가 형성되며, 상부 공간에는 백필터(10)에 의해 여과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구비되는 집진실(200);
    상기 하부 플레이트(240)에 형성되어 하부 공간(202)으로 흡입된 분진을 상부 공간(201)으로 분산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구멍(242);
    상기 구멍(242)에 연결되어 상부 공간(201)으로 연장되고, 메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24)가 형성되며, 상부 링(21)과 하부 링(22)을 포함하는 케이지(20);
    상기 케이지(20) 중공부(24)에 삽입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상부에 진동수단(230)이 연결되도록 고리(10a)가 구비되는 백필터(10);
    상기 집진실(200)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바닥에 홀(252)이 형성되는 집진 호퍼(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필터(100) 내부면에 먼지가 쌓이면, 분진 공급이 중단되고, 진동수단(230)을 작동시켜 백필터(10)를 털며, 백필터(10)에서 떨어진 먼지는 백필터(10)의 하부를 통과하고 집진실(200) 하부 집진 호퍼(250)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지(20)는 상기 백필터(10)의 외부 지지체로 사용되며,
    상기 케이지(20)는 강,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며,
    상기 케이지(2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백필터(10)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도어(30)를 구비하며,
    상기 백필터(10)의 원통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상유지기구(11)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수단(230)은 백필터(10)의 고리(10a)에 삽입되도록 걸이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232)는 진동수단(23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종바(232a)와, 제 1종바(232a)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횡바(232b)와, 제 1횡바(232b)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종바(232c)와, 제 2 종바(232c)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 1횡바(232b)와 평행하면서 제 1횡바(232b) 대비 길게 연장되어 백필터(10)의 고리(10a)에 삽입되는 제 2횡바(232d)와, 제 2횡바(232d) 단부에 상향 연장되는 제 3종바(232e)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0)는 하나 이상의 외부 링(50)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외부 링(50)은 연결 바로 이루어진 연결 수단(5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10)는 폴리에스터 섬유, 글라스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지(20)는 300 ~ 500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의 합성섬유사를 이용한 2 ~ 5 메시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합성섬유사의 원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글라스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10)는 150 데니어 ~ 30 데니어의 섬유로 제직되며,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백필터(10)의 전체를 수용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KR1020170152719A 2017-11-02 2017-11-16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KR10204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56 2017-11-02
KR20170145156 2017-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63A KR20190050263A (ko) 2019-05-10
KR102047530B1 true KR102047530B1 (ko) 2019-11-21

Family

ID=6658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719A KR102047530B1 (ko) 2017-11-02 2017-11-16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758B1 (ko) * 2022-10-28 2023-06-22 주식회사 대호시리카 유동사 제조시스템 및 이에 제조된 유동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594B1 (ko) * 1999-12-31 2002-04-15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카트리지 형태의 기능성 공기청정기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JP5271740B2 (ja) * 2009-02-10 2013-08-21 株式会社 ユメックス 濾過装置
KR101522090B1 (ko) * 2013-07-19 2015-05-20 한진희 고정링을 구비한 필터백 및 이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320A (ko) * 1989-12-28 1991-08-07 공정곤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 직물로 된 백 필터
KR20120012131A (ko) * 2010-07-30 2012-02-09 오근서 보조망이 구비된 집진기용 카트리지필터
KR20130110487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594B1 (ko) * 1999-12-31 2002-04-15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카트리지 형태의 기능성 공기청정기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JP5271740B2 (ja) * 2009-02-10 2013-08-21 株式会社 ユメックス 濾過装置
KR101522090B1 (ko) * 2013-07-19 2015-05-20 한진희 고정링을 구비한 필터백 및 이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63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588B2 (en) High capacity hybrid multi-layer automotive air filter
US4613350A (en) Uniform minimum-permeability woven fabric, filter, and process therefor
US4398931A (en) Ceramic fabric filter
WO2012137303A1 (ja) 集塵用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集塵装置、及び、集塵用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2047530B1 (ko) 집진기용 백필터 지지 구조체
US20120174787A1 (en) Filter having flow control features
WO1985003031A1 (en) Filtering material and filtration apparatus employing the filtering material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JP5337001B2 (ja) 集塵用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集塵装置、及び、集塵用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0446600Y1 (ko) 집진기용 필터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백 어셈블리
JP5446010B2 (ja) 集塵装置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KR101013225B1 (ko) 기모 가공된 백필터
KR20140022713A (ko) 카본필터
KR101011411B1 (ko) 구리용융법을 이용한 초고온용 일체형 실리카 섬유 필터 백및 그 제조 방법, 이를 사용한 먼지부하저감형 집진장치
CN209771845U (zh) 一种多层复合纤维膜过滤组件
JP2015150524A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集塵機
KR102362539B1 (ko) 백필터용 탈진노즐
JP2012115793A (ja) 集塵装置
JP2005246367A (ja) 濾過式集塵装置
CN219441010U (zh) 具有过滤保护结构的袋式除尘器
CN211885877U (zh) 一种布袋除尘器装置
CN213049809U (zh) 一种除尘滤袋上口固定装置
RU231270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