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003B1 -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 Google Patents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003B1
KR102625003B1 KR1020230079583A KR20230079583A KR102625003B1 KR 102625003 B1 KR102625003 B1 KR 102625003B1 KR 1020230079583 A KR1020230079583 A KR 1020230079583A KR 20230079583 A KR20230079583 A KR 20230079583A KR 102625003 B1 KR102625003 B1 KR 10262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eripheral
folded
filter cloth
fold lin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박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용 filed Critical 박진용
Priority to KR102023007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가 개시된다. 상기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는, 백필터 집진기에 설치되는 여과포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접힘 선단부가 구비된 외주면 부재;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외주면 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외주면 부재와 재봉되되,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의 주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 선단부의 기설정 위치에 융착 가공된 접힘선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FILTER CLOTH OF BAG FILTE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과포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선단 부분을 한 번 더 융착하여,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형태 변형에 따른 분진 포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의 하나로 백필터(bag filter)를 이용한 백필터 집진기가 있다.
백필터 집진기는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 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방식으로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운전초기에는 여과재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분진층이 여과체로서의 역할의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진층이 주 여과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포집효율은 상승하지만 동시에 가스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방식은 우수한 집진기술 중 하나로 여과포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압력손실의 과부하로 인하여 여과포의 세공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며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도 1은 백필터 집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백필터 집진기(10)는 기본적으로 여과포(미부호)를 포함하는 백필터(20)가 설치되어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호퍼 형상의 집진실(11) 하부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2)이 설치되고, 집진실(11) 상부 타측에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3)이 설치되며, 상기 집진실(11) 하부에는 분진을 저장하는 분진저장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실(11) 상부 일측에는 백필터(20)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백필터(20)를 향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15)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15)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 저장용기(16)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압축공기 제어부(17)가 설치되며, 상기 집진실(11)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용기(16)로부터 이송되어 압축공기가 수용되는 압축관(18)이 설치되게 된다.
한편, 백필터 집진기(10)의 여과포는 통상적으로 여과포가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리테이너(미도시)가 설치되고 리테이너에 원통형 여과포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여과포는 외주면이 단순히 원통형으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분진의 흡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이 주름진 형태로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외주면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여과포의 경우,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여과포의 주름 부분 형태가 변형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최초 주름진 상태로 복원되지 않아 결국 분진 흡착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집진기용 필터백(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9469)'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집진기용 필터백'은 여과포의 주름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여과포 원주방향으로 연결지지재가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지지재는 여과포의 주름형상 외주면을 소정압력으로 상시 가압하기 위한 띠형상으로서, 여과포에서 연결지지재가 설치된 부분에 형상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주름부분이 정상적으로 펼쳐지지 못하고 압착됨으로써 결국 주름 사이로 분진이 흡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여과포의 주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연결지지재가 설치되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형태로서 주름의 형태 유지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분진 흡착 성능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과포의 주름 형상을 유지하되 분진 흡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946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포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선단 부분을 한 번 더 융착하여,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형태 변형에 따른 분진 포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는, 백필터 집진기에 설치되는 여과포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접힘 선단부가 구비된 외주면 부재;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외주면 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외주면 부재와 재봉되되,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의 주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 선단부의 기설정 위치에 융착 가공된 접힘선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접힘 선단부에 대해 직각되게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1접힘선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접힘 선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2접힘선 융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와 대향되게 상기 접힘 선단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힘 선단부의 외측 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3접힘선 융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에는, 상기 접힘 선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와 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접힘선 융착부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 각각의 상측 부분 일부가 절단되고, 절단 부위에 융착 가공된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 각각의 상측 부분에 내측을 향해 사선으로 절단되는 절단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부에 상기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절단선부 내부에 형태 변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철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심부재는, 상기 절단선 융착부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절단선 융착부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포는, 상기 접힘 선단부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 부재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외주면 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 부재의 접힘 선단부와 접힘 선단부 사이의 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의 비틀림 저항을 줄이기 위한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는, 각각이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는, 각각이 상기 외주면 부재의 접힘 선단부와 접힘 선단부 사이의 골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부는 예리하고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는,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부의 형틀을 유지하기 위해 보강충전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는, 여과포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선단 부분을 한 번 더 융착하여,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형태 변형에 따른 분진 포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백필터 집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사시도.
도 3 내지 5는 여과포의 접힘선 융착부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보강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절단선 융착부 적용 유무 예시를 비교한 사진.
도 10은 고정밴드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고정돌기부가 구비된 고정밴드 평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는, 여과포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선단 부분을 한 번 더 융착하여,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형태 변형에 따른 분진 포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5는 여과포의 접힘선 융착부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A)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외주면 부재(100), 하부 부재(200) 및 상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포(A)는 상기 하부 부재(200) 및 상기 상부 부재(30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와 재봉되어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태로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포(A)는 종이, 섬유 또는 부직포 등의 여과재가 자루 모양 의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져 백필터 집진기의 집진실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표면에 흡착하여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외주면 부재(100)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접힘 선단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재단된 여과재 원단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원통형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외주면은 분진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접혀지도록 접힘 가공되어 접힘 선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힘 선단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에 골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분진이 골 사이 공간에 갇혀 흡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힘 선단부(11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를 별도의 가공수단(예: 프레스)을 이용하여 일정 간격마다 접혀지도록 주름진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외주면에 접힘 선단부(110)가 형성된 상태로 여과포(A)가 삽입되는 리테이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기본적으로 외주면은 주름진 형태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 부재(200)는 원통형으로 완성된 상기 외주면 부재(1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 하부를 폐쇄하는 부분으로, 원형으로 재단되며, 상기 외주면 부재(100)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부 부재(30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부재(300)는 내부에 금속의 철판이 내장되어 원통형 형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부재(300)의 외주면은 리테이너에 끼움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주면 부재(100), 하부 부재(200) 및 상부 부재(300)는 상호간 재봉되어 연결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접힘 선단부(110)가 상기 하부 부재(200) 및 상부 부재(300)의 외주연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밀착되어 재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주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기설정 위치에 융착 가공된 접힘선 융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일부분을 융착시켜 상기 여과포(A)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A)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경우,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상기 접힘 선단부(110)에서 기설정된 위치마다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융착 공정을 통해 융착대상인 외주면 부재(100)의 접힘 선단부(110) 부분에 다양한 형태 및 무늬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한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에 대해 직각되게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1접힘선 융착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기설정 면적 내에 복수 개의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2접힘선 융착부(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기설정 면적 내에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의 요철과 직각되게 압착되어 융착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와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가 서로 다른 방향 및 모양으로 융착 가공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가 펼쳐지는 상황에서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 부분에 저항을 받아 찢어지거나 트임이 발생하는 것을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의 융착 가공을 통해 보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와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는 동일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분산되어 자세가 변형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상호간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보완할 수 있어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는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와 대향되게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외측 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3접힘선 융착부(12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접힘선 융착부(120c)는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120b)와 동일한 요철 형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120a)와 함께 외부의 저항에 대해 상호간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보강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에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12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121)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와 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접힘선 융착부(120c)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1)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한 층을 덧댄 상태로 상기 제3접힘선 융착부(120c)를 융착 가공 시 함께 융착되는 것으로, 상기 접힘선 융착부(120)의 융착 가공에 따라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강도가 약해져 찢어지거나 트임이 발생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한 층 더 덧대진 상태로 융착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121)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소재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절단선 융착부 적용 유무 예시를 비교한 사진이다.
한편,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 각각의 상측 부분 일부가 절단되고, 절단 부위에 융착 가공된 절단선 융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 각각의 상측 부분에 내측을 향해 사선으로 절단되는 절단선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부(130)에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를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여과포(A)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접힘 선단부(110)의 상측을 절단한 후 융착하여 절단선 융착부(140)를 형성함으로써, 여과포(A)가 원통형이 되도록 외주면 부재(100) 상단부분을 상부 부재(300)와 재봉하여 마감하는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여과포(A)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제작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주름을 잡고 접힘 선단부를 눕히면서 재봉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주름이 잡혀진 상태로 원통형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쉽게 상기 외주면 부재(100)를 상기 상부 부재(300)에 밀착시킨 상태로 재봉 시작부분부터 마지막부분까지 한 번에 재봉 작업으로 공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상기 절단선부(130)의 외측 단부에 대해 직각되게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1절단선 융착부(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상기 절단선부(130)의 기설정 면적 내에 복수 개의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상기 절단선부(130)의 외측 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2절단선 융착부(1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상지 절단선부(130)의 기설정 면적 내에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의 요철과 직각되게 압착되어 융착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와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가 서로 다른 방향 및 모양으로 융착 가공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가 펼쳐지는 상황에서 상기 절단선부(130) 부분에 저항을 받아 찢어지거나 트임이 발생하는 것을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의 융착 가공을 통해 보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와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는 동일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분산되어 자세가 변형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상호간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보완할 수 있어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는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와 대향되게 상기 절단선부(13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부(130)의 외측 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a)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3절단선 융착부(14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절단선 융착부(140c)는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와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절단선 융착부(140b)와 함께 외부의 저향에 대해 상호간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주면 부재(100)는 상기 절단선부(130) 내부에 형태 변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철심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심부재(141)는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절단선 융착부(140)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철심부재(141)는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철심부재(141)가 상기 제2절단선 융착부(140b) 위치에 내장되어 융착됨으로써,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상단부분과 상기 상부 부재(300)와 재봉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절단선부(130) 일부분을 살짝 꺾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와 상기 상부 부재(300)를 연결하기 위한 재봉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고정밴드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포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고정돌기부가 구비된 고정밴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포(A)는 상기 접힘 선단부(110)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 부재(100)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고정밴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밴드(15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가 접힘 선단부(110)의 주름이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고 제한하기 위한 부분으로, 띠 형상의 양단이 상기 접힘 선단부(11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재봉되어 원형의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밴드(150)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의 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비틀림 저항을 줄이기 위한 고정돌기부(15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부(151a)는 각각이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부(151a)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의 골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접힘 선단부(110)가 인접한 접힘 선단부(110)로 치우치거나 눕혀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외주면 전체가 고르게 접힘 선단부(110)가 자세를 유지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151a)는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의 골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주면 부재(100)의 외주면 전체가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돌기부(151b)는 각각이 상기 외주면 부재(100)의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의 골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부는 예리하고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부(151b)는 접힘 선단부(110)와 접힘 선단부(110) 사이의 골 부분 형상에 최대한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힘 선단부(110)의 주름은 유지된 상태로 원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부(151b)는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부(151b)의 형틀을 유지하기 위해 보강충전재(15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충전재(152)는 상기 고정돌기부(151b) 내부 공간을 채워 상기 고정돌기부(151b)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는, 여과포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상태에서 외주면 주름의 선단 부분을 한 번 더 융착하여, 여과포에 흡착된 분진을 탈락시키기 위해 여과포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여과포의 주름 형태 변형에 따른 분진 포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여과포 100: 외주면 부재
110: 접힘 선단부 120: 접힘선 융착부
120a: 제1접힘선 융착부 120b: 제2접힘선 융착부
120c: 제3접힘선 융착부 121: 보강부재
130: 절단선부 140: 절단선 융착부
140a: 제1절단선 융착부 140b: 제2절단선 융착부
140c: 제3절단선 융착부 141: 철심부재
150: 고정밴드 151a, 151b: 고정돌기부
152: 보강충전재 200: 하부 부재
300: 상부 부재

Claims (15)

  1. 백필터 집진기에 설치되는 여과포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외주면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접힘 가공된 접힘 선단부가 구비된 외주면 부재;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외주면 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외주면 부재와 재봉되되,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의 주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 선단부의 기설정 위치에 융착 가공된 접힘선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공법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 각각의 상측 부분 일부가 절단되고, 절단 부위에 융착 가공된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 각각의 상측 부분에 내측을 향해 사선으로 절단되는 절단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부에 상기 절단선 융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 부재는,
    상기 절단선부 내부에 형태 변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철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접힘 선단부에 대해 직각되게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1접힘선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접힘 선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2접힘선 융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 융착부는,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접힘선 융착부와 대향되게 상기 접힘 선단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힘 선단부의 외측 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접힘선 융착부의 요철과 직각되게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3접힘선 융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 융착부에는,
    상기 접힘 선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접힘 선단부와 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접힘선 융착부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부재는,
    상기 절단선 융착부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절단선 융착부가 융착 가공될 때 함께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는,
    상기 접힘 선단부 주름 부분의 접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주름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 부재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외주면 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 부재의 접힘 선단부와 접힘 선단부 사이의 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외주면 부재의 비틀림 저항을 줄이기 위한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각각이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각각이 상기 외주면 부재의 접힘 선단부와 접힘 선단부 사이의 골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부는 예리하고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부의 형틀을 유지하기 위해 보강충전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KR1020230079583A 2023-06-21 2023-06-21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KR10262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583A KR102625003B1 (ko) 2023-06-21 2023-06-21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583A KR102625003B1 (ko) 2023-06-21 2023-06-21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003B1 true KR102625003B1 (ko) 2024-01-12

Family

ID=8954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583A KR102625003B1 (ko) 2023-06-21 2023-06-21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0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70A (ja) * 1993-07-16 1995-01-27 Kubota Corp 膜エレメントの溶着方法
KR20100107170A (ko) * 2009-03-25 2010-10-05 조혁래 사각형 필터
KR20110011672U (ko) * 2010-06-11 2011-12-19 에이에프티주식회사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20120108522A (ko) * 2011-03-24 2012-10-05 김미숙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JP2016052644A (ja) * 2014-09-04 2016-04-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フィルター、プリーツ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719469B1 (ko) 2015-06-29 2017-03-24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20180005885A (ko) * 2016-07-07 2018-01-17 (주)에어릭스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압박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70A (ja) * 1993-07-16 1995-01-27 Kubota Corp 膜エレメントの溶着方法
KR20100107170A (ko) * 2009-03-25 2010-10-05 조혁래 사각형 필터
KR20110011672U (ko) * 2010-06-11 2011-12-19 에이에프티주식회사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20120108522A (ko) * 2011-03-24 2012-10-05 김미숙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JP2016052644A (ja) * 2014-09-04 2016-04-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フィルター、プリーツ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719469B1 (ko) 2015-06-29 2017-03-24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20180005885A (ko) * 2016-07-07 2018-01-17 (주)에어릭스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압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2207A (en) Wrap member having openings
CN107073376B (zh) 包括过滤介质间的多个凸台的过滤介质包、过滤器元件及其制造方法
JP2023153900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空気清浄装置アセンブリ、ならびに使用方法および組立て方法
US5552048A (en) Two pleated filter composite having cushioning layers
US5762669A (en) Filtration arrangement
JP4486562B2 (ja) 内燃機関エアクリーナ用濾材およびエアクリーナエレメント
KR20180021180A (ko) 접착제 에지-밀봉된 단부를 갖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01190914A (ja) 襞付け装置及び襞付け方法
JP2015091584A (ja) ひだ付きろ過媒体、媒体パック、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流体ろ過方法
JPH08508673A (ja) 膨張可能金属ジャケットを有するフィルター素子
KR102625003B1 (ko)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KR102625004B1 (ko)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WO1995003115A1 (en) Reusable filter
US20210001258A1 (en) Filter media pack with porous wrapper
WO1993012862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fluids
JP497202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製造用櫛状部材、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製造用櫛状部材を用いた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US11794142B2 (en) Pulse cleanable deep pleated industrial filter
KR102041713B1 (ko) 집진장치용 필터 백 및 그 제조방법
JPH0824546A (ja) 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器
JP3381006B2 (ja) 折り畳み式フィルタ
JPH08243334A (ja) エアフィルタ
JP3127986B2 (ja) エアークリーナ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3448672B2 (ja) 折り畳み式フィルタ
CA2512423A1 (en) Filter assembly including foam and pleated media
JP4098854B2 (ja) 濾過材交換型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